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756B1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to control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to control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8756B1 KR101538756B1 KR1020140073053A KR20140073053A KR101538756B1 KR 101538756 B1 KR101538756 B1 KR 101538756B1 KR 1020140073053 A KR1020140073053 A KR 1020140073053A KR 20140073053 A KR20140073053 A KR 20140073053A KR 101538756 B1 KR101538756 B1 KR 1015387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wave
- control information
- frequency
- external device
- symb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결정하되, 제어 정보는 제 1 심볼 및 제 2 심볼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정보 결정부,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파 데이터 생성부, 및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 때, 음파 데이터 생성부는 제 1 심볼에 대응하는 제 1 주파수를 결정하고, 제 2 심볼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를 결정하고,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며, 음파 데이터는 제 1 주파수에 대응하는 부분과 제 2 주파수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한다.The mobile device includes an input receiver for receiving one or more inputs via a user interface,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one or more inputs, wherein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symbol and a second symbol A control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a sound wave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that outputs sound waves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ound wave data through the sound wave generation device. At this time, the sound wave data generator determines the first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ymbol, determines the second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ymbol, generates the sound wave data based on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The sound wave data include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Description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가 포함된 음파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A device and a method for outputting a sound wave including control information for an external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최근, 인터넷 접속 기능을 내장한 냉장고, 세탁기, 오븐, 청소기, 에어컨, TV 등의 스마트 가전 제품이 등장하였으며, 이러한 스마트 가전 제품이 점차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가전 제품은 새로운 조리법이나 세탁 방법이 추가되는 경우, 온라인을 통해 해당 기능을 업데이트 할 수 있고, 외부에서 원격으로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순한 냉장 또는 냉동 기능 외에, 인터넷을 통한 쇼핑, 식료품 관리 등의 기능을 갖춘 냉장고 등이 있을 수 있다. Recently, smart home appliances such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 oven, a vacuum cleaner, an air conditioner, and a TV having an internet connection function have appeared, and such smart home appliances are gradually becoming popular. These smart appliances can be updated online when new recipes or washing methods are added, or they can be remotely checked from outside. For example, in addition to a simple refrigeration or freezing function, there may be a refrigerator having functions such as shopping through the Internet, food product management, and the like.
한편, 이러한 스마트 가전 제품은 인터넷 접속 및 다른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위해서 홈 네트워크 상에서 무선 공유기 등의 AP(Access Point)와의 접속이 필수적이다. 다만, 현재의 스마트 가전은 화면 및 입력장치의 제약, 하드웨어의 사양, 소프트웨어의 사양 등의 이유로 기능이 제한적으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데이터의 입력이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홈 네트워크 상의 무선 공유기와의 접속 없이 스마트 가전 제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89854호에는 외부 인터넷과 연결되는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teroperate with Internet access and other devices, such a smart home appliance is required to connect to an access point (AP) such as a wireless router on a home network. However, current smart home appliances have a disadvantage that input of data for network setting is complicated and cumbersome because of limited functions due to restriction of screen and input devices, hardware specifications, software specifications, and the lik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smart home appliance without connection to a wireless router on the home network.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089854 discloses a system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ousehold appliances using a home gatewa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net.
별도의 무선 접속 장치를 통한 네트워크의 연결 없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가전 기기 등의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고자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된 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It is desi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home appliance through a mobile device without a network connection through a separate wireless connection device.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sound wave data output through the mobile devic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be presen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제 1 심볼 및 제 2 심볼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정보 결정부,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파 데이터 생성부, 및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파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 1 심볼에 대응하는 제 1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심볼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고, 상기 음파 데이터는 상기 제 1 주파수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제 2 주파수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at least one input, Wherein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symbol and a second symbol, a sound wave data generation section that generates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and a sound wave generation section that generates the sound wave Wherein the sound wave data generation unit determines a first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ymbol, determines a second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ymbol, and outputs the second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And generating the sound wave data based on the second frequency, wherein the sound wave data is generated from the first frequency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where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제 1 심볼 및 제 2 심볼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심볼에 대응하는 제 1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심볼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고, 상기 음파 데이터는 상기 제 1 주파수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제 2 주파수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음파 출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comprising receiving at least one input via a user interface, determin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at least one input, Generating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and outputting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ound wave data through the sound wave generator, wherein the sound wave data generating means generates the sound wave data Determining a first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ymbol, determining a second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ymbol, and generating the sound wave data based on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And the sound wave data include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It can provide a file output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부, 음파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 정보 획득부, 획득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음파의 제 1 부분에 대응하는 제 1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음파의 제 2 부분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심볼과 상기 제 2 심볼의 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인,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sound wav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ound wave output from a mobile device through a sound wave receiving apparatus, a control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an ID of the device using a sound wave, Wherein the control information obtaining unit determines the first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rtion of the sound wave, and determines the second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sound wave, Generates a first symbol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generates a second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and generates th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symbol and the second symbol To obtain a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 상기 동작과 관련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상태 정보는 제 1 심볼 및 제 2 심볼을 포함하는 것인, 상태 정보 생성부,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파 데이터 생성부 및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파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 1 심볼에 대응하는 제 1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심볼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고, 상기 음파 데이터는 상기 제 1 주파수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제 2 주파수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the apparatus comprising: an operation performing unit operable to perform an operation of the device; and genera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device related to the operation,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 first symbol and a second symbol. A sound wave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and a sound wav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ound wave data through a sound wave generator, Determining a first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first symbol, determining a second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ymbol, and generating the sound wave data based on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Comprise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음파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작 수행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음파의 제 1 부분에 대응하는 제 1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음파의 제 2 부분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심볼과 상기 제 2 심볼의 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인,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sound wav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ound wave output from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ing apparatus; and a control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control information using the received sound wave, And the control information obtaining unit determines the first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rtion of the sound wave and determines the second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sound wave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a first symbol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generating a second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and obtaining th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symbol and the second symbol Lt; / RTI >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동작과 관련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상태 정보는 제 1 심볼 및 제 2 심볼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는 단계 포함하되, 상기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심볼에 대응하는 제 1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심볼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고, 상기 음파 데이터는 상기 제 1 주파수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제 2 주파수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음파 출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comprising: performing an operation of a device, gen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evice, wherein the state information comprises a first symbol and a second symbol; Generating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and outputting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ound wave data through the sound wave generator,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sound wave data includes generating first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symbol Determining a second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ymbol, and generating the sound wave data based on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wherein the sound wave data corresponds to the first frequency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결정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된 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접속 장치를 통한 네트워크의 연결 없이도,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 등의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user's input. The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determined through the mobile device can be generated.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can be controlled using the sound wave data output through the mobile device.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home appliance can be controlled by using the mobile device without connecting the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connec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음파를 디코딩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음파를 디코딩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7b는 음파를 디코딩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음파를 디코딩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rom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generating sound wave data.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decoding a sound wave.
6 is an operational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of decoding a sound wave.
