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0824B1 -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824B1
KR101530824B1 KR1020140088543A KR20140088543A KR101530824B1 KR 101530824 B1 KR101530824 B1 KR 101530824B1 KR 1020140088543 A KR1020140088543 A KR 1020140088543A KR 20140088543 A KR20140088543 A KR 20140088543A KR 101530824 B1 KR101530824 B1 KR 101530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dy portion
sewage
opening
memb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140088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824B1/ko
Priority to CN201580031584.1A priority patent/CN106795712B/zh
Priority to ES15822525T priority patent/ES2914070T3/es
Priority to EP15822525.0A priority patent/EP3170944B1/en
Priority to AU2015290411A priority patent/AU2015290411A1/en
Priority to DK15822525.0T priority patent/DK3170944T3/da
Priority to MYPI2017700014A priority patent/MY188892A/en
Priority to US15/317,574 priority patent/US10151098B2/en
Priority to JP2016574457A priority patent/JP6388175B2/ja
Priority to PL15822525.0T priority patent/PL3170944T3/pl
Priority to PCT/KR2015/007238 priority patent/WO2016010316A1/ko
Priority to PH12017500027A priority patent/PH12017500027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the float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two ore more floats actuating one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39Float arm operated valve
    • Y10T137/7481Rotary valve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39Float arm operated valve
    • Y10T137/7485Pivoted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98Pivoted valves
    • Y10T137/7903Weight 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08Weight 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08Weight biased
    • Y10T137/7909Valve body is the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Float Valve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하수관이나 농수로의 수문 등에 설치하여 하수의 역류를 무동력으로 방지할 수 있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배치되고, 후방에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배치되는 관통홀을 갖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배출구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부를 포함하고, 개폐 도어부는,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다수의 부력 부재들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고, 다수의 부력 부재들 상부에 배치되어, 부력 부재의 부력에 의해,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하고,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바디부의 배출구가 개폐 도어부의 자체 하중으로 개방되어, 바디부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바디부의 배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POWERLESS APPARATUS FOR PROTECTING REVERSION OF SEWAGE}
본 발명은 무동력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이나 농수로의 수문 등에 설치하여 하수의 역류를 무동력으로 방지할 수 있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시설, 농경시설, 공공시설 및 산업시설 등의 각종 배수구로 배출되는 하수는, 기초 하수관에서 집수정, 하수 관거 또는 하수 주관, 간선 하수관에 모아져 하천 및 바다로 직접 배출되거나 또는 하수종말처리장이나 오수처리시설 등의 하수처리시설에 차집되어 하천이나 바다 등의 공공수면으로 배출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하수처리시설에 설치되는 기초 하수관이나 하수 주관 및 간선 하수관의 규격은, 해당 시설이나 장소에서 예상되는 정상적인 하수 배출량을 충분히 처리할 수 있는 적정 규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수 배출시에, 기초 하수관이나 하수 주관 및 간선 하수관은, 자유 수면을 갖는 개수로 형태로 하수를 정상 배출 처리하지만, 일부 지역에 일시적인 국지성 폭우나 집중 호우가 발생하여 유입수가 단위시간당 하수관 처리용량보다 많아질 때, 자유 수면이 없이 만수 상태로 하수를 배출하는 관수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해당 하수관으로 미처 배출되지 못한 유입수는, 도로나 지표면으로 범람하게 되고, 동시에 하수관로의 배출 수압이 높아지면서, 지대가 낮은 지역의 기초 하수관측으로 역류하면서, 하수 배출처인 주택이나 공공시설 및 산업시설의 배수구 및 집수정으로 역류하여 침수 피해를 유발하고, 도로나 정화조 및 제반시설들도 침수 피해를 입게 된다.
