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74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wir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wi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6747B1 KR101516747B1 KR1020140098750A KR20140098750A KR101516747B1 KR 101516747 B1 KR101516747 B1 KR 101516747B1 KR 1020140098750 A KR1020140098750 A KR 1020140098750A KR 20140098750 A KR20140098750 A KR 20140098750A KR 101516747 B1 KR101516747 B1 KR 1015167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unit
- heating line
- state
- operation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Landscapes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열선 제어 장치는 발열선이 설치된 배관에 바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온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상기 온도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온도가 제3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발열선을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 그리고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발열선을 동작시키는 발열선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wire control device, wherein the heating wire control device includes a temperature sensing part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pipe and outputting a temperature sensing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heating wire when the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equal to or lower than a third set temperature;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a heating wire driver for operating the heating wire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열선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ing line.
발열선은 정온 전선으로 불리는 가열 케이블(cable)로서 기존의 가열 케이블과는 달리 금속 발열선이 아니라 카본(carbon)이 함유된 플라스틱 반도체(plastic semiconductor)에 의해 발열되는 제품으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지니고 있다. The heating cable is a heating cable called a constant temperature cable. Unlike conventional heating cables, it is heated by a plastic semiconductor containing carbon, not a heating cable. It has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characteristic. .
PTC 특성이란 일종의 자연현상으로 주위 온도의 변화에 따라 발열량이 자동으로 증감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온 전선은 도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연속적 병렬회로 구조를 갖는 특수한 발열체로서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저항을 스스로 제어하여 발열량을 자동으로 증감 시키도록 설계된 자율 온도 제어형 가열 케이블(Self-Regulating Heating Cable)이다.The PTC characteristic is a kind of natural phenomenon. It shows a phenomenon in which the calorific value is automatically increased or decreased as the ambient temperature changes. The constant temperature wire is a special heating element having a continuous parallel circuit structure using a conductive polymer. Self-regulating heating cable designed to automatically increase or decreas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정온 전선은 PTC원리를 응용하여 개발된 자기 제어형 히터로 날씨가 추우면 많이 발열하고 더우면 적게 발열하므로 전기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The constant-temperature electric wire is a self-regulated heater developed by applying the PTC principle.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electric consumption because the heat is much colder in cold weather and less heat in colder weather.
이러한 정온 전선인 발열선은 개별난방용 보일러, 옥외에 설치된 상하수관의 단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외부에 위치하는 방화수관, 또는 주차장 진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해당 배관의 동파나 빙판 제거용 열선 등으로 사용된다.The heating cable, which is a constant-temperature electric wire, is connected to the boiler for individual heating, the end of the outdoor sewer pipe, the fire water pipe located outside the apartment such as an apartment, or the hot wire for removing the moving fan or ice sheet of the pipe Is used.
하지만, 발열선이 설치된 위치는 일반적인 생활공간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작동 여부를 현장에 가서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즉, 철저한 유지보수 계획에 의하여 관리되어야 한다. However, since the location where the heating line is installed is far from the usual living space,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it is working or not. That is, it must be managed by a thorough maintenance plan.
그러나 현장에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관리자의 관심도 저하에 따라 관심 밖의 일로 부실한 관리가 발생하게 하여 해당 배관 내의 물이 얼어버리거나 동파가 발생하여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한다.However, in the field, as time goes by, due to the decrease of the interest of the manager, poor management occurs due to the out of interest, and the water in the pipe is frozen or frozen, which causes a great inconvenience to life.
또한, 발열선으로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여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가 해당 배관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배관과 이격되게 보일러 등이 설치된 설치 공간 등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heating line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pipe is not directly installed in the pipe but is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boiler is installed apart from the pipe.
