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150B1 - Helmet for Leisure Sports - Google Patents
Helmet for Leisure Spor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5150B1 KR101555150B1 KR1020140088819A KR20140088819A KR101555150B1 KR 101555150 B1 KR101555150 B1 KR 101555150B1 KR 1020140088819 A KR1020140088819 A KR 1020140088819A KR 20140088819 A KR20140088819 A KR 20140088819A KR 101555150 B1 KR101555150 B1 KR 1015551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lmet
- protective glasses
- helmet body
- protective
- sl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185—Securing goggles or spectacles on helmet shell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0—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저 스포츠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멧의 몸체 내부에 조립되어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해 인출 및 인입되는 보호안경의 위치를 간단하게 위치 고정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전방에 장공의 슬라이드홀(12)이 형성되는 헬멧몸체(10)와;
상기 헬멧몸체(10)의 내부로 장착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헬멧내장재(20)와;
상기 헬멧몸체(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실드(31)에 일체로 고정판(32)이 연장 성형되어, 상기 슬라이드홀(12)의 안내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보호안경(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호안경(30)이 헬멧몸체(10)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홀(12)의 안내로 인입 및 인출 위치로 이동될 때 이탈을 방지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40)이 마련되고,
상기 보호안경(30)이 인출된 위치와 인입된 위치에서 떨림과 위치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위치고정수단(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lmet for leisure spor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lmet for leisure sports, which is assembled in a body of a helmet, Has been invented.
A helmet body (10) in which a slide hole (12) of a long hole is formed in front of the helmet body (10);
A helmet inner body 20 installed inside the helmet body 10 to cushion impact applied to the wearer's head;
And a protection glass 30 formed integrally with a shield 31 located at the front of the helmet body 10 so as to be extended and formed and slidingly moved along a guide path of the slide hole 12,
Guiding means 40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protective glasses 30 in a state of being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when the protective glasses 30 are moved to the guiding path entrance and withdrawal positions of the slide holes 12 in a state where the protective glasses 30 are positioned outside the helmet body 10 ),
And a position fixing means (50) for preventing movement and movement of the protection glasses (30) at a drawn position and a drawn position ar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저 스포츠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멧의 몸체 내부에 조립되어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해 인출 및 인입되는 보호안경의 위치를 간단하게 위치 고정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lmet for leisure spor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lmet for leisure sports, which is assembled in a body of a helmet, Has been invented.
일반적으로, 인라인 스케이트, 자전거, 스쿠터, 등산, 승마 등 다양한 레저 스포츠에서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헬멧을 착용하고 있다.Generally, a helmet is worn as a means for protecting a user's head in various leisure sports such as inline skating, bicycle, scooter, mountain climbing, and horse riding.
이러한 헬멧은, 착용자가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하면서 머리를 보호해야 하고, 활동량이 많은 경우에 머리에 땀이 많이 흐르기 때문에 통기성이 우수해야 한다.Such a helmet should protect the head while preventing the wearer from inconvenienc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should be excellent in breathability because a lot of sweat flows through the head when the activity amount is large.
또한, 대부분의 레저 스포츠용 헬멧은 오토바이 헬멧과는 달리 얼굴 전체를 감싸는 방식이 아닌 머리 상부측만 감싸는 구조를 하고 있어서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안경을 착용하고 있었다.Also, unlike most motorcycle helmets, most of the leisure sports helmets are wrapped around the top of the head instead of covering the whole face, so they wear separate protective glasses to protect their eyes.
그러나, 상기 헬멧과 보호안경을 별도로 착용할 경우 레저 스포츠 특성상 사용자의 심한 몸 동작으로 인한 보호안경이 이탈되거나, 보호안경에 땀이 맺혀 시야를 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보호안경을 착용 또는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helmet and the protective glasses are separately worn, the protection glasses due to the user's severe body movements may be detached due to the nature of leisure sports, or sweat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ve glasses to obscure the visual field.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wear or remove the protective glasses.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1252119호에서와 같이 알려진바 있다.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such inconvenience is know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2119 filed and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보호안경에 형성된 프레임과, 슬라이드 안내부에 형성된 프레임에 걸림돌기와 요철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시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보호안경의 걸림돌기가 요철의 각 부분을 지나면서 이동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frame formed on the protective goggles and the frame formed on the slide guiding portion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trusions and the protrusions and the protrusions, respectively. This prevents the inconvenience tha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protective goggles There was.
