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2563B1 - Exhaust Decoupler for Car - Google Patents

Exhaust Decoupler fo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563B1
KR101562563B1 KR1020150073514A KR20150073514A KR101562563B1 KR 101562563 B1 KR101562563 B1 KR 101562563B1 KR 1020150073514 A KR1020150073514 A KR 1020150073514A KR 20150073514 A KR20150073514 A KR 20150073514A KR 101562563 B1 KR101562563 B1 KR 101562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hose
flange
interlock hose
exhaust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경상
설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기업
Priority to KR102015007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5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56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16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the pipe sections being joined together by flexible tubular elements only, e.g. using bellows or strip-woun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a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3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a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comprising two or more bel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exhaust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12Tubes being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제1 인터록 호스와 제2 인터록 호스를 마련하고 제1 인터록 호스의 일단을 프리(free)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인터록 호스의 마모 및 소음을 방지하는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 측에 마련된 제1 플랜지와 배기관 측에 마련된 제2 플랜지 사이에 장착된 제1 인터록 호스, 내부 인터록과 외부 인터록의 이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인터록 호스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 장착된 제2 인터록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터록 호스는 상기 제1 플랜지 측에서 고정되고 상기 제2 플랜지 측에서는 프리 상태로 장착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배기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a commercial vehicle, which is provided with a first interlock hose and a second interlock hose, and freeing one end of the first interlock hose to prevent wear and noise of the interlock hose, A first interlock hose mount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exhaust pipe, a first interlock hose mount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exhaust pipe, a second interlock hose provid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The first interlock hose is fixed at the first flange side and the second interlock hose is mounted at the second flange side in a free state to prevent the exhaust gas from leaking.

Description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Exhaust Decoupler for Car} Exhaust Decoupler for Car}

본 발명은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인터록 호스와 제2 인터록 호스를 마련하고 제1 인터록 호스의 일단을 프리(Free)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인터록 호스의 마모 및 소음을 방지하는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a commercial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haust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a commercial vehicle, in which a first interlock hose and a second interlock hose are provided and the one end of the first interlock hose is made free, To an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의 출력 향상으로 엔진 시동 시 자동차의 급출발, 급제동, 기어변속 시 엔진 롤(engine roll)에 의한 진동이 커진다. 또한, 주행 중 노면의 상태에 따라 배기관의 진동이 일어나게 된다.Generally, in a vehicle, vibrations due to an engine roll at the time of starting, sudden braking, or gear shifting of the automobile increase at the time of starting the engine due to improvement of output of the engine. Also, vibration of the exhaust pipe occur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따라서 통상적으로 차량의 엔진에는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머플러를 구비한 배기관이 연결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과 배기관의 연결부위에는 진동변위나 충격하중, 열 변형 등을 흡수하고 완충시켜주기 위하여 배기관 연결장치(Decoupler)가 설치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engine and the exhaust pipe absorbs vibration displacement, impact load, thermal deformation, and the like to absorb the engine exhaust gas. A decoupler is installed in order to make the exhaust pipe connection.

이러한 설치 위치에서의 배기관 연결장치는 적은 수의 행거 마운팅과 함께 배기관 전체를 자체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소형의 크기가 요구된다.The exhaust pipe connection at such an installation location requires a small size while supporting the entire exhaust pipe itself with a small number of hanger mounting.

이러한 배기관 연결장치는 엔진 롤에 의한 변위나 노면으로부터 배기계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디커플링 부품(decoupling element)이다. 배기관 연결장치는 파이프 직경에 디커플러(decoupler)의 전장(전체 길이)이 배기 파이프 직경의 2D에 근접하는 벨로우즈(bellows), 볼 조인트(ball joint), 디커플러(decoupler)를 통칭하여 숏 디커플링 부품(short decoupling element)으로 분류한다.Such an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is a decoupling element for absorbing vibration transmitted through an exhaust system from a displacement or a road surface caused by an engine roll. The exhaust pipe connection device collectively refers to a bellows, a ball joint, and a decoupler, in which the overall length (total length) of the decoupler to the pipe diameter is approximated to 2D of the exhaust pipe diameter, (short decoupling element).

