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601B1 - Seats multi-step system - Google Patents
Seats multi-step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0601B1 KR101510601B1 KR1020140161068A KR20140161068A KR101510601B1 KR 101510601 B1 KR101510601 B1 KR 101510601B1 KR 1020140161068 A KR1020140161068 A KR 1020140161068A KR 20140161068 A KR20140161068 A KR 20140161068A KR 101510601 B1 KR101510601 B1 KR 1015106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ge
- contact
- spectacle
- grandstand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1699 lower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04H3/126—Foldable, retractable or tiltable tribun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4—Separate chairs, connectible together into a ro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6—Seats detachably mounted on stadium bench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05—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separate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은, 제1 관람석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을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관람석 수납 장치를 구비하는 제1 관람석단; 및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관람석단의 하단 관람석단이 되는 제2 관람석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상기 제1 관람석단의 하측에 은닉되도록 위치 이동되며,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는, 상기 제2 관람석단의 위치 이동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관람석을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수납위치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multi-stage bleac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eacher unit connected to a first bleacher and having a bleacher storage device for rotating the first bleacher from a use position to a storage position; And a second spectacle stage located at a front of the first spectacle stage and serving as a lower spectacle stage of the first spectacle stage, wherein the second spectacle stage is positioned and positioned to be hidden below the first spectacle stage, And the bleacher storage device is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grandstand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by the pressing force by the position change of the second viewstand st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람석 다단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관람석을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ndstand multi-stag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ndstand multi-stage system that allows a grandstand to be changed from a use position to a storage position by a simple method.
일반적으로, 접철식 관람석은 복수의 관람석단이 출몰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관람석을 의미한다.Generally, a folding type grandstand means a grandstand which is mount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grandstand stages can be viewed and retracted.
접철식 관람석은 주로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관람석단이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수많은 사람들이 다단으로 앉을 수 있는 좌석을 확보하게 해준다.It is used mainly for gymnasium, auditorium, various theaters and venu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pace, and seats are taken out sequentially so that a large number of seats can be seated.
또한, 접철식 관람석은 관람석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공간을 넓힐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운반이 필요한 경우 복수의 관람석단이 적층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folding type grandstand is not required to be used as a grandstand, it may be changed to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grandstand stages are laminated when it is necessary to widen the space, or when transportation is required.
여기서, 복수의 관람석단이 적층된 상태로 변경되기 위해서는 접철식 관람석이 접철된 후 눕혀진 상태로 변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관람석 회동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Here, in order to change the state of a plurality of gorgeous stone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ate of the gorgeous gorgeous stools after they are folded and folded.
종래의 관람석 회동 장치는 복수의 관람석단이 적층된 상태로 변경되기 이전에 관람석마다 일일이 수작업으로 동작시켜 관람석을 눕혀진 상태로 변경시키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 등에 의해 자동으로 눕혀진 상태로 변경시킨다.Conventionally, the grandstand rotation device is manually operated for each grandstand before the plurality of grandstand stages are changed to a stacked state, and the grandstand is changed to a lying state or is automatically changed to a state where the grandstand is automatically laid down by a motor or the like .
그러나, 종래의 수작업으로 동작시키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동시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으며, 전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구현하는 방법은 별도의 전기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operating by hand does not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and takes a long time, and a method of automatically implementing using electricity is complicated in that a separate electric device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관람석단을 수납하는 경우 간단한 방법에 의해 복수의 관람석을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작업 시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ndstand multi-stage system which maximizes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time by rotating a plurality of grandstand seats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by a simple method when a plurality of grandstand stages are accommod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은, 제1 관람석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을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관람석 수납 장치를 구비하는 제1 관람석단; 및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관람석단의 하단 관람석단이 되는 제2 관람석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상기 제1 관람석단의 하측에 은닉되도록 위치 이동되며,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는, 상기 제2 관람석단의 위치 이동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관람석을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수납위치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multi-stage bleac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eacher unit connected to a first bleacher and having a bleacher storage device for rotating the first bleacher from a use position to a storage position; And a second spectacle stage located at a front of the first spectacle stage and serving as a lower spectacle stage of the first spectacle stage, wherein the second spectacle stage is positioned and positioned to be hidden below the first spectacle stage, And the bleacher storage device is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grandstand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by the pressing force by the position change of the second viewstand st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제1 관람석단은,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가 장착되는 제1 선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제2 관람석이 배치되는 제2 선반부 및 상기 제2 선반부가 상기 제1 선반부의 하측에 은닉되도록 위치 이동하는 경우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와의 접촉에 의한 상기 가압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선반부와 연결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spectacle stage of the spectacle multi-st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pectacle stage to which the spectacle storage device is mounted, and the second spectacle stage includes a second spectacle stage, And a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shelf part so as to provide the pressing force by contact with the floatage storage device when the second shelf part is moved to be hidden below the first shelf part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와 접촉에 의해 회전하는 가압롤러부 및 상기 가압롤러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2 선반부와 연결되는 가압롤러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ssurizing portion of the multi-stage blea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izing roller portion that rotates by contact with the gaiter storage device and a pressurizing roller support portion that rotatably supports the pressurizing roller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helf portion,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제1 관람석단은, 