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211B1 - Multi worktable for painting exterior decor of car - Google Patents
Multi worktable for painting exterior decor of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3211B1 KR101543211B1 KR1020150073045A KR20150073045A KR101543211B1 KR 101543211 B1 KR101543211 B1 KR 101543211B1 KR 1020150073045 A KR1020150073045 A KR 1020150073045A KR 20150073045 A KR20150073045 A KR 20150073045A KR 101543211 B1 KR101543211 B1 KR 1015432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support bar
- vehicle
- vertical frame
- rod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다양한 외장재, 즉 범퍼, 펜더, 도어, 본네트 또는 트렁크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작업대를 사용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단일의 작업대를 통해 도료의 절감,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공간활용성을 극대화시켜 작업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use of a variety of exterior materials such as a bumper, a fender, a door, a bonnet or a trunk of a vehicle in a manner that avoids the use of each workbench and reduces the amount of paints, To a multi-work bench for painting an exterior material of a vehicle which can improve working efficiency.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펜더, 범퍼, 본네트 및 트렁크 등의 외장재를 거치하여 도장하기 위한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work bench for painting exterior materials of a vehicle for painting exterior materials such as door, fender, bumper, bonnet and trunk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골격을 이루는 내부프레임을 덮도록 설치되어 차량의 외관을 이루는 외장재는, 도어(door), 펜더(fender), 범퍼(bumper), 본네트(bonnet) 및 트렁크(trunk) 등으로 주로 고장력 강판이 사용되고, 경량화를 통한 연비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자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Generally, an exterior material covering an inner frame, which forms a skeleton of a vehicle, is a door, a fender, a bumper, a bonnet and a trunk. Steel plates are used, and various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improve fuel economy through weight reduction.
이러한 차량의 외장재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검은색, 흰색, 은색, 파란색 또는 빨간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도장되어 녹이나 부식으로부터 외장재를 보호하고, 색채로 외관을 향상시키며 채색물의 기능, 의미, 소속 등 다른 차량과 구별되는 식별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이렇게 차량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장은 높은 수준의 품질과 기술수준을 요하는데, 그 이유로 차량은 생산과 동시에 세계각지에서 다양한 기후와 환경 조건하에서 장기간 사용되기 때문이다.As is well known, the exterior material of these vehicles is painted in various colors such as black, white, silver, blue or red to protect the exterior material from rust and corrosion, improve the appearance by color, and improve the appearance, And has an identification function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other. The paint,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vehicle, requires a high level of quality and skill, because the vehicle is used for a long time under various clima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ll over the world at the same time as production.
이러한 차량의 도장단계를 살펴보면 하도, 중도, 상도로 이루어져 있고, 하도는 방청을, 중도는 외관향상을 위한 표면조정을, 상도는 마무리나 외관으로 내구성을 확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를 통과하면 외장재의 표면에 약 100㎛의 도막이 형성된다.The painting phase of this vehicle is composed of low, middle, and top, and the bottom is made of rust, the middle is made to adjust the surface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the top is made to have durability through finish or appearance. A coating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mu 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외장재를 도장할 때에는, 도장이 용이하도록 외장재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작업대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등록 제10-1467674호의 '범퍼 도장용 지그', 특허등록 제10-0952005호의 '자동차용 플라스틱 휀더 도장용 지그', 특허등록 제10-0184817호의 '자동차의 후드 도장지그', 등록실용신안 제20-0135158호의 '차량의 트렁크 리드 도자용 지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143872호의 '차량의 프런트 도어 도장용 지그' 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xterior material of the vehicle is painted, the exterior material must be firmly and firmly fixed so as not to shake to facilitate painting. For this purpose, a workbench for painting exterior materials of a vehicle has been used conventionally. For example, a 'bumper painting jig'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467674, a 'jig for painting automobile plastic fender'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952005, a 'hood painting jig of a car'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184817, A luggage compartment lid jig for a vehicle, and a jig for a front door lid of a vehicle, which ar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43872.