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347B1 - Infantile Car Seat with Head Rest Height Adjusting - Google Patents
Infantile Car Seat with Head Rest Height Adjus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8347B1 KR101578347B1 KR1020140129193A KR20140129193A KR101578347B1 KR 101578347 B1 KR101578347 B1 KR 101578347B1 KR 1020140129193 A KR1020140129193 A KR 1020140129193A KR 20140129193 A KR20140129193 A KR 20140129193A KR 101578347 B1 KR101578347 B1 KR 101578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eat
- car seat
- headrest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와 받침으로 이루어진 좌석의 등받이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헤드레스트몸체가 승,하강토록 연결되고, 상기 헤드레스트몸체는 고정수단을 통하여 위치결정되며, 상기 헤드레스트몸체는 안전벨트의 일단이 연결되어 헤드레스트몸체의 승,하강시 동시에 승,하강토록 연결되는 헤드레스트 조절형 가능한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headrest body is connected to the headrest body through a fixing means, and the headrest body is connected to the headrest body through one end of the seat belt, The headrest being connected to the headrest so that the headrest can be lifted and lowered simultaneously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eadrest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등받이와 받침으로 이루어진 카시트의 등받이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헤드레스트몸체가 승,하강토록 연결되고, 상기 헤드레스트몸체는 고정수단을 통하여 등받이에 위치결정되며, 상기 헤드레스트몸체는 안전벨트의 일단이 연결되어 헤드레스트몸체의 승,하강시 동시에 승,하강토록 연결되는 헤드레스트 조절형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headrest body is connected to the backrest through a fixing means and the headrest body is positioned on the backrest of the seat belt, And the headrest is connected to the headrest body so that the headrest body is lifted and lowered simultaneously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eadrest body.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및 안전벨트는 일반적인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유아들이 자동차에 탑승하여 착석하였을 때 몸에 비해 시트 및 안전벨트가 너무 크게 되어 안전하게 받쳐주지 못함은 물론 안전벨트가 유아들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압박하였던 바, 이를 감안하여 유아들의 몸에 맞는 사이즈로 안락한 시트부를 형성하고, 이 시트부에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연결하도록 한 유아용 카시트가 활용되고 있다.Generally, since the seat and the seat belt of a car are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an ordinary adult, when the child is seated on the vehicle, the seat and the seat belt are too large to support the seat safely, In consideration of this, a child seat has been utilized in which a comfortable seat is formed in a size suitable for the body of a baby and a seat belt of a car is connected to the seat.
그러나, 이와같은 유아용 카시트는 헤드레스트가 시트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유아의 체형에 적절한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such a child car seat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headrest height appropriate for the body shape of the infant so that the headrest is fixed to the seat.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의 특허 제988588호에 유아용 카시트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유아용 헤드레스트(100)를 승강시키는 유아용 헤드레스트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아용 헤드레스트 승강수단은, 상기 하드보드의 양측면 쪽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서 승강공간이 관통형성된 연결돌기를 갖되, 그 관통형성된 승강공간의 일부가 개구되어 인입홈이 형성된 한 쌍의 승강용 연결구(210)와; 상기 유아용 카시트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돌기의 승강공간에 내입되는 이동레일(311), 상기 이동레일(311)을 따라 일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인입홈에 놓여지는 연결대(312)를 갖는 한 쌍의 레일부(310);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onventional child car seat techniqu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988588. As shown in Fig. 1, the baby carriage includes a headrest elevating unit for a baby, The headrest lifting unit for a child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hard board and includes a pair of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아용 카시트의 헤드레스트는, 이동레일(311)을 따라 이동되는 헤드레스트(100)와 안전벨트가 별도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져 체형에 따라 헤드레스트(100)를 이동할 때 별도로 안전벨트의 설치위치를 조절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되어 유아에 적합한 카시트의 제공이 가능토록 하고, 헤드레스트의 이동시 안전벨트가 동시에 이동토록 설치되어 안전벤트의 지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안전벨트에 작용하는 충격을 용이하게 분산시켜 카시트의 중량을 최소화 하면서도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형 카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safety seat for a child who can freely adjust a height of a headre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rest adjustable type car seat which is easy to support and easily disperses an impact acting on a seat belt,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while minimizing the weight of the car sea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등받이와 받침으로 이루어진 카시트의 등받이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헤드레스트몸체가 승,하강토록 연결되고, 상기 헤드레스트몸체는 고정수단을 통하여 등받이에 위치결정되며, 상기 헤드레스트몸체는 안전벨트의 일단이 연결되어 헤드레스트몸체의 승,하강시 동시에 승,하강토록 연결되는 헤드레스트 조절형 카시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eadrest body is connected to a headrest body by a guide formed on the backrest of a car seat composed of a backrest and a support, the headrest body is positioned on the backrest through a fixing means, The headrest body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at belt so as to be simultaneously lifted and lowered when the headrest body is lifted and lowered, thereby providing a headrest-adjustable car seat.