상기 제1 선반부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선반부의 위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상기 경로제공부의 일면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가 상기 경로제공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경로제공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viewstand of the multi-stage tapest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h providing unit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lf unit to provide a path for moving the second shelf unit, A guide roller portion rotating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ath providing portion and a release preventing portio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ath providing portion to prevent the guide roll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th provid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제1 관람석단은,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가 장착되는 제1 선반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는, 상기 제1 선반부에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제1 고정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 관람석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제2 고정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 지지부;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제1 지지부에 장착된 제1 가변회전축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장착된 제2 가변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를 상기 제2 고정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가변회전축 및 상기 제2 가변회전축을 각각 상기 제1 고정회전축 및 상기 제2 고정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관람석을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수납위치로 회전되도록 하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spectacle stage of the spectacle multi-stag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helf unit to which the spectacle-deposit unit is mounted, and the spectacle-storage unit includes a frame mounted on the first shelf unit; A first support portion mount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a first fixed rotation axis mounted on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first viewstand to support the first viewstand; A second support portion mount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a second fixed rotation axis mounted on the frame; A connecting portion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a first variable rotation shaft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variable rotation shaft mount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mounted on the frame so as to be movable in posi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portion by the urging force so that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ed rotation axis, And rotating the first grandstand to rotate from the used position to the stored position by rotating the first grandstand on each of the first fixed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fixed rotation ax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관람석단의 위치 이동에 상기 제2 관람석단과 접촉되어 자세가 변환되는 자세변환부, 상기 자세변환부의 자세 변환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되는 접촉부 및 상기 자세변환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여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매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sition shifting unit of the grandstand multi-st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ttitude conversion unit tha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pectator sea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cond viewstand, A contact portion that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n intermediate portion that connects the posture changing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매개부는, 상기 자세변환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자세변환부는,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2 지지부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 되도록 상기 제2 관람석단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매개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diating part of the grandstand multi-st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sture changing part, and the posture changing par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art between the second viewstand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is rotated by the contact to move the intermediat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매개부는, 상기 자세변환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diating part of the multi-stage bleac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posture chang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매개부는, 와이어이고,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선반부에 장착되어 상기 자세변환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매개부가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자세변환부의 회전 시 상기 매개부의 굴곡을 가이드 하는 굴곡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ulti-stage bleach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 and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includes a rotation support portion mounted on the first shelf portion and supporting rotation of the posture changing portion, And a bending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bending of the intermediate portion when the posture changing portion rotates by allowing the intermediate portion to pass therethroug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자세변환부는, 상기 제2 관람석단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2 지지부와 접촉된 채 상기 제2 고정회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sture changing unit of the grandstand multi-st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by the contact with the second viewer seat so that the contact uni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ed rotation unit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unit . ≪ / RTI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가변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2 가변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sition shifting unit of the grandstand multi-st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variable rotation shaft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variable rotation shaft are opposit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위치이동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접촉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of the multi-stage blea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act piece for rotating based on the second fixed rotation axis by the contact of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접촉편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접촉편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of the multi-stage bleacher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ss the contact piece downward to rotate the contact pie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이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수납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 속도를 저감시키는 속도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and a frame connected to the frame to rotate at a speed lowering the rotation speed when the first bleacher is rotated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receiving position And a reduction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는, 상기 제2 고정회전축에 삽입되고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이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수납위치로 회전하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bleacher storage device of the multi-stage bleache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eacher storage devic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ed rotation shaft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ing part and the frame, And an elastic part elastically deformed when rotated to the receiving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관람석단을 수납하는 경우 간단한 방법에 의해 복수의 관람석을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leacher multi-st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viewstep stages are accommodated, a plurality of bleachers can be rotated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by a simple method.
