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4812B1 -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812B1
KR101544812B1 KR1020140001148A KR20140001148A KR101544812B1 KR 101544812 B1 KR101544812 B1 KR 101544812B1 KR 1020140001148 A KR1020140001148 A KR 1020140001148A KR 20140001148 A KR20140001148 A KR 20140001148A KR 101544812 B1 KR101544812 B1 KR 101544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bed
separator
bypass
pipeline
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1544A (ko
Inventor
박명철
조경남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8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81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34Arrangements for separating materials produced by the well
    • E21B43/36Underwater separ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6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 E21B21/063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by separat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 유정으로부터 분출되는 혼합 유체를 해저분리기를 통해 액체와 기체로 분리하는데 있어서, 대량 슬러그(Severe slug)가 해저분리기로 유입되기 전에 이를 감지하여 대량 슬러그를 바로 압축 펌프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이패스부를 구비함으로써 해저분리기에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대량 슬러그를 처리하기 위한 액상 처리 용적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해저분리기의 설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부를 갖는 해저분리기 시스템은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에서 혼합 유체를 바이패스하도록 연결되는 바이패스라인; 상기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과 상기 바이패스라인 중 어느 하나로 흐름을 전환시키는 게이트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Subsea Separator System having Bypass}
본 발명은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Subsea Separator)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 유정으로부터 분출되는 혼합 유체를 해저분리기를 통해 액체와 기체로 분리하는데 있어서, 대량 슬러그(Severe slug)가 해저분리기로 유입되기 전에 이를 감지하여 대량 슬러그를 바로 압축 펌프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이패스부를 구비함으로써 해저분리기에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대량 슬러그를 처리하기 위한 액상 처리 용적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해저분리기의 설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석유와 같은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일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러한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다양한 시추선이 개발되고 있다.
오일 또는 가스의 해저 채굴을 위해서는 해저 바닥에 유정을 형성하고, 해저 유정으로부터 오일 또는 가스를 운송하기 위해 해저 유정에 파이프 라인을 연결하며, 이러한 파이프 라인 및 라이저를 통해 해저 유정으로부터 분출되는 오일 또는 가스를 오일 및 가스 저장 시설 등으로 운송한다. 오일 또는 가스 저장 시설은 해상에 부유하는 FPSO 선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도의 육상 저장 시설 등으로 직접 운송할 수도 있다.
이때, 오일 또는 가스를 파이프 라인을 통해 운송하기 위해서는 압축 펌프 또는 컴프레셔 등을 이용하여 오일 또는 가스의 압력을 상승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해저 바닥에는 파이프 라인과 연결되도록 압축 펌프 및 컴프레셔 등이 다수개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해저 유정으로부터 분출되는 오일 또는 가스는 상호 혼합된 혼합 유체의 형태로 분출되므로, 이러한 혼합 유체를 가압하기 위해서는 혼합 유체를 해저분리기에 의해 오일 및 가스로 분리한 후, 각각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해저 유정의 혼합 유체를 분리하여 액체/기체를 각각 압축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혼합 유체 압축 시스템은 해저 유정(미도시)으로부터 파이프 라인(50)을 따라 유동하는 혼합 유체를 오일 및 가스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해저분리기(100)가 구비되며, 해저분리기(100)로부터 각각 분리되어 배출되는 오일 및 가스는 각각 압축 펌프(200) 및 컴프레셔(300)로 전달된다. 해저분리기(100)에는 오일 및 가스가 각각 분리 배출되어 이동하도록 오일 파이프 라인(210)과 가스 파이프 라인(310)이 연결된다. 압축 펌프(200)는 오일 파이프 라인(210)을 통해 해저분리기(100)와 연결되고, 컴프레셔(300)는 가스 파이프 라인(310)을 통해 해저분리기(100)와 연결된다.
