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735B1 - Multipurpose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7735B1 KR101577735B1 KR1020140122777A KR20140122777A KR101577735B1 KR 101577735 B1 KR101577735 B1 KR 101577735B1 KR 1020140122777 A KR1020140122777 A KR 1020140122777A KR 20140122777 A KR20140122777 A KR 20140122777A KR 101577735 B1 KR101577735 B1 KR 1015777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water
- suction force
- vacuum cleaner
- tub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계단, 화장실, 복도 또는 물탱크 내부 등의 물청소 후 남은 물이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음은 물론 흡입된 물은 실시간으로 외부로 배출 저장 가능해 그 처리가 용이하며, 물흡입식뿐만 아니라 먼지흡입식 청소기로도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진공청소기는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일측에는 물이 흡입되는 튜브가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밀실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상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력이 발휘되게 하는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덮개와,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되되 상,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그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게 하는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흡입공 중 하나에 밀실하게 연결되며 하부로는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공간부 내 저장된 물이 흡입되는 흡입관부와, 상기 흡입관부 내에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에 직결되어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의 구동시 함께 회전되며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과 함께 상기 흡입관부 내부에 이중의 흡입력이 발생되게 하는 회전날개와, 일단은 상기 흡입관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 및 회전날개의 작동시 상기 흡입관부 내부로 흡입되는 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배출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bsorb the water left after cleaning the water in the stairs, the toilet, the corridor or the water tank of the building, as well as the inhal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real ti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vacuum cleaner that can be used as a dust suction type vacuum cleaner.
A multipurpos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for storing water, an upper portion of which is open and a tube through which water is sucked, A cover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formed therein and having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for exerting a suction force through the suction holes so that the space is vacuumed depending on the operation;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hermet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so as to provide a suction force for causing the interior of the upper portion to be in a vacuum state, And one end thereof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and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A rotary blade which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to generate a double suction force in the suction pipe unit while being rotated together with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unit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ver, And a discharge pipe part for selectively discharging water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part when the rotary vane is oper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용도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계단, 화장실, 복도 또는 물탱크 내부 등의 물청소 후 남은 물이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음은 물론 흡입된 물은 실시간으로 외부로 배출 저장 가능해 그 처리가 용이하며, 물흡입식뿐만 아니라 먼지흡입식 청소기로도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vacuum clean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vacuum clean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Which is easy to handle, and can be used not only as a water suction type but also as a dust suction type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가 회전하면서 발생 되는 임펠러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나 쓰레기 등을 빨아들여 본체 내측의 집진실에 모아지게 되고 먼지는 필터에 포집되며 필터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토록 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는 진공청소기의 내부에 위치되고 여러 기능을 갖는 필터가 다단으로 형성될수록 오염물질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Generally, a vacuum cleaner sucks dust or waste by using a suction force of an impeller generated when a moto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rotates, collects dust in the dust chamber inside the main body, dust is collected in the filte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filter is positioned inside the vacuum cleaner, and the filter having various functions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pollutants can be effectively removed.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사용용도에 따라 먼지흡입식과 물흡입식으로 구분되는데, 먼지흡입식 진공청소기의 경우에는 임펠러를 통하여 발생된 압력차에 의해 먼지나 미세한 이물질 등이 진공 청소기 내로 빨려들어와 제거되는 것인데 일반 가정은 물론 건물 등의 청소작업에 널리 이용된다. 또한 물흡입식 진공청소기의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임펠러를 통하여 발생된 압력차에 의해 물청소 후 남겨진 잔수 등이 빨려들어와 제거되는 것인데 일반 가정보다는 업소나 건물 청소 등 전문적인 청소작업에 주로 이용된다.Such a vacuum cleaner can be divided into a dust suction type and a water suction type depending on the use purpose. In case of a vacuum suction type of dust suction type, dust or minute foreign matter is sucked into a vacuum cleaner by a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through an impeller, Of course, it is widely used for cleaning work such as buildings. Also, in the case of a water-suction type vacuum cleaner, residual water left after cleaning the water is sucked and remov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through the impeller, and it is mainly used for professional cleaning such as business or building cleaning.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물흡입식 진공청소기의 경우 청소가 진행되는 동안 흡입된 물이 청소기 내부에 저장된 상태이므로 진공청소기를 쉽게 이동시키기 어렵고, 일정 양만큼 물이 흡입되면 저장된 물을 비워내는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ter-suction type vacuum cleaner, since the suctioned water is stored inside the vacuum cleaner during the cleaning process, it is difficult to easily move the vacuum cleaner. When water is sucked in a predetermined amount, There was a hassle.
