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595B1 - Inner injection type ozone water mixer for pipeline - Google Patents
Inner injection type ozone water mixer for pipel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9595B1 KR101529595B1 KR1020140165332A KR20140165332A KR101529595B1 KR 101529595 B1 KR101529595 B1 KR 101529595B1 KR 1020140165332 A KR1020140165332 A KR 1020140165332A KR 20140165332 A KR20140165332 A KR 20140165332A KR 101529595 B1 KR101529595 B1 KR 101529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water
- ozone
- main pipe
- ej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Landscapes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시설의 관로(19)에 연결되어 고농도 오존수를 관로(19)로 주입 및 혼합하는 오존수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로(19)와 연결되는 주관(10)에서 분기되는 분기관(20)과, 분기관(20)과 연결된 압송펌프(30)와, 압송펌프(30)에서 압송되는 분류 처리수에 오존을 혼합하여 고농도 오존수를 생성하는 이젝터(ejector)(40)와, 이젝터(40)의 배출구와 주관(10)을 연결하여 이젝터(40)에서 배출되는 고농도 오존수를 주관(10)으로 공급하는 재공급관(25)과, 주관(10)의 관벽에서 중심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노즐(60)과, 노즐(60)과 상기 재공급관(25)을 연결하는 횡단관(50)으로 구성되어, 이젝터(40)에 생성된 고농도 오존수를 주관(10)의 관벽이 아닌 중심부에서 분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관로(19)용 오존수 혼합장치에 있어서, 관로(19)내 처리수의 오존 혼합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처리수내 오존의 균일한 분포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 관로(19)용 오존수 혼합장치에 있어서 빈발하였던 처리수내 오존 용존량 편중 및 과잉 오존의 방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zonated water mixing apparatus connected to a conduit 19 of a water treatment facility for injecting and mixing high concentration ozonated water into a conduit 19 and comprises a branch pipe 20 branched from a main pipe 10 connected to the pipe 19, An ejector 40 that mixes the ozone with the classification treatment water fed from the feed pump 30 to generate high concentration ozonated water; A re-supply pipe 25 which connects the discharge port of the main pipe 10 to the main pipe 10 to supply the high concentration ozone water discharged from the ejector 40 to the main pipe 10 and a nozzle 60 and a transverse pipe 50 connecting the nozzle 60 and the re-supply pipe 25 so as to eject the high concentration ozonated water generated in the ejector 40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pipe 10,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arkably improve the ozone mixing efficiency of the treated water in the conduit 19 in the ozonated water mixing apparatus for the conduit 19 and can achieve a uniform distribution of ozone in the treated wat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xcessive amount of ozone dissolved in the treated water and the problem of the excessive ozone being emitted in the ozone water mixing apparatus for the conventional channel 19.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 시설의 관로(19)에 연결되어 고농도 오존수를 관로(19)로 주입 및 혼합하는 오존수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로(19)와 연결되는 주관(10)에서 분기되는 분기관(20)과, 분기관(20)과 연결된 압송펌프(30)와, 압송펌프(30)에서 압송되는 분류 처리수에 오존을 혼합하여 고농도 오존수를 생성하는 이젝터(ejector)(40)와, 이젝터(40)의 배출구와 주관(10)을 연결하여 이젝터(40)에서 배출되는 고농도 오존수를 주관(10)으로 공급하는 재공급관(25)과, 주관(10)의 관벽에서 중심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노즐(60)과, 노즐(60)과 상기 재공급관(25)을 연결하는 횡단관(50)으로 구성되어, 이젝터(40)에 생성된 고농도 오존수를 주관(10)의 관벽이 아닌 중심부에서 분출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zonated water mixing apparatus connected to a
각종 용수 정수시설 및 하, 폐수 처리시설 등에 구성되는 오존처리 시설 중 관로(19) 연결형 오존처리 시설은 처리수를 별도의 반응조에 체류시키지 않고 처리수의 이송 관로(19)에 오존을 직접 공급하는 배관 또는 고농도 오존수를 주입하는 배관을 접합하여 이송중인 관로(19)내 처리수에 오존을 혼합하는 것으로, 통상의 산업용 관로(19) 연결형 오존처리 장치는 관로(19)내 처리수 일부를 분류(分流)하는 분기관(20)을 관로(19)에 구성하고, 분류된 처리수에 오존을 혼합하여 일단 고농도 오존수를 형성한 후, 형성된 오존수를 관로(19)에 재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213819호를 들 수 있다.
