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568B1 - A Plane Landing Improve Unit in Aircraft Carrier - Google Patents
A Plane Landing Improve Unit in Aircraft Carr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7568B1 KR101527568B1 KR1020140024449A KR20140024449A KR101527568B1 KR 101527568 B1 KR101527568 B1 KR 101527568B1 KR 1020140024449 A KR1020140024449 A KR 1020140024449A KR 20140024449 A KR20140024449 A KR 20140024449A KR 101527568 B1 KR101527568 B1 KR 1015275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craft
- landing
- magnetic force
- air
- blow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rresting aircraft, e.g. nets or cables
- B64F1/0299—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rresting aircraft, e.g. nets or cable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multiple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34—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wheeled type, e.g. multi-wheeled bogies
- B64C25/3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wheels, tyres or axl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모함에서의 항공기 착륙 성능향상장치에 있어서, 특히 항공모함에서 이착륙하는 항공기의 착륙 거리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항공기에 공기를 제공하고 동시에 바퀴에 자력을 제공하여 최소한의 거리에서 항공기의 착륙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모함에서의 항공기 착륙 성능향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퀴(11)에 영구자석(12)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항공기(10)와; 항공모함(1)의 일단에 배치되며 항공기(10)가 착륙하는 하기 위한 항공기 착륙면(20)과; 상기 항공기 착륙면의 측면에 설치되며 항공기의 바퀴면에 자력을 공급하여 항공기의 바퀴의 회전을 방해하여 서서히 멈추도록 유도하는 자력 공급부(30)와; 상기 항공기가 착륙할 때에만 자력 공급부를 가동하도록 자력 공급부를 승하강시키는 자력 공급부 승하강 수단(40)와; 상기 항공기 착륙면의 중간 지점에 일정갯수 설치되며 항공기의 착륙이 시작되면 컴퓨레셔로부터 전달받는 공기를 항공기의 전면에 제공하여 항공기 착륙지점의 공기 밀도를 높이도록 하는 송풍 공급부(50)와; 상기 항공기가 착륙할 때에만 송풍 공급부를 상승시키고 항공기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송풍 공급부를 지면 아래로 하강시키는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과; 상기 항공기의 착륙시 항공기의 통과지점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착륙면에 루프 코일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매설하여 이루어지며, 루프 코일을 통과하는 항공기의 바퀴 간격을 계산하여 항공기의 위치 및 속도를 판별하는 항공기 센싱수단(70)와; 상기 항공기 센싱수단(70)에 의해서 항공기(10)를 센싱하면 항공기가 위치할 다음 지점을 계산하여 그 지점에 존재하는 자력 공급부 승하강 수단(40)을 작동시켜 자력 공급부(30)를 승강시키고, 동시에 그 지점에 존재하는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을 작동시켜 송풍 공급부(50)를 승강시키며, 또한, 자력 공급부(30)를 작동하여 항공기 바퀴(11)에 설치된 영구자석(12)과 반응하여 항공기가 서서히 멈추도록 유도하고, 또한 송풍 공급부를 작동하여 항공기의 전면에 차가운 강한 송풍을 제공토록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landing performance enhancing device in an aircraft carrier,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ir to an aircraft in order to minimize the landing distance of an aircraft taking off and landing in the aircraft carrier and simultaneously providing magnetic force to the whe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landing performance improving apparatus in an aircraft carrier,
An aircraft (10) comprising permanent magnets (1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a wheel (11); An aircraft landing surface (20) disposed at one end of the aircraft carrier (1) for landing the aircraft (10); A magnetic force supply unit 30 installed on a side of the aircraft landing surface and supplying magnetic force to a wheel surface of the aircraft to induce the rotation of the wheel of the aircraft to stop slowly and stop; A magnetic force supply portion raising and lowering means (4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magnetic force supplying portion so as to operate the magnetic force supplying portion only when the aircraft landing; A blowing and supplying unit 50 installed at a midway point of the aircraft landing surface and providing air to the front of the aircraft to increase the air density at the aircraft landing point when airplane landing starts; A blowing / supplying section raising / lowering means (60) for raising the blowing supply section only when the aircraft landing and for lowering the blowing / supplying section down to the ground when an aircraft is not present; A plurality of loop coil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landing surface for sensing the passing point of the aircraft when the aircraft landing, and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aircraft are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heels passing through the loop coil Aircraft sensing means (70); When the aircraft 10 is sensed by the aircraft sensing means 70, the next point at which the aircraft is to be positioned is calculated and the magnetic force supply portion raising and lowering means 40 at that point is operated to raise and lower the magnetic force supply portion 30, At the same time, the air supply unit up / down means 60 at the point is operated to raise / lower the air supply unit 50, and the magnetic force supply unit 30 is operated to react with the permanent magnet 12 installed on the air wheel 11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air supply unit to provide a cold airflow to the front of the airplane.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공모함에서의 항공기 착륙 성능향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공모함에서 이착륙하는 항공기의 착륙 거리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항공기에 공기를 제공하고 동시에 바퀴에 자력을 제공하여 최소한의 거리에서 항공기의 착륙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모함에서의 항공기 착륙 성능향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landing performance enhancing device in an aircraft c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ir to an aircraft in order to minimize the landing distance of an aircraft taking off from the aircraft carri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landing performance improving apparatus in an aircraft carrier.
