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6328B1 - Automatic teller machine - Google Patents

Automatic teller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328B1
KR101556328B1 KR1020130164911A KR20130164911A KR101556328B1 KR 101556328 B1 KR101556328 B1 KR 101556328B1 KR 1020130164911 A KR1020130164911 A KR 1020130164911A KR 20130164911 A KR20130164911 A KR 20130164911A KR 101556328 B1 KR101556328 B1 KR 101556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banknote
unit
idle roller
banknot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9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6556A (en
Inventor
조지윤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328B1/en
Publication of KR2015007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5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32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65H3/5253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2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acting on surface of outermost articles of the pile, e.g. in nip between pair of belt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10Friction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3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a pair of belts forming a transport nip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금 및 수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묶음 형태로 투입되는 지폐번들을 입, 출금 처리할 수 있는 지폐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된 지폐번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폐번들을 사이에 두고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지폐번들의 이송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번들이송유닛; 상기 번들이송유닛에서 1장 이상의 지폐를 제공받아 그 중 1장의 지폐만 통과되도록 분리하는 지폐분리유닛을 포함하는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isclosed is a banknote receipt and payout apparatus having an enhanced sheet-separ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nknote receipt and payout apparatus capable of inserting and dispensing a banknote bundle including at least one of cash and checks and put in a bundle form, A bundle conveying unit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path of the banknote bundl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nknote bundle; And a banknote separating unit that receives one or more banknotes from the bundle transport unit and separates the banknote so as to pass only one banknote among the banknotes.

Description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AUTOMATIC TELLER MACHINE}{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지폐의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receipt and payout apparatus in which a sheet separating function of banknotes is enhanced.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기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In general,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can provide unmanned financial services such as cash and check deposits and withdrawals by using cards or bankbooks without any banking staff,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related to financial services. It is an automation device.

최근,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 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the use of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has been expanding not only in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banks but also in convenience stores, department stores, and public places.

금융 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Financial automation devices can be divided into withdrawing machines, depositing machines, and depositing machine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depositing or withdrawing money. In recent years, financial automation machines have been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cash withdrawals and withdrawals, check deposits and withdrawals, account bookkeeping, .

그런데, 종래 금융 자동화기기는 일반적으로 수표를 입출금하는 장치와 현금을 입출금하는 장치가 따로 마련되며, 이들은 금융 자동화기기의 몸체에 별도로 장착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utomated teller machine, a device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a check and a device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are separately provided, and these devices are separately mounted on the body of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즉, 현금 입출금 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금이 입출금될 수 있으며, 수표 입출금 장치를 통해 낱장씩의 수표가 입출금될 수 있는바, 이처럼 현금과 수표의 입출금 장치가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 전체 사이즈가 커질 수 있으며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at least one cash can be deposited / withdrawn through the cash deposit / withdrawal apparatus, and a check can be deposited / withdrawn one by one through the check deposit / withdrawal apparatus. If the deposit and withdrawal apparatus for cash and check are separately provided, And it is difficult to utilize efficient space.

한편, 수표는 현금과 달리 자성을 띤 특수잉크로 각종 문자가 인쇄되어 있고, 이러한 수표를 처리하는 수표 입금기는 수표에 인쇄된 문자를 자기잉크 문자판독기(MICR: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를 이용하여 수표의 일련번호 등을 판독한 후 수표임금처리를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heck, various characters are printed with a special ink having a magnetic property different from cash, and a check money dispenser for processing such a check uses a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MICR) And then the check wage processing is performed.

또한, 수표의 크기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도 하지만, 일부 외국의 경우는 수표의 크기가 다른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이 발행하는 퍼스널 수표와 기업이 발행하는 비즈니스 수표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 크기가 서로 다른 수표를 현금과 함께 번들 형태로 입출금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the size of checks is fixed, but in some foreign countries, the size of checks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since personal checks issued by individuals and business checks issued by compani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inconvenient that checks having different sizes can not be deposited and withdrawn in a bundled form together with cash.

또한, 현금과 수표(이하, "지폐"라는 용어와 함께 혼용함)를 번들 형태로 입출금하는 경우, 여러 장의 지폐들이 동시에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부에 지폐가 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지폐의 입출금 처리가 지연되거나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and check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banknotes ") in a bundle form,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banknotes are caught in the conveyance part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several bills at the same time, The deposit / withdrawal process of the banknote may be delayed or unusable.

따라서, 현금 및 수표를 번들(다발, 묶음) 형태로 동시에 입금시킬 수 있어 장치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 나아가 지폐가 이송부에 끼이지 않도록 지폐의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 banknote deposit-and-withdrawal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depositing cash and checks in the form of bundles (bundles, bundles), thereby realizing slimming of the apparatus and further enhancing the function of separating the banknotes from one another .

한국등록특허 10-809478Korean Patent No. 10-809478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금과 수표가 하나의 장치에서 번들 형태로 동시에 입출금 처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투입된 현금과 수표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지폐가 끼이지 않도록 지폐의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ash and check to be processed simultaneously in a bundle form in a single apparatus and at the same time the function of separating the banknotes from one another is enhanced so that the banknotes are not caught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inputted cash and check And to provide a banknote deposit / withdrawal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금 및 수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묶음 형태로 투입되는 지폐번들을 입, 출금 처리할 수 있는 지폐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된 지폐번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폐번들을 사이에 두고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지폐번들의 이송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번들이송유닛; 상기 번들이송유닛에서 1장 이상의 지폐를 제공받아 그 중 1장의 지폐만 통과되도록 분리하는 지폐분리유닛을 포함하는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nknote receipt and payout apparatus capable of inserting and dispensing a banknote bundle including at least one of cash and checks and put in a bundle form, A bundle conveying unit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path of the banknote bundl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nknote bundle; And a banknote separating unit that receives one or more banknotes from the bundle transport unit and separates the banknote so as to pass only one banknote among the banknotes.