1.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8-0000144호(2008.01.04)1.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8-0000144 (2008.01.04)
2.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7-0019275호(2007.11.30)2.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7-0019275 (November 30, 2007)
3.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9-0001857호(2009.02.19)3.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9-0001857 (2009.02.1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계단, 화장실, 복도 또는 물탱크 내부 등의 물청소 후 남은 물이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음은 물론 흡입된 물은 실시간으로 외부로 배출 저장 가능해 그 처리가 용이하며, 물흡입식뿐만 아니라 먼지흡입식 청소기로도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system and a water treatment system which can rapidly absorb water left after cleaning water in a stairway, a toilet, a corridor or a water tank of a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urpose vacuum cleaner that can be used not only as a water suction type but also as a dust suction type vacuum cleaner.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일측에는 물이 흡입되는 튜브가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밀실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상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력이 발휘되게 하는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덮개와,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되되 상,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그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게 하는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흡입공 중 하나에 밀실하게 연결되며 하부로는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공간부 내 저장된 물이 흡입되는 흡입관부와, 상기 흡입관부 내에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에 직결되어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의 구동시 함께 회전되며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과 함께 상기 흡입관부 내부에 이중의 흡입력이 발생되게 하는 회전날개와, 일단은 상기 흡입관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 및 회전날개의 작동시 상기 흡입관부 내부로 흡입되는 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배출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진공청소기가 제공됨에 의해 달성된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 body formed with a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tube connected to a tube through which water is sucked, And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for causing the suction force to be exerted through the suction hole so that the space portion is evacuated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or not, A suction pipe portion which is tight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so as to provide a suction force for causing the inside of the suction pipe to be in a vacuum state and has a suction pipe portion through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space portion is sucked through the tube, One end of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and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when driven, A suction port for discharging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and the rotary vane, and a rotary vane for generating a double suction force in the suction pipe unit together with the generating unit,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And a drain pipe portion through which water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portion is selectively discharged is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흡입관부는 상,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다수의 흡입공 중 하나에 밀실하게 연결되는 제 1 관부와, 상,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 1 관부의 하부에 밀실하게 연결되는 제 2 관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ipe portion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open top and bottom portions, and has a first tube portion whose upper portion is hermet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And a second tube portion whose upper portion is herme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ube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배출관부 내에는 물이 상기 제 2 관부 내로 흡입되어 상기 배출관부 보다 높게 위치될 경우 물이 그 수압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eck valve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portion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outside by the water pressure when the water is sucked into the second pipe portion and positioned higher than the discharge pipe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공간부 내에는 수위 변화시 부력에 의해 이동되는 가림막부재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sp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skin film member which is moved by buoyancy when the water level chang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다용도 진공청소기가 먼지흡입식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본체와 연결된 측의 튜브 단부에 상기 튜브를 통해 유입된 먼지가 비산되지 않고 공간부 내에 저장된 물속으로 유도되게 하는 유도관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bove-described multipurpose vacuum cleaner is used as a dust suction type, a guide tube for guiding the dust introduced through the tube to the tub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is guided to the water stored in the space portion And is detachably coupl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진공청소기에 따르면 건물의 계단, 화장실, 복도 또는 물탱크 내부 등의 물청소 후 남은 물이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음은 물론 흡입된 물은 실시간으로 외부로 배출 저장 가능해 그 처리가 용이하며, 물흡입식뿐만 아니라 먼지흡입식 청소기로도 사용이 가능한 탁월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us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remaining after cleaning the water in the stairs, the toilet, the hall, the water tank, etc. of the building can be quickly sucked, It is easy to dispose of it and can be used as a dust suction type vacuum cleaner as well as a water suction ty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진공청소기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진공청소기의 사용상태 단면도.1 is a sectional view of a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sectional views of a multi-use vacuum cleaner in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진공청소기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2a 내지 도 2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진공청소기의 사용상태 단면도가 도시된다.