해저분리기(100)로부터 분리 배출된 오일은 오일 파이프 라인(210)을 통해 압축 펌프(200)로 공급되고, 압축 펌프(200)에 의해 압축된다. 해저분리기(100)로부터 분리 배출된 가스는 가스 파이프 라인(310)을 통해 컴프레셔(300)로 공급되고, 컴프레셔(300)에 의해 압축된다.
압축 펌프(200)와 컴프레셔(300)에 의해 각각 압축된 오일 및 가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파이프 라인(50)을 통해 혼합된 상태로 이동하여 별도의 저장 시설로 운송된다. 물론, 오일 및 가스가 각각 별도의 파이프 라인을 통해 별도의 저장 시설로 운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해저분리기(100)로 대량 슬러그(Severe slug)가 갑자기 유입될 수 있는데, 이는 유정의 생산이 지속되면서 생산압력이 떨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으로 라이저의 길이의 수 배에 해당하는 대량의 액상이 단번에 유입되어 해저분리기(50)의 오버플로우를 일으켜서 분리 효율을 급감시킬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해저분리기의 액상 처리 용적을 크게 하면 압력 용기의 설계 비용이 크게 증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2124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 슬러그(Severe slug)가 해저분리기로 유입되기 전에 이를 감지하여 대량 슬러그를 해저분리기의 전단에서 바로 압축 펌프로 이동하도록 하는 바이패스부를 장착함으로써, 해저분리기에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대량 슬러그를 처리하기 위한 액상 처리 용적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해저분리기의 설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저 유정으로부터 분출되는 오일 및 가스가 혼합된 혼합 유체를 분리하는 해저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에서 상기 혼합 유체를 바이패스하도록 연결되는 바이패스라인; 상기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과 상기 바이패스라인 중 어느 하나로 흐름을 전환시키는 게이트 밸브가 장착되는 바이패스부를 갖는 해저분리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게이트 밸브는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과 바이패스라인이 서로 연결 부분을 기준으로 그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2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에 설치되어 운송되는 혼합 유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에 라이저의 높이의 1/5 ~ 1/20 간격으로 배치되고, 총 배치 길이는 라이저 높이의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에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보이드 분율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이드 분율 센서는 전기 임피던스 방식이나 감마선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게이트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 후단에 설치된 상기 압축 펌프에 감지신호를 보내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저 유정으로부터 분출된 오일 및 가스가 혼합된 혼합 유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에 설치된 센서부에서 상기 파이프라인 내에 대량 슬러그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보내 대량 슬러그 여부를 판단하여, 대량 슬러그로 감지되면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의 밸브를 닫고, 바이패스라인의 밸브는 열어서 대량 슬러그를 압축 펌프로 우회시킨 후, 상기 압축 펌프의 유출량을 증가시키는 혼합 유체를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에 바이패스부를 장착함으로써, 대량 슬러그로 인한 해저분리기에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대량 슬러그를 처리하기 위한 액상 처리 용적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해저분리기의 설계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해저 유정의 혼합 유체를 분리하여 액체/기체를 각각 압축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은 해저 유정으로부터 분출되는 오일과 가스가 혼합된 혼합 유체를 더욱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해저분리기(100), 바이패스라인(500) 및 게이트 밸브(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해저분리기(100)는 해저 유정으로부터 분출되는 혼합 유체를 공급받아 오일 및 가스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장치로서, 혼합 유체를 이송할 수 있는 해저 유정의 파이프 라인(400)과 연결된다.
압축 펌프(200)는 해저분리기(100)를 통해 배출된 오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오일을 압축하여 배출하는 장치로서, 오일 파이프 라인(210)을 통해 해저분리기(100)와 연결된다.