여기서 상기 지폐분리유닛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번들이송유닛에 마련된 가이드부와의 사이에 1장의 지폐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며, 2장 이상의 지폐 진입시 하방으로 이동되는 아이들롤러부; 상기 아이들롤러부가 상기 간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상기 아이들롤러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부; 2장 이상의 지폐 진입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이 상기 하방 이동된 아이들롤러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ill separating unit is freely rotatable and forms a gap through which one bill can pass between the bill separating unit and a guide portion provided in the bundle conveying unit. Roller portion; Elastic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idle roller portion can maintain the gap; A driving unit disposed under the idle roller unit and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to the idle roller portion that is moved downward when two or more banknotes enter.

또한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은 상기 아이들롤러부가 상기 2장 이상 진입되는 지폐를 상기 번들이송유닛 쪽으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may be set so that the idle roller unit is rotated in a direction to discharge the banknote into which the two or more sheets are introduced into the bundle transfer unit.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아이들롤러부와 동축 일체로 회전되는 제1회전체; 상기 구동롤러부와 동축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아이들롤러부의 하방 이동시 상기 제1회전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tt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body rotated coaxially with the idle roller portion; And a second rotating body rotated coaxially with the driving roller unit and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rotating body contacts the idle roller unit when the idle roller unit moves downward.

또한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 회전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lso,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may be formed of a rubber member to prevent slip during contact rotation.

또한 상기 번들이송유닛은, 상기 투입된 지폐번들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폐번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번들이송부; 상기 투입된 지폐번들의 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폐번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번들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ndle transf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undle transfer unit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nknote bundle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ed banknote bundle; And a second bundle transfer unit disposed below the banknote bundle so as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ged banknote bundle.

또한 상기 제1번들이송부는,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번들롤러와, 상기 제1번들롤러들을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하는 제1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번들이송부는,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번들롤러와, 상기 제2번들롤러들을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하는 제2벨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undle conveying unit may include a first bundle roller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bundle conveying unit and a first belt unit connecting the first bundle rollers in an endless track form, A second bundle roller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and a second belt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bundle rollers in an endless track form.

또한 상기 제1번들이송부는 상기 제2번들이송부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undle sending part may further extend rearward than the second bundle sending part.

또한 상기 지폐분리유닛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지폐분리유닛에서 미분리된 지폐를 다시 한 장씩 분리 이송하는 낱장분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aper money sepa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heet separating unit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paper currency separating unit for separating and transferring the paper currency that has not yet been separated from the paper currency separat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주위 구조물과의 사이에 1장의 지폐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며, 2장 이상의 지폐 진입시 하방으로 이동되는 아이들롤러부; 상기 아이들롤러부가 상기 간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상기 아이들롤러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부; 및 2장 이상의 지폐 진입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이 상기 하방 이동된 아이들롤러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갖는 지폐분리유닛을 포함하는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dle roller unit which is installed to be freely rotatable and which forms a gap through which one banknote can pass between the banknote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 ; Elastic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idle roller portion can maintain the gap; A driving unit disposed under the idle roller unit and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to the downwardly moved idle roller portion when two or more banknotes enter the banknote storage portion.

또한,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은 상기 아이들롤러부가 상기 2장 이상 진입되는 지폐를 상기 지폐의 진입 반대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may be set so that the idle roller unit discharges the banknote into which the two or more sheets are introduc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ntry of the banknote.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아이들롤러부와 동축 일체로 회전되는 제1회전체; 상기 구동롤러부와 동축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아이들롤러부의 하방 이동시 상기 제1회전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body rotated coaxially with the idle roller portion; And a second rotating body rotated coaxially with the driving roller unit and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rotating body contacts the idle roller unit when the idle roller unit moves downward.

또한,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 회전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may be formed of a rubber member to prevent slip during contact rot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현금 및 수표가 번들 형태로 동시에 입출금 처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금 및 수표의 이송과정에서 지폐분리유닛에 의해 한 장의 지폐는 즉시 통과되고 2장 이상의 지폐는 분리된 후 한 장씩 통과됨에 따라 지폐의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sh and check can be simultaneously deposited and withdrawn in the form of bundles, but also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cash and checks, a piece of paper money is immediately passed by the paper money separating unit, And the sheet separating function of the paper currency can be strengthen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의 구성도,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 번들이송유닛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 지폐분리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5a 및 도5b는 본 실시예의 지폐분리유닛의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의 낱장분리유닛을 나타낸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nknote receipt and payout apparatus having a sheet separation function enhan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state of the bundle feed unit in the bank note deposi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enhanced in the sheet sepa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aper currency separator in the banknote receipt and payout apparatus enhanced in the sheet sepa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6 is a view showing a sheet separation unit of a banknote receipt and payout apparatus having enhanced sheet-separ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between.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erm " comprises " or " having " in the claims is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의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banknote receipt and payout apparatus having an enhanced sheet-separ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현금 및 수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묶음 형태로 투입되는 지폐번들(10)을 입, 출금 처리할 수 있는 지폐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번들이송유닛(100), 지폐분리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낱장분리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번들이송유닛(100)과 지폐분리유닛(200)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1,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deposi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inserting and withdrawing a banknote bundle 10, which is loaded in a bundle form including at least one of cash and check, The transfer unit 100 and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and may further include the sheet separating unit 300.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bundle transferring unit 100 and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mean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nfigurations but includes these configurations basically and may include other configurations (for example, a well-known technology widely known in a banknote deposi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However, A description of the known art will be omitted.