사회가 부유해지고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항공기를 이용하여 원거리를 이동하거나 화물을 운송하는 일이 일반화되었으며, 승객과 화물의 항공운송 수요는 날로 증대되고 있다. 상기 항공기는 일반적으로 이륙, 상승, 순항, 진입, 착륙의 다섯 가지 과정을 통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항공운항의 경제성과 안전성의 관점에서 항공기의 이륙과 착륙 과정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As society becomes richer and the economy develops, it has become common to use the airplane to move or travel freely, and air transportation demand for passengers and cargo is increasing day by day. The aircraft generally travels to its destination through five processes: takeoff, ascension, cruise, entry, and landing. The takeoff and landing process of the aircraft is the most important part from the viewpoint of the economical and safety of air navigation.
도 1은 항공기의 이륙과 착륙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항공기의 이착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항공기의 이륙은 항공기가 전진하여 양력을 받아 활주로를 떠나 비행을 개시할 때까지의 과정을 말하며 항공기가 활주로에 멈춰선 지점으로부터 활주를 시작해 활주로 상공 35피트(약 11미터)에 이르기까지의 거리를 이륙거리라 하고, 항공기의 착륙은 그 반대 과정을 말하며 활주로 말단의 상공 50피트(약 15미터) 지점부터 활주 후 정지 지점까지의 거리를 착륙거리라 한다. 일반적으로 착륙거리는 이륙거리의 2/3 정도를 차지하게 된다.FIG. 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ake-off and landing of an aircraft. Hereinafter, the take-off and landing process of an aircraf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ircraft takeoff is the process from when the aircraft advances to take the lift and leaves the runway to start the flight. It starts from the point where the aircraft stops on the runway and takes the distance from the runway to 35 feet (about 11 meters) above the runway The distance from the point of 50 feet (about 15 meters) above the end of the runway to the stopping point after the slide is called the landing distance. Typically, the landing distance will account for two-thirds of the take-off distance.
상기 항공기의 이착륙거리는 활주로 주변 공기의 온도와 습도 등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높은 기온의 공기는 밀도가 낮아 비행기 이륙에 필요한 양력 및 비행기 착륙에 필요한 항력을 떨어뜨려 항공기의 이착륙거리가 길어지게 한다. 또한, 높은 습도의 공기 역시 밀도가 낮아 항공기의 이착륙거리가 길어지게 한다. 다만, 공기의 밀도가 떨어짐에 있어 온도의 영향이 습도의 영향보다 크게 된다. 예컨대, 점보기에 있어 20도의 기온에는 이륙거리가 1500~1600미터인데 반해 기온이 40도가 되는 경우에는 이륙거리가 3000미터에 이르게 된다.The take-off distance of the aircraft is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ir around the runway. The air having a high temperature is low in density, so that the lift required for taking off the airplane and the drag necessary for landing the airplane are decreased. In addition, high humidity air is also less dense, allowing longer take-off and landing times for aircraft. However,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influence of humidity when the density of air drops.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is 20 degrees, the takeoff distance is 1500 to 1600 meters, while the temperature is 40 degrees.
