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1247B1 - Portable deck and tent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rtable deck and tent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247B1
KR101571247B1 KR1020140079893A KR20140079893A KR101571247B1 KR 101571247 B1 KR101571247 B1 KR 101571247B1 KR 1020140079893 A KR1020140079893 A KR 1020140079893A KR 20140079893 A KR20140079893 A KR 20140079893A KR 101571247 B1 KR101571247 B1 KR 10157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s
bars
bar
horizon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8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상웅
Original Assignee
조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웅 filed Critical 조상웅
Priority to KR102014007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247B1/en
Priority to PCT/KR2015/002521 priority patent/WO201519931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24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접이식 구조를 적용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지형의 굴곡이나 높이 편차에 상관없이 일정한 수평 높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형 데크가 개시된다. 상기 휴대형 데크는, 복수의 지주부; 상기 복수의 지주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편평한 바닥구조를 형성하는 상판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지주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바와, 상기 복수의 지주부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평바의 단부에 연결된 복수의 지주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평바 각각은 그 길이 중간에서 하부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지주 연결부 각각은 그에 연결된 수평바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한다.A portable deck is disclosed which is easy to carry by applying a folding structure and can secure a space of a certain horizontal height irrespective of the bend or height deviation of the terrain. The portable deck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 frame part vertically slidab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And a top plate portion disposed above the frame portion to form a flat bottom structure. The frame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rranged between two adjacent peripheral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olumn connecting portions provided to be slidable on the respectiv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and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horizontal bars, .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may be folded downward in the middle of its length,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olumn connecting portions connects the horizontal bars connected thereto so as to be rotatable upward.

Description

휴대형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PORTABLE DECK AND TENT COMPRISING THE SAME}[0001] DESCRIPTION [0002] PORTABLE DECK AND TENT COMPRISING THE SAME [0003]

본 발명은 휴대형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식 구조를 적용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지형의 굴곡이나 높이 편차에 상관없이 일정한 수평 높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형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ck and a tent including the portable deck.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ck and a portable deck which can be easily carried by applying a folding structure and can secure a space of a predetermined horizontal height irrespective of bending or height variation of the terra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that includes a tent.

최근 주 5일제 근무환경이 정착되고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도시를 떠나 자연 환경에서의 생활을 즐기는 캠핑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캠핑에 필요한 각종 장비에 대한 관심과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As the recent five - day working environment has been settled and the interes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has increased, the camping population that has left the city and enjoys life in the natural environment has increased sharply. Accordingly, interest and demand for various equipments required for camping are expanding.

캠핑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 중 하나는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의 취침 공간을 제공하는 텐트이다. 텐트는 안락하고 편안한 취침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장비이다.One of the most important equipment in camping is a tent that provides sleeping space for campers. Tents are an important piece of equipment that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f campers by providing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sleeping area.

일반적으로, 텐트는 일정 공간의 편평한 지면에 직접 설치하게 된다. 이 경우, 지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습기와 냉기 등으로 인해 숙면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또한, 텐트를 설치한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몸의 일부분에 압박을 가하여 편안한 잠자리가 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Generally, the tent is installed directly on a flat surface of a certain space. In this case, moisture and cold air coming in from the ground can interfere with a good night's sleep. In addition, if the ground on which the tent is installed is uneven, a part of the body may be put under pressure, so that a comfortable sleeping may not be achieved.

특히, 관리가 잘된 야영장을 제외한 일반 자연 환경에서는 지형의 굴곡 등이 심해 텐트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지면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캠핑을 위해서는 텐트 설치 공간 이외에 별도의 생활 공간도 요구되는데 텐트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도 어려운 환경에서 별도의 생활 공간까지 확보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존재한다.Especially, in a normal natural environment, except for well-managed camping grounds, there is a case where the floor required for installing a deep tent is not ensured because the terrain is bent.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tent installation space, a separate living space is also required for camping.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ation of the tent, there is a great difficulty in securing a separate living space.

따라서, 당 기술 분야에서는 텐트 설치를 위한 편평한 바닥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이동이 많은 캠핑 환경에서 휴대성을 고려한 바닥 구조 확도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in the art for a technique that can provide a flat floor structure for tent installation. Especially, in the camping environment with high mobility,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technology for floor structure accuracy considering portability.

본 발명은, 접이식 구조를 적용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지형의 굴곡이나 높이 편차에 상관없이 일정한 수평 높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형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deck and a tent including the portable deck which can secure a space of a predetermined horizontal height regardless of the bend or height deviation of the terrain by applying a folding structure and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And to solve such a problem.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지주부;A plurality of bearing housings;

상기 복수의 지주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프레임부; 및A frame part vertically slidab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And

상기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편평한 바닥구조를 형성하는 상판부를 포함하며,And a top plate portion disposed above the frame portion to form a flat bottom structure,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지주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바와, 상기 복수의 지주부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평바의 단부에 연결된 복수의 지주 연결부를 포함하며,The frame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rranged between two adjacent peripheral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olumn connecting portions provided to be slidable on the respectiv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and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horizontal bars, ≪ / RTI &

상기 복수의 수평바 각각은 그 길이 중간에서 하부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며,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is capable of folding downward in the middle of its length,