7A to 7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decoding a sound wave.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of decoding a sound wave.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sound 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further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ame scope of the invention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10) 및 외부 디바이스(20)를 포함한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device control system includes a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특정 위치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20) 중 로봇 청소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를 부채와 같이 흔드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에어컨을 동작시키는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The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고,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기 결정된 로봇 청소기를 동작 시키는 제어 정보 및 로봇 청소기의 아이디를 음파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스피커를 통해 인코딩된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The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외부 디바이스(20)의 제어 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결정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20)와 연결되어 결정된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 하는 제어 정보와 관련하여 상세 온도 등의 부가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20)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The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외부 디바이스(2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 외부 디바이스(20)로부터 출력된 음파는 외부 디바이스(2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태 정보는 현재 상태 또는 고장 진단 정보 중 하나 이상이다. 현재 상태의 일 예는 외부 디바이스(20)의 온/오프, 전원 사용 상태, 동작 시간 등을 포함하며, 고장 진단 정보의 일 예는 이상 징후 발생 정보, 에러 코드, 고장 부위 정보 등을 포함한다. The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between each node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One example of such a network is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 A WAN (Wide Area Network), a PAN (Personal Area Network), a Bluetooth (Bluetooth), a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Networks, satellite broadcast networks, analog broadcast network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s, and the like.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LTE(Long Term Evolution)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개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원에서 이야기하는 발신 단말(20) 및 수신 단말(30)의 종류 및 형태가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the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다시 한번 자세히 설명된다. The operation of the
외부 디바이스(20)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파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디바이스(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인코딩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운드 코드를 디코딩하여 제어 정보 및 외부 디바이스(20)의 아이디를 획득할 수 있다. The
외부 디바이스(20)는 외부 디바이스(20)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의 대상을 확인하고,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외부 디바이스(20)는 네트워크 기능을 연결하고, 서비스 제어 기능을 탑재하여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가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가전은 자동적으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정이 가능하며, 통신 기능을 내장한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오븐, 전자레인지 등의 가전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개시된 외부 디바이스(20)의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원에서 이야기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 및 형태가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외부 디바이스(20)는 외부 디바이스(20)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 동작과 관련하여 외부 디바이스(2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0)는 출력한 음파에 대응하는 응답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The
외부 디바이스(20)의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This operation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입력 수신부(101), 제어 정보 결정부(102),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 출력부(104), 통신부 및 표시부(106)를 포함한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입력 수신부(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인터페이스,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및 모션을 인식하는 인터페이스, 터치 패널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 및 음성 인식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예를 들면, 입력 수신부(101)는 터치 패널을 통해 화면을 드래그 하거나 원을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를 부채와 같이 흔드는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입력 수신부(101)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다른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시에 음성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제어 정보 결정부(102)는 입력 수신부(101)를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 정보 결정부(102)는 터치 패널을 통해 화면을 드래그 하거나 원을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20) 중 로봇 청소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를 부채와 같이 흔드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에어컨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제어 정보의 일 예는 외부 디바이스(20) 전원의 온오프, 외부 디바이스(20) 중 냉장고의 온도 조절, 에어컨의 작동 시간 조절, 로봇 청소기의 이동 경로 조정, 전자 레인지의 작동 시간 조절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제어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The control
제어 정보 결정부(102)는 외부 디바이스(2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된 음파는 외부 디바이스(2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정보 결정부(102)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 결정부(102)는 외부 디바이스(2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스스로 또는 별도의 고장 진단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결정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멀티 톤(Multi tone) 기반의 인코더를 통해 결정된 제어 정보를 사운드 코드인 음파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멀티 톤 기반의 인코더는 문자의 정보량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최대 64개의 문자 및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멀티 톤 기반의 인코더는 주변 간섭에 강하고 많은 정보 표현이 가능한 200Hz 간격의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으며, 헤더, 바디, 에러 정정의 프로토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sound wave data generation section (103) generates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ntro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ound wave
다른 예에서,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비가청 대역을 이용하는 인코더를 통해 제어 정보를 음파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비가청 대역을 이용하는 인코더는 비가청 대역의 퓨어 톤(Pure tone) 합성을 통해 잡음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인식률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도 설명하겠으나,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사운드 신호 또는 사운드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퓨어 톤 기반의 인코딩 이라고 표현되고, 둘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사운드 신호 또는 사운드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멀티 톤 기반의 인코딩이라고 표현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sound wave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에서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결정된 제어 정보를 주파수 별로 매핑하고, 이를 비가청 대역의 퓨어 톤과 합성하여 소정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정 코드에 오류 정정 부호를 갖는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비가청의 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어 정보를 주파수 별로 매핑하고, 오류 정정 부호를 갖는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생성된 비가청의 음파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에어컨에 전송 중 입니다" 라는 음성 신호 또는 음악과 합성된 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음파 데이터는 사운드 코드, 사운드 QR 코드 등으로 혼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In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sound wave data in the sound wave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어 정보 및 외부 디바이스(20)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외부 디바이스(20)는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 중 음파의 목적지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외부 디바이스(20)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원하는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 중 냉장고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음파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장고만을 제어할 외부 디바이스(20)로 선택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부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한 복수의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결합시킴으로써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제어 정보는 복수의 부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부분 정보는 제어 정보에 포함된 심볼일 수 있다. 부분 정보 또는 심볼의 일 예는 'ㄱ', 'a'와 같은 문자, '1', '2'와 같은 숫자 및 기호(또는 부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또한, 문자는 숫자 및 기호(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영숫자, 알파뉴메릭(alphanumeric) 캐릭터가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eces of partial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partial information may be a symbol includ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One example of a partial information or symbol is at least one of a letter such as 'a', 'a', a number such as '1', '2', and a symbol (or sign). In addition, letters can be used as a superordinate concept including numbers and symbols (or symbols), and also alphanumeric, alphanumeric characters can be used as superordinate concepts including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and symbols have.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복수의 부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비가청 음파 대역 주파수인 16000 Hz 내지 21000 Hz 사이의 총 대역폭 5000 Hz를 200 Hz 단위로 분리함으로써, 25개의 주파수를 구분한 후, 구분한 25개의 주파수 각각을 25개의 부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결정한다.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예를 들어, 제어 정보 'AB2@' 중 제 1 심볼 'A'의 주파수를 16000 Hz로 결정하고, 제 2 심볼 'B'의 주파수를 16200 Hz로 결정하고, 제 3 심볼 '2'의 주파수를 16400 Hz로 결정하고, 제 4 심볼 '@'의 주파수를 17000 Hz로 결정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 1 심볼에 대응하는 제 1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심볼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심볼과 제 2 심볼은 제어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의미 있는 데이터(예를 들어, 제어 정보)는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에 의하여 복수의 심볼 각각에 매핑되며, 복수의 심볼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각각에 매핑될 수 있다. 이 때, 심볼은 특정 심볼 집합(또는 특정 코드 집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심볼은 아스키 코드(예를 들어, ASCII 코드) 집합에 포함된 복수의 심볼들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아스키 코드 집합에는 'a' 내지 'z'와 같은 영소문자, '0' 내지 '9'와 같은 숫자, '!'와 '?'와 같은 특수 문자, 'A' 내지 'Z'와 같은 영대문자, '+', '='와 같은 기호(또는 부호)가 포함될 수 있다. 표 1은 아스키 코드에 포함된 복수의 심볼의 일 예를 나타낸다. The sound wave
[표 1][Table 1]
다른 예로, 심볼은 Hex 코드 집합에 포함된 복수의 심볼들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심볼 각각은 제 1 Hex 코드 집합에 포함된 '0' 내지 '9', 'A' 내지 'F'와 같은 16개의 심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심볼 각각은 제 2 Hex 코드 집합에 포함된 '00', '01', ..., '0A', '0B', ..., '20', '21', ..., '2A', '2B', ..., 'FE', 'FF'와 같은 256의 심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 2 Hex 코드 집합 내의 각 심볼은 제 1 Hex 코드 집합에 포함된 16개의 심볼을 심볼 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Hex 코드 집합의 각 심볼과 같이, 특정 심볼은 둘 이상의 심볼 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때, 심볼 요소 역시, 문자, 숫자, 기호(또는 부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표 2는 제 1 Hex 코드 집합에 포함된 심볼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때, 제 1 Hex 코드 집합은 '0' 내지 '9', 'A' 내지 'F'와 같은 16개의 심볼 이외에도 헤더, 테일, 연속 코드(또는 중복 코드)를 위한 'L', 'G' 등과 같은 5개의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symbol may b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symbols included in the Hex code set. At this time, each of the symbols may be any one of 16 symbols such as '0' to '9', 'A' to 'F' included in the first Hex code set. In addition, each of the symbols includes '00', '01', ..., '0A', '0B', ..., '20', '21', ..., May be any one of 256 symbols such as 2A, 2B, ..., FE, and FF. Each symbol in the second Hex code set may include 16 symbols included in the first Hex code set as symbol elements. That is, as with each symbol of the second Hex code set, a specific symbol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symbol elements, and the symbol elements may be any of letters, numbers, symbols (or signs). Table 2 shows an example of symbols included in the first Hex code set. In this case, the first Hex code set includes 'L' and 'G' for header, tail, continuous code (or redundant code) in addition to 16 symbols such as '0' And so on.
[표 2][Table 2]
표 3은 제 2 Hex 코드 집합에 포함된 심볼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때, 제 2 Hex 코드 집합은 '00', '01', ..., '0A', '0B', ..., '20', '21', ..., '2A', '2B', ..., 'FE', 'FF'와 같은 256개의 심볼 이외에도 헤더, 테일, 연속 코드(또는 중복 코드)를 위한 'L', 'G' 등과 같은 5개의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able 3 shows an example of symbols included in the second Hex code set. At this time, the second set of Hex codes is '00', '01', ..., '0A', '0B', ..., '20', '21', ..., '2A' 5 'codes such as' L ',' G ', etc. for header, tail, continuous code (or redundant code) in addition to 256 symbols such as 2B', ..., 'FE' have.