한편, 차량의 배기규제가 강화되면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용량도 같이 증가하게 되고, 배기계 내에 디커플링 부품(decoupling element)을 장착할 수 있는 직진 구간을 확보하기가 어렵다.On the other hand, as the regulation of the exhaust gas of the vehicle is strengthened, the capacity of the exhaust gas after-treatment apparatus also increases,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traight section in which a decoupling element can be mounted in the exhaust system.

이와 같은 숏 디커플링 부품의 유용성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전장이 짧아서 생기는 유연성(flexibility)은 소음(noise), 진동(vibration), 경도(hardness)에 따른 문제와 결합하면서 이음 및 공진에 의한 조기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usefulness of such short decoupling components is increasing. However, the flexibility caused by the short length of the electric field can cause problems such as early breakage due to the coupling and resonance while being combined with problems due to noise, vibration, and hardness.

또한, 상용 트럭의 배기관 연결구로 인터록(interlock)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2015년 EURO 6을 적용함에 따라 상용 트럭의 경우도 배기관 연결구에서 발생하는 누설(leak)을 제어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그러나 인터록을 사용한 연결구의 경우 그 구조상 일정량의 누설을 허용할 수밖에 없다. EURO 6 이전 인터록을 통한 누설 양은 많은 경우 100 LITER/MIN 정도이며, 이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통과하기 전 오염된 배기가스가 분당 100 LITER씩 대기 중에 방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EURO4/EURO5에서 일부 정화되지 않은 배기가스가 정화장치 내 바이패스(BY-PASS)되도록 허용하고 있으니만큼 문제될 것이 없었으나, EURO 6으로 배기가스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 부분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법이 필요했다. In addition, interlocks were mainly used for the exhaust pipe connection of commercial trucks. However, commercial vehicle trucks are required to control leaks in exhaust pipe fittings by applying EURO 6 in 2015. However, in the case of connectors using interlocks, there is no choice but to allow a certain amount of leakage. The amount of leakage from the EURO 6 pre-interlock is often in the order of 100 LITER / MIN, which means that the polluted exhaust gas i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at 100 LITER per minute before passing through the exhaust purification system. As EURO4 / EURO5 allowed some uncontaminated exhaust gases to be BY-PASSed in the purifier, there was no problem as much as possible, but with proper regulation of exhaust gas with EURO 6 did.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록과 스테인리스 벨로우즈(bellows)를 조합으로 하는 디커플러의 이용이 구체화되기 시작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use of a decoupler with a combination of interlock and stainless steel bellows has begun to be realized.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등에 개시되어 있다.One example of such a technique i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예를 들어,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전후의 배기관의 변위를 흡수하는 원통형의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의 내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인터록관을 구비하는 자동차 배기계용 플렉시블 튜브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의 축방향 양단부에 자바라형의 자바라부를 설치하고, 축방향 중앙부에 직선 형상의 직선부를 설치하고, 상기 직선부와 인터록관 사이에 완충 부재를 마련한 자동차 배기계용 플렉시블 튜브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flexible tube for an automobile exhaust system having a cylindrical bellows for absorbing displacement of front and rear exhaust pipes and a cylindrical interlock pipe disposed inside the bellows, Discloses a flexible tube for an automobile exhaust system in which a bellows portion of a bellows type is provided and a linear straight portion is provided in a central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buffer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interlock pipe.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제1 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된 제1 벨로우즈부, 제2 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된 제2 벨로우즈부, 제1 벨로우즈부의 단면과 제2 벨로우즈부의 단면 사이에 끼워진 가스켓, 제1 벨로우즈부의 단면과 제2 벨로우즈부의 단면을 가스켓에 압압하는 클램프를 마련한 파이프의 조인트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A second bellows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pipe; a gasket sandwiched between an end face of the first bellows portion and an end face of the second bellows portion; a cross s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bellows portion; And a clamp for pressing the end face of the second bellows portion against the gasket.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과 배기관 사이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의 흐름을 원활하게 수행하면서 충격이나 진동에 대하여 신축과 굽힘 방향의 변위를 흡수하도록 외측에 얇은 띠 형상의 금속판 재료의 선단과 끝단에 형성된 각 고리가 서로 맞물려 압착되는 연결편이 연속적이고 다단계로 맞물리도록 밴딩하여 나선형으로 감아서 제작되는 인터록 부재(210)가 형성되며, 상기 인터록 부재의 내측면에 이너 브래이드 부재(130)가 구비되는 자동차 배기관용 인터록형 플렉시블 튜브(200)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부재(210)의 각 연결편의 선단과 끝단에 형성된 각 고리가 맞물려 압착되는 사이에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한 신축이나 굽힘 방향으로의 변위 시 그 변위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되어 기밀성을 가지면서 배기가스를 누출시키지 않고 소음을 흡수하여 저감시키는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가스켓(220)이 개재되되, 상기 가스켓(220)은 고온에 변형되지 않는 그라파이트 섬유, 윤활유 테프론 함침 섬유, 인코넬 선입 그라파이트 섬유 중 하나로 형성되는 자동차 배기관용 인터록형 플렉시블 튜브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3 is provided between an engine and an exhaust pipe of an automobile to smoothly carry out the flow of exhaust gas and to absorb a displacement i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irection against shock or vibration, The interlocking member 210 is formed by bending the metal plate material so as to continuously and multistagely engage with the connecting pieces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the ends of the metal plate material of the metal plate material, The interlock type flexible tube (200) for an automotive exhaust pipe as claimed in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interlocking member (210) is provided with a lid member (130) Or in the direction of bending, it contracts or expands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to have airtightness and leak the exhaust gas A soft gasket (220) having an elastic force to absorb and reduce noise is provided, wherein the gasket (220) is made of graphite fibers which are not deformed at high temperatures, lubricating oil Teflon impregnated fibers, A flexible interlock type flexible tube is disclosed.

