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8174B1 -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 Google Patents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174B1
KR101518174B1 KR1020140062876A KR20140062876A KR101518174B1 KR 101518174 B1 KR101518174 B1 KR 101518174B1 KR 1020140062876 A KR1020140062876 A KR 1020140062876A KR 20140062876 A KR20140062876 A KR 20140062876A KR 101518174 B1 KR101518174 B1 KR 101518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air
backpack
guide rails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선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랙야크
주식회사 동진레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랙야크, 주식회사 동진레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랙야크
Priority to KR1020140062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1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낭을 착용한 상태에서 체형에 맞게 멜빵부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하기 위한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SUSPEND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HAVING BACKPACK AND BACKPACK}
본 발명은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낭을 착용한 상태에서 체형에 맞게 멜빵부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하기 위한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은 물건을 담아서 등에 질 수 있도록 만든 가방으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한쪽 벽을 이루며 착용시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등판과, 상기 등판을 착용자의 몸에 밀착시키는 멜빵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낭은 자신의 체형에 맞게 멜빵부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23200호에는 배낭의 멜빵 위치 조절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조절구는 배낭을 착용한 상태에서 멜빵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23200호(2002.02.1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낭을 착용한 상태에서 체형에 맞게 멜빵부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하기 위한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낭의 후면에 연결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에 연결되며, 그 가이드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한 쌍의 어깨쿠션과, 상,하단부가 상기 배낭에 연결되고, 그 양단부 사이에 상기 어깨쿠션이 고정되는 한 쌍의 어깨끈을 포함하는 멜빵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레일부는, 상,하단부가 상기 배낭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배낭의 후면 양측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낭의 후면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하부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하부가 통과되는 한편, 그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상부를 결속하는 한 쌍의 상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상부고정부는, 각각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 개구된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를 상기 제1고정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어깨쿠션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레일부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고정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가이드레일 간의 이격 폭이 작아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어깨쿠션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상기 가이드판에 양측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어깨쿠션 간의 이격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판은, 양측 상,하부에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상기 가이드판에 고정하는 한편, 그 한 쌍의 가이드부재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양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조절끈; 및 상기 배낭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조절끈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그 조절끈을 결속 또는 결속해제 하는 잠금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연결고리;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는 제2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끈은,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2연결고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뒤, 상기 잠금후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낭을 착용한 상태에서 체형에 맞게 멜빵부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배낭을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한편, 불편한 자세에서 오는 인체의 통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에서 레일부가 고정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에서 멜빵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에서 가이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에서 조절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전,후면을 가지는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이하 "위치조절장치"라 한다)(1)로서, 상기 배낭(100)의 후면에 연결되는 레일부(10),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부(20), 상기 가이드부(20)에 연결되며 그 가이드부(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멜빵부(30) 및 상기 가이드부(2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배낭(100)은 가방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배낭(100)의 후면은 사용자의 등과 대향된다.
상기 레일부(10)는 상,하단부가 상기 배낭(10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배낭(100)의 후면 양측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장치(1)는 상기 배낭(100)의 후면에 재봉 등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레일부(10)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는 상기 배낭(100)의 후면에 재봉 등에 의해 연결되어 그 배낭(100)의 후면을 이루는 한편, 상기 배낭(10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다.