상기 번들이송유닛(100)은, 투입된 지폐번들(10)을 사이에 두고 그 지폐번들(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지폐번들(10)의 이송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번들이송유닛(100)은 지폐번들(10)이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지폐번들(10)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bundle transfer unit 100 is disposed along the transfer path of the banknote bundle 10 at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banknote bundle 10 with the inserted banknote bundle 10 interposed therebetween. Can move the banknote bundle 10 so that the banknote bundle 10 is transferr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여기서, 상기 지폐번들(10)은 다발 또는 묶음 형태로 이루어진 지폐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폐(11)는 종이 재질로 된 화폐로서 현금과 수표를 포괄할 수 있는바, 지폐번들(10)이라 함은 현금 또는 수표만으로 이루어지거나 현금과 수표가 섞여 있는 묶음 형태를 지칭한다. Here, the banknote bundle 10 refers to banknotes in the form of bundles or bundles. The banknote 11 may be a currency made of paper and may include cash and checks. The banknote bundle 10 may include cash Or checks, or a bundle of cash and checks.

번들이송유닛(100)은, 투입된 지폐번들(10)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지폐번들(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번들이송부(110)와, 투입된 지폐번들(10)의 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지폐번들(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번들이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ndle transfer unit 100 includes a first bundle transfer unit 110 disposed above the banknote bundle 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nknote bundle 10 loa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nknote bundle 10, And a second bundle transfer unit 120 disposed below the banknote bundle 10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따라서, 제1번들이송부(110)와 제2번들이송부(120)가 각각 지폐번들(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밀착되어 지폐번들(10) 전체를 잡고 입금 경로를 따라 소정 거리만큼 지폐번들(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Thus, the first bundle transfer unit 110 and the second bundle transfer unit 120 are closely contacted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nknote bundle 10 to catch the entire banknote bundle 10, The banknote bundle 10 can be moved.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번들이송부(110)는 양단에 각각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가능하게 이격 설치되는 제1번들롤러(111)와, 상기 제1번들롤러(111)들을 무한 궤도 형태로 연결하는 제1벨트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bundle conveying unit 110 includes a first bundling roller 111 and a second bundling roller 111. The first bundling roller 111 and the second bundling roller 111 are rotatably disposed at opposite ends of the conveying unit 110, And may include a first belt portion 112 for connecting in an endless track form.

따라서, 제1번들롤러(111)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벨트부(112)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지폐번들(10)의 입금 경로가 되는 정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고 지폐번들(10)의 출금 경로가 되는 역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Accordingly, as the first bundle roller 11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belt part 112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and can be moved in a forward direction, which is a path for depositing the bundle of bills 10, The withdrawal path of FIG.

또한 제2번들이송부(120)는 양단에 각각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가능하게 이격 설치되는 제2번들롤러(121)와, 상기 제2번들롤러(121)들을 무한 궤도 형태로 연결하는 제2벨트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undle conveying unit 120 includes a second bundle roller 121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undle conveying unit 120 so as to be rotatable in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second belt unit 121 connecting the second bundle rollers 121 in an endless track form. (Not shown).

이때, 상기 제1벨트부(112)의 하부는 지폐번들(10)의 상부면에 접촉되고 제2벨트부(122)의 상부는 지폐번들(1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는바, 이에 따라 상기 제1번들롤러(111)와 제2번들롤러(121)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가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elt part 11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nknote bundle 10,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elt part 12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nknote bundle 10 and moved in the same directio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irst bundle roller 111 and the second bundle roller 121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예컨대, 지폐번들(10)이 입금 경로를 따라 이동되어야 할 경우 제1번들롤러(111)는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만 제2번들롤러(121)는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지폐번들(10)을 지폐분리유닛(200)이 있는 쪽 방향(입금 방향)으로 이동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banknote bundle 10 is to be moved along the depositing path, the first bundle roller 111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but the second bundle roller 121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10 in the direction of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banknote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번들이송부(110)는 제2번들이송부(120)보다 후방으로 소정 길이(L)만큼 더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undle transfer unit 110 may be further extended rea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L than the second bundle transfer unit 120.

제1번들이송부(110)가 제2번들이송부(120)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번들이송유닛(100)에 투입된 지폐번들(10)이 기설정된 기준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2번들이송부(120)는 정지시키고 제1번들이송부(110)만을 작동시키면서 지폐번들(10)의 상층부에 있는 지폐만 제1번들이송부(110)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first bundle transfer unit 110 is further extended rearward than the second bundle transfer unit 120 is that when the banknote bundle 10 loaded in the bundle transfer unit 100 reaches a preset reference position The second bundle transfer unit 120 is stopped and only the banknotes in the upper layer of the banknote bundle 10 are moved by the first bundle transfer unit 110 while the first bundle operates only the transfer unit 110. [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된 지폐번들(10)이 기설정된 기준위치에 도달하기 전에는 제1번들이송부(110)와 제2번들이송부(120)는 지폐번들(10)이 지폐분리유닛(200) 쪽 방향(입금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모두 작동된다.2, the first bundle conveying unit 110 and the second bundling convey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anknote bundle 10 is separated from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110 before the charged banknote bundle 10 reaches a predetermined reference position, And is mov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unit 200 (the depositing direction).