특히, 여름철의 낮과 같이 더운 날에는 공기의 밀도가 급격히 낮아지며, 활주로는 아스팔트로 이루어져 지면 반사효과 때문에 주변의 공기보다 높은 온도와 낮은 밀도 때문에 항공기의 이착륙거리가 길어져 항공기 연료의 과소비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착륙거리를 단축하기 위해서 적재되는 화물의 양을 줄이거나 활주로의 길이를 길게할 수밖에 없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hot days such as summer, the density of air is drastically lowered. When the runway is made of asphalt, due to the reflection effect, the temperature and low density are higher than the surrounding air, , It is economically inefficient to reduce the amount of cargo to be loaded or shorten the take-off distance, or to lengthen the length of the runway.
따라서, 더운 날에도 활주로 주변의 공기의 밀도를 높여 항공기 이착륙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는 항공기 이착륙 성능향상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n aircraft takeoff and landing performance enhancement device capable of shortening the take-off and landing distance by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air around the runway on a hot day.
본 발명은 특히 항공기가 착륙하는 지점에 항공기의 착륙거리를 짧게 유도하기 위한 수단을 더 부가설치토록 함으로서 항공모함에 착륙할 경우 짧은 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착륙이 이루어지도록 공기를 항공기에 제공하고 동시에 바퀴에 자력을 제공하여 짧은 거리에서도 항공기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provides a means for shortening the landing distance of the aircraft at the landing point of the aircraft so that air can be provided to the aircraft so that landing can be easily made even at a short distance when landing on the aircraft carri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agnetic force so that the aircraft can land safely even at a short dista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바퀴(11)에 영구자석(12)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항공기(10)와; 항공모함(1)의 일단에 배치되며 항공기(10)가 착륙하는 하기 위한 항공기 착륙면(20)과; 상기 항공기 착륙면의 측면에 설치되며 항공기의 바퀴면에 자력을 공급하여 항공기의 바퀴의 회전을 방해하여 서서히 멈추도록 유도하는 자력 공급부(30)와; 상기 항공기가 착륙할 때에만 자력 공급부를 가동하도록 자력 공급부를 승하강시키는 자력 공급부 승하강 수단(40)와; 상기 항공기 착륙면의 중간 지점에 일정갯수 설치되며 항공기의 착륙이 시작되면 컴퓨레셔로부터 전달받는 공기를 항공기의 전면에 제공하여 항공기 착륙지점의 공기 밀도를 높이도록 하는 송풍 공급부(50)와; 상기 항공기가 착륙할 때에만 송풍 공급부를 상승시키고 항공기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송풍 공급부를 지면 아래로 하강시키는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과; 상기 항공기의 착륙시 항공기의 통과지점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착륙면에 루프 코일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매설하여 이루어지며, 루프 코일을 통과하는 항공기의 바퀴 간격을 계산하여 항공기의 위치 및 속도를 판별하는 항공기 센싱수단(70)와; 상기 항공기 센싱수단(70)에 의해서 항공기(10)를 센싱하면 항공기가 위치할 다음 지점을 계산하여 그 지점에 존재하는 자력 공급부 승하강 수단(40)을 작동시켜 자력 공급부(30)를 승강시키고, 동시에 그 지점에 존재하는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을 작동시켜 송풍 공급부(50)를 승강시키며, 또한, 자력 공급부(30)를 작동하여 항공기 바퀴(11)에 설치된 영구자석(12)과 반응하여 항공기가 서서히 멈추도록 유도하고, 또한 송풍 공급부를 작동하여 항공기의 전면에 차가운 강한 송풍을 제공토록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10) having permanent magnets (1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a wheel (11); An aircraft landing surface (20) disposed at one end of the aircraft carrier (1) for landing the aircraft (10); A magnetic
또한, 상기 항공기(10)의 송풍 공급부(50)는 냉각장치(62)를 더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컴퓨레셔(61)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차갑게 유지시켜 항공기에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air supply and
또한, 상기 항공기(10)의 날개부분에 사선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토록 송풍 공급부의 송풍홀이 몸체의 사선방향에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Further, the blow hole of the blowing and supplying part is provid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body so as to supply air in the diagonal direction to the wing portion of the airplan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공기가 착륙하는 지점에 항공기의 착륙거리를 짧게 유도하기 위한 수단을 더 부가설치토록 함으로서 항공모함에 착륙할 경우 짧은 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착륙이 이루어지도록 공기를 항공기에 제공하고 동시에 바퀴에 자력을 제공하여 짧은 거리에서도 항공기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means for shortening the landing distance of an aircraft at a landing position of the aircraft, so that when landing on the aircraft carrier, air is supplied to the aircraft so that landing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at a short distance At the same time, by providing magnetic force to the wheels, the aircraft can be safely landed even in a short distance.