또한, 관람석단의 수납과 관람석의 회전을 동시에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provided by simultaneously implementing the reception of the stage and the rotation of the grandstand.
또한, 동일한 관람석단에 배치되는 관람석을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rotate the grandstand disposed at the same view stand, so that the working time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이 수납된 상태로 변경된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에 제공되는 관람석 수납 장치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에 제공되는 관람석 수납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stage blea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
FIGS. 3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multi-stage bleach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 and 6 (b)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rtillery storage device; FIG.
1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grandstand storage device provided in a grandstand multi-st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이 수납된 상태로 변경된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stage viewst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multi-stage viewst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10)은 체육관, 각종 공연장 또는 행사장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복수의 관람석단이 다단 형식으로 구현되어 의자로서의 기능이 구현되도록 하고, 관람석의 기능을 구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즉, 운반이 필요한 경우 또는 공간을 넓힐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는 복수의 관람석단이 적층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는 구조시스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grandstand
이하에서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10)이 의자로서의 기능이 구현되는 상태를 사용상태라 정의하고, 적층되어 의자로서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를 비사용상태라 정의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tate in which the function of a chair
각 단의 관람석단(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람석(S)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관람석(S)의 좌판(1) 및 등판(2)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one grandstand S may be provided at each stage of the
다시 말하면, 복수의 관람석단(5)이 다단 형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각 관람석(S)의 좌판(1)은 등판(2)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배치되어 의자로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관람석단(5)이 적층된 상태로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각 관람석(S)의 좌판(1) 및 등판(2)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되어 서로 거의 평행한 상태(접혀진 상태)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 plurality of
한편, 복수의 관람석단(5)이 적층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각 단에 배치되는 관람석(S)은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석(S)이 의자로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립된 상태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수납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석(S)이 의자로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없도록 하는 도복된 상태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다만, 상기 사용위치는 반드시 관람석(S)이 의자로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좌판(1)과 등판(2)이 펼쳐진 상태의 위치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좌판(1)과 등판(2)이 접혀진 상태로 기립된 상태의 위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However, the use position does not necessarily mean only the position in which the seat (1) and the back plate (2) are unfolded in order to realize the function of the chair seat (S) And may stand for a standing position.
특정 단의 관람석단(5)에 배치되는 관람석(S)의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의 회전은 관람석 수납 장치(600)와 하단에 배치되는 관람석단(5)의 상호작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The rotation from the use position of the grandstand S disposed in the
도 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a) 및 도 6(b)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에 제공되는 관람석 수납 장치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3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multi-stage bleach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 and 6 (b)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bleacher storage device provided in the system. Fig.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이 의자로서의 기능이 구현되는 상태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최하단의 관람석단의 관람석이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최하단의 관람석단이 바로 상단의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위치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 내지 도 14는 최하단의 관람석단의 위치 이동에 의해 바로 상단의 관람석단에 구비되는 관람석이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3 and Fig. 5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in which a function as a chair is implemented in a multi-stage bleach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nd Fig. 8 are views showing the use of a bleacher Position to the receiving posi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orstand at the lowermost stage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stage at the top of the upper stage. Figs. 11 to 14 show the state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andstand provided at a viewing stand is rotated from a use position to a storage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10)은 관람석 수납 장치(600)를 구비하는 관람석단이 복수의 단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상태(도 1 참조)와 비사용상태(도 2 참조)가 서로 구분될 있다.The
상기 관람석 다단 시스템(10)은 사용상태에서 비사용상태로 전환이 필요한 경우 특정 단의 관람석단이 바로 상단의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은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최종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boulevard
여기서, 특정 단의 관람석단이 바로 상단의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상단의 관람석단에 배치되는 관람석은 상기 특정 단의 관람석단에 의해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관람석단의 은닉과 관람석의 회전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tage of a particular stage is slid to the lower side of the stage of the spectacle immediately above, the stage of the grandstand disposed at the stage of the stage of the upper stage can be rotated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receiving position by the staging stage of the stage, The concealment of the stage and the rotation of the seats can be realized at the same tim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원리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5단의 관람석 다단 시스템(10)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두번째 단의 관람석단을 제1 관람석단(100)이라 정의하며, 최하단의 관람석단을 제2 관람석단(200)이라 정의한다.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a five-