따라서, 온도 감지부는 배관의 온도와 직접 관계가 없는 온도(예, 해당 장치의 대기 온도)를 감지하여 발열선의 동작 제어가 행해지도록 하여, 배관의 온도 상태에 무관하게 발열선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어 불필요한 상황, 예를 들어, 동파의 위험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도 불필요하게 발열선이 동작되는 경우가 발생한다.Accordingl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senses the temperature (e.g.,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device)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mperature of the pip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line is controll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line can be controlled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pipe There is a case where the heating line is unnecessarily operated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unnecessary situation, for example, no risk of freezing.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한다.This cause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열선에 의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열선 제어 장치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 heating cabl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발열선 제어 장치는 발열선이 설치된 배관에 바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온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상기 온도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온도가 제3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발열선을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 그리고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발열선을 동작시키는 발열선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heating wi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sensing unit that is installed directly on a pipe provided with a heating wire and senses a temperature of the pipe and outputs a temperature sensing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heating line when the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equal to or lower than a third set temperature,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a heating wire driver for operating the heating wire according to a signal.
상기 특징에 따른 발열선 제어 장치는 전원과 연결되어 있고 대기 온도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 스위치, 그리고 상기 온도 스위치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열선 제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ing line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witch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maintaining the on or off state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temperature and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witch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voltag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line control apparatus.
상기 온도 스위치는 바이메탈 스위치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switch may be a bimetallic switch.
상기 특징에 따른 발열서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판정된 온도를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로 출력하여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좋다.The hea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status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the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to the operation status display unit, It is good to display.
상기 특징에 따른 발열선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판정된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온도 감지부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여,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로 상기 온도 감지부의 비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ing line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When the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or lower than the second set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t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determined to be in an abnormal state and the abnormal stat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displayed on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상기 특징에 따른 발열선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판정된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경고부를 동작시키는 것이 좋다.The heating control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warning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warning unit when the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or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cond set temperature. It is good to operate.
상기 특징에 따른 발열선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발열선의 피드백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발열선의 단락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발열선의 상태가 단락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로 상기 발열선의 단락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좋다.The heating control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reads the feedback signal of the heating line to determine whether the heating line is short-circuited. If the state of the heating line is short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short-circuited state of the heating line with the operation status display section.
상기 특징에 따른 발열선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발열선의 피드백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발열선의 단락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발열선의 상태가 단락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경고부를 동작시키는 것이 좋다.The heating line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warning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reads the feedback signal of the heating line to determine whether the heating line is short-circuited. When the heating line is in a short-circuited state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warning unit.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경고부는 경고등이나 부저일 수 있다.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warning unit may be a warning lamp or a buzzer.
또한, 상기 발열선 구동부는 제어단자는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출력 단자는 발열선에 연결되어 있으면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트라이악일 수 있다.The heating line driving unit may be a triac whos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riving voltage when the contro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th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heating lin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발열선 제어 방법은 온도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발열선이 장착되어 있는 배관의 온도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온도가 제3 설정 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상기 온도가 상기 제3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발열선 구동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발열선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heating line, the method comprising: reading a signal output from a temperature sensing unit to determine a temperature of a pipe on which a heating line is mounted;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temperature is below a third set temperature;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heating wire driving unit to operate the heating wire when the determin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third set temperature.
상기 특징에 따른 발열선 제어 방법은 판정된 상기 온도를 동작 상태 표시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wir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he determined temperature to the operation status display unit.
상기 특징에 따른 발열선 제어 방법은 판정된 상기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온도 감지부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온도 감지부의 비정상 상태를 동작 상태 표시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The heating lin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first set temperature or lower than a second set temperature; and if the determin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sensing unit as an abnormal state, and outputting the abnormal stat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to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상기 특징에 따른 발열선 제어 방법은 판정된 상기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온도 감지부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경고부를 동작시켜 상기 온도 감지부의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ing lin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first set temperature or lower than a second set temperature; and if the determin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sensing unit as an abnormal state, and informing the abnormal stat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by operating the warning unit.
상기 특징에 따른 발열선 제어 방법은 발열선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발열선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발열선의 상태가 단락 상태일 경우, 발열선의 단락 상태를 동작 상태 표시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eating line is short-circuited by reading a signal fed back from the heating line, and outputting the short-circuited state of the heating line to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when the heating line is in a short- It is better to include more.