도 1은 일반적인 항공기의 이륙과 착륙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항공모함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항공기의 바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항공기 바퀴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항공모함에 자력공급부를 설치한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자력 공급부가 바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자력 공급부가 작동하여 바퀴에 영향을 미쳐 서서히 멈추도록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항공모함에 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항공모함에 송풍 공급부를 탑재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송풍 공급부에 콤프레서 및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차가운 공기를 이송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송풍 공급부를 상승시켜 공기를 항공기에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akeoff and landing of a general aircraft;
2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n aircraf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wheels of an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view of an aircraft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gnetic force supply unit is installed in an aircraf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magnetic force suppl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ffects wheels;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magnetic force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ted to induce the wheel to stop gradually.
Figure 8 illustrates providing air to an aircraf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craf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air supply unit is mounted.
10 is a diagram showing the transfer of cold air using a compressor and a cooling device to the air supply and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air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raised to output air to an aircraft;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that are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per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 2는 본 발명의 항공모함 전체 구성도.2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n aircraf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항공기의 바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wheels of an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항공기 바퀴 상세 구성도.4 is a detailed view of an aircraft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항공모함에 자력공급부를 설치한 상태의 도면.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gnetic force supply unit is installed in an aircraf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자력 공급부가 바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magnetic force suppl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ffects wheels;
도 7은 본 발명의 자력 공급부가 작동하여 바퀴에 영향을 미쳐 서서히 멈추도록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that the magnetic force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ted to induce the wheel to stop gradually.
도 8은 본 발명의 항공모함에 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Figure 8 illustrates providing air to an aircraf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항공모함에 송풍 공급부를 탑재한 상태의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craf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air supply unit is mounted.
도 10은 본 발명의 송풍 공급부에 콤프레서 및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차가운 공기를 이송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10 is a diagram showing the transfer of cold air using a compressor and a cooling device to the air supply and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송풍 공급부를 상승시켜 공기를 항공기에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11 is a view showing the air supply to the airplane by raising the air suppl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항공기(10)와, 항공기 착륙면(20)과, 자력공급부(30)와, 자력공급부 승하강수단(40)과, 송풍 공급부(50)와,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과, 항공기 센싱수단(70) 및, 제어부(80)로 이루어진다.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 an
본 발명의 항공기(10)는 바퀴(11)에 영구자석(12)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다.The airplan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permanent magnets (1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a wheel (11).
상기 항공기 착륙면(20)은 항공모함(1)의 일단에 배치되며 항공기(10)가 이착륙하는 지면이다.The
상기 자력 공급부(30)는 항공기 착륙면의 측면에 설치되며 항공기의 바퀴면에 자력을 공급하여 항공기의 바퀴의 회전을 방해하여 서서히 멈추도록 유도한다.The magnetic
상기 자력 공급부 승하강 수단(40)은 항공기가 착륙할 때에만 자력 공급부를 가동하도록 자력 공급부를 승하강시키는 수단이다.The magnetic force supply portion raising and lowering means 40 is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magnetic force supply portion so as to operate the magnetic force supply portion only when the airplane lands.
