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8095B1 - Hole plug - Google Patents

Hole plu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095B1
KR101528095B1 KR1020140008228A KR20140008228A KR101528095B1 KR 101528095 B1 KR101528095 B1 KR 101528095B1 KR 1020140008228 A KR1020140008228 A KR 1020140008228A KR 20140008228 A KR20140008228 A KR 20140008228A KR 101528095 B1 KR101528095 B1 KR 10152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dy member
outer peripheral
flange portion
plu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7009A (en
Inventor
가즈야 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97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0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09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3/00Covers or similar closure members for pressure vessels in general
    • F16J13/02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 F16J13/14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attached exclusively by spring action or elastic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과제) 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삽입부의 외주면에,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디 부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가짐으로써, 상기 공극 내로 용융 가능 부재가 용융되어 흘러들어가게 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결수단) 보디 부재(20)에 형성된 관통구멍(21)을 폐색하기 위한 홀 플러그(10)이다. 홀 플러그(10)는 플랜지부(50)와,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관통구멍(21)에 삽입되는 삽입부(60)와, 삽입부(60)에 장착되며 플랜지부(50)와 보디 부재(20)의 사이에 개재되는 용융 가능 부재(40)로 이루어진다. 삽입부(60)의 외주면에는 보디 부재(20)와 걸어 맞추기 위한 걸림부(64)와,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보디 부재(20)와의 사이에 공극(70)을 형성하는 리브(65)를 가지고, 상기 걸림부(64)에 대응되는 삽입부(60)의 바닥면에는 바닥면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박육부(薄肉部)(66)를 가지고, 상기 박육부(66)는 외주벽(61)의 하단부에 연접하는 바닥면의 외주연부에 위치되며, 걸림부(64)와의 관계에서는 외주벽(61)을 사이에 두고서 내주측에 위치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e plug having a rib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inserting portion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a flange portion and forming a gap between itself and a body member so that the meltable member melts and flows into the gap, And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hole plug can be improved.
A hole plug (10) for closing a through hole (21) formed in a body member (20). The hole plug 10 includes a flange portion 50 and an insertion portion 60 protruded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50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And a meltable member (40) interposed between the body member (50) and the body member (20). The engaging portion 64 is engaged with the body member 2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0 and the gap 70 is form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50 and the body member 20 And a thin portion 66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0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64. The thin portion 66 has a rib 65,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bottom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61 and loc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with respect to the engagement portion 64 with the outer peripheral wall 61 therebetween.

Description

홀 플러그{HOLE PLUG}Hole plug {HOLE PLUG}

본 발명은 보디 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폐색하기 위한 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삽입부의 외주면에,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디 부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가짐으로써, 상기 공극 내로 용융 가능 부재가 용융되어 흘러들어가게 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e plug for clos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body member and has a rib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a flange portion to form a gap between itself and the body member, And the sealing ability of the hole plug can be improved by allowing the meltable member to melt and flow.

종래에는 자동차의 보디 패널인 판형상 부재와 홀 플러그의 플랜지부의 사이에 용융 가능 부재를 개재하고서 밀봉하는 홀 플러그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의 2쪽 4란(우측) 8∼26행 및 도 4∼6 참조}.
Conventionally, a hole plug has been known in which a sealing member is sealed between a plate-like member, which is a body panel of an automobile, and a flange portion of a hole plug through a meltable member (see Patent Document 1, page 2, line 4 4 to 6}.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평07-14692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7-14692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홀 플러그에서는 용융 가능 부재와 홀 플러그의 삽입부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 가능 부재가 용융되어 흘러들어갈 간극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hole plu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gap in which the melted member is melted and flowed because the melted member and the inserting portion of the hole plug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그래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의 점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below.

〈청구항 1〉<Claim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aims at the following points.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보디 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폐색하기 위한 홀 플러그로서, 상기 홀 플러그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장착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보디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는 용융 가능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디 부재와 걸어 맞추기 위한 걸림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보디 부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가지고,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삽입부의 바닥면에는 바닥면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박육부(薄肉部)를 가지고, 상기 박육부는 외주벽의 하단부에 연접하는 바닥면의 외주연부에 위치되며, 걸림부와의 관계에서는 외주벽을 사이에 두고서 내주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삽입부의 외주면에,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디 부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극 내로 용융 가능 부재가 용융되어 흘러들어가게 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is a hole plug for clos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body member, the hole plug comprising: a flange portion; An insertion portion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molte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body member, the engaging portion being engaged with the body memb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a ri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and forming a gap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body member.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hin- And the thin wall portion is located at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bottom surface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and is position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with the outer peripheral wall therebetween in relation to th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sealing ability of the hole plug can be improved by allowing the meltable member to melt and flow into the gap by providing a rib that forms a gap between the member and the body member.