상기 특징에 따른 발열선 제어 방법은 발열선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발열선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발열선의 상태가 단락 상태일 경우, 경고부를 동작시켜 발열선의 단락 상태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eating line is short-circuited by reading a signal fed back from the heating line, and if the heating line is in a short-circuited state, operating the warning unit to inform a short- .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온도 감지부를 이용하여 발열선이 감겨있는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발열선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발열선의 동작을 좀더 효율적으로 제어한다. 이로 인해, 동파 상황이나 배관의 내용물이 얼 수 상황이 아닌 불필요한 상황에서 발열선이 불필요하게 동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According to this feature,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line is controlled more effectively by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pipe on which the heating line is wound by using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line. This prevents the heating wire from unnecessarily operating in an unnecessary situation other than the situation where the frost wave situation or the contents of the piping can be frozen.
이로 인해, 발열선의 동작으로 인한 소비 전력이 감소한다.As a result, the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wire is reduced.
온도 감지부의 단선과 단락 여부, 발열선의 단선 여부를 동작 상태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정하므로, 발열선 제어 장치의 고장 원인이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판정하게 된다.The user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disconnected or short-circuited and whether or not the heating cable is disconnected through the operation status display unit. Thus, the cause of the failure 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heating control apparatus can be easily determined.
또한, 경고부를 이용하여 온도 감지부나 발열선의 비정상 상태로 인해 발열선 제어 장치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 때 경고부가 동작하므로 사용자는 신속하게 발열선 제어 장치의 이상 상태를 판정하여 필요한 후속 조치를 신속히 취하고 발열선 제어 장치의 더 큰 고장을 방지한다.In addition, since the warning section operates when the state of the heating line control device is abnormal due to the abnormality of the temperature sensing section or the heating line using the warning section, the user can quickly determine the abnormality of the heating line control device, quickly take necessary follow- Thereby preventing further failure of the device.
더욱이, 스위칭 동작 시 불꽃의 발생 위험이 있는 릴레이 대신에 트라이악을 이용하여 발열선을 동작시키므로, 불꽃으로 인한 화재나 폭발 위험과 같은 안전 사고의 발생 원인이 제거된다.Furthermore, since the heating wire is operated by using the triac instead of the relay which is likely to generate a flame during the switching operation, the cause of the safety accident such as fire or explosion danger due to flame is eliminat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제어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heating lin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heating lin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do.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ing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제어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First, the structure of a heating wi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제어 장치는 발열선(1)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발열선(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전원(AC)이 공급되는 온도 스위치(SW1), 온도 스위치(SW1)에 연결된 전원부(10), 온도 감지부(20), 전원부(10)와 온도 감지부(20)에 연결된 동작 제어부(30), 동작 제어부(30)와 발열선(1)에 연결된 발열선 구동부(40), 동작 제어부(30)에 연결된 동작 상태 표시부(50), 동작 제어부(30)에 연결된 경고부(60), 그리고 동작 제어부(30)에 연결된 통신부(70)를 구비한다. 1 i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온도 스위치(SW1)는 발열선(1)이 설치되는 배관과 이격되게 보일러실과 같이 발열선(1)이 설치되는 설치실의 주변 온도, 즉, 대기 온도에 따라 동작 상태가 달라져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치로서, 바이메탈 스위치(bimetal switch)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switch SW1 maintains an on or off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installation room where the
따라서, 온도 스위치(SW1)는 주변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한 예로, 설정 온도는 5oC일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설정 온도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Accordingly, the temperature switch SW1 maintains the on stat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and maintains the off stat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exceeds the set temperature. For example, the set temperature may be 5 ° C, but the size of the set temperature can be changed as needed.