또한, 어느 한 지역에서의 폭우나 집중 호우에 의하여, 간선 하수관이 관수로 상태가 되거나 하천의 수위가 단시간 동안 높아지는 경우, 장마에 의하여, 장시간 동안, 하천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바다의 해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등에도, 낮은 지대의 하수관거나 간선 하수관측으로 또는 관개수로의 농수로 측으로 하수 및 하천수 또는 해수가 역류하여 침수 피해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하수나 하천수 또는 해수 역류에 의한 침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하수 역류 방지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하수 역류 방지 장치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8-0078974 (하수역류방지장치)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역류 방지 장치는, 동력 및 내수의 하수의 수압에 의해서만 개폐기가 개방되므로, 하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의 양이 적을 경우, 개폐기가 개방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하수가 하수관으로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개폐기가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원할한 하수 배출이 어렵고, 연결관의 관로를 완전개방형으로 형성할 수 없어 부피가 크거나 길이가 긴 이물질의 배출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개폐기가 관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개폐기의 가장자리와 연결관의 내벽 사이의 틈새로 모래, 찌꺼기, 협잡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면, 개폐기 작동에 대한 방해요소로 작용하여, 개폐기가 개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부력 부재들을 이용하여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 도어부를 제작함으로써, 부력 부재의 교체 수리가 간단하고, 대형 구조물에 적합하며, 대용량의 하수 배출이 수월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 도어부의 하부에, 외부의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공간이 형성함으로써, 각종 이물질들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 도어부의 측면에 측면 차단막과 길이 조절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배치함으로써, 개폐 도어부의 개폐 동작을 수월하게 함과 동시에 개폐 도어부와 바디부 사이에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고장의 원인을 차단할 수 있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는, 전방에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배치되고, 후방에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배치되는 관통홀을 갖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배출구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부를 포함하고, 개폐 도어부는,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다수의 부력 부재들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고, 다수의 부력 부재들 상부에 배치되어, 부력 부재의 부력에 의해,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하고,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바디부의 배출구가 개폐 도어부의 자체 하중으로 개방되어, 바디부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바디부의 배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되, 가이드부는 다수의 부력 부재들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과, 가이드판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을 포함하며, 개폐 도어부의 연직 하부에는 외부의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부력 부재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으며, 이때 부력 부재를 다수개 부착함으로써 완벽하게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이물질 저장 공간 내에는, 상기 이물질 저장 공간을 분리하고, 개폐 도어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분리벽들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물질 저장 공간 내에는, 개폐 도어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벽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삭제
다음, 가이드부는, 부력 부재의 측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바디부의 측면에 타측이 연결되어, 부력 부재가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부력 부재가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는, 다수의 부력 부재들의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과, 가이드판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과, 가이드판의 측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바디부의 측면에 타측이 연결되어, 가이드판이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가이드판이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부력 부재들을 이용하여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 도어부를 제작함으로써, 부력 부재의 교체 수리가 간단하고, 대형 구조물에 적합하며, 대용량의 하수 배출이 수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 도어부의 개방시 하부에, 외부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장되는 이물질 저장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각종 이물질들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 도어부의 측면에 측면 차단막과 길이 조절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배치함으로써, 개폐 도어부의 개폐 동작을 수월하게 함과 동시에 개폐 도어부와 바디부 사이에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고장의 원인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부재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저장공간을 보여주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후면도이고, 도 1c는 전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는, 크게 바디부(10)와 개폐 도어부(20)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는, 전방에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2)가 배치되고, 후방에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4)가 배치되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바디부(10)의 유입구(12)는, 유입구(12)에서 배출구(14)를 향하는 바디부(10)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되고, 바디부(10)의 배출구(14)는, 바디부(10)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부(10)의 배출구(14)는, 바디부(10)의 중심축에 대해, 약 20도 - 80도로 비스듬히 절단되는 절단 각도 θ1을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바디부(10)의 배출구(14)의 테두리에는, 완충 부재(16)가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할 때, 개폐 도어부(20)와 바디부(10)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역류되는 하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밀폐시키기 위함이다.
이어, 바디부(10)의 외부 측면에는,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개폐 도어부(10)의 일측이 안착되는 안착 홈(18)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바디부(10)의 안착 홈(18)에는,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개폐 도어부(10)의 가이드부 중, 측면 차단막이나 길이 조절 부재 등이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바디부(10)의 유입구(12)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32)들을 갖는 체결 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에 체결 부재(30)를 형성하는 이유는, 대형 관로 등과 같은 설치하고자 하는 대형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함이다.