〈청구항 3〉<Claim 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is aimed at the following points in addition to the obj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or 2.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바닥면의 중앙부에 압압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is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attaching the hole plug by forming the pressing convex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청구항 4〉<Claim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is aimed at the following points in addition to the obj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or claim 2.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리브와 걸림부를 삽입부의 외주면에 교호로 배치함으로써, 리브와 걸림부의 역할 분담을 명확화하여 걸림부의 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is arranged such that the ribs and the engaging portions are arranged alternate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ng por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ecure the bending property of the engaging portion by clarifying the role sharing between the rib and the engaging portion.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Each of the inventions described in each claim is made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s, and the feature of each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또한, 괄호 내의 부호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부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ymbols in the parentheses indicate the code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 도면부호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도면부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Note that th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used for indicating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청구항 1〉<Claim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oints.

첫째로, 예를 들면 도 1∼도 3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에 형성된 관통구멍(21)을 폐색하기 위한 홀 플러그(10)이다.First, as shown in Figs. 1 to 3 and 23, for example, it is a hole plug 10 for closing a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body member 20. Fig.

둘째로, 홀 플러그(10)는, 예를 들면 도 1∼도 3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Second, the hole plug 10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3 and Fig.

(1) 플랜지부(50)(1) The flange portion (50)

(2) 삽입부(60)(2)

삽입부(60)는, 예를 들면 도 1∼도 3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관통구멍(21)에 삽입되는 것이다.The insertion portion 6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50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3 and Fig.

(3) 용융 가능 부재(40) (3) The meltable member (40)

용융 가능 부재(40)는, 예를 들면 도 1∼도 3, 도 17∼도 2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에 장착되며, 플랜지부(50)와 보디 부재(20)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다.The fusible member 40 is attached to the insertion portion 60 as shown in Figs. 1 to 3, 17 to 21, and 23, for example. The fusible portion 40 and the body member 20 .

셋째로, 삽입부(60)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도 5, 도 10, 도 11,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가진다.Thi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0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10, 11, 23, and 24.

(4) 걸림부(64)(4)

걸림부(64)는, 예를 들면 도 5, 도 1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와 걸어 맞추기 위한 것이다.The engaging portion 64 is for engaging with the body member 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11, and 23.

(5) 리브(65)(5) ribs (65)

리브(65)는, 예를 들면 도 5, 도 10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보디 부재(20)와의 사이에 공극(70)을 형성하는 것이다.5, 10, and 26, the ribs 65 ar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50 and form a gap 70 between the flange portion 50 and the body member 20.

〈청구항 2〉<Claim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oints 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즉, 삽입부(60)의 바닥면에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64)에 대응하는 둘레면에 박육부(66)를 형성하였다.9, a thin portion 66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64, for exampl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ng portion 60. As shown in Fig.

〈청구항 3〉<Claim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oints 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or claim 2.

즉,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에서 플랜지부(50)의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된 압압 볼록부(63)를 형성하였다.That is,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for example, a pressing convex portion 63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flange portion 50 is formed as shown in Fig.

〈청구항 4〉<Claim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oints 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or claim 2.

즉, 리브(65)와 걸림부(64)를, 예를 들면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의 외주면에 교호로 배치하였다.
That is, the ribs 65 and the engaging portions 64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as shown in Figs. 5 and 7, for example.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has the following effects.

〈청구항 1〉<Claim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삽입부의 외주면에,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디 부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가짐으로써, 상기 공극 내로 용융 가능 부재가 용융되어 흘러들어가게 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the molten member is melted and flowed into the gap by forming a rib which is elongated from the flange portion to the lower side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forms a gap between itself and the body member ,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hole plug can be improved.

〈청구항 2〉<Claim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걸림부에 대응하는 둘레면에 박육부를 형성함으로써, 걸림부를 휘어지기 쉽게 할 수 있어 홀 플러그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2, since the thin portion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can be easily bent and the workability of attaching the hole plug can be improved.

〈청구항 3〉<Claim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or claim 2,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바닥면의 중앙부에 압압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by forming the pressing convex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the workability of attaching the hole plug can be improved.

〈청구항 4〉<Claim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or claim 2,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브와 걸림부를 삽입부의 외주면에 교호로 배치함으로써, 리브와 걸림부의 역할 분담을 명확화하여 걸림부의 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4,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ribs and the engaging portion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roles of the ribs and the engaging portions and to secure the warping property of the engaging portions.

