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629B1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4629B1 KR101564629B1 KR1020090075931A KR20090075931A KR101564629B1 KR 101564629 B1 KR101564629 B1 KR 101564629B1 KR 1020090075931 A KR1020090075931 A KR 1020090075931A KR 20090075931 A KR20090075931 A KR 20090075931A KR 101564629 B1 KR101564629 B1 KR 1015646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protective layer
- heat
- oled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방열하기 위한 방열부재가 구비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a heat dissipating member for radiating heat from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본 발명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착성을 갖는 보호층을 통해 인캡슐레이션하고, 이의 보호층 내부에 방열필름을 구비하거나, 보호층 자체가 열전도성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which comprises encapsulat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on which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re formed, through a protective layer having adhesion, And is configured to have a conductivity.
이를 통해, OLED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는 동시에 경량 및 박형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sipate the heat of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from the OLED, while maintaining a lightweight and thin appearance.
유기전계발광소자, 방열, 인캡슐레이션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eat dissipation, encapsul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방열하기 위한 방열부재가 구비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a heat dissipating member for radiating heat from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최근까지, CRT(cathode ray tube)가 표시장치로서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CRT를 대신할 수 있는,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 PDP),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OLE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가 널리 연구되며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Until recently, CRT (cathode ray tube) was mainly used as a display device. However, in recent years, flat panel displays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OLED) Display devices have been widely studied and used.
위와 같은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전계발광소자(이하, OLED라 함)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Of the above flat panel display devic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OLED) is a self-luminous element and can be lightweight and thin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backlight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is a non-light emitting element.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 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it has a better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tha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can be driven by DC low voltage, has a fast response speed, is resistant to external impacts due to its solid internal components, It has wide advantages.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oduction cost can be saved more than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러한 특성을 갖는 OLED는 크게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passive matrix type)과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active matrix type)으로 나뉘어 지는데,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은 신호선을 교차하면서 매트릭스 형태로 소자를 구성하는 반면,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은 화소를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와 전류를 흘려보내주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에 한 프레임 동안 전압을 유지해 주는 캐패시터가 화소 별로 위치하도록 한다. OLEDs having such characteristics are largely divided into a passive matrix type and an active matrix type. In a passive matrix type, a device is formed in a matrix form while crossing signal lines, whereas an active matrix type is a pixel A thin film transistor which is a switching element for on / off switching,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for flowing a current, and a capacitor for holding a voltage for one frame in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re provided for each pixel.
최근에는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은 해상도나 소비전력, 수명 등에 많은 제한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어, 고해상도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 OLED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passive matrix type has many limitations such as resolution, power consumption and lifetime, and active matrix type OLED capable of realizing high resolution and large screen is actively studied.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 OLED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OLED는 하부 발광방식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 cross section of a general active matrix type OLED, wherein the OLED is a bottom emission type.
도시한 바와 같이, OLED(10)는 제 1 기판(1)과, 제 1 기판(1)과 마주하는 제 2 기판(2)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기판(1, 2)은 서로 이격되며, 이의 가장자리부는 실패턴(seal pattern : 20)을 통해 봉지되어 합착된다. As shown, the OLED 10 comprises a first substrate 1 and a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기판(1)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P)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어 있고,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를 구성하는 제 1 전극(11)과, 유기발광층(13)과, 제 2 전극(1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11)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 driving TFT DTr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 for each pixel region P and a
이와 같은 경우에, 제 1 전극(11)은 투명한 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지며, 제 2 전극(15)은 불투명한 도전성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13)에서 발광된 빛은 제 1 전극(11) 방향으로 방출되게 된다.In such a case, the
그리고, 제 2 기판(2)의 내부면에는 외부로부터 침투된 수분을 제거하는 흡습제(17)가 형성된다. On the inner surface of the
한편, 이러한 OLED(10)는 구동시 발생하는 열과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열화에 의해 수명이 급격히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LED 10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ifetime of the OLED 10 is drastically reduced due to heat generated during driving and deterioration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이에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OLED(10)를 모듈화화는 기구물에 팬(fan)이나 히트파이프(heat pipe)와 같은 방열판(30)을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방열판(30)은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으나 가격대비 효과가 미미하며, 설치과정 중 OLED(10)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Recently, it has been proposed to form a
즉, 방열판(30)은 라미네이션(lamination)공정을 통해 OLED(10)의 제 2 기판(2)의 외면에 부착되는데, 여기서, 라미네이이션 공정은 제 2 기판(2) 상에 방열판(30)을 라미네이터로 가압하면서 방열판(30)과 제 2 기판(2)을 부착하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때, 라미네이터로 방열판(3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제 2 기판(2)의 휨(bending)을 유발하게 되고, 이를 통해 제 2 기판(2)의 내부면에 형성된 흡습제(17)가 제 1 기판(1) 상에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와 접촉함으로써, 첨부한 도 2의 사진과 같이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의 손상(C, D)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bending of the
또한, 이와 같은 방열구조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경량 및 박형화 추세를 거스르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In addition, such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causes a problem that is contrary to the trend of lightness and thinness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OLED를 효과적으로 방열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ffectively dissipate an OLED.