상기 송풍 공급부(50)는 항공기 착륙면의 중간 지점에 일정갯수 설치되며 항공기의 착륙이 시작되면 차가운 강한 송풍을 항공기의 전면에 제공하여 항공기 착륙지점의 공기 밀도를 높이도록 한다. The
상기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은 항공기가 착륙할 때에만 송풍 공급부(50)를 상승시키고 항공기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송풍 공급부(50)를 지면 아래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blowing-supply-portion raising / lowering means 60 raises the blowing-supplying
상기 항공기 센싱수단(70)은 항공기의 착륙시 항공기의 통과지점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착륙면에 루프 코일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매설하여 이루어지며, 루프 코일을 통과하는 항공기의 바퀴 간격을 계산하여 항공기의 위치 및 속도를 판별한다.The aircraft sensing means 70 is for sensing the passing point of the aircraft when landing the aircraft and has a plurality of loop coils laid on the landing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The aircraft sensing means 70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wheels of the aircraft passing through the loop coils, To determine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상기 제어부(80)는 항공기 센싱수단(70)에 의해서 항공기(10)를 센싱하면 항공기가 위치할 다음 지점을 계산하여 그 지점에 존재하는 자력 공급부 승하강 수단(40)을 작동시켜 자력 공급부(30)를 승강시키고, 동시에 그 지점에 존재하는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을 작동시켜 송풍 공급부(50)를 승강시키며, 또한, 자력 공급부(30)를 작동하여 항공기 바퀴(11)에 설치된 영구자석(12)과 반응하여 항공기가 서서히 멈추도록 유도하고, 또한 송풍 공급부(50)를 작동하여 항공기(10)의 전면에 차가운 강한 송풍을 제공토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80 calculates the next point at which the aircraft will be positioned when the
즉, 본 발명에서 항공기(10)의 바퀴(11)에 영구자석(12)의 N극이 노출되도록 설계하면 자력 공급부(30)에서는 S극를 발산시켜 상기 N극과 반응하도록 함으로서 항공기(10)의 바퀴(11) 속도를 서서히 줄이도록 할 수 있고, 항공기의 바퀴에 S극이 노출되도록 설계하면 자력 공급부에서는 N극을 발산시켜 상기 S극과 반응하도록 함으로서 항공기의 바퀴 속도를 서서히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N pole of the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assemb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항공기(10)와, 항공기 착륙면(20)과, 자력공급부(30)와, 자력공급부 승하강수단(40)과, 송풍 공급부(50)와,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과, 항공기 센싱수단(70) 및, 제어부(80)로 이루어지는바, 항공기(10)의 바퀴(11)에는 영구자석(12)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영구자석(12)은 항공기의 바퀴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N극 또는 S극이 정렬되도록 한다.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 an
이에 대응하여 항공기 착륙면(20)에는 자력 공급부(30)와 송풍 공급부(50)가 설치되는바, 상기 자력 공급부(30)와 송풍 공급부(50)는 항공기(10)가 착륙할 때에만 착륙면 위로 상승하고 항공기의 착륙이 완료되면 착륙면 아래로 하강하여 항공기(10)의 착륙시에만 사용되도록 한다.The magnetic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력공급부 승하강 수단(40)과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이 설치되는바, 자력공급부 승하강 수단(40)은 자력 공급부(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자력 공급부(30)를 피스톤으로 밀어 올리면서 승강시키고, 항공기(10)의 착륙이 완료되면 자력 공급부(30)를 피스톤으로 끌어 내어 하강시킨다.The magnetic force supply part raising and lowering means 4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gnetic
상기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은 콤퓨레셔(61)의 작동에 따른 에어의 압력에 의해서 승강되고, 항공기의 착륙이 완료된 시점에서 콤퓨레셔(61)의 작동에 따른 에어의 압력이 해제되면 하강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The blowing-supply-unit raising and lowering means 60 is elevated and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상기 항공기(10)의 착륙면에는 항공기의 통과를 확인하는 센서(70)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어 항공기가 착륙면의 어느 위치를 통과하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A plurality of
참고로, 착륙면에 설치되는 센서(70)로서 루프 코일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루프코일은 항공기의 바퀴가 지나가면 임피던스 변화가 생기고, 그 변화를 신호로 제어부에 보내주어 현재 항공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다음 루프 코일을 통과하면 첫번째 신호와 두번째 신호의 시간차로 항공기의 속도를 파악하여 그 위치에 존재하는 자력 공급부 및 송풍 공급부를 가동하게 된다.For referenc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loop coil as a
즉, 첫번째 신호와 두번째 신호의 시간차이가 짧을 수록 현재 항공기의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고, 첫번째 신호와 두번째 신호의 시간차이가 길 수록 현재 항공기의 속도가 느리다는 것이다.