Of the ozone treatment facilities constituted in various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and lower an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the ozone treatment facility connected to the
특허 제1213819호를 비롯한 종래의 관로(19) 연결형 오존처리 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처리수의 이송 관로(19)에 분기관(20), 압송펌프(30), 이젝터(40) 및 재공급관(25)을 연결 설치하여, 고농도 오존수 조제용 처리수를 분류하고 및 고농도 오존수를 조제하여 공급하게 된다.1, the conventional ozone treatment apparatus connected to the
즉, 종래의 관로(19) 연결형 오존처리 장치는 관로(19)에서 분기된 분기관(20)으로 이송중 처리수 일부가 분류되면, 압송펌프(30)가 분류된 처리수를 이젝터(40)로 압송하고, 오존이 공급되는 급기관(45)이 연결된 이젝터(40)는 압송된 처리수와 공급된 오존을 혼합하여 고농도 오존수를 생성하며, 이젝터(40)에서 배출된 고농도 오존수는 이젝터(40)와 관로(19)를 연결하는 재공급관(25)을 통하여 관로(19) 내부로 유입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ozonation apparatus connected to the
이렇듯, 관로(19)에 기체상태의 오존을 직접 공급하지 않고, 처리수 일부를 분리하여 일단 고농도 오존수를 생성한 후, 액체상태인 고농도 오존수를 관로(19)에 재공급함으로써, 관로(19)내 전체 처리수에 대한 가압 없이도 오존의 용해도를 확보할 수 있으나, 고농도 오존수의 관로(19) 공급을 관로(19)의 관벽과 직결된 단순 합류관 형식의 재공급관(25)을 통하여 수행하는 바, 처리수내 오존수의 관로(19) 전단면에 걸친 균일한 확산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us, the high-concentration ozonated water is once produced without removing the gaseous ozone directly to the
도 1에서와 같이, 재공급관(25)을 통하여 관로(19) 내부로 주입되는 고농도 오존수는 관로(19)의 관벽 내부 표면 인근에 일단 정체된 후 관로(19)의 중심측 확산성분만이 관로(19)내 처리수의 이송에 따라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바, 관로(19) 전단면에 걸친 신속한 균질 혼합을 기대할 수 없다.Concentration ozonated water injected into the
즉, 관로(19)내 처리수는 관로(19)의 중심부에서 관벽측으로 유속이 감소하는 유속분포를 가지며, 특히 관로(19)의 관벽 인접부에는 관벽 마찰로 인한 정체 수역이 형성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재공급관(25)이 관로(19)의 관벽에 직결된 단순 합류식 구조를 가지는 바, 재공급관(25)을 통하여 공급된 고농도 오존수가 관로(19) 전단면에 걸쳐 신속하게 확산되지 못할 뿐 아니라, 관로(19)로 공급된 고농도 오존수가 관로(19)의 횡단면상 일측 관벽에서 타측 관벽을 향한 일방향 확산만을 수행하게 되므로, 관로(19)내 오존 농도의 불균형이 유발되고, 처리수내 오존 용존량이 편중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treated water in the
특히, 이러한 처리수내 오존 용존량 불균형은 처리수의 살균 및 정수 등 처리효과의 저감을 수반할 뿐 아니라, 오존이 과도하게 편중된 부분에서는 과잉 오존의 방출 및 이로 인한 악취가 유발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Particularly, such imbalance in the dissolved amount of ozone in the treated water is accompanied not only by a reduction in treatment effects such as disinfection and purification of treated water, but also in a portion where ozone is excessively biased, causing a serious problem in which excessive ozone is released, do.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수처리 시설의 관로(19)에 연결되어 고농도 오존수를 관로(19)로 주입 및 혼합하는 관로(19)용 오존수 혼합장치에 있어서, 처리수가 이송되는 관로(19)에는 주관(10)이 연결되고, 주관(10)에는 처리수를 분류(分流)하는 분기관(20)이 형성되며, 분기관(20)에는 압송펌프(30)가 연결되고, 압송펌프(30)에는 오존이 공급되어 고농도 오존수를 생성하는 이젝터(40)가 연결되며, 이젝터(40)에는 주관(10)으로 고농도 오존수를 공급하는 재공급관(25)이 연결되되, 주관(10)의 관벽에서 중심측으로 이격되어 노즐(60)이 설치되고, 노즐(60)과 재공급관(25)을 연결하는 관체(管體)인 횡단관(50)이 주관(10)의 내부를 횡단하여 설치되어, 이젝터(40)에 생성된 고농도 오존수가 재공급관(25) 및 횡단관(50)을 거쳐 노즐(60)을 통하여 주관(10)의 중심부에서 분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분출식 관로용 오존수 혼합장치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zonated water mixing apparatus for a
또한, 상기 횡단관(50)은 주관(10)의 중심선을 축으로 대칭을 이루는 만곡면(51)이 형성되고 양단에 첨부(52)가 형성된 방추형(紡錘形) 단면을 가지며, 횡단관(50)과 재공급관(25)은 횡단관(50)측으로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는 점축관(26)으로 연결되어, 이젝터(40)에 생성된 고농도 오존수가 재공급관(25), 점축관(26) 및 횡단관(50)을 거쳐 노즐(60)을 통하여 주관(10)의 중심부에서 분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분출식 관로용 오존수 혼합장치이다.The