제1번들이송부(110)와 제2번들이송부(120)에 의해 지폐번들(10)이 이동하다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번들(10)이 기설정된 기준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1번들이송부(110)는 계속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 제2번들이송부(120)는 정지된다. When the bank bundle 10 is moved by the first bundle conveying unit 110 and the second bundling conveying unit 120 and the bank bundle 10 reache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osition as shown in FIG. The first bundle feeder 110 continues to operate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second bundle feeder 120 is stopped.

한편, 제1번들이송부(110)와 제2번들이송부(120)에 의해 이동되는 지폐번들(10)이 상기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준위치에는 지폐번들(10)의 도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번들감지기(130)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etect that the bundle of bills 10 moved by the first bundle feeder 110 and the second bundle feeder 120 reaches the reference position, A bundle detector 130 may be installed.

번들감지기(130)는 지폐번들(10)의 이동경로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주위 구조물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곳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지폐번들(10)의 도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또는 발광/수광 센서 중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서 열거한 것 이외에도 선택 가능하다. The bundle sensor 130 may be installed at a place where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 does not occur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ath of movement of the bank note bundle 10. An ultrasonic sensor or a laser sensor Or light emission / light reception sensors, and may be selected in addition to those listed here.

상기 기설정된 기준위치 즉, 번들감지기(130)가 설치되는 위치는 제2번들이송부(120)의 후단부 쪽 어느 한 지점이 바람직하다.The predetermined reference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at which the bundle sensor 130 is installed, is preferably at a position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bundle transfer unit 120.

따라서, 이 지점에 설치된 번들감지기(130)가 이동경로를 따라 움직이던 지폐번들(10)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2번들이송부(120)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는바, 제2번들이송부(120)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1번들이송부(110)만 이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되면 도4a 또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번들(10) 전체가 이동하는 대신 제1벨트부(112)와 접촉하는 지폐번들(10)의 상층부만 이동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bundle sensor 130 installed at this point senses the bill bundle 10 moving along the movement pat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undle transfer unit 120 can be stopped, When the first bundle 110 is oper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evious one only in the state where the operation of the first bundle 120 is stopped, the entire banknote bundle 10 is moved as shown in FIG. 4A or 4B, Only the upper layer portion of the banknote bundle 10 in contact with the banknote bundle 112 is moved.

여기서, 제1벨트부(112)와 접촉하는 부위는 지폐번들(10)의 최상부에 있는 1장이다. 따라서,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번들(10)의 최상부에 있는 1장의 지폐(11)만 지폐분리유닛(200) 쪽으로 이동될 수도 있지만, 통상 번들 형태로 놓여 있는 지폐간에는 마찰력이 존재하므로 제1벨트부(112)에 의해서 1장의 최상부 지폐만 이동되는 것은 아니고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장 이상의 지폐, 예컨대 2장의 지폐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1장 또는 2장의 지폐가 지폐분리유닛(200)에 제공될 때의 지폐분리유닛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Here,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belt portion 112 is one sheet at the top of the banknote bundle 10. Therefore, as shown in FIG. 4A, only one banknote 11 at the top of the banknote bundle 10 can be moved toward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However, since there is a friction force between the banknotes placed in the form of a bundle, Not only one uppermost banknote is moved by one belt portion 112 but more than one banknote, for example, two banknotes, can be move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4B. The function of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when one or two banknotes are provided in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참고로, 상기 번들감지기(130)가 지폐번들(10)의 도달을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신호는 제어부로 입력되어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번들이송부(120)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는바, 이러한 제어로직은 당해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별도의 설명 및 구성에 대한 도면의 기재를 생략한다.When the bundle sensor 130 detects the arrival of the bundle of bills 10, the bundle sensor 130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The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control logic is well known in the art, so that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aspect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번들이송부(120)는 제1번들이송부(110)와의 사이에서 지폐번들(10)의 높이에 해당하는 유격을 형성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수단(140)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second bundle conveying unit 120 includes a lifting / lowering unit 120 which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so as to form a clearanc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banknote bundle 10 between the first bundle conveying unit 110 and the conveying unit 110, (140).

제2번들이송부(120)가 승강수단(140)을 매개로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제1번들이송부(11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이 조절될 수 있는바, 이 유격은 번들이송유닛(100)에 투입된 지폐번들(10)의 높이에 대응하여 조절되어야 하므로, 이 유격의 조절을 위해 상기 제2번들이송부(120)가 높이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The clearance formed between the first bundle and the transmitting unit 110 can be adjusted as the second bundle conveying unit 120 is raised or lowered via the elevating unit 140. This clearance can be controlled by the bundle conveying unit The second bundle conveying unit 120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height direction to adjust the clearance of the bank bundle.

상기 승강수단(14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41), 베이스부(142) 및 리프트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means 140 may include a frame portion 141, a base portion 142 and a lift portion 143 as shown in FIG.

상기 프레임부(14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2번들롤러(121)들과 제2벨트부(122)가 설치될 수 있는바, 프레임부(141)의 높이 조절에 따라 제2번들롤러(121) 및 제2벨트부(122)의 높이도 함께 조절되어 제1번들이송부(110)와의 유격이 조절될 수 있다. The second bundle rollers 121 and the second belt portion 122 may be installed on the frame portion 141. The second bundle rollers 121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belt part 122 are also adjusted so that the clearance with the first bundle conveying part 110 can be adjusted.

또한, 베이스부(142)는 프레임부(141)로부터 하부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부(143)는 베이스부(142)로부터 프레임부(141)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구성이다.The base portion 142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portion 141 and the lift portion 143 is configured to lift the frame portion 141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base portion 142.