또 본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된 하기 특허문헌 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구조를 갖는 인터록 메탈 호스(100)는 링 형상을 갖는 다수의 메탈 밴드가 서로 맞물려 연결된 원통형의 이너 호스(110)와 아웃터 호스(120)가 서로 동심원상으로 인터록 메탈 호스의 내층과 외층을 이루면서 이너 호스(110)의 바깥 면과 아웃터 호스(120)의 안쪽 면이 서로 접촉되고 연결플랜지(130)에 결합하도록 배치되고, 이너 호스(110)와 아웃터 호스(120)는 직경이 서로 다르게 제작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각 호스(110,120)를 이루는 단위 메탈 밴드의 구조, 재질, 단위 메탈 밴드 간(140)의 연결 구조 및 각 호스(110,120)의 전체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제작된 플렉시블 인터록 메탈 호스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interlock metal hose 100 having a double structure has a cylindrical inner hose 110 (see FIG. 3) in which a plurality of metal bands having a ring shape are mesh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s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se 12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joined to the connecting flange 13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s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se 12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hose 110 and the outer hose 120 are formed so as to have different diameters from each other. The structure and material of the unit metal bands constituting the hoses 110 and 120, And the lengths of the hoses 110 and 120 are made equal to each other.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090316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090316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291863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9186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8143호(2014.03.19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78143 (Registered on March 19, 20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8098호(2012.09.26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88098 (registered on September 26, 2012)

그러나 인터록 호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 있는 부분의 여유 공간으로 인해 전/후 운동을 하게 되면 이에 따른 마찰로 인해 파이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일정량의 리크(누기)를 허용할 수밖에 없고, 리크 양의 통제가 인터록 간의 마찰에 의존하게 되면서 노화에 따른 리크 양 증가 역시 필할 수 없는 기술적 한계이다.However, as shown in FIG. 3, when the interlock hose is moved forward / backward due to the clearance space of the interlocked hose, the interlock hose maintains the pipe shape due to the friction. However, due to such a configuration, a certain amount of leakage (leakage) can not be allowed, and since the amount of leakage is dependent on the friction between the interlocks, an increase in leakage due to aging is also an unavoidable technical limitation.

즉, 정상적으로 만들어진 인터록 호스에서 인터록 간의 마찰력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노화 정도에 따라 40N를 수렴한다. In other word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terlocks in a normally constructed interlock hose converges to 40N according to the degree of ag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인터록 호스의 주 운동방향이 엔진의 상하진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고주파 엔진 진동이 인터록을 국부적으로 끊임없이 마모시켜 리크 양을 서서히 증가시킨다. 엔진 진동의 의한 변위가 0.1mm 내외임을 볼 때 일부 마모가 진행된 인터록의 특정부위만 마모가 집중되고 이에 따른 누수가 동반된다.When the main movement direction of the interlock hose coincides with the up-and-down vibration direction of the engine, the high frequency engine vibration causes the interlocks to wear locally irregularly, thereby gradually increasing the leakage amount. Considering that the displacement due to engine vibration is around 0.1mm, wear is concentrated only at a specific part of the interlock where some wear has progressed, and leakage is accompanied thereby.