그리고, 본 발명의 고정수단은, 가이드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턱과 노브의 동작시 돌출및 수납토록 설치되는 걸림돌기로서 이루어진 헤드레스트 조절형 카시트를 제공한다.Th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rest-adjustable type car seat comprising a plurality of fixing jaws formed at one side of a gu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so as to protrude and retract when the knob is operated.
더하여, 본 발명의 등받이는 안전벨트의 일측이 지지되는 벨트지지구가 가이드의 일측에 구비될 때 상기 벨트지지구에 연결되는 지지봉을 지지토록 복수의 보강판이 일측에 돌출되고, 상기 안전벨트에 하중의 작용시 위치결정토록 보강판에 동일간격으로 지지홈이 함몰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조절형 카시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are projected on one side so as to support a support rod connected to the belt support when the belt support provided with one side of the seat bel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uide, The support grooves being reces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reinforcing plate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headrest adjustable type car seat.
또한, 본 발명의 카시트는 상부의 전,후방에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각각 구비되는 본체에 장착되는 상태로 자동차 좌석의 아이에스오픽스에 고정되고, 상기 카시트는 상기 제1,2고정부에 대응되는 제1,2위치결정부를 구비하는 본체의 상측에 정,역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에는 힌지 연결되어 본체의 저면에 수납되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되는 지지구가 더 연결되는 헤드레스트 조절형 카시트를 제공한다.Further, the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OSO fix of an automobile seat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a main body having a first fixing part and a second fixing part respectively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unit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main body is hinged to the main body and is accommodat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ype car seat.
그리고, 본 발명의 지지구는, 본체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는 커버와 그 내측에 수납되는 지지봉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본체에 결합되는 외부케이스의 내측에서 슬라이딩토록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조절형 카시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ssembly structure of a cover hinged to the body at one end thereof and a support bar housed inside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ver has a headrest adjusting type Provide a car sea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되어 유아에 적합한 카시트의 제공이 가능하고, 헤드레스트와 안전벨트가 동시에 이동토록 설치되어 안전벤트의 지지가 용이하며, 안전벨트에 작용하는 충격을 용이하게 분산시켜 중량을 최소화 하면서도 강도를 높이는 상승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headrest can be freely adjusted to provide a car seat suitable for an infant, and the headrest and the seat belt can be simultaneously moved to easily support the safety vent, The shock is easily dispersed to minimize the weight and increase the strength.