이때, 상기 리프트부(1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41) 및 베이스부(142)와 4절 링크 구조를 갖도록 결합된 링크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리프트부(143)가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상기 프레임부(141)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높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구조이면 된다. In this case, the lift part 143 may be implemented as a link unit having a four-bar linkage structure with the frame part 141 and the base part 142 as shown in the figure, But may be a structure that can be stretched in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frame portion 141 can be adjusted.

즉, 상기 리프트부(143)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리프트부(143)는 공기나 오일과 같은 작동유체에 의해 길이 신축이 이루어지는 작동실린더가 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높이 조절 가능한 공지의 기술이 필요에 따라 모두 적용될 수 있다.That is, the lift part 143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e lift part 143 may be an actuating cylinder that is elongated and contracted by a working fluid such as air or oil. In addition, Techniques can be applied as needed.

또한, 상기 프레임부(141)와 베이스부(142) 사이에는 프레임부(141)에 상방향의 외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144)가 설치될 수 있다. An elastic member 14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ame part 141 and the base part 142 to provide an upward external force to the frame part 141.

상기 탄성부재(144)는 도4a 및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번들(10)의 상층부가 지폐분리유닛(200) 쪽으로 이동되어 지폐번들(10)의 높이가 점차 감소하는 경우에도 지폐번들(10)의 상층부가 계속해서 제1벨트부(112)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번들이송부(120)를 상방으로 밀어준다.
4A and 4B, even when the height of the banknote bundle 10 gradually decreases as the upper layer of the banknote bundle 10 is moved toward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second bundle pushes the delivery portion 120 upwar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undle can continue to contact the first belt portion 112. [

한편, 상기 지폐분리유닛(200)은, 번들이송유닛(100)에서 1장 이상의 지폐를 제공받아 그 중에서 1장의 지폐만 통과되도록 분리하는 구성이다. On the other hand, the bill separat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receive one or more bills from the bundle transfer unit 100 and separate the bills from each other so as to pass only one banknote.

여기서, 상기 지폐분리유닛(200)은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롤러부(210)와, 탄성수단(220)과, 구동부(230) 및 동력전달수단(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5A and 5B,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includes the idle roller unit 210, the elastic means 220, the driving unit 230, and the power transmitting unit 240 .

상기 아이들롤러부(210)는 번들이송유닛(100)에 마련된 가이드부(150)와의 사이에 1장의 지폐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d)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자유 회전될 수 있고, 상기 간극(d)으로 2장 이상의 지폐(11) 진입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idle roller unit 210 is disposed to form a gap d through which one banknote can pass between the idle roller unit 210 and the guide unit 150 provided in the bundle feed unit 100 and can freely rotat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 And when the two or more banknotes (11) enter the gap (d), it can be moved downward.

상기 탄성수단(220)은 상기 아이들롤러부(210)가 상기 간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아이들롤러부(210)는 탄성수단(220)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번들이송유닛(100)과의 사이에 1장의 지폐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d)을 형성할 수 있다.The elastic roller 220 is configur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idler roller unit 210 so that the idler roller unit 210 can maintain the gap. The idler roller unit 210 receives elastic force from the elastic means 220, And a gap d through which one banknote can pass can be formed.

따라서, 1장의 지폐(11)가 지폐분리유닛(200)으로 진입되면 상기 아이들롤러부(210)의 위치 이동 없이 상기 간극을 통해 1장의 지폐가 통과하면서 상기 아이들롤러부(210)는 지폐 일측면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지폐가 진입하는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 회전된다.Accordingly, when one banknote 11 enters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one idle roller passes through the gap without moving the idle roller 21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by the frictional force resulting from the contact with the banknote.

한편, 지폐분리유닛(200)에 2장 이상의 지폐가 진입되는 경우, 그 지폐의 두께가 상기 간극(d)보다 크기 때문에 아이들롤러부(210)는 지폐에 의해 눌려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하방 이동되는 아이들롤러부(210)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220)을 가압하여 탄성수단(220)이 탄성 수축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아이들롤러부(21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아이들롤러부(210)는 다시 처음의 간극(d)을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wo or more banknotes are introduced into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since the thickness of the banknote is larger than the clearance d, the idle roller unit 210 is pressed by the banknote and moves downward, The idler roller unit 210 to be moved presses the elastic means 220 which provides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elastic means 220 is elastically contracted. In this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idle roller unit 210 is removed, the idle roller unit 210 maintains the initial gap d again.

또한 상기 구동부(230)는 아이들롤러부(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동부(230)는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30)는 자체적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는 구성(예컨대, 구동모터)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구동휠이나 구동롤러가 될 수도 있다.Further, the driving unit 230 is disposed below the idle roller unit 210, and the driving unit 230 may be rotated in any one direction. Here, the driving unit 23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driving force by itself (for example, a driving motor), or may be a driving wheel or a driving roller driven by a driving force from another configuration.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240)은 구동부(230)의 구동력이 2장 이상의 지폐 진입시 상기 아이들롤러부(210)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 2장 이상의 지폐가 진입될 때 하방으로 이동하는 아이들롤러부(210)에 상기 구동부(230)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아이들롤러부(210)가 진입하는 지폐를 상기 번들이송유닛(100) 쪽으로 배출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40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to the idle roller unit 210 when two or more paper moneys enter the idle roller unit 210. When the two or more paper moneys enter the idle roller unit 210,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is transmitted to the bundle conveying unit 100 and the banknote entering the idle roller unit 210 is discharged to the bundle conveying unit 100.

