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3416B1 - Apparatus for generating zinc ion and pip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enerating zinc ion and pip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416B1
KR101533416B1 KR1020140105226A KR20140105226A KR101533416B1 KR 101533416 B1 KR101533416 B1 KR 101533416B1 KR 1020140105226 A KR1020140105226 A KR 1020140105226A KR 20140105226 A KR20140105226 A KR 20140105226A KR 101533416 B1 KR101533416 B1 KR 101533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luid
metal layer
processing apparatus
electrostatic
me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학섭
이덕수
박성호
정연임
Original Assignee
(주)진행워터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행워터웨이 filed Critical (주)진행워터웨이
Priority to KR1020140105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416B1/en
Priority to PCT/KR2014/008602 priority patent/WO201602465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41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fluid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corrosion or scale formation on a pipe in which fluid flows. The electrostatic fluid processing apparatus for conductive fluid has a pipe shape and is supplied to a fluid passage through which conductive fluid flows. The electrostatic fluid processing apparatus for conductive fluid comprises: a first metal layer made of a metal containing copper; an insulation layer disposed inside the first metal layer to come in contact with conductive fluid flowing therethrough and prevent the conductive fluid from com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metal layer; and a second metal layer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sulation layer, through which the conductive fluid flows, and made of zinc which elutes zinc ions into the conductive fluid and generates electrons. The electrostatic fluid processing apparatus for conductive fluid further comprises an external power source whose both polariti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layer and whose negative polarity is connected to the second metal layer to supply a voltage. The electrostatic fluid processing apparatus for conductive fluid elutes metal ions into the conductive fluid from the second metal layer and generates electrons by application of a constant voltage.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ductive fluid supply pipe on which the electrostatic fluid processing apparatus is installed.

Description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설치된 도전성 유체 공급 배관{APPARATUS FOR GENERATING ZINC ION AND PIPE COMPRI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a conductive fluid and a conductive fluid supply pipe provided with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의 부식 또는 스케일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 및 상기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도전성 유체 공급 배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성 배관재에 제공되어 금속 배관에 부식된 금속산화물을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 및 방지할 수 있고, 그 금속 배관재의 내부 관벽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도전성 유체 공급 배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a conductive fluid capable of preventing corrosion or scale formation of a pipe through which a fluid flow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uctive fluid supply pipe inclu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of a conductive fluid capable of more effectively and effectively removing and preventing the metal oxide corroded in the metal piping and effectively preventing scale formed on the inner pipe wall of the metal piping and a conductive fluid supply pipe .

우리나라는 UN에서 지정한 물부족 국가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수도관의 발청 등으로 인해 파열되는 등, 상수도관의 노후화 등으로 인해 버려지는 수돗물의 양 만해도 한 해 8억여 톤에 이르며, 환경부와 수자원공사에 따른 우리나라의 과거 10년간(2001년~2010년) 상수도 누수량은 84억㎥로 재정 손실액만 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Korea is one of the UN-designated water-scarce countries. Nevertheless, the amount of tap water abandon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etc., ruptured due to the opening of the water supply pipe, etc., reached 800 million tons a year. In the past 10 years (2001 Year-to-year 2010) Water leakage amount is 8.4 billion m3, accounting for 6 trillion won in financial losses.

이와 같은 상수도관의 발청은 배관이 주로 철로 이루어진 금속철관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속철관의 주성분인 철(Fe)은 물(H2O)에 비하여 이온화 경향이 크므로, 배관재의 내부를 흘러가는 도중에, 상기의 철 성분이 물에 녹아 들어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금속배관재가 부식을 일으키게 되며,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어, 배관의 급속한 노후화를 야기하며, 나아가 최종 수요처에서는 붉은 녹물을 공급받게 되는 상황을 맞게 되기도 한다.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pipes are mainly made of iron pipes. Since iron (Fe),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metal iron pipe, has a tendency to ionize compared to water (H 2 O), the iron component dissolves in the water while flowing inside the pipe, As time goes by, this phenomenon accelerates further, leading to rapid deterioration of the piping, and even to the situation where the end consumer is supplied with red lanterns.

통상적으로, 수도관에 사용되는 금속관의 경우 대부분 5년차부터 부식이 관찰되며, 15년 차에 누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상수도관은 21년 이상된 배관이나 누수 배관이 일부 교체되고 있으나, 교체된 상수도관과 연결되는 아파트?건물 등은 배관 관리 부족과 유지 관리 지침 미흡 등으로 배관관리가 부실하여 부식에 매우 취약하며, 이로 인한 수자원 및 비용 낭비와 인체 유해물질 및 수질 오염이 발생하고 있다.
Generally, in the case of metal pipes used in water pipes, corrosion is observed from the fifth year on, and a leakage phenomenon occurs in the 15th year. In this situation, the water supply pipe has been replaced with water pipes over 21 years, but the apartments and buildings that are connected to the replaced water supply pipe have insufficient piping management and insufficient maintenance instructions. And it causes waste of water resources and costs, harmful substances of human body and water pollution.

오늘날 금속관의 내부에서 발생된 부식현상은 다음과 같은 이론적 배경을 갖고 있다. 금속관의 내부에서는 비록 미약할지라도 그 내부를 흘러가는 물 분자들이 금속관의 내부표면에 마찰을 일으키게 되고, 그 마찰로 인하여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금속관의 철 성분이 전자를 빼앗겨 철 이온으로 전환되고, 상기의 철 이온이 물속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철을 생성하게 된다.
Corrosion phenomena occurring inside the metal pipe today have the following theoretical background. Even if the inside of the metal tube is weak, the water molecules flowing inside the metal tube cause fri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etal tube, and a potential difference occurs due to the friction. In the process, the iron component of the metal tube is converted to iron ion by depriving electrons, and the iron ion reacts with oxygen in water to generate iron oxide.

상기의 산화철은 붉은 색을 띠고 있으므로, 금속배관재가 심하게 부식을 일으킬 경우, 순간적으로 붉은 색의 녹물을 쏟아내게 된다. 이를 화학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Since the iron oxide has a red color, when the metal piping material is severely corroded, the reddish rust is instantaneously poured out. The formula is shown below.