상기 복수의 지주 연결부 각각은 그에 연결된 수평바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데크를 제공한다.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olumn connecting portions is connected to a horizontal bar connected thereto so as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지주 연결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중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크로스바; 및 상기 복수의 크로스바 각각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중심부에 배치된 중앙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지주 연결부 각각은 그에 연결된 상기 크로스바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크로스바를 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rossbars, one end of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trut connection portions and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rame portion; And a central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rossbars and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column connecting portions connects the crossbar connected thereto so as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direction, and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can connect the plurality of crossbars so as to be rotatable in a downward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 각각에 연결되며, 자신이 연결된 지주부에 연결된 상기 수평바를 그 하부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nd supporting the horizontal bar connected to the peripheral portion to which the support bar is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지지바 연결부; 상기 제1 지지바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지지바; 및 상기 제1 지지바 연결부가 설치된 지주부에 연결된 상기 수평바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의 타단이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2 지지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 각각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 지지바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지지바 연결부 각각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 slidably installed on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 plurality of support bar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art;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s that are respectively slidable to the horizontal bars connected to the peripheral portion where the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s are installed, and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는 길이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may be adjustable in l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 각각에 연결되며, 자신이 연결된 지주부에 연결된 상기 수평바 및 상기 크로스바를 그 하부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supporting the horizontal bar and the crossbar connected to the peripheral portion to which the crossbar is connected, .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지지바 연결부; 상기 제1 지지바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지지바; 및 상기 제1 지지바 연결부가 배치된 지주부에 연결된 상기 수평바 및 상기 크로스바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바의 타단이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2 지지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 각각의 양단은 상기 제1 지지바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지지바 연결부 각각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 slidably installed on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 plurality of support bar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art;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s which are respectively slidable to the horizontal bars and the cross bar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where the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s are disposed and to which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Here,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는 길이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may be adjustable in l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중앙 연결부에 일단이 각각 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상판 결합빔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상판 결합빔의 타단은 각각 상기 수평바 중 상호 대향하는 수평바의 중심부 상에 각각 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top plate coupling beam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top plate coupling beams ar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s Can b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s of the mutually opposing horizontal bar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상판 결합빔은 그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을 가지며, 상기 상판부는 일단이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복수의 상판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 패널의 절곡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상판 패널의 타단은 상기 복수의 수평바 중 적어도 일부에 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upper plate coupling beams have insertion groov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plate panels having one end bent part b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bent portion of the upper panel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panel may be moun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 연결부 또는 상기 수평바 중 적어도 하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부 외부로 연장된 타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aff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or the horizontal bar, and the other end extending outside the frame por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지주부와, 상기 복수의 지주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편평한 바닥구조를 형성하는 상판부를 포함하는 데크; 및A deck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 frame portion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in a vertically slidable manner, and an upper plate portion disposed above the frame portion to form a flat bottom structure; And

상기 휴대형 데크의 상판부 상에 설치된 텐트부를 포함하며,And a tent portion provided on the top plate portion of the portable deck,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지주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바와, 상기 복수의 지주부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평바의 단부에 연결된 복수의 지주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를 제공한다.The frame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rranged between two adjacent peripheral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olumn connecting portions provided to be slidable on the respectiv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and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horizontal ba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nt comprising: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텐트부는, 상기 휴대형 데크의 상판부 상면에 배치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면 상부에 배치되는 천장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휴대용 데크의 상기 복수의 지주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천장구조물과 연결된 복수의 텐트용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천장구조물과 상기 바닥면은 상호 분리되어 각각이 개별적으로 상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t part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portion of the portable deck, and a ceiling structur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bottom surface. He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ent connection portions which are slidably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of the portable deck and are connected to the ceiling structure. Here, the ceiling structure and the bottom surface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ach of the ceiling structure and the bottom surface may be individually determined in the vertical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판부는 복수의 상판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의 일부 영역은 탈부착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개구부 하부에 배치된 상기 상판부의 상판 패널이 제거된 위치에 설치된 사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plate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op plate panels, and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may include openings formed by detachment and attachment.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adder portion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upper panel panel of the upper plate portion disposed below the opening portion is remov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 연결부 또는 상기 수평바 중 적어도 하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부 외부로 연장된 타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or the horizontal bar,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por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tarpauli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텐트용 연결부 중 적어도 일부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외부 방향으로 설치된 타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appet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tent connection portions, and which is installed at an outer side of the frame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데크의 바닥 구조를 형성하는 상판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지주부를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 시켜 이동 가능하므로 원하는 높이의 바닥 구조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me portion supporting the upper plate portion forming the bottom structure of the portable deck can be freely slid along the support portion, the floor structure having a desired height can be easily formed.

따라서, 지주부가 적절한 높이를 갖도록 구현하고 프레임부를 충분히 높게 이동시켜 고정한 경우, 데크의 바닥 구조의 하부에도 충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데크의 상판부 상부에 텐트를 설치하여 휴식이나 수면 공간으로 활용하고, 데크의 상판부의 하부에 생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좁은 면적에도 편안한 캠핑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upporting part is realized to have a proper height and the frame part is moved and fixed at a sufficiently high height, a sufficient space can be formed also in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structure of the deck. In other words, a tent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ck so that it can be used as a resting or sleeping space, and a living space can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eck top plate, so that a comfortable camping environment can be created in a narrow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데크의 상판부 상에서 인가되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확보하면서도, 프레임부를 구성하는 바 구조 자체의 꺾임이나 바 구조의 연결부에 구현된 슬라이딩 기능 및 상하부 회동 기능을 통해 프레임부 자체를 접이식으로 구현할 수 있어, 데크의 휴대성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pporting structure capable of sufficiently supporting the load applied on the top plate portion of the portable deck,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liding function realized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bar structure, The frame part itself can be folded and the portability of the deck can be ensu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부 상에 설치된 텐트부의 바닥면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개구부 하부의 상판 패널의 일부를 제거한 위치에 용이하게 사다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텐트부가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도 텐트부 내의 출입이 간편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adder can be easily provided at the position where the opening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nt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late portion and a part of the upper panel panel below the opening is removed, even when the tent portion is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Access is eas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텐트부의 바닥면과 천장구조물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구현하고 분리된 바닥면과 천장구조물을 상호 개별적으로 데크부의 지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생활 공간을 확보하여 캠핑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nt part and the ceiling structure can be detachably mounted, and the separated floor surface and the ceiling structure can be individually moved up and down the support of the deck part, The satisfaction of camping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의 프레임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데크의 지주부에 설치된 지주 연결부 주변을 더욱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데크를 하부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및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데크의 중앙 연결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의 프레임부가 접힌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의 상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 프레임부에 상판부를 구성하는 상판 패널이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를 포함하는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를 포함하는 텐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ame portion of the portable deck in more detai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rther enlarged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pillar connection portion provided in the pillar portion of the portable deck show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rtable deck shown in FIG. 2 in a downward direc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ntral connecting portion of the portable deck in more detail.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form of a frame of a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plate portion of a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op plate panel of a portable deck fram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with the top plate panel.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including a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ent including a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so that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It will not be understood as meaning.

