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650B1 - System for providing music contents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music cont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9650B1 KR101539650B1 KR1020140150151A KR20140150151A KR101539650B1 KR 101539650 B1 KR101539650 B1 KR 101539650B1 KR 1020140150151 A KR1020140150151 A KR 1020140150151A KR 20140150151 A KR20140150151 A KR 20140150151A KR 101539650 B1 KR101539650 B1 KR 1015396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music content
- music
- effect
- cha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뇌 상태 조절을 위한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하여, 각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류된 다른 음악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음악 컨텐츠 추천부를 포함한다.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is provided. The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providing a music content for controlling a user's brain condition, A user database that is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user database; And searching the user database for a music content recommendation for recommending to the user another music content classified as having the same effect as the effect that the music content included in the play list of the user causes a change in the brain state of the user, .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뇌 상태 조절을 위한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for controlling a user's brain state.
과거에는 테이프 또는 CD와 같이 음악 컨텐츠가 저장된 기록 매체를 구입하여 음악 컨텐츠를 청취하고 감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통신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는 음악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In the past, it was common to purchase a recording medium storing music contents such as a tape or a CD to listen to music contents and listen. Howev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the spread of smart phones, it is possible to listen to desired music contents through a web site or an application providing music contents.
이와 같은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하나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악 컨텐츠를 추천하는 서비스이다. 예컨대, 해당 서비스 업체는 사용자가 청취하였던 음악 컨텐츠의 히스토리 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좋아할만한 음악 컨텐츠를 선별하고, 선별된 음악 컨텐츠를 추천하기도 한다.One of the services provided by such a web site or application is a service for recommending music contents suitable for a user.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selects music contents that the user likes by using the history of the music contents that the user has listened to or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and recommends the selected music contents.
그러나, 졸음을 쫓기 위해 음악 컨텐츠를 듣거나, 기분을 전환하기 위해 음악 컨텐츠를 듣는 것과 같이, 사용자는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음악 컨텐츠를 듣는 경우가 있다. 즉, 사용자는 음악 컨텐츠를 청취함으로써 원하는 효과를 얻고자 한다.However, the user may listen to music contents for a specific purpose, such as listening to music contents to chase sleepiness or listening to music contents to switch moods. That is, the user desires to obtain a desired effect by listening to music contents.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음악 컨텐츠 추천 서비스는 단순히 사용자가 호감을 가질만한 음악 컨텐츠를 추천해줄 뿐이며, 사용자의 현재의 욕구를 해소해줄 수 있는 음악 컨텐츠를 추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기존의 음악 컨텐츠 추천 서비스에 따르면, 사용자는 추천받은 음악 컨텐츠를 통해 현재 자신이 얻고자 하는 효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In this regard, the conventional music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merely recommends music contents that the user may have a favorable feeling, and does not recommend music contents that can solve the user's present needs. Therefore, according to the existing music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user does not obtain the effect that the user currently desires to obtain through the recommended music content.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안출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통해 얻으려는 효과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해당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는 음악 컨텐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sic contents system in which a user can grasp effects to be obtained through music contents and provide music contents in which the user can obtain the effect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통해 얻으려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capable of maximizing the effect that a user obtains through music conten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뇌 상태 조절을 위한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하여, 각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류된 다른 음악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음악 컨텐츠 추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controlling a user's brain condition, the system comprising: A user databas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an effect of causing a change in a user's brain state; And searching the user database for a music content recommendation for recommending to the user another music content classified as having the same effect as the effect that the music content included in the play list of the user causes a change in the brain state of the user,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통해 얻으려는 효과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해당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음악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grasp the effect to be obtained through the music content, and the user can provide the music content that can obtain the effect.