또한, 경량 및 박형의 OLED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weight and thin OLED.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보호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합착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a first substrate on which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re formed; And a second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bstrate with a protect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rotective layer including a heat dissipating member.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제 2 기판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방열필름이며, 상기 방열필름은 기재필름 상에 흑연 또는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은(Ag) 등의 금속입자가 코팅된다. Wherein the heat dissipation member is a heat dissipation film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heat dissipation film is formed of a metal such as graphite or aluminum (Al), copper (Cu), nickel (Ni) The particles are coated.
여기서, 상기 방열필름의 두께는 상기 보호층 두께의 50% 이상이다. Here, the thickness of the heat radiation film is 50% or more of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또한, 상기 방열필름의 사이즈는 평면적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액티브영역에 비해 크며, 상기 보호층의 사이즈에 비해 작으며, 상기 방열부재는 흑연입자, 실리콘옥사이드(SiO2), 알루미늄옥사이드(Al2O3), 티타늄옥사이드(TiO2), 징크옥사이드(ZnO)등의 비금속입자 또는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은(Ag) 등의 금속입자 중 선택된 하나로, 상기 보호층은 상기 방열부재를 통해 열전도성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size of the heat dissipation film is larger than the active area which is flat in an image is implemented,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rotection layer, the radiation member is graphite particles, silicon oxide (SiO 2), aluminum oxide (Al 2 O 3), one of titanium oxide (TiO 2), zinc oxide (ZnO), etc. of the non-metallic particles, or aluminum (Al), copper (selected one of metal particles such as Cu), nickel (Ni), silver (Ag), the protective layer Is thermally conductive through the heat radiation member.
이때, 상기 보호층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를 덮으며, 상기 보호층은 소수성을 갖거나, 또는 흡습물질인 바륨 옥사이드(BaO) 또는 칼슘 옥사이드(CaO)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protective layer cover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protective layer includes barium oxide (BaO) or calcium oxide (CaO) which is hydrophobic or absorbs moisture.
