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0256B1 -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256B1
KR101540256B1 KR1020080125123A KR20080125123A KR101540256B1 KR 101540256 B1 KR101540256 B1 KR 101540256B1 KR 1020080125123 A KR1020080125123 A KR 1020080125123A KR 20080125123 A KR20080125123 A KR 20080125123A KR 101540256 B1 KR101540256 B1 KR 101540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vehicle
voltage
load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704A (ko
Inventor
장길상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5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2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2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3Converting light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photo-volta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1Photovolta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3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solar power 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6Solar cel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효율적인 전력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은 차량용 태양전지,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 출력라인에 설치된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와 연결된 컨트롤러, 상기 전력분배 제어회로에 연결된 부하 및태양전지 전용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의 최대 출력점 전압은 16.3 내지 16.7 V로 설정되고, 상기 전용 배터리의 충방전 전압은 14 내지 19V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은 기존의 최대전력 추종시스템에 비하여 전력 변환시 전력의 손실이 매우 줄어들고, 태양전지 전압의 효과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MPPT, 태양전지, 부하량 조절

Description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A SOLAR CELL SYSTEM FOR A VEHICLE}
본 발명의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으로 태양전지의 최대 출력점을 제어하는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태양전지를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일예로, 태양전지를 이용한 환기용 팬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차량의 썬루프에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차량 내의 환기용 팬을 구동하는 방식이다. 환기용 팬은 차량시트에 설치되며, 여름 같은 더운 날씨나 차량의 환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차량이 주차시 태양전지에서 발생된 전력으로 시트의 환기를 하여 시트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발명이다. 상기 시트의 환기용 팬은 콘트롤러에 의해 조절되며 이미 설정해 놓은 온도와 비교하여 차량 내의 온도가 높아지면 이를 낮추기 위해 팬이 작동된다. 상기 설정온도는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잉여전력이 있을 시에는 차량의 블로워에 전력을 공급해 차량실내의 전체적인 환기를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태양전지와 관련된 차량용 공조시스템으로는, 배터리의 적용을 들 수 있 다. 일반적으로 차량 엔진 정지시에 태양전지에서 발생한 전력을 차량환기용 팬에 공급하거나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하는 발명이 있다. 스위치는 매뉴얼로 조정이 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태양전지에서 발생한 전력을 차량환기에 사용할 수도 있고, 배터리 충전에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태양전지를 최대 전력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태양전지 전력을 콘트롤러에 의해 전력변환 시마다 전력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태양전지 전력을 여러 장치에 도입하여 장치 가동시 장치의 전기적 특성 요구치가 달라 않아 전력 낭비 및 장치가 복잡해 지며, 태양전지를 최대 전력점으로 콘트롤하기 위해 복잡한 회로 및 로직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성으로 태양전지의 출력 변동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은 차량용 태양전지,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 출력라인에 설치된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와 연결된 컨트롤러, 상기 전력분배 제어회로에 연결된 부하 및태양전지 전용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의 최대 출력점 전압은 16.3 내지 16.7 V로 설정되고, 상기 전용 배터리의 충방전 전압은 14 내지 19V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의 최대 전력점의 제어는 상기 부하의 전기 부하량을 조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은 상기 부하의 전기 부하량을 조절하기 위한 부하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은 기존의 최대전력 추종시스템에 비하여 전력 변환시 전력의 손실이 매우 줄어들고, 태양전지 전압의 효과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스템의 전기적 안정성 증대를 꾀할 수 있고, 전용 배터리에 의해 전 기 부하의 증감과 별개로 동작이 가능하여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만일 태양 일사량이 급격히 변할 경우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에서는 일사량의 변화가 급격하더라도 태양전지 전압이 최적점 부근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 부하에 따라 태양전지 출력 변동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단순화 및 컴팩트화를 유도하고, 전체적인 전력손실율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100)은 차량용 태양전지(110),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와 연결된 컨트롤러(120), 상기 전력분배 제어회로에 연결된 부하(131, 132, 133), 태양전지 전용 배터리(1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분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이 회로에는 차량용 태양전지(110),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 출력라인에 설치된 다이오드(115),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와 연결된 컨트롤러(120), 상기 전력분배 제어회로에 연결된 부하(131, 132, 133) 및 태양전지 전용 배터리(150)가 포함된다.