또한, 상기 주관(10)의 하류측 단에는 주관(10)과 동일한 직경의 확산관(70)이 연결되고, 확산관(70)의 내부에는 자유롭게 회전하는 한쌍의 스크류(71)가 확산관(70)과 동심(同心)으로 설치되며, 상기 한쌍의 스크류(71) 중 일측 스크류(71)의 회전익(72) 경사 방향과 타측 스크류(71)의 회전익(72) 경사 방향이 반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분출식 관로용 오존수 혼합장치이다.
A
본 발명을 통하여, 관로(19)용 오존수 혼합장치에 있어서, 관로(19)내 처리수의 오존 혼합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처리수내 오존의 균일한 분포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 관로(19)용 오존수 혼합장치에 있어서 빈발하였던 처리수내 오존 용존량 편중 및 과잉 오존의 방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markably improve the ozone mixing efficiency of the treated water in the
특히, 고농도 오존수를 방출하는 노즐(60)을 관로(19)와 연결된 주관(10)의 중심부에 배치함으로써, 공급된 고농도 오존수가 관로(19)의 횡단면상 일측 관벽에서 타측 관벽을 향한 일방향 확산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노즐(60)을 중심으로 방사상(放射狀)으로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주관(10) 및 관로(19)내 오존수의 신속한 균질 확산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by arranging the
도 1은 종래의 관로용 오존수 혼합장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대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관 발췌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중 노즐형 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중 노즐형 실시예 주관 발췌 사시도
도 8은 도 7 실시예의 주관 측면도
도 9는 스크류 내장 확산관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10은 도 9 실시예의 사용상태 대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ozonated water mixing apparatus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anatory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le nozz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nozzle typ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screw-
FIG. 10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representative sec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9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및 본 발명이 관로(19)에 연결되어 가동중인 상태를 도시한 대표 단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단이 개방된 관체(管體)인 주관(10)과, 주관(10)에서 분기되는 소구경 관체인 분기관(20)과, 분기관(20)과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압송펌프(30), 이젝터(ejector)(40) 및 재공급관(25)과, 관체 내부에 구성되는 횡단관(50) 및 노즐(60) 등으로 구성된다.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즉, 본 발명은 도 3에서와 같이, 주관(10)이 수처리 시설의 관로(19)에 연결되어 고농도 오존수를 관로(19)로 주입 및 혼합하는 관로(19)용 오존수 혼합장치로서, 처리수가 이송되는 관로(19)에는 주관(10)이 연결되고, 주관(10)에는 처리수를 분류(分流)하는 분기관(20)이 형성되며, 분기관(20)에는 압송펌프(30)가 연결되고, 압송펌프(30)의 토출구에는 이젝터(40)가 연결되며, 이젝터(40)의 배출구는 재공급관(25)을 통하여 주관(10) 내부의 횡단관(50)에 연결되고, 횡단관(50)은 주관(10) 중심부의 노즐(60)과 연결된다.3, the
압송펌프(30)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이젝터(40)는 벤츄리관 구조의 기액혼합장치로서, 도 2에서와 같이, 급기관(45)이 형성되고 이 급기관(45)에 오존발생장치가 연결되어 이젝터(40) 내부로 기체상태의 오존이 공급되며, 압송펌프(3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처리수와 급기관(45)으로 공급되는 오존이 혼합되어 고농도 오존수가 형성되어 배출된다.The
또한, 이젝터(40)에는 주관(10)으로 고농도 오존수를 공급하는 재공급관(25)이 연결되어, 주관(10)내 횡단관(50)으로 고농도 오존수가 공급되는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재공급관(25)에 밸브(23) 및 후술할 점축관(26)이 우선 연결되고, 점축관(26)의 배출단이 주관(10)의 관벽을 관통하여 주관(10) 내부의 횡단관(50)에 연결된다.Also, the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재공급관(25) 및 점축관(26) 사이 뿐 아니라, 압송펌프(30)와 분기관(20) 사이에도 밸브(23)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분기관(20)의 유출단 및 점축관(26)의 유입단을 개폐하게 되는데, 이들 밸브(23)는 본 발명의 운용상 분기관(20)을 통하여 주관(10)에서 분류되는 처리수의 유량 및 점축관(26)을 통하여 주관(10)으로 재공급되는 고농도 오존수의 유량의 조절 뿐 아니라, 주관(10)의 차단 없이도 분기관(20) 내지 점축관(26) 사이에 구성되는 압송펌프(30) 및 이젝터(40) 등의 유체기계의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2 and 3,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주관(10)의 내부에서 고농도 오존수를 분출하는 노즐(60)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주관(10)의 관벽에서 