또한, 상기 제 2 기판은 금속호일(metal foil)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substrate is a metal foil.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 1 및 제 2 기판을 인캡슐레이션하는 보호층 내부에 방열필름을 구비하거나, 보호층 자체가 열전도성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이를 통해, OLED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radiation film is provided inside the protective layer that encapsulates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or the protective layer itself is made to have thermal conductivity, Thereby effectively dissipating the heat of the heat exchang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OLED에서는, 기존의 팬(fan)이나 히트파이프(heat pipe)를 구성하는 것에 비해 방열효과가 뛰어나며 경량 및 박형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O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heat dissipation effect and can maintain a lightweight and thin shape compared to a conventional fan or a heat pip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OLE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L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한편, OLED(100)는 발광된 빛의 투과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과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하 본 발명에서는 하부 발광방식을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Meanwhile, the OLED 100 is divided into a top emission type and a bottom emission typ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emitted light. Hereinafter, the bottom emission typ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LED(100)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된 제 1 기판(101)과,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 2 기판(102)으로 구성되고 있다. The OLE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제 1 기판(101) 상에는 반도체층(201)이 형성되는데, 반도체층(201)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201a) 그리고 액티브영역(201a) 양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201b, 201c)으로 구성된다. A
이러한 반도체층(201)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203)이 형성되어 있다.A
게이트절연막(203) 상부로는 반도체층(201a)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205)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A
또한, 게이트전극(205)과 게이트배선(미도시) 상부 전면에 제 1 층간절연막(20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제 1 층간절연막(207a)과 그 하부의 게이트절연막(203)은 액티브영역(201a) 양측면에 위치한 소스 및 드레인영역(201b, 201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209a, 209b)을 구비한다. A first interlayer
다음으로,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209a, 209b)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207a) 상부로는 서로 이격하며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209a, 209b)을 통해 노출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201b, 201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211, 213)이 형성되어 있다. Next, upper portions of the first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211, 213)과 두 전극(211, 213) 사이로 노출된 제 1 층간절연막(207a) 상부로 드레인전극(213)을 노출시키는 드레인콘택홀(215)을 갖는 제 2 층간절연막(207b)이 형성되어 있다. And a
이때, 소스 및 드레인 전극(211, 213)과, 이들 전극(211, 213)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201b, 201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201)과, 반도체층(201)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절연막(203) 및 게이트전극(205)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루게 된다. A
한편,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도면에서는 폴리실리콘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탑 게이트(top gate) 타입을 예로써 보이고 있으며, 이의 변형예로써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질실리콘(107a, 107b)으로 이루어진 보텀 케이트(bottom gate)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ncludes a polysilicon semiconductor layer and is shown as a top gate type. As a modification there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may be a bottom gate made of amorphous silicon (107a, 107b) Or a bottom gate type.
또한, 제 2 층간절연막(207b) 상부의 실질적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에는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E)를 구성하는 제 1 전극(111)과 유기발광층(113) 그리고 제 2 전극(11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제 1, 2 전극(111, 115)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113)은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E)를 이루게 된다.The first and
제 1 전극(111)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213)과 연결된다. The
이와 같은 경우에, 제 1 전극(111)은 양극(anode)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투명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such a case, the
그리고, 제 2 전극(115)은 음극(cathode)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불투명한 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여기서, 제 2 전극(115)은 제 1 전극(111)에 비해 일함수 값이 비교적 낮은 금속물질인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Nd), 은(Ag), 마그네슘(Mg), 금(Au),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AlMg)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113)에서 발광된 빛은 제 1 전극(111) 방향으로 방출되는 하부 발광방식으로 구동된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여기서, 유기발광층(113)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 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organic
그리고,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된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bank : 221)가 위치한다. A
즉, 뱅크(221)는 제 1 기판(101) 전체적으로 격자 구조의 매트릭스 타입으로 형성되어, 뱅크(221)를 각 화소영역(P) 별 경계부로 하여 제 1 전극(111)이 화소영역(P) 별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That is, the
이러한 OLED(100)는 선택된 색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111)으로 주입된 정공과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층(113)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빛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이때, 발광된 빛은 투명한 제 1 전극(1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OLED(100)는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emitted light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 상부에는 제 2 기판(102)을 구비하여,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은 접착성을 갖는 보호층(120)을 통해 서로 이격되어 합착된다. The
이를 통해, OLED(100)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Thereby, the
이때, 보호층(120)은 소수성 성질을 갖거나 내부에 흡습 특성을 갖는 바륨 옥사이드(BaO) 또는 칼슘 옥사이드(CaO)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보호층(120) 자체가 소수성을 띠게 되어 수분 침투를 방지하거나 또는 보호층(12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한다 하여도 흡습 특성에 의해 유기발광층(113)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 상부에 바로 보호층(120)이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실패턴(도 1의 20)을 생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이에, 기존에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져, 온도가 가열되거나 장시간 보관함에 따라 실패턴(도 1의 20)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가스(gas)와 같은 오염원이 OLED(100) 내부로 침투하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그리고, 본 발명의 OLED(100)는 외부로부터 누름 등의 압력이 가해져도 보호층(120)에 의해 OLED(100)의 눌림이 발생되지 않아,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의 제 1 및 제 2 전극(111, 115) 또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크랙(crack)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이에 따라 암점불량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휘도나 화상 특성의 불균일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such as a defect in a dark spot, thereby preventing a problem of uneven brightness and image characteristics.