따라서, 상기 구동부(230)의 회전방향은 2장 이상의 지폐가 진입될 때 아이들롤러부(210)가 지폐를 번들이송유닛(100) 쪽으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230 is set such that the idle roller unit 210 rotates in a direction of discharging the banknote to the bundle feed unit 100 when two or more bills enter.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수단(240)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수단(240)은 제1회전체(241)와 제2회전체(2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5A and 5B,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24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240 includes the first rotating body 24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42. [ And a rotating body 242.

상기 제1회전체(241)는 아이들롤러부(210)와 동축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제2회전체(242)는 구동부(230)와 동축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아이들롤러부(210)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 제1회전체(241)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first rotating body 241 rotates integrally with the idle roller unit 210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42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ing unit 230 and the idle roller unit 210 rotates downward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it contacts the first rotating body 241 when it is mov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241.

따라서, 상기 지폐분리유닛(200)에 1장의 지폐가 진입될 때는 상기 제1회전체(241)와 제2회전체(242)는 서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아이들롤러부(210)는 구동부(23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지 않고, 지폐분리유닛(200)에 2장 이상의 지폐가 진입될 때에만 상기 아이들롤러부(21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회전체(241)와 제2회전체(242)가 서로 접촉하여 상기 구동부(230)의 구동력이 제2회전체(242) 및 제1회전체(241)를 통해 아이들롤러부(210)에 전달되어 아이들롤러부(210)가 회전된다. Therefore, when one banknote is introduced into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the first rotating body 24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42 do not contact each other. Therefore, the idle roller unit 210 moves the driving unit 230, The idle roller unit 210 moves downward only when two or more bills enter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without being supplied with the driving force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24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42,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is transmitted to the idler roller unit 210 through the second rotating body 242 and the first rotating body 241 so that the idler roller unit 210 rotates.

이때, 상기 아이들롤러부(210)는 진입하는 2장 이상의 지폐 하부면에 접촉하여 지폐를 번들이송유닛(100) 쪽으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도면상, 시계방향)되도록 상기 구동부(230)의 회전 방향을 설정한다.At this time, the idle roller 210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wo or more banknotes to be entered, and rotates (rotates) the driving unit 230 in a direction to rotate the banknote to be discharged toward the bundle feed unit 100 Set the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1회전체(241) 및 상기 제2회전체(2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접촉 회전시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body 24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42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prevent slip during contact rotation.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한 구성 외에도 낱장분리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the sheet separation unit 300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상기 낱장분리유닛(300)은 지폐분리유닛(200)의 후단에 설치되며, 지폐분리유닛(200)에서 미분리된 지폐를 다시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다.The sheet separating unit 300 is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and separates the banknotes which are not separated from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one by one.

즉, 낱장분리유닛(300)은 지폐분리유닛(200)에서 한 장씩 미처 분리하지 못한 지폐들을 다시 한번 낱장으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2장 이상의 지폐가 지폐분리유닛(200)에 들어갈 때 상기 아이들롤러부(210)에 의하여 대부분 1장씩 분리가 되지만 미처 분리되지 못하고 통과되는 지폐들이 존재할 수 있는바, 상기 낱장분리유닛(300)은 1장씩 분리되지 못하고 통과된 지폐들을 다시 한번 분리하기 위한 구성이다.That is, the sheet separating unit 300 separates the bills, which have not yet been separated one by one in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into a single sheet. When two or more banknotes enter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The paper sheet separating unit 300 separates the paper currency not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paper currency separating unit 300 without being separated one by one.

낱장분리유닛(30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310)와 벨트부재(320) 및 텐션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eet separating unit 300 may include a roller unit 310, a belt member 320, and a tension roller 330 as shown in FIG.

상기 롤러부(310)는 낱장분리유닛(300)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부재(320)는 롤러부(310)들을 무한 궤도 형태로 연결하여 롤러부(3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된다.The roller unit 310 is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heet separating unit 300. The belt unit 320 connects the roller units 310 in an endless track shape and rotat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ller unit 310 .

또한 텐션롤러(330)는 롤러부(310)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벨트부재(320)의 하부에 소정의 텐션을 가하여 벨트부재(320)의 하부가 직선 형태가 아닌 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 roller 330 is disposed between the roller units 310, and a predetermined tension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lt member 32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elt member 320 may have a curved shape have.

여기서, 상기 텐션롤러(330)는 벨트부재(320)와의 사이에 1장의 지폐만 지나갈 수 있도록 소정의 힘으로 벨트부재(320)의 하부를 가압하는바, 이때 텐션롤러(33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Here, the tension roller 330 presses the lower portion of the belt member 320 with a predetermined force so that only one paper currency can pass between the tension roller 330 and the belt member 320. In this case, the tension roller 330 is not rotated .

따라서, 상기 낱장분리유닛(300)에 지폐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벨트부재(320)가 회전되지 않는 텐션롤러(330)에 단순히 미끄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고, 1장의 지폐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벨트부재(320)의 여유 장력 때문에 벨트부재(320)가 눌리면서 텐션롤러(330)와 벨트부재(320) 사이로 1장의 지폐가 지나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anknote is not supplied to the sheet separating unit 300, the belt member 320 is simply moved in a sliding contact state with the non-rotating tension roller 330. When one banknote is supplied, The belt member 320 is pushed by the margin tension of the belt member 320 and a paper currency passes between the tension roller 330 and the belt member 320. [

즉, 상기 텐션롤러(330)는 1장의 지폐가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여유 장력을 갖도록 상기 벨트부재(320)를 가압할 수 있다.That is, the tension roller 330 can press the belt member 320 so as to have a margin tension enough to allow one bill to pass.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폐분리유닛(200)으로부터 2~3장의 지폐(11)가 적층된 구조로 낱장분리유닛(300)에 공급되는 경우, 상기 텐션롤러(33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고 벨트부재(320)만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2~3장의 지폐(11)들 중 최상부에 있는 1장의 지폐(11)만 벨트부재(320)를 따라 이동되면서 벨트부재(320)와 텐션롤러(330)를 지나가게 되고, 나머지 지폐들은 텐션롤러(330)에 걸려 대기하게 된다.6, when two or three banknotes 11 are supplied from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to the sheet separating unit 300 in a stacked structure, the tension roller 330 does not rotate Only one banknote 11 at the top of the two or three banknotes 11 is moved along the belt member 320 and the belt member 320 and the tension roller 320 are moved, And the remaining bills are caught by the tension roller 330 and wait.