본 발명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10)은 사용상태에서 비사용상태로의 전환시 상기 제1 관람석단(100)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제2 관람석단(200)은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제1 관람석단(100)의 하측에 은닉될 수 있으며, 은닉되는 도중 제1 관람석단(100)에 배치된 제1 관람석(S1)은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In the
그리고, 제1 관람석단(100)이 세번째 단의 관람석단의 하측으로 은닉되는 도중 상기 세번째 관람석단에 배치되는 관람석은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될 수 있으며, 네번째 단의 관람석단 및 최상단의 관람석단에 배치되는 관람석도 동일한 원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The grandstand disposed at the third grandstand stage while the
여기서, 모든 단의 관람석단(100, 200)은 관람석 수납 장치(6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최하단인 제2 관람석단(200)에 배치되는 제2 관람석(S2)은 상기 제2 관람석단(200)에 은닉되는 관람석단이 없는 관계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단의 관람석단의 위치 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제2 관람석단(200)에 포함되는 관람석 수납 장치(600)에 직접적인 외력을 인가하여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pectators '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관람석단(100)은 두번째 단의 관람석단으로 제1 선반부(110), 상기 제1 선반부(110)에 장착되는 관람석 수납 장치(600) 및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60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관람석(S1)을 포함할 수 있다.3 to 6, the
그리고, 제2 관람석단(200)은 최하단의 관람석단으로 제2 선반부(210) 및 상기 제2 선반부(210)가 상기 제1 선반부(110)의 하측에 은닉되도록 위치 이동하는 경우 제1 선반부(110)에 장착되는 관람석 수납 장치(600)와의 접촉되어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600)에 가압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선반부와 연결되는 가압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600)는 상기 제2 관람석단(200)의 상기 제1 관람석단(100)의 하측으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관람석(S1)을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610), 제1 지지부(620), 제2 지지부(630), 연결부(640) 및 위치이동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프레임(610)은 제1 선반부(110)에 장착되고 외관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제1 지지부(620)는 상기 프레임(610)에 장착된 채 제1 고정회전축(60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관람석(S1)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S1)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제2 지지부(630)는 상기 프레임(610)에 장착된 제2 고정회전축(604)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며, 연결부(640)는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제1 지지부(620)에 장착된 제1 가변회전축(606) 및 상기 제2 지지부(630)에 장착된 제2 가변회전축(608)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 지지부(620)와 상기 제2 지지부(63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상기 위치이동부(650)는 상기 프레임(610) 상에서 상기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630)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630)를 상기 제2 고정회전축(604)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가변회전축(606) 및 상기 제2 가변회전축(608)을 각각 상기 제1 고정회전축(602) 및 상기 제2 고정회전축(604)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관람석(S1)을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수납위치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상기 위치이동부(650)는 제1 가변회전축(606)의 회전 방향(Y1)과 제2 가변회전축(608)의 회전 방향(Y2)을 서로 반대가 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630)의 접촉편(632)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The
상기 접촉편(632)은 상기 제2 지지부(630)의 일측과 대응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위치이동부(650)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 지지부(630)를 상기 제2 고정회전축(604)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위치이동부(650)와 접촉되는 상기 접촉편(632)의 일면은 상기 위치이동부(650)의 접촉부(652)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이동부(650)는 일종의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상기 제1 관람석(S1)이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되는 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력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부(650)의 접촉부(652)는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접촉부(652)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접촉편(632)은 제2 고정회전축(604)을 기준으로 제1 방향(Y1)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상기 접촉편(632)의 상기 제1 방향(Y1)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630)는 제2 고정회전축(604)을 기준으로 제1 방향(Y1)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가변회전축(608)도 제1 방향(Y1)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2 가변회전축(608)의 제1 방향(Y1)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1 가변회전축(606)은 제1 고정회전축(602)을 기준으로 제2 방향(Y2)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 가변회전축(606)의 제2 방향(Y2)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1 지지부(620)는 제1 고정회전축(602)을 기준으로 제2 방향(Y2)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first
상기 제1 지지부(620)의 제2 방향(Y2)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1 관람석(S1)은 기립된 상태인 사용위치에서 도복된 상태인 수납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The rotation of the
한편,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600)는 제1 지지부(620)와 프레임(6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S1)이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 속도를 저감시키는 속도저감부(6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속도저감부(660)는 일예로 가스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 등일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속도저감부(660)로 인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 관람석(S1)이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하는 경우 충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 등을 최대화할 수 있다.Therefore, due to the
그리고,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600)는 제2 고정회전축(604)에 삽입되고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제2 지지부(630) 및 프레임(6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S1)이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하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E)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탄성부(E)는 일종의 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관람석(S1)이 수납위치로 회전된 후 다시 사용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도복된 상태에서 기립된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E may be a kind of coil spring. When the first grandstand S1 rotates to the used position and then rotates to the used position, the elastic part E is raised from the covered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deformation Can be changed.
