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373B1 - A Paint Composite for Treating Surface of Concret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Paint Composite for Treating Surface of Concret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9373B1 KR101559373B1 KR1020140187736A KR20140187736A KR101559373B1 KR 101559373 B1 KR101559373 B1 KR 101559373B1 KR 1020140187736 A KR1020140187736 A KR 1020140187736A KR 20140187736 A KR20140187736 A KR 20140187736A KR 101559373 B1 KR101559373 B1 KR 1015593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water
- acrylate copolymer
- concrete
- buil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ubber
- C09D107/02—Late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 표면에서 도막을 형성하게 되는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0 ~ 35 중량%와,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도막의 균열을 방지하고 내수성을 향상시키며 바인더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라텍스 성분 10 ~ 18 중량%와,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도막의 색상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산화티탄 백색 안료 12 ~ 15 중량%와,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도막의 강도를 보강해주고 화재 발생시 유기물질의 탄화현상을 방지하는 석회석 23 ~ 27 중량%와, 상 기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상기 라텍스 성분과 상기 이산화티탄 백색 안료와 상기 석회석을 수용액 중에서 고르게 분산시키고 상호간의 결합을 방지하도록 해주는 콜로이달 실리카 성분 3 ~ 5 중량%와, 상기 각 성분들의 용제로서 활용되는 물 5 ~ 17 중량%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 표면에 얇은 도막을 형성함으로써, 내수성과 내오염성 및 내화성이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for building exterior finish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comprising 30 to 35% by weight of a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which forms a coating film on the exterior surface of a building, a latex component which prevents the coating film of the acrylate copolymer and improves water resistance, 10 to 18% by weight of an acrylate copolymer and 12 to 15% by weight of a titanium dioxide white pigment which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the color of the coating film of the acrylate copolymer clearly and with the strength of the coating film of the acrylate copolymer, 23 to 27% by weight of limestone for preventing the carbonization of the water-soluble acrylic copolymer, the latex component, the titanium dioxide white pigment and the limestone in an aqueous solution to prevent the bonding of the colloidal silica 3 to 5% by weight of the component, and water 5 By weight to 17% by weight.
The present invention has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water resistance, stain resistance and fire resistance by forming a thin coating on the exterior surface of a buil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이미 시공되어 있던 콘크리트 층의 중성화와 열화 현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인체에 전혀 무해하며, 내수성 및 내화성이 양호한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트리트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for exterior finishing of building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for building exterior finishing that can prevent the neutralization and deterioration of a concrete layer,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building using the same.
우리나라의 산업화 과정에서 철근 콘크리트 제품의 사용은 토목 및 건축 분야에서 매우 큰 기여를 해왔었다. 197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도로, 교량, 국가 항만 시설 등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토목 사업이 폭발적으로 늘어났고, 산업 기반을 공고히 해주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The use of reinforced concrete products in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Korea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i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Starting from the 1970s, civil engineering projects using concrete such as roads, bridges, and port facilities increased explosively and played a major role in consolidating the industrial base.
그러나, 오늘날 토목 및 건축분야에서 각종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적인 환경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게 되었고, 그로 인한 부식 내지 중성화, 열화현상 등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서, 염해로 인한 피해 가능 지역이 많이 있고, 사계절이 뚜렷하고 여름철과 겨울철의 온도 차이가 매우 큰 것이 사실이므로, 수축 팽창에 의한 작용을 많이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화 및 도시의 집중화에 의한 배기가스의 영향으로 인한 중성화 현상이 다른 어느 나라 보다도 심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However, in today 's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field, various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have been affected by a combin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ver time, and corrosion, neutralization and deterioration phenomena are inevitable. Especially, since the three sides are surrounded by the sea, there are a lot of damage areas due to salting, the four seasons are clear,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summer and winter is very large. Therefore, And the neutralization phenomen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xhaust gas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ity is more serious than any other country.
현재,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들을 보수하는 공법으로서는 표면 피복공법과 균열주입공법과 충전공법 등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At present, the methods of repairing such concrete structure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surface coating method, crack infusion method, and filling method.
표면 피복공법은 대체적으로 균열된 콘크리트의 표면의 보수에 그치므로, 진행성 균열의 경우에는 이를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수축 팽창에 따른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surface coating method is generally limited to the repair of the surface of the cracked concrete. Therefore, in the case of progressive cracking, there is a limit to prevent it, and it seems to be difficult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due to expansion and shrinkage.
균열주입공법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벽면의 균열된 틈새에 소정의 재료를 밀어넣어서 보수하는 방식으로, 균열주입재로서 에폭시계 합성수지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수축이 작고 조기에 강도가 발휘되어 접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방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 다시 수축 팽창이 진행되면서 콘크리트와 에폭시 수지의 수축팽창율이 서로 달라서 균열보수 후 재균열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 the case of the crack infusion method, a predetermined material is pushed into the cracks in the cracks of the concrete wall to repair the infiltration, and the epoxy resin is selected as a cracking filler material so that the shrinkage is small, , And it seems to be used most commonly. However, this method is known to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fter shrinkage expansion progresses over time, the shrinkage and expansion rates of concrete and epoxy resi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racks are generated again after repairing cracks.
충전공법의 경우에는 시멘트 모르터와 에폭시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충전재료를 만들고, 결함이 있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부를 제거한 후, 그 제거된 부위에 상기 충전재료를 부착하여 시공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시공성 및 단기접착성 등이 우수하여 확실한 물리적 보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콘크리트의 중성화, 염해, 동해, 화학적 부식 등과 같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filling method, a filling material is prepared by blending a cement mortar with an epoxy or acrylic resin at a predetermined ratio, a part of the defective concrete structure is removed, and the fill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removed part . Such a construction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reliably and physically repaired because of its excellent workability and short-term adhesive property,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such as neutralization, salt corrosion, frost damage and chemical corrosion of concrete.
