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0116B1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116B1
KR101570116B1 KR1020080088560A KR20080088560A KR101570116B1 KR 101570116 B1 KR101570116 B1 KR 101570116B1 KR 1020080088560 A KR1020080088560 A KR 1020080088560A KR 20080088560 A KR20080088560 A KR 20080088560A KR 101570116 B1 KR101570116 B1 KR 101570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con
touch
content icon
acces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877A (ko
Inventor
곽지연
김현진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116B1/ko
Priority to US12/535,267 priority patent/US9007311B2/en
Priority to EP09167531A priority patent/EP2166463A1/en
Priority to CN200910168922A priority patent/CN101673176A/zh
Priority to CN201510568190.1A priority patent/CN105068720B/zh
Priority to CN201410047749.1A priority patent/CN103777888B/zh
Publication of KR2010002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877A/ko
Priority to US14/643,975 priority patent/US944294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1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06F16/287Visualization;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하는 컨텐츠 아이콘 초기 표시단계,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으로의 접근을 감지하면, 접근이 감지된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하는 컨텐츠 아이콘 인식단계, 미리 설정된 분류기준에 의해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를 탐색하는 컨텐츠 탐색 단계, 미리 설정된 표시방법에 따라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 및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하는 컨텐츠 아이콘 분류 표시단계,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되면,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근, 접촉,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터치스크린, 접근센서, 터치센서, 압력센서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ND EXECUTING CONTENTS U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접근 및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접근 위치의 컨텐츠 및 이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관련 컨텐츠를 탐색하고 실행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장치들이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 모양의 터치 기구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직접 접촉하면, 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접촉이 발생한 부분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해당되는 명령을 실행하거나 커서의 위치를 이동하도록 설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터치스크린은 입력부가 형성되는 공간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아, 소형 단말기에 적합하며, 현재 모바일 기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Touch User Interface) 기술도 다양화 되고 있다. 누르는 힘의 분포를 감지할 수 있는 촉각센서를 이용한 촉각센서(tactile sensor) 기반 터치스크린 방식, 사용자가 터치스크 린에 터치를 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켜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진동피드백 방식, 손가락 하나가 아닌 여러 손가락의 터치를 인식하여 표시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멀티터치(Multi-touch)방식 등이 최근 사용되는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과 더불어 최근에는 보다 간편하게 컨텐츠들을 탐색하는 방법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들 내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특정 컨텐츠를 탐색하여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터치동작을 여러 번 반복하여 컨텐츠 목록들을 검색해야 한다. 간편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관련해서 여러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는 터치 동작 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할 컨텐츠를 추천하여 표시하는 추천기능의 개발에 있어서도 종래의 터치스크린 방식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동작 수를 감소시켜 간편하게 컨텐츠를 탐색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동작 수를 감소시켜 간편하게 컨텐츠를 탐색하고 실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하는 컨텐츠 아이콘 초기 표시단계,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으로의 접근을 감지하면, 접근이 감지된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하는 컨텐츠 아이콘 인식단계, 미리 설정된 분류기준에 의해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를 탐색하는 컨텐츠 탐색 단계, 미리 설정된 표시방법에 따라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 및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하는 컨텐츠 아이콘 분류 표시단계,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되면,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탐색 및 실행을 위한 장치는 터치 기구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부, 터치 기구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 센서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적 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 및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접근 감지 센서부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하고, 미리 설정된 분류기준에 의해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를 탐색하고, 미리 설정된 표시방법에 따라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 및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터치 감지 센서부로부터 터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동작 수를 감소시켜 간편하게 컨텐츠를 탐색하고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동작수의 감소로 사용자에게 강화된 추천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접근 및 터치의 연속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정보의 내용물을 의미한다. 