프레임(610)의 전면에는 완충부(69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690)는 상기 제1 관람석(S1)이 도복된 상태인 수납위치에서 기립된 상태인 사용위치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지지부(620)와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일종의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1 관람석(S1)을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되게 하는 위치이동부(650)에 의한 가압력은 제2 관람석단(200)이 제1 관람석단(100)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은닉되는 과정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이동부(650)는 자세변환부(656), 접촉부(652) 및 매개부(654)를 구비할 수 있다.9 to 14, the pushing force by the
자세변환부(656)는 제2 관람석단(200)의 위치 이동, 즉, 제1 관람석단(100)의 하측으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제2 관람석단(200)과 접촉되어 자세가 변환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652)는 상기 자세변환부(656)의 자세 변환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630)의 접촉편(632)과 접촉된 채 위치 이동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매개부(654)는 프레임(610)의 외측에서 상기 자세변환부(656)와 상기 접촉부(652)를 서로 연결하여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레임(610)의 내부에서 상기 접촉부(652)와 연결되어도 무방하다.The
상기 접촉부(6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매개부(654)는 상기 자세변환부(656)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자세변환부(656)는 상기 접촉부(652)를 상기 제2 지지부(630)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 즉, 상기 제2 고정회전축(604)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2 관람석단(200)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매개부(654)를 위치 이동 시킬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매개부(654)는 일종의 와이어로 제1 선반부(110)를 통과하여 자세변환부(656)와 접촉부(652)를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자세변환부(656)는 상기 제1 선반부(110)의 저면에 장착된 회전지지부(670)에 의해 회전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매개부(654)는 상기 회전지지부(670)에 장착되는 굴곡가이드(680)에 의해 굴곡이 가이드될 수 있다.Here, the
상기 굴곡가이드부(680)는 상기 매개부(654)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매개부(654)가 통과되도록 상기 회전지지부(67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세변환부(656)의 회전 시 상기 매개부(654)의 굴곡을 가이드하여 자세변환부(656)의 회전을 상기 접촉부(652)의 접촉편(632)에 대한 가압력으로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The bending
한편, 제2 관람석단(200)이 제1 관람석단(100)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상기 위치이동부(650)의 자세변환부(656)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부분은 가압부(220)일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220)는 제2 선반부(210)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가압롤러지지부(224) 및 상기 가압롤러지지부(224)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자세변환부(656)에 접촉에 의해 회전하는 가압롤러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The portion that provides the pressing force to the
다시 말하면, 상기 가압롤러지지부(224)는 상기 가압롤러부(2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롤러부(222)는 상기 제2 관람석단(200)이 상기 제1 관람석단(100)의 하측으로 위치 이동하는 중에 상기 자세변환부(656)와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surizing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10)은 사용상태에서 비사용상태로 변경하려는 경우, 제2 관람석단(200)의 제2 관람석(S2)을 수납위치로 변경한 후 제1 관람석단(100)의 하측으로 위치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제2 관람석단(2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부(220)의 위치 이동에 의한 자세변환부(656)와의 접촉에 의해 접촉부(652)가 접촉편(632)을 하측으로 가압되어 제1 관람석(S1)은 자동으로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changing the use of the gorgeous
즉, 본 발명은 제1 관람석(S1)의 회전을 제2 관람석단(2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여 작업이 간소화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first grandstand (S1) is realized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viewstand (200), so that the work is simplifi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같은 원리로, 세번째단 관람석단의 관람석은 제1 관람석단(1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될 수 있으며, 네번재단 및 최후단 관람석단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With the same principle, the grandstand of the third stage can be rotated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by the movement of the
한편, 상기 제2 관람석단(200)이 상기 제1 관람석단(100)의 하측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관람석단(200)은 제1 관람석단(100)에 구비되는 경로제공부(112)와 제2 관람석단(200)에 배치되는 가이드롤러부(212) 및 이탈방지부(214)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이드 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경로제공부(112)는 제1 선반부(110)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선반부(120)의 위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선반부(120)의 위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부(212)는 경로제공부(112)의 일면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일종의 롤러일 수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214)는 상기 가이드롤러부(212)가 상기 경로제공부(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경로제공부(112)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제2 선반부(210)는 상기 제1 선반부(110)의 하측으로 위치 이동될 때 상기 이탈방지부(214)가 상기 경로제공부(112)를 따라 이동되게 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롤러부(212)가 상기 경로제공부(112)와 접촉된 채 회전하게 되어 안정적이면서도 부드러운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한편, 제1 관람석단(100)에는 복수의 제1 관람석(S1)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제1 관람석(S1)마다 관람석 수납 장치(600)가 연결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제1 관람석(S1)의 일부에만 관람석 수납 장치(600)가 연결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first floorstanders S1 may be disposed on the