특히,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첨부도면 및 그에 대한 설명은 4 개의 지주부(11-1 내지 11-4)를 포함하는 데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데크가 4 개의 지주부(11-1 내지 11-4)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지주부 중 두 개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바(21-1, 21-2, 22-1, 22-2)는 두 개의 가로바(21-1, 21-2) 및 두 개의 수평바(22-1, 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루어지는 지주부, 수평바, 크로스바, 지지부, 지지바 등에 대한 개수에 대한 설명은4 개의 지주부를 갖는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의 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개수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자명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fo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late to a deck including four support portions 11-1 to 11-4. When the de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support portions 11-1 to 11-4, the horizontal bars 21-1, 21-2, and 22-4 disposed between two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 and 22-2 may include two horizontal bars 21-1 and 21-2 and two horizontal bars 22-1 and 22-2.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number of pivots, the horizontal bars, the crossbars, the support portions, the support bars and the like applied to the embodiments having four support portions is not limited by the number of the support por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number of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는, 복수의 지주부(11-1 내지 11-4)와 지주부(11-1 내지 11-4)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레임부(20) 및 프레임부(20) 상에 바닥구조를 형성하는 상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1-1 to 11-4 and support portions 11-1 to 11-4 which are vertically slid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top plate portion 30 forming a bottom structure on the frame portion 20 and the frame portion 20.

지주부(11-1 내지 11-4)는 프레임부(20)를 고정하기 위한 요소로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주부(11-1 내지11-4)는 데크를 지탱하기 위해 충분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갖는 스테인레스 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s 11-1 to 11-4 may be implemented as columns for arranging the frame portion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support portions 11-1 to 11-4 may be embodied as stainless pipes having a sufficient diameter to support a sufficient load to support the deck.

지주부(11-1 내지 11-4) 각각은 프레임부(20)의 위치를 사전 설정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는 지주부(11-1 내지 11-4)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지주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 구조의 스톱라인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홈 구조의 스톱라인에 스토퍼를 설치하고 이 스토퍼 상부에 후술하는 지주부 연결부(23-1 내지 23-4) 및 제1 지지바 연결부(261)를 배치하면, 지주부(11-1 내지 11-4)를 따라 슬라이딩 하는 지주부 연결부(23-1) 및 제1 지지바 연결부(261)가 하부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Each of the support portions 11-1 to 11-4 may include a stopp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frame portion 2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the stopper may be provided on the stop line of the groove structu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in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11-1 to 11-4. When the stopper is provided on the stop line of such a groove structure and the supporting portion connecting portions 23-1 to 23-4 and the first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 261 described later are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The first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 23-1 and the first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 261, which slide along the first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 26-1 and the second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 26-1, can not be moved further downward and their positions can be determined.

프레임부(20)는 지주부(11-1 내지 11-4)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테크의 바닥 구조를 형성하는 상판을 거치할 수 있는 지지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프레임부(20)는 각종 연결부에 구비되는 회동 수단과 프레임부(20)를 형성하는 바 등의 접힘 수단 등을 통해 전체 구조물을 접이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frame part 20 is a supporting structure that is vertically mov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s 11-1 to 11-4 and can mount the upper plate forming the bottom structure of the te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20 can be foldably mounted on the entire structure through pivoting means provided on various connecting portions and folding means such as a bar forming the frame portion 20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의 프레임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형 데크에서 지주부에 설치된 지주 연결부 주변을 더욱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ame portion of the portable deck in more detai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deck shown in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의 프레임부(20)는 제1 가로바(21-1)와, 이 제1 가로바(21-1)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가로바(21-2)와, 제1 세로바(22-1)와, 이 제1 세로바(22-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세로바(22-2)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평바와, 4 개의 지주부(11-1 내지 11-4)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 가로바(21-1) 및 제2 가로바(21-2) 중 하나의 단부와 제1 세로바(22-1) 및 제2 세로바(22-2) 중 하나의 단부에 연결된 4 개의 지주 연결부(23-1 내지 2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and 3, the frame portion 20 of the portable de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rizontal bar 21-1 and a second horizontal bar 21-1 parallel to the first horizontal bar 21-1 A first vertical bar 22-1 and a second vertical bar 22-2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vertical bar 22-1, And one of the first horizontal bar 21-1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21-2 is provided so as to be slidable on each of the four support portions 11-1 to 11-4, And four column connecting portions 23-1 to 23-4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vertical bar 22-1 and the second vertical bar 22-2.

제1 가로바(21-1) 및 제2 가로바(21-2)는 그 길이 중간에 하부 방향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힌지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 세로바(22-1) 및 제2 세로바(22-2) 역시 그 길이 중간에 하부 방향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힌지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horizontal bar 21-1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21-2 may have a hinge portion 211 so as to be foldable downwar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thereof. Similarly, the first vertical bar 22-1 and the second vertical bar 22-2 may be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221 so that they can be folded downward in the middle thereof.

또한, 4 개의 지주 연결부(23-1 내지 23-4)는 각각 지주부(11-1 내지 11-4)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주 연결부(23-1 내지 23-4)는 지주부(11-1 내지 11-4)가 관통하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주 연결부(23-1 내지 23-4) 각각은 제1 및 제2 가로바(21-1 및 21-2) 중 하나의 단부와 제1 및 제2 세로바(22-1 및 22-2) 중 하나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가 전술한 원통형상의 측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4 개의 지주 연결부(23-1 내지 23-4)는 그에 연결된 제1 및 제2 가로바(21-1 및 21-2) 중 하나와 제1 및 제2 세로바(22-1 및 22-2) 중 하나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연결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방향의 회동이 가능한 연결구조의 일례로 지주 연결부(23-1 내지 23-4)에 연결된 제1 및 제2 가로바(21-1 및 21-2) 중 하나와 제1 및 제2 세로바(22-1 및 22-2) 중 하나의 회전축에 핀을 적용하고 하부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갖는 구조를 일례로서 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연결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부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당 기술분야의 다양한 연결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four strut connecting portions 23-1 to 23-4 can be installed to be vertically slidable on the support portions 11-1 to 11-4, respectively. To this end, the column connecting portions 23-1 to 23-4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through which the support portions 11-1 to 11-4 penetrate. Each of the column connecting portions 23-1 to 23-4 has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21-1 and 21-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ars 22-1 and 22-2, 2 may be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cylindrical side surface portion. Particularly, the four column connecting portions 23-1 to 23-4 are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21-1 and 21-2 connected thereto an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ars 22-1 and 22-2 -2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and 3,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21-1 and 21-2 connected to the pillar connecting portions 23-1 to 23-4, for example, And a guide portion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lower portion by applying a pin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ars 22-1 and 22-2.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nection structure, and various connection structures in the art enabling the upper rotation can be applied.