1장의 지폐(11)가 벨트부재(320)와 텐션롤러(330)를 완전히 통과하면 대기하고 있던 지폐(11)들 중 다시 최상부에 있는 지폐(11)가 벨트부재(320)와 텐션롤러(330)를 다시 통과하는바,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낱장분리유닛(300)에서 1장의 지폐만 이송될 수 있다.
When one bill 11 passes completely through the belt member 320 and the tension roller 330, the banknote 11 at the top of the banknotes 11 waiting in the waiting state is conveyed to the belt member 320 and the tension roller 330 , So that only one bank note can be transferred from the sheet separation unit 300 by this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는 상기 지폐분리유닛(200)만 포함될 수 있다.Further, in the bill deposi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bill separating unit 200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지폐분리유닛(200)은 전 단계로부터 1장 이상의 지폐를 제공받아 그 중 1장의 지폐만 통과되도록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폐분리유닛(200)은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 상기 번들이송유닛(100)의 다음 단계에 배치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곳에 배치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상기 지폐분리유닛(200)은 상기 번들이송유닛(100)에서 지폐를 제공받지 않고 지폐 입출금 장치의 다른 구성으로부터 1장 이상의 지폐를 제공받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can receive one or more banknotes from the previous step and separate the banknotes from one banknote to be passed therethrough. Therefore, the bill separating unit 200 is not disposed in the next step of the bundle feed unit 100 in the bill deposi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can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place if necessary, One or more bills can be provided from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bill deposi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without being provided with bills in the bundle transferring unit 100, and thus the original func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상기 지폐분리유닛(200)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지폐분리유닛(200)의 전 단계에 상기 번들이송유닛(100)이 배치된 경우, 상기 지폐분리유닛(200)은 상기 번들이송유닛(100)에 마련된 상기 가이드부(150)와의 사이에 1장의 지폐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d)이 형성되지만, 상기 지폐분리유닛(200)이 상기 번들이송유닛(100)의 다음 단계에 배치되지 않고 다른 곳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간극(d)은 상기 가이드부(150)가 아닌 상기 지폐분리유닛(200)이 배치된 곳의 주위 구조물과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bill separator unit 200 has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ose described above,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case where the bundle feed unit 100 is disposed before the bank note separating unit 200, the bank note separating unit 200 is disposed between the guide unit 150 provided in the bundle feed unit 100, The clearance d is formed so that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200 is dispos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next step of the bundle feed unit 100. However, Can be formed between the guide unit 150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 where the bill separating unit 200 is dispos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 지폐번들 100 : 번들이송유닛
110 : 제1번들이송부 111 : 제1번들롤러
112 : 제1벨트부 120 : 제2번들이송부
121 : 제2번들롤러 122 : 제2벨트부
130 : 번들감지기 140 : 승강수단
141 : 프레임부 142 : 베이스부
143 : 리프트부 144 : 탄성부재
150 : 가이드부 200 : 지폐분리유닛
210 : 가이드롤러부 220 : 탄성수단
230 : 구동부(230) 240 : 동력전달수단(240)
300 : 낱장분리부
310 : 롤러부 320 : 벨트부재
330 : 텐션롤러
10: banknote bundle 100: bundle conveying unit
110: first bundle feeding part 111: first bundle roller
112: first belt section 120: second bundle delivery
121: second bundle roller 122: second belt portion
130: bundle detector 140: elevating means
141: frame part 142: base part
143: lift portion 144: elastic member
150: guide unit 200: banknote separating unit
210: guide roller portion 220: elastic means
230: driving unit 230: 240: power transmission means 240:
300: sheet-
310: roller portion 320: belt member
330: tension roller

Claims (13)