다시 말하면, 제1 관람석단(100)에 포함되는 관람석 수납 장치(600)의 수는 제1 관람석(S1)의 수와 동일하거나 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관람석단(100)의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600)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관람석 수납 장치(600)에 제공되는 접촉부(652)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number of the
그리고, 상기 접촉부(652)에 연결되는 매개부(654) 및 자세변환부(656)는 단일개 또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단일개인 경우 제2 관람석단(200)에 구비되는 가압부(220)도 단일개 일 수 있으며, 복수의 경우 제2 관람석단(200)에 구비되는 가압부(220)도 대응되도록 복수개일 수 있다.A single or a plurality of
여기서, 상기 제1 관람석단(100)의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600)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관람석 수납 장치(600)에 제공되는 접촉부(652)도 대응되도록 복수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매개부(654) 및 자세변환부(656)도 대응되도록 복수개이어야 할 것이다.Here, in the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한편, 관람석 수납 장치(600)에 있어서, 제1 지지부(620), 제2 지지부(630), 연결부(640)는 제1 고정회전축(602), 제2 고정회전축(604), 제1 가변회전축(606) 및 제2 가변회전축(608)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후 상기 회전축 자체가 회전되어도 무방하다.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에 제공되는 관람석 수납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grandstand storage device provided in the grandstand multi-stag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10)은 위치이동부(650)의 매개부(654')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다단 시스템(10)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매개부(654')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5, the bleacher
상기 매개부(654')는 예를 들어 제1 관람석단(100)에 구비되는 관람석 수납 장치(600)의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자세변환부(65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종의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ediating unit 654 'may be a component of the
상기 매개부(654)는 상기 제1 관람석단(100)의 하단인 제2 관람석단(200)이 상기 제1 관람석단(100)의 하측으로 위치 이동됨으로 인하여 회전 이동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관람석단(200)이 상기 제1 관람석단(100)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위치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 관람석단(200)의 가압부(220)는 자세변환부(656)와 접촉되어 상기 자세변환부(656)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매개부(654)는 상기 자세변환부(656)의 회전에 의해 회전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The pushing
상기 자세변환부(65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매개부(654)가 회전 이동되면, 접촉부(652)의 하측 방향으로 제2 지지부(630)를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1 관람석(S1)는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회전 이동 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관람석 다단 시스템
100: 제1 관람석단
110: 제1 선반부
200: 제2 관람석단
220: 가압부
600: 관람석 수납 장치
610: 프레임
620: 제1 지지부
630: 제2 지지부
640: 연결부10: Grandstand system
100: 1st exhibition hall stage
110: first shelf
200: The second exhibition hall
220:
600: Living room storage
610: Frame
620:
630:
640:
Claims (15)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관람석단의 하단 관람석단이 되는 제2 관람석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상기 제1 관람석단의 하측에 은닉되도록 위치 이동되며,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는, 상기 제2 관람석단의 위치 이동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관람석을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수납위치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관람석단은,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가 장착되는 제1 선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제2 관람석이 배치되는 제2 선반부 및 상기 제2 선반부가 상기 제1 선반부의 하측에 은닉되도록 위치 이동하는 경우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와의 접촉에 의한 상기 가압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선반부와 연결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선반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는 가압롤러부 및 상기 가압롤러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2 선반부와 연결되는 가압롤러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A first spectacle-ston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spectacles and having a spectacle-taking device for rotating the first spectacles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receiving position; And
And a second spectacle stage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spectacle stage and serving as a lower spectacle stage of the first spectacle stage,
The second viewstand stage is positioned so as to be hidden below the first viewstand stage,
Wherein the gaiter storage device causes the first grandstand to be rotated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by the pressing force by the position of the second viewstand,
Wherein the first spectacle stage has a first shelf on which the spectacle storage device is mounted,
Wherein the second spectacle stage is provided so that the pressing force by the contact with the gypsum storage device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second spectacle stage is moved such that the second shelf par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helf part And a press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helf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 pressing roller portion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elf portion and rotated by contact with the gaiter storage device and a pressing roller portion rotatably supporting the pressing roller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helf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multi-stage bleacher.