이와 같이, 다양한 시공방법이 나타나게 된 이유로서는, 오늘날 종래의 노후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전히 철거하고 이를 대체하는 신규 구조물을 만들기 보다는,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을 더 오래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여러가지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다양한 방식의 콘크리트 보수 공법이 일반화되어 시행되고 있는데, 이에 관련된 종래기술에 관한 특허들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The reason why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are exhibited is that it is advantageous in various aspects to keep the existing concrete structure longer than to make a new structure that completely dismantles and replace the old aged concrete structure today to be. Nowadays, a variety of concrete repairing methods are being implemented, and patents related to the related arts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그러나, 인체에 무해한 수성도료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중성화를 방지할 수 있고,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수성 및 내화성이 양호한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 조성물은 아직까지 소개된 바 없다.
However, a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for exterior finish of a building which can prevent the neutralization of buildings using a water-borne paint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can prevent cracking, and is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and fire resistance has not been disclosed yet.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시공되어 있던 콘크리트 층의 중성화와 열화 현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인체에 전혀 무해하며, 내수성 및 내화성이 양호한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proofing material for a building exterior finishing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neutralization and deterioration phenomenon of a concrete layer already applied, being completely harmless to the human bod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ating composition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도막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에틸메타그릴레이트 모노머 50 ~ 100 중량부와 메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0 ~ 100 중량부와 스티렌 모노머 50 ~ 100 중량부와 물 100 ~ 200 중량부 및 통상적인 유화제와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0 ~ 35 중량%와; a).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monomer or ethyl methacrylate monomer,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methyl acrylate monomer or ethyl acrylate monomer or butyl acrylate monomer, and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styrene monomer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30 to 35% by weight of a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 emulsifier and a catalyst;
b).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도막의 균열을 방지하고 내수성을 향상시키며 바인더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라텍스 성분 10 ~ 18 중량%와; b). 10 to 18% by weight of a latex component which prevents cracking of the coating film of the acrylate copolymer, improves water resistance, and simultaneously performs a function as a binder;
c).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도막의 색상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고 콘크리트 표면의 어두운 색상을 감추어주며 콘크리트 내부와 표면 및 주변의 냄새를 제거하여주는 이산화티탄 백색 안료 12 ~ 15 중량%와; c). 12 to 15% by weight of a titanium dioxide white pigment which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the color of the coating film of the acrylate copolymer and to hide the dark color of the concrete surface and to remove the smell of the inside and the surface of the concrete;
d).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도막의 강도를 보강해주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존재하는 철물의 방청을 도모하며, 화재 발생시 유기물질의 탄화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불연성을 제공하는 석회석 23 ~ 27 중량%와; d). 23 to 27% by weight of limeston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ating film of the acrylate copolymer, to prevent corrosion of the iron material existing in the concrete structure, and to prevent the carbonization of the organic material at the time of fire, thereby providing incombustibility;
e). 상기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상기 라텍스 성분과 상기 이산화티탄 백색 안료와 상기 석회석을 수용액 중에서 고르게 분산시키고 상호간의 결합을 방지하도록 해주는 콜로이달 실리카 성분 3 ~ 5 중량%와; e). 3 to 5% by weight of a colloidal silica component which evenly disperses the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the latex component, the titanium dioxide white pigment and the limestone in an aqueous solution and prevents bonding therebetween;
f). 상기 각 성분들을 수용액 중에 고르게 분산시키고 상기 각 성분들의 용제로서 활용되는 물 5 ~ 17 중량%;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조성물을 제공한다. f). 5 to 17% by weight of water, which is dispersed evenly in the aqueous solution and used as a solvent for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for exterior finish of a build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 중에는 분산제 1 ~ 3 중량%와 겨울철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틸렌 글리콜 1 ~ 중량%를 더욱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queous solution may further comprise 1 to 3% by weight of a dispersant and 1 to 10%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to prevent freezing in winter.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 표면 또는 건축물의 외장 표면 위에 도포된 도료 성분이, 종래와 같이 도료 용액과 촉매 성분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고, 일액형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using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for building exterior fini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nt component applied on the concrete surface or the exterior surface of the building is not divided into the paint solution and the catalyst component as in the prior art, ,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easily by the opera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료성분을 용해시키고 있는 용제가 수용액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안전할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인 장점도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olvent dissolving the paint component uses water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s an aqueous solution, it is not only safe for workers but also has an advantage of being environmentally friend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료성분이 급격한 온도 차이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도 콘크리트 표면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벽면의 중성화 및 염화 현상 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cracks are not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even if the coating composition has a rapid temperature differenc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concrete wall from being neutralized and chlorinated.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에 일어나게 되는 유기물의 탄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수용성 도료로서는 예상하기 힘든 방염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arbonization phenomenon of the organic material that occurs at the time of fire occurrence,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flame-retarding effect that is unpredictable as the water-soluble paint can be achieved.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에 관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시험성적서의 사본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에 관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시험성적서의 사본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위해요소 검출여부에 관한 시험성적서의 사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불연성 시험을 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자료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의 사진촬영 결과물이고,
도 5b는 종래의 수성 도료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의 사진촬영 결과물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과 종래의 수성 도료조성물을 이용한 내수성 실험의 경과를 촬영한 사진자료들이다. FIGS. 1A and 1B are copies of the test report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 Living Environment Test on the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a copy of the test report of the Korea Chemical Fusion Test Institute concerning the water-bas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o 3C are copies of a test report on the detection of a risk factor by the Korea Chemical Fusion Test Institute,
Fig. 4 is a photographic image of the incombustibility t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hotograph of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photographic result of a conventional aqueous coating composition,
6A to 6C are photographs showing the progress of the water resistance tes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aqueous coating composi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조 프로세스와 더불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로서 제시된 구체적인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manufacturing proces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specific numerical values shown in the embodiments are only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and parts that can be easily created by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ar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은 이미 시공되어 있던 콘크리트 층의 중성화와 열화 현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for exterior finish of a building, which can prevent the neutralization and deterioration phenomenon of a concrete layer that has already been applied.
본 발명은 작업을 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도막을 형성하게 되는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0 ~ 35 중량% 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30 to 35% by weight of a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to form a coating film on the surface of a concrete to be worked.