또, 상기 보호안경의 걸림돌기가 요철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빈번하게 걸림돌기가 이탈되어 보호안경의 인출 및 인입 시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protective eyewear frequently moves away from the protrusion and protrusion, thereby causing a malfunction when the protective eyewear is pulled out and brought in.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보호안경을 보다 간편하면서도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시켜 착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레저 스포츠용 헬멧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isure sports helmet which can easily and smoothly slide the protective eyewea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wear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안경의 인출 및 인입 상태에서 진동이나 충격으로 유동되거나 떨림이 없이 안정되게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스포츠용 헬멧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orts helmet in which a position can be stably maintained without vibration or vibration due to vibration or impact in the drawing and pulling-out of the protective goggl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에 장공의 슬라이드홀(12)이 형성되는 헬멧몸체(10)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lmet having a helmet body (10) having a slot hole (12) formed in the front thereof;
상기 헬멧몸체(10)의 내부로 장착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헬멧내장재(20)와;A helmet
상기 헬멧몸체(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실드(31)에 일체로 고정판(32)이 연장 성형되어, 상기 슬라이드홀(12)의 안내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보호안경(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And a
상기 보호안경(30)이 헬멧몸체(10)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홀(12)의 안내로 인입 및 인출 위치로 이동될 때 이탈을 방지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40)이 마련되고,Guiding means 40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상기 보호안경(30)이 인출된 위치와 인입된 위치에서 떨림과 위치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위치고정수단(50)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And a position fixing means (50) for preventing the movement and movement of the protection glasses (30) at the drawn position and the drawn position are provided.
상기 가이드수단(40)은 슬라이드홀(12)에 끼워지는 끼움부재(33)를 보호안경(30)의 고정판(32)에 일체로 성형하고, 이 끼움부재(33)의 양쪽에 잘록하게 안내홈(34)을 성형하며,The guide means 40 integrally molds the
상기 헬멧몸체(10)의 슬라이드홀(12) 내측으로는 상기 안내홈(34)에 가이드홀(42)이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41)이 고정 부착된다.
또, 상기 위치고정수단(50)은, 보호안경(30)이 인출된 위치에 실드(31)와 헬멧몸체(10)에 매립 고정된 영구자석(51)과 자성체(53)가 자착되도록 하고,A
The position fixing means 5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삭제delete
상기 보호안경(30)이 인입된 위치에는 끼움부재(33)와 헬멧내장재(20)에 매립 고정된 영구자석(52)과 자성체(54)가 자착되어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여기서, 상기 보호안경(30)의 실드(31)는 선글라스 또는 시력교정용 안경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자성체(53)(54)는 영구자석(51)(52)에 자착되는 서로다른 극의 영구자석이나 철금재로 선택된다.
The
본 발명에 따르면, 헬멧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호안경을 간편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 헬멧 외부에서 실드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eyewear can be easily slidably mov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helmet wearer, so that the shield can be pulled out or drawn from the outside of the helmet,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use.
또, 보호안경은 착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형상으로 교체가 가능하고,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본 발명의 헬멧과 보호안경을 착용할 수 있어 사용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goggles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wearer's preference, and the helmet and the protective gogg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even in the state wearing the glasses, so that the protective glasses can actively cope with the use conditions.
그리고, 보호안경의 인출 및 인입 상태에서 진동이나 충격으로 유동되거나 떨림이 없이 안정되게 보호안경을 고정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In addition,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stably keep the protective eyewear without flowing or vibrating due to vibration or impact in the drawing and pulling-out of the protective eyewear.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호안경이 인출된 위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보호안경이 인출된 위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보호안경이 인입된 위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호안경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절결 측단면도.
도 7은 보호안경이 인입된 위치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protective gla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ulled out.