전술한 것과 같은 구조를 통해, 제1 및 제2 가로바(21-1 및 21-2) 및 제2 세로바(22-1 및 22-2)가 각각 길이 중간에서 접히면서 연결된 지주 연결부(23-1 내지 23-4)에서 상부회동이 발생함으로써 전체 구조가 중심부로 모여 접히는 구조가 구현 가능하게 된다.Throug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21-1 and 21-2 and the second vertical bars 22-1 and 2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holding joints 23 -1 to 23-4), the structure in which the entire structure is gathered at the central portion and folded can be realized.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데크를 하부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및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데크의 중앙 연결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rtable deck shown in FIG. 2 in a downward direc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ntral connecting portion of the portable deck in more detail.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판부를 더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부(20)는, 일단이 4 개의 지주 연결부(23-1 내지 23-4)와 각각 연결되어 프레임부의 중심 방향으로 배치된 제1 크로스바 내지 제4 크로스바(24-1 내지 24-4) 및 제1 크로스바 내지 제4 크로스바(24-1 내지 24-4)의 타단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중심부에 배치된 중앙 연결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o 4,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firmly support the upper plate portion, the frame portion 20 is connected to one of the four column connecting portions 23-1 to 23-4 Are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first through fourth crossbars (24-1 through 24-4) and the first through fourth crossbars (24-1 through 24-4)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portion, And a central connecting portion 25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제1 크로스바 내지 제4 크로스바(24-1 내지 24-4)의 일단은 전술한 제1 및 제2 가로바(21-1 및 21-2) 또는 제1 및 제2 세로바(22-1, 22-2)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조로 상부 회동 가능하도록 지주 연결부(23-1 내지 23-4)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each of the first through fourth crossbars 24-1 through 24-4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21-1 and 21-2 or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ars 22-1 and 22-2, 22-2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links 23-1 to 23-4.

도 4에 도시된 중앙 연결부의 상세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연결부(25)는 원형의 상부평판과 상부평판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부와 원통부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구조를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중앙 연결부(25)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연결구조를 통해 제1 크로스바 내지 제4 크로스바(24-1 내지 24-4)의 타단을 연결함으로써 제1 크로스바 내지 제4 크로스바(24-1 내지 24-4)가 하부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중앙 연결부(25)의 원통부는 그 중심에 삽입공(251)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프레임부(20)가 비교적 높은 위치에 고정될 때 삽입공(251)에 삽입하여 프레임부(20)의 중심부 하중을 지지하는 중앙 지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앙 지주부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shown in FIG. 4,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25 has a circular upper plate and a cylindrical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of the upper plate and a connecting structure formed on the side of the cylindrical portion. .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25 connects the other ends of the first through fourth crossbars 24-1 through 24-4 through the connection structure as shown in FIG. 4 to form first through fourth crossbars 24-1 through 24-4, 24-4 can be rotated downward. An insertion hole 251 can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25. Although not show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entral holding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51 to support the center load of the frame portion 20 when the frame portion 20 is fix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 This central holding par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전술한 지주 연결부(23-1 내지 23-4)의 상부 회동 가능한 연결구조와 유사하게, 도 4는 중앙 연결부(25)의 하부 회동 가능한 연결구조도 제1 크로스바 내지 제4 크로스바(24-1 내지 24-4)의 타단의 회전축을 핀으로 고정하고 상부에 가이드를 마련한 구조를 예시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Similar to the upper rotatabl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support posts 23-1 through 23-4, FIG. 4 also shows that the lower rotatabl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25 also includes the first through fourth crossbars 24-1 through 24-4 24-4 are fixed by pins and a guid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제1 크로스바 내지 제4 크로스바(24-1 내지 24-4)의 일단이 지주 연결부(23-1 내지 23-4)에 상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타단이 중앙 연결부(25)에 하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중앙 연결부(25)를 들어 올리면, 제1 및 제2 가로바(21-1 및 21-2) 및 제2 세로바(22-1 및 22-2)가 각각 길이 중간에서 접히면서 제1 크로스바 내지 제4 크로스바(24-1 내지 24-4)가 함께 중심부로 모여 접히는 구조가 구현 가능하게 된다.One end of the first crossbar to the fourth crossbar 24-1 to 24-4 is connected to the column connecting portions 23-1 to 23-4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25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bars 21-1 and 21-2 and the second transverse bars 22-1 and 22-2 are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respectively, when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25 is lifted,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through fourth crossbars 24-1 through 24-4 are folded together at the center while being folded.

한편, 프레임부(20)는 상부에서 하부로 작용하는 힘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여 프레임부(20)가 지주부(11-1 내지 11-4)에 고정된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26-1 내지 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ore firmly support the force acting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frame part 20 and prevent the frame part 20 from deviating from the position fixed to the support parts 11-1 to 11-4, (26-1 to 26-4).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부(26-1 내지 26-4)는 각 지주부(11-1 내지 11-4)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각 지주부(11-1 내지 11-4)는 4 개의 지주부(11-1 내지 11-4) 중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 연결부(261)와, 제1 지지바 연결부(261)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지지바(262-1) 제2 지지바(262-2) 및 제3 지지바(262-3) 및 제1 지지바 연결부(261)가 설치된 지주부(11-1 내지 11-4)에 연결된 제1 가로바 및 제2 가로바(21-1 및 21-2) 중 하나와 제1 세로바 및 제2 세로바(22-1 및 22-2) 중 하나와 제1 크로스바 내지 제4 크로스바(24-1 내지 24-4) 중 하나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 지지바(262-1), 제2 지지바(262-2) 및 제3 지지바(262-3)의 타단이 각각 연결된 3 개의 제2 지지바 연결부(263-1 내지 26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바(262-1), 제2 지지바(262-2) 및 제3 지지바(262-3) 각각의 양단은 각각 제1 지지바 연결부(261) 및 3개의 제2 지지바 연결부(263-1 내지 263-3) 중 하나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support portions 26-1 to 26-4 may be provided one for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11-1 to 11-4.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11-1 to 11-4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 261 slidably installed on one of the four support portions 11-1 through 11-4, The first support bar 262-1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bar 261 and the second support bar 262-2 and the third support bar 262-3 and the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art 261, 1 to 11-4 and one of the first vertical bar and second vertical bar 22-1 and 22-2 and one of the first vertical bar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21-1 and 21-2 The first support bar 262-1, the second support bar 262-2, and the third support bar 262-1, which are slidably installed in one of the first through fourth crossbars 24-1 through 24-4, 262-3 may include three second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s 263-1 to 263-3, respectively, the other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ing bar 262-1, the second supporting bar 262-2 and the third supporting bar 262-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 261 and the three second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s 261, (263-1 to 263-3).