특히, 본 발명의 제 2 기판(102)의 내부면에는 OLED(100)의 효율적인 방열 설계를 위한 방열필름(200)이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성물질(미도시)을 통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따라서, 본 발명의 OLED(100)는 방열필름(200)을 통해 효율적인 방열설계를 갖게 된다. Therefore, the
이로 인하여, OLED(100)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하는 동시에 경량 및 박형의 OLED(100)를 제공하게 된다. Accordingly, heat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OLED(100)는 구동 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의 열화와 함께 발생하는 열에 의해 OLED(100)의 특정영역은 약 80 ~ 90℃정도 까지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집중된 고온의 열에 의해 OLED(100)의 수명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The specific area of the
그러나, 본 발명의 OLED(100)는 제 2 기판(102)의 내부면에 방열필름(200)을 부착함으로써, OLED(100)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OLED(100)의 특정영역에 집중되지 않고 넓게 확산되어 방열효과를 갖게 된다. However, since the
여기서, 방열필름(20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기재필름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는데, 일예로 흑연(graphite)을 진공증착 또는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고진공하에서 기재필름 상에 증착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이때, 방열필름(200)을 흑연 재질로 형성할 경우, 방열필름(200)은 겹겹이 흑연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층된 흑연층은 편상구조의 흑연을 발포하고 고압으로 압연함으로써 방열필름(200)을 형성하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이때, 흑연 재질의 방열필름(200)은 검은색을 띠게 되므로, 열흡수율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방열필름(200)은 높은 열전도특성을 갖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따라서, 방열필름(200)으로 전달된 열은 방열필름(200) 전체로 효과적으로 확산되게 된다. Accordingly, heat transmitted to the heat-radiating
또는 흑연 외에도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은(Ag) 등의 금속입자 또는 고무 계열 또는 아크릴 계열 등의 재질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Or metal particles such as aluminum (Al), copper (Cu), nickel (Ni), silver (Ag) or the like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in addition to graphite or materials such as rubber series or acrylic series.
이때, 알루미늄(Al)으로 방열필름(200)을 형성할 경우, 알루미늄은 순도 99.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애노다이징(anodizing)처리를 통해, 검은색의 산화피막이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when the
여기서, 방열필름(200)의 사이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OLED(100)의 화상이 구현되는 액티브영역(A/A)을 모두 덮도록 형성하는데, 이때, 방열필름(200)은 액티브영역(A/A)보다 0.05 ~ 0.1mm 이상의 폭(d)을 더욱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the heat-radiating
또한, 방열필름(200)의 사이즈는 보호층(120)의 사이즈에 비해 작게 형성함으로써, 보호층(120) 가장자리를 노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노출된 보호층(120)에 의해 외부로부터 OLED(100) 내부로 수분이나 가스(gas)와 같은 오염원이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동시에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이 서로 합착됨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그리고, 방열필름(200)의 두께(h2)는 보호층(120) 두께(h1) 즉,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이 이격된 사이두께의 50%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 1 기판(101) 상에 구성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제 2 기판(102)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방열필름(200)으로 빠르게 전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thickness h2 of the
일예로, 보호층(120)의 두께(h1)를 5㎛이상으로 구성할 때, 외부로부터 OLED(100) 내부로 수분이나 가스(gas)와 같은 오염원의 침투를 방지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게 되는데, 이때 방열필름(200)의 두께는 3㎛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h1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기판(102)의 내부면에는 방열필름(200)을 부착함으로써, OLED(100)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열하여, OLED(100)의 수명이 급격히 감소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attaching the
특히, 방열필름(200)을 제 2 기판(102)의 내부면에 부착함으로써, 기존의 OLED(100)의 방열을 위해 팬(fan : 미도시)이나 히트파이프(heat pipe : 미도시)와 같은 방열판(도 1의 30)을 구성하는 것에 비해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다.Particularly, by attaching the
또한, 방열판(도 1의 30)을 OLED(100)에 부착하기 위해 진행하는 라미네이션공정을 통해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가 손상(도 2의 C, D)되었던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 Also, the problem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s damaged (C, D in FIG. 2) through the lamination process proceeding to attach the heat sink (30 in FIG. 1) to the
한편, 제 1 기판(101)은 유리, 플라스틱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OLED(100)는 하부 발광방식 OLED(100)이므로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제 2 기판(102)은 유리 또는 금속호일(metal foil)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OLED(100)는 제 2 기판(102)을 금속호일로 형성하여 OLED(100)의 방열 특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즉, 본 발명의 OLED(100)는 방열필름(200)과 금속호일 재질의 제 2 기판(102)을 통해 2차에 걸친 보다 효율적인 방열설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렇게, 제 2 기판(102)을 금속호일로 형성함으로써, OLED(100)의 방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 외에도, 유리로 제 2 기판(102)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제 2 기판(102)을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어, OLED(100)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OLED(100)의 두께를 줄임에도 불구하고 OLED(100)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forming the