또한,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를 조절하거나, 음악 컨텐츠의 청취 시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가함으로?,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통해 얻으려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bits of the music contents is controlled or the electric stimulus is given to the user when listening to the music contents, the effect that the user intends to obtain through the music contents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된다.1, 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1,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의 뇌 상태 조절을 위한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통해 얻고자 하는 효과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청취했을 때 사용자의 뇌 상태 변화가 유발되어 해당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음악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providing music contents for controlling the brain state of a user and is configured to grasp the effect that a user intends to obtain through music cont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sic content to the user that can induce a change in the brain state of the user and obtain the corresponding effect.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은, 음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 효과 분석부(30) 및 음악 컨텐츠 추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갖는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을 구현할 수도 있다.1, the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한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1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예컨대 EEG 측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EEG 측정부(110)는 음악 컨텐츠를 청취하는 사용자의 EEG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EEG 측정부(110)는 음악 컨텐츠의 청취 수단(미도시)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EEG 측정부(110)는 이어셋 또는 헤드폰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음악 컨텐츠를 청취하는 사용자의 EEG 데이터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1 can exchange data with the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음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0)는 다양한 음악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게 음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다. 예컨대, 음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음악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 컨텐츠는 사용자마다 할당된 재생 리스트에 보관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재생 리스트는 사용자가 현재 청취하고 있거나 앞으로 청취할 예정인 음악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는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하여, 각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뇌는 상태에 따라서 다른 주파수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외부에서 소리 등을 통해 일정 주파수 또는 일정 비트 수의 신호가 뇌에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되면, 뇌파가 입력되는 주파수에 동조하거나 해당 소리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변할 수 있다. 즉, 뇌파의 변화는 뇌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소리에 의해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가 유발될 수 있다.The brain is known to generate different frequenc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If a constant frequency or a certain number of bits of signals ar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brain through sound from the outside, the brain waves may be affected by tuning to the input frequency or affected by the sound. That is, since the change of the brain wave indicates the change of the brain state, the change of the brain state of the user may be caused by the sound.
음악 컨텐츠는 정해진 주파수 또는 비트 수를 가진 소리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듣는 경우, 사용자의 뇌가 음악 컨텐츠의 영향을 받아 뇌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음악 컨텐츠가 어떠한 주파수 또는 비트 수를 가지는 소리로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해당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수 있다.Since the music contents are composed of sound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or number of bits,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music contents, the user's brain may be affected by the music contents and the brain state may be changed. The influence of the music contents on the user's brain stat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 music contents or the sound having the number of bits.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는 각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즉, 각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가 어떠한지에 따라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는, 사용자의 뇌파가 음악 컨텐츠의 청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측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다. The effect that the music contents cause the change of the brain state of the user can be grasped by observing how the user's brain waves change according to the listening of the music content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는, 후술하는 효과 분석부(3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청취할 때 측정된 사용자의 EEG 데이터와, 해당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비교함으로써, 해당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In the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EG data of the user measured when the user listens to music contents using the
예컨대,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청취할 때 측정된 사용자의 EEG 데이터의 주파수 정보와, 해당 음악 컨텐츠의 주파수 정보를 동기화하여 비교함으로써, 해당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파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가 파악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music content, th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measured EEG data of the user and th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music content are synchronized and compared to check how the music content changes the user's brain waves. Accordingly, the effect that the music contents cause a change in the user's brain state can be grasped.
일례로, 사용자의 뇌파가 음악 컨텐츠의 청취 후, 알파파(8-12 Hz) 상태로 변화된 경우, 해당 음악 컨텐츠는 사용자의 긴장이 완화되도록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다만,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집중을 도와주는 효과, 사용자를 긴장시키는 효과 등 다양한 효과로 구분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s brain waves are changed to the alpha wave (8-12 Hz) state after listening to the music contents, it is determined that the music contents have an effect of causing a change in the user's brain state so that the user's tension is relaxed . However, the effect that the music contents cause the change of the user's brain state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assisting the user's concentration and an effect of tensing the user.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에는, 음악 컨텐츠마다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 기록될 수 있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음악 컨텐츠마다 어떠한 효과가 있다고 직접 기록되는 대신, 음악 컨텐츠의 청취에 따른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 양상이 데이터화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Although it is possible to record in the