제1 지지바(262-1), 제2 지지바(262-2) 및 제3 지지바(262-3)는 길이 조정 수단(264-1 내지 264-3)을 각각 구비하여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길이 조정 수단(264-1 내지 264-3)으로 회전하는 너트구조의 양단으로 암 나사선 및 수 나사선을 결합하여 너트구조의 회전 방향에 따라 너트구조의 양단에 결합된 지지바의 양측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함으로써 길이를 조정하는 구성을 일례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support bar 262-1, the second support bar 262-2 and the third support bar 262-3 are provided with length adjusting means 264-1 to 264-3, respectively, .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both sides of the support ba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nut structur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nut structure are engaged with the screw thread and the male thread at both ends of the nut structure rotating by the length adjusting means 264-1 to 264-3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engths are adjusted by making them approach each other or away from each other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술한 지지부(26-1 내지 26-4)에 의해 프레임부(20)는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더욱 분산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바(262-1), 제2 지지바(262-2) 및 제3 지지바(262-3)의 양단은 슬라이딩 가능한 제1 지지바 연결부(261) 및 제2 지지바 연결부(263-1 내지 263-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므로, 전술한 것과 같은 접힘 구조를 구현하는데 적용 가능하다.The frame portion 20 can be fixed firmly by further distributing the load acting on the upper portion by the support portions 26-1 to 26-4 described above.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ing bar 262-1, the second supporting bar 262-2 and the third supporting bar 262-3 are slidable by the first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 261 and the second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 262-3, (263-1 to 263-3), it is applicable to realize the fold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는 제1 내지 제4 크로스바(24-1 내지 24-4)를 갖는 예시에 적용되는 세 개의 지지바(262-1 내지 262-3)로 구현된 지지부(26-1 내지 26-4)를 설명하였으나, 제1 내지 제4 크로스바를 포함하지 않는 예에서는 지주부와 제1 및 제2 가로바(21-1 및 21-2) 중 하나와 제1 및 제2 세로바(22-1 및 22-2) 중 하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지지바를 갖는 형태로 지지부가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the support portions 26-1 to 26-4 implemented by the three support bars 262-1 to 262-3, which are applied to the example having the first to fourth cross bars 24-1 to 24-4. However, in the example not including the first through fourth crossbar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21-1 and 21-2 an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ars 22-1 < / RTI > and < RTI ID = 0.0 > 22-2). ≪ / RTI >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중앙 연결부(25)에 일단이 각각 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상판 결합빔(27-1) 및 제2 상판 결합빔(2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20)가 완전히 펴진 구조에서, 제1 상판 결합빔(27-1) 및 제2 상판 결합빔(27-2)의 타단은 각각 제1 세로바(22-1) 및 제2 세로바(22-2)의 중심부 상에 각각 거치될 수 있다. 이 제1 및 제2 상판 결합빔(27-1 및 27-2)은 상판부(30)를 형성하는 상판 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upper plate coupling beam 27-1 and a second upper plate coupling beam 27-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25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downward direction, (27-2).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portion 20 is completely extende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upper plate coupling beam 27-1 and the second upper plate coupling beam 27-2 are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bar 22-1 and the second vertical bar 22, (22-2). The first and second upper plate coupling beams 27-1 and 27-2 can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panel forming the upper plate portion 30 and support the upper plate.

제1 상판 결합빔(27-1) 및 제2 상판 결합빔(27-2) 각각의 일단은 중앙 연결부(25) 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단순히 제1 및 제2 세로바(22-1 및 22-2)에 거치되는 형태로 구현되므로, 전술한 것과 같이 프레임부(20)를 접는 경우 제1 상판 결합빔(27-1) 및 제2 상판 결합빔(27-2)은 중앙 연결부(25)의 하부로 회동하면서 의 접힘 기능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upper plate coupling beam 27-1 and the second upper plate coupling beam 27-2 is connect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2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ars 22 -1, and 22-2, the first upper plate coupling beam 27-1 and the second upper plate coupling beam 27-2 ar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20 when the frame portion 20 is fold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function of folding while rotating the connecting portion 25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의 프레임부가 접힌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form of a frame of a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연결부(25)를 들어 올리면, 제1 및 제2 가로바(21-1 및 21-2) 및 제2 세로바(22-1 및 22-2)가 각각 길이 중간에서 접히면서 제1 크로스바 내지 제4 크로스바(24-1 내지 24-4)가 함께 중심부로 모이고, 지지부(26-1 내지 26-4)의 제1 내지 제3 지지바(262-1 내지 262-3)도 제1 지지바 연결부(261) 및 제2 지지바 연결부(263-1 내지 263-3)의 회동 가능 연결구조와 제2 지지바 연결부(263-1 내지 263-3)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접힘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상판 결합빔(27-1) 및 제2 상판 결합빔(27-2)의 일단이 중앙 연결부(25)의 하부로 회동하면서 접힘 구조에 포함된다.5, when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25 is lifted up,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21-1 and 21-2 and the second vertical bars 22-1 and 22-2 are extended The first through fourth crossbars 24-1 through 24-4 are gathered together at the center and the first through third support bars 262-1 through 262 of the supports 26-1 through 26-4 -3 also show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 261 and the second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s 263-1 to 263-3 and the second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s 263-1 to 263-3 As shown in Fig. One end of the first upper plate coupling beam 27-1 and the second upper plate coupling beam 27-2 are included in the folding structure while being pivo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25.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의 상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 프레임부에 상판부를 구성하는 상판 패널이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p plate portion of a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top plate panel coupled to a portable deck fram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의 상판부(30)는 휴대성을 감안하여 복수의 상판 패널(31)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상판 패널(31)을 프레임부(20) 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판부(30)가 완성될 수 있다. 특히, 상판부(30)는 프레임부(20) 상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6 and 7, the top plate 30 of the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top plate panels 31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The upper plate portion 30 can be completed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upper panel panels 31 at appropriate positions on the frame portion 20. [ Particularly, the shape of the top plate portion 3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portion 30 on the frame portion 20.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1 상판 결합빔(27-1) 및 상기 제2 상판 결합빔(27-2)은 그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27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판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상판 패널(31)은 각각 일단이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311)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상판 패널(31)이 프레임부(20) 상에 배치될 때, 상판 패널(31)의 절곡부(311)는 제1 상판 결합빔(27-1) 및 상기 제2 상판 결합빔(27-2)에 형성된 삽입홈(27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판 패널(31)의 타단은 적절하게 라운드 처리되어 제1 가로바(21-1) 또는 제2 가로바(21-2)에 거치될 수 있다. 상판 패널(31)은 휴대성을 감안하여 경량 소재인 플라스틱이나 폴리 카본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pper plate coupling beam 27-1 and the second upper plate coupling beam 27-2 may have insertion grooves 271 formed thereon along the length thereof. The plurality of upper panel panels 31 constituting the upper plate portion 30 may each have a bent portion 311 whose one end is bent downward. When the plurality of upper panel panels 31 are disposed on the frame portion 20, the bent portion 311 of the upper panel 31 is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plate coupling beam 27-1 and the second upper plate coupling beam 27 -2 in the insertion groove 271. Also, the other end of the upper panel 31 may be appropriately rounded and mounted on the first horizontal bar 21-1 or the second horizontal bar 21-2. The upper panel panel 31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or polycarbonate, which is a lightweight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본 발명은, 전술한 휴대형 데크를 포함하는 텐트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ent comprising the aforementioned portable deck.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를 포함하는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를 포함하는 텐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including a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ent including a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텐트는, 전술한 본 발명의 휴대형 데크(10)와, 휴대형 데크(10)의 상판부(30) 상에 설치되는 텐트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텐트는 휴대형 데크(10)의 지주부에 연결되어 데크(1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타프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프부(50)는 텐트부(40)가 설치되지 않은 휴대형 데크(10)에서 설치될 수 있다.8 and 9, a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portable de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nt part 20 provided on the top plate 30 of the portable deck 10, (40). In addition, th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uft portion 50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portable deck 10 and extending outwardly of the deck 10. [ The tappet 50 can be installed in a portable deck 10 without a tent unit 40.