즉, 컨텐츠는 장치 내에 저장된 모든 정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사진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문서 파일, 각종 응용 프로그램 등은 모두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컨텐츠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 아이콘'은 화면상에 표시되며, 컨텐츠를 구분하는 기능을 갖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컨텐츠 아이콘은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구별되 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음악 컨텐츠와 사진 컨텐츠와 같이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컨텐츠는 서로 다른 컨텐츠 아이콘 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동일한 속성의 컨텐츠에 해당하더라도 분류기준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컨텐츠들이 모두 사진 컨텐츠에 해당한다 하더라도, 파일 확장자명이 다른 경우 서로 다른 컨텐츠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아이콘은 컨텐츠의 실행을 유도하며, 사용자는 컨텐츠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컨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일 형식'이란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각각의 컨텐츠들은 특정 '파일 형식'이 선택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어, 그림 컨텐츠의 경우, 파일 형식은 'JPEG 이미지', 'bit map 이미지', 'GIF 이미지' 등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음악 컨텐츠의 경우, 파일 형식은 'MP3 형식 사운드', 'Windows media 오디오 파일'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문서 파일은 'Jungum Global Document', '한글문서', 'Microsoft word 문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외에도 'Adobe Acrobat Document', '응용 프로그램' 등도 파일 형식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가 생성된 시점'은 컨텐츠가 제작된 시점, 컨텐츠가 저장된 시점 등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사진 컨텐츠의 경우, 컨텐츠가 생성된 시점은 사진이 촬영된 시점, 사진 컨텐츠가 저장된 시점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가 생성된 출처'는 컨텐츠 제작자 또는 제작기기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컨텐츠의 경우, 컨텐츠가 생성된 출처는 해당 사진을 촬영한 카메라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음악 컨텐츠의 경우, 컨텐츠가 생성된 출처는 음악 컨텐츠의 작곡자, 앨범제목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계 기능을 갖는 컨텐츠'는 특정 컨텐츠와 연속하여 수행되는 기능을 갖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홍길동'이라는 인물정보 관련 컨텐츠에 있어서, 이와 연계 기능을 갖는 컨텐츠에는 통화기능 컨텐츠, 메시지 송수신 컨텐츠, 이메일 송수신 컨텐츠, 사진 컨텐츠, 홈페이지 연결 컨텐츠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컨텐츠 탐색 및 실행을 위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PDA를 비롯한 휴대 단말기, 컴퓨터 및 TV 등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든 기기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터치스크린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부(110)는 표시부(112), 접근 감지 센서부(114) 및 터치 감지 센서부(116)를 포함한다.
표시부(112)는 LC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치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부(112)는 컨텐 츠 아이콘을 표시하며, 컨텐츠가 실행된 경우에 컨텐츠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접근 감지 센서부(114)는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으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으로 접근하고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도달하면 접근 감지 센서부(114)는 터치 기구의 접근을 감지한다. 접근 감지 센서부(114)는 정전용량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접근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접근 감지 센서부(114)는 터치 기구의 터치스크린으로의 접근을 감지하면, 접근 감지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접근 감지 신호에는 터치 기구의 접근을 감지하였는지 여부 및 터치 기구의 접근 위치 정보(수평적 위치 정보 및 수직적 위치 정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터치 감지 센서부(116)는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치 감지 센서부(116)는 정전용량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압력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센서부(116)는 터치 기구의 터치스크린으로의 터치를 감지하면 터치 감지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치 감지 신호에는 터치 기구의 터치를 감지하였는지 여부 및 터치 기구의 터치 위치 정보(수평적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프로그램을 비롯한 모든 컨텐츠 및 컨텐츠 아이콘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120)는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 하는 컨텐츠 및 특정 컨텐츠와 동일 범주에 포함되는 관련 컨텐츠들을 분류하는 분류기준을 저장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제어부(130)은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저장부(120)에 저장된 컨텐츠 및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부(112)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접근 감지 센서부(114)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터치 기구의 접근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하고,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를 탐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부(112)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터치 감지 센서부(116)로부터 터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의 동작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210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표시부(112)에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한다.
컨텐츠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기구의 터치스크린으로의 접근동작이 이루어진다(220단계). 터치 기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될 수 있으며, 터치펜과 같은 별도의 터치 기구가 될 수도 있다. 터치 기구의 터치스크린으로의 접근동작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 이내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설정된 거리는 접근 감지 센서부(114)가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하며, 접근 감지 센서부(114)의 감지 거리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서 수직 방향으로 터치 기구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x'라고 하고, 접근 감지 센서부(114)가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최대 감지 거리를 'TH'라고 한다면, 'x≤TH'를 만족할 때까지 터치 기구의 터치스크린으로의 접근동작이 이루어진다.