[표 3][Table 3]
또 다른 예로, 심볼은 바이너리 코드 집합에 포함된 복수의 심볼들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바이너리 코드 집합은 비트(bit)수에 따라 제 1 내지 제 N 바이너리 코드 집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각 바이너리 코드 집합은 비트 수에 따라 자신이 포함하는 심볼의 수를 달리할 수 있다. 표 4는 제 1 내지 제 N 바이너리 코드 집합의 일 예를 나타낸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1비트를 갖는 제 1 바이너리 코드 집합은 '0'과 '1'의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하고, 2비트를 갖는 제 2 바이너리 코드 집합은 '00' 내지 '11'의 네 개의 심볼을 포함하고, N비트를 갖는 제 N 바이너리 코드 집합은 '00...00' 내지 '11...11'과 같은 2N 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복수의 코드 집합 중 어느 하나의 코드 집합을 선택하고, 코드 집합에 대한 정보를 제어 정보 내에 코드 집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ymbol may b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symbols included in the binary code set. In this case, the binary code set may be any one of the first to Nth binary code se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bits. Also, each binary code set may have a different number of symbols depending on the number of bits. Table 4 shows an example of the first to Nth binary code sets. As shown in Table 4, the first binary code set having one bit includes two symbols of '0' and '1', and the second binary code set having two bits includes '00' to '11' An Nth binary code set having N bits may include 2 N symbols such as '00 ... 00' to '11 ·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wave
[표 4][Table 4]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심볼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복수의 주파수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주파수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집합에 포함된 것들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파수는 복수의 주파수 중 최저 주파수로부터 최고 주파수까지 일정한 주파수 간격을 갖도록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주파수가 16000Hz보다 크거나 같고, 24000Hz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야 하는 경우, 최저 주파수 16000Hz로부터 최고 주파수 24000Hz까지 주파수 간격 200Hz을 갖도록 배열된, '16000Hz', '16200Hz', '16400Hz',..., '23600Hz', '23800Hz', '24000Hz'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주파수 간격을 결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샘플 레이트(sample rate)와 FFT 포인트 값을 이용하여 수학식 1과 같은 방식으로 주파수 간격(또는 주파수 스텝)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샘플 레이트(sample rate)는 사운드를 레코딩할 때, 1초당 샘플링되는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샘플 레이트(sample rate)가 1000Hz라고 하면 1초에 1000번의 주기로 샘플링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샘플 레이트가 높아질수록 음질이 좋아지지만 저장되는 파일의 용량은 커지게 된다. 샘플 레이트는 디폴트로 결정된 것이거나,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것일 수도 있으나, 사운도 코드 자체 또는 사운드 코드와 함께 출력되는 음성/음악 데이터를 위한 샘플 레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FFT(Fast Fourier Transform) 포인트는 FFT 수행 시 입력되는 주파수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FT 포인트는 디폴트로 결정된 것이거나,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것일 수도 있으나, 사운도 코드 자체 또는 사운드 코드와 함께 출력되는 음성/음악 데이터를 위한 FFT 포인트일 수도 있다. 한편, 표 5는 샘플 레이트와 FFF 포인트에 따라 결정된 주파수 간격(frequency step)의 일 예를 나타낸다.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frequency interval will be described. The sound wave
[수학식 1][Equation 1]
[표 5][Table 5]
표 5를 참조하여 예시하면, 샘플 레이트가 '48000Hz'이고, FFT point가 '1024'인 경우, 주파수 간격은 '46.875Hz'가 될 수 있다. 이 때, 최저 주파수가 '16000Hz'인 경우, 복수의 주파수는 수학식 2에 따라 표 6과 같이 '16000Hz', '16046.88Hz', ..., '19750Hz', . . ., '39953.13Hz' (i가 511일 때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 때, 복수의 주파수가 비가청 주파수 대역인 16000Hz보다 크거나 같고, 24000Hz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야 하는 경우, 복수의 주파수 중 최고 주파수는 i가 170일 때의 주파수인 '23968.75Hz'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5, if the sample rate is '48000 Hz' and the FFT point is '1024', the frequency interval may be '46.875 Hz'. In this case, when the lowest frequency is' 16000 Hz ', a plurality of frequencies are' 16000 Hz ',' 16046.88 Hz ', ...,' 19750 Hz ', and' . ., '39953.13 Hz' (frequency when i is 511).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frequencies should be selected within a range of equal to or greater than 16000 Hz, which is the non-audible frequency band, and less than or equal to 24000 Hz,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is' 23968.75 Hz '.
[수학식 2]&Quot; (2) "
[표 6][Table 6]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복수의 심볼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심볼이 아스키 코드(예를 들어, ASCII 코드) 집합에 포함된 복수의 심볼들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복수의 주파수가 표 6에 나열된 것과 같이 결정된 경우,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복수의 심볼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표 7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표 7][Table 7]
앞서 예시된 복수의 주파수는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또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주파수들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주파수는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주파수일 수 있다.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일 예는 16000 Hz 이상 24000 Hz 이하의 범위 내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의 다른 예는 17000 Hz 이상 24000 Hz 이하의 범위 내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exemplified above may be frequencies included in the non-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or non-audible frequency band).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may be frequencies included in the non-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An example of a non-audible sound frequency band may be a frequency band in the range of 16000 Hz to 24000 Hz.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nother example of a non-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may be a frequency band in the range of 17000 Hz to 24000 Hz.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주파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또는 가청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주파수일 수 있다.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일 예는 1700Hz 이상 12000 Hz 이하의 범위 내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의 다른 예는 100 Hz 이상 8000 Hz 이하의 범위 내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may be frequencies included in an 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or audible frequency band). One example of an 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may be a frequency band in the range of 1700 Hz to 12000 Hz.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nother example of an 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may be a frequency band within a range of 100 Hz to 8000 Hz.
복수의 주파수가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주파수인 경우, 복수의 심볼 각각에 매핑되는 복수의 주파수는 표 8과 같을 수 있다. 이 때, 샘플 레이트가 48000Hz이고, FFT point가 1024인 경우, 주파수 간격은 수학식 1에 따라 46.875Hz로 결정되고, 최저 주파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인 1700Hz 이상 12000 Hz 이하의 범위 내에 포함된 1734.38Hz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심볼은 아스키 코드의 전부 또는 일부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If a plurality of frequencies are included in the 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a plurality of frequencies mapp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ymbols may be as shown in Table 8. [ At this time, when the sample rate is 48000 Hz and the FFT point is 1024, the frequency interval is determined to be 46.875 Hz according to Equation (1), and the lowest frequency is 1734.38 Hz included in the range of 1700 Hz to 12000 Hz . ≪ / RTI > Further, the plurality of symbols can be determined from all or a part of the ASCII code.