온도 스위치(SW1)가 온 상태를 유지하면 온된 온도 스위치(SW1)를 통하여 전원부(10)로 전원(AC)이 공급되고, 온도 스위치(SW1)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면 온도 스위치(SW1)로 공급되는 전원(AC)은 전원부(10)로 인가되지 못하고 온도 스위치(SW1)에 의해 차단되어 발열선 제어 장치의 동작은 중지된다. When the temperature switch SW1 is maintained in the ON state, the power source AC is supplied to the
이러한 온도 스위치(SW1)는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The temperature switch SW1 may be omitted if necessary.
전원부(10)는 온도 스위치SW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AC), 즉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경하는 교류-직류 변환기와 과전류를 차단하는 과전류 차단기(즉, 휴즈(fuse) 등을 구비하고 있고,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온도 제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해당 구성요소로 인가한다. 이로 인해, 온도 제어 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이때, 전원부(10)로 인가되는 전원은 80V~240V이고 50Hz 또는 60Hz의 주파수를 갖는 상전원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wer source applied to the
이러한 온도 스위치(SW1)의 동작에 의해 전원부(10)의 동작 여부가 제어되므로, 설정 온도를 초과할 경우 전원부(10)의 전력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온도 제어 장치의 각 구성요소로의 구동 전압의 인가가 중단되므로, 발열선 제어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서 소비되는 대기 전력의 낭비가 방지되어, 발열선 제어 장치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Since the operation of the
온도 감지부(20)는 발열선(1)이 설치되는 배관에 직접 위치하여,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한 온도의 크기에 해당하는 상태의 온도 감지 신호를 동작 제어부(40)로 출력한다.The
이러한 온도 감지부(20)는 서미스터(thermistor)일 수 있다.The
동작 제어부(30)는 온도 스위치(SW1)의 동작에 의해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어, 온도 감지부(20)에서 인가되는 온도 감지 신호를 읽어, 온도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배관의 온도를 판정한다.The
따라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예, 제3 설정 온도) 이하로 판정되면, 발열선(1)으로의 전원 공급을 실시하여, 발열선(1)의 발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예에서, 발열선(1)의 동작을 위한 설정 온도는 영하 2oC이지만, 이 온도의 크기 역시 주변 환경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for example, the third set temperature), the power supply to the
또한 동작 제어부(30)는 온도 감지부(20)에 의해 판정된 온도에 의해 온도 감지부(20)의 동작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판정한다. The
즉, 온도 감지부(20)에 의해 판정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인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온도 감지부(20)가 단락되거나 단선된 상태로 판정하여 온도 감지부(20)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한다.That is, when the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제1 설정 온도는 온도 감지부(20)의 단락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온도이고 제2 설정 온도는 온도 감지부(20)의 단선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온도이며, 제1 설정 온도와 제2 설정 온도는 서로 상이하다. The first set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for determining the short circuit state of the
발열선 구동부(40)는 트라이악(triac, triode alternating current switch)와 같은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져 있다.The
이때, 발열선 구동부(40)의 제어 단자는 동작 제어부(30)에 연결되고 출력 단자는 발열선(1)에 연결되며 입력 단자는 전원부(10)에서 생성된 구동 전압에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terminal of the heating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온도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제3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발열선 구동부(4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발열선(1)으로 전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열선(1)의 발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이때, 동작 제어부(30)는 온도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발열선 구동부(4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크기[예, 발열선 구동부(40)의 턴온 시간이나 제어 신호인 전압의 크기)를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본 예의 경우, 온도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낮을수록 발열선 구동부(4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켜 발열선(1)에 의한 발열 정도를 증가시켜 발열 온도가 증가하여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as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한 예로서, 발열선 구동부(40)가 트라이악으로 이루어질 경우, 릴레이(relay)로 이루어질 경우에 비해 화재 발생이나 폭발 위험이 방지된다.As an example, when the heating
즉, 릴레이를 이용할 경우, 릴레이의 물리적인 스위칭 접점 동작 시에 불꽃(spark)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발열성 구동부(40)가 설치되는 보일러 등의 장치가 연소 재료가 가스 등과 같이 가연성(可燃性)이 양호한 재료일 경우 적은 양의 불꽃으로도 화재나 폭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when a relay is us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spark occurs in the physical switching contact of the relay. In this case, when a device such as a boiler in which the