3 is a side view of the position where the protective glasses are pulled 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position where the protective specta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tracted.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protective gla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cutaway side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osition where the protective glasses are drawn. FIG.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구형(半球形)으로 속이 빈 형상으로 된 헬멧몸체(10)의 외부에서 보호안경(30)이 위치되고,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해 인출 및 인입되도록 하되, 그 위치에서 보호안경(30)의 위치를 간단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As shown in FIGS. 1 to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헬멧몸체(1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통기구멍(11)들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을 때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헬멧 전방에는 곡면을 따라 장공의 슬라이드홀(12)이 형성되어 있다.The
이 헬멧몸체(10)의 내부에는 헬멧내장재(20)가 결합되어 착용감을 좋게 함과 아울러, 충격이 가해질 때 완충 효과를 갖도록 하여 헬멧몸체(10)에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2차적으로 헬멧내장재(20)가 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다.The helmet
보호안경(30)은 헬멧몸체(10)의 전방 중앙에 뚫어지는 슬라이드홀(12)을 따라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으로, 이 보호안경(30)의 양측에 실드(31)가 구비되고, 이 실드(31) 사이에서 상부로 연장된 고정판(32)이 형성된다.The
여기에서, 상기 보호안경(30)은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보호안경(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자체적으로 일정부분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Here, the
또, 상기 보호안경(30)의 실드(31)는 선글라스 또는 시력교정용 안경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선글라스에 착용자의 시력에 맞는 도수가 부과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이는 사용자가 시력이 좋지 않은 경우 선글라스 자체에 사용자에 맞는 도수를 인가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안경을 착용하지 않아도 되고, 별도의 안경을 착용하여야만 할 경우의 다양한 상황에도 대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사항은 착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if the user does not have good eyesight, he or she can apply the appropriate frequency to the sunglasses itself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wear glasses or the glasses can be used in various situations when wearing glasses. Can be selectively applied by the wearer.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보호안경(30)이 헬멧몸체(10)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홀(12)의 안내로 인입 및 인출 위치로 이동될 때 이탈을 방지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40)과, 보호안경(30)이 인출된 위치와 인입된 위치에서 떨림과 위치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위치고정수단(50)이 구비되어 있다.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즉, 가이드수단(40)은 헬멧몸체(10)의 슬라이드홀(12)에 끼워지는 끼움부재(33)를 보호안경(30)의 고정판(32)에 일체로 성형하고, 이 끼움부재(33)의 양쪽에 잘록하게 안내홈(34)을 성형하게 된다.That is, the guide means 40 integrally molds the
그리고, 상기 헬멧몸체(10)의 슬라이드홀(12) 내측으로는 상기 안내홈(34)에 가이드홀(42)이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41)이 고정 부착된다.A
따라서, 이 가이드판(41)의 가이드홀(42)에 끼움부재(33)의 안내홈(34)이 끼워져 호 형상으로 헬멧몸체(10)의 곡면을 따라 부착 조정된 가이드판(41)을 따라 보호안경(30)이 상, 하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The
이때, 보호안경(30)이 헬멧몸체(10)의 외부에 위치된 상태로 이동되더라도 서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판(41)의 안내로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even if the
상기 위치고정수단(50)은, 보호안경(30)이 인출된 위치에 실드(31)와 헬멧몸체(10)에 매립 고정된 영구자석(51)과 자성체(53)가 자착되도록 하고, 상기 보호안경(30)이 인입된 위치에는 끼움부재(33)와 헬멧내장재(20)에 매립 고정된 영구자석(52)과 자성체(54)가 자착되어 보호안경(30)이 상승되어 인입된 위치 및 하강되어 인출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osition fixing means 50 allows the
그리고, 상기 자성체(53)(54)는 영구자석(51)(52)에 자착되는 서로다른 극이 마주보게 설치되는 영구자석이나 철금재로 선택된다.The