FIG. 1 is a sectional view of a multi-us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to 2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multi-us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진공청소기는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일측에는 물이 흡입되는 튜브가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밀실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상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력이 발휘되게 하는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덮개와,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되되 상,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그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게 하는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흡입공 중 하나에 밀실하게 연결되며 하부로는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공간부 내 저장된 물이 흡입되는 흡입관부와, 상기 흡입관부 내에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에 직결되어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의 구동시 함께 회전되며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과 함께 상기 흡입관부 내부에 이중의 흡입력이 발생되게 하는 회전날개와, 일단은 상기 흡입관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 및 회전날개의 작동시 상기 흡입관부 내부로 흡입되는 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배출관부가 포함된다.
A multipurpos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for storing water, an upper portion of which is open and a tube through which water is sucked, A cover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formed therein and having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for exerting a suction force through the suction holes so that the space is vacuumed depending on the operation;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hermet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so as to provide a suction force for causing the interior of the upper portion to be in a vacuum state, And one end thereof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and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A rotary blade which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to generate a double suction force in the suction pipe unit while being rotated together with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unit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ver, And a discharge pipe portion for selectively discharging water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portion when the rotary vane is operated.
이하에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진공청소기(1)의 구성부재와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여기서 본체(1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작동시 외부기압보다 낮은 기압상태가 되어 청소대상물이 흡입 및 저장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일측에는 물이 흡입되는 튜브(12)가 연결된다.Here, the
이와 같은 본체(10)는 추후에 설명될 흡입력 발생수단(21)의 용량과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저면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바퀴(13)가 설치된다.The
또한 다용도 진공청소기(1)가 물흡입식으로 사용될 경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공간부(11) 내에는 수위 변화시 부력에 의해 이동되는 가림막부재(60)가 구비되는데, 전술한 가림막부재(60)는 튜브(12)를 통해 물이 유입될 경우 상부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림막부재(60)의 테두리는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물의 유동은 가능하되 물 튀김은 방지될 수 있도록 망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A and 2B, when the multipurpose vacuum cleaner 1 is used as a water suction type, a
그리고 다용도 진공청소기(1)가 먼지흡입식으로 사용될 경우, 도 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와 연결된 측의 튜브(12) 단부에는 튜브(12)를 통해 유입된 먼지가 비산되지 않고 공간부(11) 내에 저장된 물속으로 유도되게 하는 유도관(7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된다.When the multipurpose vacuum cleaner 1 is used as a dust suction type, the dust introduced through the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전원코드가 그 내부에 권취 보관되며 튜브(12)의 선단에는 청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청소도구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a power cord is wound around the power cord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one of various types of cleaning tools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tip of the
이와 같은 본체(10)는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 본체(10)와 동일한 것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한편 전술한 본체(10)의 상부에는 덮개(20)가 밀실하게 결합 되는데, 전술한 덮개(20)는 전술한 본체(10)의 공간부(11)를 폐쇄함과 동시에 흡입력이 발휘되는 흡입력 발생수단(21)이 그 내부에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이와 같은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흡입공(2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작동 여부에 따라 공간부(11)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흡입공(22)을 통해 흡입력이 발휘되게 하는 흡입력 발생수단(21)이 구비된다. 또한 상부에는 공간부(1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다수의 배기구(24)가 관통 형성된다.A plurality of
이러한 덮개(20)는 본체(10)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전술한 흡입력 발생수단(21)은 케이스(213)와, 케이스(213) 내부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211)와, 케이스(213)의 상부에 위치되며 모터(21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팬(212)으로 구성된다. 모터(211)의 구동력에 의해 팬(212)이 회전되면 다수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력이 발생되고 공간부(11) 내부의 공기가 덮개(20)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24)를 통해 외부로 강하게 배기되면서 공간부(11) 내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진공상태가 됨으로써 튜브(12)를 통해 청소 대상물인 물이 흡입될 수 있게 된다.The
그리고 전술한 덮개(20)의 일측에는 흡입력 발생수단(21)이 제어되는 컨트롤러(23)가 더 설치된다. 이와 같은 덮개(20)의 흡입력 발생수단(2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작동 원리와 동일한 것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함을 밝혀둔다.