[표 8][Table 8]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복수의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 1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 2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주파수를 중심(또는 기본) 주파수 또는 캐리어 주파수로 갖는 정현파 음파 신호를 사운드 신호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주파수 16000 Hz를 기본 주파수로 갖는 정현파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결합 또는 배열시킴으로써,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시간 간격에 따라 배열된 사운드 신호 각각은 사운드 코드의 각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ound wave
사운드 코드는 헤더, 바디 및 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바디에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고, 헤더에는 인코딩 장치의 식별 정보, 디코딩 장치의 식별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사운드 신호(또는 부가 사운드 코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테일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와 같은 오류 정정 코드에 대응하는 오류정정 사운드 신호(또는 오류정정 사운드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The sound code may include a header, a body, and a tail. In this case, the body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und signals, and the header may include additional sound signals (or additional sound codes)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ncoding apparatu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coding apparatus. (Or an error correction sound code) corresponding to an error correction code such as a cyclic redundancy che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음성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과 사운드 코드에 대응하는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을 구분하고, 구분한 주파수 대역 별로 음성 데이터 및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은 1700Hz 이상 12000 Hz 이하의 범위 내의 주파수 대역이고,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은 16000 Hz 이상 24000 Hz 이하의 범위 내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wave
출력부(104)는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04)는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를 통해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 및 기 저장된 음악과 함성된 음악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04)는 비가청 영역의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출력부(104)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음파 발생 장치인 스피커를 통해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파는 사용자에게는 들리지 않는 비가청 영역의 음파일 수 있고, 무선 접속 장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 매핑된 형태의 음파일 수도 있다. 한편, 음파는 모바일 디바이스(10)에 기 저장된 음악 데이터에 대응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The
출력부(104)를 통해 출력되는 음파는 외부 디바이스(20)의 음파 수신 장치로 입력되고, 외부 디바이스(20)는 음파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20)는 획득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디바이스(20)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파를 음파 수신 장치인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고, 입력된 음파를 디코딩하여 외부 디바이스(20)의 아이디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외부 디바이스(20)의 아이디를 통해 제어 정보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임을 확인하고,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output through the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20)로부터 발생한 음파를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음파는 외부 디바이스(20)의 현재 동작 상태 및 고장 진단 정보 등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정보 결정부(102)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음파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20)가 먼저 자신의 상태를 알리는 음파를 출력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제어 정보 결정부(102)는 외부 디바이스(20)로부터 발생한 음파를 디코딩 또는 해석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정보 결정부(102)의 동작과 관련하여 설명되지 아니한 내용은 이하 도 4의 제어 정보 획득부(202)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하므로, 이하 도 4의 제어 정보 획득부(202)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을 그대로 준용한다. 다만, 준용 시, 제어 정보 획득부(202)에 대한 설명 중 '제어 정보'는 '상태 정보'라고 간주한다. The contro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20)가 먼저 제어 정보를 출력하고, 외부 디바이스(1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자신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외부 디바이스(20)와 무선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규격은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통신부(105)는 예를 들어, NFC 태그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NFC 태그를 외부 디바이스(20)에 가까이 접근시킴으로써, 결정된 제어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디바이스(20)는 NFC 태그를 통해 전송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다른 예에서, 통신부(105)는 블루투스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20)와 페어링(Pairing)함으로써, 제어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외부 디바이스(20)는 블루투스를 통해 전송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한편, 통신부(105)는 출력부(104)를 통해 출력한 음파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 정보 결정부(102)는 응답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 정보 결정부(102)는 통신부(105)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20)의 현재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제어 정보 결정부(102)는 제어 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더 결정하고, 통신부(105)를 통해 결정된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부가 정보는 냉장고의 동작 온도를 설정하거나, 에어컨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등의 외부 디바이스(20)의 동작을 좀 더 상세하게 제어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The control
제어 정보 결정부(102)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1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2 입력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 정보 결정부(102)는 서로 다른 입력을 수신하여 제 1 입력을 제어 정보로 결정하고, 제 2 입력을 부가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을 통해 드래그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제어 정보 결정부(102)를 통해 결정된 제어 정보는 음파 데이터로 생성되어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음파의 형태로 출력되어 외부 디바이스(20)에 전송되고, 결정된 부가 정보는 무선 신호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20)에 전송될 수 있다. The control information determined through the control
표시부(105)는 외부 디바이스(20)의 아이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아이디, 외부 디바이스(20)의 현재 상태 및 외부 디바이스(20)의 고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05)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20)로부터 음파로 출력되어 입력부(미도시)에서 수신된 것 일 수 있고, 무선 신호로 전송되어 통신부(105)에서 수신된 것일 수도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S301)하고,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결정(S302)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제어의 대상이 되는 외부 디바이스(20)의 아이디 및 결정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음파 데이터를 생성(S303)하고, 스피커를 통해 생성된 음파를 출력(S304)한다. 출력되는 음파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파 또는 비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파일 수 있다. 출력되는 음파는 모바일 디바이스(10)에 기 저장된 소정 음악 또는 음성과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rom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외부 디바이스(20)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음파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S305)하여 외부 디바이스(20)의 아이디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S306)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는 외부 디바이스(20)의 아이디가 자신이 아닌 경우에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The
외부 디바이스(20)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음파를 수신하고,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음파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식별하고, 식별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심볼에 기초하여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분석을 위해, 외부 디바이스(20)는 고속 퓨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시간 신호를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야 한다. 이상적인 퓨리에 변환은 무한 길이의 샘플에 취해짐으로써 시간 축의 데이터를 주파수 축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하지만 실제의 구현에 있어 무한 길이의 샘플을 취해 처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프레임 단위로 주파수 분석을 시도한다. 이때 스펙트럼 누출(spectrum leakage)이 발생하여 의도치 않은 주파수 성분이 함께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분석 프레임 내에 음파의 충분한 주기수가 보장되지 않거나 분석 프레임의 길이와 음파의 주기성이 정확히 맞아 떨어지지 않으면 관측한 스펙트럼의 크기가 감쇄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감쇄 현상은 스펙트럼 누출과 맞물려 실제 신호성분(또는 main lobe)이 주변 신호 성분(또는 side lobe)보다 작아지는 현상을 초래하여 인식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The
도 4a를 통해 예시하면, 도면부호 401의 신호는 음파의 주기성이 프레임 길이(도면부호 403 또는 도면부호 404)와 일치하여 상대적으로 실제 신호 성분(또는 main lobe)이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는 반면, 도면부호 402의 신호는 음파의 주기성이 프레임 길이와 일치하지 않아 스펙트럼 누출에 의해 실제 신호 성분(또는 main lobe)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주변에 주변 신호 성분(또는 side lobe)에 비해 감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변 신호 성분(또는 side lobe)은 실제 신호 성분(또는 main lobe)에 간섭을 주어 실제 신호 성분(또는 main lobe)에 대한 인식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4A, the signal of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복수의 심볼에 복수의 주파수를 매핑시킬 때, 복수의 주파수 각각이 상하로 여백 주파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복수의 주파수를 표 6과 같이 결정한 이후, 복수의 심볼 중 어느 하나의 심볼의 주파수를 제 1 주파수로 결정하면, 복수의 주파수 중 제 1 주파수의 상하에 있는 주파수들은 여백 주파수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여백 주파수는 복수의 심볼과의 매핑을 위해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주파수는 심볼과 매핑되는 주파수(또는 매핑 주파수), 심볼과 매핑되지 않는 주파수(또는 여백 주파수), 심볼과 매핑되는 주파수, 심볼과 매핑되는 주파수(또는 매핑 주파수)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표 6을 통해 다르게 예시하면, i가 10일 때의 주파수 16468.75Hz가 제 1 심볼과 매핑되면, i가 9일 때의 주파수 16421.88Hz와 i가 11일 때의 주파수 16515.63Hz 주파수는 모두 여백 주파수가 되며, 제 2 심볼과 매핑되는 주파수는 i가 8일 때의 주파수 16375Hz 또는 i가 12일 때의 주파수 16562.5Hz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제 3 심볼과 매핑되는 주파수는 i가 6일 때의 주파수 16281.25Hz 또는 i일 때의 14인 주파수 16656.25Hz가 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pping a plurality of frequencies to a plurality of symbols, the sound wave
