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492B1 - Joint chair - Google Patents
Joint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1492B1 KR101511492B1 KR20140057293A KR20140057293A KR101511492B1 KR 101511492 B1 KR101511492 B1 KR 101511492B1 KR 20140057293 A KR20140057293 A KR 20140057293A KR 20140057293 A KR20140057293 A KR 20140057293A KR 101511492 B1 KR101511492 B1 KR 1015114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eating member
- bar
- insert
- backre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착석부재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부재에 착석한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 유닛은 상기 착석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착석부재에 대해 상방으로 사각형틀의 지지프레임(701)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701)에 형성된 상하 양측단의 체결홈(414)(415)에 탄성력을 갖는 라운드진 고정바를 결합하되, 상기 고정바들과 양단부가 결합된 다수의 지지바가 마련된 등받이시트의 상하 양측단에 형성된 제1, 2브라켓(428)(429)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의자이다.The backrest un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ating member and supports the back of the user who is seated on the seating member. The backrest un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ating member, And a rounded fastening bar having an elastic force is coupled to upper and lower fastening grooves 414 and 415 formed in the support frame 701, And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28 and 429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ckrest sheet having the support bars and the support bars coupled to the opposite ends are coupled to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절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등부분 형태에 따라 변형가능한 등받이 시트가 마련된 관절의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의자는 바닥에 앉을 때 몸을 뒤로기댈 수 있게 만든 기구 또는 걸터앉도록 만든 기구로서, 책상과 함께 사무실이나 가정 학교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지식 정보화 사회와 맞물려 현대인들의 의자 사용시 간은 계속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a chair is a device that makes it possible to sit back on the floor, or a device that makes it sit on the floor. It is used in offices and home schools together with a desk. In fact.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의자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8089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착석시트와 등받이가 쿠션재로 제작된다.A chair used in an office or the like is made of a cushioning material for a seat and a backrest so that the chair can be comfortably seate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180899.
그런데, 종래의 등받이는 일체로 된 하나의 등받이로 제작되어, 착석자의 등부분 굴곡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변형되지 못하기 때문에, 착석감이 저하되어 편안하게 착석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등부분에서 척추 부분은 등받이에서 뜨고 어깨와 허리 부분은 등받이에 닿는 것과 같이 등부분이 부분적으로 등받이에서 뜨게 되어 편안하게 등부분을 받쳐주지 못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ackrest is made of a single backrest, which is united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backrest and can not be easily deformed. Therefore, the backrest has a reduced seating feeling and can not sit comfortably. In other words, the back part of the back part of the spine and shoulder and waist back to touch the back part of the back part of the back is floated comfortably to support the back.
또한, 이처럼 등받이가 등부분을 편안하게 받쳐주지 못하기 때문에, 장시간 의자에 착석하면, 척추나 허리 부분 등에 피로가 쌓이는 문제점이 있으며, 심한 경우 피로가 쌓여 허리 통증과 같은 질병이 유발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ackrest does not support the back part comfortably, there is a problem that fatigue builds up in the spine or waist area when the chair is seated for a long time, and in case of severe fatigue, diseases such as back pain may be cau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등부분의 형태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바로 이루어진 등받이가 마련된 관절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oint chair provided with a back support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bars so as to be easi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back portion of a us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절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재와; 상기 착석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부재를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착석부재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부재에 착석한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 유닛은 상기 착석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착석부재에 대해 상방으로 사각형틀의 지지프레임(701)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701)에 형성된 상하 양측단의 체결홈(414)(415)에 탄성력을 갖는 라운드진 고정바를 결합하되, 상기 고정바들과 양단부가 결합된 다수의 지지바가 마련된 등받이시트의 상하 양측단에 형성된 제1, 2브라켓(428)(429)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의자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ir comprising: a seating member on which a user is seated;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seating member to support the seating member so as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And a backrest unit provided behind the sea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who is seated on the seating member, wherein the backrest unit is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seating member, And a rounded fastening bar having an elastic force is coupled to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는 상기 고정바에 등간격으로 인서어트 몰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의자이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ars are in-situ mol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fixed bar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절의자는 상기 등받이 시트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기 등받이 시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join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ackrest sheet and the support frame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ckrest sheet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본 