A
또한 전술한 공간부(11) 내에는 흡입관부(30)가 구비되는데, 전술한 흡입관부(30)는 공간부(11) 내로 흡입되어 빨려 들어온 물을 그 내부로 재차 흡입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이와 같은 흡입관부(30)는 전술한 공간부(11) 내에 위치되되 상,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그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게 하는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입공(22) 중 하나에 밀실하게 연결되며 하부로는 튜브(12)를 통해 공간부(11) 내 저장된 물이 흡입된다.The suction pipe unit 30 is formed in the above-mentioned
이때 전술한 흡입관부(30)는 상부에 위치되는 제 1 관부(31)와 하부에 위치되는 제 2 관부(32)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즉 상,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다수의 흡입공(22) 중 하나에 밀실하게 연결되는 제 1 관부(31)와, 상,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제 1 관부(31)의 하부에 밀실하게 연결되는 제 2 관부(32)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suction pipe unit 3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ipe portion 31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전술한 제 1 관부(31)는 흡입공(22) 중 하나와 연결되어 흡입력 발생수단(21)의 흡입력이 흡입관부(30) 내에 제공되게 하는 것이며 또한 추후에 설명될 회전날개(40)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관부(32)는 그 하부를 통해 공간부(11) 내에 저장된 물이 빨려 올라오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후에 설명될 배출관부(50)가 연결된다.The first tube portion 31 is connected to one of the
또한 전술한 제 2 관부(32)는 제 1 관부(31)의 하부에 다양한 길이의 제 2 관부(3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도 있고 제 2 관부(32) 자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데, 이는 제 2 관부(32)의 길이조절을 통해 공간부(11) 내에 얼마만큼의 물이 저장되었을 때 이를 외부로 배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 2 관부(32)의 자체길이 조절은 벨로우즈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한편, 전술한 흡입관부(30) 내에는 회전날개(40)가 구비되는데, 전술한 회전날개(40)는 흡입관부(30) 내에 이중의 흡입력이 발생 되게 함으로써 공간부(11) 내의 물이 보다 강력한 흡입력으로 빨아 들여지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일단이 전술한 흡입력 발생수단(21)에 직결되어 흡입력 발생수단(21)의 구동시 함께 회전된다.The
즉, 흡입관부(30) 내에는 흡입력 발생수단(21)에 의한 1차 흡입력과, 전술한 회전날개(40)에 의한 2차 흡입력이 이중으로 제공되며, 이를 통해 공간부(11) 내의 물이 보다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That is, a primary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21 and a secondary suction force by the above-described
이와 같은 회전날개(40)의 원리는 회전시 흡입관부(3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되어 내부의 공기가 제 1 관부(31)와 연결된 흡입공(22)을 통해 외부로 강하게 배기되고, 흡입관부(30) 내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진공상태가 됨으로써 제 2 관부(32)를 통해 청소 대상물인 물이 흡입될 수 있게 된다.