Fe = Fe2 + + 2e- Fe = Fe 2 + + 2e -

Fe2 + + O2 + H2O = Fe2O3
Fe 2 + + O 2 + H 2 O = Fe 2 O 3

한편, 철 성분을 포함한 주철관 등의 부식문제를 우려하여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동관이 주철관 등에 비하여 고가이므로 소규모 배관의 경우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동관은 철 성분에 의한 부식의 문제는 해결될 수 있지만, 청녹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는 없으며, 또한 상기 청녹은 인체에 유해 물질로 알려져 있다. 나아가, 동관은 그 자체로서 철 성분에 의한 부식 문제를 방지할 수 있지만, 이미 설치된 주철관 등의 부식문제에 대해서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ase where a copper pipe is used to prevent corrosion problems such as a cast iron pipe including iron components. This is mainly used in the case of a small pipe because the copper pipe is expensive compared to a cast iron pipe. However, the problem of corrosion caused by the iron component in the copper tube can be solved, but it can not fundamentally prevent the blue-green phenomenon, and the blue-green is also known as a harmful substance to the human body. Furthermore, although the copper pipe itself can prevent the corrosion problem caused by the iron component, it can 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to corrosion problems such as cast iron pipes already installed.

또한, 동관은 부식되지 않으므로 그 내구성을 인정받을 수 있지만, 동관 내부에 형성되는 스케일 및 물때 등을 방지할 수는 없다. 즉, 물속에는 각종의 미네랄 성분이 녹아 있고, 그 중에는 칼슘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물속에 용존되어 있는 칼슘 이온(Ca2 +)이 역시 물속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H2CO3)와 결합하게 되면, 불용성인 탄산칼슘(CaCO3)을 형성하는데, 이들은 유속이 가장 약한 배관재 내부 벽면에 부착되고, 이것이 점점 성장하여 스케일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스케일은 배관 내부의 통로를 막아 유속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배관재를 동관으로 할 경우에도 스케일의 형성 작용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물때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발생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pper pipe is not corroded, its durability can be recognized, but scale and water scum formed in the copper pipe can not be prevented. In other words, various minerals are dissolved in water, and calcium ions are contained in the water. Calcium ions (Ca 2 + ) dissolved in water are combined with carbon dioxide (H 2 CO 3 ) , They form insoluble calcium carbonate (CaCO 3 ), which adher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iping material having the weakest flow velocity, which gradually grows to form a scale. Therefore, the scale functions as a factor for blocking the passage inside the pipe and remarkably lowering the flow velocity. Therefore, even when the piping material is a copper pipe, the formation of the scale can not be fundamentally solved. This phenomenon occurs similarly in the case of water.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등장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효율적인 제품으로 평가되는 것이 스케일 부스터라 불리는 이온 수 처리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이온 수 처리기는 배관재에서 흘러온 물이 벽면과의 마찰에 의해 아연 성분을 용해시킨다. 상기 아연은 이온화 경향이 매우 큰 것으로, 특히 철 성분에 비하여 이온화 경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미 물에 용해된 아연 이온이 주철관 등의 금속관으로부터 철 성분이 이온화되는 것을 방해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금속관의 부식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의 아연 금속과 철 성분은 이온화 경향이 매우 크게 차이가 나게 되고, 이를 동일한 용매에 침적시켰을 경우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위차에 의해 미생물 발생이 억제되고, 스케일 내지 물때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Considering these points, various types of products have emerged. Among them, the most efficient product is the ion water processor called scale booster. The ion water processor dissolves the zinc component by friction between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piping and the wall surface. Since zinc has a very high ionization tendency, and especially ionization tendency is higher than that of iron component, zinc ions already dissolved in water interfere with ionization of iron components from metal pipes such as cast iron pipes,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In addition, the ionization tendency of the zinc metal and the iron component greatly differs. When the zinc metal and the iron component are immersed in the same solvent, a potential difference is generated. By the potential difference, generation of microorganisms is suppressed and contamination such as scale or water .

상기와 같은 이온 수 처리기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313778호에 기재된 "유체처리장치 및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이온 수 처리기는 황동 재질의 몸체 내부에 희생 양극을 형성하는 아연블록 및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이종 금속간의 자연 전위차에 의한 전위 정전하를 발생시켜 유체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침전을 유도하는 불소수지 블록이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아연블록과 불소수지 블록에는 유체의 유동을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불소수지 블록은 물 내부에 있는 하전된 콜로이드를 중성화시켜 그것들이 응집 및 침전되게 함으로써 필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보다 손쉽게 여과할 수 있도록 한다.
A typical example of such an ion water processor is the "flu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described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0313778. The 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uses a zinc block and a fluid flow forming a sacrificial anode in a brass body to generate a potential electrostatic charge due to a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dissimilar metals to remove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And a fluororesin block for inducing sedimentation is installed inside. The zinc block and the fluororesin block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fluid flow. The fluororesin block neutralizes the charged colloid in the water so that they flocculate and precipitate so that the filter can be used to more easily filter the foreign matter.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수처리 장치는 실제로 금속 배관재에 사용하여 가시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데까지 상당한 기간의 경과가 요구되는 등, 수처리 장치에 의한 수 처리 효과가 매우 더디고 서서히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금속 배관재의 내부에 흐르는 물에 대하여 필요하고도 충분할 정도로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온도 및 수질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크고, 보일러 등 스케일이 많은 곳에는 효과가 적은 문제가 있다.
However, it is known that the above-mentioned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used in a metal piping material and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is required until the visible effect is confirmed, and the effect of the water treatment by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takes place very slowly and slowly. That is, it is estimated that the function of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metal pipelines is not sufficiently and sufficiently performed. Also,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effect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the water qualit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is small in places where the scale is large, such as a boiler.

또,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948338호에는 전기 화학적 이온용출방법으로 이온 발생금속인 아연에 (-)극을 가하고 이온 흡착금속인 황동에 (+)극을 가하여 아연 이온 용출량을 증가시켜 부식억제 효과와 스케일제거 효과를 개선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48338 discloses an electrochemical ion elution method in which a negative electrode is added to an ion generating metal zinc and a positive electrode is added to an ion adsorbing metal,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scale removal effect is disclosed.

본 발명은 광전자 효과의 원리를 이용하여 금속 배관 내부의 부식 생성을 방지하고, 스케일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a fluid capable of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rrosion inside a metal pipe and preventing scale formation by using the principle of photoelectro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금속 배관재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그 금속 배관재의 사이에 장착시킴으로써, 금속 배관재의 부식 방지 및 스케일의 형성 방지를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id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preventing the corrosion of metal pipelines and the formation of scales by mounting the conventional metal pipelines as they are while being mounted between the metal pipeline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전성 유체가 통과하는 수로로 제공되는 관 형상을 갖는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로서,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a conductive fluid having a tubular shape provided with a channel through which a conductive fluid passes,

구리 함유 금속으로 된 관상의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내부에 형성되어 내부로 도전성 유체가 유동가능한 관상의 아연으로 된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2 금속층 사이에 형성되되,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 및 도전성 유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금속층에 양극이 연결되고, 제2 금속층에 음극이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외부 전원을 포함하며, 전압의 인가에 의해 상기 도전성 유체에 상기 제2 금속층으로부터 금속이온을 용출하고, 전자를 생성하는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A first tubular metal layer made of a copper-containing metal; A second metal layer formed in the first metal layer and made of tubular zinc capable of flowing a conductive fluid therein; And an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the insulating layer interrupt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conductive fluid, wherein the an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layer, There is provided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a conductive fluid which includes an external power source to which a negative electrode is connected to a metal layer and which applies a voltage and which dissolves metal ions from the second metal layer into the conductive fluid by application of voltage to generate electrons.