발명에 따른 관절의자는 등받이가 다수의 지지바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등부분의 형태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되므로 허리, 등에 피로가 쌓이는 것을 감소시켜 허리 통증 및 질병을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backres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upport bars, the join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back portion, so that fatigue is prevented from accumulating on the back, thereby preventing back pain and disea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의자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관절의자의 등받이유닛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의자의 등받이 유닛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의자의 등받이 유닛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의자의 등받이 유닛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의자에 대한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join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unit of the articulated chair of Figure 1;
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backrest unit of a joint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backrest unit of a joint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backrest unit of a joint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joint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절의자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join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의자(100)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s 1 and 2 illustrate a
도면을 참조하면, 관절의자(10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재(200)와, 상기 착석부재(200)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부재(200)를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300)와, 상기 착석부재(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부재(200)에 착석한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유닛(40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착석부재(200)는 지지부(3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되는 메인프레임(미도시)과, 메인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착석시트(201)를 구비한다. The
착석시트(201)는 상면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스펀지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고, 면소재 또는 가죽소재로 외주면이 감싸여 있다. The
지지부(300)는 지지본체와, 지지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다리(310)와, 상기 지지본체와 메인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본체로부터 메인프레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재(320)를 구비한다. The
지지본체는 착석시트(201)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다리(310)는 지지본체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연장형성된다. 각 지지다리(310)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관절의자(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송바퀴(311)가 설치되어 있다. The support body is positioned below the
조절부재(320)는 상하단이 각각 착석부재(200)의 메인프레임 및 지지본체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종래의 의자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시트(201)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djusting
등받이유닛(400)은 상기 착석부재(2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착석부재(200)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410)과, 사용자의 등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설치되는 등받이 시트(420)를 구비한다. The
지지프레임(410)은 하단이 착석부재(200)의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지지프레임(410)은 등받이 시트(4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되고, 하단부는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410)의 상단은 착석부재(2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재(411)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머리지지부재(411)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lower end of the
또한, 지지프레임(410)은 소정의 탄성과 강도를 갖도록 나이론 그라스 화이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지지프레임(41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복수의 제1 및 제2고정암(412,413)이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암(412)들은 머리지지부재(411) 하측의 지지프레임(410)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연장형성된다. 제1고정암(412)은 단부가 전방으로 절곡되며,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제1체결홀(414)이 마련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제2고정암(413)들은 착석시트(201) 상측의 지지프레임(410) 하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연장형성된다. 제2고정암(413)은 단부가 전방으로 절공되며,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제2체결홀(415)이 마련되어 있다. The second
등받이 시트(420)는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착석부재(20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의 고정바(421)와, 양단부가 상기 지지바(422)들 내에 각각 인서트 몰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지지바(422)를 구비한다. The
고정바(421)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사람의 등부분에 대응되게 하부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고정바(421)는 내부에 다수의 지지바(422)가 인서트 몰딩된다. 또한, 고정바(421)는 사용자의 등이 지지될 경우 사용자의 등부분 굴곡 형태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서모플라스틱 루버(Thermoplastic Rubbe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지지바(422)는 착석부재(200)의 좌우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재(423)와, 상기 연장부재(423)의 좌우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지지바(422)들 내에 인서트 몰딩되는 인서트부재(424)를 구비한다. The
연장부재(423)는 좌우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하방향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좌우측 단부에 대해 중앙부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연장부재(423)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tending
상기 인서트부재(424)는 지지바(422) 내에 인서트 몰딩시 지지바(422)를 이루는 용융된 수지의 일부가 인입되어 경화될 수 있도록 후면에 내측으로 인입되는 인입홈(425)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인서트부재(424)의 후면에 인입홈(425)이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인입홈(425)은 인서트부재(424)의 전면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The