도 1은 홀 플러그를 구성하는 플러그 본체와 용융 가능 부재의 측면도 및 보디 부재의 측면도
도 2는 홀 플러그를 구성하는 플러그 본체와 용융 가능 부재의 사시도 및 보디 부재의 사시도
도 3은 홀 플러그 및 보디 부재의 측면도
도 4는 플러그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플러그 본체의 측면도
도 6은 플러그 본체의 평면도
도 7은 플러그 본체의 저면도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C부 확대도
도 11은 도 7의 D부 확대도
도 12는 용융 가능 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용융 가능 부재의 측면도
도 14는 용융 가능 부재의 평면도
도 15는 도 13의 E-E선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F부 확대도
도 17은 홀 플러그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홀 플러그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19는 홀 플러그의 측면도
도 20은 홀 플러그의 평면도
도 21은 홀 플러그의 저면도
도 22는 보디 부재의 측면도
도 23은 홀 플러그의 부착상태의 단면도
도 24는 보디 부재의 리브와 용융 가능 부재의 일부 확대도
도 25는 홀 플러그의 부착상태의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F-F선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보디 부재의 리브와 용융 가능 부재의 일부 확대도
1 is a side view of a plug main body and a fusible member constituting a hole plug and a side view of a body membe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main body and a fusible member constituting a hole plug and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member;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hole plug and body member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main body
5 is a side view of the plug main body
6 is a plan view of the plug main body
7 is a bottom view of the plug main body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in Fig. 7
1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in Fig. 7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ten member;
13 is a side view of the molten member;
14 is a plan view of the molten member
Fig. 1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13
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F in Fig. 14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e plug viewed from above,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e plug viewed from the lower side
19 is a side view of the hole plug
20 is a plan view of the hole plug
21 is a bottom view of the hole plug
22 is a side view of the body member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hole plug is attached
2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ribs of the body member and the molten member
Fig. 2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e plug is attached
2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25
27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ibs of the body member and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molten member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홀 플러그(10)의 구조〉&Lt; Structure of Hole Plug 10 &gt;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홀 플러그를 나타내며, 도 1∼도 3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에 형성된 관통구멍(21)에 삽입되어 당해 관통구멍(21)을 폐색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hole plug, which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body member 20 as shown in Figs. 1 to 3 and Fig. 23 to close the through hole 21 will be.

관통구멍(21)은, 도 1∼도 3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의 표면과 이면을 관통하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and Fig. 22, the through hole 2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passing through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member 20.

또한, 관통구멍(21)을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형이나 장원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through hole 2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may be formed into, for example, an ellipse or a rectangle.

홀 플러그(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le plug 10 is rough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parts. The following (1) and (2) will be described later.

(1) 플러그 본체(30)(1) The plug main body 30

(2) 용융 가능 부재(40)(2) The meltable member 40

또한, 홀 플러그(10)의 부품은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arts of the hole plug 1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1) and (2).

〈플러그 본체(30)〉<Plug main body 30>

플러그 본체(30)는, 도 1∼도 1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에 장착되며, 상기 관통구멍(21)을 후술하는 용융 가능 부재(40)와 협동하여 폐색하기 위한 것이다.The plug main body 30 is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21 of the body member 20 as shown in Figs. 1 to 11 and Fig. 23, and the through hole 21 is connected to the fusible member 40 To cooperate and block.

플러그 본체(30)는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또한, 플러그 본체(30)를 TPE에 의해서 성형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lug main body 30 has appropriate elasticity and rigidity, and is integrally molded by, for example, a thermoplastic elastomer (TPE). In addition, although the plug main body 30 is formed by TPE, it is not limited thereto.

플러그 본체(30)는, 도 4∼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s shown in Figs. 4 to 11, the plug main body 30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parts. The following (1) and (2) will be described later.

(1) 플랜지부(50)(1) The flange portion (50)

(2) 삽입부(60)(2)

또한, 플러그 본체(30)의 각 부분은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each part of the plug main body 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1) and (2).

〈용융 가능 부재(40)〉&Lt; Meltable member (40) &gt;

용융 가능 부재(40)는, 도 1∼도 3, 도 12∼도 2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에 장착되며, 플랜지부(50)와 보디 부재(20)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다.The molten member 40 is mounted on the inserting portion 60 as shown in Figs. 1 to 3, Figs. 12 to 21 and Fig. 23,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50 and the body member 20. [ .

용융 가능 부재(40)는 열연화성을 가지는 열연화성 수지, 예를 들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 수지(EVA)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또한, 용융 가능 부재(40)를 EVA에 의해서 성형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eltable member 40 is integrally molded by a thermally hardenable resin such as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EVA) having heat-hardenability. Further, although the meltable member 40 is formed by EVA, it is not limited thereto.