상기 부하들(131, 132, 133)은 예를 들어, HVAC 블로워(131) 및 시트 블로 워(132, 133) 일 수 있지만, 여기서 언급하는 부하 이외에, 산소 발생기, 시트 및 운전대의 히팅 장치, 차량용 충전기 등 여러가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시스템에서 상기 태양전지(110)에 상기 다이오드(115)를 통해 전용 배터리(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상기 다이오드(115)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여 주며, 상기 태양전지(110)에서 생산된 전기는 상기 전용 배터리(150)에 저장된다. 상기 태양전지(110)의 출력은 전용배터리(150)에 충전될 뿐만 아리나 동시에 전기적 부하(131, 132, 133)에 분배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태양전지(110)의 동작전압은 상기 전용배터리(150)의 동작전압과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기적 부하(131, 132, 133)로의 분배를 위하여 각각의 전력변환회로(DC/DC 컨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전기적 부하는 각기 다른 동작전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태양 전지 시스템은 별도로 부하 조절 시스템(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부하들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들과 연계하여 각각의 부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각각의 부하들의 총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시스템은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110)의 최대 출력점 전압이 16.3 내지 16.7 V로 설정되며, 상기 전용 배터리(150)의 충방전 전압은 14 내지 19V으로 설정된 것이 특징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압은 상기 태양 전지(110)의 최대 전력점 전압에 의해 영향을 받고, 따라서 태양의 일사량등 여러 환경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는 태양 전지(110)의 전압에 대하여 상기 전용 배터리(150)의 전압이 14 내지 19 V로 설정되게 된다.
이로써, 복잡한 회로 시스템의 필요 없이 상기 태양 전지(11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단순화하여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태양전지의 전압에 따른 전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태양전지의 부하의 전력에 따른 전압 및 전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이러한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겠다.
도 3a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상기 태양전지(110)의 출력 최대점은 태양 전지가 작동하는 시점의 일사량 또는 태양 전지의 온도 등에 의하여 변화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최대 전력점에 따라 부하를 작동시키는 로직이 알려져 있으나, 순간순간의 전력 변화 등에 따른 전력손실이 큰 뿐만 아니라, 제어에 복잡한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시스템은 일사량이 변동되거나 태양전지의 온도가 바뀌어서 태양전지의 최대 출력점이 변동함에 따라, 상기 전기 부하(131, 132, 133)의 사용량을 조절하여 상기 전용 배터리(150)의 전압을 변경하여 최대 출력점으로 제어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 부하(131, 132, 133)의 총 전력량에 따라 출력 최대 작동전압이 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용 배터리(150)의 충전 전압은 14 내지 19 V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범위 내에서 상기 전기 부하(131, 132, 133)의 전력 소비량을 제어하여, 상기 태양 전지(110)의 최대 출력점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부하 조절 시스템(125)는 각각의 전기적 부하(131, 132, 133)과 전계 효과 트렌지스터를 통하여 연결된다. 기준 전압을 16.5V라고 설정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16.5V 이하인 16V로 감지된다면, 상기 부하 조절 시스템(125)은 각각의 전기적 부하(131, 132, 133)의 가동 유무나 혹은 부하량을 조절하여 소비하는 전력의 양을 제어하여 이에 대응한다. 기준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검출되는 경우 부하의 양을 줄임으로써 대응한다.
만일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16.5V 이상인 17V로 감지된다면, 상기 부하 조절 시스템(125)은 각각의 전기적 부하(131, 132, 133)의 전력 소비량을 늘이는 방향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부하의 전기적 부하량만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태양 전지(110)의 최대전력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기존의 복잡한 구성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훨씬 단순한 구성으로 대응하는 방법인 것이다.
따라서 전기회로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고 전기 부하 조절을 위한 콘트롤이 간단해져 콘트롤러의 비대화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3a는 태양전지의 전압에 따른 전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태양전지의 부하의 전력에 따른 전압 및 전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차량
110 : 차량용 태양전지 120 : 컨트롤러
131 : 블로워(부하) 132, 133 : 시트 블로워(부하)
125 : 부하량 제어부 150 : 배터리