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작업대 또는 지그의 경우 다양한 외장재 중 특정의 단일품에 대한 작업대로서, 영세한 카센터의 경우 차량의 다양한 외장재에 맞는 작업대를 모두 구비하기는 공간적 및 비용적 측면에서 요원한 일이고, 각각의 외장재에 맞는 작업대를 구비한 경우라도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worktable or a jig for painting the exterior material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a worktable for a specific single out of various exterior materials, in case of a small carcenter, It is troublesome in terms of cost, and even if a workbench corresponding to each exterior material is provided,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not but be reduc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다양한 외장재에 대하여 각각의 작업대를 사용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단일의 작업대를 통해 도료의 절감,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공간활용성을 극대화시켜 작업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And to provide a multi-workbench for painting the exterior material of a vehicle that can maximize work efficiency.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휠이 결합된 바닥프레임과, 기 바닥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좌측세로프레임 및 우측세로프레임과, 상기 좌측세로프레임의 상단 및 상기 우측세로프레임의 상단을 각각 연결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결합된 좌측지지바 및 우측지지바와, 상기 좌측지지바 및 우측지지바 사이에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결합된 전방지지봉 및 후방지지봉과, 일단에 형성된 전방회전슬라이더가 상기 후방지지봉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후방지지봉을 기준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방 회전시 상기 전방지지봉의 상방에 접촉하여 회전제한되며, 타단에 전방후크가 형성된 한 쌍의 좌측전방걸림봉 및 우측전방걸림봉과, 일단에 형성된 후방회전슬라이더가 상기 전방지지봉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전방지지봉을 기준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회전시 상기 후방지지봉의 상방에 접촉하여 회전제한되며, 타단에 후방후크가 형성된 한 쌍의 좌측후방걸림봉 및 우측후방걸림봉과, 상기 좌측세로프레임 및 우측세로프레임의 하부에 일단이 전후좌우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걸림콘이 형성된 복수의 걸림콘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ulti-work station for painting exterior material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loo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coupled to move along a floor; A left vertical frame and a right vertical frame,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an upper end of the left vertical frame and an upper end of the right vertical frame, a left support bar and a right support bar respectively coupled to left and right upp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A front support bar and a rear support bar which are coupled in parallel between the support bar and the right support bar along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orward rotation slider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are slidable left and right along the rear support bar, And is rotatably restrain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pport rod during backward rotation,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latching rods and a right front latching bar having a front hook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rear rotation slider formed at one end thereof are slidable left and right along the front support bar and are rotatably installed forward an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support ro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retaining rods and a right rear retaining rod which are rotatably restrain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upport bar during rotation and have a rear hook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cone rods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and which have hooking cone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또한, 상기 좌측지지바 및 우측지지바는, 차량의 범퍼 하면의 좌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ft support bar and the right support bar are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umper of the vehicle, respectively.
또한, 상기 좌측전방걸림봉 및 우측전방걸림봉은, 각각의 전방후크가 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펜더 또는 도어의 내측면 상부 좌우측을 걸어 지지하고, 상기 걸림콘로드는, 상기 좌측전방걸림봉 및 우측전방걸림봉에 지지된 상기 차량의 펜더 또는 도어의 내측면 하부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을 걸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ft front hanger rod and the right front hanger rod each hook the left and right upper portions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ender or the door of the vehicle in which the front hanger approaches forward, and the hanger cone rod engages the left front hanger rod and the right front hanger And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lower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door is supported by the fender of the vehicle or the door supported by the engaging rod.
또한, 상기 좌측후방걸림봉 및 우측후방걸림봉은, 각각의 후방후크가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펜더 또는 도어의 내측면 상부 좌우측을 걸어 지지하고, 상기 걸림콘로드는, 상기 좌측후방걸림봉 및 우측후방걸림봉에 지지된 상기 차량의 펜더 또는 도어의 내측면 하부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을 걸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left rear hanger rod and the right rear hanger rod is hooked on the right and left upper portions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ender or door of the vehicle whose rear hook approaches rearward, And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lower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door is supported by the fender of the vehicle or the door supported by the engaging rod.