That is, the shorter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is, the faster the current aircraft speed is, and the longer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is, the slower the current aircraft is.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어부(80)는 항공기가 착륙면으로 이동되면 센싱수단(70)으로 감지하고, 항공기의 착륙이 확인되면 자력 공급부 승하강 수단(40)과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을 작동하여 자력 공급부(30)를 승강시키고 동시에 송풍 공급부(50)를 승강시킨다.The control unit 80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airplane by the sensing means 70 when the aircraft is moved to the landing surface and operates the magnetic force supply unit raising and lowering means 40 and the air supply and supply raising and lowering means 60 when the landing of the airplane is confirmed The magnetic
상기 자력 공급부(30)를 작동시키게 되면 항공기 바퀴(11)에 자력을 공급하여 항공기의 바퀴(11)가 서서히 회전을 멈추도록 유도하고, 또한 송풍 공급부(50)를 작동하게 되면 항공기(10)에 송풍을 공급하여 공기밀도를 높여서 항공기(10)의 신속한 착륙을 유도할 수 있다.When the magnetic
특히, 본 발명에서는 송풍 공급부(50)를 통해 공기를 공급할 때 냉각된 저온의 공기를 공급하여 착륙면의 공기밀도를 낮추도록하며, 이를 위해 냉각장치(62)를 더 부가 설치하고, 콤퓨레셔(61)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항공기에 보다 많은 공기가 전달되도록 하였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또한, 상기 항공기의 송풍 공급부의 송풍 방향은 항공기의 날개 부분으로 하여 공기의 높은 밀도가 날개부분에 전달됨으로서 항공기의 착륙거리를 짧아지도록 유도한다.In addition,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supply and supply portion of the aircraft is a wing portion of the aircraft, and a high density of air is transmitted to the wing portion, thereby guiding the landing distance of the aircraft to be shortened.
즉, 상기 항공기(10)의 날개부분에 사선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토록 송풍 공급부의 송풍홀이 몸체의 사선방향에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at is, the blow hole of the blowing and supplying part is provid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body so as to supply the air in the oblique direction to the wing portion of the airplan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 형식으로 송풍 공급부(50)를 구성하여 송풍을 공급할 때에는 송풍 공급부(50)가 빠르게 확장되면서 항공기의 날개 위치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공기를 공급하고, 항공기가 착륙면을 통과하면 착륙면 아래로 하강하여 착륙면을 다른 용도로 사용시 방해되는 요소가 없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10: 항공기
20: 항공기 착륙면
30: 자력공급부
40: 자력공급부 승하강수단
50: 송풍 공급부
60: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
70: 항공기 센싱수단
80: 제어부10: Aircraft
20: Aircraft landing surface
30: Magnetic power supplier
40: magnetic force supply unit up / down means
50:
60: Ventilating / supplying unit rising /
70: Aircraft sensing means
80:
Claims (3)
항공모함(1)의 일단에 배치되며 항공기(10)가 착륙하는 하기 위한 항공기 착륙면(20)과;
상기 항공기 착륙면의 측면에 설치되며 항공기의 바퀴면에 자력을 공급하여 항공기의 바퀴의 회전을 방해하여 서서히 멈추도록 유도하는 자력 공급부(30)와;
상기 항공기가 착륙할 때에만 자력 공급부를 가동하도록 자력 공급부를 승하강시키는 자력 공급부 승하강 수단(40)와;
상기 항공기 착륙면의 중간 지점에 일정갯수 설치되며 항공기의 착륙이 시작되면 컴퓨레셔로부터 전달받는 공기를 항공기의 전면에 제공하여 항공기 착륙지점의 공기 밀도를 높이도록 하는 송풍 공급부(50)와;
상기 항공기가 착륙할 때에만 송풍 공급부를 상승시키고 항공기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송풍 공급부를 지면 아래로 하강시키는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과;
상기 항공기의 착륙시 항공기의 통과지점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착륙면에 루프 코일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매설하여 이루어지며, 루프 코일을 통과하는 항공기의 바퀴 간격을 계산하여 항공기의 위치 및 속도를 판별하는 항공기 센싱수단(70)와;
상기 항공기 센싱수단(70)에 의해서 항공기(10)를 센싱하면 항공기가 위치할 다음 지점을 계산하여 그 지점에 존재하는 자력 공급부 승하강 수단(40)을 작동시켜 자력 공급부(30)를 승강시키고, 동시에 그 지점에 존재하는 송풍 공급부 승하강 수단(60)을 작동시켜 송풍 공급부(50)를 승강시키며, 또한, 자력 공급부(30)를 작동하여 항공기 바퀴(11)에 설치된 영구자석(12)과 반응하여 항공기가 서서히 멈추도록 유도하고, 또한 송풍 공급부를 작동하여 항공기의 전면에 차가운 강한 송풍을 제공토록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모함에서의 항공기 착륙 성능향상장치.An aircraft (10) comprising permanent magnets (1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a wheel (11);
An aircraft landing surface (20) disposed at one end of the aircraft carrier (1) for landing the aircraft (10);
A magnetic force supply unit 30 installed on a side of the aircraft landing surface and supplying magnetic force to a wheel surface of the aircraft to induce the rotation of the wheel of the aircraft to stop slowly and stop;
A magnetic force supply portion raising and lowering means (4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magnetic force supplying portion so as to operate the magnetic force supplying portion only when the aircraft landing;