상기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보수 작업을 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표면에 사용될 수성 도료조성물의 중요한 성분으로서, 도포된 이후 수용액 중의 수분이 증발되어짐으로서 얇은 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성분이 전체 수성 도료조성물의 30 중량% 이하로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내구성과 도막으로서의 부착성이 약하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고, 35 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온도 편차에 의한 팽창수축율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즉, 상기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성분과 그 저면에 존재하게 되는 콘크리트층의 팽창수축율이 서로 달라서 시간이 경과될수록 도료의 표면에 미세한 균열 현상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가능한 한 전체 중량에 대해 35 중량%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a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to be used for a concrete surface to be repaired, and the water in the aqueous solution is evaporated after being applied to form a thin film. When the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compon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ater-base coating composition, the durability and the adhesion of the coating film are poor so that it is not preferable.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35% by weight, And thus it is not preferable. That is, since the water shrinkage rate of the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component and the concrete layer present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fine cracking phenomenon tends to appear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as time elapses. .
상기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성분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에틸메타그릴레이트 모노머 50 ~ 100 중량부와 메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0 ~ 100 중량부와 스티렌 모노머 50 ~ 100 중량부와 물 100 ~ 200 중량부를 용기에 넣고, 다시 그곳에 통상적인 유화제로서 알킬설폰산염 0.5 ~ 1 중량부와 촉매로서 과황산암모늄 0.1 ~ 0.2 중량부를 투입하여 제조될 수 있다. Wherein the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component comprises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or ethyl methacrylate monomer,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methyl acrylate monomer or ethyl acrylate monomer or butyl acrylate monomer, and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styrene monomer And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water are put into a vessel and then 0.5 to 1 part by weight of alkyl sulfonate and 0.1 to 0.2 part by weight of ammonium persulfate as a catalyst are added thereto.
상기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제품들 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Since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can be carried out in a conventional mann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may be purchased from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본 발명은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도막의 균열을 방지하고, 내수성을 향상시키며, 바인더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라텍스 성분 10 ~ 18 중량% 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0 to 18% by weight of a latex component that prevents cracking of the coating film of the acrylate copolymer, improves water resistance, and simultaneously performs a function as a binder.
상기 라텍스 성분은 본 발명에 의한 수용성 도료조성물을 콘크리트 벽면에 도포하였을 경우,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성분이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서 얇은 피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콘크리트에 가해지는 외부의 힘에 의해, 또는 여름철과 겨울철의 기온차이에 의한 팽창수축에 의해 가늘게 형성되는 균열을 방지해주기 위하여 사용되어진다. 상기 라텍스 성분은 열대지방의 고무나무에서 채취되는 수액을 어느 정도로 함유하고 있느냐의 차이에 따라, 천연라텍스 또는 합성라텍스로 구분될 수 있지만, 상기 고무나무 수액에 의한 라텍스 성분이 전체의 80%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천연라텍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When the water-soluble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oncrete wall surface, the acrylate copolymer component forms a thin film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The latex component is form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crete, And to prevent cracks that are formed thinly due to expansion contraction due to difference in temperature of the winter season. The latex component may be classified into natural latex or synthetic latex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the liquid collected from the tropical rubber tree, but the latex component due to the rubber tree sap is more than 80%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the natural latex containing
상기 라텍스 성분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천연라텍스를 구입하여 사용하되, 전체 도료조성물에 대하여 10 중량% 이하로 사용할 경우, 바인더 내지 균열방지 재료로서의 기능이 약하고, 18 중량%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바인더 내지 균열방지 재료로서의 기능은 더욱 크게 발휘될 수 있지만, 화재 발생시 유기물질의 과다한 함유량으로 인하여 내화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When the latex component is used in an amount of not more than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ating composition, the latex component is weak in function as a binder or a crack preventing material. When the latex component is used in an amount of not less than 18% by weight, The function as a crack preventing material can be exerted even more, but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may weaken the fire resistance due to an excessive content of organic substances when a fire occurs.
본 발명은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도막의 색상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산화티탄 백색 안료 12 ~ 15 중량% 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2 to 15% by weight of a titanium dioxide white pigment which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the color of the coating film of the acrylate copolymer clearly.
상기 이산화티탄 백색 안료는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조성물을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콘크리트 표면의 어두운 색상을 감추어주고, 상기 수용성 도료조성물에 포함되어지는 안료의 색감을 매우 선명하게 뒷받침해주게 된다. 이산화티탄 분말은 기본적으로 백색을 띠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조성물에 어떠한 형태의 안료를 사용하더라도, 선명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When the water-solubl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concrete, the titanium dioxide white pigment hides the dark color of the concrete surface and very clearly supports the color of the pigment contained in the water-soluble paint composition. The titanium dioxide powder basically has a white color, so that a clear color can be realized even if any type of pigment is used in the water-soluble pai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이산화티탄 백색 안료는 이산화티탄(TiO2)의 고유한 성질에 의하여 콘크리트 내부와 콘크리트의 표면 및 그 주변의 냄새를 제거하여 주게 된다. 상기 이산화티탄(TiO2)은 광 활성화작용으로 수산화이온과 수산화라디칼을 생성하게 되고, 이들 수산화이온과 수산화라디칼은 오존이나 염소 보다 더욱 큰 산화력과 반응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어서, 그 주변에 존재하는 각종 유기물을 쉽게 분해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주변의 나쁜 냄새를 제거해주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포름알데하이드 성분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해주는데 효과가 크다. In addition, the titanium dioxide white pigment removes the inside of the concrete and the smell of the surface of the concrete and the surrounding due to the inherent properties of titanium dioxide (TiO 2 ). The titanium dioxide (TiO 2 ) generates hydroxide ions and hydroxyl radicals by photoactivating action. These hydroxide ions and hydroxyl radicals have oxidizing power and reactivity higher than those of ozone and chlorine, so that various organic substances So that the bad smell of the surroundings can be removed. It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remov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formaldehyde, which cause sick house syndrome.