하지만, 발열선 구동부(40)를 반도체 소자인 트라이악을 이용할 경우, 이러한 불꽃 발생 가능성이 없으므로, 안전 사고의 발생 위험이 해소된다. 또한, 트라이악을 이용한 위상 제어를 실시하므로 발열선(1)으로의 급격한 전류 흐름이 방지되어 발열선(1)의 수명 역시 증가한다.However, when the heat generating
이러한 발열선 구동부(40)의 동작에 의해 발열선(1)으로 전류가 흐르면 발열선(1)을 흐르는 피드백 전류가 동작 제어부(30)로 인가된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인가되는 피드백 전류를 이용하여 발열선(1)의 상태(즉, 저항값)을 판정하여 발열선(1)의 단선 여부를 판정한다. When a current flows to the
본 예의 경우, 동작 제어부(30)는 발열선(1)을 흐르는 전류를 바로 피드백 전류로 인가받아 발열선(1)의 단선 여부를 판정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발열선(1)에 흐르는 전류를 별도로 감지하는 전류 센서를 발열선(1)에 장착하고, 동작 제어부(30)는 전류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발열선(1)을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발열선(1)의 단선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동작 상태 표시부(50)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The operation
이러한 동작 상태 표시부(50)는 동작 제어부(30)의 동작에 의해 판정된 배관 온도[즉, 온도 감지부(20)에 의해 판정된 온도], 온도 감지부(20)의 상태(즉,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 발열선(1)의 상태(즉, 단선 여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한다.The operation
이러한 동작 상태 표시부(50)는 사용자의 확인이 용이한 장소에 장착된다.The operation
경고부(60)는 온도 감지부(20)나 발열선(1)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 때 사용자에게 비정상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경고등과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buzzer)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통신부(70)는 온도 감지부(20)와 발열선(1)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알려주기위한 것으로서, 동작 제어부(30)에 의해 해당 상태의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거나 또는 필요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장치로서,The
이러한 통신부(70)에 의해 외부에서 발열선 제어 장치의 동작이 제어 가능한다.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wire control apparatus can be controlled externally by the communication unit (70).
통신부(70)는 무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랜(LAN) 또는 초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band)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거나 RS232, RS485, 또는 CAN 통신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e
대안적인 예에서, 통신부(70)는 생략 가능하다.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발열선(1)은 자율온도 제어형 히팅 케이블(Self-Regulating Heating Cable)로 배관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감겨있어, 발생하는 열을 배관으로 전달하여 배관의 동파를 방지한다.The heating line (1) is a self-regulating heating cable that is wound on the surface of the pipe at regular intervals, and transfers the generated heat to the pipe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frozen.
동작 제어부(30)는 제1 내지 제4 설정 온도나 설정 저항값 등과 같이 발열선제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판정된 배관 온도 등과 같은 측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1)와 같은 저장부를 구비한다. 하지만, 저장부(31)는 동작 제어부(3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발열선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heating wire control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먼저, 온도 스위치(SW1)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가 설정 온도(예, 제4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온도 스위치(SW)는 오프 상태를 동작하므로, 전원부(1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Firs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in which the temperature switch SW1 is provided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for example, the fourth set temperature), the temperature switch SW operates in the OFF state, and power supply to the
따라서, 전원부(10)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열선 제어 장치의 각 구성요소(20-70)로의 구동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발열선 제어 장치의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Therefore, since the operation of the
이때, 각 구성 요소(20-70)로 구동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각 구성 요소(20-70)에서 소모되는 대기 전력이 발생하지 않아, 전력 소비가 크게 줄어든다.At this time, since the driving power is not applied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20-70, the standby power consumed by the respective components 20-70 is not generated,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greatly reduced.