또, 자성체(53)(54)와 영구자석(51)(52)의 설치 위치가 서로 바뀌여도 무방함을 밝혀둔다.It is noted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보호안경(30)의 고정판(32)에는 상, 하 이동시에 손으로 잡고 조작하기 편안하도록 손잡이(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헬멧 전방에 위치되는 보호안경(30)의 실드(31)가 하부로 인출된 상태는, 끼움부재(33)가 슬라이드홀(12)의 가장 하단부 위치로 이동된 상태로 가이드판(41)의 가이드홀(42)에 걸려지게 되고, 헬멧몸체(10)에 매립 고정된 영구자석(51)과 실드(31)에 고정 부착된 자성체(53)가 서로 자착(磁着)되어 있다.(도 3 및 도 6)The
이 상태는, 실드(31)와 헬멧몸체(10)에 매립 고정된 영구자석(51)과 자성체(53)가 자석의 힘으로 비교적 강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뛰거나 자전거를 탑승하고 운전할 때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에도 실드(31)의 떨림 및 유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This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보호안경(30)의 사용이 불필요 하여 손잡이(35)를 잡고 보호안경(30)을 들어 올리게 되면 슬라이드홀(12)의 내측에 부착된 가이드판(41)의 안내로 고정판(32)에 내측을 향해 일체로 성형된 끼움부재(33)의 안내홈(34)이 가이드홀(42)을 따라 상승 이동된다.When the
보호안경(30)이 가장 상부로 이동되는 위치에는 끼움부재(33)와 헬멧내장재(20)에 영구자석(52)과 자성체(54)가 각각 매립 고정되어 있으므로, 자력으로 부착되려는 힘이 작용되어 보호안경(30)이 상승되어 인입된 위치에서 흔들림 없이 위치 고정되는 것이다.Since the
이와 같이, 헬멧의 곡면을 따라 외부에 위치된 보호안경(3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하면서 영구자석의 자성을 이용해 보호안경(30)을 고정함으로써, 환경에 따라 착용자가 간편하게 보호안경(30)을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본 발명은 인라인 스케이트, 자전거, 스쿠터, 등산, 승마 등 다양한 레저 스포츠용 안전 헬멧 기술에 적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afety helmet technology for various leisure sports such as inline skates, bicycles, scooters, mountain climbing, and horse riding.
10 - 헬멧부재 11 - 통기구멍
12 - 슬라이드홀 20 - 헬멧내장재
30 - 보호안경 31 - 실드
32 - 고정판 33 - 끼움부재
34 - 안내홈 40 - 가이드수단
41 - 가이드판 41 - 가이드홀
50 - 위치고정수단 51,52 - 영구자석
53,54 - 자성체10 - helmet member 11 - vent hole
12 - Slide hole 20 - Helmet interior
30 - Protective Goggles 31 - Shield
32 - fixing plate 33 -
34 - guide groove 40 - guide means
41 - guide plate 41 - guide hole
50 - Position fixing means 51, 52 - Permanent magnet
53,54 - Magnetic body
Claims (3)
상기 헬멧몸체(10)의 내부로 장착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헬멧내장재(20)와;
상기 헬멧몸체(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실드(31)에 일체로 고정판(32)이 연장 성형되어, 상기 슬라이드홀(12)의 안내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보호안경(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호안경(30)이 헬멧몸체(10)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홀(12)의 안내로 인입 및 인출 위치로 이동될 때 이탈을 방지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40)이 마련되고,
상기 보호안경(30)이 인출된 위치와 인입된 위치에서 떨림과 위치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위치고정수단(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 스포츠용 헬멧.
A helmet body 10 in which a slide hole 12 of a long hole is formed in front;
A helmet inner body 20 installed inside the helmet body 10 to cushion impact applied to the wearer's head;
And a protection glass 30 formed integrally with a shield 31 located at the front of the helmet body 10 so as to be extended and formed and slidingly moved along a guide path of the slide hole 12,
Guiding means 40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protective glasses 30 in a state of being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when the protective glasses 30 are moved to the guiding path entrance and withdrawal positions of the slide holes 12 in a state where the protective glasses 30 are positioned outside the helmet body 10 ),
And a position fixing means (50) for preventing movement and movement of the protective glasses (30) at a drawn position and a drawn position.
상기 헬멧몸체(10)의 슬라이드홀(12) 내측으로는 상기 안내홈(34)에 가이드홀(42)이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41)이 고정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 스포츠용 헬멧.