용융 가능 부재(40)는, 도 12∼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얇은 판형상이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링 형상 내지는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중심구멍(41)을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2 to 16, the meltable member 40 i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and when viewed from the top, is formed into a ring shape or a donut shape, and has a circular central hole 41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t its center .

중심구멍(41)의 내경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30)의 후술하는 삽입부(60)의 외경보다 한층 더 작게 설정하고 있다. 또, 용융 가능 부재(40)의 외경은,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30)의 후술하는 플랜지부(50)의 외경보다 한층 더 크게 설정하고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center hole 41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60 of the plug main body 30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19 and 20, the outer diameter of the molten member 40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50 of the plug main body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 용융 가능 부재(40)에는, 도 12, 도 13, 도 17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주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태브(tab)(42)를 형성하고 있다. 태브(42)는 용융 가능 부재(40)의 직경방향으로 1쌍 형성되며, 플랜지부(50)의 외주보다 크게 돌출되어 있다.12, 13, 17, and 20, a tab 42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thereof is formed in the meltable member 40. As shown in Figs. The tabs 42 are formed in a pai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eltable member 40 and project larger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50.

〈플랜지부(50)〉&Lt; Flange portion 50 &gt;

플랜지부(50)는, 도 4∼도 1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흡판(빨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융 가능 부재(40)를 사이에 두고서 보디 부재(20)의 표면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것이다.The flange portion 50 is formed substantially in the shape of a suction cup (sucker) as shown in Figs. 4 to 11 and Fig. 23, and is elastical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member 20 with the molten member 40 therebetween It is a touch.

플랜지부(50)는, 도 4∼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의 후술하는 원통형의 외주벽(61)의 상단부에서 보디 부재(20)의 표면으로 향해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4 to 9, the flange portion 50 extends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of a cylindrical outer peripheral wall 61 of the insertion portion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ward the surface of the body member 20.

〈삽입부(60)〉&Lt; Insertion part (60) &gt;

삽입부(60)는, 도 4∼도 1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에 삽입되는 것이다.The insertion portion 60 is formed to project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50 as shown in Figs. 4 to 11 and Fig. 23,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of the body member 20.

삽입부(60)는, 도 4∼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분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4 to 11, the inserting portion 60 has the following components.

또한, 다음의 (1)∼(6)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following (1) to (6) will be described later.

(1) 외주벽(61)(1) Outer wall 61

(2) 바닥벽(62)(2) the bottom wall (62)

(3) 압압 볼록부(63)(3) The pressing convex portion (63)

(4) 걸림부(64)(4)

(5) 리브(65)(5) ribs (65)

(6) 박육부(66)(6) Thin (66)

또한, 삽입부(60)의 각 부분은 상기한 (1)∼(6)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insertion portion 6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1) to (6).

〈외주벽(61)〉&Lt; Outer wall 61 &gt;

외주벽(61)은, 도 5 및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부가 플랜지부(50)에 연접되어 있다.The outer peripheral wall 61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s. 5 and 7 to 9,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lange portion 50. Fig.

외주벽(61)의 외경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의 내경과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다. 또, 외주벽(61)은,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61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1 of the body member 20 as shown in Fig. 5 and 8, the outer peripheral wall 61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gradually becoming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바닥벽(62)〉<Floor Wall 62>

바닥벽(62)은, 도 4 및 도 6∼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링 형상 내지는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연(外周緣)이 원통형의 외주벽(61)의 하단부에 연이어 형성된다.4 and 6 to 9, the bottom wall 62 is formed into a ring shape or a donut shape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wall 62 is formed i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ylindrical outer peripheral wall 61 Respectively.

〈압압 볼록부(63)〉<Pushing convex portion 63>

압압 볼록부(63)는, 도 4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되 바닥면에서 플랜지부(50)의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삽입부(60)를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에 압입할 때에 사용된다.4 and 9, the pressing convex portion 6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flange portion 50, and the insertion portion 60 is inserted into the body member 20 into the through-holes 21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20, 20.

압압 볼록부(63)는 그 상면이 폐색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가 링 형상 내지는 도너츠 형상의 바닥벽(62)의 내주연에 연이어 형성된다.The pushing convex portion 6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its upper surface closed, and the lower end portion thereof is formed continuously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ing-shaped or donut-shaped bottom wall 62.

〈걸림부(64)〉<Fastening portion 64>

걸림부(64)는, 도 5, 도 7, 도 9, 도 1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의 외주면에 위치하며, 보디 부재(20)와 걸어 맞추기 위한 것이다.5, 7, 9, 11, and 23, the engaging portion 64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0 and is engaged with the body member 20.