하지만, 온도 스위치(SW1)가 온 상태일 경우, 전원부(10)의 동작이 이루어져 발열선 제어 장치는 동작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동작 제어부(30)의 동작 역시 시작된다(S10).However, when the temperature switch SW1 is in the ON state, the operation of the
이처럼, 동작 제어부(30)의 동작이 시작되면, 동작 제어부(30)는 온도 감지부20)에서 출력되는 온도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S11) 발열선(1)이 설치되어 있는 배관의 온도를 판정한다(S12).When the operation of the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30)는 저장부(31)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설정온도를 읽어와 판정된 배관의 온도와 각각 비교한다(S13).Then, the
판정된 배관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동작 제어부(30)는 온도 감지부(20)가 단락 상태 또는 단선 상태와 같이 온도 감지부(20)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한다(S14).When the determined pipe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or lower than the second set temperature, the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0)는 동작 상태 표시부(50)로 해당 신호를 출력하여 온도 감지부(20)의 비정상 상태를 표시하고(S15), 경고부(60)를 구동시켜 온도 감지부(20)의 비정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린다.The
이때, 동작 상태 표시부(50)에 표시되어 동작 감지부(20)의 비정상 상태를 알려주는 내용은 저장부(31)에 이미 저장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operation
따라서, 사용자는 동작 상태 표시부(50)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하고 경고부(60)의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온도 감지부(20)의 비정상 상태를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onfirms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operation
하지만, 단계(S13)에서, 배관 온도가 제1 및 제2 설정 온도에 의해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 동작 제어부(30)는 온도 감지부(20)의 동작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한다(S17).However, when the piping temperature is within the range defined by the first and second set temperatures in step S13, the
그런 다음, 온도 감지부(20)의 온도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되는 배관 온도와 온도 감지부(20)의 동작 상태가 정상 상태임을 알리는 내용을 동작 상태 표시부(50)로 출력한다(S18). Then, the operation
이로 인해, 동작 상태 표시부(50)에는 온도 감지부(20)에 의해 측정된 배관 온도와 온도 감지부(20)가 정상 상태임을 알리는 내용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현재 배관의 온도를 정확하게 용이하게 파악하게 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이미 설명한 것처럼, 온도 감지부(20)의 정상 상태를 알리는 내용 역시 저장부(31)에 저장되어 있다.As already described, the content of the steady state notification of the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30)는 판정된 배관 온도를 제3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배관 온도가 제3 설정 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9).Then, the
판정된 배관 온도가 제3 설정 온도를 초과할 경우, 동작 제어부(30)는 현재 배관의 온도 상태가 동파가 발생할 상태가 아닌 상태로 판정하여 발열선(1)를 구동시킬 상태가 아닌 것을 판정한다.When the determined piping temperature exceeds the third set temperature, the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단계(S11)로 넘어가 온도 감지부(20)에 의해 판정된 배관 온도를 판정하게 된다.Therefore, the
하지만, 판정된 배관 온도가 제3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동작 제어부(30)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발열선(1)의 구동이 필요한 상태로 판단한다.However, when the determined pip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third set temperature, the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판정된 온도에 따른 해당 크기의 제어 신호를 발열선 구동부(40)로 출력하여 발열선 구동부(40)를 동작시킨다(S20).Accordingly, the
이로 인해, 발열선 구동부(40)는 동작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크기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제어 신호의 크기에 비례한 크기의 전류가 발열선(1)으로 흐르도록 하여 발열선(1)의 발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refore, the heating
이때, 동작 제어부(30)에서 발열선 구동부(4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크기는 판정된 배관 온도에 반비례하여 배관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gnitude of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heating wire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30)는 발열선(1)으로부터 인가되는 피드백 신호(예, 피드백 전류)를 판독하여 발열선(1)의 단선 여부를 판정한다(S21, S22).Then, the
따라서, 피드백 신호에 의해 판정된 발열선(1)의 저항값이 설정 저항값 이상일 경우, 동작 제어부(30)는 발열선(1)의 상태를 단선 상태로 판정한다(S22).Therefore,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발열선(1)의 상태가 단선 상태로 판정되면, 동작 제어부(30)는 동작 상태 표시부(50)로 발열선(1)의 단선 상태를 표시하고 경고부(60)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신속하여 발열선(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있다.The
이와 같이, 사용자는 동작 상태 표시부(50)의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온도 감지부(20)와 발열선(40)의 상태가 확인하게 되고 또한 경고부(60)를 통해 출력되는 경고음이나 경고등에 의해 발열선 제어 장치의 고장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한다.In this way, the user can confirm the state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course,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hat follow.