230단계에서 'x≤TH'가 만족되도록 터치 기구가 접근 감지 센서부(114)의 감지 거리 내에 위치하면 접근 감지 센서부(114)는 240단계에서 터치 기구의 접근을 감지하고 접근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로 송신한다.
접근 감지 센서부(114)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250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한다.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은 터치 기구의 위치에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 컨텐츠 아이콘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은 변경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근 감지 센서부(114)는 터치 기구의 위치에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한다.
260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분류기준에 의해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를 탐색한다.
도 3은 관련 컨텐츠 분류 기준에 따른 관련 컨텐츠 탐색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관련 컨텐츠 분류 기준은 도 3에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310단계에서 '파일 형 식'이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파일 형식'이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311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파일 형식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를 탐색한다. '파일 형식'이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320단계에서 '컨텐츠 명칭'이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컨텐츠 명칭'이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321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컨텐츠 명칭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를 탐색한다. '컨텐츠 명칭'이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330단계에서 '컨텐츠 생성 시점'이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컨텐츠 생성 시점'이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331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컨텐츠 생성 시점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를 탐색한다. '컨텐츠 생성 시점'이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340단계에서 '컨텐츠 생성 출처'가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컨텐츠 생성 출처'가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341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컨텐츠 생성 출처가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를 탐색한다. '컨텐츠 생성 출처'가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350단계에서 '연계 기능'이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연계 기능'이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351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인식된 컨텐 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연계 기능을 갖는 컨텐츠를 탐색한다. '연계 기능'이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360단계에서 '사용 빈도'가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사용 빈도'가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361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 빈도가 높은 컨텐츠를 탐색한다. '사용 빈도'가 관련 컨텐츠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370단계에서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최근 사용한 컨텐츠를 탐색한다.
또한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사진 컨텐츠에 대응하는 경우, 관련 컨텐츠 아이콘이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한 인물 화상을 포함하는 컨텐츠,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한 장소 화상을 포함하는 컨텐츠,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한 촬영수단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에 해당되도록 관련 컨텐츠 아이콘 분류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관련 컨텐츠가 탐색되면, 제어부(130)는 270단계에서 탐색한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도 4는 탐색한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표시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410단계에서 '아이콘 이동'이 관련 컨텐츠 아이콘 표시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아이콘 이동'이 표시 방법으로 설정되 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411단계에서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은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관련 컨텐츠 아이콘들은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의 주위로 이동하게 된다. 관련 컨텐츠 아이콘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관련 컨텐츠 아이콘들이 이동한 이후에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과 관련 컨텐츠 아이콘의 아이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아이콘 이동'이 표시방법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420단계에서 '표시영역 분할'이 표시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표시영역 분할'이 표시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421단계에서 컨텐츠 아이콘이 표시될 표시 영역을 분할한다. 표시 영역을 분할한 후 제어부(130)는 422단계에서 분할된 표시영역에 관련 컨텐츠 아이콘 별로 할당하여 표시한다. 표시 영역의 분할은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 및 이와 관련된 관련 컨텐츠 아이콘이 위치될 표시 영역만을 분할할 수 있으며,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 및 이와 관련된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제외한 다른 컨텐츠 아이콘들도 관련 컨텐츠 별로 분류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표시 영역 분할'이 표시방법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430단계에서 '아이콘 생성'이 표시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아이콘 생성'이 표시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431단계에서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을 중심으로 설정된 거리내의 영역에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관련 컨텐츠 아이콘은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전 개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아이콘 생성'이 표시방법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440단계에서 컨텐츠 아이콘의 현재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터치 감지 센서부(116)는 280단계에서 표시된 컨텐츠 아이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되면, 터치 감지 센서부(116)는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로 송신한다.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30)는 컨텐츠 아이콘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제어부(130)가 터치 감지 센서부(116)로부터 터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290단계에서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실행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탐색 및 실행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및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510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도 5b에 도시된 표시화면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의 바탕화면 또는 대기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b에는 9개의 컨텐츠 아이콘들이 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PIC1', 'PIC2', 'PIC3'는 그림 컨텐츠 아이콘에 해당하며, 'MUS1', 'MUS2', 'MUS3' 는 음악 컨텐츠 아이콘에 해당하고, 'WORD1', 'WORD2', 'WORD3'은 문서 컨텐츠 아이콘에 해당한다.