한편,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10)의 배출구(14)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10)의 배출구(14)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고, 다수의 부력 부재(22)들 상부에 배치되어, 부력 부재(22)의 부력에 의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하고,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바디부(10)의 배출구(14)가 개폐 도어부(20)의 자체 하중으로 개방되어, 바디부(10)의 유입구(12)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바디부(10)의 배출구(14)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 부재(22)는, 부력을 발생하는 부력체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부력 부재(22) 내부에 부력을 유지하는 고무 재질의 튜브(28a, 28b, 28c)가 배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튜브(28a, 28b, 28c)는, 각각의 부력 부재(22)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일부의 부력 부재(22)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부력 부재(22) 내부에 튜브(28a, 28b, 28c)가 배치되는 경우, 부력 부재(22)의 외면이 파손되어도 부력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부력 부재(22)의 파손으로 인한 개폐 도어부(20)의 부력 기능 상실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개폐 도어부(20)에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을 사용하는 이유는, 고장난 부력 부재(22)의 교체 수리가 쉽고, 어느 하나의 부력 부재(22)가 고장나도 다른 부력 부재(22)에 의해 부력의 기능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하수 역류 방지 기능을 계속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력 부재(22)가 하나일 경우, 하나의 부력 부재(22)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을 입거나 고장나면, 부력 부재(22)가 부력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가 하수 역류 방지 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개폐 도어부(20) 전체 교체하거나, 또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교체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폐 도어부(20)에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을 배치함으로써, 일부 부력 부재(22)가 손상을 입거나 고장이 나도, 하수 역류 방지 기능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설치 장소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설치의 유연성을 주기 위함이다.
또한,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설치 장소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설치의 유연성을 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설치 장소 및 환경에 따라서, 부력 부재(22)들의 간격 및 크기를 변형함으로써, 제한 없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부력 부재(22)들 사이의 간격 내에는, 완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서로 인접하는 부력 부재(22)들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이물질에 의한 충격으로 부력 부재(22)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은, 내부가 비어있는 빈공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부력 부재(22) 내부의 빈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다양한 부력물질들이 채워질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부력 부재(22) 내부의 빈공간은, 진공 상태일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부력 부재(22) 내부에 부력을 유지하는 고무 재질의 튜브(28a, 28b, 28c)가 배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튜브(28a, 28b, 28c)는, 각각의 부력 부재(22)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일부의 부력 부재(22)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개폐 도어부(20)의 연직 하부에는, 외부의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 저장 공간 내에는, 이물질 저장 공간을 분리하고, 개폐 도어부(20)를 지지하는 다수의 분리벽(52)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다수의 분리벽(52)들은, 바디부(10)의 관통홀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분리벽(52)들은, 부력 부재(22)들 사이의 간격 내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물질 저장 공간 내에는, 개폐 도어부(20)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벽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이물질 저장 공간 내에는, 부력 부재(22)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40)는, 각각의 부력 부재(22)를 지지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고, 일부의 부력 부재(22)만을 지지하도록 한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대(40)는, 부력 부재(22)가 복원될 때, 기준이 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음, 가이드부(24)는, 다수의 부력 부재(22)들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24a)과, 가이드판(24a)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2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24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판(24a)과 측면 차단막(24b)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가이드부(24)는, 부력 부재(22)의 측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바디부(10)의 측면에 타측이 연결되어, 부력 부재(22)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부력 부재(22)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길이 조절 부재는, 탄성체 및 주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가이드부(24)는,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의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24a)과, 가이드판(24a)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2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b)의 측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바디부의 측면에 타측이 연결되어, 가이드판(24a)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가이드판(24a)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길이 조절 부재는,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을 커버하여,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부력 부재들을 이용하여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 도어부를 제작함으로써, 부력 부재의 교체 수리가 간단하고, 대형 구조물에 적합하며, 대용량의 하수 배출이 수월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 도어부의 하부에, 외부의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공간이 형성함으로써, 각종 이물질들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부재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의 배출구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고, 다수의 부력 부재(22)들 상부에 배치되어, 부력 부재(22)의 부력에 의해,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하고,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바디부의 배출구가 개폐 도어부(20)의 자체 하중으로 개방되어, 바디부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바디부의 배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 부재(22)는, 부력을 발생하는 부력체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부력 부재(22) 내부에 부력을 유지하는 고무 재질의 튜브(28a, 28b, 28c)가 배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튜브(28a, 28b, 28c)는, 각각의 부력 부재(22)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일부의 부력 부재(22)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부력 부재(22) 내부에 튜브(28a, 28b, 28c)가 배치되는 경우, 부력 부재(22)의 외면이 파손되어도 부력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부력 부재(22)의 파손으로 인한 개폐 도어부(20)의 부력 기능 상실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24)는, 다수의 부력 부재(22)들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24a)과, 가이드판(24a)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2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24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판(24a)과 측면 차단막(24b)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a와 같이,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부에 배치된 부력 부재(22)와 그의 일측에 배치된 부력 부재(22) 사이의 제 1 간격 d21과 중앙부에 배치된 부력 부재(22)와 그의 타측에 배치된 부력 부재(22) 사이의 제 2 간격 d2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중앙부에 배치된 부력 부재(22)와 그의 일측에 배치된 부력 부재(22) 사이의 제 1 간격 d21과 중앙부에 배치된 부력 부재(22)와 그의 타측에 배치된 부력 부재(22) 사이의 제 2 간격 d2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그 이유는, 설치 장소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설치의 유연성을 주기 위함이다.