상기 이산화티탄 백색 안료를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2 중량 % 이하로 포함할 경우, 안료의 선명성 및 광촉매 효과가 미약한 반면에, 15 중량% 이상 포함하고 있을 경우, 안료의 선명성 및 광촉매 효과는 강하지만, 오히려 과도한 광촉매 효과는 역으로 도막의 분해 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When the titanium dioxide white pigm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2%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the sharpness and the photocatalytic effect of the pigment are insufficient, while when the content is 15% by weight or more, the sharpness and photocatalytic effect of the pigment are strong, On the contrary, the excessive photocatalytic effect is undesirable because it may cause decomposition of the coating film.
본 발명은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도막의 강도를 보강해주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존재하는 철물의 방청을 도모하게 되는 석회석 23 ~ 27 중량% 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23 to 27% by weight of limestone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coating film of the acrylate copolymer and anticorrosive of the iron material present in the concrete structure.
상기 석회석은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이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어서 강도가 약하고, 특히 여름철과 같이 고온의 온도조건하에서는 도막의 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석회석은 이러한 유기물에 의한 도막의 강도를 온도 변화 유무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e limestone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organic material, so that its strength is weak and the strength of the coating film is remarkably lowered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high temperature as in summer. The limestone makes it possible to keep the strength of the coating film by the organic matter constant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change.
또한, 상기 석회석은,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이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어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쉽게 타버리게 되는 단점이 있는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여 유기물질의 발화성을 방지하고, 도료조성물의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진다. In addition, the limeston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organic materials and is easily burned when a fire occurs. In order to overcome such a disadvantag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ignition of organic materials, It is used to give nonflammability.
상기 석회석이 도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23 중량 % 이하일 경우, 도막 강도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반면에, 27 중량 % 이상일 경우에는 도막의 강도는 높아지지만,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성분에 비해 과도한 함유량으로 인하여 크랙 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When the amount of the limestone is not more than 2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oating film strength is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27% by weight, the strength of the coating film is increased. There is a risk of cracking due to an excessive content, which is not preferable.
본 발명은 상기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상기 라텍스 성분과 상기 이산화티탄 백색 안료와 상기 석회석을 수용액 중에서 고르게 분산시키고 상호간의 결합을 방지하도록 해주는 콜로이달 실리카 성분 3 ~ 5 중량% 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and 3 to 5% by weight of the colloidal silica component which uniformly disperses the latex component, the titanium dioxide white pigment and the limestone in an aqueous solution to prevent mutual bonding.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 성분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러 성분들이 수용액 중에서 고르게 분산되어 존재하고, 상호간에 미리 반응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해준다. 특히, 염기성 콜로이달 실리카 성분은 pH 8 ~ 10에서 음이온적으로 안정화되어 있고, 마이셀 콜로이달(Micelle Colloidal) 상태로 존재하게 됨으로써, 다른 성분과의 반응을 하지 않게 되고, 수용액 중에서 양호한 분산효과를 거둘수 있도록 해준다.
The colloidal silica component allows various component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ispersed evenly in an aqueous solution and prevent the phenomenon of mutual reaction in advance, thereby maintaining stability. Particularly, the basic colloidal silica component is anionically stabilized at a pH of 8 to 10, and is present in a Micelle colloidal state, so that it does not react with other components, and a good dispersion effect is obtained in an aqueous solution It will help.
본 발명은 상기 각 성분들을 수용액 중에 고르게 분산시키고 상기 각 성분들의 용제로서 활용되는 물 5 ~ 17 중량%; 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물은 본 발명의 여러가지 성분들이 용해되어 녹아 있도록 해주고,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서 친환경적인 도료성분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components are uniformly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nd 5 to 17% by weight of water is used as a solvent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 The water makes it possible to dissolve and dissolve various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ssential element for constitut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aint component as a harmless component to the human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은 각 성분들이 용해되어 있는 상태에서 적절한 분산성과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고, 콘크리트 표면에 상기 수성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였을 경우, 그 표면에서 증발하여 공기 중으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상기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비롯한 성분들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얇은 피막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makes it possible to have appropriate dispersibility and fluidity in a state in which the respective components are dissolved, and when the aqueous coating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ncrete, it evaporates on the surface thereof and escapes into the air, The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and other ingredients can be mixed to form a thin film.
상기 물이 5 중량% 이하일 경우, 수성 도료조성물의 유동성이 나쁘고, 17 중량 % 이상일 경우, 수성 도료조성물의 유동성은 양호하지만 건조 효율이 낮고 콘크리트 부착력이 약화되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When the amount of the water is 5 wt% or less, the fluidity of the water-base coating composition is poor, and when it is 17 wt% or more, the fluidity of the water-base coating composition is good, but the drying efficiency is low and the adhesion of concrete tends to be weaken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 중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산제 1 ~ 3 중량% 와 겨울철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틸렌 글리콜 1 ~ 3 중량% 를 더욱 추가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로서는 표면활성 고분자 수용액인 TEGO Dipers 760W 가 바람직하고, 기포방지의 기능을 겸한 비이온계면활성제 SN Defoamer-399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queous solution is further comprised of 1 to 3% by weight of a dispersant commonly used and 1 to 3%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to prevent freezing in winter. As the dispersant, TEGO Dipers 760W, which is an aqueous solution of a surface active polymer, is preferable, and it is better to use a nonionic surfactant SN Defoamer-399 also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air bubbles.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조성물은 아래의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다음, 붓이나 로울러 또는 브러쉬 등에 의해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되어 사용되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콘크리트 표면이라 함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콘크리트 표면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건축물의 외장 표면을 포함한 것이다. 도포된 수용성 도료조성물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그 내부에서 수분(물)이 공기중으로 증발하게 되고, 점차적으로 수용성 도료조성물의 물질들이 콘크리트 표면에서 도막을 형성하게 된다.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for building exterior fini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n applied to the concrete surface by using a brush, a roller, a brush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surface is not limited to the concrete surface but includes the exterior surface of the building, unless otherwise specified. Over time, the applied water-soluble coating composition evaporates water (water) into the air inside it, and gradually the materials of the water-soluble paint composition form a film on the concrete surfac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각종 시험 결과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nd various test results.