상기 제1 금속층은 황동 또는 순수 구리일 수 있다. The first metal layer may be brass or pure copper.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도전성 유체가 통과하는 채널이 하나인 관 형상이거나, 또는 2 이상의 채널이 형성된 관다발 형상일 수 있다.The second metal layer may have a tubular shape with one channel through which the conductive fluid passes, or a tubular shape with two or more channels formed therein.

상기 절연층은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부도체일 수 있으며, PE, PP, PTFE 및 불소고무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절연 필름을 적층하거나 절연 수지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may be plastic, ceramic or non-conductive, and may be selected from PE, PP, PTFE, and fluorine rubber, and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n insulating film or coating insulating resin.

또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절연층은 절연체에 의해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이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는 공기로 충진되거나 또는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도전성 유체의 정전 수처리 장치.The insulating layer may include a space portion formed by separating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from each other by an insulator, and the space portion is filled with air or held in a vacuum state. .

나아가, 상기 제1 금속층, 절연층 및 제2 금속층은 조립 가능한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first metal layer,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assemblable.

상기 외부 전원은 3V 내지 27.5V 범위 내의 정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external power source can apply a constant voltage within the range of 3V to 27.5V.

나아가, 상기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는 상기 도전성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제2 금속층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에 도전성 유체의 와류를 형성하는 정전 발생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the electroconductive fluid may include at least one electrostatic generating unit that forms a vortex of the electroconductive flui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back end of the second metal layer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electroconductive fluid.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아연 이온 발생장치의 양 측단에 유체가 유동하는 금속 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금속 배관을 통해 흐르는 도전성 유체가 상기 정전 처리 장치를 통과하되, 외부 전원의 구동에 의해 생성된 전자가 상기 금속 배관 중의 산화철과 반응하여 철을 환원시키는 도전성 유체 공급 배관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electroconductive fluid, wherein a metal pipe through which a fluid flows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zinc ion generating device, and a conductive fluid flowing through the metal pipe is electrostatically processed There is provided a conductive fluid supply pipe through which electrons generated by driving an external power supply react with iron oxide in the metal pipe to reduce iron.

이때, 상기 금속 배관은 보일러 배관, 상수도 배관, 하수도 배관, 공업용수 이송배관 및 산업폐수 배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etal pip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oiler pipe, a water pipe, a sewer pipe, an industrial water transfer pipe, and an industrial waste water pipe.

본 발명은 도전성 유체가 공업용수 또는 수돗물일 경우, 공업용수관 또는 수도관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물속에 용해된 중금속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Industrial Applicabilit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ductive fluid is industrial water or tap water, the conductive fluid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n industrial water pipe or a water pipe, and the heavy metal component dissolved in the water can be efficiently removed.

또한, 본 발명은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성분에 대해서도 이를 효율적으로 환원시켜 제거할 수 있고, 특히 칼슘 성분의 경우 물속에서 이산화탄소와 결합되기 이전에 제거될 수 있으므로, 스케일을 형성할 가능성을 매우 낮출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reduce and remove metal components having a high ionization tendency, and in particular, the calcium component can be removed before it is bonded with carbon dioxide in water, There is an advantage to be.

또한, 본 발명은 도전성 유체의 양 이온을 제거하거나 그 농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도전성 유체의 양 이온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or reduce the concentration of positive ions in the conductive fluid, it is possible to minimize side effects caused by positive ions in the conductive fluid.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전성 유체의 정전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전성 유체의 정전처리장치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 사이에 절연층으로 절연체 필름이 형성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전성 유체의 정전처리장치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 사이에 절연층으로 공기층이 형성되되,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 사이에 부분적으로 절연체 고무가 장착되어 있는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아연 이온과 물 분자에 의한 착화합물 형성을 통해 스케일이 제거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의해 측정된 전압 변화에 따른 ORP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의해 측정된 전압 변화에 따른 아연 이온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에 1에 의해 측정된 전류 변화에 따른 아연 이온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서 주철관을 통과한 물에 포함된 철 이온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3에서 산화철 생성 억제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 4에서 산화철의 마그네타이트로 변환되는데 소요된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예 5에서 스케일 제거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a conductive fluid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a cross section of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a conductive fl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insulator film is formed as an insulating layer between a first metal layer and a second metal layer.
Fig. 3 schematically shows a longitudinal section of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a conductive fl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air layer is formed as an insulating layer between a first metal layer and a second metal layer, As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concept that scale is removed by complex formation by zinc ions and water molecules. FIG.
5 is a graph showing an ORP change according to the voltage change measured by Example 1. Fig.
6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zinc ion amount according to the voltage change measured in Example 1. FIG.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zinc ion amount according to the current change measured by the comparative example 1. FIG.
8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amount of iron ions contained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ast iron pipe in Example 2.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of suppression of iron oxide formation in Example 3.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time taken for converting iron oxide into magnetite in Example 4. FIG.
11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scale removal amount in the fifth embodiment.

본 발명은 도전성 유체가 유동하는 금속 배관에 형성된 녹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정전 처리 장치는 도전성 유체가 통과하는 수로로 제공되는 관 형상을 가지며, 제1 금속층, 절연층 및 제2 금속층으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a conductive fluid capable of efficiently removing rust formed on a metal pipe through which a conductive fluid flows and preventing rust, and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duit through which a conductive fluid passes And has a first metal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 second metal layer.

상기 정전 처리장치는 유체가 유동하던 기존 금속재 배관에 삽입 설치되어 운영되는 것으로서,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상을 갖는 것으로서, 기존의 금속재 배관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The shape of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tubular shape capable of passing a fluid and can be connected to a conventional metallic material pipe.

