[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0562B1 - 압전 스피커 - Google Patents

압전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562B1
KR101500562B1 KR20130161140A KR20130161140A KR101500562B1 KR 101500562 B1 KR101500562 B1 KR 101500562B1 KR 20130161140 A KR20130161140 A KR 20130161140A KR 20130161140 A KR20130161140 A KR 20130161140A KR 101500562 B1 KR101500562 B1 KR 101500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diaphragm
piezoelectric
pattern
attached
piezoelectric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1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욱
정세명
Original Assignee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61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5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10Resonant transducers, i.e. adapted to produce maximum output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piezoelectric driv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 패턴으로 전극을 형성하여 진동에 의한 전극의 단락 발생이 극소화되도록 하면서 음향 진동판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출력 음압을 높이면서 저주파의 재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전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본 압접 스피커는 제1 음향 진동판과; 상기 제1 음향 진동판의 상면에 회로 패턴으로 형성되고,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한 쌍의 패턴 전극과; 상기 패턴 전극의 상면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평평하게 부착되고,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패턴 전극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압전층과; 상기 압전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음향 진동판과; 상기 제1 음향 진동판과 제2 음향 진동판을 둘러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전 스피커{Piezoelectric Speaker}
본 발명은 압전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 패턴으로 전극을 형성하여 진동에 의한 전극의 단락 발생이 극소화되도록 하면서 음향 진동판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출력 음압을 높이면서 저주파의 재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전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폰, 스마트폰 및 노트북 등의 휴대 단말기를 비롯하여 LCD TV, LED TV 등을 포함하는 TV 제품의 슬림화가 가속됨에 따라, 기존의 자석 코일을 이용한 다이나믹 스피커의 대안으로 압전 스피커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압전 스피커는 기존의 다이나믹 스피커에 비하여 얇고 가벼우며 전력소모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미래 선도형 스피커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압전 스피커는 상기 장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다이나믹 스피커에 비해 출력음압이 낮고 저주파 재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종래의 압전형 스피커에는 압전 진동자를 이용하거나, 금속 진동판 상부에 압전 디스크를 덧붙여 제작하는 방식의 압전 스피커, PVDF(Polyvinylidene Fluoride)와 같은 필름형 압전 스피커, 실리콘 MEMS(Mechanical Electronic Micromachined System)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방식의 초소형 압전 스피커 등이 있다.
종래의 압전 스피커로서, 압전 필름 소재를 이용한 필름형 압전 스피커는 PVDF와 같은 압전 필름 소재를 이용하여 상하부에 전극을 형성하고 전압을 인가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필름형 압전 스피커는 압전 필름의 양측면에 고분자 전도체막을 형성하고, 그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형태로 전극을 형성한 후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단자를 형성하는 구조로 제작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필름형 압전 스피커는 구리선의 납땜을 통해 압전 필름에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장기간의 사용 중에 진동에 의해 구리선 자체 혹은 납땜 부위가 손상되면서 쉽게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필름형 압전 스피커는 다이나믹 스피커와 비교하여 출력음압이 낮으며 특히 저주파의 재생이 매우 어려운 단점을 안고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2-0064984호 "압전 스피커"(2012. 06. 2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 패턴으로 전극을 형성하여 진동에 의한 전극의 단락 발생이 극소화되도록 하면서 음향 진동판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출력 음압을 높이면서 저주파의 재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전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극이 대칭되게 구비되어 압전층과의 접속 및 접착이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전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폭조절판을 구비하여 음향 진동판의 진폭이 적절히 조절되면서 음압이 상승되도록 하는 압전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는, 제1 음향 진동판과; 상기 제1 음향 진동판의 상면에 회로 패턴으로 형성되고,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한 쌍의 패턴 전극과; 상기 패턴 전극의 상면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평평하게 부착되고,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패턴 전극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압전층과; 상기 압전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음향 진동판과; 상기 제1 음향 진동판과 제2 음향 진동판을 둘러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음향 진동판의 상면 둘레와 상기 제2 음향 진동판 하면 둘레의 사이에 부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상기 패턴 전극은, 상기 압전층에 대해 평면 상에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상기 패턴 전극은, 상기 프레임에 좌우 한 쌍씩 설치되는 전원연결부와, 상기 전원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상기 제1 음향 진동판의 상면에 90도로 절곡된 상태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절곡패턴부와, 상기 절곡패턴부의 끝단에서 90도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음향 진동판의 상면에 한 쌍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가 그 상면에 부착되는 직선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는, 상기 제1 음향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1 진폭조절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는, 상기 제2 음향 진동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2 진폭조절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회로 패턴으로 전극을 형성하여 진동에 의한 전극의 단락 발생이 극소화되어 수명이 현저히 연장되고, 음향 진동판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출력 음압을 높이면서 저주파의 재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이 대칭되게 구비되어 압전층과의 접속 및 접착이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진폭조절판을 구비하여 음향 진동판의 진폭이 적절히 조절되면서 음압이 상승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는 제1 음향 진동판(10)과,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에 형성되는 패턴 전극(20)과, 상기 패턴 전극(2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접속단자(30)와, 상기 접속단자(30)의 상면에 부착되는 압전층(40)과, 상기 