도 4b를 통해 음파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에 대해 예시하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N개의 심볼로 이루어진 제어 정보 'AA...A3'에 포함된 각각의 심볼의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한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는 신호(또는 사운드 신호, 부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어 정보의 첫 번째 심볼 'A'의 주파수 '16700Hz'에 대응하는 신호(405)를 생성하고, 제어 정보의 두 번째 심볼 'A'의 주파수 '16700Hz'에 대응하는 신호(406)를 생성하고, 제어 정보의 N-1번째 심볼 'A'의 주파수 '16700Hz'에 대응하는 신호(407)를 생성하고, 제어 정보의 N번째 심볼 '3'의 주파수 '16850Hz'에 대응하는 신호(408)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운드 코드(또는 음파 데이터)는 이렇게 생성된 신호(또는 사운드 신호, 부분 데이터)들이 시간 간격에 따라 결합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신호(또는 사운드 신호, 부분 데이터) 및 사운드 코드(또는 음파 데이터)는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다만, 신호(또는 사운드 신호, 부분 데이터) 및 사운드 코드(또는 음파 데이터)는 주파수 신호로부터 변환된 시간 신호(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로 갖는 정현파 신호)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신호(또는 사운드 신호, 부분 데이터) 및 사운드 코드(또는 음파 데이터)는 역 퓨리에 변환을 통해 주파수 신호로부터 변환된 시간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4B, the sound w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 1 심볼에 대응하는 복수의 주파수들(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을 결정하고, 복수의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제 1 신호(또는 제 1 사운드 신호, 제 1 부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 2 심볼에 대응하는 복수의 주파수들(예를 들어, 제 3 주파수 및 제 4 주파수)을 결정하고, 복수의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제 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하나의 심볼 당 2개 이상의 주파수를 할당 또는 매핑하고, 2개 이상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개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1개의 정보당 2개의 주파수를 할당하는 것은 기존의 1개의 정보당 1개의 주파수를 할당하는 것보다 다양한 정보를 표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신호(또는 사운드 신호, 부분 데이터) 또는 사운드 코드(또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퓨어 톤 인코딩 기법이라고 표현되고, 둘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신호 또는 사운드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멀티 톤 인코딩 기법이라고 표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wave
도 4c를 통해 음파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에 대해 예시하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N개의 심볼로 이루어진 제어 정보 'Az...A3'에 포함된 각각의 심볼의 복수의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한 복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 1 심볼인 'A'에 제 1 주파수 '16700Hz'와 제 2 주파수인 '17000Hz' 모두를 할당 또는 매핑하고, 제 1 주파수를 기본 주파수로 갖는 제 1 서브 신호(409)를 생성하고, 제 2 주파수를 기본 주파수로 갖는 제 2 서브 신호(410)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 1 서브 신호(409)와 제 2 서브 신호(410)에 기초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 1 심볼인 'z'에 제 1 주파수 '16700Hz'와 제 3 주파수인 '17000Hz' 모두를 할당 또는 매핑하고, 제 1 주파수를 기본 주파수로 갖는 제 3 서브 신호(411)를 생성하고, 제 23주파수를 기본 주파수로 갖는 제 4 서브 신호(412)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 3 서브 신호(411)와 제 2 서브 신호(412)에 기초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4C, the sound wave
외부 디바이스(20)가 마이크를 통해 음파를 수신하게 되면 주변 공간의 음향학적 특성으로 인해 에코가 발생하여 음파의 디코딩이 어려워질 수 있다. 즉, 이전 출력되었던 음파가 이후 출력되는 음파 영역까지 침범하여 주파수 검출에 혼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볼 'A'가 주파수 '10000Hz', 심볼 'B'가 주파수 '20000Hz', 심볼 'C'가 주파수 '30000Hz', 심볼 'D'가 주파수 '40000Hz' 각각에 매핑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하여 제어 정보 'ABCD'에 대응하는 음파가 출력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20)는 에코 성분으로 인하여 잘못된 디코딩 결과인 'ABBD' 또는 'AACD'를 인식할 수 있다. When the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동일 한 심볼이 연속해서 나온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연속 심볼(또는 중복 심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이전 코드와 현재 코드는 같을 수 없다. " 라는 규칙을 정하고, 실제 제어 정보가 'AACD' 같이 중복되는 경우, 첫 번째 심볼 'A'와 중복되는 두 번째 심볼 'A'를 대신하여 연속 심볼(또는 중복 심볼)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심볼 'A'가 주파수 '10000Hz', 심볼 'B'가 주파수 '20000Hz', 심볼 'C'가 주파수 '30000Hz', 심볼 'D'가 주파수 '40000Hz' 각각에 매핑되어 있고, 연속 심볼(또는 중복 심볼)을 '$'로 결정한 경우, 'AACD'를 'A$CD'로 변경하고, 'A$CD'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을 결정하고, 'A$CD'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w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음파 데이터(또는 사운드 코드)에 대한 펄스 성형(pulse shaping)을 수행하여 성형된 음파 데이터(또는 사운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펄스 성형(pulse shaping)은 신호 처리 프로세스의 일 예이며, 펄스 성형(pulse shaping)은 음파 데이터(또는 사운드 코드)의 스펙트럼 누출(spectral leakage)을 최소화하고, 음파 데이터(또는 사운드 코드)의 신호 사이의 간섭 또는 음파 데이터(또는 사운드 코드)의 부호 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을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펄스 성형(pulse shaping)은 가청 영역의 소리를 컨트롤 하기에 적절하다. 이와 같은 펄스 성형에 이용되는 윈도우는 다양하며, 일 예로서, 해닝 윈도우(Hanning window) 또는 터키 윈도우(Tukey window)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w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심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적어도 둘 이상 연속하여 생성함으로써, 심볼에 대응하는 신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심볼에 대응하며 제 1 시간을 갖는 신호를 적어도 둘 이상 연속하여(예를 들어, 5회 연속하여) 생성함으로써, 심볼에 대응하며 제 2 시간을 갖는 신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시간은 제 1 시간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시간이 50 ms이면, 제 1 시간은 제 2 시간보다 작은 10 ms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신호 그룹은 5개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는 서브 신호라고 표현되고, 신호 그룹은 복수의 서브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라고 표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wave
도 4d를 통해 예시하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 1 심볼에 대응하는 주파수 '16700Hz'를 결정하고, 주파수 '16700Hz'에 대응하며 10 ms의 시간을 갖는 신호 5개를 연속하여 생성함으로써, 주파수 '16700Hz'에 대응하며 50 ms의 시간에 대응하는 신호 그룹(413)을 생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 2 심볼에 대응하는 주파수 '16800Hz'를 결정하고, 주파수 '16800Hz'에 대응하며 10 ms의 시간을 갖는 신호 5개를 연속하여 생성함으로써, 주파수 '16700Hz'에 대응하며 50 ms의 시간에 대응하는 신호 그룹(414)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표현하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는 제 2 심볼에 대응하는 주파수 '16800Hz'를 결정하고, 주파수 '16800Hz'에 대응하며 10 ms의 시간을 갖는 서브 신호 5개를 연속하여 생성함으로써, 주파수 '16700Hz'에 대응하며 50 ms의 시간에 대응하는 신호(414)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제 1 시간은 프레임을 구분하는 단위 시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D, the sound wave
도 5는 음파를 디코딩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통해 예시하면, 외부 디바이스(20)(또는 외부 디바이스(20)의 내부 모듈)는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된 음파가 입력되면(S501), 음파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고(S502), 분할된 프레임에 대한 고속 퓨리에 변환을 수행하고(S503), 변환 결과에 기초하여 디코딩 프로세스를 수행하여(S504),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S505). 이 때, 결과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decoding a sound wave. 5, when the sound wave output from the
도 6은 음파를 디코딩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디바이스(20)(또는 외부 디바이스(20)의 내부 모듈)는 도 5의 단계 S502와 단계 S503 사이에 단계 S601 내지 S603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01에서 외부 디바이스(20)는 입력된 음파 중 입력 이득이 상대적으로 작은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가청 주파수 대역을 스톱 밴드(Stop band)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패스 밴드(Pass band)로 설정한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를 사용할 수 있다. 하이 패스 필터를 통과한 음파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성분만을 갖게 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1에서 외부 디바이스(20)는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표현 가능한 양자화 범위 내에서 증폭해 줄 수 있다. 6 is an operational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of decoding a sound wave. 6, the external device 20 (or an internal module of the external device 20) may further perform steps S601 to S603 between steps S502 and S503 of FIG. In step S601, the
S602에서 외부 디바이스(20)는 정규화(또는 진폭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20)는 입력된 음파의 프레임의 가장 큰 값과 미리 정해진 기준 값과의 비율을 이용하여 가중치(weight) 값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값의 일 예는 양자화 최대 진폭의 절반 값이다. 기준 값으로서 양자화 최대 크기의 절반 값을 사용하는 것은 비가청 영역과 가청 영역을 모두 고려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음파가 16비트로 양자화 되는 경우, 표현 가능한 범위는 -215 내지 (215 - 1)이며, 외부 디바이스(20)는 S503에서의 FFT scaling에 대비하여 표현 가능한 양자화 범위 내에서 신호의 크기를 최대로 증폭할 수 있다. In step S602, the
S603에서 외부 디바이스(20)는 필터 출력된 음파 소스와 원 음파 소스를 더해줄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청 대역의 주파수 성분과 비가청 대역의 주파수 성분이 동일한 비율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원 음파 소스를 더해주는 이유는 필터를 통과한 신호에는 가청 대역의 주파수 성분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가청 대역을 디코딩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원 음파 소스를 특정 비율로 더해줌으로써 가청 영역과 비가청 영역의 디코딩이 모두 가능해질 수 있다. In step S603, the