다만,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되는 정보가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의 정도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에 더 저장될 수 있다.However,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예컨대, 효과의 정도는, 음악 컨텐츠의 청취에 따라 변화된 사용자의 뇌 상태가 얼마나 빨리 안정화되는가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집중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한다고 가정할 때, 다음의 방식으로 제1 음악 컨텐츠와 제2 음악 컨텐츠의 효과의 정도가 비교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음악 컨텐츠를 청취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뇌파가 청취 후 10초만에 낮은 베타파(16-20 Hz)로 안정화되고, 사용자가 제2 음악 컨텐츠를 청취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뇌파가 청취 후 20초만에 낮은 베타파로 안정화되었다면, 제1 음악 컨텐츠의 효과의 정도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효과의 정도는 예컨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음악 컨텐츠에 대하여 상호 간에 비교가 가능하도록 수치화되어 저장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degree of the effect can be determined based on how quickly the user's brain state stabilized according to the listening of music cont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whe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and second music contents cause a change in the user's brain state so that the user can concentrate, the degree of the effects of the first music content and the second music content is compared in the following manner .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first music content, the user's EEG is stabilized at a low beta wave (16-20 Hz) in 10 seconds after the listening.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second music content, If the sound is stabilized with a low beta wave in 20 seconds, the degree of the effect of the first music content is larger. The degree of the effect can be quantified and stored, for example, so that mutual comparisons can be made with respect to musical contents showing the same effec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는 개인적인 특성이 반영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음악 컨텐츠를 듣더라도 사용자에 따라 반응이 상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따라 뇌 상태의 변화 양상이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가 제1 음악 컨텐츠를 듣고 제1 사용자의 뇌파는 알파파(8-12 Hz) 상태가 될 수 있는데 비해, 제2 사용자는 제1 음악 컨텐츠를 듣고 제2 사용자의 뇌파는 낮은 베타파(16-20 Hz) 상태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 that the music contents cause the change of the brain state of the user may be reflected in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is, even if the same music contents are listened to, the rea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and specifically, the state of change of the brain stat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r. For example, while a first user may listen to a first music content and a first user's brain wave may become an alpha wave (8-12 Hz), a second user may listen to the first music content and a second user's brain wave may be low Beta waves (16-20 Hz).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에 포함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는,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공유되어 이용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라, 각 사용자마다 개별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만약, 여러 명의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을 사용하려면, 여러 개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각 각각 만들어져야 한다.Therefore, the
효과 분석부(30)는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청취할 때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EEG 데이터와, 해당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비교함으로써, 해당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효과 분석부(30)에 의해 분석된 결과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될 수 있다.The
음악 컨텐츠 추천부(4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류된 다른 음악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The music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를 분석하면, 사용자가 현재 음악 컨텐츠를 청취함으로써 얻으려고자 하는 효과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졸음을 쫓기 위해서 음악 컨텐츠를 듣는 경우, 사용자는 과거에 자신이 들었던 음악 컨텐츠 중 졸음을 쫓는데 도움이 되었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를 통해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에 어떠한 변화를 유발시키는지에 대한 효과를 파악할 수 있다.Analyzing the music content contained in the user's playlist allows the user to grasp the effect that the user is willing to obtain by listening to the current music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user listens to music contents to chase sleepiness, the user can select music contents that have helped him / her to keep track of sleepiness among the music contents he / she has heard in the past and include them in the reproduction li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effect of how the music contents included in the user's playlist cause the user's brain state to change through the
그리고, 음악 컨텐츠 추천부(4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류된 다른 음악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음악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은, 사용자가 해당 음악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해당 음악 컨텐츠를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music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화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음악 컨텐츠가 추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추천된 음악 컨텐츠를 청취함으로써, 다양한 곡을 청취하면서도 음악 컨텐츠를 통해 얻으려고 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usic contents that can provide an optimized effect desired by the user can be recommended, and the user can listen to the recommended music contents, It is possible to obtain a sufficient effect to be obtained through music contents while listening to various songs.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2)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2, 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2,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However, differences from the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2)은 비트 수 조절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트 수 조절부(5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가 강화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예컨대, 동일한 음악 컨텐츠를 듣더라도 해당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에 따라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비트 수가 변화하는 경우, 음악 컨텐츠의 청취에 따라 변화된 사용자의 뇌 상태가 얼마나 빨리 안정화되는지가 변할 수 있다. 즉, 졸음을 쫓기 위한 경우,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가 빨라짐으로써, 음악 컨텐츠가 미치는 효과를 강화할 수 있으며, 집중을 하기 위한 경우,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가 느려짐으로써, 음악 컨텐츠가 미치는 효과가 강화될 수 있다.For example, even if the same music content is heard, the effect that the user causes the music content to change the user's brain state may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bits of the music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bits changes, how fast the user's brain state stabilized according to listening to the music contents may be changed. That is, in the case of pursuing drowsiness, since the number of bits of the music content is increased, the effect of the music content can be enhanced, and in the case of focusing, the number of bits of the music content is slowed, .