걸림부(6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벽(61)의 외주면에서 돌조 형상으로 돌출되며,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예를 들면 5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engaging portions 64 protrude in a rugged shap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61, and a plurality of (for example, five) engaging portions 64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s shown in Fig.

걸림부(64)는, 도 9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플랜지부(50)의 하면에서부터 하측으로 떨어져서 대향하고, 그 경사면을 하측으로 향하게 한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부(6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하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23, the engaging portion 6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cross-section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64 fac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50 to face downward, and the inclined surface faces downward. As shown in Fig. 5, the latching portion 6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gradually becoming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when viewed from the side.

또한, 걸림부(64)를 5개 형성하였으나, 적어도 배향되게 1쌍 이상 있으면 좋고, 2∼4개 혹은 6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ve latching portions 64 are formed, at least one pai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oriented at least, and two to four or six or more latching portions 64 may be formed.

〈리브(65)〉<Rib 65>

리브(65)는,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의 외주면에 위치하되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와의 사이에{즉, 삽입부(60)의 외주면과 관통구멍(21)의 내연부의 사이에} 공극(70)을 형성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5 and 8, the ribs 65 are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0 and ar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50, (That is,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0 and the inner edge of the through hole 21).

리브(65)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의 외주면에 걸림부(64)와 교호로 배치되며, 걸림부(64)와 마찬가지로 5개 형성되어 있다.5 and 7, five ribs 65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ng portion 60 with the engaging portions 64, and the ribs 65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ngaging portions 64.

리브(65)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플랜지부(50)의 하면에 연접되고, 하측으로 향해서 삽입부(60)의 높이의 도중까지 연장되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선상(線狀)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리브(65)의 돌출방향의 높이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일정하고, 그 하단부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8,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ib 65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50 and extends downward to the middle of the height of the insertion portion 60. As shown in Fig. 5, And extends in a line. The height of the rib 65 in the protruding direction is substantially constant as shown in Fig. 8, and the lower end of the rib 65 is gradually lowered.

〈박육부(薄肉部)(66)〉<Thin section (66)>

박육부(66)는, 도 4,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의 바닥면에 위치하되 걸림부(64)에 대응하는 둘레면에 형성되며, 걸림부(64)를 휘어지기 쉽게 하는 것이다.4, 6, and 9, the thin-wall portion 66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64 and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ng portion 60, and the engaging portion 64 It is easy to bend.

박육부(66)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벽(61)의 하단부에 연접하는 바닥벽(62)의 외주연부에 위치하며, 바닥벽(62)의 상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있다. 박육부(66)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외주벽(61)으로 향해서 넓어지는 부채꼴 형상 내지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박육부(66)는, 걸림부(64)와의 관계에서는 외주벽(61)을 사이에 두고서 내주측에 위치하며, 걸림부(64)와 마찬가지로 5개 형성되어 있다.9, the thin-wall portion 66 is located at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ottom wall 62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61, and the upper wall of the bottom wall 62 is recessed, .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thin-wall portion 66 is formed into a fan-like shape or a triangle that widens toward the outer peripheral wall 61 when viewed in plan. The thin-wall portion 66 is loc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portion 64 with the outer peripheral wall 61 interposed therebetween. Five of the thin-wall portions 66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ngaging portion 64.

또한, 박육부(66)를 걸림부(64)와 마찬가지로 5개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걸림부(64)를 1개씩 건너뛰어서 형성하는 등 걸림부(64)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하여도 좋다. 또, 리브(65)는 휨량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박육부(66)를 형성하지 않았으나, 리브(65)를 휘어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박육부를 형성하여도 좋다.The thin portions 66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ngaging portions 6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the thin portions 66 may be set to be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engaging portions 64 . Though the rib 65 has a relatively small bending amount, the thin portion 66 is not formed. However, in order to make the rib 65 easily bend, a thin portion may be formed.

〈홀 플러그(10)의 장착방법〉&Lt; Method of mounting the hole plug 10 &gt;

이어서, 상기 구성을 구비한 홀 플러그(10)를 사용하여, 도 17∼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을 폐색하는 장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mounting method for closing the through hole 21 of the body member 20 as shown in Figs. 17 to 21 will be described using the hole plug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ig.

우선, 플러그 본체(30)의 삽입부(60)에 용융 가능 부재(40)를 장착한다. 즉, 용융 가능 부재(40)의 중심구멍(41)에 플러그 본체(30)의 삽입부(60)를 맞추고서 끼워 넣는다.First, the fusible member 40 is mounted on the insertion portion 60 of the plug main body 30. That is, the insertion portion 60 of the plug main body 30 is aligned with the center hole 41 of the molten member 40, and is inserted.