A blowing and supplying unit 50 installed at a midway point of the aircraft landing surface and providing air to the front of the aircraft to increase the air density at the aircraft landing point when airplane landing starts;
A blowing / supplying section raising / lowering means (60) for raising the blowing supply section only when the aircraft landing and for lowering the blowing / supplying section down to the ground when an aircraft is not present;
A plurality of loop coil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landing surface for sensing the passing point of the aircraft when the aircraft landing, and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aircraft are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heels passing through the loop coil Aircraft sensing means (70);
When the aircraft 10 is sensed by the aircraft sensing means 70, the next point at which the aircraft is to be positioned is calculated and the magnetic force supply portion raising and lowering means 40 at that point is operated to raise and lower the magnetic force supply portion 30, At the same time, the air supply unit up / down means 60 at the point is operated to raise / lower the air supply unit 50, and the magnetic force supply unit 30 is operated to react with the permanent magnet 12 installed on the air wheel 11 And a control unit (80) for guiding the aircraft to gradually stop and controlling the air supply unit to provide cold strong blowing to the front of the aircraft.
상기 항공기(10)의 송풍 공급부(50)는 냉각장치를 더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컴퓨레셔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차갑게 유지시켜 항공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모함에서의 항공기 착륙 성능향상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ing and supplying part (50) of the aircraft (10) is further connected to a cooling device, and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compresor is kept cool to be supplied to the airplane.
상기 항공기(10)의 날개부분에 사선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토록 송풍 공급부의 송풍홀이 몸체의 사선방향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모함에서의 항공기 착륙 성능향상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ir blowing hole of an air blowing and supplying unit is installed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body so as to supply air in an oblique direction to a wing portion of the airplan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24449A KR101527568B1 (en) | 2014-02-28 | 2014-02-28 | A Plane Landing Improve Unit in Aircraft Carr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24449A KR101527568B1 (en) | 2014-02-28 | 2014-02-28 | A Plane Landing Improve Unit in Aircraft Carri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27568B1 true KR101527568B1 (en) | 2015-06-11 |
Family
ID=5350322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244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7568B1 (en) | 2014-02-28 | 2014-02-28 | A Plane Landing Improve Unit in Aircraft Carri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27568B1 (en)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79756B1 (en) | 2015-12-03 | 2017-09-19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Aircraft fixing device |
| US10509416B2 (en) * | 2015-04-30 | 2019-12-17 | SZ DJI Technology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landing a mobile platform via a magnetic field |
| CN113212782A (en) * | 2021-03-25 | 2021-08-06 | 上海空间电源研究所 | Ultra-short-distance landing system of fixed-wing unmanned aerial vehicle |
| WO2022080916A1 (en) * | 2020-10-15 | 2022-04-21 | 카페24 주식회사 | Device for supporting takeoff and landing of aerial vehicle |
| KR20220049785A (en) * | 2020-10-15 | 2022-04-22 | 카페24 주식회사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taking off and landing of flying object |
| KR20230026809A (en) | 2021-08-18 | 2023-02-27 | 양동규 | Ship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0163792A (en) * | 1984-02-03 | 1985-08-26 | Hitachi Zosen Corp | Offshore air port |
| JPH0516897A (en) * | 1991-07-09 | 1993-01-26 | Mitsubishi Heavy Ind Ltd | Taking off and landing aid system |
| JPH1199995A (en) * | 1997-09-29 | 1999-04-13 | Toshio Matsubara | Runway shortening ground run |