텐트부(40)는 휴대형 데크(10)의 상판부(30) 상면에 펼쳐진 바닥면(41)과 바닥면(41) 상부에서 배치되며 바닥면(41)과 탈부착 가능한 천장구조물(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천장구조물(42)은 데크부(10)의 지주부(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텐트용 연결부(61)에 연결되어 바닥면(41)과 분리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바닥면(41)과 천장구조물(42)은 지퍼나 벨크로 등과 같은 착탈수단에 의해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될 수 있다.The tent portion 40 includes a bottom surface 41 and an upper surface 41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30 of the portable deck 10 and includes a bottom surface 41 and a detachable ceiling structure 42 . In this case, the ceiling structure 4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61 for the tent slidably installed on the supporting portion 11 of the deck portion 10, so that the ceiling structure 42 can be moved up and down separately from the floor surface 41. The bottom surface 41 and the ceiling structure 42 can be detachably attachable / detachable by a detachment means such as a zipper, a velcro or the like.

전술한 타프부(50)는 복수의 지주부(11-1 내지 11-4) 중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연결되거나, 지주부(11-1 내지 11-4)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지주부 연결부(23-1 내지 23-4)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수평바(가로바(21-1, 21-2) 및 세로바(22-1, 22-2) 중 적어도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텐트부(40)의 천장구조물(42)을 슬라이딩하기 위한 복수의 텐트용 연결부(61)가 설치된 실시형태에서는 타프부(50)의 일단이 복수의 텐트용 연결부(61) 중 적어도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tuft portion 5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1-1 to 11-4, or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 connecting portions (not shown) provided at the support portions 11-1 to 11-4 23-1 to 23-4 and at least a part of the horizontal bars 21-1 and 21-2 and the vertical bars 22-1 and 22-2. One end of the tuft portion 5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tent connection portions 61 in the embodiment where a plurality of tent connection portions 61 for sliding the ceiling structure 42 of the tent portion 40 are provided.

또한, 텐트부(40)의 바닥면(41)의 일부 영역에는 착탈구조를 갖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의 하부에 배치된 상판부(30)의 상판 패널(31)이 제거될 수 있으며, 텐트부(40)는, 상판 패널(31)이 제거된 위치와 지면 사이에 설치된 사다리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opening (not shown) having a detachable structure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41 of the tent part 40. In this case, the upper panel 31 of the upper plate 30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can be removed, and the tent portion 40 can be removed from the ladder portion 43 ).

이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를 포함하는 텐트의 활용도가 매우 향상될 수 있다.The utilization of the tent including the portable de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reatly improved by such various factor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부(10)의 프레임부와 상판부를 지주부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판부 상에 텐트부(40)를 설치한 경우, 텐트부(40)의 하부 공간을 생활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즉, 텐트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텐트부에 의해 폐쇄된 공간과 텐트부 하부의 개방 공간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휴대형 데크의 상판부가 복수의 상판 패널로 구현되므로, 텐트부(40)의 바닥면에 착탈 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하면 개구부 하부에 위치한 일부 상판 패널만 제거하고 제거된 상판 패널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사다리(43)를 배치함으로써 높은 위치에 설치된 텐트부(40)에 출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는 지퍼 또는 벨크로 등과 같은 착탈 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8, when the frame portion and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deck portion 10 are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tent portion 40 is provided on the upper plate portion, the lower space of the tent portion 40 is used as a living space Can be utilized. That is, even when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tent is narrow, both the space closed by the tent portion and the open space below the tent portion can be secur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p plate portion of the portable deck is formed of a plurality of top plate panels, if a removable opening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nt portion 40, The ladder 43 is dispos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upper panel panel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tent part 40 provided at a higher position. The opening may be removably attachable and detachable by a detachable means such as a zipper or a velcro.