따라서, 비트 수 조절부(5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통해 어떠한 효과를 얻기를 원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the bit
그리고, 비트 수 조절부(50)는, 검색된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가 강화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된 효과와 사용자의 특성에 기초하여,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를 높일 것인지 낮출 것인지, 어느 정도 변화시킬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될 수 있다.The number-of-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2)에 따르면,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비트 수가 조절된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얻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usic contents whose bit numb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e effect obtained by the user can be maximized.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는,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하여, 각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의 정도와, 각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가 더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비트 수 조절부(5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류된 음악 컨텐츠 중, 효과의 정도가 가장 큰 음악 컨텐츠와, 해당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가 검색된 비트 수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some embodiments,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음악 컨텐츠를 듣더라도 해당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에 따라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비트 수 조절부(50)는,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류된 음악 컨텐츠 중, 효과의 정도가 가장 큰 음악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를 확인한 후,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가 검색된 비트 수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ame music content is heard, the effect that the user causes the music content to change the user's brain state may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bits of the music content. Therefore, the number-of-
이에 따라,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비트 수가 조절된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얻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music contents whose bit numb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e effect obtained by the user can be maximized.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3)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3)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3, 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3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3,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3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However, differences from the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3)은 전기 자극 생성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극 생성부(6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가 강화될 수 있는 경두개 전기 자극의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뇌 상태의 변화는 소리에 의해서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경두개 전기 자극을 통해 뇌에 직접 전류를 흘림으로써도 가능하다. 따라서, 청각적인 자극에 더해 전기적인 자극을 추가적으로 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Changes in the brain state are not only caused by sound, but also by direct current flow through the brain via 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auditory stimulation, an addi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can be added to induce the user to obtain a desired effect sufficiently.
구체적으로, 전기 자극 생성부(6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통해 어떠한 효과를 얻기를 원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ctric
그리고, 전기 자극 생성부(60)는, 검색된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가 강화될 수 있는 경두개 전기 자극의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된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경두개 전기 자극의 프로토콜이 생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두개 전기 자극의 프로토콜은 자극의 강도 및 자극의 회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도 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1)는 사용자의 머리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자극부(120)는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3)의 전기 자극 생성부(60)로부터 생성된 프로토콜을 전송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재생될 때 생성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earable device 101 may further include an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3)에 따르면, 청각적인 자극와 전기적인 자극이 동시에 사용자에게 가해지므로, 사용자가 얻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tory stimulation and the electrical stimulation are applied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effect obtained by the user can be maximiz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2, 3: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 음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2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30: 효과 분석부
40: 음악 컨텐츠 추천부 50: 비트 수 조절부
60: 전기 자극 생성부
100, 101: 웨어러블 장치 110: EEG 측정부
120: 전기 자극부1, 2, 3: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10: music contents database
20: user database 30: effect analysis unit
40: Music content recommendation unit 50: Bit number control unit
60: Electrical Stimulation Generator
100, 101: Wearable device 110: EEG measuring unit
120: electric stimulation part
Claims (5)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하여, 각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류된 음악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음악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음악 컨텐츠 추천부; 및
상기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청취할 때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EEG 데이터와, 해당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비교함으로써, 해당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인 효과 분석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효과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A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controlling a user's brain state,
A user database stor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music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effect that each music content causes a change in the brain state of the user;
The music content included in the play list of the user is searched by searching the user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the music content included in the play list of the user A music content recommending unit for recommending music contents to the user; And
The EEG data of the user measured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music contents is compared with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music content to analyze the effect that the music contents cause the change of the user's brain state Analysis section
Lt; / RTI >