상기 위치조절장치(1)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6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의 하부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고정부(61)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의 상부를 결속하는 한 쌍의 상부고정부(6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고정부(61)는 상기 배낭(100)을 이루는 직물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의 하단부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형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고정부(61)는 상부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이 인입되는 인입구(61a)가 형성되며, 단수로 이루어질 때는 상기 인입구(61a)가 두 개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한 쌍의 상부고정부(62)는 각각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의 하단부가 통과되는 한편, 그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의 상단부를 결속하는 형태를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상부고정부(6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63), 개구된 상기 제1고정부재(63)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2고정부재(64) 및 상기 제2고정부재(64)를 상기 제1고정부재(63)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63)는 양측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에 재봉 등에 의해 고정되면서 베이스플레이트(50)와의 사이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63a)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64)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부재(63)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결속부재(65)는 일반적인 형태의 벨크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고정부재(63,64)에 각각 암,수로 나뉘어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단부가 상기 통공(63a)을 통과하여 상기 인입구(61a)에 인입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64)의 타단부가 회동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64)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멜빵부 위치조절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하부 또는 상기 배낭(100)의 후면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허리쿠션(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리쿠션(70)은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 또는 상기 배낭(100)에 연결되면서 상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허리쿠션(70)은 상기 배낭(100)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등과 접촉되는 후면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쿠션력을 가지며, 전면에 상,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이 통과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71)가 구비되면서 상단부가 상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상기 레일부(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하부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벨트쿠션(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벨트쿠션(80)은 각각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양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배낭(100)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는 형태를 이루면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속된다.
상기 멜빵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20)의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쿠션(31) 및 상기 한 쌍의 어깨쿠션(31)의 길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어깨끈(32)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어깨쿠션(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하 방향을 향하면서 곡선 형태를 이룬다. 즉, 상기 한 쌍의 어깨쿠션(31)은 각각 길이방향의 정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 전면이 상기 가이드부(30)에 고정되고, 타측 후면이 상기 어깨끈(32)에 연결되면서 곡선 형태를 이룬다.
상기 한 쌍의 어깨끈(32)은 각각 상,하단부가 상기 배낭(100)의 후면 상,하측에 연결되며, 그 양단부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어깨쿠션(31)의 타측 후면이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어깨끈(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배낭(100)에 탈착 및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어깨쿠션(31)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1) 및 전,후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21)가 고정되는 가이드판(22)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21)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어깨쿠션(31)의 후면에 고정되며, 후면에 상기 가이드레일(11)이 통과되는 가이드통로(21a)가 형성한다.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부(20)는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레일(11) 간의 이격 폭이 줄어들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은 각각 수직인 상태로부터 상단부가 대향되는 반대 반향으로 기울어져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룬다.
상기 한 쌍의 어깨쿠션(31)은 상기 가이드판(22)에 양측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는, 상기 가이드부(20)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상,하 이동됨에 연동되어 양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어깨쿠션(31) 간의 이격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판(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상,하부에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공(23)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21)를 상기 가이드판(22)에 고정하는 한편, 그 가이드공(23)을 따라 양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고정구(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고정구(24)는 각각 볼트 등을 포함하는 수고정구(24b) 및 너트 등을 포함하는 암고정구(24a)에 의해 체결되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조절장치(1)는 상기 가이드부(20)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상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복수의 고정구(24)가 각각 상기 가이드공(23)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어깨쿠션(31) 간의 이격 폭이 넓어진다.
이와 반대로, 상기 위치조절장치(1)는 상기 가이드부(20)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을 따라 하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복수의 고정구(24)가 각각 상기 가이드공(23)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한 쌍의 어깨쿠션(31) 간의 이격 폭이 줄어든다.
이로 인해, 상기 위치조절장치(1)는 상기 배낭(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20)를 상,하 이동시켜 상기 멜빵부(30)의 적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어깨쿠션(31) 간의 이격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부(40)는 상기 가이드부(20)가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한편, 그 가이드부(20)가 위치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부(10)에 상,하 이동없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20)에 연결되는 조절끈(41), 상기 배낭(100)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조절끈(41)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그 조절끈(41)을 결속 또는 결속해제 하는 잠금후크(42)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40)는 상기 가이드부(2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에 고정되는 제1연결고리(43) 및 상기 가이드판(22)에 연결되는 제2연결고리(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고리(43)는 상기 한 쌍의 어깨쿠션(31) 사이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절끈(41)은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판(22)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2연결고리(43,4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뒤 상기 잠금후크(42)에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잠금후크(42)는 상기 배낭(100)에 고정되는 'ㄷ'자 형태의 지지프레임(45), 상기 지지프레임(45)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복수의 갈퀴(46a)를 구비하는 후크(46)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끈(41)은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45)과 상기 후크(46) 사이로 인입된다.