특히 엔진의 주 거동방향과 인터록 호스의 설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이러한 현상은 가속된다. This phenomenon is accelerated especially when the main actuation direction of the engine matches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interlock hose.

또 엔진의 상하진동이 인터록 호스의 전체를 상하로 흔드는 경우이면, 국부마모에 발생이 종 방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들지만 정도의 문제이지 리크는 지속적으로 진행된다.In addition, if the up-and-down vibration of the engine shakes the entire interlock hose up and down, the occurrence of local abrasion is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degree of leakage is constant.

Beijing 4 (EURO4) 배기규제를 적용하면서 배기파이프 온도 손실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 완성차 업체들은 인터록을 포함한 배기파이프에 절연(insulation) 커버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로 인해서 누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절연 내에 축적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누기가 허용된 인터록 제품의 품질 문제가 발생한다.Manufacturers who need to minimize the exhaust pipe temperature loss while applying the Beijing 4 (EURO4) exhaust regulations have installed insulation covers on exhaust pipes including interlocks. However, due to this, the leakage can not escape to the outside and is accumulated in the insulation, so that there is a quality problem of the interlock product in which some leakage is allowed, as shown in Fig.

또한, 내부 파이프를 삽입하여 누기를 방지하고자 하였지만, 이는 배기파이프의 구조를 제한하고 무엇보다도 엔진 거동으로 인한 상대운동을 사전에 정확하게 인지하지 않으면 덜컹거림(rattle)에 의한 소음문제가 발생한다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inner pipe is inserted to prevent the leakage, it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exhaust pipe is limited and the noise problem due to the rattle occurs unless the relative motion due to the engine behavior is precisely recognized in advance there was.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용차에 적용되는 이중 인터록 호스 내부에 인터록 호스를 마련하여 인터록 간의 마모를 방지하는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which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 hose inside a double interlock hose applied to a commercial vehicle to prevent abrasion between interlock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진 거동으로 덜컹거림(rattle)에 의한 소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capable of solving a noise problem caused by rattle due to engine behavi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록 호스의 사용시 발생하는 누기를 억제할 수 있는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haust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a commercial vehicle capable of suppressing leakage occurring when an interlock hose is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는 상용차의 엔진과 배기관 사이에 신축 및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기관으로 안내하는 장치로서, 상기 엔진 측에 마련된 제1 플랜지와 배기관 측에 마련된 제2 플랜지 사이에 장착된 제1 인터록 호스, 내부 인터록과 외부 인터록의 이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인터록 호스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 장착된 제2 인터록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터록 호스는 상기 제1 플랜지 측에서 고정되고 상기 제2 플랜지 측에서는 프리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guiding exhaust gas discharged from an engine to an exhaust pipe by being stretchably and flexibly connected between an engine and an exhaust pipe of a commercial vehicle, A first interlock hose mount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exhaust pipe side, a first interlock hose mount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exhaust pipe, a second interlock hose provid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Wherein the first interlock hose is fixed at the first flange side and is mounted in a free state at the second flange side.

또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록 호스와 제2 인터록 호스는 에어 갭 상태로 유지하도록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exhaust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terlock hose and the second interlock hose are mounted at intervals so as to maintain an air gap state.

또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록 호스를 지지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인터록 호스를 지지하는 제2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exhaust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pipe connec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rst interlock hose, and a second support fixed on the first support and supporting the second interlock hose .

또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 측에서 상기 제1 지지대 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인터록 호스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on the first flange side and fixing the first interlock hose.

또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록 호스 외측에 마련된 외부 플레이트, 상기 제2 인터록 호스와 외부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xhaust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plate provided outside the second interlock hose, and a coupling member for fixing the second interlock hose and the outer plate.

또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된 후 용접에 의해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insertion groov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first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is coupled to the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제1 인터록 호스를 제2 인터록 호스의 내부에 마련하고, 제1 인터록 호스가 엔진 측에서만 고정되므로, 배기가스의 배출 과정에서 제1 인터록 호스를 구성하는 인터록 간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배기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haust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interlock hose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interlock hose and the first interlock hose is fixed only on the engine side, The interlock between the interlocks constituting the one interlock hose does not occur, so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exhaust gas from leaking can be obtained.