<< 실시예 1 >>≪ Example 1 >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제품명: DC-7541) 320 g, 천연라텍스 130 g, 이산화티탄 백색안료 120 g, 그리고 석회석 250g 을 물 50g 에 혼합하고, 이것을 샌드밀에 의해 2시간 동안 분쇄하고 혼련한 다음, 다시 물 50 g을 추가하고, 콜로이달 실리카 25g 과 분산제 (TEGO Dipers 760W)을 더욱 투입하고 1시간 동안 혼련을 계속하였다. 320 g of acrylate copolymer (product name: DC-7541), 130 g of natural latex, 120 g of white titanium dioxide pigment and 250 g of limestone were mixed with 50 g of water, and this was pulverized by a sand mill for 2 hours and kneaded, 50 g of water was further added, and 25 g of colloidal silica and a dispersant (TEGO Dipers 760 W) were further added thereto and the kneading was continued for 1 hour.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얻어진 수용액을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조성물로 사용하였다.
The aqueous solution thus obtained was used as a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for building exterior finishing.
<< 내수성 시험 >> << Water resistance test >>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수성 도료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도포하였을 경우, 내수성(발수성)을 판단하기 위해 KS M ISO 2812-1:2012 시험방식에 의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KS M ISO 2812-1: 2012 test method in order to determine water resistance (water repellency) when applied to the surface of buildings using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above.
시험의 조건은 KS M ISO 2812-1:2012에 명시된 바와 같으며, 23±2℃에서 증류수로 48H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이상없음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축물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을 경우 내수성을 가지고 있어 건축물 표면에 이상이 없음을 나타낸다.The test conditions were as specified in ISO 2812-1: 2012 and tested at 48 ± 2 ° C with distilled water at 23 ± 2 ° C.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on the surface of the building because it has water resistance when i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에 관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시험성적서의 사본으로서, 그 시험방법과 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 1 is a copy of the test report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 Living Environment Test on the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its test method and test results.
<< 부착강도 시험 >> << Bond strength test >>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수성 도료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도포하였을 경우, 건축물과의 부착강도를 판단하기 위해 KS F 4715:2007 중 6.7 부착강도 시험방식에 의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6.7 Bond strength test method of KS F 4715: 2007 in order to determine the adhesion strength to a building when applied to the surface of a building using the water paint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above.
시험 조건 및 진행은 조제한 시료를 2mm두께로 평탄히 마무리 하고 14일간 양생한 이후, 그 상태를 측정한 것으로서, 시험 결과 부착강도는 1.2N/㎟으로 나타났다. 이는 페인트로서 우수한 부착강도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었다.The test conditions and progress were obtained by measuring the state of the prepared sample after curing for 14 days in a flat state of 2 mm in thickness. As a result, the adhesion strength was 1.2 N /
도 1은 역시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에 관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시험성적서의 사본으로서, 그 시험방법과 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 1 is a copy of the test report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 Living Environment Test on the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its test method and test results.
<< 내세척성 시험 >> << Washing resistance test >>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수성 도료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도포하였을 경우, 건축물 외부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함 세척 용이도를 파악하기 위해 KS M 6010:2009 시험방식에 의거하여 KS M 5000 실험을 진행하였다. The KS M 5000 test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test method of KS M 6010: 2009 in order to determine the easiness of the washing to remove the contamination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when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uilding. .
시험의 조건은 시료에 대해 1/3의 물을 가해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2개의 시료판을 만들어 23±2℃, 상대습도 50±4%에서 6일 동안 건조시키고, 다시 건조기의 내부에서 60±2℃에서 24시간 가열 건조시킨 다음,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시험판을 제조하여 사용한다. 이때 솔은 약 1.9㎝로 끝에 연마지 또는 뜨거운 철판 위에서 그을려서 평활하게 다듬은 것을 사용하여 26~30℃ 물에 약 1.2㎝ 정도 30분 담근 후 꺼내어 증류수 0.5% 중성비누용액에 5분간 담근후 사용한다. 이를 진동기를 사용하여 시험판 중앙에서 왕복 운동을 하도록 하되 1왕복을 1주기로 1분당 45±5주기로 움직이게 한다. 이를 150주기가 되었을 때 꺼내어 중심부 약 15㎝ 범위의 도막이 균열 마모 또는 탈락되었는지 검사한다. The conditions of the test were as follows: 1/3 of water was added to the sample, and the sample was allowed to stand for 1 hour. Two sample plates were prepared and dried for 6 days at 23 ± 2 ° C and 50 ± 4% relative humidity. After drying by heating at 60 ± 2 ℃ for 24 hours, after cooling at room temperature, a test plate is prepared and used. At this time, use a brush made of abrasive paper or smoothened smoothly on a hot plate at about 1.9 cm, immerse it in water at 26 to 30 ° C for about 30 minutes, dip it in distilled water, 0.5% neutral soap solution for 5 minutes . Use a vibrator to make a reciprocating motion at the center of the test plate, with one reciprocating movement at 45 ± 5 cycles per minute. When it reaches 150 cycles, it is removed and the coating in the range of about 15 cm in the center is checked for crack wear or dropout.
시험 결과, 1000회 이상으로 본 발명은 수용성 1종 1/2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of the test, more than 1,000 times,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be equivalent to water-soluble one kind and one-half.
도 1은 역시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에 관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시험성적서의 사본으로서, 그 시험방법과 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고, FIG. 1 is a copy of a test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 Living Environment Test on the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its test method and test result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에 관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시험성적서의 사본으로서, 그 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S. 2A and 2B are a copy of the test report of the Korean Chemical Fusion Test Institute concerning the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the test results.
<< 내알칼리성 시험 >> << Alkali resistance test >>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수성 도료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표면에 도포하였을 경우, 바닷물 등의 염해에 대한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KS M 6010:2009 시험방식에 의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Experimen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KS M 6010: 2009 test method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gainst seawater corrosion when a building was applied to the surface using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above.