도1은 종래의 카시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동작상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r sea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 se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car se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동작상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car se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은, 등받이(13)와 받침(15)으로 이루어진 카시트(10)의 등받이(13)에 가변토록 되는 헤드레스트몸체(30)가 연결설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몸체(30)는, 등받이에 가이드홈, 가이드판, 가이드돌기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가이드(60)를 형성하여 헤드레스트몸체(30)가 승,하강토록 연결된다.The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몸체(30)는, 고정수단(50)을 통하여 가이드(60)의 일측에서 이동시 위치결정된다.In addition, the
계속하여, 상기 헤드레스트몸체(30)는, 안전벨트(71)가 고정되면서 가이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벨트지지구(70)의 일측과 연결되어 헤드레스트몸체(30)의 승,하강시 벨트지지구(70)가 동시에 승,하강토록 설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50)은, 가이드(60)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턱(53)과 헤드레스트몸체에 설치되면서 노브의 동작시 돌출및 수납토록 설치되는 걸림돌기(55)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means 50 includes a plurality of
더하여, 상기 등받이(13)는, 안전벨트의 일측이 지지되는 벨트지지구(70)의 지지봉(73)을 지지토록 복수의 보강판(40)이 후면 일측에 이격되어 각각 돌출되고, 상기 안전벨트에 하중의 작용시 위치결정토록 보강판(40)에 동일간격으로 지지홈(41)이 함몰 형성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카시트(10)는, 저면에 제1고정부(17)와 제2고정부(19)가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 본체(80)에 장착될 때 자동차 좌석의 아이에스오픽스에 고정토록 설치된다.The
이때, 상기 본체(80)는, 상기 제1,2고정부에 대응되는 제1,2위치결정부(81)(83)를 구비하여 본체에 카시트가 정,역방향으로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본체(80)에는 힌지(91)연결되어 본체의 저면에 수납홀(85)을 통하여 수납되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되는 지지구(90)가 더 연결된다.The
이때, 상기 지지구(90)는, 본체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커버(93)와 그 외측에 연결되는 지지봉(95)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본체(80)에 결합되는 외부케이스(97)의 내측에서 슬라이딩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2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카시트(10)가 자동차의 좌석에 안착될 자동차에 구비되는 안전벨트 및 좌석에 구비되는 아이에스오픽스에 삽입되어 고정토록 된다.As shown in Figs. 2 to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기 좌석에 안착되는 카시트(10)의 등받이(13)에 가변토록 되는 헤드레스트몸체(30)가 연결설치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토록 헤드레스트몸체(30)의 높이를 조절한다.The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몸체(30)는, 등받이에 가이드(60)를 형성하여 헤드레스트몸체(30)가 승,하강토록 연결되어 가이드(60)를 따라 헤드레스트몸체가 이동토록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몸체(30)는, 고정수단(50)을 통하여 가이드(60)의 일측에서 위치결정되어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헤드레스트몸체를 등받이(13)에 지지토록 한다.The
계속하여, 상기 헤드레스트몸체(30)는, 안전벨트(71)가 고정되는 벨트지지구(80)의 일측과 연결되어 헤드레스트몸체(30)의 승,하강시 벨트지지구(80)가 동시에 승,하강토록 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헤드레스몸체(30)의 조절시 안전벨트의 높이도 동시에 조절토록 되어 헤드레스트몸체 및 안전벨트의 조작이 한번의 동작에 의해 손쉽게 이루어진다.The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50)은, 가이드(60)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턱(53)과 노브의 동작시 돌출및 수납토록 설치되는 걸림돌기(55)로 이루어져 헤드레스트몸체에 구비되는 노브의 조작시 걸림돌기가 고정턱에서 이탈토록 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The fixing means 50 includes a plurality of
더하여, 상기 등받이(13)는 안전벨트의 일측이 지지되는 벨트지지구(70)의 지지봉(73)을 지지토록 복수의 보강판(40)이 일측에 돌출되어 지지봉(73)에 작용하는 하중을 복수의 보강판(40)에 의해 분산시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없이도 하중의 지지가 가능토록 된다.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40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이때, 상기 안전벨트에 하중의 작용시 위치결정토록 보강판(40)에 동일간격으로 지지홈(41)이 함몰 형성되어 지지봉(73)을 움직임 없이 정확하게 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카시트(10)는, 저면에 제1고정부(17)와 제2고정부(19)가 각각 구비되어 본체(80)에 장착될 때 자동차 좌석의 아이에스오픽스에 고정토록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본체(80)는, 상부면에 상기 제1,2고정부(17)(19)에 각각 대응되는 제1,2위치결정부(81)(83)를 구비하여 본체의 상측에서 카시트가 정,역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카시트(10) 저면의 이격되는 위치에는 제1고정부(17)와 제2고정부(19)가 각각 구비되어 카시트(10)의 제1,2고정부(17)(19)에 대응토록 본체(80)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위치결정부(81)(83)에 각각 결합되며, 도2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17)가 제1위치결정부(81)에 제2고정부(19)가 제2위치결정부(83)에 각각 결합될 때 카시트가 본체의 정방향을 향하게 된다.