중심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동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노즐(60)이 주관(10)의 중심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노즐(60)에서 분출되는 고농도 오존수의 분출방향이 주관(10)내 처리수의 흐름과 일치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노즐(60)과 재공급관(25)을 연결하는 관체(管體)인 횡단관(50)이 주관(10)의 내부를 횡단하여 설치되어, 횡단관(50)이 고농도 오존수의 이송관 역할과 노즐(60)의 지지체 역할을 겸비하고 있으며, 동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젝터(40)에서 배출된 고농도 오존수가 재공급관(25), 밸브(23) 및 점축관(26)을 경유하여 횡단관(50)으로 유입된 후, 노즐(60)을 통하여 주관(10) 중심부에서 배출된다.2 and 4, a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횡단관(50)은 주관(10) 내부 중심부를 횡단하여 설치되는 바, 주관(10)내 통수단면적의 잠식이 불가피하며, 주관(10)내 처리수 흐름의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발췌 부분절단 확대부에서와 같이, 횡단관(50)의 단면 형상을 방추형(紡錘形)으로 형성하여, 횡단관(50)내 고농도 오존수의 통수능(通水能)과 노즐(60)을 지지하는 구조적 강성은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처리수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4, the
즉, 도 3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주관(10)내 처리수 흐름상 상류단과 하류단에 각각 첨부(尖部)(52)가 형성되고, 이들 첨부(52)를 연결하는 만곡면(51)이 대칭으로 형성된 방추형 단면의 횡단관(50)을 설치함으로써, 횡단관(50) 설치 지점에서의 주관(10)내 통수단면적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고, 횡단관(50) 설치 지점에서의 주관(10)내 처리수 유선(流線)의 곡률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5, which is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이렇듯, 본 발명의 주관(10)내 설치되는 횡단관(50)은 도 5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도면상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주관(10)의 중심선을 축으로 대칭을 이루는 만곡면(51)이 형성되고 양단에 첨부(52)가 형성된 방추형 단면을 가지고, 재공급관(25)과 연결되어 고농도 오존수를 노즐(60)로 공급하게 되는데, 횡단관(50)은 재공급관(25) 및 재공급관(25)과 연결되는 밸브(23)에 비하여 단면적이 축소되는 바, 급격한 단면적 축소로 인한 수두(水頭)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단관(50)과 재공급관(25)은 횡단관(50)측으로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는 점축관(26)으로 연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즉,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관(50)은 상류측 첨부(52)와 하류측 첨부(52)간 폭은 재공급관(25) 및 밸브(23) 배출구측 관경과 일치하나 만곡부 사이의 두께는 재공급관(25) 및 밸브(23) 배출구측 관경보다 축소되는 바, 유입구측 관경 및 형상은 재공급관(25) 및 밸브(23) 배출구측과 일치하고, 유입구측에서 유출구측으로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어, 유출구측 관경 및 형상은 횡단관(50)과 일치하는 점축관(26)을 구성하여, 횡단관(50)에 연결하는 것이다.2 and 4, the width of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중 노즐(60)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2개의 노즐(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2개의 노즐(60)은 주관(10)의 중심을 횡단하는 횡단관(50)에 동반 설치되며, 각각의 노즐(60)은 주관(10)의 중심축을 축으로 상호 대칭을 이룬다.6 shows a multi-nozzle 60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wo
또한, 도 7은 총 4개의 노즐(60)이 구성된 다중 노즐(60)형 실시예에 있어서, 주관(10)을 발췌하여 도시한 것으로, 동 실시예 주관(10)의 사시도인 도 7을 기준으로 우측면을 도시한 도 8에서와 같이, 각 노즐(60)의 중심과 주관(10)의 중심을 연결한 선분은 주관(10)의 중심축을 축으로 등각(等角)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되며, 각 노즐(60)의 중심은 주관(10)과 동심원의 단일 원주상에 위치하게 된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이렇듯, 다수의 노즐(60)을 등각 방사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주관(10)내 분출되는 오존수의 편중을 방지하고, 처리수내 오존의 균일한 혼합이 가능하다.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한편, 도 9 및 도 10은 전술한 본 발명 주관(10)의 하류측 단에 스크류(71)가 내장된 주관(10)과 동일한 직경의 확산관(70)을 연결하여 처리수내 오존수의 혼합 효율을 극대화한 것으로, 도 9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확산관(70)의 내부에는 자유롭게 회전하는 한쌍의 스크류(71)가 확산관(70)과 동심(同心)으로 설치되며,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한쌍의 스크류(71) 중 일측 스크류(71)의 회전익(72) 경사 방향과 타측 스크류(71)의 회전익(72) 경사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 것이다.9 and 10 illustrate the mixing efficiency of the ozonated water in the treatment water by connecting the