520단계에서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으로 접근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며, 터치스크린으로의 접근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 이내에 도달 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서 터치 기구까지의 거리를 'x'라고 하고, 접근 감지 센서부(114)가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TH'라고 한다면, 'x≤TH'를 만족할 때까지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으로 접근한다.
530단계에서 'x≤TH'의 조건이 만족하면, 접근 감지 센서부(114)는 540단계에서 터치 기구의 접근을 감지하고 접근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로 송신한다.
제어부(130)가 접근 감지 센서부(114)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550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한다.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은 터치 기구의 위치에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 컨텐츠 아이콘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은 변경 될 수도 있다. 도 5b에서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은 'PIC 3'에 해당한다.
560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분류기준에 의해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를 탐색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분류기준은 관련 컨텐츠가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파일형식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로 분류되도록 설정된다. 제어부(130)는 컨텐츠 아이콘 'PIC3'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관련 컨텐츠를 탐색한다. 제어부(130)는 'PIC3'와 파일형식이 동일한 컨텐츠를 탐색한다. 'PIC3'은 그림 컨텐츠에 해당하며 'JPEG 이미지', 'bit map 이미지', 'GIF 이미지' 등의 파일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PIC3'과 파일형식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 'PIC1' 및 'PIC2'를 탐색한다.
'PIC1' 내지 'PIC3'의 파일형식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IC1' 내지 'PIC3'는 모두 'JPEG 이미지' 파일형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는 'bit map 이미지' 또는 'GIF 이미지'에 해당될 수도 있다.
관련 컨텐츠가 탐색되면, 제어부(130)는 570단계에서 탐색한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아이콘 표시방법은 '아이콘 이동' 표시방법으로서 설정된다. 제어부(130)는 그림 컨텐츠에 대응하는 'PIC1', 'PIC2'를 'PIC3'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과 관련 컨텐츠 아이콘 간의 표시 간격, 관련 컨텐츠 아이콘의 이동 경로 등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관련 컨텐츠 아이콘들이 이동할 때,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 및 이와 관련된 관련 컨텐츠 아이콘 이외의 컨텐츠 아이콘들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터치 감지 센서부(116)는 580단계에서 표시된 컨텐츠 아이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되면 터치 감지 센서부(116)는 터치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로 송신한다.
제어부(130)가 터치 감지 센서부(116)로부터 터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590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터치 기구가 터치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하고 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실행한다. 도 5c는 사용자가 'PIC3'를 터치한 화면을 나타내며, 'PIC3'을 터치하면 이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실행된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탐색 및 실행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및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610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도 6b에 도시된 표시화면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의 바탕화면 또는 대기화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컨텐츠들을 포함하고 있는 폴더 내의 화면이 될 수도 있다. 도 6b에는 '데이트1', '데이트2', '데이트3', '풍경1', '풍경2', '풍경3', '친구1', '친구2' 및 '친구3'에 해당하는 9개의 사진(그림) 컨텐츠 아이콘들이 표시되어 있다.
620단계에서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으로 접근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며, 터치스크린으로의 접근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 이내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서 터치 기구까지의 거리를 'x'라고 하고, 접근 감지 센서부(114)가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TH'라고 한다면, 'x≤TH'를 만족할 때까지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으로 접근한다.
630단계에서 'x≤TH'의 조건이 만족하면, 접근 감지 센서부(114)는 640단계에서 터치 기구의 접근을 감지하고 접근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로 송신한다.
접근 감지 센서부(114)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650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한다.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은 터치 기구의 위치에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 컨텐츠 아이콘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 콘은 변경 될 수도 있다. 도 6b에서는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이 '친구3'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660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분류기준에 의해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를 탐색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분류기준은 관련 컨텐츠가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컨텐츠 명칭'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에 해당되도록 설정된다. 제어부(130)는 컨텐츠 아이콘 '친구3'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관련 컨텐츠를 탐색한다. 제어부(130)는 '친구3'와 컨텐츠 명칭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인 '친구1' 및 '친구2'를 탐색한다.