또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제1 인터록 호스와 제2 인터록 호스 사이에 에어 갭이 마련되어 온도 저감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절연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도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haust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air gap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terlock hose and the second interlock hose to reduce the temperatur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insulating member.

도 1은 엔진의 거동 방향에 따랄 인터록 호스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배기관용 인터록형 플렉시블 튜브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이중 구조를 갖는 차량 배기용 플렉시블 인터록 메탈 호스의 결합 상태에서 일부분이 파단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절연 커버를 마련한 종래의 배기관 연결 장치에서 누기의 발생에 따른 문제를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의 엔진 측 확대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의 배기관 측 확대도,
도 8은 5만Km 주행 후 리크가 발생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n interlock hose according to a direction of a behavior of an engine,
2 is a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interlock type flexible tube for an automobile exhaust pip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flexible interlock metal hose for vehicle exhaust having a double structure is partially broken in a coupled state,
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a problem caused by the occurrence of leakage in a conventional exhaust pipe connec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insulating cover,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ip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gine-side enlarged view of the exhaust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a commercial vehicle shown in Fig. 5,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exhaust pipe side of the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shown in Fig. 5,
8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haust pipe connection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leakage does not occur after 50,000 Km traveling.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 사상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technical idea for develop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내부 인터록과 외부 인터록의 이중으로 이루어진 제2 인터록 호스는 기존과 동일하게 상대운동을 하며 엔진진동이 과하면 인터록 간의 마모가 빨리 진행되고 마모된 틈 사이로 리크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인터록 호스 내부에 리니어(liner)의 역할을 하는 제1 인터록 호스를 부가적으로 마련한다.The second interlock hose, which consists of an inner interlock and an outer interlock, performs the same relative motion as the conventional one. When the engine vibrates, the interlock intercooler wears out quickly, and leakage occurs between the worn gaps.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nterlock hose serving as a liner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second interlock hose to prevent this.

상기 제1 인터록 호스에서 그 라이너가 엔진 쪽은 고정이고 그 반대쪽인 배기파이프 쪽에는 프리(free)로 제작하여 제1 인터록 호스가 상대운동을 안 하도록 한다. 즉, 제2 인터록 호스의 내부에 마련된 제1 인터록 호스의 라이너는 배기가스의 흐름 가이드 역할만 한다. 일반적으로 엔진 측의 실린더 내 연소 압력이 배기 정화 장치의 압력보다 높으므로 배기가스는 엔진 측에서 배기관 측으로 흐르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인터록 호스는 이 배기가스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기능을 한다.In the first interlock hose, the liner is fixed on the engine side and the exhaust pipe on the opposite side is free, so that the first interlock hose does not perform the relative movement. That is, the liner of the first interlock hose provided inside the second interlock hose serves only as a flow guide of the exhaust gas. In general, since the in-cylinder combustion pressure on the engine side is higher than the pressure of the exhaust purification apparatus, the exhaust gas flows from the engine side to the exhaust pipe side, and the first interlock h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to guide the flow of the exhaust gas.

따라서 제1 인터록 호스가 상대운동이 없는 관계로 제1 인터록 호스에서 인터록 간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흐름 가이드의 역할 시 외부 누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써 장기간 인터록 호스를 사용하면서 피치 못해 발생하는 누기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re is no interlock interlocking in the first interlock hose because the first interlock hose has no relative motion. As a result, external leakage does not occur in the role of the flow guide.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leaks that can not be occurred while using the interlock hose for a long period of time.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의 엔진 측 확대도 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의 배기관 측 확대도 이다.FIG. 5 is a 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exhaus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shown in FIG. 5,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exhaust pipe side of the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는 상용차의 엔진과 배기관 사이에 신축 및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기관으로 안내하는 장치로서, 상기 엔진 측에 마련된 제1 플랜지(50)와 배기관 측에 마련된 제2 플랜지(50') 사이에 장착된 제1 인터록 호스(10), 내부 인터록과 외부 인터록의 이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인터록 호스(10)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50') 사이에 장착된 제2 인터록 호스(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guiding exhaust gas discharged from an engine to an exhaust pipe by being stretched and flexibly connected between an engine and an exhaust pipe of a commercial vehicle, A first interlock hose 10 mounted between the first flange 50 provided on the exhaust pipe side and the second flange 50 'provided on the exhaust pipe side, and a second interlock hose 10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terlock hose 10 and the first interlock hose 10, And a second interlock hose 20 provided between the first flange 50 and the second flange 50 '.