또한, 도5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17)가 제2위치결정부(83)에 제2고정부(19)가 제1위치결정부(81)에 각각 결합될 때 카시트(10)가 본체(80)의 역방향을 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
5, when the
그리고, 상기 본체(80)에는 힌지(91)연결되어 본체의 저면에 수납되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되는 지지구(90)가 더 연결되어 좌석(100)에 장착시 지지구(90)가 가변되어 좌석의 폭 및 설치높이에 상관없이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한다.The
이때, 상기 지지구(90)는, 본체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커버(93)와 그 내측에 수납되는 지지봉(95)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그 돌출되는 정도의 조절이 가능토록 되어 좌석의 높이에 상관없이 지지가 가능토록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커버(93)는 본체(80)에 결합되는 외부케이스(97)의 내측에서 슬라이딩토록 설치되어 좌석의 폭에 상관없이 지지구를 노출시켜 원하는 높이에서 지지토록 하는 것이다.The
10...카시트 20...벨트지지구
21...안전벨트 30...헤드레스트몸체
40...보강판 41...지지홈
60...가이드 80...본체
90...지지구10 ... car seat 20 ... belt belt
21
40
60
90 ... district
Claims (5)
상기 헤드레스트몸체는, 고정수단을 통하여 등받이의 일측에서 위치결정되며,
상기 헤드레스트몸체는, 안전벨트의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헤드레스트몸체의 승,하강시 동시에 안전벨트가 승,하강토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가이드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턱과 헤드레스트몸체에 구비되는 노브의 동작시 돌출 및 수납토록 설치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이는, 안전벨트의 일측이 지지토록 하면서 가이드에 연결되는 벨트지지구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지지구에 지지봉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봉에 작용하는 힘을 동시에 분산 지지토록 복수의 보강판이 등받이의 일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안전벨트에 하중의 작용시 동일 높이에서 위치결정되어 지지토록 보강판에는 동일간격으로 지지홈이 각각 함몰 형성되며,
상기 카시트의 저면이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결합될 때 상기 본체는 자동차 좌석의 아이에스오픽스에 고정되고,
상기 카시트 저면의 이격되는 위치에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각각 구비되어 카시트의 제1,2고정부에 대응토록 본체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위치결정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부가 제1위치결정부에 제2고정부가 제2위치결정부에 각각 결합될 때 카시트가 본체의 정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1고정부가 제2위치결정부에 제2고정부가 제1위치결정부에 각각 결합될 때 카시트가 본체의 역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조절형 가능한 카시트.A guide is formed on the backrest of the car seat composed of the backrest and the support so that the headrest body is connected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The headrest body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backrest through fastening means,
The headrest body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of the seat bel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body so that the seat belt is lifted and lowered at the same time when the headrest body is lifted and lowered,
Wherein the fixing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fixing jaw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guide and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so as to be protruded and accommodated in the operation of the knob provided in the headrest body,
The backrest is provided with a belt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guide while supporting one side of the seat belt, a support ba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elt support member, an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lates And the reinforcing plates are formed with recesses at equal intervals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in the action of the load on the seatbelt,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seat is mounted on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OS-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positions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seat a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part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of the car seat ,
Wherein when the first fix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position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positioning portion, respectively, the car seat faces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is fixed to the second positioning portion, And the seat is installed so as to face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main body when the seat is coupled to the positioning portion, respectively.