관련 컨텐츠가 탐색되면, 제어부(130)는 670단계에서 컨텐츠 아이콘이 표시될 표시영역을 분할한다. 분할방법은 컨텐츠 아이콘들이 구분되도록 설정되며,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고,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표시영역을 분할한 이후 680단계에서 탐색한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도 6c에는 '친구1' 내지 '친구3'의 컨텐츠 아이콘들이 '친구1' 내지 '친구3'을 제외한 컨텐츠 아이콘들과 구분되어 표시된 화면이 나타나 있다. '친구1' 내지 '친구3'에 대응하는 컨텐츠 아이콘들은 표시 화면의 상단부에 별도의 영역(점선부분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며, '친구1' 내지 '친구3'을 제외한 컨텐츠 아이콘들은 '친구1' 내지 '친구3'의 컨텐츠 아이콘들의 하부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6d에는 '친구1' 내지 '친구3' 이외의 다른 컨텐츠 아이콘들도 설정 된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표시된 화면이 나타나 있다. 분류기준은 컨텐츠 명칭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로 분류되도록 설정되며, '데이트1' 내지 '데이트3'의 컨텐츠 아이콘들, '풍경1' 내지 '풍경3'의 컨텐츠 아이콘들도 서로 표시 영역(점선부분영역)이 구분되어 표현된다.
터치 감지 센서부(116)는 690단계에서 표시된 컨텐츠 아이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되면 터치 감지 센서부(116)는 터치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로 송신한다.
제어부(130)가 터치 감지 센서부(116)로부터 터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695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터치 기구가 터치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하고 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실행한다. 도 6c 및 도 6d에서는 사용자가 '친구3'을 터치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친구3'이 터치되면 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표시한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탐색 및 실행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및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710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표시화면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의 바탕화면 또는 대기화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컨텐츠들을 포함하고 있는 폴더 내의 화면이 될 수도 있다. 도 7b에는 '홍길동', '김철수', '김영희', '김수미'에 해당하는 4개의 인물정보 관련 컨텐츠 아이콘들이 표시되어 있다.
720단계에서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으로 접근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며, 터치 스크린으로의 접근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 이내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서 터치 기구까지의 거리를 'x'라고 하고, 접근 감지 센서부(114)가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TH'라고 한다면, 'x≤TH'를 만족할 때까지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으로 접근한다.
730단계에서 'x≤TH'의 조건이 만족하면, 접근 감지 센서부(114)는 740단계에서 터치 기구의 접근을 감지하고 접근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로 송신한다.
접근 감지 센서부(114)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750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한다.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은 터치 기구의 위치에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 컨텐츠 아이콘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은 변경 될 수도 있다. 도 7b에서는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이 '홍길동'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760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분류기준에 의해 인식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를 탐색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분류기준은 관련 컨텐츠가 접근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연계기능'을 갖는 컨텐츠에 해당하도록 설정된다. 제어부(130)는 컨텐츠 아이콘 '홍길동'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관련 컨텐츠를 탐색한다. 제어부(130)는 '홍길동'과 '연계기능'을 갖는 컨텐츠를 탐색한다. 연계 기능 컨텐츠는 통화기능 컨텐츠, 메시지 송수신 컨텐츠, 이메일 송수신 컨텐츠, 사진 컨텐츠, 홈페이지 연결기능 컨텐츠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연계 기능 컨텐츠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연계 기능 컨텐츠는 컨텐츠 아이콘 별로 설정 가능하다.
관련 컨텐츠가 탐색되면, 제어부(130)는 770단계에서 탐색한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컨텐츠 아이콘 표시방법이 '아이콘 생성'이 표시방법으로서 설정된 경우에 해당한다. 제어부(130)는 표시부(112)를 통해 '홍길동' 컨텐츠 아이콘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에 관련 컨텐츠 아이콘들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관련 컨텐츠 아이콘이 표시되는 형태, 관련 컨텐츠 아이콘 간의 간격 등 역시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7b에는 관련 컨텐츠 아이콘들이 '홍길동' 컨텐츠 아이콘을 중심으로 방사형 형태로 표시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터치 감지 센서부(116)는 780단계에서 표시된 컨텐츠 아이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되면 터치 감지 센서부(116)는 터치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로 송신한다.