이때, 상기 배관을 통해 유동하는 도전성 유체는 도전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대표적인 유체로서 물을 들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ductive fluid flowing through the pi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and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fluid include water.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제1 금속층, 절연층 및 제2 금속층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전성 유체의 정전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정전 처리 장치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정전처리장치의 종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of the conductive fluid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metal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 second metal laye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Fig. 1 schematically shows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of a conductive flui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device.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제1 금속층은 구리를 함유하는 금속으로서, 예를 들어, 황동 또는 순수 구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금속층은 아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metal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etal containing copper, for example, brass or pure copp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made of zinc.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구리와 아연의 이종 금속간에 발생하는 자연적인 전위차, 즉, 1.1V의 전위차에 의해 이온화 경향이 더 큰 아연이 먼저 이온화되어 물속에 아연이온을 용출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발생된 아연 이온에 의한 희생 방식으로 금속재 배관, 특히 철의 부식을 방지하고, 물 속에 존재하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es for electroconductive fluids generally use a principle in which zinc ions having higher ionization tendencies are first ionized by a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copper and zinc dissimilar metals, that is, a potential difference of 1.1 V, and zinc ions are eluted into water will be. At this time, the effect of sacrificing by the zinc ions can prevent the corrosion of the metal pipe, in particular the iron, and the scale present in the water can be removed.

따라서, 상기 도전성 유체에 아연 이온을 용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금속층은 도전성 유체와 접촉할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금속층은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는 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이상 포함하는 관다발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도전성 유체와의 접촉 면적을 보다 넓힘으로써 아연 이온 용출량을 증대시킨다는 측면에서 2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채널의 수는 제2 금속층을 통과하는 중에 도전성 유체의 유량이 지나치게 감소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 내지 30개, 3 내지 15개, 3 내지 10개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metal layer is formed inside the conductive fluid so as to be able to contact with the conductive fluid so that zinc ion can be eluted into the conductive fluid. The second metal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nclude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and may be a tubular shape including one channel. In addition, the channel may be in the form of a tube bundle including two or mor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wo or more channels in terms of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ductive fluid to increase the zinc ion elution amount.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channe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flow rate of the conductive fluid does not excessively decrease during passage through the second metal layer. For example, from 2 to 30, from 3 to 15, from 3 to 10, and the like.

상기 제2 금속층의 아연은 이온화에 의해 아연 이온이 도전성 유체 중으로 용출되고, 전자를 생성한다.
The zinc of the second metal layer is ionized to cause the zinc ions to dissolve into the conductive fluid to generate electrons.

이때, 일반적으로 물속에는 칼슘이나 마그네슘 양이온들이 탄산(HCO3 -)과 함께 존재하고 있다가 온도 변화에 따라 서로 반응하여 탄산칼슘(CaCO3)나 탄산마그네슘(MgCO3)을 형성한다. 이러한 탄산염은 약 7㎛ 크기의 침상형 구조를 하고 있는데 배관 내부 벽면에 단단히 부착되어 스케일을 형성한다.
At this time, generally, calcium or magnesium cations are present in the water together with carbonate (HCO 3 - ) and re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to form calcium carbonate (CaCO 3 ) or magnesium carbonate (MgCO 3 ). This carbonate has an acicular structure with a size of about 7 탆 and is firm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 to form a scale.

그러나, 도전성 유체 중에 용출된 아연 이온이 유체 중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아연이온과 물 분자에 의한 착화합물 형성을 통해 스케일이 제거되는 개념에 대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연 이온 주위로 Cl-, NO3 -, SO4 2 -, PO4 3 - 등과 같은 많은 음전하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아연 이온을 중심으로 모여 음 전하를 띄는 구름을 형성하게 되고, 양 전하의 이온을 정전기적 인력으로 끌어당겨 이온 담체(ionophore)를 형성하게 된다.
However, when the zinc ion eluted in the conductive fluid present in the fluid, as shown in Fig against the concept that the scale is removed from the complex formed by the zinc ion and water molecule 4, Cl to zinc ions around -, NO 3 - , SO 4 2 - , PO 4 3 -, etc. are gathered around the zinc ions by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to form a cloud having a negative charge, and attract ions of positive charges to the electrostatic attracting force, thereby forming an ionophore.

이와 같은 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침상구조의 스케일이 성장하여 약 110㎛ 정도 직경의 아라고나이트(aragonite) 형태의 구상으로 변화되는데, 이러한 구상의 스케일은 배관 내벽에 부착되지 않고 유체와 함께 유동하며, 이에 의해 배관 내벽에의 스케일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The scale of the acicular structure is grown by the electrical force to change into a spherical shape of an aragonite shape having a diameter of about 110 탆. The spherical scale flows together with the fluid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 Scale forma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pipe can be suppressed.

한편, 상기 용출된 아연 이온은 도전성 유체 중에서 철보다 더 이온화 경향이 커 전위가 낮아 양극으로 작용하고, 철은 음극이 된다. 즉, 아연은 양극 반응으로 물에 용해되고, 전자는 철 표면에서 일어나는 음극 반응에서 소모된다. 따라서, 양극의 아연은 부식이 촉진되는 반면, 철은 음극 보호에 의해 부식이 억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luted zinc ions tend to ionize more than iron in the conductive fluid and have a low electric potential, so that they act as an anode, and iron becomes a cathode. That is, zinc is dissolved in water by an anodic reaction, and the electrons are consumed in a negative reaction occurring on the iron surface. Therefore, zinc in the positive electrode promotes corrosion, while corrosion in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inhibited by iron.

이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서로 다른 금속이 전해질 수용액에 노출될 때 발생되는 두 금속의 전위차로 인하여 양극인 아연이 희생하면서 아연 이온의 물속의 용존 산소량을 낮춰 철의 부식속도를 늦추게 된다.
As a result of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als, which are generated when the different metal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exposed to the electrolytic solutio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of the zinc ions is lowered and the corrosion rate of the iron is lowered.

이와 같은 원리로 황동과 아연의 전위차에 의해 아연 용출장치에서 아연 이온이 지속적으로 용출되며, 상기 용출된 아연 이온은 물을 pH를 높여 알칼리도를 높이고, 산소 및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이온(OH-)을 발생시키며, 전자는 배관 내 형성된 녹(Fe2O3)과 반응하여 산화철인 검정색의 마그네타이트(Fe3O4)로 환원시킨다.
In the same principle, and the zinc ions continuously eluted from the zinc dissolution apparatus by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brass and zinc, wherein the eluted zinc ion is to increase the alkalinity of the water increases the pH, oxygen and water react with the hydroxide ions (OH -) And the electrons react with the rust (Fe 2 O 3 ) formed in the pipe to reduce it to black magnetite (Fe 3 O 4 ) which is iron oxide.