단계 S601 내지 단계 S603이 수행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20)는 도 5의 단계만을 수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고정소수점 FFT 알고리즘의 scaling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시시각각 가변적으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와 주파수 구성은 FFT scaling 과정에서 심각한 오차를 유도하고, 그로 인해 일관성 있는 인식률을 보장하기 힘들어진다. 단순히 입력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는 것은 해결점이 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가청 영역의 입력 신호가 비가청 영역의 입력 신호보다 대부분 큰 값을 가지므로 비가청 영역의 주파수 성분이 충분히 증폭되기도 전에 양자화 범위를 넘어 버리는 오버플로우(overflow)가 일어나 증폭으로서의 의미를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By performing steps S601 to S603, the
외부 디바이스(20)는 필터를 사용하여 비가청 영역의 신호와 가청 영역의 신호를 따로 추출하여 각 영역에서 가능한 한 최대의 증폭을 하고 두 음원을 더해줌으로써 FFT의 scaling에 대한 최대의 유효 비트를 확보하여, 도 5의 단계들만을 수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연산량의 큰 증가 없이 인식률을 개선할 수 있다. The
도 7a 내지 7b는 음파를 디코딩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외부 디바이스(20)는 디코딩 프로세스(또는 디코딩 알고리즘)를 수행하기 앞서, 음파의 대응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통해 헤더 심볼 또는 테일 심볼을 검출할 수 있다. 7A to 7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decoding a sound wave. The
도 7a를 통해 예시하면, 외부 디바이스(20)는 제 1 헤더에 대응하는 심볼 그룹(71) 중 앞선 심볼 2개 또는 3개를 인식하면, 제 1 헤더 심볼이 인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0)는 연속 2개 또는 3개의 프레임이 스펙트럼 피크치의 주파수 성분이 동일하면 제 1 헤더 심볼이 인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디바이스(20)는 연속 2개 또는 3개의 프레임이 스펙트럼 피크치의 주파수 성분이 동일하다는 것을 판단하기 위해, 제 1 헤더 심볼의 주파수 성분을 미리 알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0)는 제 2 헤더에 대응하는 심볼 그룹(72) 중 앞선 심볼 2개 또는 3개를 인식하면, 제 2 헤더 심볼이 인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0)는 연속 2개 또는 3개의 프레임이 스펙트럼 피크치의 주파수 성분이 동일하면 제 2 헤더 심볼이 인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7A, when the
마찬가지로, 외부 디바이스(20)는 테일에 대응하는 심볼 그룹 중 앞선 심볼 2개 또는 3개를 인식하면, 테일 심볼이 인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0)는 연속 2개 또는 3개의 프레임이 스펙트럼 피크치의 주파수 성분이 동일하면 테일 심볼이 인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Similarly, when the
외부 디바이스(20)는 디코딩 프로세스(또는 디코딩 알고리즘)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외부 디바이스(20)는 헤더가 검출되면 실제 데이터가 시작되는 시간을 추측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7a를 통해 예시하면, 외부 디바이스(20)는 제 1 헤더 심볼 그룹(또는 제 1 헤더 심볼들)이 검출되고, 제 2 헤더 심볼 그룹(또는 제 2 헤더 심볼들)이 검출되면,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바디)가 시작되는 시간이 대략 제 2 헤더 심볼이 인식되고 20 ms 이후라고 예측할 수 있다. The
외부 디바이스(20)는 데이터(또는 바디)가 시작하는 시간이 되면, 테일(또는 테일 그룹, 테일 심볼)이 검출될 때까지 미리 정해진 프레임 수만큼 분할하여 순서쌍으로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7b를 통해 예시하면, 외부 디바이스(20)는 심볼 그룹(74)에 포함된 5개의 심볼 각각을 코드 그룹에 배열하고, 심볼 그룹(75)에 포함된 5개의 심볼 각각을 코드 그룹에 배열하고, 이후 심볼 그룹(76), 및 심볼 그룹(77) 등도 동일하게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체크섬(checksum) 심볼 그룹(78)에 포함된 5개의 심볼 각각을 코드 그룹에 배열할 수 있다. When the data (or the body) starts, the
이후, 외부 디바이스(20)는 각 코드 그룹에 대하여 연속 심볼(또는 중복 심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존재한다면 원본 심볼로 복원하고, 각 코드 그룹에서 체크섬이 맞는지를 확인하여, 체크섬이 맞는 코드 그룹을 선별하고, 선별된 코드 그룹 중 누적 스펙트럼 에너지가 가장 큰 것을 최종 코드 그룹으로 선정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는 최종 선정된 코드 그룹 내의 심볼들을 통해 제어 정보를 확인 또는 생성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도 8은 음파를 디코딩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통해 예시하면, 외부 디바이스(20)(또는 외부 디바이스(20)의 내부 모듈)는 입력된 음파가 녹음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801), 녹임이 완료되었다면 음파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고(S802), 분할된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고(S803), 필터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FFT를 수행하고(S804), FFT 결과에 대한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하고(S805), 스펙트럼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헤더 및 테일을 검출할 수 있다(S806).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디바이스(20)는 헤더가 검출되었는지 판단하여(S807) 헤더가 검출된 경우 테일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고(S808), 테일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프레임 심볼 그룹핑을 수행하여(S809), 코드 그룹에 대한 심볼 데이터를 생성하다가(S810), 테일이 검출되면 심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코 심볼에 대한 복원을 수행하고(S811), 복원 결과 복수의 코드 그룹 각각에 대해 체크섬을 수행하고, 체크섬이 맞는 코드 그룹을 선별하고, 선별된 코드 그룹 중 누적 스펙트럼 에너지가 가장 큰 것을 최종 코드 그룹으로 선정하고(S812), 선정된 최종 코드 그룹을 기반으로 결과(예를 들어,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813).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of decoding a sound wave. 8, the external device 20 (or the internal module of the external device 2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sound wave is completely recorded (S801). If the sound wave is completed, the sound wav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rames (Step S802), performs filtering on a plurality of divided frames (S803), performs FFT on the basis of the filtered result (S804), performs spectrum analysis on the FFT result (S805) Based on the result, the header and the tail can be detected (S806). 8,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외부 디바이스(20)는 음파 수신부(201), 제어 정보 획득부(202), 동작 수행부(203) 를 포함한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외부 디바이스(20)의 구성이 앞서 설명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he
음파 수신부(201)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한다. 일 예로, 음파 수신부(201)는 마이크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파는 비가청 영역의 음파 및 가청 영역의 음파일 수 있고, 음악 또는 음성과 함성된 음파일 수도 있다. The sound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음파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20)의 아이디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입력된 음파를 특정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고, 주파수 분석을 통해 가청 또는 비가청의 전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여 음파에 삽입된 코드, 정보 등을 해석하고, 음파 데이터의 인코딩 시 수행했던 오류 정정 알고리즘을 통해 오류를 확인 및 수정하는 방식으로 음파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정보는 제어 명령일 수 있다. The control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음파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식별하고, 식별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에 기초하여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음파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10 ms의 시간 간격에 따라 음파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이 때, 음파가 50 ms초간 지속되는 음파인 경우, 음파는 5개의 프레임으로 분할될 수 있다. The control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프레임 각각은 소정 주파수의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며,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복수의 주파수는 16000 Hz 이상 24000 Hz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파수간의 간격은 50Hz, 100Hz, 200 Hz 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한 주파수의 피크를 분석함으로써,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The control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예를 들어, 복수의 프레임 중 제 1 프레임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인 16000 Hz를 식별하고, 제 2 프레임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인 17000 Hz를 식별할 수 있다. The control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주파수 분석을 통해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아날로그 사운드 코드, 복수의 프레임 또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의 사운드 신호에 대한 주파수 변환 기법 및 역 주파수 변환 기법을 활용하여,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주파수 변환 기법의 일 예는 FFT(Fast Fourier Transform)이고, 역 주파수 변환 기법의 일 예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이다. The control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식별한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에 기초하여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예를 들어, 사운드 코드가 3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제 1 프레임의 주파수가 15000 Hz이고, 제 2 프레임의 주파수가 15200 Hz이고, 제 3 프레임의 주파수가 17000 Hz인 경우, 15000 Hz에 대응하는 부분 정보 '0', 15200 Hz에 대응하는 부분 정보 '1' 및 17000 Hz에 대응하는 부분 정보 'A' 각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복수의 부분 정보에 기초하여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예를 들어, 제 1 프레임의 부분 정보가 '0' 제 2 프레임의 부분 정보가 '1', 제 3 프레임의 부분 정보가 'A'인 경우, 부분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운드 코드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인 '01A'를 디코딩 또는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음성인식을 통해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에 대응하는 제 1 정보를 생성하고, 사운드 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디코딩하거나,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조합하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음성의 주파수 대역과 사운드 코드의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상호 분리하여 운용하는 것은, 상호간에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동일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디코딩 장치)에 의해 음성인식과 사운드 코드의 동시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음성과 사운드 코드의 조합을 통해 보다 다양성을 지닌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제공받게 된다. Operating the audio frequency band and the non-audible frequency band of the sound code separately enables simultaneous recognition of speech recognition and sound code by the same hardware (for example, a decoding device) while minimizing mutual interference . This provides users with a more versatile HMI (Human Machine Interface) through a combination of voice and sound codes.