상기 후크(46)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45) 방향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태를 이루며, 그 절곡된 일단부에 상기 복수의 갈퀴(46a)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46)는 일단부 양측이 상기 지지프레임(45)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지지프레임(45)에 결속된 상태로부터 타단부가 외측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갈퀴(46a)가 상기 조절끈(41)과 이격되면서 결속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46)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45)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갈퀴(46a)가 상기 조절끈(41)과 접하면서 결속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로 인해, 상기 조절부(40)는 상기 조절끈(41)의 타단부를 당김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3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편, 그 조절끈(41)을 놓으면 결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40)는 상기 후크(46)를 상기 지지프레임(45)으로부터 외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가이드부(20)가 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편, 그 후크(46)를 상기 지지프레임(45)에 결속시켜 상기 조절끈(41)의 결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멜빵부 위치조절장치(1)는 상기 배낭(100)을 맨 상태에서 체형에 맞게 등판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위치조절장치 10 : 레일부
11 : 가이드레일 20 : 가이드부
21 : 가이드부재 22 : 가이드판
23 : 가이드공 24 : 고정구
30 : 멜빵부 31 : 어깨쿠션
40 : 조절부 41 : 조절끈
42 : 잠금후크 43 : 제1연결고리
44 : 제2연결고리 45 : 지지프레임
46 : 후크 50 : 베이스플레이트
60 : 고정부 61 : 하부고정부
62 : 상부고정부 63 : 제1고정부재
64 : 제2고정부재 70 : 허리쿠션
80 : 벨트쿠션 100 : 배낭

Claims (11)

  1. 상,하단부가 배낭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배낭의 후면 양측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에 연결되며, 그 가이드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한 쌍의 어깨쿠션과, 상,하단부가 상기 배낭에 연결되고, 그 양단부 사이에 상기 어깨쿠션이 고정되는 한 쌍의 어깨끈을 포함하는 멜빵부;
    상기 가이드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배낭의 후면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하부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하부가 통과되는 한편, 그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상부를 결속하는 한 쌍의 상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고정부는,
    각각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
    개구된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를 상기 제1고정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어깨쿠션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레일부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고정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가이드레일 간의 이격 폭이 작아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어깨쿠션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상기 가이드판에 양측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어깨쿠션 간의 이격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양측 상,하부에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상기 가이드판에 고정하는 한편, 그 한 쌍의 가이드부재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양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조절끈; 및
    상기 배낭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조절끈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그 조절끈을 결속 또는 결속해제 하는 잠금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연결고리;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는 제2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끈은,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2연결고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뒤, 상기 잠금후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11. 제 1항,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KR1020140062876A 2014-05-26 2014-05-26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Active KR101518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876A KR101518174B1 (ko) 2014-05-26 2014-05-26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876A KR101518174B1 (ko) 2014-05-26 2014-05-26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174B1 true KR101518174B1 (ko) 2015-05-18