제어부(130)가 터치 감지 센서부(116)로부터 터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790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터치 기구가 터치된 위치의 컨텐츠 아이콘을 인식하고 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실행한다. 도 7c에는 사용자가 '이메일 송수신 컨텐츠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메일 송수신 컨텐츠 아이콘'을 터치하면 사용자는 '홍길동'에게 이메일을 송신하거나, '홍길동'으로부터 수신한 이메 일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컨텐츠 탐색 및 실행을 위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의 전체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관련 컨텐츠 분류 기준에 따른 관련 컨텐츠 탐색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탐색한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탐색 및 실행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및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탐색 및 실행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및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탐색 및 실행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및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0)

  1. 컨텐츠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으로의 터치 입력 수단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를 탐색하는 동작;
    상기 접근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의 영역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동작;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 또는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으로의 터치 입력 수단의 터치를 감지하면, 상기 터치가 감지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범주는 파일 형식, 컨텐츠 명칭, 컨텐츠 생성 시점 및 컨텐츠 생성 출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는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파일 형식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는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컨텐츠 명칭, 컨텐츠가 생성된 시점 및 컨텐츠가 생성된 출처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는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실행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사진 컨텐츠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는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한 인물 화상을 포함하는 컨텐츠,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한 장소 화상을 포함하는 컨텐츠,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한 촬영수단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동작은,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 아이콘이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 아이콘 이외의 컨텐츠 아이콘들과 구분되도록 표시 영역을 분할하는 동작; 및
    상기 분할된 표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 아이콘 이외의 컨텐츠 아이콘들을 미리 설정된 분류기준에 따라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컨텐츠 별로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의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입력 수단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부;
    상기 터치 입력 수단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 센서부;
    컨텐츠 아이콘들 및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컨텐츠 아이콘들 및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접근 감지 센서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으로의 터치 입력 수단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동일 범주로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를 탐색하고,
    상기 접근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의 영역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컨텐츠 아이콘을 이동시키고,
    상기 터치 감지 센서부를 통해, 상기 접근된 컨텐츠 아이콘 또는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으로의 터치 입력 수단의 터치를 감지하면, 상기 터치가 감지된 컨텐츠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범주는 파일 형식, 컨텐츠 명칭, 컨텐츠 생성 시점 및 컨텐츠 생성 출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080088560A 2008-09-09 2008-09-09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Active KR101570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560A KR101570116B1 (ko) 2008-09-09 2008-09-09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US12/535,267 US9007311B2 (en) 2008-09-09 2009-08-04 Method and device to search for and execute content using a touch screen
EP09167531A EP2166463A1 (en) 2008-09-09 2009-08-10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for and executing content using touch screen
CN201510568190.1A CN105068720B (zh) 2008-09-09 2009-09-04 使用触摸屏搜索和执行内容的方法和装置
CN200910168922A CN101673176A (zh) 2008-09-09 2009-09-04 使用触摸屏搜索和执行内容的方法和装置
CN201410047749.1A CN103777888B (zh) 2008-09-09 2009-09-04 使用触摸屏搜索和执行内容的方法和装置
US14/643,975 US9442947B2 (en) 2008-09-09 2015-03-10 Method and device to search for and execute content using a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560A KR101570116B1 (ko) 2008-09-09 2008-09-09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877A KR20100029877A (ko) 2010-03-18
KR101570116B1 true KR101570116B1 (ko) 2015-11-19

Family

ID=4127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560A Active KR101570116B1 (ko) 2008-09-09 2008-09-09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007311B2 (ko)
EP (1) EP2166463A1 (ko)
KR (1) KR101570116B1 (ko)
CN (3) CN1016731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1135B2 (en) 2004-07-30 2013-02-19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8232973B2 (en) 2008-01-09 2012-07-31 Apple Inc. Method,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providing word recommendations for text input
US9229615B2 (en) 2009-02-23 2016-01-0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tems
KR101677621B1 (ko) * 2010-03-12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2027515A (ja) * 2010-07-20 2012-02-09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CN101923437A (zh) * 2010-09-02 2010-12-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移动终端的屏幕提示方法及该智能移动终端
US8515984B2 (en) 2010-11-16 2013-08-20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search term suggestion engine
US20120124072A1 (en) * 2010-11-16 2012-05-1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level search user interface
US10346479B2 (en) 2010-11-16 2019-07-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acilitating interaction with system level search user interface
US10073927B2 (en) 2010-11-16 2018-09-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gistration for system level search user interface
CN102486715B (zh) * 2010-12-06 2014-12-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对象处理方法及对象处理装置、电子设备
FR2971066B1 (fr) * 2011-01-31 2013-08-23 Nanotec Solution Interface homme-machine tridimensionnelle.