The slide faste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means (40) is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fitting member (33) fitted in the slide hole (12) into a fixing plate (32) The guide groove 34 is formed so as to be constric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a guide plate (41) for guiding slide movement is fixed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lide hole (12) of the helmet body (10) with a guide hole (42) inserted in the guide groove Sports helmets.
상기 보호안경(30)이 인입된 위치에는 끼움부재(33)와 헬멧내장재(20)에 매립 고정된 영구자석(52)과 자성체(54)가 자착되어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 스포츠용 헬멧.The position fixing means (5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fixing means (50) comprises a shield (31), a permanent magnet (51) embedded in the helmet body (10) and a magnetic body And,
The permanent magnet 52 embedded in the helmet inner material 20 and the magnetic material 54 are adhered and fixed at positions where the protective glasses 30 are inserted. helme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88819A KR101555150B1 (en) | 2014-07-15 | 2014-07-15 | Helmet for Leisure Spor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88819A KR101555150B1 (en) | 2014-07-15 | 2014-07-15 | Helmet for Leisure Sport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55150B1 true KR101555150B1 (en) | 2015-09-22 |
Family
ID=5424893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88819A Active KR101555150B1 (en) | 2014-07-15 | 2014-07-15 | Helmet for Leisure Sport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55150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64524A (en) | 2001-08-24 | 2003-03-05 | Wise Gear:Kk | Helmet having openable shield plate |
| KR200374024Y1 (en) | 2004-10-29 | 2005-01-2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Safety cap having multi-function |
| US20080295228A1 (en) | 2002-05-29 | 2008-12-04 | Muskovitz David T | In-Mold Protective Helmet Having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
| US20140041104A1 (en) | 2011-03-25 | 2014-02-13 | Aseol Lim | Leisure Sports Helmet |
-
2014
- 2014-07-15 KR KR1020140088819A patent/KR1015551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64524A (en) | 2001-08-24 | 2003-03-05 | Wise Gear:Kk | Helmet having openable shield plate |
| US20080295228A1 (en) | 2002-05-29 | 2008-12-04 | Muskovitz David T | In-Mold Protective Helmet Having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
| KR200374024Y1 (en) | 2004-10-29 | 2005-01-2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Safety cap having multi-function |
| US20140041104A1 (en) | 2011-03-25 | 2014-02-13 | Aseol Lim | Leisure Sports Helme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6102497B (en) | Multi-body helmet construction with shield mounting | |
| CA2772604A1 (en) | Helmet for leisure sports | |
| US10757995B2 (en) | Multi-body helmet construction with shield mounting | |
| US11337479B2 (en) | Time trial bicycle helmet with ear shield | |
| KR101501701B1 (en) | Helmet for Sports | |
| KR101555150B1 (en) | Helmet for Leisure Sports | |
| KR101620167B1 (en) | A goggle | |
| US20130312164A1 (en) | Helmet For Leisure Sports | |
| KR20150146014A (en) | Helmet for Leisure Sports | |
| KR101559752B1 (en) | Helmet for Leisure Sports | |
| KR20140131163A (en) | Helmet for Leisure Sports | |
| KR101554902B1 (en) | Helmet for Leisure Sports | |
| KR20230003768A (en) | Helmet for Leisure Sports | |
| JP3178391U (en) | Helmet with protective glasses | |
| KR101532964B1 (en) | Helmet for Sports | |
| US8267513B2 (en) | Attachment mechanism for eye glass shield | |
| JP3183086U (en) | helmet | |
| US20210191148A1 (en) | Eyewear attachment and eyewear assembly | |
| KR20140131164A (en) | Helmet for Leisure Sports | |
| JP2014009426A (en) | Helmet with protective eyeglass | |
| KR20160076948A (en) | Decoration point production and sticking to part equipment are helmet for easy sports | |
| KR102632836B1 (en) | wind noise reduction apparatus | |
| KR20150128284A (en) | Helmet for Leisure Sports | |
| KR20120116062A (en) | An attachable device of sunglasses for a helmet | |
| KR20230163798A (en) | Detachable shield on protective helme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9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7 Year of fee payment: 4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917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7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