Claims (3)

  1. 차량용 태양전지(110);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 출력라인에 설치된 다이오드(115);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와 연결된 컨트롤러(120);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의 출력 전압과 동작 전압이 일치하도록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와 병렬 연결되는 태양전지 전용 배터리(150);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의 출력을 상기 태양전지 전용 배터리와 함께 분배받는 부하(131, 132, 133); 및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부하의 전력 소비량을 조절하기 위한 부하량 제어부(125)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의 최대 출력점 전압은 16.3 내지 16.7 V로 설정되고, 상기 전용 배터리의 충방전 전압은 14 내지 19V으로 설정되며,
    상기 부하량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 전용 배터리의 전압 검출값에 따라 상기 부하의 전력 소비량을 조절하여 상기 태양전지 전용 배터리의 전압을 제어함을 통해, 상기 차량용 태양전지의 출력 전압을 최대 전력점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080125123A 2008-12-10 2008-12-10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Active KR101540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123A KR101540256B1 (ko) 2008-12-10 2008-12-10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123A KR101540256B1 (ko) 2008-12-10 2008-12-10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704A KR20100066704A (ko) 2010-06-18
KR101540256B1 true KR101540256B1 (ko) 2015-07-29

Family

ID=4236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123A Active KR101540256B1 (ko) 2008-12-10 2008-12-10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2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889B1 (ko) * 2016-12-27 2023-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872A (ko) * 2006-07-21 2008-01-24 한라공조주식회사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시트 냉,난방 시스템
KR20080010647A (ko) * 2006-07-27 2008-01-3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KR20080010648A (ko) * 2006-07-27 2008-01-3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KR20080093369A (ko) * 2007-04-16 2008-10-2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872A (ko) * 2006-07-21 2008-01-24 한라공조주식회사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시트 냉,난방 시스템
KR20080010647A (ko) * 2006-07-27 2008-01-3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KR20080010648A (ko) * 2006-07-27 2008-01-3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KR20080093369A (ko) * 2007-04-16 2008-10-2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704A (ko) 201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2981B2 (en) Solar cell system for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6808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stem-level power point control of a photovoltaic device
US7869913B2 (en) Vehicle-use electric generator apparatus
CN108565959B (zh) 一种用于房车供电的服务电池充电管理装置及方法
US6959777B2 (en) High voltage energy regulated conversion circuit
WO2008127016A1 (en) Solar cell system for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563288B2 (en) Control device for fuel cell powered vehicle
KR101319433B1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40256B1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KR101319432B1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WO2025003142A1 (en)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energy source management
KR101225568B1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KR101225567B1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JP6908452B2 (ja) 車両用太陽電池の制御装置、車両用太陽電池の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車両用太陽電池システム
JP6054918B2 (ja) 2電源負荷駆動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自動車
KR102484889B1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2403793B2 (en) Solar charging system
KR20100031028A (ko) 차량용 태양 전지 시스템
KR102392026B1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CN116238445A (zh) 新能源车的电源管理系统、房车及电源管理方法
JP201814761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H0572599U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KR101486321B1 (ko) 차량용 블로워 모터 구동 장치
KR20040107957A (ko) 전기자동차의 전력 공급 시스템
EP4182992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 solar panel char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