아연 이온과 전자에 의해 부식이 방지되는데, 이에 대한 이론식은 아래와 같은 Schikorr reaction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Corrosion is prevented by zinc ions and electrons, and the theoretical formula for this is shown in the following Schikorr reaction scheme.

3Fe(OH)2 -> FeO + Fe2O3 + 2H2O +H2 -> Fe(Ⅱ)O + Fe(Ⅲ)2O3 -> Fe3O4
3Fe (OH) 2 -> FeO + Fe 2 O 3 + 2H 2 O + H 2 -> Fe (Ⅱ) O + Fe (Ⅲ) 2 O 3 -> Fe 3 O 4

다만, 상기와 같은 반응을 위해서는 제2 금속층으로부터 생성된 전자가 양극에서 수용되는 것이 억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금속층은 제2 금속층과 절연되어야 하며, 또한, 제1 금속층은 도전성 유체와도 절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금속층의 내부, 또는 제2 금속층의 외부(이하, 편의상 제1 금속층의 내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에는 전면에 걸쳐 절연층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However, for the above reaction, electrons generated from the second metal layer must be inhibited from being received in the anode. Therefore, the first metal layer should be insulated from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first metal layer should also be insulated from the conductive flui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 an insulating layer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metal layer or the outside of the second metal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metal lay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상기 절연층은 제1 금속층이 도전성 유체 및 제2 금속층과 절연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부도체로서의 성질을 갖는 플라스틱, 세라믹, 고무 또는 기타 부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중에서도 플라스틱 재질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insulating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first metal layer can be insulated from the conductive fluid and the second metal layer. For example, plastic, ceramic, rubber or other non-conductive material having non-conductive properties can be used. Among them, the plastic material is most prefer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플라스틱 재질 중에서 가공성이 양호하고, 절연성이 뛰어나며, 마찰에 의한 정전기적 성질도 우수한 플라스틱이 보다 적합하며, 기능성과 기계적 강도가 양호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테프론으로 알려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 가장 바람직하다.
Among plastics, plastics having good processability, excellent insulation, and excellent electrostatic properties due to friction are more suitable, and it is desirable to use engineering plastics having good functionality and mechanical strength,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is most preferable.

특히, 이와 같은 불소 수지는 물이 그 표면을 지날 때 정전기(static charge)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의한 정전하는 유체 내부에 존재하는 미립자가 응집되도록 한다. 일단 응집된 입자는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다른 미립자의 응집을 또한 촉진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침상 구조의 스케일을 구상으로 조대화하여 배관 내벽에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articularly, such a fluororesin causes a static charge when water passes over the surface of the fluororesin, thereby causing fine particles existing in the fluid to be electrostatically agglomerated. Once agglomerated, the particles also promote agglomeration of other particulates present in the aqueous solution. Thereby, as described above, the scale of the needle-shaped structure can be coaxial with the spherical shape to prevent the scale from being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pipe.

상기 절연층은 제1 금속층의 내부에 코팅되어 형성된 코팅층일 수 있으며, 상기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된 필름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연층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연재를 제1 및 제2 금속층 에 의한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금속층 내부에 조립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절연재에 의한 구조물과 상기 제1 금속층 간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로 충진된 에어 스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기는 절연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 또는 도전성 유체간의 절연 효과를 도모할 수도 있다.
The insulating layer may be a coating layer formed by coating the inside of the first metal layer, and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film made of the insulating material. In addition,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forming a structure of the insulating material by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and assembli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in the first metal layer,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tructure made of the insulating material and the first metal layer, and an air space filled with air may be included. Air can serve as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insulating effect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or the conductive fluid can be achieved.

이와 같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금속층은 구리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금속층은 황동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금속층은 외부에 니켈 도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켈 도금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하다.
In order to perform such an operation, the first metal layer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copper, and more preferably, the first metal layer may be made of brass. Further, the first metal layer may further include a nickel plating layer on the outside. The nickel plating is preferable for preventing external impact.

제2 금속층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에는 각각 외부 전원이 연결된다. 상기 제1 금속층은 (+)극을 연결하고, 제2 금속층에는 (-)극을 연결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정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2 금속층으로부터 아연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respectively, in order to elute metal ions from the second metal layer. Zinc ions can be eluted from the second metal layer by connecting the (+) electrode of the first metal layer, connecting the negative (-) electrode to the second metal layer, and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즉, 본 발명은 아인슈타인의 광전자 효과에 의한 이온 방출 이론을 응용한 것으로서, 내부의 제2 금속층, 예를 들어, 아연에 (-)극을 걸어주고, 외부의 제1 금속층, 예를 들어, 구리에 (+)극을 걸어 전압을 가하면 상기 제2 금속층으로부터 아연이 아연 이온과 전자로 이온화되어 전자가 방출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theory of ion release by the photoelectron effect of Einstei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theory of ion release due to the photoelectron effect of Einstei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negative electrode to an inner second metal layer, for example, zinc and forms a first outer metal layer, When a voltage is applied across the (+) electrode, zinc is ionized with electrons from the second metal layer to electrons and electrons are emitted.

상기 방출된 전자는 (+)극으로의 이동을 위해 관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물속의 수소 이온이 전자를 받아 수소 기체가 방출되며 제2 금속층으로부터 방출된 전자의 양만큼 이온이 용출되게 된다. 이때, 제1 금속층을 형성하는 구리에 (+)극을 연결하면 구리 이온이 용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온이 용출되지 않도록 황동을 물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한다.
The emitted electrons are moved along the tube for movement to the (+) electrode. Hydrogen ions in the water receive electrons, hydrogen gas is released, and ions are released by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second metal layer. At this time, since copper ions are eluted by connecting the positive electrode to copper forming the first metal layer, it is preferable to block the brass with water so as not to elute such ions. For this purpose,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외부 전원에 의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광전자 효과에 의한 아연 이온 용출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에 의해 인가되는 정전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아연의 제2 금속층으로부터 광전효과에 의해 전자의 방출을 도모할 수 있는 범위라면 본 발명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3V 내지 27.5V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By applying a voltag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zinc ion elution by the photoelectronic effect as described above can be maximized. The positive voltage applied by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can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far as it is capable of emitting electrons from the second metal layer of zinc by photoelectric effect. The positive voltage is preferably 3 V to 27.5 V Lt; / RTI >

이때, 상기 전압은 요구되는 아연 이온의 용출양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인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범위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아연 이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정전압의 설정은 처리대상이 되는 도전성 유체의 부식 정도 및 스케일 함량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돗물 조건인 전기전도도 100-3000μS/㎝에서 3 내지 27.5V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아연 이온의 방출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oltag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elution amount of zinc ions required, and the amount of zinc ions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a voltage applied in the range. The setting of the constant voltage may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rrosion and scale of the conductive fluid to be treate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when a constant voltage of 3 to 27.5 V is applied at an electrical conductivity of 100-3000 μS / cm under tap water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discharge amount of zinc ions within a range satisfying the water quality standard.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전도성 유체의 정전 처리장치는 상기 제1 금속층의 외부에 스테인리스 재질 등의 금속재질로 된 하우징 내에 장착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a conductive fluid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in a housing made of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n the outside of the first metal layer.