이러한, 스크류(71) 내장 확산관(70)을 통하여, 주관(10)과 연결된 확산관(70)내 처리수의 흐름에 따라 스크류(71)의 회전이 유발되어 처리수내 고농도 오존수의 균일하고 신속한 확산이 유도되며, 도 10에서와 같이, 확산관(70)내 상류측 스크류(71)와 하류측 스크류(71)의 회전익(72) 경사를 상호 반대로 부여함으로써, 이들 상류측 스크류(71)와 하류측 스크류(71)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형성하여, 일층 원활하고, 신속하며, 균일한 오존수 혼합이 가능하게 된다.
The rotation of the
10 : 주관
19 : 관로
20 : 분기관
23 : 밸브
25 : 재공급관
26 : 점축관
30 : 압송펌프
40 : 이젝터
45 : 급기관
50 : 횡단관
51 : 만곡면
52 : 첨부
60 : 노즐
70 : 확산관
71 : 스크류
72 : 회전익10: Organized
19: Pipeline
20: Branch engine
23: Valve
25: re-supply pipe
26:
30:
40: Ejector
45:
50: Cross tube
51: curved face
52: Attachment
60: Nozzle
70: diffusion tube
71: Screw
72: Rotor blade
Claims (3)
상기 횡단관(50)은 주관(10)의 중심선을 축으로 대칭을 이루는 만곡면(51)이 형성되고 양단에 첨부(52)가 형성된 방추형(紡錘形) 단면을 가지며;
횡단관(50)과 재공급관(25)은 횡단관(50)측으로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는 점축관(26)으로 연결되어;
이젝터(40)에 생성된 고농도 오존수가 재공급관(25), 점축관(26) 및 횡단관(50)을 거쳐 노즐(60)을 통하여 주관(10)의 중심부에서 분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분출식 관로용 오존수 혼합장치.An ozone water mixing device connected to a conduit (19) of a water treatment facility for injecting and mixing high concentration ozonated water into a conduit (19), wherein a main pipe (10) is connected to the conduit (19) The branch pipe 20 is connected to a feed pump 30 and the feed pump 30 is supplied with ozone to generate high concentration ozonated water And the ejector 40 is connected to the ejector 40. The ejector 40 is connected to a re-supply pipe 25 for supplying highly concentrated ozonated water to the main pipe 10, and the nozzle 60 is installed apart from the pipe wall of the main pipe 10, And a transverse pipe 50 which is a tube for connecting the nozzle 60 and the re-supply pipe 25 is provided across the inside of the main pipe 10 so that the high concentration ozonated water produced in the ejector 40 An ozone water spray nozzle for spraying an inner spray pipe for spraying water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pipe 10 through a nozzle 60 via a supply pipe 25 and a transverse pipe 50, In the device,
The transverse pipe 50 has a spindle-shaped cross section in which a curved surface 51 is formed symmetrically about the center line of the main pipe 10 and an attachment 52 i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he transverse pipe (50) and the re-supply pipe (25) are connected to the point tube (26) whose 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transverse pipe (50) side;
Concentration ozone water generated in the ejector 40 is ejec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pipe 10 through the nozzle 60 via the re-supply pipe 25, the point shaft pipe 26 and the transverse pipe 50, Mixing device for ozonated water for pipelin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65332A KR101529595B1 (en) | 2014-11-25 | 2014-11-25 | Inner injection type ozone water mixer for pipel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65332A KR101529595B1 (en) | 2014-11-25 | 2014-11-25 | Inner injection type ozone water mixer for pipelin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29595B1 true KR101529595B1 (en) | 2015-06-18 |
Family