SW1: 온도스위치 1: 발열선
10: 전원부 20: 온도 감지부
30: 동작 제어부 40: 발열선 구동부
50: 동작 상태 표시부 60: 경고부SW1: Temperature switch 1: Heating line
10: power supply unit 20: temperature sensing unit
30: Operation control unit 40: Heating line driving unit
50: operation state display section 60: warning section
Claims (17)
상기 온도 감지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판정된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온도 감지부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판정된 온도가 상기 제1 설정 온도와 상기 제2 설정 온도에 의해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상기 온도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온도가 제3 설정 온도 이하이면 발열선을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 그리고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발열선을 동작시키는 발열선 구동부
를 포함하는 발열선 제어 장치.A temperature sensing part directly installed in a pipe provided with a heating line and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pipe and outputting a temperature sensing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when the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or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cond set temperature, the stat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determined to be in an abnormal state, And when the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lower than the third set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is within the range defined by the first set temperature and the second set temperature, An operation control section for outputting
A heating line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operating the heating lin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전원과 연결되어 있고 대기 온도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 스위치, 그리고
상기 온도 스위치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열선 제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발열선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temperature switch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maintained on or off according to ambient temperature, and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witch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to generate a driving voltag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line control apparatus when the temperature switch is on,
Further comprising:
상기 온도 스위치는 바이메탈 스위치인 발열선 제어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mperature switch is a bimetallic switch.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판정된 온도를 표시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의 비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발열선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status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displaying the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displaying an abnormal stat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발열선의 피드백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발열선의 단락 여부를 판정하는 발열선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reads the feedback signal of the heating line to determine whether the heating line is short-circuited.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판정된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동작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발열선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a warning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operated when the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or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cond set temperature.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열선의 상태가 단락 상태일 때 상기 발열선의 단락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발열선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configured to display a short circuit state of the heating line when the state of the heating line is short-circuited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에 의해 상기 발열선의 상태가 단락 상태일 때 동작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발열선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5,
And a warning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operating w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in a short-circuited state of the heating line.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이루어져 있는 발열선 제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7,
Wherein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compris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상기 경고부는 경고등이나 부저인 발열선 제어 장치.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6 or 8,
Wherein the warning unit is a warning lamp or a buzzer.
상기 발열선 구동부는 제어단자는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출력 단자는 발열선에 연결되어 있으면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트라이악인 발열선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ting line driving unit has a control terminal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heating line, the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driving voltage.
판정된 상기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온도 감지부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온도가 상기 제1 설정 온도와 상기 제2 설정 온도에 의해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 판정된 상기 온도가 제3 설정 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상기 온도가 상기 제3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발열선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발열선을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열선 제어 방법. Reading a signal output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of the piping on which the heating line is mounted,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or lower than the second set temperature,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to be in an abnormal state when the determin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or lower than the second set temperature,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temperature is lower than a third set temperature when the determined temperature is within a range defined by the first set temperature and the second set temperature,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line driving unit to operate the heating line when the determin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third set temperature
And controlling the heating line.
판정된 상기 온도를 동작 상태 표시부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 감지부의 비정상 상태를 동작 상태 표시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열선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Outputting the determined temperature to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the abnormal state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to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상기 온도 감지부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 때 경고부를 동작시켜 상기 온도 감지부의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열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nd operating the warning unit to inform the abnormal stat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when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in an abnormal state.