시험은 KS L 5114 규정의 평형 슬레이트를 활용하여 한쪽면에 젖은 도막 두께 0.1±0.01mm가 되게 도장하고 6시간 양생 후 같은 두께로 도포한 후 120시간 건조시킨 뒤 뒷면과 주위를 파라핀 왁스로 도포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시험판을 수산화칼슘 포화용액에 48시간 침지시킨 후,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 실내에서 2시간 방치한 다음, 그 도막을 조사한다. The test was carried out using an equilibrium slate of KS L 5114 and coated on one side to have a wet film thickness of 0.1 ± 0.01 mm, followed by curing for 6 hours, followed by coating with the same thickness, followed by drying for 120 hours and then coating with a paraffin wax . At this time, the test plate is immersed in a saturated calcium hydroxide solution for 48 hours, washed with flowing water, left in the room for 2 hours, and then the coating film is irradiated.
그 결과 도막의 표면에서 녹아 나옴, 부풂, 갈라짐 및 벗겨짐이 인지되지 않았으며, 이상없음으로 측정되었고, 따라서 알카리에도 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s a result, it was not recognized that the surface of the coating was melted, cracked, cracked and peeled off.
도 1은 역시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에 관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시험성적서의 사본으로서, 그 시험방법과 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고, FIG. 1 is a copy of a test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 Living Environment Test on the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its test method and test result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에 관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시험성적서의 사본으로서, 그 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S. 2A and 2B are a copy of the test report of the Korean Chemical Fusion Test Institute concerning the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the test results.
<< 친환경성 시험 >> << Environmental Test >>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수성 도료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도포하였을 경우,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여부에 대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표지인증 시험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When the aqueous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building, the environmental labeling certification test of the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was conducted as follow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discharge harmful substances.
본 조성물과 같은 외부용 수용성 페인트의 경우 VOCs 함량(g/L)의 경우 180 이하여야 하며, VACs의 경우 1 무게% 이하(aromatics free)인 용제를 사용하거나, 제품에 함유된 VACs가 다음의 표 1에 의한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For water-soluble paints for external use such as the present composition, the VOCs content (g / L) should be 180 or less. For VACs, 1 wt% or less (aromatics free) 1 of the standard.
또한, 납, 카드뮴, 수은, 비소, 안티모니 및 이들의 화합물과 6가크로뮴 화합물을 제품에 사용하지 않거나, 이들의 합이 0.1 중량% 이하이어야 한다. 그 이외에 유기 주석화합물(TBT, TPT), 할로겐화탄화수소, 폼알데하이드, 살충제로 분류되는 농약성분, 암모니아 3 중량% 이상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In addition, lead, cadmium, mercury, arsenic, antimony and their compounds and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shall not be used in the product, or their sum should not be more than 0.1% by weight. In addition, it should not contain more than 3% by weight of organic compounds, such as organic tin compounds (TBT, TPT), halogenated hydrocarbons, formaldehyde, pesticides classified as pesticides, ammonia.
측정한 결과, 상기 항목들이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은 친환경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특히, 도 3d 참조).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eco-friendly since the above items were not detected (particularly, see Fig. 3d).
도 3a 내지 도 3d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위해요소 검출여부에 관한 시험방법과 시험결과 등을 보여주는 시험성적서의 사본이다.
FIGS. 3A to 3D are copies of a test report showing test methods and test results on whether or not a hazardous element is detected by the Korean Chemical Fusion Test Institute.
<< 불연성 시험 >> << Flammability Test >>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수성 도료조성물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도포하였을 경우, 그 건축물에 대한 불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When the composition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building using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ncombustibility of the building.
시험방법은 시멘트 블록을 대상으로 하고, 그 표면 위에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수용성 도료조성물을 2회에 걸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 다음, 12시간 동안 방치하여 양생하였다. 그 후, 휴대용 토치를 이용하여 상기 시멘트 블록의 표면에 형성된 도막 위에 약 5분간 직접 고온의 불꽃을 접촉시켰다. In the test method, a water-soluble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ement block twice to form a coating film, and then allowed to stand for 12 hours to cure it. Thereafter, a high-temperature flame was direc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ating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ment block for about 5 minutes using a portable torch.
시험 결과, 상기 휴대용 토치의 화원(불꽃)을 상기 시멘트 블록의 표면에 접촉시킬 경우, 가스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았으며, 토치를 제거하였을 때 계속 타지 않고 소멸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KS M 5000:2009에 따라 인화점 시험을 진행하였지만, 그 결과 착화안됨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fire source (flame) of the portable torch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ement block, almost no gas was generated, and when the torch was removed, it was annihilated without burning. In addition, the flash point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KS M 5000: 2009, but as a result, it was found not to be ignorant.
이러한 시험의 결과를 근거로 할 때,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을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로 사용하였을 경우 불연성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수용성 페인트에 대한 난연기준이 없어서, 공공기관에 의한 시험성적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공공기관에 의한 시험성적서는 첨부하지 않았다.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tests, it is expected that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exhibit flame retardant performance when used as an exterior finish of a building. However, since there is no flame retarding standard for water-based paints, I found out that I can not confirm it objectively. Therefore, the test report by the public agency as mentioned above is not attached.
도 4은 상기 불연성 시험을 하는 모습을 촬영한 것으로서, 시멘트 블록의 표면에 상기 수성 도료조성물이 도포되어 도막을 형성하고 있고, 그 위에 휴대용 토치로 불꽃(화원)을 접촉시키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Fig. 4 is a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incombustibility test is performed.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ter-based paint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ement block to form a coated film, and a portable torch flame (flowerpot) is brought into contact therewith.
<< 도막의 균열 시험 >> << Crack test of coating film >>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수성 도료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도포하였을 경우, 그 건축물의 표면에서 미세한 균열이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whether fine cracks wer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building by applying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on the surface of the building,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시험방법은 실내의 콘크리트 기둥 모서리 부분에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을 도포한 다음,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 그 표면의 균열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실내의 콘크리트 표면 및 모서리 부분의 도료가 모여서 두껍게 형성되는 부분에 붓을 이용하여 1회 도장한 다음, 12시간 동안 양생하였고, 다시 그 위에 추가로 동일한 분량으로 1회 도장하였으며, 12시간 동안 양생을 과정을 진행하고, 72시간이 경과된 후 촬영하였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프라이머 등의 접착 보조재료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모서리 부분에는 도막이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였다.In the test method, the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concrete column in the room, and after a certain time, the surface was checked for cracks. More 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ncrete and the corner portion of the room were gathered and thickly formed, and then painted once with a brush, cured for 12 hours, and once again coated with the same amount, Curing was carried out for 12 hours and photographed after 72 hours. At this time, an adhesive auxiliary material such as a primer was not used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and a thick coat was formed at the corner portion.