컴프레셔(300)는 해저분리기(100)를 통해 배출된 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가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장치로서, 가스 파이프 라인(310)을 통해 해저분리기(1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저 유정으로부터 분출되는 혼합 유체는 파이프 라인(400)을 통해 해저분리기(100)로 공급되고, 해저분리기(100)에 의해 오일 및 가스로 분리 배출된다. 해저분리기(100)로부터 분리 배출된 오일은 오일 파이프 라인(210)을 따라 압축 펌프(200)로 전달되고, 압축 펌프(200)에 의해 압축된다. 해저분리기(100)로부터 분리 배출된 가스는 가스 파이프 라인(310)을 따라 컴프레셔(300)로 전달되고, 컴프레셔(300)에 의해 압축된다.
압축 펌프(200)와 컴프레셔(300)에 의해 각각 압축된 오일 및 가스는 오일을 운송하는 라이저(220) 및 가스를 운송하는 라이저(320)을 통해 탑사이드의 저장 시설(10)로 운송된다. 물론, 압축된 오일 및 가스는 혼합된 상태로 하나의 라이저에 의해 탑사이드의 저장 시설로 운송될 수도 있다.
바이패스라인(500)은 해저분리기(100)의 전단 파이프라인(400)에서 혼합 유체를 바이패스하도록 연결되는 라인으로, 혼합 유체는 해저분리기(1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압축 펌프(200)로 전달될 수 있다.
게이트 밸브(600)는 해저분리기(100)의 전단 파이프라인(400)과 바이패스라인(500) 중 어느 하나로 흐름을 전환시키는 밸브로서,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400)과 바이패스라인(500)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그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밸브(610) 및 제 2 밸브(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밸브(610)는 바이패스라인(500)의 분기지점과 해저분리기(100) 사이에 장착되되, 바이패스라인(500)의 분기지점과 가까운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밸브(620)는 바이패스라인(500)이 분기되는 지점에 장착되어 대량 슬러그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센서부(700)는 해저분리기(100)의 전단 파이프라인(400)에 설치되어 대량 슬러그가 유입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센서부(700)의 배치 간격은 라이저 높이의 1/5 ~ 1/20 간격으로 배치되고, 총 배치 길이는 라이저 높이의 3배 가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부(700)에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와 보이드 분율을 검사하기 위한 보이드 분율 선세가 포함될 수 있다. 보이드 분율은 파이프라인의 각 단면적 중에서 증기가 차지하고 있는 단면적의 비율로서, 대량 슬러그가 발생할 경우 보이드 분율은 거의 0 으로 감지되고, 압력 센서의 값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대량 슬러그를 감지할 수 있다. 보이드 분율은 전기 임피던스 방식이나 감마선 방식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센서부(700)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게이트 밸브(600)를 제어하고 바이패스라인 후단에 설치된 압축 펌프(200)에 감지신호를 보내어 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대량 슬러그를 처리하는 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해저 유정으로부터 유출된 오일 및 가스가 혼합된 혼합 유체 흐름에서 발생하는 대량 슬러그를 처리하기 위해서, 해저분리기(100) 전단 파이프라인에 설치된 센서부(700)에서 파이프라인 내에 대량 슬러그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제어부(800)에 보내 대량 슬러그 여부를 판단하여 대량 슬러그로 감지되면 해저분리기(100) 전단 파이프라인(400)의 제 1 밸브(610)는 닫고, 바이패스라인(500)의 제 2 밸브(620)은 열어서 대량 슬러그를 압축 펌프(200)로 우회시킨 후, 압축 펌프의 유출량을 증가시켜서 대량 슬러그가 누적되는 것을 막고 효율적으로 압축된 오일이 라이저(220)을 통해 탑사이드의 저장 시설(10)로 운송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해저분리기 200: 압축 펌프
300: 컴프레서 400: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
500: 바이패스 라인 600: 게이트 밸브
610: 제 1 밸브 620: 제 2 밸브
700: 센서부 800: 제어부

Claims (8)

  1. 해저 유정으로부터 분출되는 오일 및 가스가 혼합된 혼합 유체를 분리하는 해저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에서 상기 혼합 유체를 바이패스하도록 연결되는 바이패스라인;
    상기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과 상기 바이패스라인 중 어느 하나로 흐름을 전환시키는 게이트 밸브; 및
    상기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에 설치되어, 운송되는 혼합 유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에 라이저의 높이의 1/5 ~ 1/20 간격으로 배치되고, 총 배치길이는 라이저 높이의 3배 가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센서부에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보이드 분율 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부를 갖는 해저분리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밸브는 상기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과 상기 바이패스라인이 서로 연결 부분을 기준으로 그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밸브를 더 포함하는, 바이패스부를 갖는 해저분리기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드 분율 센서는 전기 임피던스 방식이나 감마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부를 갖는 해저분리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게이트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 후단에 설치된 압축 펌프에 감지신호를 보내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부를 갖는 해저분리기 시스템.