CN102681653B (zh) * 2011-03-14 2016-03-30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提示方法、信息提示装置以及电子设备
US8479110B2 (en) * 2011-03-20 2013-07-02 William J. Johnson System and method for summoning user interface objects
EP2715499B1 (en) * 2011-05-23 2020-09-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visible control
KR101709510B1 (ko) * 2011-06-03 2017-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2289348A (zh) * 2011-07-01 2011-12-2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触摸屏操作状态提示方法和装置
DE102011110974A1 (de) 2011-08-18 2013-02-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edienen einer elektronischen Einrichtung und/ oder Applikationen
CN102955693B (zh) * 2011-08-30 2016-08-3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行为提醒方法及系统
CN102510420B (zh) * 2011-09-30 2014-01-01 北京风灵创景科技有限公司 快速对移动终端内的多个桌面元素进行统一操作的方法
JP5647968B2 (ja) * 2011-11-22 2015-01-0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107663B2 (ja) * 2011-12-19 2017-04-05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8745058B1 (en) * 2012-02-21 2014-06-03 Google Inc. Dynamic data item searching
CN105159562A (zh) * 2012-03-31 2015-12-1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界面的操作触发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2681847B (zh) * 2012-04-28 2015-06-03 华为终端有限公司 触屏终端对象处理方法及触屏终端
WO2013177761A1 (zh) * 2012-05-30 2013-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和装置
CN103513903A (zh) * 2012-06-28 2014-01-15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触摸型电子装置及其图标管理方法
CN103577081B (zh) * 2012-07-30 2018-07-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调整显示输出的方法及电子设备
CN102929479A (zh) * 2012-09-27 2013-02-13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应用图标的显示方法及通信终端
KR20140062886A (ko) * 2012-11-15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4117384A1 (en) 2013-02-01 2014-08-07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image-based search using touch controls
FR3002052B1 (fr) 2013-02-14 2016-12-09 Fogale Nanotech Procede et dispositif pour naviguer dans un ecran d'affichage et appareil comprenant une telle navigation
KR102146244B1 (ko) 2013-02-22 2020-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US9830360B1 (en) * 2013-03-12 2017-11-28 Google Llc Determining content classifications using feature frequency
US10229258B2 (en) * 2013-03-27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JP6186964B2 (ja) * 2013-07-08 2017-08-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制御装置
KR101422208B1 (ko) * 2013-08-19 2014-07-24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터치 단말의 좌우 스크롤을 이용하는 유사 문서 검색 시스템 및 유사 문서 검색 방법
CN103677567B (zh) * 2013-12-04 2018-07-0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移动终端操作处理方法和移动终端
CN103648047A (zh) * 2013-12-23 2014-03-19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资源搜索方法及系统
US10255267B2 (en) 2014-05-30 2019-04-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redictive keyboard
CN104063129A (zh) * 2014-06-27 2014-09-24 华为技术有限公司 应用工具的分类方法和移动终端
CN104133885A (zh) * 2014-07-29 2014-11-0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类分组方法
KR102302353B1 (ko) 2014-07-31 2021-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ui 표시 방법
CN106648284A (zh) * 2015-11-04 2017-05-10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图标排序的方法、装置及终端
CN106873864A (zh) * 2015-12-10 2017-06-2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20180074403A (ko) * 2016-12-23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9032491B (zh) * 2018-07-23 2021-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N109710146B (zh) * 2018-12-07 2022-03-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文档显示方法及装置
US11194467B2 (en) 2019-06-01 2021-12-07 Apple Inc.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US11416136B2 (en) 2020-09-14 2022-08-1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ssigning and responding to user inpu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1871A1 (en) 2004-07-30 2006-07-20 Apple Computer,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20070192749A1 (en) * 2003-02-03 2007-08-16 Microsoft Corporation Accessing remote screen content
US20080055263A1 (en) * 2006-09-06 2008-03-06 Lemay Stephen O Incoming Telephone Call Managem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9667A (en) * 1995-06-06 1997-11-18 Silicon Graphics, Inc. Methods and system of controlling menus with radial and linear portions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AU7339100A (en) * 1999-08-31 2001-03-26 Eliberation.Com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a dynamic networked commerce architecture