상기 제1 관람석단은, 상기 제1 선반부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선반부의 위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관람석단은, 상기 경로제공부의 일면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가 상기 경로제공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경로제공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viewstand comprises a path providing unit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lf unit to provide a path for moving the second shelf unit,
And the second viewstand includes a guide roller portion that rotate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ath providing portion and a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ath providing portion to prevent the guide roll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th providing portion A multi-stage bleacher system.
상기 제1 관람석단은,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가 장착되는 제1 선반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람석 수납 장치는,
상기 제1 선반부에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제1 고정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 관람석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제2 고정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 지지부;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제1 지지부에 장착된 제1 가변회전축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장착된 제2 가변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를 상기 제2 고정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가변회전축 및 상기 제2 가변회전축을 각각 상기 제1 고정회전축 및 상기 제2 고정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관람석을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수납위치로 회전되도록 하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pectacle stage has a first shelf on which the spectacle storage device is mounted,
The bleacher storage device comprises:
A frame mounted on the first shelf;
A first support portion mount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a first fixed rotation axis mounted on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first viewstand to support the first viewstand;
A second support portion mount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a second fixed rotation axis mounted on the frame;
A connecting portion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a first variable rotation shaft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variable rotation shaft mount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being mounted on the frame so as to be movable in posi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portion by the urging force so that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rotated on the basis of the second fixed rotation axis, and the first variable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variable rotation shaft And a position shifting unit for rotating the grandstand to rotate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by being rotated about the first fixed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fixed rotation axis, respectively.
상기 제2 관람석단의 위치 이동에 상기 제2 관람석단과 접촉되어 자세가 변환되는 자세변환부, 상기 자세변환부의 자세 변환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되는 접촉부 및 상기 자세변환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여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매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 posture changing unit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pectacle-stone stag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cond spectacle-stone stage, a contact unit which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unit by posture change of the posture changing unit, And an intermediate portion connecting the contact portions and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상기 매개부는, 상기 자세변환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자세변환부는,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2 지지부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 되도록 상기 제2 관람석단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매개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ediating par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ttitude converting part,
Wherein the posture changing portion is rotated by the contact with the second viewstone so that the contact portion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portion to move the intermediate portion.
상기 자세변환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posture changing unit is rotated by rotation of the posture changing unit.
상기 매개부는, 와이어이고,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선반부에 장착되어 상기 자세변환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매개부가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자세변환부의 회전 시 상기 매개부의 굴곡을 가이드 하는 굴곡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termediate portion is a wire,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includes a rotation supporting portion mounted on the first shelf portion and supporting rotation of the posture changing portion, and a bending portion that is mounted on the rotation supporting portion and guides the bending of the intermediate portion when the posture changing portion rotates, Further comprising a guide unit.
상기 제2 관람석단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2 지지부와 접촉된 채 상기 제2 고정회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7.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Is rotated by the contact with the second viewstand, so that the contact port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ed rotation por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portion.
상기 제1 가변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2 가변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관람석 다단 시스템.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variable rotation shaft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variable rotation shaft are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위치이동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접촉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nd a contact piece for rotating based on the second fixed rotation axis by the contact of the moving part.