한편,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수성 도료(제품명: 금*페인트 수성도료 외부용)를 구입하였고, 상기 수성도료 외부용 제품을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내 콘크리트 표면에 2회 도장하였고, 위와 동일한 조건으로 균열 여부를 살펴보았다. On the other hand, a commercially available water-based paint (product name: gold-paint water-based paint external use) was purchased, and the external water-based paint product was coated twice on the surface of the interior concrete in the same manner as above. .
시험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수성 도료조성물을 사용하여 도막을 형성한 경우 거의 균열현상을 발견할 수 없었던 것에 반하여, 시중에서 구입하여 도막을 형성한 경우에는 건축물의 모서리를 따라서 위에서 아래쪽으로 길게 형성된 균열선을 발견하게 되었다. As a result of the test, almost no cracking phenomenon could be found when a coating film was formed by using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when a coating film was purchased from the market, cracks formed long from top to bottom along the edge of the building I found a line.
도 5a 는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의 사진촬영 결과물이고, 도 5b는 시중에서 구입한 상기 수성도료 외부용 제품을 사용한 경우의 사진촬영 결과물이다.
FIG. 5A is a photograph of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photograph of a product obtained by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water-based external coating product.
<< 내수성 실험 >> << Water resistance experiment >>
본 발명에 의한 수성 도료조성물의 내수성을 알아 보고, 그와 동시에 다른 제품과 비교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전혀 수성 도료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다른 수성 도료제품(제품명: 금*페인트 수성도료 외부용)을 사용한 경우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In order to examine the water resistance of the water-base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the same time to compare it with other products, the case where no water-base coating is used and the case where the other water- Was used as the target,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실험대상은 흡수율이 큰 휴지를 이용하였고, 휴지를 길게 잘라 몇 겹으로 겹친 다음, 그 앞뒷면에 도막을 처리하는 부위로 하였다. 이때, 실험대상 A는 휴지의 겹쳐진 앞뒷면에 아무런 도막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이고, 실험대상 B는 다른 수성도료 제품(제품명: 금*페인트 수성도료 외부용)을 이용하여 도막 처리를 행한 경우이며, 실험대상 C는 본 발명의 수성 도료조성물을 이용하여 도막 처리를 행한 경우이다.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a tissue paper with a high water absorption rate. The tissues were cut long and cut into several layers. At this time, Experiment A was a case where no coat film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overlapping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tissue paper, and Experiment B was a case where coating treatment was performed by using another aqueous paint product (product name: gold-paint aqueous paint) Experimental object C is a case where the coating film treatment is carried out using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험대상의 제작 방법은 동일한 두께와 길이로 자른 화장지를 사용하였으며, 실험대상 B와 실험대상 C의 경우 동일한 조건의 붓을 이용하여 물에 닿는 부분을 2회 도장하였다. 도장을 행한 후 24시간을 경과시켜 양생하였고, 그 이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To prepare the test specimens, toilet paper cut to the same thickness and length was used. In the case of Experiment B and Experiment C, the portion touching the water was applied twice using a brush of the same condition. The coating was cured after 24 hours, and then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상기 실험대상 A, 실험대상 B, 그리고 실험대상 C의 한쪽 편에 각각 "A", "B", "C" 를 표시하고, 그 반대편에 아래쪽으로 향하는 화살표를 각각 잉크로 그려 넣었다. 상기 실험대상 A, 실험대상 B, 그리고 실험대상 C의 중앙을 2개의 집게로 잡고, 상기 집게의 양쪽을 고정하여 상기 집게의 중앙에 상기 실험대상 A,B,C 가 모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게 준비하였다. "A", "B", and "C" ar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experimental subjects A, B, and C, respectively, and arrows directed downward on the opposite side are drawn with ink. The test subjects A, B, and C were gripped with two grippers at the center of the test subjects A, B, and C, and both of the grippers were fixed. Respectively.
실험을 행하고자 하는 그릇에 물을 붓고, 상기 집게를 그릇의 양 편에 얹어놓고, 상기 실험대상 A, 실험대상 B, 그리고 실험대상 C의 아래쪽이 물에 약간 잠기도록 하였다. Water was poured into the bowl to be tested and the pincers were placed on both sides of the bowl so that the lower portions of Experiment A, Experiment B and Experiment C were slightly immersed in water.
이때, 상기 물에 잠기도록 한 후, 약 1초만에 실험대상 A는 물을 흡수하기 시작하여 그 형태가 변형되기 시작하였지만, 실험대상 B 및 실험대상 C는 바로 수분을 흡수하지 않아 형태의 변형이 없었다(도 6a 참조). At this time, after immersing in the water, the subject A began to absorb water in about one second, and the shape of the subject began to be deformed. However, the subjects B and C did not absorb moisture immediately, (See Fig. 6A).
한편, 상기 물에 잠기도록 하여 약 1시간이 지나게 되자, 실험대상 B의 경우에도 수분을 흡수하여 그 형태가 서서히 변형되기 시작하였다(도 6b 참조). On the other hand, about 1 hour after immersing in the water, even in the case of Experiment B, moisture was absorbed and the form gradually began to be deformed (see FIG. 6B).
그러나, 실험대상 C의 경우에는 약 3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거의 형태의 변형이 없었다(도 6c 참조). However, in the case of Experiment C, there was almost no deformation until about 3 hours elapsed (see FIG. 6C).