동작 수행부(203)는 획득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동작 수행부는 에어컨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컨의 풍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The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디바이스(20)는 입력 수신부(201)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20)의 현재 상태 또는 고장 진단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현재 상태 도는 고장 진단 정보를 음파 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파 데이터 생성부 및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an input for requesting the current state or failure diagnosis information of the
한편, 외부 디바이스(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로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 또는 고장 진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음파 데이터 생성부, 출력부 및 통신부의 설명은 도 2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동작을 통해 유추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description of the sound wave data generating unit, the output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can be inferr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또한, 이와 같은 도 5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20)에 대해 설명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의 도면들을 통해 설명된 내용을 준용한다. In addition, the matters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20)는 동작 수행부(203), 상태 정보 생성부(204), 음파 데이터 생성부(205) 및 음파 출력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동작 수행부(203)는 외부 디바이스(20)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동작 수행부(203)는 외부 디바이스(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력 장치를 통해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가 냉장고인 경우, 동작 수행부(203)는 냉장고에 포함된 동력 장치를 통해 냉매의 순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가 청소기인 경우 동작 수행부(203)는 동력 장치를 통해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가 선풍기인 경우, 동작 수행부(203)의 동력 장치를 통해 선풍기의 팬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상태 정보 생성부(204)는 동작과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2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상태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20)의 현재 상태 또는 고장 진단 정보 중 하나 이상이며, 현재 상태의 일 예는 외부 디바이스(20)의 온/오프, 전원 사용 상태, 동작 시간 등을 포함하며, 고장 진단 정보의 일 예는 이상 징후 발생 정보, 에러 코드, 고장 부위 정보 등을 포함한다. The state
상태 정보 생성부(204)는 외부 디바이스(20)의 동작과 관련하여, 이상 징후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가 냉장고이고, 외부 디바이스(20)가 동작을 멈춘 경우, 상태 정보 생성부(204)는 외부 디바이스(20)의 동작이 멈추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가 세탁기이고, 세탁기에 소정 에러 코드가 발생한 경우, 상태 정보 생성부(204)는 에러 코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tate
음파 데이터 생성부(205)는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음파 데이터 생성부(205)는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부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한 복수의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결합시킴으로써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이와 같은 음파 데이터 생성부(205)의 동작과 관련하여 설명되지 아니한 내용은 도 2의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하므로, 도 2의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을 그대로 준용한다. 다만, 준용 시, 도 2의 음파 데이터 생성부(103)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 중 '제어 정보'는 '상태 정보'라고 간주한다. The contents not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sound wave
음파 출력부(206)는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한다. 이 때, 음파 발생 장치의 일 예는 스피커 장치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한 음파는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입력된다. The sound wave output unit 206 outputs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data generated through the sound wave generator. At this time, an example of the sound wave generating device is a speaker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utputted sound waves are input to the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0의 외부 디바이스(20)는 음파 수신부(201), 제어 정보 획득부(20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음파 수신부(201)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획득부(202)는 수신한 음파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제어 정보는 음파 출력부(206)에서 출력된 음파에 대한 응답일 수 있으며, 동작 수행부(203)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10,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해 음파를 출력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여도,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11에도 적용된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sound 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outputting sound waves through the
도 11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입력을 수신(S601)하고,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결정(S602)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S603)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해 생성되는 음파 데이터는 제어 정보가 주파수에 매핑된 가청 음파 데이터 형태, 비가청 주파수를 이용하는 비가청 음파 데이터 형태,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저장된 음악 또는 소정 음성과 결합된 형태의 음파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생성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출력(S604)할 수 있다. 11, the
외부 디바이스(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수신하고, 음파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 출력 방법은 디바이스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미도시), 상기 동작과 관련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미도시),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는 단계(미도시) 포함하는 음파 출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음파 출력 방법은 도 10의 외부 디바이스(20)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은 도 10의 외부 디바이스(2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을 준용한다. 또한, 음파 출력 방법은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는 단계(미도시), 수신한 음파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미도시) 및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nic output method includes performing a device operation (not shown), genera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device (not shown)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Generating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nd outputting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ound wave data through a sound wave generator (not shown). In this case, the sound wave output method is performed by the
도 11을 통해 설명된 음파를 출력하는 방법 및 도시되지 않은 음파 출력 방법 각각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Each of the methods of outputting sound waves and the sound output methods not shown, which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모바일 디바이스
20: 외부 디바이스10: Mobile device
20: External device
Claims (1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와,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된 제 1 매핑 테이블 및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된 제 2 매핑 테이블 중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매핑 테이블과,
아스키(ASCII) 코드 집합, Hex 코드 집합 및 바이너리 코드 집합 중 사용될 코드 집합을 결정하는 제어 정보 결정부;
상기 결정된 매핑 테이블 및 상기 결정된 코드 집합에 따라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파 데이터 생성부; 및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음파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어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복되는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복되는 심볼을 기설정된 심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In a mobile device,
An input receiver for receiving one or more inputs via a user interface;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one or more inputs,
At least one mapping table to be used among a first mapping table defined in a non-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and a second mapping table defined in an 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A control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ode set to be used among an ascii (ASCII) code set, a hex code set, and a binary code set;
A sound wave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apping table and the determined code set; And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ound wave data through a sound wave generator,
Wherein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symbols,
Wherein the sound wave data generation unit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change the redundant symbol to a predetermined symbol if the control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redundant symbol.
상기 음파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 1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고,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제 1 사운드 신호 및 상기 제 2 사운드 신호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wave data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first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generates a second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and generates the second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ound signal and the second And combining the sound signals to generate the sound wave data.
상기 제어 정보는 제 1 심볼 및 제 2 심볼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심볼은 문자이고, 상기 제 2 심볼은 1보다 큰 자연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symbol and a second symbol,
Wherein the first symbol is a character and the second symbol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ne.
상기 음파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제 1 심볼 및 제 2 심볼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음파 데이터는 상기 제 1 주파수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제 2 주파수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wave data generation unit determines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ymbol and the second symbol includ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and generates the sound wave data based on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and,
Wherein the sound wave data include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음파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 결정부는 입력된 음파에 기초하여 제 2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wave generat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sound wav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sound waves inputted.
상기 음파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음파 수신 장치로 입력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wave is input to a sound wave receiving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performs the operation.
상기 음파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어 정보 및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 중 상기 음파의 목적지로 선택된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wave data generating unit generates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ID of the external device,
Wherein the external device is selected as a destination of the sound wave among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상기 제 1 주파수는 복수의 주파수로부터 선택된 것이되,
상기 복수의 주파수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중 최저 주파수로부터 최고 주파수까지 일정한 주파수 간격을 갖도록 배열된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requency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frequencies,
Wherein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are arranged to have a constant frequency interval from a lowest frequency to a highest frequency of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 1 음파 및 기 저장된 음악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 2 음파를 출력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unit outputs the first sound wave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ound wave data and the second sound wave corresponding to the stored music data through the sound wave generator.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음파는 상기 출력한 음파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음파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아이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현재상태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고장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ound wave generat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response to the sound wave output,
Wherein the sound wave generated from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ID of the external device, the ID of the mobile device, the current state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failur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와,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된 제 1 매핑 테이블 및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된 제 2 매핑 테이블 중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매핑 테이블과,
아스키(ASCII) 코드 집합, Hex 코드 집합 및 바이너리 코드 집합 중 사용될 코드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매핑 테이블 및 상기 결정된 코드 집합에 따라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복되는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복되는 심볼은 기설정된 심볼로 변경되는 것인, 음파 출력 방법.
A method of outputting sound waves in a mobile device,
Receiving one or more inputs via a user interface;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one or more inputs,
At least one mapping table to be used among a first mapping table defined in a non-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and a second mapping table defined in an 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Determining an ASCII (ASCII) code set, a Hex code set, and a binary code set to be used;
Generating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apping table and the determined code set; And
And outputting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ound wave data through the sound wave generator,
Wherein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symbols,
Wherein if the control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redundant symbol, then the redundant symbol is changed to a predetermined symbol.
상기 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 획득부는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된 제 1 매핑 테이블 및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된 제 2 매핑 테이블 중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매핑 테이블을 체크하고,
아스키(ASCII) 코드 집합, Hex 코드 집합 및 바이너리 코드 집합 중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된 코드 집합을 체크하며,
상기 체크된 매핑 테이블 및 상기 체크된 코드 집합에 따라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음파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볼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디바이스 제어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복되는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복되는 심볼은 기설정된 심볼로 변경되는 것인, 디바이스.