이때, 금속호일 재질의 제 2 기판(102)의 열전도율은 제 1 기판(101)의 열전도율과 동일하거나 10 ㅧ 10-2/℃ 이내의 차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이는, 제 2 기판(102)을 금속호일로 형성하는 경우, 제 2 기판(금속호일 : 102)과 제 1 기판(유리 : 101)이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됨에 따라,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 사이의 열팽창율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비틀림(curl) 또는 휨(bend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OLE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L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of FIG.
이의 설명에서도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의 OLED를 일예로 설명하며,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도 3 및 도 4의 설명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전술하고자 하는 특징적인 내용만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The OLED of the bottom emission typ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that have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FIGS. 3 and 4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Let's take a look at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above.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LED(100)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된 제 1 기판(101)과,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 2 기판(102)으로 구성되고 있다. The
여기서, 제 1 기판(101) 상에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211, 213)과 이들 전극(211, 213)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201b, 201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201)과 반도체층(201)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절연막(203) 및 게이트전극(205)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며, A
여기서, 미설명 부호201a는 반도체층(201)의 액티브영역이며, 207a, 207b는 제 1 및 제 2 층간절연막이며, 209a, 209b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201b, 201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이며, 215는 드레인전극(213)을 노출시키는 드레인콘택홀이다.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상부의 실질적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에는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되는데,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E)는 제 1 전극(111)과 유기발광층(113) 그리고 제 2 전극(115)으로 이루어진다.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is formed in a region substantially displaying an image o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includes a
제 1 전극(111)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213)과 연결되며,유기발광층(113)에서 발광된 빛은 제 1 전극(111) 방향으로 방출되는 하부 발광방식으로 구동된다.The
그리고,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된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bank : 221)가 위치하여 제 1 전극(111)이 화소영역(P) 별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 상부에는 제 2 기판(102)을 구비하여,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은 접착성을 갖는 보호층(300)을 통해 서로 이격되어 합착된다. The
이를 통해, OLED(100)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Thereby, the
이때, 보호층(300)은 소수성 성질을 갖거나 내부에 흡습 특성을 갖는 바륨 옥사이드(BaO) 또는 칼슘 옥사이드(CaO)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OLED(1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기존의 실패턴(도 1의 20)을 생략할 수 있어, 실패턴(도 1의 20)에 의해 발생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누름 등의 압력에도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의 제 1 및 제 2 전극(111, 115) 또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mit a conventional seal pattern (20 in Fig. 1), to prevent defects caused by an actual pattern (20 in Fig. 1)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cks of the first and
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300)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즉, 보호층(300)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흑연(graphite)입자(310)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보호층(300)은 열전도성을 갖게 된다. That is, the
따라서, OLED(100) 구동 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의 열화와 함께 발생하는 고온의 열은 흑연입자(310)를 통해 보호층(300)으로 전도되고, 보호층(300)으로 전달된 고온의 열은 보호층(300) 전체로 효과적으로 확산되게 된다.Therefore, the high temperature heat generated together with the deterioration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when the
이로 인하여, OLED(100)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열하여, OLED(100)의 수명이 급격히 감소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sipat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이때, 흑연입자(310) 외에도 열전도성이 우수한 실리콘옥사이드(SiO2), 알루미늄옥사이드(Al2O3), 티타늄옥사이드(TiO2), 징크옥사이드(ZnO) 비금속입자 또는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은(Ag) 등의 금속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특히, 본 발명의 OLED(100)는 고온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는 동시에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즉, 기존의 OLED(100)의 방열을 위해 팬(fan : 미도시)이나 히트파이프(heat pipe : 미도시)와 같은 방열판(도 1의 30)을 삭제함으로써,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다.That is, by eliminating the heat sink (30 in FIG. 1) such as a fan (not shown) or a heat pipe (not shown) for dissipating heat of the