또한, 데크부(10)의 지주부를 별도의 타프부(50)을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데크부(10)의 지주 연결부(도 2의 23-1 내지 23-4)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수평바(가로바(21-1, 21-2) 및 세로바(22-1, 22-2) 중 적어도 일부에 타프부(50)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경우 타프부(50)의 설치 높이까지 조정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타프부(50)의 높이 조정은 타프부(50)의 일단이 도 9에 도시한 복수의 텐트용 연결부(61) 중 적어도 일부에 연결된 경우에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타프부(50)를 별도의 타프용 폴(52)을 이용하여 데크부(10)와 연결된 반대측 단부를 높게 고정하여 그늘막이나 방수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타프용 폴(52)을 제거하고 데크부(10)와 연결된 반대측 단부를 바닥면에 직접 고정한 경우 프라이버시 확보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holding part of the deck part 10 can be utilized as an application for connecting another tuft part 50. Particularly, at least a part or the horizontal bars (the horizontal bars 21-1 and 21-2 and the vertical bars 22-1 and 22-2 in Fig. 2) of the pillar connection portions (23-1 to 23-4 in Fig. 2) 2 can be adjusted up to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tuft unit 50.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tuft unit 50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uft unit 50 The taff portion 5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nt connection portions 61 shown in Figure 9. The taff portion 50 may be connected to the deck portion 10 by using another taff pole 52, It is possible to use as a shade or a waterproof membrane by fixing the opposite sid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deck portion 10 at a high level and to provide a space for securing privacy when the opposite end connected to the deck portion 10 is directly fixed to the floor surface by removing the pawl 52 .

또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텐트부(40)를 상호 탈부착 가능한 바닥면(41)과 천장구조물(42)로 구현하고, 천장구조물(42)을 지주부(11)에 슬라이딩 가능한 별도의 텐트용 연결부(61)에 연결한 경우, 천장구조물(42)을 바닥면(41)과 분리하여 지주부(11)의 상부로 높게 고정하여 지붕 용도로 활용하고, 분리된 하부의 바닥면(41) 또는 데크부(10)의 상판부 상면을 평상 용도로 활용하여 마치 원두막이나 정자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여 낮 시간대 태양광을 피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취침시에는 바닥면(41)이 설치된 프레임부를 상승시켜 천장구조물(42)과 결합하거나, 천장구조물(42)을 하부로 이동시켜 바닥면(41)과 결합하여 취침을 위한 폐쇄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9, the tent part 40 may be realized as a bottom surface 41 and a ceiling structure 42 mutually attachable and detachable, and the ceiling structure 42 may be formed as a separate The ceiling structure 42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41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11 to be used as a roof for the tent connecting portion 61. The bottom surface 41 Or the top surface of the deck portion 10 is used as a normal use to form a structure like a shed or a sperm so as to provide space for avoiding sunlight during the daytime. When the sleeping operation is performed, a frame portion provided with the floor surface 41 is lifted to engage with the ceiling structure 42, or the ceiling structure 42 is moved downwardly to be coupled with the floor surface 41, .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는 바닥 구조를 형성하는 상판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지주부를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 시켜 이동 가능하므로 원하는 높이의 바닥 구조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slide the frame portion supporting the top plate portion forming the floor structure along the pillar portion, so that a floor structure having a desired height can be easily formed.

따라서, 지주부가 적절한 높이를 갖도록 구현하고 프레임부를 충분히 높게 이동시켜 고정한 경우, 데크의 바닥 구조의 하부에도 충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데크의 상판부 상부에 텐트를 설치하여 휴식이나 수면 공간으로 활용하고, 데크의 상판부의 하부에 생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좁은 면적에도 편안한 캠핑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upporting part is realized to have a proper height and the frame part is moved and fixed at a sufficiently high height, a sufficient space can be formed also in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structure of the deck. In other words, a tent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ck so that it can be used as a resting or sleeping space, and a living space can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eck top plate, so that a comfortable camping environment can be created in a narrow are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는 상판부 상에서 인가되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확보하면서도, 프레임부를 구성하는 바 구조 자체의 꺾임이나 바 구조의 연결부에 구현된 슬라이딩 기능 및 상하부 회동 기능을 통해 프레임부 자체를 접이식으로 구현할 수 있어, 데크의 휴대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de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pporting structure capable of sufficiently supporting the load applied on the top plate portion, and also has a sliding function implemented in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bar structure and the bar structure constituting the frame portion, The frame portion itself can be folded by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function, and the portability of the deck can be ensur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를 포함한 텐트는, 상판부 상에 설치된 텐트부의 바닥면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개구부 하부의 상판 패널의 일부를 제거한 위치에 용이하게 사다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텐트부가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도 텐트부 내의 출입이 간편하다.Meanwhile, the tent including the portable de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rovided with the ladder at the position where the open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nt portion provided on the top plate portion and a part of the top plate panel below the opening portion is removed, Even when the tent part is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the tent part can be easily moved in and ou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데크를 포함한 텐트는, 텐트부의 바닥면과 천장구조물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구현하고 분리된 바닥면과 천장구조물을 상호 개별적으로 데크부의 지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생활 공간을 확보하여 캠핑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nt including the portable de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detachably moun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ent part and the ceiling structure, and separately separating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tructure from each other By implementing thi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living space of various structures and improve the satisfaction of camping.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1-1 내지 11-4: 지주부 20: 프레임부
21-1, 21-2: 가로바 22-1, 22-2: 세로바
23-1 내지 23-4: 지주부 연결부 24-1 내지 24-4: 크로스바
25: 중앙 연결부 251: 삽입공
26-1 내지 26-4: 지지부 261: 제1 지지바 연결부
262-1 내지 262-3: 지지바
263-1 내지 263-3: 제2 지지바 연결부
264-1 내지 264-3: 길이 조정 수단 27-1, 27-2: 상판 결합빔
271: 삽입 홈 30: 상판부
31: 상판 패널 311: 절곡부
40: 텐트부 41: 바닥면
42: 천장구조물 43: 텐트
50: 타프부 52: 타프용 폴
61: 텐트용 연결부
11-1 to 11-4: Support part 20: Frame part
21-1, 21-2: horizontal bars 22-1, 22-2: vertical bar
23-1 to 23-4: supporting part connecting parts 24-1 to 24-4: crossbar
25: central connection part 251: insertion hole
26-1 to 26-4: Support portion 261: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
262-1 to 262-3: support bar
263-1 to 263-3: a second supporting bar connecting portion
264-1 to 264-3: length adjusting means 27-1, 27-2: upper plate coupling beam
271: insertion groove 30: upper plate
31: upper panel panel 311:
40: tent part 41: bottom surface
42: ceiling structure 43: tent
50: tarpaulin 52: pole for tarpaulins
61: Tent connection