본 발명의 전도성 유체의 정전 처리장치는 배관의 부식 문제를 야기하는 곳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수도 및 하수도 배관은 물론, 스케일의 발생이 심한 보일러 배관, 난방 및 온수 배관, 기타 공업용수 또는 산업 폐수가 유동하는 배관 등 다양한 곳에 적용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a conductive flui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causes corrosion problems of piping. For example, it can be used not only for water supply and sewage piping but also for boiler piping, , Other industrial water, or piping in which industrial wastewater flows.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examples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정전 수처리 장치 1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device 1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재의 하우징 내부에 황동으로 된 관이 장착되고, 상기 황동관 내부에는 관 내부로 흐르는 유체와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코팅되어 있다. 또, 상기 황동관 내부는 5개의 채널을 갖는 아연재 관다발 형상의 튜브가 삽입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a tube made of brass is mounted inside a housing made of stainless steel, and a tube made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is disposed inside the brass tube to prevent contact with a fluid flowing into the tube. . Inside the brass tube, there is inserted a tube having a channel of five channels and a sub-tube.

상기 황동에 (+)극이 연결되고, 아연에 (-)극이 연결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brass, and a negative (-)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zinc, so that a voltage can be appli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정전 수처리 장치 2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device 2

특허 제0948338호에서 개시된 정전 수처리 장치로서, 외부 전원의 인가 없이 이종 금속간의 자연 전위차에 의한 1.1V의 전압이 발생하도록 하였다.
As an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0948338, a voltage of 1.1 V is generated by a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dissimilar metals without application of an external power source.

실시예Example 1 및  1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상기 정전 수처리 장치 1의 양 말단에 금속재 배관을 체결하고, 수돗물을 유속 500mL/min으로 흘렸다. 이때, 상기 외부 전원을 통해 10V의 전압을 인가하였다. (실시예 1)A metallic pipe wa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1, and tap water was flowed at a flow rate of 500 mL / min. At this time, a voltage of 10V was applied through the external power source. (Example 1)

한편, 정전 수처리 장치 2의 양 말단에 금속재 배관을 체결하고, 수돗물을 유속 500mL/min으로 흘렸다(비교예 1). 이때, 아연과 황동간의 전위차를 측정하였는바, 이종 금속간에 발생되는 자연 전위차로 1.1V임을 확인하였다. On the other hand, a metallic material pipe wa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2, and tap water was flowed at a flow rate of 500 mL / min (Comparative Example 1). At this time,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zinc and brass was measu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dissimilar metals was 1.1V.

위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물 1L를 분석하여 물속에 포함된 아연 이온량을 각 5회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1 L of water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analyzed, and the amount of zinc ions contained in the water was measured five tim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자연전위차 방식에 의한 정전 수처리 장치 2를 이용한 비교예 1의 경우에 용출된 아연 이온량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수처리 장치 1을 이용한 실시예 1에서 용출된 아연 이온량이 현저히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using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2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system, the amount of zinc ions eluted in Example 1 using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see that much.

이는 외부 전원에 의한 전압을 인가하는 정전 수처리 장치 1을 이용한 경우에 전압을 조절할 수 있어 현저히 많은 아연 이온을 용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전압의 조절에 의해 아연 이온의 용출량을 제어할 수 있음을 또한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1 for applying a voltag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is used, the voltage can be controlled, and a considerable amount of zinc ions can be eluted, and the elution amount of zinc ions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voltage Can also be found.

실시예Example 2 및  2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물 2L를 90분간 순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물 내에 존재하는 아연 이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The amount of zinc ions present in water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2 L of water was circulated for 90 minute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연전위차 방식을 이용한 정전 수처리 장치 2를 이용한 비교예 2에 비하여 외부 전원에 의한 전압을 인가하는 정전 수처리 장치 1을 이용한 실시예 2의 경우에 물속에 용출된 총 아연 이온량이 약 6배 정도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in the case of Example 2 using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1 for applying a voltag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comparative example 2 using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2 using the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method, the total zinc ion amount This is about six times as many.

실시예Example 3 3

100m의 주철관(관경 100mm)을 설치하여 6개월간 부식시켰다. 상기 부식된 주철관 내부를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Fe 이온을 측정하였는바, 최대 4.75ppm으로 측정되었다. 이때의 물을 촬영한 사진을 도 8의 (a)에 나타내었다.A 100 m cast iron pipe (100 mm in diameter) was installed and allowed to corrode for 6 months. The Fe ions contained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rrosion-resistant cast iron pipe were measured, and the maximum was 4.75 ppm. A photograph of water taken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8 (a).

상기 부식된 주철관에 상기 정전 수 처리장치 1을 연결하여 장착하고, 수돗물에 10V의 전압을 40일간 인가하여 가동시켰다.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1 was connected to the corroded cast iron pipe, and a voltage of 10 V was applied to tap water for 40 days to operate.

상기 정전처리장치의 가동 중에 상기 주철관을 2m/sec의 유속으로 통과하는 수도물을 취수하여 Fe 이온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이때의 물을 촬영한 사진을 도 8 (b)에 나타내었다.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the tap water passing through the cast iron tube at a flow rate of 2 m / sec was taken and the Fe ion concentration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FIG. 8 (b) shows a photograph of water taken at this time.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정전 처리장치를 설치한 후에 물속에 포함된 철 이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iron ions contained in the water after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was installed wa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붉은색의 녹물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수처리 장치를 설치함으로 인해 육안으로는 녹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깨끗한 물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Also, as can be seen from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red rust was converted into clean water by virtue of installing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4 및  4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미국 ASTM G31-12a에 규정된 바에 따라 규격 시편(10×10×3㎣)을 수조에 넣고, 500ml/min의 유속으로 펌프를 통과시켜 물을 순환시키면서 168시간 후의 시편의 부식 정도를 관찰하여 산화철(Fe2O3)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The specimen (10 x 10 x 3 mm) was placed in a water tank as specified in ASTM G31-12a of USA and the water was circulated through the pump at a flow rate of 500 ml / min. The degree of corrosion of the specimen after 168 hours was observed, (Fe 2 O 3 ) was measured.