| KR20070057070A (en) * | 2003-12-15 | 2007-06-04 | 스티븐 설리번 | Method and apparatus for braking and manipulating landing gear |
-
2014
- 2014-02-28 KR KR1020140024449A patent/KR10152756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0163792A (en) * | 1984-02-03 | 1985-08-26 | Hitachi Zosen Corp | Offshore air port |
| JPH0516897A (en) * | 1991-07-09 | 1993-01-26 | Mitsubishi Heavy Ind Ltd | Taking off and landing aid system |
| JPH1199995A (en) * | 1997-09-29 | 1999-04-13 | Toshio Matsubara | Runway shortening ground run |
| KR20070057070A (en) * | 2003-12-15 | 2007-06-04 | 스티븐 설리번 | Method and apparatus for braking and manipulating landing gear |
Cited B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509416B2 (en) * | 2015-04-30 | 2019-12-17 | SZ DJI Technology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landing a mobile platform via a magnetic field |
| US11378982B2 (en) | 2015-04-30 | 2022-07-05 | SZ DJI Technology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landing a mobile platform via a magnetic field |
| KR101779756B1 (en) | 2015-12-03 | 2017-09-19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Aircraft fixing device |
| WO2022080916A1 (en) * | 2020-10-15 | 2022-04-21 | 카페24 주식회사 | Device for supporting takeoff and landing of aerial vehicle |
| WO2022080626A1 (en) * | 2020-10-15 | 2022-04-21 | 카페24 주식회사 | Device for supporting takeoff and landing of aerial vehicle |
| KR20220049785A (en) * | 2020-10-15 | 2022-04-22 | 카페24 주식회사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taking off and landing of flying object |
| KR102400867B1 (en) * | 2020-10-15 | 2022-05-24 | 카페24 주식회사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taking off and landing of flying object |
| CN113212782A (en) * | 2021-03-25 | 2021-08-06 | 上海空间电源研究所 | Ultra-short-distance landing system of fixed-wing unmanned aerial vehicle |
| KR20230026809A (en) | 2021-08-18 | 2023-02-27 | 양동규 | Ship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27568B1 (en) | A Plane Landing Improve Unit in Aircraft Carrier | |
| US12012227B2 (en) | Tram system and methods for autonomous takeoff and landing of aircraft | |
| CN105667768B (en) | A kind of unmanned plane rising and dropp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 |
| US8694238B2 (en) | Automated ground handling of aircraft | |
| CN104443357B (en) | Control interface for leading edge and trailing edge devices | |
| US9457909B2 (en) | Resistive-inductive de-icing of aircraft flight control surfaces | |
| CN105683044B (en) | For making device of the aircraft along ground moving | |
| EP3037345B1 (en) |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escent phase of an aircraft using aircraft avionics executing a descent algorithm | |
| ES2227095T3 (en) | SYSTEM TO AUTOMATICALLY OPERATE HYPERSUSTENT DIPSOSITIVES OF AN AIRCRAFT DURING DISPATCH. | |
| BR102017022759A2 (en) | AUTOMATIC BRAKING SYSTEM CONTROLLER | |
| WO2014168667A3 (en) | Aircraft thrust, assembly, and methods | |
| US20140345991A1 (en) | Active aircraft brake cooling system | |
| CN103224031B (en) | Fixed Wing AirVehicle landing gear | |
| JP2007145317A5 (en) | ||
| KR20190027374A (en) | Improvements to aircraft landing | |
| KR101912641B1 (en) | Flight Control Method for Precision Induction Parachute System with Automatic Mission Planning Algorithm | |
| CN102753440B (en) | A system for transferring aircraft on the ramp | |
| CN108082520A (en) | A kind of landing electromagnetic runway system of aircraft | |
| CN108058846A (en) | A kind of mobile model electromagnetic runway system | |
| CN107869100A (en) | A kind of electromagnetic runway system | |
| CN108082521A (en) | A kind of electromagnet track systems | |
| KR101862927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approach path of gliding object | |
| BR102018067469A2 (en) | AUTOMATIC CONTROL FOR SUPPORT CONTROL DEVICES | |
| CN1789080A (en) | Towed aerial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method thereof | |
| KR101438200B1 (en) | Dual type generation system using transportation equip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6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60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