또한,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설치 장소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설치의 유연성을 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설치 장소 및 환경에 따라서, 부력 부재(22)들의 간격 및 크기를 변형함으로써, 제한 없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은, 내부가 비어있는 빈공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부력 부재(22) 내부의 빈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다양한 부력물질들이 채워질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부력 부재(22) 내부의 빈공간은, 진공 상태일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부력 부재(22) 내부에는, 부력을 유지하는 고무 재질의 튜브(28a, 28b, 28c)가 배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튜브(28a, 28b, 28c)는, 각각의 부력 부재(22)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일부의 부력 부재(22)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 도 2b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부력 부재(22)들 사이의 간격 내에는, 완충 부재(26)가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서로 인접하는 부력 부재(22)들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이물질에 의한 충격으로 부력 부재(22)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개폐 도어부(20)에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을 사용하는 이유는, 고장난 부력 부재(22)의 교체 수리가 쉽고, 어느 하나의 부력 부재(22)가 고장나도 다른 부력 부재(22)에 의해 부력의 기능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하수 역류 방지 기능을 계속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력 부재(22)가 하나일 경우, 하나의 부력 부재(22)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을 입거나 고장나면, 부력 부재(22)가 부력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가 하수 역류 방지 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개폐 도어부(20) 전체 교체하거나, 또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교체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부력 부재들을 이용하여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 도어부를 제작함으로써, 부력 부재의 교체 수리가 간단하고, 대형 구조물에 적합하며, 대용량의 하수 배출이 수월하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저장공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도어부(20)의 연직 하부에는, 외부의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공간(5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a와 같이, 이물질 저장 공간(50) 내에는, 이물질 저장 공간을 분리하고, 개폐 도어부(20)를 지지하는 다수의 분리벽(5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분리벽(52)들은, 바디부(10)의 관통홀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분리벽(52)들은, 부력 부재(22)들 사이의 간격 내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3b와 같이, 이물질 저장 공간(50) 내에는, 개폐 도어부(20)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벽(54)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벽(54)들은, 개폐 도어부(20)의 가이드부(24) 일부와 부력 부재(22)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이물질 저장 공간(50) 내에는, 부력 부재(22)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는, 각각의 부력 부재(22)를 지지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고, 일부의 부력 부재(22)만을 지지하도록 한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대는, 부력 부재(22)가 복원될 때, 기준이 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저장 공간(50) 내에, 분리벽(52)이나 지지벽(54)을 설치하는 이유는, 개폐 도어부(20)를 포함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과의 충돌을 완화시켜 부력 부재(2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물질 저장 공간(50)의 분리벽(52)이나 지지벽(54)은,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의 설치 장소 및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폐 도어부의 연직 하부에, 외부의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공간이 형성함으로써, 각종 이물질들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의 배출구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a와 같이,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고, 다수의 부력 부재(22)들 상부에 배치되어, 부력 부재(22)의 부력에 의해,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하고,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바디부의 배출구가 개폐 도어부(20)의 자체 하중으로 개방되어, 바디부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바디부의 배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4)는, 다수의 부력 부재(22)들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24a)과, 가이드판(24a)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2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24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판(24a)과 측면 차단막(24b)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즉,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서로 동일한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모두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서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서로 다른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은, 부력 부재(22)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이드부(24)의 가이드판(24a)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모두 부력 부재(22)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부력 부재(22)와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24)는, 부력 부재(22)의 측면에 일측(26a)이 연결되고, 바디부(10)의 측면에 타측(26b)이 연결되어, 부력 부재(22)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부력 부재(22)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조절 부재는, 탄성체 및 주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도 4b와 같이, 가이드부(24)는, 다수의 부력 부재(22)들의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24a)과, 가이드판(24a)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2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b)의 측면에 일측(26a)이 연결되고, 바디부의 측면에 타측(26b)이 연결되어, 가이드판(24a)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가이드판(24a)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길이 조절 부재(26)는,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을 커버하여,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길이 조절 부재는, 탄성체 및 주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폐 도어부(20)의 측면에 측면 차단막(24b)과 길이 조절 부재(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배치함으로써, 개폐 도어부(20)의 개폐 동작을 수월하게 함과 동시에 개폐 도어부(20)와 바디부(10) 사이에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고장의 원인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바디부 12: 유입구