즉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는 엔진 측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제1 인터록 호스(10)를 제2 인터록 호스(20) 내에 마련한 것이다.That is, the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first interlock hose 10 in the second interlock hose 20 so as to guide the flow of the exhaust gas generated from the engine side.

이를 위해 상기 제1 인터록 호스(10)는 상기 제1 플랜지(50) 측에서 고정되고, 상기 제2 플랜지(50') 측에서는 프리 상태로 장착된다.To this end, the first interlock hose 10 is fixed on the first flange 50 side and mounted on the second flange 50 'side in a free state.

본 발명의 인터록 호스에서 인터록의 기본적인 구조는 본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770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인터록 호스(10)는 제1 스트립과 상기 제1 스트립에 접혀 겹쳐지는 제2 스트립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인터록 호스(20)의 내부 인터록과 외부 인터록의 각각도 제1 스트립과 상기 제1 스트립에 접혀 겹쳐지는 제2 스트립을 구비한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interlock in the interlock h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77704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inventor. The first interlock hose 10 is folded into the first strip and the first strip Each of the inner interlock and the outer interlock of the second interlock hose 20 has a first strip and a second strip folded and overlapped with the first strip.

상기 제1 스트립은 제1 다리부와 제1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1 단부는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트립은 제2 다리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다리부와 상기 제2 단부는 '⊂'형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2 스트립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스트립 내에 삽입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The first strip has a first leg and a first end, the first leg and the first end are connected in a "⊃" shape, and the second strip has a second leg and a second end And the second leg portion and the second end portion are connected in a '⊂' shape, and the first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rip portion, and the second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rip portion can do..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인터록 호스(10)와 제2 인터록 호스(2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에어 갭 상태로 유지되도록 장착된다. 디젤 상용차와 경우 엔진출구온도가 700℃ 정도이며, 인터록 입구온도는 600~500℃ 정도이다. 따라서 엔진 측에서 중심온도 550℃의 배기가스를 인터록 호스의 입구에 주입해도 본 발명에 따른 에어 갭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2 인터록 호스(20) 구조에서의 표면온도는 200℃를 넘지 않는다.Also, as shown in FIG. 5, the first interlock hose 10 and the second interlock hose 20 are mounted so as to maintain an air gap stat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ase of a diesel commercial vehicle, the engine outlet temperature is about 700 ° C, and the interlock inlet temperature is about 600 to 500 ° C. Therefore, even if the exhaust gas having the center temperature of 550 占 폚 is injected into the inlet of the interlock hose at the engine side, the surface temperature i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interlock hose 20 does not exceed 200 占 폚 by providing the air g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제1 인터록 호스(10)와 제2 인터록 호스(20)를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50') 사이에 장착하기 위해, 제1 인터록 호스(10)와 제2 인터록 호스(20) 사이에서 상기 제1 인터록 호스(10)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대(40)와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40) 상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2 인터록 호스(2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대(30)가 마련된다.In order to mount the first interlock hose 10 and the second interlock hose 2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between the first flange 50 and the second flange 50 ', the first interlock hose 10 and the second interlock hose 20' A pair of first support rods (40) each supporting the first interlock hose (10) between two interlock hoses (20) and a pair of second support rods A second support 30 for supporting the second support 20 is provid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50')에 각각 결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기능에 대해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제1 플랜지(50) 또는 제2 플랜지(50')와의 결합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5,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components tha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flange 50 and the second flange 50 ',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functions, and the first flange 50 or the second flange 50' Only the engagement with the flange 5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 지지대(40)는 상기 제1 인터록 호스(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 인터록 호스(10)의 장착 위치만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1 인터록 호스(10)와 제2 인터록 호스(20) 사이에서 에어 갭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에어 갭의 간격은 상기 제1 지지대(40)의 두께에 의해 규정된다.The first support rope 40 is provided in a ring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interlock hose 10 to guide only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rst interlock hose 10 and the first interlock hose 10 and the second interlock hose 10, Thereby maintaining the air gap state between the interlock hoses 20. [ Thus, the spacing of these air gaps is defined by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40.