The rotating
그리고 전술한 흡입관부(30) 일측에는 배출관부(50)가 연결되는데 전술한 배출관부(50)는 흡입관부(30) 내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일단은 흡입관부(3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덮개(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흡입력 발생수단(21) 및 회전날개(40)의 작동시 흡입관부(30) 내부로 흡입되는 물이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게 된다.The
이와 같은 배출관부(50) 내에는 물이 제 2 관부(32) 내로 흡입되어 배출관부(50) 보다 높게 위치될 경우 물이 그 수압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체크밸브(51)가 설치되어, 일정 높이만큼 물이 흡입되면 실시간으로 그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A
이하에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진공청소기(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A and 2B, a general use method of the multi-us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컨트롤러(23)를 조작해 흡입력 발생수단(21) 및 회전날개(40)를 작동시키면 공간부(11)와 흡입관부(30) 내에 흡입력이 발생되고 동시에 외부 기압보다 기압이 낮은 진공상태가 된다. 이때 흡입관부(30) 내에는 흡입력 발생수단(21)에 의해 1차로, 회전날개(40)에 의해 2차로 흡입력이 발생된다.Whe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21 and the
튜브(12)를 통해 흡입되어 공간부(11) 내에 저장되는 물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상승되어 제 2 관부(32)의 하부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흡입관부(30) 내부에도 물이 흡입되기 시작한다.When the height of the water sucked through the
흡입관부(30) 내부에서 점차적으로 물의 높이가 상승되어 배출관부(50) 높이 이상이 되면 수압에 의해 체크밸브(51)가 열리면서 흡입관부(30) 내부의 물이 배출관부(5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The
따라서 일정 높이 이상만큼 물이 차오르면 그 물이 실시간으로 배출될 수 있어 본체(10) 내부의 물을 비워줄 필요가 없고, 뿐만 아니라 본체(10)의 이동이 간편해 수월하게 청소가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water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higher, the water can be discharged in real time,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empty the water in the
또한 비록 설명되지 않았지만 흡입력 발생수단(21)에 의해서 물뿐만 아니라 먼지와 각종 이물질도 흡입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먼지필터가 장착될 수도 있다.
Also, although not described,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21 may suck not only water but also dust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a separate dust filter may be installed for this purpos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not limited.
1 : 다용도 진공청소기 10 : 본체
11 : 공간부 12 : 튜브
13 : 이동바퀴 20 : 덮개
21 : 흡입력 발생수단 211 : 모터
212 : 팬 213 : 케이스
22 : 흡입공 23 : 컨트롤러
24 : 배기구 30 : 흡입관부
31 : 제 1 관부 32 : 제 2 관부
40 : 회전날개 50 : 배출관부
51 : 체크밸브 60 : 가림막부재
70 : 유도관1: Multipurpose vacuum cleaner 10: Body
11: space part 12: tube
13: mobile wheel 20: cover
21: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211: motor
212: fan 213: case
22: suction hole 23: controller
24: exhaust port 30: suction pipe section
31: first tube portion 32: second tube portion
40: rotating blade 50: exhaust tube
51: check valve 60:
70: Induction tube
Claims (5)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밀실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상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력이 발휘되게 하는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덮개;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되되 상,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그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게 하는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흡입공 중 하나에 밀실하게 연결되며 하부로는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공간부 내 저장된 물이 흡입되는 흡입관부
상기 흡입관부 내에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에 직결되어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의 구동시 함께 회전되며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과 함께 상기 흡입관부 내부에 이중의 흡입력이 발생되게 하는 회전날개; 및
일단은 상기 흡입관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 및 회전날개의 작동시 상기 흡입관부 내부로 흡입되는 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배출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진공청소기.A body formed with a space for storing water therein,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nd a tube through which water is sucked;
And a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for sucking the suction force through the suction hole so that the space is vacuumed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cover.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hich is positioned in the space portion and opened upwardly and downwardly. The upper portion is tight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to provide a suction force for allowing the inside of the tube to be in a vacuum state, And a suction pipe portion
A rotary blade which is positioned in the suction pipe and has one end directly coupled to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to generate a double suction force in the suction pipe together with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And
And a discharge tube portion,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portion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ver, and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and the water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portion during operation of the rotary vane are selectively discharged A multi-purpose vacuum cleaner.
상기 흡입관부는 상,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다수의 흡입공 중 하나에 밀실하게 연결되는 제 1 관부와, 상,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 1 관부의 하부에 밀실하게 연결되는 제 2 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진공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pipe portion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open top and bottom portions, and has a first tube portion whose upper portion is hermet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a tube portion whos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And a second tubular portion that is tight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vacuum cleaner.
상기 배출관부 내에는 물이 상기 제 2 관부 내로 흡입되어 상기 배출관부 보다 높게 위치될 경우 물이 그 수압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진공청소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check valve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to allow wat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is sucked into the second pipe portion and positioned higher than the discharge pipe portion.