14: 배출구 18: 안착 홈
20: 개폐 도어부 22: 부력 부재
24: 가이드부 26: 길이 조절 부재
30: 체결부 50: 이물질 저장 공간
52: 분리벽 54: 지지벽

Claims (12)

  1. 전방에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배치되고, 후방에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배치되는 관통홀을 갖는 바디부; 그리고,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부를 포함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부에는,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다수의 부력 부재들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부력 부재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력 부재의 부력에 의해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가 상기 개폐 도어부의 자체 하중으로 개방되어, 상기 바디부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되,
    이 가이드부는, 상기 다수의 부력 부재들 상부에 접촉되어, 상기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부력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도어부의 연직 하부에는 외부의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력 부재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력 부재들의 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부력 부재들 사이의 간격 내에는, 완충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력 부재들은, 내부가 비어있는 빈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측면 차단막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다수의 부력 부재들의 상부에 접촉되어, 상기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부력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과,
    상기 가이드판의 측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유입구는, 상기 유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하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되고,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되며,
    상기 바디부의 유입구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들을 갖는 체결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력 부재들 내부에는 부력물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측면 차단막은 서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KR1020140088543A 2014-07-14 2014-07-14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30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543A KR101530824B1 (ko) 2014-07-14 2014-07-14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PCT/KR2015/007238 WO2016010316A1 (ko) 2014-07-14 2015-07-13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DK15822525.0T DK3170944T3 (da) 2014-07-14 2015-07-13 Kraftløs anordning til forebyggelse af tilbageløb
ES15822525T ES2914070T3 (es) 2014-07-14 2015-07-13 Aparato de prevención de reflujo sin energía
EP15822525.0A EP3170944B1 (en) 2014-07-14 2015-07-13 Non-powered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AU2015290411A AU2015290411A1 (en) 2014-07-14 2015-07-13 Non-powered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CN201580031584.1A CN106795712B (zh) 2014-07-14 2015-07-13 无动力防逆流装置
MYPI2017700014A MY188892A (en) 2014-07-14 2015-07-13 Powerless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US15/317,574 US10151098B2 (en) 2014-07-14 2015-07-13 Powerless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JP2016574457A JP6388175B2 (ja) 2014-07-14 2015-07-13 無動力逆流防止装置
PL15822525.0T PL3170944T3 (pl) 2014-07-14 2015-07-13 Niezasilane urządzenie zapobiegające przepływowi zwrotnemu
PH12017500027A PH12017500027A1 (en) 2014-07-14 2017-01-04 Non-powered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543A KR101530824B1 (ko) 2014-07-14 2014-07-14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824B1 true KR101530824B1 (ko) 2015-06-22

Family

ID=5351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54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0824B1 (ko) 2014-07-14 2014-07-14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151098B2 (ko)
EP (1) EP3170944B1 (ko)
JP (1) JP6388175B2 (ko)
KR (1) KR101530824B1 (ko)
CN (1) CN106795712B (ko)
AU (1) AU2015290411A1 (ko)
DK (1) DK3170944T3 (ko)
ES (1) ES2914070T3 (ko)
MY (1) MY188892A (ko)
PH (1) PH12017500027A1 (ko)
PL (1) PL3170944T3 (ko)
WO (1) WO20160103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731B1 (ko) * 2018-10-24 2019-06-07 김현숙 하수관거의 해수 역류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653A (zh) * 2019-09-09 2019-12-03 江苏碧涛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水位控制选择阀及其使用方法
CN112431296A (zh) * 2020-11-27 2021-03-02 西京学院 一种市政下水道顶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335B1 (ko) * 2007-09-14 2008-06-04 주식회사 동인 부표식 자동 수문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4654A (en) * 1975-10-28 1976-08-17 W. S. Rockwell Company Self-regulating tide gate
US4117860A (en) * 1977-04-08 1978-10-03 Carlin Jack M Pressure differential flow retardant valve
CA2114602C (en) * 1994-01-31 1997-07-01 Gabe Cosarella Backwater valve
JPH1018405A (ja) * 1996-07-02 1998-01-20 Sekisui Chem Co Ltd 逆流防止装置及びマス
DE29719374U1 (de) * 1997-10-31 1998-02-19 Griem, Matthias, 22587 Hamburg Rückschlagklappe
CA2307168A1 (en) * 2000-04-27 2001-10-27 Gabe Coscarella Plumbing fitting with hub
ES1048507Y (es) 2001-03-05 2001-12-16 Aranega Pedro Sanchez Cierre antirretorno para conductos de alcantarillado.