또한, 인서트부재(424)는 상하면에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돌기(4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돌기(426)는 지지바(422) 내에 인서트 몰딩 시 지지바(422)를 이루는 용융된 수지가 관통되게 인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427)이 형성되어 있다. Th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삽입돌기(426)가 인서트부재(424)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삽입돌기(426)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서트부재(424)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상기 언급된 인서트부재(424)의 인입홈(425) 및 삽입돌기(426)의 관통공(427)에 용융된 수지의 일부가 경화되므로 인서트부재(424)가 지지바(422)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A part of the melted resin is hardened in the
이때, 최상단에 위치하는 지지바(422)에는 제1고정암(412)에 볼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브라켓(42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브라켓(428)은 고정바(421) 내에 인서트 몰딩 시 고정바(421)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최상단에 위치하는 지지바(422)의 인서트부재(424)들 후면에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브라켓(428)은 고정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제1삽입홀이 마련되어 있다. 작업자는 제1브라켓(428)의 제1삽입홀과 제1고정암(412)의 제1체결홀(414)이 상호 대향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제1삽입홀과 제1체결홀(414)에 고정볼트를 관통시키고, 상기 고정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등받이 시트(420)의 상부를 지지프레임(410)에 고정시킨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또한, 최하단에 위치하는 지지바(422)에는 제2고정암(413)에 볼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브라켓(429)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브라켓(429)은 고정바(421) 내에 인서트 몰딩 시 고정바(421)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최하단에 위치하는 지지바(422)의 인서트부재(424)들 후면에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브라켓(429)은 고정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1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제2브라켓(429)의 제2삽입홀과 제2고정암(413)의 제2체결홀(415)이 상호 대향되게 위치시킨 다음, 제2삽입홀과 제2체결홀(415)에 고정볼트를 관통시키고, 상기 고정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등받이 시트(420)의 하부를 지지프레임(410)에 고정시킨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부재(500)가 도시되어 있다. 3, a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previous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인서트부재(500)는 전후면에 각각 인입홈(425)이 마련되며, 인입홈(425)에는 지지바(422)에 인서트 몰딩 시 지지바(422)를 이루는 용용된 수지가 관통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삽입공(50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501)들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인입홈(425)은 상하면이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상기 언급된 인서트부재(500)의 삽입공(501)에 용융된 수지의 일부가 경화되므로 인서트부재(500)가 지지바(422)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A part of the melted resin is hardened in the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부재(424)가 도시되어 있다. 4, an
도면을 참조하면, 인서트부재(424)는 전후면에 각각 상하부가 개방된 인입홈(425)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돌기(42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삽입돌기(426)에는 지지바(422) 내에 인서트 몰딩 시 지지바(422)를 이루는 용융된 수지가 관통되게 인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427)이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부재(600)가 도시되어 있다. 5, an
도면을 참조하면, 인서트부재(600)는 전후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골(601)이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인서트부재(600)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된 골(601)들은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또한, 인서트부재(600)는 지지바(422) 내에 인서트 몰딩 시 지지바(422)를 이루는 용융된 수지가 관통되게 인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홀(602)이 형성되어 있다. The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의자(700)가 도시되어 있다. 6 shows a
도면을 참조하면, 관절의자(700)는 상기 등받이 시트(420)와 지지프레임(70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701)에 대해 상기 등받이 시트(4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부재(702)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이때, 지지프레임(701)은 하단이 착석부재(200)의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며, 등받이 시트(420)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701)은 등받이 시트(4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탄성부재(702)는 고정바(421)와 지지프레임(701)에 전후면이 각각 접하도록 설치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중앙에 좌후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이 마련되도록 폐궤도를 이루도록 연장된다. 또한, 탄성부재(702)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등받이 시트(420)를 형성하는 측면의 고정바(421)는 사각형틀의 지지프레임(70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탄성력을 갖는 라운드진 고정바(421)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702)는 복수개가 각각 등받이 시트(420)의 좌우단부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탄성부재(702)의 설치위치 및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등받이 시트(420)와 지지프레임(701) 사이라면 어느 위치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plurality of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등받이 시트(420)와 지지프레임(701) 사이에 탄성부재(702)가 설치되어 등받이 시트(4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사용자가 등받이 시트(420)를 지지시 소정의 쿠션감을 제공한 뿐 아니라 등받이 시트(420)의 변형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관절의자 200: 착석부재
201: 착석시트 300: 지지부
310: 지지다리 320: 조절부재
400: 등받이 유닛 410: 지지프레임
411: 머리지지부재 420: 등받이 시트
421: 고정바 422: 지지바
423: 연장부재 424: 인서트부재100: joint chair 200: seating member
201: seating sheet 300:
310: support leg 320: adjusting member
400: backrest unit 410: support frame
411: head supporting member 420: backrest sheet
421: Fixing bar 422: Supporting bar
423: extension member 424: insert member
Claims (3)
상기 착석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부재를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착석부재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부재에 착석한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 유닛은
상기 착석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착석부재에 대해 상방으로 사각형틀의 지지프레임(701)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701)에 형성된 상하 양측단의 체결홈(414)(415)에 등받이시트의 상하 양측단에 형성된 제1, 2브라켓(428)(429)이 결합하되, 상기 등받이시트를 형성하는 측면의 고정바(421)는 상기 사각형틀의 지지프레임(70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탄성력을 갖는 라운드진 고정바(421)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바(421)와 양단부가 결합된 지지바(422)들은 상기 고정바(421)에 등간격으로 각각 인서어트 몰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의자.