Family

ID=5339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876A Active KR101518174B1 (ko) 2014-05-26 2014-05-26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1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72112A1 (de) * 2017-03-08 2018-09-12 Deuter Sport GmbH Rucksack mit stufenloser rückenlängenverstellung
CN109700162A (zh) * 2017-10-26 2019-05-03 萨洛蒙股份有限公司 胸带
CN110678105A (zh) * 2017-02-08 2020-01-10 诺思费斯服装公司 用于背包的负荷调节系统
KR102342208B1 (ko) * 2021-07-01 2021-12-30 유태환 배낭
KR102380967B1 (ko) * 2021-08-31 2022-04-01 유태환 배낭
KR102384461B1 (ko) * 2021-07-21 2022-04-08 유태환 배낭
WO2023277288A1 (ko) * 2021-07-01 2023-01-05 유 싸이몬 에스 배낭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2764A2 (en) * 1983-04-15 1984-10-24 Karrimor International Limited A rucksack
KR19980034831A (ko) * 1996-11-09 1998-08-05 심수봉 배낭의 밀착 착용 조절방법 및 그 장치
US5971244A (en) * 1996-07-30 1999-10-26 Big Pack Gmbh Backpack
JP3025190B2 (ja) * 1996-03-06 2000-03-27 リーダー電子株式会社 電界強度を測定収集する方法
JP3099920B2 (ja) * 1992-05-12 2000-10-16 日本電気株式会社 平行平板型反応性イオンエッチング装置
JP2002191433A (ja) * 2000-12-26 2002-07-09 Mizuno Corp リュックザック
JP2005532844A (ja) * 2002-03-15 2005-11-04 ラフューマ・ソシエテ・アノニム リュックサックを背負う位置を調整する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2764A2 (en) * 1983-04-15 1984-10-24 Karrimor International Limited A rucksack
JP3099920B2 (ja) * 1992-05-12 2000-10-16 日本電気株式会社 平行平板型反応性イオンエッチング装置
JP3025190B2 (ja) * 1996-03-06 2000-03-27 リーダー電子株式会社 電界強度を測定収集する方法
US5971244A (en) * 1996-07-30 1999-10-26 Big Pack Gmbh Backpack
KR19980034831A (ko) * 1996-11-09 1998-08-05 심수봉 배낭의 밀착 착용 조절방법 및 그 장치
JP2002191433A (ja) * 2000-12-26 2002-07-09 Mizuno Corp リュックザック
JP2005532844A (ja) * 2002-03-15 2005-11-04 ラフューマ・ソシエテ・アノニム リュックサックを背負う位置を調整する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8105A (zh) * 2017-02-08 2020-01-10 诺思费斯服装公司 用于背包的负荷调节系统
CN110678105B (zh) * 2017-02-08 2022-07-19 诺思费斯服装公司 用于背包的负荷调节系统
EP3372112A1 (de) * 2017-03-08 2018-09-12 Deuter Sport GmbH Rucksack mit stufenloser rückenlängenverstellung
US10694833B2 (en) 2017-03-08 2020-06-30 Deuter Sport Gmbh Rucksack with continuous back length adjustment
CN109700162A (zh) * 2017-10-26 2019-05-03 萨洛蒙股份有限公司 胸带
KR102342208B1 (ko) * 2021-07-01 2021-12-30 유태환 배낭
WO2023277288A1 (ko) * 2021-07-01 2023-01-05 유 싸이몬 에스 배낭
KR102384461B1 (ko) * 2021-07-21 2022-04-08 유태환 배낭
KR102380967B1 (ko) * 2021-08-31 2022-04-01 유태환 배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174B1 (ko)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JP7150985B2 (ja) ベビーキャリア
US8556840B2 (en) Hyperextension brace
US20190350379A1 (en) Adjustable child carrier
US9596947B2 (en) Hip seat carrier set
CA2505570C (en) A child harness
KR101525044B1 (ko) 어깨 착용식 의료용 팔걸이
JP2001137082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9987159B2 (en) Back supporter
CN102497796A (zh) 用于婴儿或小孩的背负装置
CN110678105B (zh) 用于背包的负荷调节系统
KR20140109934A (ko) 보조기 및 보조기 설치 방법
WO2019164434A1 (en) Baby carrier
RU2759643C2 (ru)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ладенцев или маленьких детей
TW201735838A (zh) 嬰兒攜行器
KR20140050139A (ko) 유아용 캐리어
US20140263498A1 (en) Backpack carrier strap system
NL2014948B1 (en) Sling type child carrier.
KR200484108Y1 (ko) 아기띠
US9132357B2 (en) Belt seat swing safety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TWI896429B (zh) 嬰兒背帶
KR20040020319A (ko) 아기띠
KR200297777Y1 (ko) 아기띠
JP2015192705A (ja) ベビースリング
JP2025063720A (ja) 動物用歩行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