다른 하나의 시편에 대하여는 상기 정전 수처리 장치 1을 장착하여 운전하였으며(실시예 4), 또 다른 하나의 시편에 대하여는 정전처리장치 2를 장착하여 운전하였다(비교예 3).The other specimen was operated by mounting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1 (Example 4), and another electrostatic treatment apparatus 2 was mounted on the other specimen (Comparative Example 3).

부식 테스트 168시간 후의 각각의 시편에 생성된 Fe2O3 산화철의 함량을 측정한 부식량을 도 9에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해 정전 수처리 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부식량을 참고예 1로 함께 나타내었다.After 168 hours of corrosion test, the Fe 2 O 3 Fig. 9 shows the corrosion amount in which the content of iron oxide was measured. The corrosion amount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not provided for comparison is also shown in Reference Example 1.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전 수처리 장치 1을 설치하여 운전한 실시예 4의 경우에는 정전 수처리 장치 2를 사용한 비교예 3에 비하여도 부식량이 현저히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의 부식 정도를 100%라고 할 때, 비교예 3은 175%이고, 미설치한 참고예 1은 400%의 부식 정도를 나타내었는바, 이로부터 본 발명의 정전 수처리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배관의 수명을 현저히 연장시킬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 9, in the case of Example 4 in which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1 was installed and operated, the corrosion amount was remarkably reduced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3 in which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2 was used. Assuming that the degree of corrosion in Example 4 is 100%, the amount of corrosion in Comparative Example 3 is 175%, and the amount of corrosion in Reference Example 1 is 400%, which indicates that when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life of the piping can be remarkably extended.

실시예Example 5 및  5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4

미국 ASTM G31-72에 규정된 바에 따라 규격 시편(10×10×3㎣)을 수조에 넣고, 500ml/min의 유속으로 펌프를 통과시켜 물을 순환시켜, 168시간 동안 상기 시편을 부식시켰다.The specimen (10 x 10 x 3 mm) was placed in a water tank as specified in US ASTM G31-72, the water was circulated through the pump at a flow rate of 500 ml / min, and the specimen was corroded for 168 hours.

상기 부식된 시편을 2개의 수조에 각각 넣고, 하나의 수조에는 정전 수처리 장치 1을 설치하고(실시예 5), 다른 하나에는 정전 수처리 장치 2를 설치하였다(비교예 4). 각 정전처리장치에 대하여 500ml/min의 물을 10일 동안 지속적으로 순환시켰다.The corroded specimens were placed in two water tanks, and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1 was installed in one water tank (Example 5) and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2 was provided in the other water tank (Comparative Example 4). 500 ml / min of water was continuously circulated for 10 days to each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상기 각 시편을 XRD로 분석하여 산화철이 마그네타이트(Fe3O4)로 변환되는 정도를 확인하고, 산화철이 마그네타이트로 모두 변환되는 기간을 도 10에 나타내었다.Each of the specimens was analyzed by XRD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version of iron oxide to magnetite (Fe 3 O 4 ), and the period during which iron oxide was converted into magnetite was shown in FIG.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5에 따라, 정전 수처리 장치 1을 설치하여 운전한 수조의 시편은 산화철이 마그네타이트로 변환되는데 5일이 소요된 반면, 비교예 4에 따라, 정전 수처리 장치 2를 운전한 수조의 시편은 산화철이 마그네타이트로 변환되는데 10일이 소요되었다.
As can be seen from FIG. 1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specimen of the water tank in which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1 was installed and operated took 5 days to convert iron oxide into magnetite, whereas in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2, it took 10 days for iron oxide to convert to magnetite.

실시예Example 6 및  6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5 5

수돗물 기준으로 물에 함유된 Ca, Mg, K, Si의 이온 함유량을 계산하여 다음과 같은 함량의 스케일을 제조하였다.The contents of Ca, Mg, K and Si contained in water we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ap water, and the following scales were prepared.

스케일 = CaCO3(64%) + MgCO3(16%) + K2PO4(8%) + SiO2(12%)Scale = CaCO 3 (64%) + MgCO 3 (16%) + K 2 PO 4 (8%) + SiO 2 (12%)

동일 질량의 시편을 수조에 넣고, 500ml/min의 유량으로 물을 10일간 배출하고, 10일 후에 스케일 제거량을 측정하였다.The specimens of the same mass were placed in a water bath, water was discharged at a flow rate of 500 ml / min for 10 days, and the scale removal amount was measured after 10 days.

이때, 하나의 수조에는 정전 수처리 장치 1을 설치하여 운전하고(실시예 6), 다른 하나의 수조에는 정전 수처리 장치 2를 설치하여 운전하였으며(비교예 5), 또 다른 하나의 수조에는 아무런 장치를 설치하지 않았다(참고예 2).At this time,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1 was installed and operated in one water tank (Example 6), and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2 was installed in the other water tank (Comparative Example 5). In the other water tank, I did not install it (Reference Example 2).

상기와 같은 실험을 3회 실시하고, 각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The abov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전 수처리 장치 2를 적용한 비교예 5의 경우에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참고예 2의 스케일 제거량을 기준으로 약 2-3배 정도 많은 스케일 제거량을 나타낸 반면, 정전 수처리 장치 1을 적용한 실시예 6의 경우에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참고예 2의 스케일 제거량을 기준으로 약 4-5배 정도 많은 스케일 제거량을 나타내었다.
As can be seen from FIG. 11,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5 in which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2 was applied, the amount of scale removal was about 2-3 times larger than that of Reference Example 2 in which no treatment was performed, In the case of Example 6 to which the apparatus 1 was applied, the scale removal amount was about 4-5 times as much as the scale removal amount in Reference Example 2 in which no treatment was performed.