또한, 방열판(도 1의 30)을 OLED(100)에 부착하기 위해 진행하는 라미네이션공정을 통해,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가 손상(도 2의 C, D)되었던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 Also, the problem that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is damaged (C, D in FIG. 2) is prevented through the lamination process proceeding to attach the heat sink (30 in FIG. 1) to the
한편, 제 2 기판(102)을 금속호일로 형성하여 OLED(100)의 방열 특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 Meanwhile, th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 OLED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 of a general active matrix type OLED;
도 2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가 손상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 2 is a photograph show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damaged.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OLE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L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Fig. 3; Fig.
도 5는 방열필름의 사이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ize of the heat radiation film.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OLE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L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of FIG. 6;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75931A KR101564629B1 (en) | 2009-08-17 | 2009-08-17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75931A KR101564629B1 (en) | 2009-08-17 | 2009-08-17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18234A KR20110018234A (en) | 2011-02-23 |
| KR101564629B1 true KR101564629B1 (en) | 2015-10-30 |
Family
ID=4377602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75931A Active KR101564629B1 (en) | 2009-08-17 | 2009-08-17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64629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515579B2 (en) | 2018-04-05 | 2019-12-2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98649B1 (en) * | 2012-11-30 | 2015-03-04 |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049006B1 (en) * | 2013-06-13 | 2019-11-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36027A (en) * | 1999-12-15 | 2001-08-31 |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 El display device |
| JP2005298703A (en) * | 2004-04-13 | 2005-10-27 | Mitsui Chemicals Inc | Adhesive film, chassis and organic el light-emitting element using the same |
| JP2008535177A (en) * | 2005-03-31 | 2008-08-28 |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 Organic electronic devices having an external barrier layer |
-
2009
- 2009-08-17 KR KR1020090075931A patent/KR1015646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36027A (en) * | 1999-12-15 | 2001-08-31 |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 El display device |
| JP2005298703A (en) * | 2004-04-13 | 2005-10-27 | Mitsui Chemicals Inc | Adhesive film, chassis and organic el light-emitting element using the same |
| JP2008535177A (en) * | 2005-03-31 | 2008-08-28 |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 Organic electronic devices having an external barrier layer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515579B2 (en) | 2018-04-05 | 2019-12-2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18234A (en) | 2011-02-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2544056B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
| KR100885843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10109427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KR101603145B1 (en) | Method of fabricating for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
| WO2018113018A1 (en) | Ole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 JP6818514B2 (en)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 |
| US8513884B2 (en) |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 |
| KR20100072653A (en) | Top emission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of the same | |
| WO2018045658A1 (en) | Amoled display device | |
| JP2011119223A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 |
| CN1461177A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 KR20100081772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 KR101593059B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
| JP2006049057A (en) | Organic EL display device | |
| US20110084287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KR102355686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 JP4798671B2 (en) | Double-side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lighting device | |
| KR20110012432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
| US9596792B2 (en) | Display apparatus | |
| KR101564629B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
| US7535172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 KR20080090945A (en) | Flat Panel Display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KR20150054125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20110039776A (en) |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 CN111354866A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