또한, 각각이 상기 바닥프레임에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측전방걸림봉과 우측전방걸림봉 각각의 전방후크 및 상기 좌측후방걸림봉과 우측후방걸림봉 각각의 후방후크에 좌우측이 각각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차량의 본네트 또는 트렁크 하면의 전후방에 각각 접촉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보조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ach of the left and right front fastening rods and the right rear fastening rods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loor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front fastening rods and the right rear fastening rods respectively. And a pair of auxiliary beams which are detachably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nnet or trunk bottom face of the vehicle,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는, 차량의 다양한 외장재, 즉 범퍼, 펜더, 도어, 본네트 또는 트렁크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작업대를 사용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단일의 작업대를 통해 도료의 절감,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공간활용성을 극대화시켜 작업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The multi-work station for painting the exterior material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work station for painting the exterior material of a vehicle. The multi-purpose stand for painting the exterior material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exterior materials such as bumpers, fenders, doors, bonnets or trunks,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maximizing the worker's fatigue and space utiliz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3은 도 1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범퍼도장을 위한 범퍼의 거치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8은 도 1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펜더 및 도어도장을 위한 펜더 및 도어의 거치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14는 도 6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네트 또는 트렁크도장을 위한 본네트 또는 트렁크의 거치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ulti-worktable for painting exterior material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ocess of mounting a bumper for a bumper coating on the basis of the embodiment of FIG. 1,
FIGS. 4 to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ender and a door mounting process for fender and door coating based on the embodiment of FIG. 1,
Figs. 9 to 1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process of mounting a bonnet or trunk for bonnet or trunk coating based on the embodiment of Fig. 6.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ulti-tasking apparatus for coating an exterior material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는, 도 1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100), 좌측세로프레임(210), 우측세로프레임(220), 가로프레임(230), 좌측지지바(310), 우측지지바(320), 전방지지봉(410), 후방지지봉(420), 좌측전방걸림봉(510), 우측전방걸림봉(520), 좌측후방걸림봉(610), 우측후방걸림봉(620) 및 걸림콘로드(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보조빔(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14, a multi-work station for painting the exterior material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바닥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휠(110)이 결합된다. 바닥프레임(100)의 형상은 도면상 'H' 또는 "I"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어떠한 형상을 가져도 좋다. 다만,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바닥프레임(100)의 상방으로 결합되고, 차량의 외장재가 거치되므로 이를 받칠 수 있고, 넘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바닥프레임(100)은 이동성을 위하여 복수의 휠(110)이 결합되어 바닥면을 따라 전후 및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좌측세로프레임(210) 및 우측세로프레임(2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좌측세로프레임(210) 및 우측세로프레임(220)은 차량의 외장재가 거치될 때 바닥면으로부터 충분한 높이로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좌측세로프레임(210) 및 우측세로프레임(220)의 높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차량의 외장재 거치시 외장재의 높이보다는 커야 하고, 성인의 작업자가 외장재를 들어 거치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이가 너무 높아도 좋지 않으므로 대략 1m 내지 1.5m 사이가 바람직할 것이다.The left
가로프레임(2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세로프레임(210)의 상단 및 우측세로프레임(220)의 상단을 각각 연결한다. 이러한 가로프레임(230)은 좌측세로프레임(210)과 우측세로프레임(220)을 연결하여 하방이 개구된 'ㄷ'자 형상이 되도록 하고, 바닥프레임(100)까지 측면상 'ㅁ'자 형상으로 각 구성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230)에는 후술하는 좌측지지바(310) 및 우측지지바(320)가 결합된다.The