발열선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발열선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발열선의 상태가 단락 상태일 경우, 발열선의 단락 상태를 동작 상태 표시부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발열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Determining whether the heating line is short-circuited by reading a signal fed back from the heating line, and
Outputting a short-circuit state of the heating wire to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when the heating wire is short-circuit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발열선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발열선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발열선의 상태가 단락 상태일 경우, 경고부를 동작시켜 발열선의 단락 상태를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발열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Determining whether the heating line is short-circuited by reading a signal fed back from the heating line, and
If the state of the heating wire is short-circuited, operating the warning unit to notify the short-circuit state of the heating wir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47803 | 2014-04-22 | ||
| KR20140047803 | 2014-04-22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16747B1 true KR101516747B1 (en) | 2015-05-06 |
Family
ID=5339359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98750A Active KR101516747B1 (en) | 2014-04-22 | 2014-08-0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wi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1674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46243B1 (en) * | 2016-09-22 | 2018-04-06 | 주식회사 지티이 | External environment sensing type power saving snow melting mat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0096967A (en) * | 2002-06-18 | 2003-12-31 | 오영섭 | Generation of heat controler of heating cable |
| KR101030630B1 (en) * | 2011-01-31 | 2011-04-20 | 김광열 | Control system of the heat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freezing of pipes with automatic voltage control |
| KR20120035415A (en) * | 2010-10-05 | 2012-04-16 | 김진 | Anti-freezing device for water pipe |
| KR20140000885A (en) * | 2012-06-26 | 2014-01-06 | 김광열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heating device for rupturing of the water pipe |
-
2014
- 2014-08-01 KR KR1020140098750A patent/KR1015167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0096967A (en) * | 2002-06-18 | 2003-12-31 | 오영섭 | Generation of heat controler of heating cable |
| KR20120035415A (en) * | 2010-10-05 | 2012-04-16 | 김진 | Anti-freezing device for water pipe |
| KR101030630B1 (en) * | 2011-01-31 | 2011-04-20 | 김광열 | Control system of the heat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freezing of pipes with automatic voltage control |
| KR20140000885A (en) * | 2012-06-26 | 2014-01-06 | 김광열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heating device for rupturing of the water pip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46243B1 (en) * | 2016-09-22 | 2018-04-06 | 주식회사 지티이 | External environment sensing type power saving snow melting ma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80988Y1 (en) | Apparatus for monitoring operation state of heat wire | |
| CA2884376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lectricity meter failure | |
| CA2940841C (en) | Thermostat unit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 |
| EP3036588B1 (en) | Improvements to electric heating systems and method of use thereof | |
| KR101607666B1 (en) | A Smart Energy Saving Temperature Controller for Preventing to Freeze and a Smar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 |
| KR100970843B1 (en) | Green consent for adaptively setting power level | |
| KR20170009310A (en) | Sheet type heating element system and heating control methods for power-saving features and safety features | |
| KR10151674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wire | |
| KR10185766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USING IoT COMBINED HEATING WIRE | |
| KR102246639B1 (en) | Multifunctional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 heating appliances | |
| KR102531692B1 (en) | Control apparatus for freeze protection | |
| CN110912838B (en) | Switch with heating function | |
| KR20120120614A (en) | Heating control for ptc heating cord | |
| KR101500550B1 (en) | How to set up power control method for electrical range | |
| JP2009085494A (en) | Freezing prevention system and control device thereof | |
| KR101539990B1 (en) | End lamp apparatus installed in a industrial heating cable system | |
| JP2012246059A (en) | Safety device for water cooler-heater and water purifier | |
| KR102058248B1 (en) | 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 |
| KR102797273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heat wir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 |
| US20170284698A1 (en) | Systems and methods to detect heater malfunction and prevent dry burning | |
| EP3599798A1 (en) | Dimmer and dimmer duty cycle control | |
| KR101402695B1 (en) | Electric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cetric frunace | |
| KR102503351B1 (en) | barn safety device | |
| JP2004092100A (en) | Antifreezing apparatus with alarm | |
| KR200382064Y1 (en) | Power Supply for Automatic Voltage Control Func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