상기 본체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커버와 그 내측에 수납되는 지지봉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본체에 결합되는 외부케이스의 내측에서 슬라이딩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형 가능한 카시트.[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is hinge-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accommodat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 cover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main body, and a support bar housed inside the cover,
Wherein the cover is installed so as to slide inside the outer case coupled to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29193A KR101578347B1 (en) | 2014-09-26 | 2014-09-26 | Infantile Car Seat with Head Rest Height Adjus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29193A KR101578347B1 (en) | 2014-09-26 | 2014-09-26 | Infantile Car Seat with Head Rest Height Adjusting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78347B1 true KR101578347B1 (en) | 2015-12-17 |
Family
ID=550810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291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8347B1 (en) | 2014-09-26 | 2014-09-26 | Infantile Car Seat with Head Rest Height Adjust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78347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050366A (en) * | 2018-08-24 | 2018-12-21 | 常州市博聪儿童用品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child seat head rest regulating mechanism |
| KR20190138184A (en) * | 2018-06-04 | 2019-12-12 | 이재원 | car-seat having headrest which operating pushing type knob |
| KR200494203Y1 (en) * | 2020-02-28 | 2021-08-24 | 이재원 | Headrest connection structure with stoppe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120614A (en) * | 2000-10-11 | 2002-04-23 | Combi Corp | child seat |
| JP2003094994A (en) * | 2001-09-25 | 2003-04-03 | Combi Corp | Support leg device for child seat |
| JP2007076643A (en) * | 2005-09-12 | 2007-03-29 | Jane Sa | Car seats for cars |
| JP2008296693A (en) * | 2007-05-30 | 2008-12-11 | Takata Corp | Child seat |
-
2014
- 2014-09-26 KR KR1020140129193A patent/KR10157834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120614A (en) * | 2000-10-11 | 2002-04-23 | Combi Corp | child seat |
| JP2003094994A (en) * | 2001-09-25 | 2003-04-03 | Combi Corp | Support leg device for child seat |
| JP2007076643A (en) * | 2005-09-12 | 2007-03-29 | Jane Sa | Car seats for cars |
| JP2008296693A (en) * | 2007-05-30 | 2008-12-11 | Takata Corp | Child seat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138184A (en) * | 2018-06-04 | 2019-12-12 | 이재원 | car-seat having headrest which operating pushing type knob |
| KR102122867B1 (en) * | 2018-06-04 | 2020-06-15 | 이재원 | car-seat having headrest which operating pushing type knob |
| CN109050366A (en) * | 2018-08-24 | 2018-12-21 | 常州市博聪儿童用品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child seat head rest regulating mechanism |
| KR200494203Y1 (en) * | 2020-02-28 | 2021-08-24 | 이재원 | Headrest connection structure with stopp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2692574B1 (en) | Base for child safety carrier | |
| EP3064396B1 (en) | Footrest for car seat | |
| US8764108B2 (en) | Adjustable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seat | |
| US8585138B2 (en) | Rigidifying system for single shell juvenile vehicle seat | |
| US8573693B2 (en) | Adjustable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 |
| US9022471B2 (en) |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seat | |
| CN105711449B (en) | child safety seat | |
| KR102173773B1 (en) | Baby car seats that can be repositioned | |
| US9475407B2 (en) | Folding vehicle seat | |
| CN104442466B (en) | motor vehicle child safety seat | |
| JP2015098194A5 (en) | ||
| TR201904556T4 (en) | Wear device for excavation equipment. | |
| US20100156160A1 (en) | Seat structure | |
| US9440562B2 (en) | Juvenile vehicle seat with adjustable base | |
| KR101353959B1 (en) | Auxiliary seat extension apparatus for automobile seat cushion | |
| KR101578347B1 (en) | Infantile Car Seat with Head Rest Height Adjusting | |
| US10730411B2 (en) | Motor vehicle seat | |
| KR101837428B1 (en) | headrest for vehicle | |
| KR101736699B1 (en) | Height adjustment device of wheelchair seat with shock absorber | |
| KR101600198B1 (en) | Childrens seats for vehicles | |
| CN210478453U (en) | Safety seat head protection device and safety seat | |
| CN112440841B (en) | Safety seat head restraints and safety seats | |
| EP4074577A1 (en) | Stroller | |
| KR20190138184A (en) | car-seat having headrest which operating pushing type knob | |
| KR101388986B1 (en) | Folding headrest for vehicle which is easy to assemble and adjust heigh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12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