US6865568B2 (en) * 2001-07-16 2005-03-0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earching and navigating a document database
US6747591B1 (en) * 2001-11-20 2004-06-0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information while commanding operation of an appliance
JP2003271630A (ja) 2002-03-15 2003-09-26 Yamaha Corp 情報検索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JP2003280982A (ja) * 2002-03-20 2003-10-03 Seiko Epson Corp 多次元メモリのデータ転送装置及び多次元メモリの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並びに多次元メモリのデータ転送方法
US7663605B2 (en) * 2003-01-08 2010-02-16 Autodesk, Inc. Biomechanical user interface elements for pen-based computers
EP1766502A2 (en) 2004-06-29 2007-03-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layered display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06031499A (ja) 2004-07-20 2006-02-02 Denso Corp 情報入力表示装置
US7580952B2 (en) 2005-02-28 2009-08-25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digital image grouping using criteria based on image metadata and spatial information
US20080098331A1 (en) * 2005-09-16 2008-04-24 Gregory Novick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with Soft Keyboards
JP4123277B2 (ja) 2006-01-1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CN101079784A (zh) * 2006-05-24 2007-11-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互联网资源的搜索方法及其搜索系统
KR20070119946A (ko) 2006-06-16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20080066135A1 (en) 2006-09-11 2008-03-13 Apple Computer, Inc. Search user interface for media device
US8599251B2 (en) * 2006-09-14 2013-12-03 Olympus Imaging Corp. Camera
CN101146178A (zh) * 2006-09-14 2008-03-19 奥林巴斯映像株式会社 摄像机
US7956847B2 (en) * 2007-01-05 2011-06-07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US8219936B2 (en) * 2007-08-30 2012-07-10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ing a user's gesture in the proximity of an electronic device
US8432365B2 (en) * 2007-08-30 2013-04-3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for three-dimensional touchscreen
US9513765B2 (en) * 2007-12-07 2016-12-06 Sony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sliding object arrangement method and system
US20090172571A1 (en) * 2007-12-28 2009-07-02 Nokia Corporation List based navigation for data i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2749A1 (en) * 2003-02-03 2007-08-16 Microsoft Corporation Accessing remote screen content
US20060161871A1 (en) 2004-07-30 2006-07-20 Apple Computer,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20080055263A1 (en) * 2006-09-06 2008-03-06 Lemay Stephen O Incoming Telephone Call Managem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3176A (zh) 2010-03-17
US9442947B2 (en) 2016-09-13
US20150186400A1 (en) 2015-07-02
US20100060599A1 (en) 2010-03-11
KR20100029877A (ko) 2010-03-18
CN105068720A (zh) 2015-11-18
US9007311B2 (en) 2015-04-14
CN105068720B (zh) 2018-06-15
CN103777888B (zh) 2018-01-16
CN103777888A (zh) 2014-05-07
EP2166463A1 (en)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116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US20200201901A1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89706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5485220B2 (ja) 表示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19989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US2021008920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pying and pasting content in a computing device
US8558790B2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3351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ists using multi-touch
KR102062763B1 (ko) 상황 정보 기반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록 매체
EP314479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CN112181226B (zh) 用于提供内容的方法和装置
US20130318437A1 (en)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20100034411A (ko) 파일 속성정보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9541875A (ja) 接触感知ディスプレイ上でのジェスチャの速度に応答するブラウジング
CN101981537A (zh) 拖放具有触敏屏幕的便携电子设备的用户界面
KR20150021722A (ko) 스크롤 실행의 화면 표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13218379A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306535B1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61028B1 (ko)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TW201617800A (zh) 提供裝置的內容的方法與所述裝置
KR20120105105A (ko) 제스쳐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구비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20150142375A (ko)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JP201514162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