Claims (12)

도전성 유체가 통과하는 수로로 제공되는 관 형상을 갖는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로서,
구리 함유 금속으로 된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의 내부에 위치하며, 통과하는 도전성 유체와 접촉하되, 상기 제1 금속층이 상기 도전성 유체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상기 도전성 유체가 통과하며, 상기 도전성 유체에 아연 이온을 용출시키고 전자를 생성하는 아연으로 된 제2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층에 양극이 연결되고, 제2 금속층에 음극이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외부 전원을 포함하며, 정전압의 인가에 의해 상기 도전성 유체에 상기 제2 금속층으로부터 금속이온을 용출하고, 전자를 생성하는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
An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a conductive fluid having a tubular shape provided with a channel through which a conductive fluid passes,
A first metal layer of a copper-containing metal;
An insulating layer located inside the first metal layer and contacting the conductive fluid passing therethrough, the insulating layer blocking contact of the first metal layer with the conductive fluid; And
And a second metal layer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insulating layer and made of zinc through which the conductive fluid passes and which elutes zinc ions into the conductive fluid and generates electrons,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lay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metal layer to apply a voltage, wherein the metal ion is eluted from the second metal layer to the conductive fluid by application of a constant voltage, And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nductive flui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황동 또는 순수 구리인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etal layer is brass or pure copp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도전성 유체가 통과하는 채널이 하나인 관 형상이거나, 또는 2 이상의 채널이 형성된 관다발 형상인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metal layer has a tubular shape with one channel through which the conductive fluid passes, or a tubular shape with two or more channel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부도체로 된 것인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made of plastic, ceramic or non-conducti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PE, PP, PTFE 및 불소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
2.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 PP, PTFE, and fluorine rub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절연 필름을 적층하거나 절연 수지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된 것인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by laminating an insulating film or coating an insulating res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절연체에 의해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이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는 공기로 충진되거나 또는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도전성 유체의 정전 수처리 장치.
2.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ncludes a space portion formed by an insulator so as to separate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space portion is filled with air or held in a vacuum state.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 절연층 및 제2 금속층은 조립 가능한 것인 도전성 유체의 정전 수처리 장치.
The electrostatic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etal layer,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are assembl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은 3V 내지 27.5V 범위 내의 정전압을 인가하는 것인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power source applies a constant voltage within a range of 3 V to 27.5 V.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는 상기 도전성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제2 금속층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에 도전성 유체의 와류를 형성하는 정전 발생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인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static generator for forming a vortex of a conductive fluid in at least one of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second metal layer with respect to a flow direction of the conductive fluid.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conductive fluid.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의 양 측단에 금속 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금속 배관을 통해 흐르는 도전성 유체가 상기 정전 처리 장치를 통과하되, 상기 외부 전원의 구동에 의해 생성된 전자가 상기 금속 배관 중의 산화철과 반응하여 철을 환원시키는 도전성 유체 공급 배관.
11. A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processing of a conductive flui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metal piping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apparatus,
Wherein a conductive fluid flowing through the metal pipe passes through the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and electrons generated by driv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react with iron oxide in the metal pipe to reduce ir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배관은 보일러 배관, 상수도 배관, 하수도 배관, 공업용수 이송배관 및 산업폐수 배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유체 공급 배관.
12. The conductive fluid supply piping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metal pip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oiler pipe, a water pipe, a sewer pipe, an industrial water transfer pipe, and an industrial waste water pipe.
KR1020140105226A 2014-08-13 2014-08-13 Apparatus for generating zinc ion and pipe comprising the same Active KR101533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226A KR101533416B1 (en) 2014-08-13 2014-08-13 Apparatus for generating zinc ion and pipe comprising the same
PCT/KR2014/008602 WO2016024659A1 (en) 2014-08-13 2014-09-16 Electrost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conductive fluid and conductive fluid supply pipe in which said apparatus is install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226A KR101533416B1 (en) 2014-08-13 2014-08-13 Apparatus for generating zinc ion and pip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416B1 true KR101533416B1 (en) 2015-07-06

Family

ID=5378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226A Active KR101533416B1 (en) 2014-08-13 2014-08-13 Apparatus for generating zinc ion and pip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3416B1 (en)
WO (1) WO201602465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2987A (en) * 2022-06-13 2022-09-23 厦门绿信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Corrosion prevention device of heat exchanger and applica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05B1 (en) * 1991-02-05 1996-01-04 케네쓰 이보트 잭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ionized fluid using capacitive effect
JPH10237681A (en) * 1996-12-27 1998-09-08 Tac:Kk Electrolytic protec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for distributing water pipe and device therefor
KR100313778B1 (en) * 1993-01-25 2002-02-28 조슬린크리스토퍼마이클데이비드 Flu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003376B1 (en) * 2008-07-29 2010-12-22 김순용 Slime removal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05B1 (en) * 1991-02-05 1996-01-04 케네쓰 이보트 잭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ionized fluid using capacitive effect
KR100313778B1 (en) * 1993-01-25 2002-02-28 조슬린크리스토퍼마이클데이비드 Flu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JPH10237681A (en) * 1996-12-27 1998-09-08 Tac:Kk Electrolytic protec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for distributing water pipe and device therefor
KR101003376B1 (en) * 2008-07-29 2010-12-22 김순용 Slime removal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2987A (en) * 2022-06-13 2022-09-23 厦门绿信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Corrosion prevention device of heat exchanger and application method
CN115092987B (en) * 2022-06-13 2024-05-03 厦门绿信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Corrosion prevention device of heat exchanger and appl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4659A1 (en)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646B1 (en) Devices For Treating Water With Harmful Substance Free
JP51930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radioactive wastewater
US7404907B2 (en) Removal and recovery of ammonium perfluorooctanoate (APFO) from contaminated water
CN1105083C (en) Liquid purification apparatus
AU6060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ionizing liquid
KR100885390B1 (en) Pipe Descaling System Using Ion Water Treatment
JP39622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lecular polarization in water
JP2022141712A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and remediating aqueous waste streams
KR100900302B1 (en) Fluid treatment device for plumbing equipment
Muddemann et al. Combination of magnetically actuated flexible graphite–polymer composite cathode and boron-doped diamond anode for electrochemical water softening or wastewater treatment
JP2018514382A (en) Electroadsorption system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water
KR101533416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zinc ion and pipe comprising the same
US20110297548A1 (e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Treatment of Fluids
KR101174725B1 (en) Water pipes for scale removal device
EP0499732B1 (en) Dual system using three electrodes to treat fluid
RU93456U1 (en) PIPELINE PROTECTION AGAINST INTERNAL CORROSION
US6949184B2 (en) Electrical metal ion generating device
US9416455B2 (en) Protecting a metal surface from corrosion
JP2014009362A (en) Seawater desalination apparatus
KR101271487B1 (en) A device for removing scale and rust of pipe
JP2017035686A (en) Waste water processing method
KR101280209B1 (en) Ionized water pipes for heat pump having light weight and improved flow path
KR102444931B1 (en) Change Water -Water Purifier with Filter and Corrosion Suppressor
KR101530290B1 (en) a device for prevention scale
KR20150072311A (en) Ion Activating Appartus, and Water Treating Device Equipped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