압전층(4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음향 진동판(50)과,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과 제2 음향 진동판(50)을 둘러싸는 프레임(6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은 상기 프레임(6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층(40)의 진동에 따라 진동되면서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고무, 실리콘 및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패턴 전극(20)은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의 상면에 회로 패턴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층(40)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위해 상기 패턴 전극(20)은 구리, 은, 납, 팔라듐 등과 같이 전기 전도성이 있는 금속의 입자를 전사 프린팅하여 얇게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패턴 전극(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으면서 폭이 두꺼운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본 압전 스피커의 전체 상하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과 압전층(40)의 진동에도 잘 파단되지 않아 전기 단락이 방지되면서 본 압전 스피커 자체의 장수명을 보장한다.
또한, 상기 패턴 전극(20)은 상기 압전층(40)에 대해 평면 상에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압전층(40)에 +극과 -극을 단락되지 않게 연결하면서 상기 패턴 전극(20)의 상면으로 상기 압전층(40)을 평면 상에서 균형있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패턴 전극(20)은 상기 프레임(60)에 좌우 한 쌍씩 설치되는 전원연결부(21)와, 상기 전원연결부(2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60)의 내측으로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의 상면에 90도로 절곡된 상태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절곡패턴부(22)와, 상기 절곡패턴부(22)의 끝단에서 90도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의 상면에 한 쌍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30)가 그 상면에 부착되는 직선패턴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연결부(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60)에 접속되는 외부 전원과 상기 절곡패턴부(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절곡패턴부(22)는 상기 전원연결부(21)와 직선패턴부(23)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직선패턴부(23)는 상기 접속단자(30)가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대칭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단자(30)는 상기 패턴 전극(20)의 상면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평평하게 부착되고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턴 전극(20)과 상기 압전층(40)을 통전 가능하게 상호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접속단자(30)는 솔더링(납땜)에 의해 형성되거나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의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전이 가능한 다양한 접속 및 접착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속단자(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패턴부(23)의 상면에 4개로 구비되어 상기 패턴 전극(20)에 대한 상기 압전층(40)의 접속과 접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전층(40)은 상기 접속단자(3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패턴 전극(20)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압전층(40)은 후막 형태의 압전 세라믹에 대해 연마 공정을 수행하여 얇은 단층 박막으로 형성되거나, 적층 구조의 박막을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전층(40)은 PZT와 같은 다결정 세라믹뿐 아니라, PMN-PT, PZN-PT, PIN-PT, PYN-PT 등의 단결정 압전 소재, PVDF, PVDF-TrFE 등의 유연 압전 폴리머 소재, BNT, BZT-BCT 등의 무연 압전 신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전층(40)은 평면 상에서 볼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뿐만 아니라,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음향 진동판(50)은 상기 압전층(4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과 마찬가지로 상기 프레임(60)에 장착되어 상기 압전층(40)의 진동에 따라 진동되면서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고무, 실리콘 및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2 음향 진동판(50)은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과 동일한 크기 및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과 함께 상기 압전층(40)을 이중으로 지지하여 음압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저주파의 재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의 하면과 상기 제2 음향 진동판(50)의 상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과 제2 음향 진동판(50)을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과 제2 음향 진동판(50)이 진동할 때 내부 손실에 의한 반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세탈(POM) 및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포함하는 금속이나 합금을 제작될 수 있다.
본 압전 스피커는 상기 프레임(60)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의 상면 둘레와 상기 제2 음향 진동판(50) 하면 둘레의 사이에 부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재(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70)는 상기 프레임(60)의 사이로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의 상면 둘레와 상기 제2 음향 진동판(50)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과 제2 음향 진동판(50)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압전층(40)에 의한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과 제2 음향 진동판(50)의 진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음압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탄성부재(70)는 고탄성을 가지는 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스피커는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의 하면에 부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1 진폭조절판(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진폭조절판(80)은 상기 압전층(40)에서 유발되어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으로 전해지는 진동에 의한 상기 제1 음향 진동판(10)의 진폭을 조절하여 음압을 향상시키면서 음의 왜곡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진폭조절판(80)은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연성이나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압전 스피커는 상기 제2 음향 진동판(50)의 상면에 부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2 진폭조절판(9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진폭조절판(90)은 상기 압전층(40)에서 유발되어 상기 제2 음향 진동판(50)으로 전해지는 진동에 의한 상기 제2 음향 진동판(50)의 진폭을 조절하여 음압을 향상시키면서 음의 왜곡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진폭조절판(90)은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연성이나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제1 음향 진동판
20 : 패턴 전극
21 : 전원연결부 22 : 절곡패턴부
23 : 직선패턴부
30 : 접속단자
40 : 압전층
50 : 제2 음향 진동판
60 : 프레임
70 : 탄성부재
80 : 제1 진폭조절판
90 : 제2 진폭조절판