CA2339465C (en) * 2001-03-07 2008-10-14 Gabe Coscarella Valve inspection chamber
CN2627304Y (zh) * 2003-06-24 2004-07-21 陆宗民 一种单向阀
DE202004010448U1 (de) 2004-06-30 2004-10-21 Biller, Werner Rückstauklappe für Schächte
KR100525160B1 (ko) * 2005-05-06 2005-11-02 주식회사 가림환경기술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
US7101114B1 (en) 2005-07-06 2006-09-05 Waters Jr Louis A Storm drain system and method
KR100827566B1 (ko) * 2007-05-03 2008-05-07 김종선 하수관로 역류 방지장치
US8033753B2 (en) * 2008-01-18 2011-10-11 Floodbreak, L.L.C. Automatic flooding protection for underground ventilation ducts
CA2640496C (en) * 2008-10-01 2015-11-24 Gabe Coscarella Low profile backwater valve
KR101131601B1 (ko) * 2009-12-23 2012-03-30 김종선 무동력 역류 방지장치
CN201858398U (zh) * 2010-11-22 2011-06-08 英业达股份有限公司 防逆流装置
JP2012122246A (ja) * 2010-12-08 2012-06-28 Marsima Aqua System Corp 起伏式流水浸入防止ゲート
KR20140065368A (ko) * 2012-11-21 2014-05-29 유정수 수평 하수관의 역류 방지장치
CA2830404C (en) * 2013-10-21 2019-01-22 Gabe Coscarella Low profile overbalanced backwater val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335B1 (ko) * 2007-09-14 2008-06-04 주식회사 동인 부표식 자동 수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731B1 (ko) * 2018-10-24 2019-06-07 김현숙 하수관거의 해수 역류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95712B (zh) 2021-04-27
JP2017524082A (ja) 2017-08-24
EP3170944B1 (en) 2022-03-02
US20170107711A1 (en) 2017-04-20
WO2016010316A1 (ko) 2016-01-21
PL3170944T3 (pl) 2022-08-22
ES2914070T3 (es) 2022-06-07
EP3170944A1 (en) 2017-05-24
CN106795712A (zh) 2017-05-31
AU2015290411A1 (en) 2017-02-02
MY188892A (en) 2022-01-12
JP6388175B2 (ja) 2018-09-12
US10151098B2 (en) 2018-12-11
DK3170944T3 (da) 2022-06-13
EP3170944A4 (en) 2017-06-28
PH12017500027A1 (en)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1796B2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JP5244571B2 (ja) 排水ます及びこれを備えた排水設備
JP4773577B1 (ja) 遮水装置
RU2493332C2 (ru) Водопроводное уплотн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488685B1 (ko)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KR101530824B1 (ko)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KR101797469B1 (ko) 역류방지 수문 구조물
KR101756520B1 (ko)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US200201854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floating debris
KR20150055807A (ko)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
JP6243239B2 (ja)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KR101596785B1 (ko) 우수 저류용 역류방지 맨홀 덮개
KR100608603B1 (ko) 수중보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
JP6581428B2 (ja) 田んぼダムシステム
KR200488498Y1 (ko) 하수관 유지보수용 물막이 장치
KR20120040805A (ko) 맨홀의 하수역류 방지장치
KR101272581B1 (ko) 유입조, 우수 유입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유출 저감 시스템
KR20170035200A (ko) 하수관 유지보수용 물막이 장치
KR101769896B1 (ko) 무동력 하수구 개폐장치
JP7097927B2 (ja) 貯水装置、及び排水システム
JP2017179824A (ja) トイレシステム
KR20180091247A (ko) 무동력 역류 방지 수문 장치
KR101345769B1 (ko) 저류조 시스템
KR200429800Y1 (ko) 하수도용 부력기능을 갖는 자동비
KR200377326Y1 (ko) 상수원 저수지 상류 퇴적토 제거용 수압관로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5-X000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R16-X000 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7-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6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