A seating member on which a user is seated;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seating member to support the seating member so as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And a backrest unit provided behind the seating member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ing member,
The backrest unit
A support frame 701 which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eating member and is formed as a rectangular frame support member upward from the seating member and is provided with locking grooves 414 and 415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frame 701,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28 and 429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a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xing bar 421 formed on the side of the backrest sheet is formed longer than the supporting frame 701 of the rectangular frame And the support bar 422 having the fixing bar 421 and the opposite ends thereof coupled to the fixing bar 4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shoulder- A joint chair.
상기 지지바(422)는 착석부재의 좌우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재(423)와, 상기 연장부재(423)의 좌우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지지바(422)들 내에 인서트 몰딩되는 인서트부재(424)를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부재(424)는 지지바(422) 내에 인서트 몰딩시 지지바(422)를 이루는 용융된 수지의 일부가 인입되어 경화될 수 있도록 후면에 내측으로 인입되는 인입홈(4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bar 422 includes an extension member 423 extending along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seating member and an insert member 422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extension member 423 and insert- 424,
The insert member 424 is formed with a lead-in groove 425 which is drawn inward at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bar 422 so that a part of the molten resin constituting the support bar 422 is inserted and cured when the insert bar 422 is insert- A joint chair characterized by.
상기 고정바(421)는 일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사람의 등부분에 대응되게 하부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421)는 사용자의 등이 지지될 경우 사용자의 등부분 굴곡 형태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서모플라스틱 루버(Thermoplastic Rubber)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의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xing bar 421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ar 421 is convex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back portion of a person, And is formed of a thermoplastic rubber having elasticity that can be easily deformed according to the partial bending shap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40057293A KR101511492B1 (en) | 2014-05-13 | 2014-05-13 | Joint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40057293A KR101511492B1 (en) | 2014-05-13 | 2014-05-13 | Joint chai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07284A Division KR101425914B1 (en) | 2013-09-06 | 2013-09-06 | Joint chai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28700A KR20150028700A (en) | 2015-03-16 |
| KR101511492B1 true KR101511492B1 (en) | 2015-04-13 |
Family
ID=5302351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1400572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1492B1 (en) | 2014-05-13 | 2014-05-13 | Joint chai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1149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84795B1 (en) * | 2020-09-17 | 2020-11-30 | 유장권 | Chair with improved sense of seating and elasticity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526481A (en) * | 2003-06-05 | 2006-11-24 | スチールケース デベロップメント コーポレイション | Comfortable surface for seat |
| KR101014860B1 (en) * | 2010-07-01 | 2011-02-15 | 박점희 | Lumbar support chair |
-
2014
- 2014-05-13 KR KR20140057293A patent/KR10151149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526481A (en) * | 2003-06-05 | 2006-11-24 | スチールケース デベロップメント コーポレイション | Comfortable surface for seat |
| KR101014860B1 (en) * | 2010-07-01 | 2011-02-15 | 박점희 | Lumbar support chai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28700A (en) | 2015-03-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361117B1 (en) | Elastic suspension bucket seat | |
| KR20180031988A (en) | Joint chair has joint type back of a chair | |
| JP2010505507A5 (en) | ||
| KR101440118B1 (en) | Joint chair | |
| US20140077540A1 (en) | Chair Assembly | |
| KR101556410B1 (en) | Bracket cover for audience chair | |
| EP2165627B1 (en) | Chairs with flexible spring backrest | |
| KR101425914B1 (en) | Joint chair | |
| KR101232825B1 (en) | chair | |
| KR101511492B1 (en) | Joint chair | |
| US9986839B2 (en) | Banquet chair with outer spring | |
| JP6765182B2 (en) | Chair armchair, chair | |
| JP2000093250A (en) | Body support device such as chair | |
| KR101174458B1 (en) | Back of chair | |
| KR101607220B1 (en) | Joint chair | |
| KR100734166B1 (en) | Adjustable chair according to body type | |
| KR101578755B1 (en) | Headrest for chair | |
| KR101188881B1 (en) | Lumbar supporting apparatus of chair | |
| JP2013036245A (en) | Backrest structure using floor step | |
| KR20120055217A (en) | Chair back with lumbar support | |
| CN210989241U (en) | Handrail | |
| KR200458497Y1 (en) | Backrest and chair having the same | |
| JP7601654B2 (en) | chair | |
| JP7172378B2 (en) | Chair | |
| CN119630314A (en) | Seat cushion for chair and chair seat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104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40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204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40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