좌측지지바(310) 및 우측지지바(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230)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전방지지봉(410) 및 후방지지봉(420)은 상기 좌측지지바(310) 및 우측지지바(320) 사이에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지지바(310) 및 우측지지바(32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범퍼(10) 하면의 좌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범퍼(10)를 거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봉(410) 및 후방지지봉(420)은 후술하는 좌측전방걸림봉(510) 및 우측전방걸림봉(520)과, 좌측후방걸림봉(610) 및 우측후방걸림봉(620)이 각각 결합되어 작동되기 위한 구성이다.The
즉, 좌측전방걸림봉(510) 및 우측전방걸림봉(520)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각각이 일단에 형성된 전방회전슬라이더(511)가 상기 후방지지봉(42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후방지지봉(420)을 기준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방 회전시 상기 전방지지봉(410)의 상방에 접촉하여 회전제한되며, 타단에 전방후크(512)가 형성된다.4 to 6, the left
또한, 좌측후방걸림봉(610) 및 우측후방걸림봉(620) 역시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각각이 일단에 형성된 후방회전슬라이더(611)가 상기 전방지지봉(41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전방지지봉(410)을 기준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회전시 상기 후방지지봉(420)의 상방에 접촉하여 회전제한되며, 타단에 후방후크(612)가 형성된다.4 to 6, the left
이와 함께 걸림콘로드(700)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세로프레임(210) 및 우측세로프레임(220)의 하부에 일단이 전후좌우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걸림콘(710)이 형성된다.4 to 6, one end of the hooking
이를 통해,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전방걸림봉(510) 및 우측전방걸림봉(520)은 각각의 전방후크(512)가 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펜더(20) 또는 도어(30)의 내측면 상부 좌우측을 걸어 지지하고, 상기 걸림콘로드(700)는 상기 좌측전방걸림봉(510) 및 우측전방걸림봉(520)에 지지된 상기 차량의 펜더(20) 또는 도어(30)의 내측면 하부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을 걸어 지지한다. 또한, 전방의 반대편 즉 후방의 경우, 상기 좌측후방걸림봉(610) 및 우측후방걸림봉(620)은 각각의 후방후크(612)가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펜더(20) 또는 도어(30)의 내측면 상부 좌우측을 걸어 지지하고, 상기 걸림콘로드(700)는 상기 좌측후방걸림봉(610) 및 우측후방걸림봉(620)에 지지된 상기 차량의 펜더(20) 또는 도어(30)의 내측면 하부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을 걸어 지지한다.7 and 8, the left
한편, 도 9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외장재 중 대면적으로 본네트 또는 트렁크(40)의 경우 상술한 좌측지지바(310) 및 우측지지바(320)만으로는 넓은 면적을 지지하기 힘들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별도의 보조빔(800)을 통해 차량의 본네트 또는 트렁크(40)를 거치하고자 한다.9 to 14, it is difficult to support a large area of the bonnet or the
즉, 보조빔(800)은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이 상기 바닥프레임(100)에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측전방걸림봉(510)과 우측전방걸림봉(520) 각각의 전방후크(512) 및 상기 좌측후방걸림봉(610)과 우측후방걸림봉(620) 각각의 후방후크(612)에 좌우측이 각각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차량의 본네트 또는 트렁크(40) 하면의 전후방에 각각 접촉하여 지지한다. 이러한 보조빔(800)은 평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100)에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고, 차량의 본네트 또는 트렁크(40)의 도장작업과 같이 필요한 경우에만 도 9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시켜 좌측전방걸림봉(510)과 우측전방걸림봉(520) 각각의 전방후크(512) 및 상기 좌측후방걸림봉(610)과 우측후방걸림봉(620) 각각의 후방후크(612)에 각각의 좌우측을 삽입 결합시켜 차량의 본네트 또는 트렁크(4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air o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는, 차량의 다양한 외장재, 즉 범퍼(10), 펜더(20), 도어(30), 본네트 또는 트렁크(40)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작업대를 사용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단일의 작업대를 통해 도료의 절감,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공간활용성을 극대화시켜 작업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work station for painting the exterior material of a vehicle, wherein each of the exterior materials of the vehicle, i.e., 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 범퍼
20 : 펜더
30 : 도어
40 : 본네트 또는 트렁크
100 : 바닥프레임 110 : 휠
210 : 좌측세로프레임 220 : 우측세로프레임
230 : 가로프레임
310 : 좌측지지바 320 : 우측지지바
410 : 전방지지봉 420 : 후방지지봉
510 : 좌측전방걸림봉 520 : 우측전방걸림봉
511 : 전방회전슬라이더 512 : 전방후크
610 : 좌측후방걸림봉 620 : 우측후방걸림봉
611 : 후방회전슬라이더 612 : 후방후크
700 : 걸림콘로드 710 : 걸림콘
800 : 보조빔10: Bumper
20: Fender
30: Door
40: Bonnet or trunk
100: floor frame 110: wheel
210: left vertical frame 220: right vertical frame
230: Horizontal frame
310: left support bar 320: right support bar
410: front support rod 420: rear support rod
510: Left front hanger bar 520: Right front hanger bar
511: forward rotation slider 512: front hook
610: Left rear hitching rod 620: Right rear hitching rod
611: rear rotating slider 612: rear hook
700: Jam coned rod 710: Jam cone
800: auxiliary beam
Claims (5)
상기 바닥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좌측세로프레임 및 우측세로프레임과,