현금 및 수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묶음 형태로 투입되는 지폐번들을 입, 출금 처리할 수 있는 지폐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된 지폐번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폐번들을 사이에 두고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지폐번들의 이송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번들이송유닛;
상기 번들이송유닛에서 1장 이상의 지폐를 제공받아 그 중 1장의 지폐만 통과되도록 분리하는 지폐분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폐분리유닛은,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번들이송유닛에 마련된 가이드부와의 사이에 1장의 지폐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며, 2장 이상의 지폐 진입시 하방으로 이동되는 아이들롤러부;
상기 아이들롤러부가 상기 간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상기 아이들롤러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부;
2장 이상의 지폐 진입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이 상기 하방 이동된 아이들롤러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
을 포함하는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A banknote receipt and payout apparatus capable of inserting and dispensing a banknote bundle including at least one of cash and checks and put in a bundle form,
A bundle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charged banknote bundle, the bundle transferring unit being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path of the banknote bundl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nknote bundle;
And a banknote separating unit for receiving one or more banknotes from the bundle transport unit and separating the banknotes so that only one banknote is passed therethrough,
The bill separating unit includes:
An idle roller unit which is installed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and forms a gap through which one banknote can pass between the guide unit and the guide unit provided in the bundle transport unit and moves downward when two or more banknotes enter the banknote;
Elastic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idle roller portion can maintain the gap;
A driving unit disposed under the idle roller unit and rotated in one direction;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to the idle roller portion moved downward when two or more banknotes enter the banknote;
Wherein the banknote dispens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banknot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은 상기 아이들롤러부가 상기 2장 이상 진입되는 지폐를 상기 번들이송유닛 쪽으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정된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rot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dle roller unit discharges the banknotes into which the two or more sheets are introduced to the bundle conveying unit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아이들롤러부와 동축 일체로 회전되는 제1회전체;
상기 구동롤러부와 동축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아이들롤러부의 하방 이동시 상기 제1회전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회전체;
를 포함하는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idle roller portion;
A second rotating body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driving roller portion and dispos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when the idle roller portion is moved downward;
Wherein the banknote dispens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banknot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 회전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is made of a rubber member to prevent slippage during contact ro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이송유닛은,
상기 투입된 지폐번들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폐번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번들이송부;
상기 투입된 지폐번들의 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폐번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번들이송부;
를 포함하는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ndle transferring unit,
A first bundle transfer unit disposed above the banknote bundl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charged banknote bundle;
A second bundle transfer unit disposed below the banknote bundle so as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ged banknote bundle;
Wherein the banknote dispens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banknot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번들이송부는,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번들롤러와, 상기 제1번들롤러들을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하는 제1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번들이송부는,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번들롤러와, 상기 제2번들롤러들을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하는 제2벨트부를 포함하는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bundle conveying unit includes a first bundle roller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and a first belt unit connecting the first bundle rollers in an endless track form,
Wherein the second bundle convey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bundle roller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and a second belt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bundle rollers in an endless track form.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번들이송부는 상기 제2번들이송부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first bundle conveying portion further extends rearward beyond the second bundle convey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분리유닛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지폐분리유닛에서 미분리된 지폐를 다시 한 장씩 분리 이송하는 낱장분리유닛;
을 더 포함하는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heet separating unit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bank note separating unit and separating and feeding the bank notes unseparated from the bank note separating unit one by one;
Further comprising a sheet separating function.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주위 구조물과의 사이에 1장의 지폐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며, 2장 이상의 지폐 진입시 하방으로 이동되는 아이들롤러부;
상기 아이들롤러부가 상기 간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상기 아이들롤러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부; 및
2장 이상의 지폐 진입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이 상기 하방 이동된 아이들롤러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
을 갖는 지폐분리유닛을 포함하는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An idle roller portion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and which forms a gap through which one bill can pass between the idle roller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 and is moved downward when two or more bills arrive;
Elastic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idle roller portion can maintain the gap;
A driving unit disposed under the idle roller unit and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to the idle roller portion moved downward when two or more banknotes enter the banknote;
And a banknote separating unit having the banknote separating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은 상기 아이들롤러부가 상기 2장 이상 진입되는 지폐를 상기 지폐의 진입 반대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설정된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banknote in which the idle roller unit has entered the two or more sheet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ntry of the bankno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아이들롤러부와 동축 일체로 회전되는 제1회전체;
상기 구동롤러부와 동축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아이들롤러부의 하방 이동시 상기 제1회전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회전체;
를 포함하는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idle roller portion;
A second rotating body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driving roller portion and dispos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when the idle roller portion is moved downward;
Wherein the banknote dispens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banknot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 회전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is made of a rubber member to prevent slippage during contact rotation.
KR1020130164911A 2013-12-27 2013-12-27 Automatic teller machine Active KR1015563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11A KR101556328B1 (en) 2013-12-27 2013-12-27 Automatic teller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11A KR101556328B1 (en) 2013-12-27 2013-12-27 Automatic teller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556A KR20150076556A (en) 2015-07-07
KR101556328B1 true KR101556328B1 (en) 2015-09-30

Family

ID=5378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911A Active KR101556328B1 (en) 2013-12-27 2013-12-27 Automatic teller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32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733Y1 (en) 2004-12-28 2005-04-07 고성인 A discharger machine for a merchandise coupon
KR100526583B1 (en) * 2003-12-31 2005-11-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aper money deposit device in auto teller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583B1 (en) * 2003-12-31 2005-11-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aper money deposit device in auto teller machine
KR200380733Y1 (en) 2004-12-28 2005-04-07 고성인 A discharger machine for a merchandise coup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556A (en)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432165A (en) automatic trading machine
US7975909B2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KR101046452B1 (en) Paper Sheet Separator
CN103049962B (en) Bill handling device
KR102255918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of paper money
WO2014155645A1 (en) Paper-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4202721B2 (en) Cash processing device and bill with built-in wireless IC
KR101545480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888572B1 (en) Medium separating apparatus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US9396619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cash and checks
KR101556328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CN103426230B (en) Bill 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ding apparatus
KR1019170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aper money of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of paper money
CN105279840B (en) Paper separates apparatus for collecting
JP3472689B2 (en) Paper sheet stacking device
KR101508338B1 (en) Medium separating apparatus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JP4402555B2 (en) Paper sheet feeding storage
KR100526581B1 (en) dispensor in the bill recycling machine
KR102120963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0526580B1 (en) temporary stacker of paper money
KR101399097B1 (en) Apparatus to recognize paper and method to recognize thereof
KR101423543B1 (en) Reject apparatus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853024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076324B1 (en) Check Recognition Device and Check Recognition Method of Automatic Financial Equipment
JP2002308516A (en) Bill circu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