상기 공간부 내에는 수위 변화시 부력에 의해 이동되는 가림막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진공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urtain wall member which is moved by buoyancy when the water level changes is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상기 다용도 진공청소기가 먼지흡입식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본체와 연결된 측의 튜브 단부에 상기 튜브를 통해 유입된 먼지가 비산되지 않고 공간부 내에 저장된 물속으로 유도되게 하는 유도관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진공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when the multipurpose vacuum cleaner is used as a dust sucking type, an induction pipe is detachably coupled to a tube end portion of the multipurpose vacuum clean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dust introduced through the tube is guided to the water stored in the space without scattering. A multi-purpose vacuum clean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22777A KR101577735B1 (en) | 2014-09-16 | 2014-09-16 | Multipurpose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22777A KR101577735B1 (en) | 2014-09-16 | 2014-09-16 | Multipurpose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77735B1 true KR101577735B1 (en) | 2015-12-16 |
Family
ID=5508073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22777A Active KR101577735B1 (en) | 2014-09-16 | 2014-09-16 | Multipurpose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77735B1 (en)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19275A (en) | 2005-08-12 | 2007-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KR20080000144A (en) | 2006-06-26 | 2008-01-02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
| KR20090001857A (en) | 2007-05-29 | 2009-01-09 | 세창인스트루먼트(주) | Online advertising method with 100% sales efficiency |
| KR20100085821A (en) * | 2009-01-21 | 2010-07-29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Dust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KR20110085821A (en) * | 2010-01-21 | 2011-07-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20140004521A (en) * | 2012-07-03 | 2014-01-13 | 김양수 | Device for vacuum cleaner of both wet and dry type |
-
2014
- 2014-09-16 KR KR1020140122777A patent/KR10157773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19275A (en) | 2005-08-12 | 2007-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KR20080000144A (en) | 2006-06-26 | 2008-01-02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
| KR20090001857A (en) | 2007-05-29 | 2009-01-09 | 세창인스트루먼트(주) | Online advertising method with 100% sales efficiency |
| KR20100085821A (en) * | 2009-01-21 | 2010-07-29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Dust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KR20110085821A (en) * | 2010-01-21 | 2011-07-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20140004521A (en) * | 2012-07-03 | 2014-01-13 | 김양수 | Device for vacuum cleaner of both wet and dry typ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653800B2 (en) | Handheld vacuum cleaner | |
| CN1803397B (en) | electrical tools | |
| CN103769648B (en) | A kind of electric drill | |
| CN107960946B (en) | vacuum cleaner | |
| WO2016065148A2 (en) | Vacuum cleaner having cyclonic separator | |
| CN107205603B (en) | Vacuum cleaner with cyclone separator | |
| WO2014117629A1 (en) | Hand-held cleaning machine | |
| KR20140036479A (en) | Vacuum cleaner | |
| CN203578292U (en) | Hard surface cleaning device | |
| KR101577735B1 (en) | Multipurpose vacuum cleaner | |
| JP2010068903A (en) | Wet & dry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cleaning function | |
| KR20130100551A (en) | Built-in cleaner having shoe rack exhaust function | |
| AU2017100402A4 (en) | Dry and Wet Pre Separator Apparatus & Wet Vacuum Cyclone Chamber Invention | |
| JPH04288111A (en) | vacuum cleaner | |
| CN113876235B (en) | Recovery barrel, main motor and cleaning equipment | |
| CN212914950U (en) | Pipe fitting production line dust treatment device | |
| CN203155627U (en) | Dust removing device for structural embedded steel bar hole | |
| KR100631571B1 (en) |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 |
| JP2007239299A (en) | Vacuum cleaner for collecting asbestos dust | |
| KR200385567Y1 (en) | Cleanner for Water tank | |
| JP2016005812A5 (en) | ||
| KR20110102711A (en) | Vacuum suction device with vacuum ferromagnetic pump | |
| KR20210061701A (en) | Window frame cleaner | |
| KR101257560B1 (en) | Auto cleaner | |
| KR100888042B1 (en) | Dust removal device with humidification func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3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