상기 좌측세로프레임의 상단 및 상기 우측세로프레임의 상단을 각각 연결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결합된 좌측지지바 및 우측지지바와,
상기 좌측지지바 및 우측지지바 사이에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결합된 전방지지봉 및 후방지지봉과,
일단에 형성된 전방회전슬라이더가 상기 후방지지봉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후방지지봉을 기준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방 회전시 상기 전방지지봉의 상방에 접촉하여 회전제한되며, 타단에 전방후크가 형성된 한 쌍의 좌측전방걸림봉 및 우측전방걸림봉과,
일단에 형성된 후방회전슬라이더가 상기 전방지지봉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전방지지봉을 기준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회전시 상기 후방지지봉의 상방에 접촉하여 회전제한되며, 타단에 후방후크가 형성된 한 쌍의 좌측후방걸림봉 및 우측후방걸림봉과,
상기 좌측세로프레임 및 우측세로프레임의 하부에 일단이 전후좌우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걸림콘이 형성된 복수의 걸림콘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
A bottom frame coupled with the plurality of wheels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bottom surface,
A left vertical frame and a right vertical frame provided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loor frame in parallel to each other,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left vertical frame and the upper end of the right vertical frame,
A left support bar and a right support bar respectively coupled to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A front support bar and a rear support bar coupled between the left support bar and the right support bar in parallel along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 forward rotation slider formed at one end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forward and backward relative to the rear support rod while being slid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rear support rod and is restricted in rotation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upport rod at the time of backward rotation, A pair of left front latching rods and right front latching rods,
A rear rotation slider formed at one end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forward and rearward relative to the front support rod while being slid left and right along the front support rod and is restricted in rotation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rear support rod in forward rotation, A pair of left rear-side latching rods and a right-side rear latching rods,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cone rod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left vertical frame and the right vertical frame so as to freely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nd leftward and rightward and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with a latching cone.
상기 좌측지지바 및 우측지지바는,
차량의 범퍼 하면의 좌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support bar and the right support bar comprise:
Wherein the bumper base is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umper of the vehicle, respectively.
상기 좌측전방걸림봉 및 우측전방걸림봉은,
각각의 전방후크가 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펜더 또는 도어의 내측면 상부 좌우측을 걸어 지지하고,
상기 걸림콘로드는,
상기 좌측전방걸림봉 및 우측전방걸림봉에 지지된 상기 차량의 펜더 또는 도어의 내측면 하부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을 걸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front hanger rod and the right front hanger rod are provided with:
Each of the front hooks hanging on the left and right upper por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ender or the door of the vehicle approaching forward,
In this cas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eft lower side and the right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ender or the door of the vehicle supported by the left front locking bar and the right front locking bar is hooked.
상기 좌측후방걸림봉 및 우측후방걸림봉은,
각각의 후방후크가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펜더 또는 도어의 내측면 상부 좌우측을 걸어 지지하고,
상기 걸림콘로드는,
상기 좌측후방걸림봉 및 우측후방걸림봉에 지지된 상기 차량의 펜더 또는 도어의 내측면 하부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을 걸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ft rear-side latching bar and the right-
Each of the rear hooks hanging on the left and right upper por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ender or the door of the vehicle approaching rearward,
In this case,
Wherein the left and right rear retaining rods support one side of at least one of a lower left side and a right lower side of an inner side surface of a fender or a door of the vehicle supported by the left rear retaining rod and the right rear retaining rod.