플러그 본체(30)의 삽입부(60)를 끼워 넣으면, 용융 가능 부재(40)의 내경이 삽입부(60)의 외경보다 한층 더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60)가 중심구멍(41)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외측으로 벌리면서 끼워지게 된다. 이때, 용융 가능 부재(40)가 걸림부(64)를 타고 넘어서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64)에 의해서 용융 가능 부재(40)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fusible member 4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ng portion 60 when the inserting portion 60 of the plug main body 30 is inserted, And 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is insert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since the molten member 40 is fitted over the engaging portion 6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lten member 40 from coming off by the engaging portion 64.

또, 용융 가능 부재(40)는 플러그 본체(30)의 플랜지부(50)의 하측까지, 즉 플랜지부(50)와 맞닿는 위치까지 깊이 끼워지게 된다. The fusible member 40 is deeply f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50 of the plug main body 30, that is, to a position where it abuts the flange portion 50.

삽입부(60)를 끼워 넣는 힘을 해제하면, 용융 가능 부재(40)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서 그 중심구멍(41)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삽입부(6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됨으로써, 삽입부(6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center hole 4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0 due to the compression restoring force of the molten member 40 when the insertion force of the insertion portion 60 is released, ).

그 다음, 플러그 본체(30)의 삽입부(60)를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에 맞추고서 삽입한다. Then, the insertion portion 60 of the plug main body 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of the body member 20.

삽입부(60)를 삽입하면, 그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64)가 관통구멍(21)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맞닿게 된다.When the insertion portion 60 is inserted, the engaging portion 64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1.

이 상태에서 플러그 본체(30)의 압압 볼록부(63)를 손으로 밀어 넣으면, 걸림부(64)가 관통구멍(21)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눌려져서 박육부(66)의 개소가 휘어지게 됨으로써, 즉 삽입부(60)의 직경이 축소되게 됨으로써 걸림부(64)가 관통구멍(21)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When the pushing convex portion 63 of the plug main body 30 is pushed in by hand, the engaging portion 64 is pushed by 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1 and the portion of the thin wall portion 66 is bent That is,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60 is reduc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for the locking portion 64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21.

이와 동시에, 리브(65)가 관통구멍(21)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눌려져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어지게 됨으로써, 보디 부재(20)와의 사이에{즉, 삽입부(60)의 외주면과 관통구멍(21)의 내연부의 사이에} 공극(70)이 발생한다.At the same time, the rib 65 is pushed by 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1 to be bent as shown in Fig. 26, so that the rib 65 is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0 The air gap 70 is generated between the inner edge portions of the through holes 21.

걸림부(64)가 관통구멍(21)을 통과하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걸림부(64)가 복원(돌출)되어 보디 부재(20)의 이면(즉, 도 23에 있어서의 하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삽입부(60)가 관통구멍(21)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보디 부재(20)의 표면(즉, 도 23에 있어서의 상면)에는 용융 가능 부재(40)를 사이에 두고서 플랜지부(50)가 탄성적으로 맞닿게 된다.The engaging portion 64 is restored (protruded)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plug main body 30 as shown in Fig. 23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member 20 23),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60 does not come off from the through hole 21. At this time, the flange portion 50 elastically abuts on the surface of the body member 20 (that is, the upper surface in Fig. 23) with the meltable member 40 therebetween.

따라서, 보디 부재(20)는 플랜지부(50)와 걸림부(64)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협지되게 된다.Therefore, the body member 20 is resiliently held between the flange portion 50 and the engaging portion 64.

그리고,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 근방을 전체적으로 가열한다.Then, the vicinity of the through hole 21 of the body member 20 is entirely heated.

보디 부재(20)를 가열하면, 용융 가능 부재(40)가 용융되어 플랜지부(50)의 하면과 보디 부재(20)의 표면의 사이 및 삽입부(60)의 외주와 관통구멍(21)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사이로 용융 수지가 흘러들어가게 되고, 그 후 응고됨으로써, 플러그 본체(30)와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의 사이를 밀봉함과 아울러, 플러그 본체(30)를 보디 부재(20)에 고정한다.When the body member 20 is heated, the fusible member 40 is melted so as to be melted so as to fus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50 and the surface of the body member 20 an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ertion portion 6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hrough- The molten resin flows into the opening edge portion and then solidifies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plug body 30 and the through hole 21 of the body member 20 and to seal the plug body 30 to the body member 20).

또, 용융 수지는 삽입부(60)의 외주면과 관통구멍(21)의 내연부의 사이에 발생 한 공극(70)(도 26 참조)으로 흘러들어가서 상기 공극(70)을 폐색한다.The molten resin flows into the gap 70 (see FIG. 26) genera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0 and the inner edge of the through hole 21, thereby closing the gap 70.