상기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50')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원주 방향으로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대(40)는 상기 삽입 홈에 각각 삽입된 후 용접에 의해 상기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50)'에 각각 결합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first flange 50 and the second flange 50 'have insertion groove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espectively. Are inserted and welded to the first flange 50 and the second flange 50, respectively.

이에 따라 제1 인터록 호스(10)는 한 쌍의 제1 지지대(40) 내부에 장착된다.Accordingly, the first interlock hose 10 is mounted inside the pair of first supports 40.

또,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랜지(50) 측에서 상기 제1 지지대(40) 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인터록 호스(1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70)를 마련한다. 즉, 제1 인터록 호스(10)는 제1 지지대(40) 내부에서 고정 부재(70)에 의해 제1 지지대(4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고정은 고정 부재(70)에 의한 물리적 고정 또는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6, the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edestal 40 on the side of the first flange 50 to fix the first interlock hose 10 A fixing member 70 is provided. That is, the first interlock hose 10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40 by the fixing member 70 inside the first support 40. Such fixing can be fixed by physical fixation by the fixing member 70, spot welding, or the like.

한편, 상기 제2 플랜지(50') 측에서 상기 제1 인터록 호스(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대(40) 상에 프리로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side of the second flange 50 ', the first interlock hose 10 i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4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제1 인터록 호스(10)가 고정 부재(70)에 의해 제1 플랜지(50) 측에서 고정되고, 제2 플랜지(50') 측에서 프리로 마련되므로, 엔진 측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관 측을 향해 자유롭게 배출되어 제1 인터록 호스(10)에서 인터록 간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다.Since the first interlock hose 10 is fixed at the first flange 50 side by the fixing member 70 and freely provided at the second flange 50 'side,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ngine side The first interlock hose 10 is freely discharged toward the exhaust pipe side so that abrasion between the interlocks does not occur.

한편, 제2 인터록 호스(20)의 양단부에는 제1 지지대(40)에 결합되는 제2 지지대(30)가 마련되고, 외측에는 외부 플레이트(80)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2 인터록 호스(20)와 외부 플레이트(80)는 결합 부재(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interlock hose 20 is provided at its both ends with a second support 30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40, an outer plate 80 at the outer side, 20 and the outer plate 80 can be fixed by the engaging member 60.

이와 같이 제2 인터록 호스(20)는 한 쌍의 제2 지지대(30)에 의해 양단이 고정되므로, 정상적인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인터록 간의 마모가 발생한다.Since the both ends of the second interlock hose 20 are fixed by the pair of second supporting members 30, when they are operated in a normal state, abrasion occurs between the interlocks.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인터록 호스(20)에서 인터록 간 마모가 발생하여도 제1 인터록 호스(10)에서 마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1 플랜지(50) 측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nterlock inter-wear occurs in the second interlock hose 20, wear does not occur in the first interlock hose 10, so that leakag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flange 50 is prevented can do.

도 8은 5만Km 주행 후 리크가 발생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8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haust pipe connection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leakage does not occur after 50,000 Km traveling.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를 적용한 경우, 리크의 발생을 유도하는 인터록 호스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 8, when the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fect of the interlock hose inducing the leakag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인터록 호스(10)과 제2 인터록 호스(20)를 적용하고, 제1 인터록 호스(10)와 제2 인터록 호스(20) 사이에 에어 갭이 마련되므로, 종래의 기술과 같은 절연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Since the first interlock hose 10 and the second interlock hose 20 are applied and an air gap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terlock hose 10 and the second interlock hose 20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n insulating member such as the technique of Fig.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배기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haust gas from leaking by using the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 제1 인터록 호스
20 : 제2 인터록 호스
30 : 제2 지지대
40 : 제1 지지대
50, 50' : 제1 및 제2 플랜지
10: First interlock hose
20: Second interlock hose
30: second support
40: first support
50, 50 ': first and second flanges

Claims (6)