  8. 해저 유정으로부터 분출된 오일 및 가스가 혼합된 혼합 유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에 설치된 센서부에서 상기 파이프라인 내에 대량 슬러그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보내어 대량 슬러그 여부를 판단하여,
    대량 슬러그로 감지되면 상기 해저분리기 전단 파이프라인의 밸브를 닫고, 바이패스라인의 밸브는 열어서 대량 슬러그를 압축 펌프로 우회시킨 후,
    상기 압축 펌프의 유출량을 증가시키는, 혼합 유체를 처리하는 방법.
KR1020140001148A 2014-01-06 2014-01-06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54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148A KR101544812B1 (ko) 2014-01-06 2014-01-06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148A KR101544812B1 (ko) 2014-01-06 2014-01-06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544A KR20150081544A (ko) 2015-07-15
KR101544812B1 true KR101544812B1 (ko) 2015-08-17

Family

ID=5379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1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4812B1 (ko) 2014-01-06 2014-01-06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8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0735A1 (en) * 2004-10-01 2006-04-06 Complete Production Ser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well comple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0735A1 (en) * 2004-10-01 2006-04-06 Complete Production Ser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well comple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544A (ko)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48871B1 (en) Multiphase fluid conveyance system
US7784201B2 (en) System and method of utilizing monitoring data to enhance seafloor sulfide production for deepwater mining system
US65270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isposition of drilling solids during drilling of subsea oilfield wellbores
US2009005032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Compressor
US10151159B2 (en) Kick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MX2012014741A (es) Aparatos y metodos para determinar una condicion de afluencia de pozo utilizando indicaciones cualitativas.
US10273791B2 (en) Control system for a CO2 fracking system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8453747B2 (en) Method for liquid control in multiphase fluid pipelines
US8622067B2 (en) Separ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gas by-pass of a liquid pump in a production system
KR101544812B1 (ko)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해저분리기 시스템
US200301833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isposition of drilling solids during drilling of subsea oilfield wellbores
EP2776720B1 (en) Compact turbomachine system with improved slug flow handling
KR102512308B1 (ko) 무인 및 원격 가동되는 생산설비의 구조
US20170198552A1 (en) Subsea chemical management
KR102203738B1 (ko)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탑사이드 분리기 시스템
US20180156224A1 (en) Subsea Produced Non-Sales Fluid Handling System and Method
WO20050406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liquid accumulation in a multiphase flow pipeline
US10364661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separating liquid and gas flowing through a multiphase pipeline
AU2024276972B2 (en) Dump valve arrangement
US10195545B2 (en) Separating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liquid and gas flowing through a multiphase pipe
KR102134967B1 (ko) 고압 머드펌프 시험장치
CN103071317A (zh) 一种煤矿老空放水有害气体水气分离装置
KR20200037944A (ko) 고압 머드펌프 시험장치용 유체 저장탱크
KR20170051580A (ko) 해양플랜트의 유체 흐름 제어 시스템
Zainal Abidin et al. Effective Slug Handling and Sand Separation Using Innovative Separ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8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81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