또한, 용융 수지는 삽입부(60)의 외주면과 용융 가능 부재(40)의 관통구멍(21)의 내연부의 사이에 "간극"이 있으면, 이 "간극"으로도 흘러들어가서 이 "간극"을 폐색한다.If the molten resin has a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1 of the meltable member 40, the molten resin also flows into the "gap" do.

공극(70)으로 흘러들어간 용융 수지는, 그 후 응고됨으로써, 플랜지부(50)의 하면, 삽입부(60)의 외주면 및 보디 부재(20)의 표면에 밀착되며, 삽입부(60)의 외주면과 관통구멍(21)의 내연부의 사이를 밀봉함과 아울러, 보디 부재(20)에 대해서 플러그 본체(30)를 고정한다.The molten resin flowing into the gap 70 is then solidifi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50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0 and the surface of the body member 20,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21), and fixes the plug main body (30) to the body member (20).

또한, 용융 가능 부재(40)가 용융되어 연화되면, 플랜지부(50)가 초기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복원되기 때문에, 용융 수지가 플랜지부(50)와 관통구멍(21)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사이에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매우 적합하게 유지된다.Since the molten resin is elastically restored to the initial shape when the molten member 40 is melted and softened, the molten resin is prevented from being mixed with the molten resin between the flange portion 50 and 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1 It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and is maintained very appropriately.

이때, 플랜지부(50)의 복원력에 의해서 용융 수지가 압압되어 상기 플랜지부(50)와 관통구멍(21)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사이를 매우 적절하게 충색(充塞)되기 때문에, 양자의 사이를 확실하기 밀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lten resin is pres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lange portion 50 so that the flange portion 50 and 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1 are very appropriately colored (filled). Therefore, It can be sealed.

또한 실제로는, 보디 부재(20)가 자동차의 보디 패널인 경우, 디핑 도장의 건조시의 가열과정에서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용융 가능 부재(40)의 단독 가열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In fact, when the body member 20 is a body panel of an automobile, it is possible to omit the single heating step of the melting-enabling member 40 by simultaneously heating the dipping coating in the heating process during drying.

〈도 27의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of FIG. 27>

이어서, 도 2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도 24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리브(65)가 휘어지지 않고,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상태를 유지한 경우에도 용융 가능 부재(40)의 중심구멍(41)의 개구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공극(7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feature of this embodiment is that even when the ribs 65 are not b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24 and the protrude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27, the center hole 41 of the fusible member 40, The air gap 70 can be formed between 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and the opening edge portion.

즉,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의 내경이 큰 경우나 리브(65)의 강성이 높은 경우에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65)가 돌출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용융 가능 부재(40)의 중심구멍(41)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리브(65)를 타고 넘음으로써, 양자의 사이에 공극(70)이 발생한다. 발생한 공극(70)에는 가열시에 용융 가능 부재(40)의 용융된 용융 수지가 흘러들어가서 상기 공극(70)을 폐색함으로써 밀봉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1 of the body member 20 is large or the rigidity of the rib 65 is high, the ribs 65 maintain the projecting stat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center hole 41 of the meltable member 40 rides over the ribs 65, so that a gap 70 is generated between them. The molten resin of the molten member 40 flows into the generated gap 70 during the heating to close the gap 70, thereby exerting a sealing effect.

10 - 홀 플러그 20 - 보디 부재
21 - 관통구멍 30 - 플러그 본체
40 - 용융 가능 부재 41 - 중심구멍
42 - 탭 50 - 플랜지부
60 - 삽입부 61 - 외주벽
62 - 바닥벽 63 - 압압 볼록부
64 - 걸림부 65 - 리브
66 - 박육부 70 - 공극
10 - Hole plug 20 - Body member
21 - through hole 30 - plug body
40 - Fusible member 41 - Center hole
42 - tab 50 - flange portion
60 - insertion portion 61 - outer peripheral wall
62 - bottom wall 63 - pressing convex part
64 - fastening part 65 - rib
66 - Thin Wall 70 - Pore

Claims (4)