상기 접촉편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접촉편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1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And the contact piece is rotated in a downward direction to rotate the contact piece.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이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수납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 속도를 저감시키는 속도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peed reduction unit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frame to reduce the rotation speed when the first grandstand is rotated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상기 제2 고정회전축에 삽입되고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관람석이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수납위치로 회전하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다단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nd an elastic part inserted into the second fixed rotation shaf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frame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nd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first bleacher rotates from the use position to the accommodation position Features multi-stage bleacher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61068A KR101510601B1 (en) | 2014-11-18 | 2014-11-18 | Seats multi-step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61068A KR101510601B1 (en) | 2014-11-18 | 2014-11-18 | Seats multi-step system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10601B1 true KR101510601B1 (en) | 2015-04-20 |
| KR101510601B9 KR101510601B9 (en) | 2021-08-06 |
Family
ID=5305317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61068A Active KR101510601B1 (en) | 2014-11-18 | 2014-11-18 | Seats multi-step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10601B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64887B1 (en) * | 2015-06-26 | 2015-11-09 |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 Rotation adjustment system for seat |
| KR101568636B1 (en) * | 2015-05-15 | 2015-11-12 |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 Seats multi-step system |
| CN110292268A (en) * | 2019-08-12 | 2019-10-01 | 广州马其纳工程技术有限公司 | A universal walking and rotating auditorium seat |
| KR20200077923A (en) * | 2018-12-21 | 2020-07-01 | 주식회사 호수산업 | Automatic folding device of retractable seat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348834U (en) * | 1986-09-18 | 1988-04-02 | ||
| JP2887519B2 (en) * | 1990-11-15 | 1999-04-26 | 株式会社岡村製作所 | Standing device for moving bleachers |
| JP3714968B2 (en) * | 1998-01-14 | 2005-11-09 | 株式会社コトブキ | Standing lodging structure of a chair of a moving bleacher |
| KR100994538B1 (en) * | 2010-04-02 | 2010-11-15 | 주식회사 아성이엔지 | Device for locking release and locking of a retractable seating system |
-
2014
- 2014-11-18 KR KR1020140161068A patent/KR1015106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348834U (en) * | 1986-09-18 | 1988-04-02 | ||
| JP2887519B2 (en) * | 1990-11-15 | 1999-04-26 | 株式会社岡村製作所 | Standing device for moving bleachers |
| JP3714968B2 (en) * | 1998-01-14 | 2005-11-09 | 株式会社コトブキ | Standing lodging structure of a chair of a moving bleacher |
| KR100994538B1 (en) * | 2010-04-02 | 2010-11-15 | 주식회사 아성이엔지 | Device for locking release and locking of a retractable seating system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68636B1 (en) * | 2015-05-15 | 2015-11-12 |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 Seats multi-step system |
| KR101564887B1 (en) * | 2015-06-26 | 2015-11-09 |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 Rotation adjustment system for seat |
| US9820575B2 (en) | 2015-06-26 | 2017-11-21 | Unitech System Co., Ltd. | Rotation adjustment system for seats |
| KR20200077923A (en) * | 2018-12-21 | 2020-07-01 | 주식회사 호수산업 | Automatic folding device of retractable seat |
| KR102212870B1 (en) | 2018-12-21 | 2021-02-05 | 주식회사 호수산업 | Automatic folding device of retractable seat |
| CN110292268A (en) * | 2019-08-12 | 2019-10-01 | 广州马其纳工程技术有限公司 | A universal walking and rotating auditorium sea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10601B9 (en) | 2021-08-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10601B1 (en) | Seats multi-step system | |
| KR102009544B1 (en) | A large projection screen image device with seesaw structure for virtual reality | |
| CN102869287A (en) | Desk for maintaining correct posture, and system furniture comprising the desk | |
| EP2770878B1 (en) | Device for the movement of resting components of a sofa, a chair and the like | |
| TWI409573B (en) | Two dimensional adjusting structure and projection apparatus comprisimg the same | |
| EP2169967A3 (en) | Interactive theater with audience participation | |
| KR101271175B1 (en) | 4d theater chair | |
| KR200469146Y1 (en) | 4d theater chair | |
| KR20160091235A (en) | Virtual Reality Theater Structure | |
| CN203789507U (en) | Multifunctional auditorium chair | |
| JP2015521296A (en) | Telescopic projection screen | |
| DK2795401T3 (en) | Film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film | |
| KR101636226B1 (en) | Stand chair | |
| KR101564887B1 (en) | Rotation adjustment system for seat | |
| US8721464B2 (en) | Biaxial suspension type dynamic simulator | |
| KR20160067588A (en) | Apparatus for both table an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 |
| KR20160120589A (en) | Potable table for attaching to chaires | |
| KR100934128B1 (en) | Retractable grandstand | |
| KR101568636B1 (en) | Seats multi-step system | |
| CN214171876U (en) | Display device with movable display screen | |
| KR20200077921A (en) | Foldable bleacher | |
| EP2623169A1 (en) | Biaxial suspension type dynamic simulator | |
| CN112674512B (en) | Tablet chair with position memory function | |
| KR101410577B1 (en) | Folding chair for sitting to front and back directions | |
| KR101470290B1 (en) | Mult-steped seat placement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5040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00128 Appeal identifier: 202010000028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028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128 Effective date: 20200925 |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2009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00128 Decision date: 20200925 Appeal identifier: 2020100000281 |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2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5040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01222 Appeal identifier: 202010000383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83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1222 Effective date: 20210525 |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2105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01222 Decision date: 20210525 Appeal identifier: 2020100003834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ublication date: 2021080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