A sound wave receiver for receiving sound waves output from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A control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an ID of the device using the sound waves; And
And an operation performing unit operable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control information,
The control information obtaining unit
Checking at least one mapping table used in the mobile device from among a first mapping table defined in a non-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and a second mapping table defined in an 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Checking a set of codes used in the mobile device among an ASCII (ASCII) code set, a Hex code set, and a binary code set,
Acquiring the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ecked mapping table and the checked code set,
Wherein the sound waves are generated by the mobile device based on device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symbols,
Wherein if the device control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redundant symbol, then the redundant symbol is changed to a predetermined symbol.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
상기 동작과 관련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정보 생성부;
적어도 하나의 매핑 테이블 및 코드 집합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파 데이터 생성부; 및
음파 발생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매핑 테이블은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된 제 1 매핑 테이블 및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된 제 2 매핑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되고,
상기 코드 집합은 아스키(ASCII) 코드 집합, Hex 코드 집합 및 바이너리 코드 집합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음파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복되는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복되는 심볼을 기설정된 심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디바이스.In a device,
An operation performing unit operable to perform an operation of the device;
A status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device related to the operation;
A sound wave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mapping table and code set; And
And a sound wav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ound wave data through the sound wave generator,
Wherein the mapping table is determined as at least one of a first mapping table defined in a non-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and a second mapping table defined in an audible sound wave frequency band,
Wherein the code set is determined as at least one of an ASCII code set, a Hex code set, and a binary code set,
Wherein the status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symbols,
Wherein the sound wave data generation unit comprises:
And to change the redundant symbol to a predetermined symbol if the status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redundant symbol.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14/899,722 US10243675B2 (en) | 2013-06-18 | 2014-06-18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for control of external device, and external device |
| CN201480034891.0A CN105325011A (en) | 2013-06-18 | 2014-06-18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for control of external device, and external device |
| PCT/KR2014/005336 WO2014204191A1 (en) | 2013-06-18 | 2014-06-18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for control of external device, and externa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69594 | 2013-06-18 | ||
| KR20130069594 | 2013-06-18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147034A KR20140147034A (en) | 2014-12-29 |
| KR101538756B1 true KR101538756B1 (en) | 2015-07-24 |
Family
ID=5222678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73053A Active KR101538756B1 (en) | 2013-06-18 | 2014-06-16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to control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38756B1 (en) |
| CN (1) | CN104238482B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60360A (en) * | 2017-11-24 | 2019-06-03 | 모비두 주식회사 | Communication method using sound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
| KR20190138287A (en) * | 2018-06-04 | 2019-12-12 |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 Control system for remote unit using sound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f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45175B1 (en) * | 2015-05-26 | 2016-08-03 | 나노소프트(주) | Sonic wave communication system |
| TWI613919B (en) * | 2015-09-16 | 2018-02-01 | 新唐科技股份有限公司 |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6899462A (en) * | 2015-12-21 | 2017-06-27 | 上海本星电子科技有限公司 | Voice-grade channel data transmission system |
| CN106953963A (en) * | 2016-01-07 | 2017-07-14 | 上海科斗电子科技有限公司 | Control signal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voice chatting system |
| KR101740402B1 (en) * | 2016-01-29 | 2017-05-26 | 주식회사 인포소닉 |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mobile application with using sonic signal |
| WO2017194109A1 (en) * | 2016-05-12 | 2017-11-16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post-processing |
| CN105844894A (en) * | 2016-05-13 | 2016-08-10 | 广州中卡智能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water and/or electricity control system based on sound wave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of control system |
| CN106686430A (en) * | 2016-07-14 | 2017-05-17 |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 Movement state recogni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 CN107645343B (en) * | 2016-07-20 | 2021-10-22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Data sending/receiving method based on sound wave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
| CN107886952B (en) * | 2017-11-09 | 2020-03-1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telligent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vo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WO2019103289A1 (en) * | 2017-11-24 | 2019-05-31 | 모비두 주식회사 | Sound wave communication platform, communication method using sound wave signal, and device therefor |
| KR102025524B1 (en) * | 2017-11-24 | 2019-09-26 | 모비두 주식회사 | Communication platform based on sound |
| US11664016B2 (en) | 2018-01-23 | 2023-05-30 | Motorola Solutions, Inc. | Distinguish devices in PAN/VAN |
| KR102854804B1 (en) * | 2019-06-17 | 2025-09-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ou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ereof |
| KR102497414B1 (en) * | 2021-12-15 | 2023-02-08 |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 Apparatu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using sound waves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092344A (en) * | 1998-09-08 | 2000-03-31 | Fujitsu Ltd |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
| JP2001036652A (en) * | 1999-07-23 | 2001-02-09 | Nippon Conlux Co Ltd | Cellular telephone set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device using the telephone |
Family Cites Familie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85726B1 (en) * | 2003-09-03 | 2006-06-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rray antenna beam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
| CN2881786Y (en) * | 2006-01-09 | 2007-03-21 | 深圳市金纬科技有限公司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KR101790342B1 (en) * | 2010-09-14 | 2017-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416937B1 (en) * | 2011-08-02 | 2014-08-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
| CN103093755B (en) * | 2012-09-07 | 2016-05-11 | 深圳市信利康电子有限公司 | Based on terminal and mutual network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the system of internet voice |
| CN103051734A (en) * | 2013-01-23 | 2013-04-17 |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 Remote vo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2013
- 2013-12-13 CN CN201310684652.7A patent/CN104238482B/en active Active
-
2014
- 2014-06-16 KR KR1020140073053A patent/KR1015387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092344A (en) * | 1998-09-08 | 2000-03-31 | Fujitsu Ltd |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
| JP2001036652A (en) * | 1999-07-23 | 2001-02-09 | Nippon Conlux Co Ltd | Cellular telephone set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device using the telephone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60360A (en) * | 2017-11-24 | 2019-06-03 | 모비두 주식회사 | Communication method using sound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
| KR102054174B1 (en) * | 2017-11-24 | 2019-12-10 | 모비두 주식회사 | Communication method using sound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
| KR20190138287A (en) * | 2018-06-04 | 2019-12-12 |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 Control system for remote unit using sound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for |
| KR102343827B1 (en) * | 2018-06-04 | 2021-12-28 |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 Control system for remote unit using sound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04238482A (en) | 2014-12-24 |
| KR20140147034A (en) | 2014-12-29 |
| CN104238482B (en) | 2018-06-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38756B1 (en)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to control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 |
| US10243675B2 (en)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for control of external device, and external device | |
| KR101475863B1 (en) |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an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 |
| KR101475862B1 (en) |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sound code, decoding apparatus and methdo for decoding the sound code | |
| KR101597657B1 (en)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including network access information | |
| CN108172227A (en) | Voice remote control method and device | |
| US9978267B2 (en) | Systems and methods using acoustic communication | |
| CN110622444B (en) | Robust ultrasound communication signal format | |
| CN104796888A (en) | Method for connecting WI-FI network by intelligent hardware terminal based on sound waves and system for realizing same | |
| CN106487454B (en) | Sound wave configuration method and configuration system of Internet of things intelligent equipment | |
| CN105790854A (en) | Short distanc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sound waves | |
| CN104066152A (en) |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devices to have access to wireless network | |
| CN112868200A (en) |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control messages for a forwarding interface | |
| CN104023302A (en) | Programmable digital hearing aid system and method thereof | |
| US10397287B2 (en) | Audio data transmission using frequency hopping | |
| CN104702344A (en) | Near field acoustic wave communication method | |
| CN105722183A (en) |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Wi-Fi (wireless fidelity) link information | |
| Aggarwal et al. | On maximizing coverage in gaussian relay channels | |
| US11870501B2 (en) |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acoustic transmission of data | |
| Bishnu et al. | A novel frame structure for cloud-based audio-visual speech enhancement in multimodal hearing-aids | |
| US20150049885A1 (en) | Pairwise audio capture device selection | |
| CN104869611A (en) | WLAN access method and device | |
| KR20140006367A (en) | Smart tv, noise cancelling device, and smart tv system having noise cancelling feature | |
| KR20170113911A (en) |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 Al-safi et al. | Software defined community radio using low cost hardware and free softwa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S20-X000 | Security interest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20-lic-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