Claims (6)

  1. 제1 음향 진동판과;
    상기 제1 음향 진동판의 상면에 회로 패턴으로 형성되고,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한 쌍의 패턴 전극과;
    상기 패턴 전극의 상면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평평하게 부착되고,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패턴 전극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압전층과;
    상기 압전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음향 진동판과;
    상기 제1 음향 진동판과 제2 음향 진동판을 둘러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음향 진동판의 상면 둘레와 상기 제2 음향 진동판 하면 둘레의 사이에 부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스피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전극은,
    상기 압전층에 대해 평면 상에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전극은,
    상기 프레임에 좌우 한 쌍씩 설치되는 전원연결부와,
    상기 전원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상기 제1 음향 진동판의 상면에 90도로 절곡된 상태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절곡패턴부와,
    상기 절곡패턴부의 끝단에서 90도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음향 진동판의 상면에 한 쌍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가 그 상면에 부착되는 직선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스피커는,
    상기 제1 음향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1 진폭조절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스피커는,
    상기 제2 음향 진동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2 진폭조절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스피커.
KR20130161140A 2013-12-23 2013-12-23 압전 스피커 Active KR101500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140A KR101500562B1 (ko) 2013-12-23 2013-12-23 압전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140A KR101500562B1 (ko) 2013-12-23 2013-12-23 압전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562B1 true KR101500562B1 (ko) 2015-03-09

Family

ID=5302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1140A Active KR101500562B1 (ko) 2013-12-23 2013-12-23 압전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5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084B1 (ko) * 2019-04-23 2020-04-09 (주)케이아이오티 수면 유도기능을 갖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KR102131557B1 (ko) * 2019-04-23 2020-07-08 (주)케이아이오티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을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
WO2020189032A1 (ja) * 2019-03-20 2020-09-24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および楽器ケース
CN116055968A (zh) * 2023-03-14 2023-05-02 武汉敏声新技术有限公司 压电扬声器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JP2024090332A (ja) * 2022-12-23 2024-07-04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音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075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형 스피커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10064369A (ko) * 2009-12-08 2011-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형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04128A (ko) * 2010-03-11 2011-09-22 에이알스페이서 주식회사 음향 라디에이터
KR20130127342A (ko) * 2012-05-14 2013-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량체를 가진 압전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075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형 스피커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10064369A (ko) * 2009-12-08 2011-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형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04128A (ko) * 2010-03-11 2011-09-22 에이알스페이서 주식회사 음향 라디에이터
KR20130127342A (ko) * 2012-05-14 2013-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량체를 가진 압전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032A1 (ja) * 2019-03-20 2020-09-24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および楽器ケース
KR102099084B1 (ko) * 2019-04-23 2020-04-09 (주)케이아이오티 수면 유도기능을 갖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KR102131557B1 (ko) * 2019-04-23 2020-07-08 (주)케이아이오티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을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
JP2024090332A (ja) * 2022-12-23 2024-07-04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音響装置
JP7600203B2 (ja) 2022-12-23 2024-12-16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音響装置
CN116055968A (zh) * 2023-03-14 2023-05-02 武汉敏声新技术有限公司 压电扬声器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901B1 (ko) 전기 음향 변환 장치
US8335329B2 (en) Piezoelectric speak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98927B1 (ko) 압전 스피커
KR20120064984A (ko) 압전 스피커
KR101500562B1 (ko) 압전 스피커
JP7149585B2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電気音響変換装置
TWI558225B (zh) A vibrating device, an acoustic generating device, a speaker system, an electronic device
JP2016119642A (ja) 圧電式発音体及び電気音響変換装置
US9302292B2 (en) 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EP2884765B1 (en)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781517B2 (en)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848268B2 (en)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495090B1 (ko) 압전 스피커
KR101500559B1 (ko) 압전 스피커
KR101495089B1 (ko) 압전 스피커
KR101521171B1 (ko) 압전 스피커
KR101445654B1 (ko) 압전 스피커
KR101415037B1 (ko) 인클로저를 가지는 압전 스피커 유닛
KR101715767B1 (ko) 압전 스피커용 압전 소자
JP5461074B2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および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KR101738516B1 (ko) 압전 스피커
JP2012015635A (ja) 圧電発音体
KR101480937B1 (ko) 압전 스피커
KR101623749B1 (ko) 압전 스피커
KR101480938B1 (ko) 압전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