And the result analyzed by the effect analyzing unit is stored in the user database.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가 강화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를 조절하는 비트 수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can search for the effect of causing the music contents included in the user's playlist to cause a change in the brain state of the user from the user database and to enhance the effect of causing a change in the brain state of the user, The number of bits of the music content included in the play list
The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하여, 각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의 정도와, 각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가 더 저장되고,
상기 비트 수 조절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류된 음악 컨텐츠 중, 효과의 정도가 가장 큰 음악 컨텐츠와, 해당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를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의 비트 수가 상기 검색된 비트 수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ser database further stor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usic contents, a degree of effect that each music content causes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user's brain and a bit number of each music content,
Wherein the number of bits of the musical content classified by the user database to have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music content included in the user's playlist causes a change in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y searching the user database, Searches for the largest music content and the number of bits of the corresponding music content and adjusts the number of bits of the music content included in the user's play list to be the number of the searched bits.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의 변화를 유발하는 효과가 강화될 수 있는 경두개 전기 자극의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전기 자극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usic content included in the play list of the user from the user database is searched for an effect of causing a change in the brain state of the user and the effect of inducing a change in the brain state of the searched user is enhanced, An electrical stimul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rotocol of electrical stimulation
The music content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50151A KR101539650B1 (en) | 2014-10-31 | 2014-10-31 | System for providing music contents |
| PCT/KR2015/011528 WO2016068634A1 (en) | 2014-10-31 | 2015-10-29 |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50151A KR101539650B1 (en) | 2014-10-31 | 2014-10-31 | System for providing music content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39650B1 true KR101539650B1 (en) | 2015-07-28 |
Family
ID=5387571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50151A Active KR101539650B1 (en) | 2014-10-31 | 2014-10-31 | System for providing music contents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39650B1 (en) |
| WO (1) | WO2016068634A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80073014A (en) * | 2007-02-05 | 2008-08-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ound source treat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20100086618A (en) * | 2009-01-23 | 2010-08-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music using bio-signal |
| KR20130059237A (en) * | 2011-11-28 | 2013-06-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hod and appratus for searching recommended music using emotional information of music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243862B2 (en) * | 2004-10-26 | 2009-03-25 | ソニー株式会社 | Content utilization apparatus and content utilization method |
| JP4713129B2 (en) * | 2004-11-16 | 2011-06-29 | ソニー株式会社 | Music content playback device, music content playback method, and music content and attribute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
-
2014
- 2014-10-31 KR KR1020140150151A patent/KR101539650B1/en active Active
-
2015
- 2015-10-29 WO PCT/KR2015/011528 patent/WO201606863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80073014A (en) * | 2007-02-05 | 2008-08-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ound source treat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20100086618A (en) * | 2009-01-23 | 2010-08-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music using bio-signal |
| KR20130059237A (en) * | 2011-11-28 | 2013-06-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hod and appratus for searching recommended music using emotional information of music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6068634A1 (en) | 2016-05-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3041415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music with brain-state data | |
| US12237069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ng sound | |
| US1202957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music with brain-state data | |
| US10824232B2 (en) | Sound outputt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10345901B2 (en) | Sound outputt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Bendixen et al. | Regular patterns stabilize auditory streams | |
| KR10150656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reference sound source using emotion analysis | |
| KR10114050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ducing user adaptive brainwave | |
| KR101781842B1 (en) | Massager wirelessly linked music and operating method | |
| US10921892B2 (en) | Personalized tactile output | |
| Kaneshiro et al. | Neuroimaging Methods for Music Information Retrieval: Current Findings and Future Prospects. | |
| JP2007195664A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generating sleep inducing musical sound | |
| US20210377662A1 (en) | Techniques for audio track analysis to support audio personalization | |
| KR101539650B1 (en) | System for providing music contents | |
| CA3199493A1 (en) | Playback of generative media content | |
| Brancucci et al. | Ear and pitch segregation in Deutsch’s octave illusion persist following switch from stimulus alternation to repetition | |
| CN218782600U (en) | Electronic device for recommending audio | |
| US1180948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playlist of sounds | |
| US10921893B2 (en) | Personalized tactile output | |
| Saitis et al. | ‘Exploring the role of sourcecause categories in timbral brightness perception | |
| Irrgang et al. | From acceleration to rhythmicity: Smartphone-assessed movement predicts properties of music | |
| Basu et al. | Identifying Correlations Between Hindustani Music and the Brain: A Nonlinear EEG-Based Exploration | |
| Noyce et al. | Perceptual organization and task demands jointly shape auditory working memory capacity | |
| WO2025093804A1 (en) | Method of creating music for psychophysiological impact and nervous system regulation and a service product providing such music | |
| Wambacq et al. | Concurrent sound segregation across the adult life-spa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