상용차의 엔진과 배기관 사이에 신축 및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기관으로 안내하는 장치로서,
상기 엔진 측에 마련된 제1 플랜지와 배기관 측에 마련된 제2 플랜지 사이에 장착된 제1 인터록 호스,
내부 인터록과 외부 인터록의 이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인터록 호스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 장착된 제2 인터록 호스,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에 각각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인터록 호스를 지지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플랜지 측에서 상기 제1 지지대 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인터록 호스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터록 호스는 상기 제1 플랜지 측에서 고정되고 상기 제2 플랜지 측에서는 프리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1 인터록 호스와 제2 인터록 호스는 상기 제1 지지대의 두께에 의해 규정된 에어 갭 상태로 유지하도록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
An apparatus for guiding exhaust gas discharged from an engine to an exhaust pipe by being stretchable and bendably connected between an engine and an exhaust pipe of a commercial vehicle,
A first interlock hose mounted between a first flange provided on the engine side and a second flange provided on the exhaust pipe side,
A second interlock hose formed between the inner interlock and the outer interlock, the second interlock hose being provided outside the first interlock hose and mount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 first support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respectively, for supporting the first interlock hose,
And a fixing member which i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base at the first flange side and fixes the first interlock hose,
Wherein the first interlock hose is fixed at the first flange side and mounted in a free state at the second flange side,
Wherein the first interlock hose and the second interlock hose are mounted at intervals so as to maintain an air gap state defined by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인터록 호스를 지지하는 제2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upport fixed on the first support and supporting the second interlock hos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록 호스 외측에 마련된 외부 플레이트,
상기 제2 인터록 호스와 외부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uter plate provided outside the second interlock hose,
Further comprising an engaging member for fixing the second interlock hose and the outer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된 후 용접에 의해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배기관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then welded to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KR1020150073514A 2015-05-27 2015-05-27 Exhaust Decoupler for Car Active KR101562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514A KR101562563B1 (en) 2015-05-27 2015-05-27 Exhaust Decoupler fo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514A KR101562563B1 (en) 2015-05-27 2015-05-27 Exhaust Decoupler for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563B1 true KR101562563B1 (en) 2015-10-23

Family

ID=5442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514A Active KR101562563B1 (en) 2015-05-27 2015-05-27 Exhaust Decoupler for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56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831B1 (en) 2017-10-30 2018-09-27 유수건 Interlock Bellows apparatus
KR101994094B1 (en) * 2018-05-04 2019-07-01 (주)유니엠 Flexible hea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2232A1 (en) * 2004-07-16 2007-06-14 Westfalia Metallschlauchtechnik Gmbh & Co. Kg Decoupling element impervious to liquid flui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2232A1 (en) * 2004-07-16 2007-06-14 Westfalia Metallschlauchtechnik Gmbh & Co. Kg Decoupling element impervious to liquid flui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831B1 (en) 2017-10-30 2018-09-27 유수건 Interlock Bellows apparatus
KR101994094B1 (en) * 2018-05-04 2019-07-01 (주)유니엠 Flexible he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4836B1 (en) Flexible coupler device
US5248168A (en) Flexible quick disconnect coupling with vibration absorbing member
US2337038A (en) Flexible connector
US7325652B2 (en) Bumper/muffler assembly
US9512772B2 (en) Flexible conduit assembly
GB2278901A (en) Engine exhaust joint with bellows and damping cushion
KR20150087720A (en) Flexible Tube for Exhaust Pipe of Automobiles
US20120279606A1 (en) Internally insulated rigid exhaust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3002493B1 (en) Thermally insulated coupling device for exhaust pipes of endothermic engines
US5203593A (en) Flexible exhaust coupling with gasket crush reducing resilient members
KR20140111849A (en) Flexible Tube for Exhaust Pipe of Automobiles
KR101562563B1 (en) Exhaust Decoupler for Car
US9970578B2 (en) Dynamic liner sleeve for flexible coupling
EP1908936B1 (en) Flexible conduit element
KR100602770B1 (en) Flexible tube for automobile exhaust pipe
EP2450544B1 (en) Improved compressible exhaust connection member
KR101520042B1 (en) Exhaust Decoupler for Car
EP1431538B1 (en) Flexible coupling member for exhaust lines
KR101379272B1 (en) Interlock type flexible tube vehicle exhaust pipe
KR101361745B1 (en) Exhaust decoupler for car
US20090026763A1 (en) Sliding Sealing Connector
ITTO20100533A1 (en) UNCOUPLING JOINT FOR DISCHARGE PIPES OF ENDOTHERMIC MOTORS
RU2068147C1 (en) Device for movable pipe line joint
KR100353122B1 (en) Exhaust decoupler system
KR101379271B1 (en) Bellows type flexible tube vehicle exhaust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