각각이 상기 바닥프레임에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측전방걸림봉과 우측전방걸림봉 각각의 전방후크 및 상기 좌측후방걸림봉과 우측후방걸림봉 각각의 후방후크에 좌우측이 각각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차량의 본네트 또는 트렁크 하면의 전후방에 각각 접촉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보조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frames, and the front hooks of the left front and right front fastening rods and the right and left rear hooks of the left rear fastening rod and the right rear fastening rod are respectively detachable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auxiliary beams which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nnet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of the vehicle, respectivel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73045A KR101543211B1 (en) | 2015-05-26 | 2015-05-26 | Multi worktable for painting exterior decor of c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73045A KR101543211B1 (en) | 2015-05-26 | 2015-05-26 | Multi worktable for painting exterior decor of ca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43211B1 true KR101543211B1 (en) | 2015-08-07 |
Family
ID=5388673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730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3211B1 (en) | 2015-05-26 | 2015-05-26 | Multi worktable for painting exterior decor of ca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43211B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952630A (en) * | 2017-11-25 | 2018-04-24 | 郭文英 | A kind of portable vehicle Coating Pretreatment equipment |
| CN111389659A (en) * | 2020-03-25 | 2020-07-10 | 段锐东 | Working method of automatic edge covering equipment for aluminum alloy doors and windows |
| CN113333210A (en) * | 2021-06-29 | 2021-09-03 | 东风华神汽车有限公司 | Workpiece spraying process tool |
| CN114392900A (en) * | 2021-12-24 | 2022-04-26 |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 A device for hanging steel pipe guardrail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296030A (en) | 1992-10-05 | 1994-03-22 | Young Robert D | Painting rack for vehicle parts |
| JP2003103206A (en) | 2001-09-28 | 2003-04-08 | Honda Motor Co Ltd | Resin bumper coating jig and method of coating parts using the same |
| US20120242022A1 (en) | 2011-03-24 | 2012-09-27 | GGI,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repair and painting |
-
2015
- 2015-05-26 KR KR1020150073045A patent/KR10154321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296030A (en) | 1992-10-05 | 1994-03-22 | Young Robert D | Painting rack for vehicle parts |
| JP2003103206A (en) | 2001-09-28 | 2003-04-08 | Honda Motor Co Ltd | Resin bumper coating jig and method of coating parts using the same |
| US20120242022A1 (en) | 2011-03-24 | 2012-09-27 | GGI,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repair and painting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952630A (en) * | 2017-11-25 | 2018-04-24 | 郭文英 | A kind of portable vehicle Coating Pretreatment equipment |
| CN111389659A (en) * | 2020-03-25 | 2020-07-10 | 段锐东 | Working method of automatic edge covering equipment for aluminum alloy doors and windows |
| CN113333210A (en) * | 2021-06-29 | 2021-09-03 | 东风华神汽车有限公司 | Workpiece spraying process tool |
| CN114392900A (en) * | 2021-12-24 | 2022-04-26 |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 A device for hanging steel pipe guardrail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43211B1 (en) | Multi worktable for painting exterior decor of car | |
| DE69203928T2 (en) | Vehicle assembly process and vehicle body. | |
| CN203450039U (en) | Coat and hat hook assembly used in vehicle | |
| US5979973A (en) | Vehicle bed having hidden storage and transverse collapsible support beams | |
| DE69118499T2 (en) | Method of assembling automobiles | |
| US5492259A (en) | Cargo support frame structure for vehicles | |
| KR101543212B1 (en) | Multi worktable for painting exterior decor of car | |
| US20040032112A1 (en) | Universal hitch and receiver assembly | |
| US8272683B2 (en) | Vehicle roof assembly | |
| CN205469317U (en) | Double round pick up, be used for fender subassembly and vehicle in pick up carriage | |
| US8960741B2 (en) | Assembly comprising a bumper skin and masking means | |
| KR20100120923A (en) | Working stand for painting of automobile parts | |
| DE102007014442A1 (en) | Load carrier for a motor vehicle | |
| US3762758A (en) | Multi purpose automotive airfoil | |
| US10661721B2 (en) | Bracket for golf cart accessory | |
| CN112221769B (en) | Spraying tool for container door and container spraying system | |
| CN104340130A (en) | Article fixing hook assembly | |
| WO2013132683A1 (en) | Cab frame for construction machinery and painting method therefor | |
| CN203237168U (en) | Basic hand tool storing structure | |
| CN104039512B (en) | Painting workpiece gripper for handling robot | |
| CN204870781U (en) | Vehicle clothing hook subassembly | |
| CN215964261U (en) | Spraying jig and spraying production line | |
| US9783232B1 (en) | Vehicle suspension extension system | |
| CN206122011U (en) | Car bumper vehicle -mounted body application mechanism | |
| EP3689655A1 (en) | Cab protection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8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