Claims (16)

복수의 지주부;
상기 복수의 지주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편평한 바닥구조를 형성하는 상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지주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바와, 상기 복수의 지주부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평바의 단부에 연결된 복수의 지주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평바 각각은 그 길이 중간에서 하부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지주 연결부 각각은 그에 연결된 수평바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지주 연결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중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크로스바; 및
상기 복수의 크로스바 각각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중심부에 배치된 중앙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주 연결부 각각은 그에 연결된 상기 크로스바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크로스바를 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 각각에 연결되며, 자신이 연결된 지주부에 연결된 상기 수평바 및 상기 크로스바를 그 하부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지지바 연결부;
상기 제1 지지바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지지바; 및
상기 제1 지지바 연결부가 배치된 지주부에 연결된 상기 수평바 및 상기 크로스바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바의 타단이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2 지지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바 각각의 양단은 상기 제1 지지바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지지바 연결부 각각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지지바들의 끝단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가 너트 형태로 이루어진 길이조정수단 나사결합됨으로써,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데크.
A plurality of bearing housings;
A frame part vertically slidab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And
And a top plate portion disposed above the frame portion to form a flat bottom structure,
The frame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rranged between two adjacent peripheral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olumn connecting portions provided to be slidable on the respectiv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and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horizontal bars, ≪ / RTI &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is capable of folding downward in the middle of its length,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lumn connecting portions connects the horizontal bars connected thereto so as to be rotatable upward,
The fram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rossbars, one end of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trut connection portions and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rame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rossbars and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lumn connecting portions connects the cross bars connected thereto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upward direction,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plurality of cross bars in a downwardly rotatable manner,
The frame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nd supporting the horizontal bar and the cross bar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connected thereto,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comprises:
A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 slidably installed on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 plurality of support bar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art; And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s that are respectively slidable to the horizontal bar and the cross bar connected to the support main portion where the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 is disposed and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bar connection portions,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r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wherein a screw is formed at an end of the support bars,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s is adjustable by screwing the nut into a length adjusting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중앙 연결부에 일단이 각각 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상판 결합빔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상판 결합빔의 타단은 각각 상기 수평바 중 상호 대향하는 수평바의 중심부 상에 각각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데크.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op plate coupling beam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rotatable in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upper plate coupling beams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s of mutually opposing horizontal bars of the horizontal ba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판 결합빔은 그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을 가지며,
상기 상판부는 일단이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복수의 상판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 패널의 절곡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상판 패널의 타단은 상기 복수의 수평바 중 적어도 일부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데크.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upper plate coupling beams have insertion grooves formed there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Wherein the upper 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panel panels each having a bent portion bent in a downward direction, a bent portion of the upper pane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panel is fixed to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Wherein said deck comprises:
제1항, 제9항,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주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 연결부 또는 상기 수평바 중 적어도 하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부 외부로 연장된 타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데크.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9 and 10,
Further comprising a taff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ground connecting portions or the horizontal bar, and the other end extending outside the fram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79893A 2014-06-27 2014-06-27 Portable deck and tent compris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571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893A KR101571247B1 (en) 2014-06-27 2014-06-27 Portable deck and tent comprising the same
PCT/KR2015/002521 WO2015199315A1 (en) 2014-06-27 2015-03-16 Portable deck and tent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893A KR101571247B1 (en) 2014-06-27 2014-06-27 Portable deck and tent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247B1 true KR101571247B1 (en) 2015-11-23

Family

ID=5484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8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1247B1 (en) 2014-06-27 2014-06-27 Portable deck and tent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1247B1 (en)
WO (1) WO2015199315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4975A1 (en) * 2020-09-02 2022-03-03 Bil-Jax, Inc. Floor struc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IL284552A (en) * 2021-07-01 2023-01-01 Ben Sadon Rahely Mobile event hall
WO2023182594A1 (en) * 2022-03-24 2023-09-28 주식회사 편리한형제 Extendable t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939A (en) * 2005-03-09 2005-03-31 박충서 A portable tent attach with metallic and bdard
KR20100010872U (en) * 2009-04-28 2010-11-05 송근성 Collapsible flat bench and lookout on a field
KR101137801B1 (en) * 2009-05-18 2012-04-18 송석진 A Fold-Up Boar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4975A1 (en) * 2020-09-02 2022-03-03 Bil-Jax, Inc. Floor struc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US11959300B2 (en) * 2020-09-02 2024-04-16 Bil-Jax, Inc. Floor struc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IL284552A (en) * 2021-07-01 2023-01-01 Ben Sadon Rahely Mobile event hall
IL284552B1 (en) * 2021-07-01 2024-05-01 Ben Sadon Rahely Mobile event hall
IL284552B2 (en) * 2021-07-01 2024-09-01 Ben Sadon Rahely Mobile event hall
WO2023182594A1 (en) * 2022-03-24 2023-09-28 주식회사 편리한형제 Extendable 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315A1 (en)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1688A (en) Modular pavilion
KR101490163B1 (en) Tent for vehicles
US9255441B2 (en) Canopy system
US20040144412A1 (en) Tent structure
BR112019017055B1 (en) SUPPORT FOR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STRUCTURAL MEMBERS AND MODULAR FRAME
JP2005514545A (en) Canopy structure
KR101571247B1 (en) Portable deck and tent comprising the same
WO2006127672A3 (en) Tent structure
CN209749297U (en) A kind of melon and fruit planting greenhouse
KR101606847B1 (en) Foldable bed for easy installation of tent
CA2863757A1 (en) Modular walls with seismic-shiftability
KR101876083B1 (en) Prefabricated standing hammock apparatus
KR200401413Y1 (en) Frame structure for founding greenhouse
KR200430587Y1 (en) Sunshade Frame
KR20230138941A (en) Expandable tent
KR101580798B1 (en) Vent structure for membrane structures
KR101090348B1 (en) Folding frame of the awning
KR200322910Y1 (en) Owning-connecting structure of polygonal cubic small house
KR100838783B1 (en) Folding large tent
JP2002360076A (en) Linked stationary-type greening unit for planting lawn or the like
KR20170095555A (en) Tent
KR102474675B1 (en) Hammock device for car camping
JP4210883B2 (en) Frame structure of air inflatable simple house
KR200300996Y1 (en) Portable bed floor and prefabricated bungalow using the same
KR20120134565A (en) Folding tent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1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