보디 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폐색하기 위한 홀 플러그로서,
상기 홀 플러그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장착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보디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는 용융 가능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디 부재와 걸어 맞추기 위한 걸림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보디 부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가지고,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삽입부의 바닥면에는 바닥면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박육부(薄肉部)를 가지고,
상기 박육부는 외주벽의 하단부에 연접하는 바닥면의 외주연부에 위치되며, 걸림부와의 관계에서는 외주벽을 사이에 두고서 내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플러그.
As a hole plug for clos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body member,
The hole plug comprising: a flange portion; An insertion portion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molten member mounted on the insertion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body member,
An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body member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a ri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and forming a gap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body member.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hin- Lt; / RTI &
Wherein the thin wall portion is located at an outer peripheral edge portion of a bottom surface that is connected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and is loc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with respect to the engagement portion with the outer peripheral wall therebetwee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된 압압 볼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플러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epressing convex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flange portion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와 상기 걸림부를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교호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플러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ib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KR1020140008228A 2013-01-28 2014-01-23 Hole plug Active KR10152809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12861 2013-01-28
JP2013012861A JP6067390B2 (en) 2013-01-28 2013-01-28 Hole pl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009A KR20140097009A (en) 2014-08-06
KR101528095B1 true KR101528095B1 (en) 2015-06-10

Family

ID=5122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228A Active KR101528095B1 (en) 2013-01-28 2014-01-23 Hole plug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67390B2 (en)
KR (1) KR101528095B1 (en)
CN (1) CN104937316B (en)
WO (1) WO201411587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6132B2 (en) * 2020-03-13 2024-03-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hole pl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6374U (en) * 1988-01-07 1989-07-18
JPH0932818A (en) * 1995-03-21 1997-02-04 Rapid Sa Stopper plug and its preparation
JP2012072896A (en) * 2010-09-03 2012-04-12 Nifco Inc Hole plu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67253A (en) * 1980-01-11 1981-07-22 United Carr Ltd Aperture plug
DE3713503C1 (en) * 1987-04-22 1988-01-14 United Carr Gmbh Trw Plastic cover
JPH0714692Y2 (en) * 1989-09-20 1995-04-10 株式会社ニフコ Hole plug
FR2682072B1 (en) * 1991-10-04 1997-04-18 Itw De France BONDING WELDING SHUTTER FOR PRACTICAL OPENING IN A SHEET, PARTICULARLY FOR AUTOMOTIVE BODYWORK.
EP1375308B1 (en) * 2002-06-19 2005-05-11 I.T.W. Espana, S.A. Plug for sealing orifices
DE10231274A1 (en) * 2002-07-10 2004-01-22 Newfrey Llc, Newark Plug for car bodywork has shaft which fits through aperture and flange at top with recess on its underside, into which ring of sealant is placed, rim of flange pressing against bodywork when plug is in position
US7048486B2 (en) * 2002-07-10 2006-05-23 Newfrey Llc Insert part for a wall opening, in particular on a vehicle body
JP4896679B2 (en) * 2006-11-24 2012-03-1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Hole plug
JP5243914B2 (en) * 2008-10-08 2013-07-24 株式会社ニフコ Hole plug
JP2011064296A (en) * 2009-09-18 2011-03-31 Nifco Inc Hole plug
ES2415758B1 (en) * 2011-06-20 2014-09-09 Illinois Tool Works, Inc. ORIFICE SHUTTER PL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6374U (en) * 1988-01-07 1989-07-18
JPH0932818A (en) * 1995-03-21 1997-02-04 Rapid Sa Stopper plug and its preparation
JP2012072896A (en) * 2010-09-03 2012-04-12 Nifco Inc Hole p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37316B (en) 2019-08-13
KR20140097009A (en) 2014-08-06
WO2014115877A1 (en) 2014-07-31
JP6067390B2 (en) 2017-01-25
JP2014145382A (en) 2014-08-14
CN104937316A (en)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166B2 (en) Hole plug
US9290210B2 (en) Hot melt plug
WO2014021274A1 (en) Hole plug
US20140182928A1 (en) Sealing element and connecting housing having a sealing element
JP2014070668A (en) Clip
JP2013048019A (en) Waterproof connector
JP2009181722A (en) Connector
BRPI1004785A2 (en) clamping bracket as well as disc set provided with such clamping bracket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uch a disc set
KR101800828B1 (en) Sealing plug
KR101528095B1 (en) Hole plug
JP5437090B2 (en) Method for producing lead-acid battery
JP5084641B2 (en) clip
US9209536B2 (en) Mounting structure for board connector
JP6285681B2 (en) Locking tool to mounting hole
WO2014088043A1 (en) Hole plug
JP2012256477A (en)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for substrate
CN207875789U (en) Body structure, caps for openings
JP2011012701A (en) Hole plug
KR20120132329A (en) Seal for electrolytic condenser and electrolytic condenser
JP2013112420A (en) container
JP2009290974A (en) Clamp
JP6530190B2 (en) Double cylinder
JP2020045023A (en) Vehicle roof structure
KR200469314Y1 (en) Socket for led bulb
JP3004932U (en) Writing instrument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