ID=5351923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65332A Active KR101529595B1 (en) | 2014-11-25 | 2014-11-25 | Inner injection type ozone water mixer for pipelin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29595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59013B1 (en) | 2017-02-27 | 2018-05-18 | 주식회사 엔케이비엠에스 |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52785Y1 (en) * | 2004-03-20 | 2004-06-22 |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 Instantaneous intermixture apparatus with high efficiency |
| KR100687704B1 (en) * | 2005-07-22 | 2007-03-02 | 에스아이비(주) | Ozone input device for water treatment and method |
| KR100979268B1 (en) * | 2008-07-01 | 2010-09-01 | (주) 시온텍 | Water treatment device by high efficiency advanced oxidation process |
| KR20140073021A (en) * | 2012-12-06 | 2014-06-16 | 주식회사 그린이엔지 | Vent tube with ozone treatment means |
-
2014
- 2014-11-25 KR KR1020140165332A patent/KR10152959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52785Y1 (en) * | 2004-03-20 | 2004-06-22 |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 Instantaneous intermixture apparatus with high efficiency |
| KR100687704B1 (en) * | 2005-07-22 | 2007-03-02 | 에스아이비(주) | Ozone input device for water treatment and method |
| KR100979268B1 (en) * | 2008-07-01 | 2010-09-01 | (주) 시온텍 | Water treatment device by high efficiency advanced oxidation process |
| KR20140073021A (en) * | 2012-12-06 | 2014-06-16 | 주식회사 그린이엔지 | Vent tube with ozone treatment mean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59013B1 (en) | 2017-02-27 | 2018-05-18 | 주식회사 엔케이비엠에스 |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779864B2 (en) | Infusion/mass transfer of treatment substances into substantial liquid flows | |
| US6568661B1 (en) | Diffuser for use in a carbonic acid control system | |
| RU2007144330A (en) | SPRAY NOZZLE, SPRAY INSTALL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SPRAY NOZZLE AND SPRAY INSTALLATION | |
| US9931602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increasing the mass transfer of a treatment substance into a liquid | |
| US5183335A (en) | Hydraulic jet flash mixer with flow deflector | |
| CN102182492A (en) | Underground dust-removing foam generator and foam dust-removing equipment | |
| KR101834909B1 (en) | Ozone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Lower Energy | |
| TW202011798A (en) | Micro bubble generation device | |
| JP2013184152A (en) | Gas-liquid mixing t-joint | |
| KR101529595B1 (en) | Inner injection type ozone water mixer for pipeline | |
| JP2016074209A5 (en) | ||
| KR20140065745A (en) | Forced fluids collision injection type micro bubble instrument | |
| CN105565448A (en) | Microbubble generator | |
| RU2508477C1 (en) | Device to inject low-pressure gas into fluid flow | |
| US2014008395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Mass Transfer of Reactants Entrained Within a Separate Gas Phase Into a Separate Flowing Liquid Phase | |
| CN113242828B (en) | water treatment equipment | |
| CN105060475A (en) | Jet mixing water distributing stirring device | |
| US8561972B2 (en) | Low pressure gas transfer device | |
| KR100745658B1 (en) | Vortex Forming Nozzle | |
| US11628411B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o oxygenate water | |
| KR101024323B1 (en) | Gas dissolution reactor | |
| JP2015196152A (en) | Nozzle tube unit and cleaning device using the same | |
| RU2180711C1 (en) | Multi-stage jet apparatus | |
| AU2009258142B2 (en) | Rapid transfer and mixing of treatment fluid into a large confined flow of water | |
| JP7223768B2 (en) | Composition and use for introducing gas into the main medium, especially in wastewater treat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