이와 같은 실험 결과에 의할 때, 본 발명에 의한 수용성 도료조성물은 수분에 대한 내수성이 일반 수용성페인트보다 훨씬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도막이 형성된 곳은 콘크리트 구조체에 수분의 영향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water-solubl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have better water resistance than water-soluble paint, and it was found that the place where the coating was formed could reduce the influence of water on the concrete structure.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장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scope of which is to be determined and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b).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도막의 균열을 방지하고 내수성을 향상시키며 바인더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라텍스 성분 10 ~ 18 중량%와;
c).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도막의 색상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고 콘크리트 표면의 어두운 색상을 감추어주며 콘크리트 내부와 표면 및 주변의 냄새를 제거하여주는 이산화티탄 백색 안료 12 ~ 15 중량%와;
d).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도막의 강도를 보강해주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존재하는 철물의 방청을 도모하며, 화재 발생시 유기물질의 탄화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불연성을 제공하는 석회석 23 ~ 27 중량%와;
e). 상기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상기 라텍스 성분과 상기 이산화티탄 백색 안료와 상기 석회석을 수용액 중에서 고르게 분산시키고 상호간의 결합을 방지하도록 해주는 콜로이달 실리카 성분 3 ~ 5 중량%와;
f). 상기 각 성분들을 수용액 중에 고르게 분산시키고 상기 각 성분들의 용제로서 활용되는 물 5 ~ 17 중량%;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조성물.
a). Wherein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monomer or ethyl methacrylate monomer and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methyl acrylate monomer or ethyl acrylate monomer or butyl acrylate monomer,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monomer,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30 to 35% by weight of a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 emulsifier and a catalyst;
b). 10 to 18% by weight of a latex component which prevents cracking of the coating film of the acrylate copolymer, improves water resistance, and simultaneously performs a function as a binder;
c). 12 to 15% by weight of a titanium dioxide white pigment which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the color of the coating film of the acrylate copolymer and to hide the dark color of the concrete surface and to remove the smell of the inside and the surface of the concrete;
d). 23 to 27% by weight of limeston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ating film of the acrylate copolymer, to prevent corrosion of the iron material existing in the concrete structure, and to prevent the carbonization of the organic material at the time of fire, thereby providing incombustibility;
e). 3 to 5% by weight of a colloidal silica component which evenly disperses the water-soluble acrylate copolymer, the latex component, the titanium dioxide white pigment and the limestone in an aqueous solution and prevents bonding therebetween;
f). 5 to 17% by weight of water, which is dispersed evenly in the aqueous solution and used as a solvent for the respective components; Wherein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상기 수용액 중에는 분산제 1 ~ 3 중량%와 겨울철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틸렌 글리콜 1 ~ 중량%를 더욱 추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외장 마감용 수성 도료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queous solution is further comprised of 1 to 3% by weight of a dispersant and 1 to 10%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to prevent freezing in winter.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exterior surface of a building by applying the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 for exterior finish of a building according to claim 1 or 2 to the exterior surface of the building.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87736A KR101559373B1 (en) | 2014-12-24 | 2014-12-24 | A Paint Composite for Treating Surface of Concret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87736A KR101559373B1 (en) | 2014-12-24 | 2014-12-24 | A Paint Composite for Treating Surface of Concret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59373B1 true KR101559373B1 (en) | 2015-10-12 |
Family
ID=5434729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87736A Active KR101559373B1 (en) | 2014-12-24 | 2014-12-24 | A Paint Composite for Treating Surface of Concret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59373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56371B1 (en) * | 2020-03-06 | 2021-05-25 | 이철욱 | Method For Repairing Cracks In Exterior Concrete Walls |
-
2014
- 2014-12-24 KR KR1020140187736A patent/KR101559373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56371B1 (en) * | 2020-03-06 | 2021-05-25 | 이철욱 | Method For Repairing Cracks In Exterior Concrete Wall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66514B1 (en) | No-primer type paint composition for water-proof, erosion-proof, preventiing and floor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
| KR102525769B1 (en) | Coating method for prevention of neutralization and microcrack in a concrete outer wall | |
| KR101711910B1 (en) | Painting Method for Waterproof, Antifouling and Color Using Eco-Friendly Waterproof Material | |
| KR102678419B1 (en) | Water-SOLUBLE SILICONE PAINT, COATING METHOD FOR POLLUTION PREVENTION AND MAINTENANCE COST-SAVING OF A CONCRETE OUTER WALL USING THE SAME | |
| KR101722299B1 (en) | Method of producing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based paint elastic waterproof coating composition | |
| KR102056127B1 (en) | Eco-friendly functional surface protec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tecting surface of concrete or metal structure therewith | |
| KR102439033B1 (en) | Concrete neutralization prevention waterproof paint and painting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1557134B1 (en) | Penetraton amd protection coat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KR101798953B1 (en) | Mortar composition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with superior property of waterproof and rust prevention, and method of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 |
| KR101049032B1 (en) | Concrete structure surface protection and life extension method using composite coating structure | |
| CN103030425B (en) | Interface waterproofing agent | |
| KR100394466B1 (en) | Waterproofing Composition Having Permeation Mechanis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Hybrid Waterproof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JP2017210815A (en) |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maintenance method and coating material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
| KR102402144B1 (en) | Coating method for neutralization prevention and energy saving of a concrete structure | |
| KR101559373B1 (en) | A Paint Composite for Treating Surface of Concret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 KR102241950B1 (en) | Water-proof and anti-corrosive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by using the same | |
| KR101039833B1 (en) | Coating material for protecting concrete surface using hybrid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KR101197732B1 (en) | Heat insulating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rooftop | |
| JP2004091728A (en) | Asphalt waterproofing composition and asphalt waterproofing method | |
| KR100961004B1 (en) | Polymer-modified mortar composition and waterproof coating method using the same | |
| Bader et al. | Effect of substrate moisture on the weatherability of surface treatment for High-Performance Concrete (HPC) | |
| KR20160100117A (en) | A method for constructing eco-friendly concrete surface's reinforcements | |
| KR101876885B1 (en) | Tile adhesive and grout composition with improved strength and durability and tile construct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therewith | |
| KR101599794B1 (en) | Eco-friendly Inorganic Penetrative waterproof agent | |
| KR20230115106A (en) |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eco-friendly inorganic high-elasticity waterproofing ag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S17-X000 | Non-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7-lic-X000 |
|
| S17-X000 | Non-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7-lic-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