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171B1 - Pipe conn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Pipe connec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6171B1 KR101586171B1 KR1020150101604A KR20150101604A KR101586171B1 KR 101586171 B1 KR101586171 B1 KR 101586171B1 KR 1020150101604 A KR1020150101604 A KR 1020150101604A KR 20150101604 A KR20150101604 A KR 20150101604A KR 101586171 B1 KR101586171 B1 KR 1015861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housing
- protrusion
- receiving groove
- seal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원터치 방식에 의한 푸싱만으로 배관연결구의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이로 인해 작업자에게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배관 연결부위를 고품질로 시공할 수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간을 기준으로 내부 및 외부 양측이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로부터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전단부와 접하여 기밀 되도록 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후방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전단부 후방부와 접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전단부부터 중간부까지 일정길이 절개되는 절개부가 둘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전단부는 일정길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그 내측에 파이프가 삽입될 시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외측으로 향하도록 벌어지되, 이 벌어지는 돌출부가 삽입될 시 이를 수용하기 위한 돌출부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ing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ing connector that can be assembled by simply pushing by a one-touch method, thereby shortening a working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ing connector capable of constructing piping connection parts with high qua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both inner and outer side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n intermediate portion, the pipe configured to be inserted from both ends; A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housing to seal the front end of the inserted pipe to be hermetically sealed; And a joining member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sealing member and in contact with a rear portion of a front end portion of a pipe to be inserted, wherein the joining member has at least two incision portions that are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front end portion to an intermediate portion,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protrusion is opened by the pressing force generated when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when the protruding protrusion is inserted, The protruding portion receiving groove is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원터치 방식에 의한 푸싱만으로 배관연결구의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이로 인해 작업자에게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배관 연결부위를 고품질로 시공할 수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ing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ing connector that can be assembled by simply pushing by a one-touch method, thereby shortening a working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ing connector capable of constructing piping connection parts with high quality.
일반적으로, 물이나 기름과 같은 유체 또는 가스와 같은 기체를 이송하는데 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파이프는 운반이나 취급상의 제약에 의해 일정규격(길이)으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Generally, pipes are widely used for transporting gases such as fluids or gases such as water or oil. These pipes are manufactured and sold to a certain standard (length) due to transportation or handling restrictions.
따라서 파이프의 규격 길이보다 긴 구간을 시공한다든가 굽은 구간을 시공할 경우에는 배관연결장치를 사용하거나 파이프를 서로 연결 용접하여야만 한다.Therefore, when constructing a section longer than the standard length of the pipe or constructing the bent section, it is necessary to use a pipe connection device or weld the pipes to each other.
상기 배관에 사용되는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장치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특히 그립 링(grip ring)을 이용하여 연결구 내에 삽입된 파이프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된 배관연결장치가 연결작업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배관작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re is a wide variety of piping connection devices for connecting pipes used in the piping. In particular, piping connection devices having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pipes inserted in the connection ports from being escaped by using a grip ring, It is widely used for plumbing work.
도 1은 종래 배관연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로써, 종래의 배관연결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3)를 암나사부(2a)가 구비된 너트(2)에 삽입한 다음 파이프(3)에 오링(6) 및 와셔(5) 그리고 그립 링(4)을 차례로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너트(2)를 배관(1)의 숫나사부(1a)에 대고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piping connection method.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 In the conventional piping connection metho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이에 따라, 파이프(3)에 설치된 그립 링(4)이 배관(1)의 제1 스토퍼(1b)에 밀착된 상태에서 너트(2)의 돌출부(2b)가 오링(6)을 압축하면 오링(6) 및 파이프(3)의 외주면이 기밀이 유지되게 실링(sealing)됨과 동시에 와셔(5)가 그립 링(4)을 밀어주게 되므로 그립 링(4)의 그립(4a)이 파이프(3)를 눌러 배관연결장치에서 파이프(3)가 분리되지 않도록 클램핑(clamping)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너트(2)가 배관(1)에 완전히 나사 조여질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Thus, when the protrud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관연결방법은 파이프(3)에 끼워지는 그립 링(4)의 삽입(설치) 깊이가 소정의 깊이를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그립 링(4)의 삽입 깊이가 짧으면 배관연결장치에서 파이프(3)가 빠지고, 이와는 반대로 그립 링(4)의 삽입 깊이가 깊으면 배관(1)에 너트(2)를 나사 결합할 때 파이프(3)의 선단이 배관의 제2 스토퍼(1c)에 밀착된 상태에서 너트를 조임에 따라 그립 링(4)이 손상되거나, 파이프(3)의 외주면이 그립(4a)에 의해 긁히거나, 오링(6)의 과다 압축으로 파이프의 병목현상이 유발되므로 파이프가 이탈되는 원인으로 작용되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ipe connection method, when the insertion depth of the
더욱이 종래의 배관연결방법은 작업자의 실수나 작업숙련도가 떨어질 경우 부품의 조립 순서를 달리함에 따라 배관연결장치에서 파이프(3)가 분리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나타낸다.Moreover, the conventional piping connection method shows a fatal defect in which the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도 3과 같은 배관연결구 어셈블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Du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pipe connector assembly as shown in FIG. 3 has been developed and used.
도 3은 종래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하우징으로 부터 덮개를 분리한 상태에서 부품의 삽입공으로 파이프를 삽입한 상태의 종단면도로써,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7)의 내부에 그립 링(4), 와셔(5), 오링(6)이 순서대로 조립되어 위치가 결정되도록 하는 제1 스토퍼(7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스토퍼(7a)의 하부로는 상기 그립 링(4), 와셔(5), 오링(6)의 삽입공을 통과한 파이프(3)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7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7)에 조립된 그립 링(4), 와셔(5), 오링(6)은 덮개(8)로 보호되도록 되어 있다.FIG. 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ipe connector assembly. FIG. 4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pipe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of a component in a state in which a lid is separated from a housing. In the
따라서 배관의 연결작업을 위해서는 하우징(7)으로부터 덮개(8)를 제거한 다음 부품의 삽입공으로 시공할 파이프(3)를 밀어 넣으면 파이프(3)의 선단이 제2 스토퍼(7b)에 걸리면서 파이프(3)의 외주면으로 그립 링(4), 와셔(5), 오링(6)이 차례로 위치되므로 배관의 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connect the pipe,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방법 또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nection method also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하우징의 내부에 부품을 차례로 삽입하여 파이프의 삽입 깊이가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되어 있으나, 작업자가 이를 숙지하지 못하고 하우징으로부터 부품을 분리하여 파이프에 부품을 수작업으로 조립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된다.First, the insertion depth is limited so that the insertion depth of the pipe is precisely inserted by sequentially inserting the parts inside the housing. However, when the operator does not understand this, the parts are separated from the housing and the parts are manually assembled in the pipe And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re repeatedly generated.
둘째, 배관연결장치와 파이프의 클램핑이 1개의 그립 링에 의해 의존하므로 고압의 유체 또는 기체가 흐르는 파이프이거나, 그립 링에 결함이 발생된 경우에는 파이프를 지지하는 클램핑력이 떨어져 배관연결장치에서 파이프가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Secondly, since the clamping of the pipe connecting device and the pipe depends on one grip ring, if the pipe is a pipe through which a high-pressure fluid or gas flows or a defect occurs in the grip ring, the clamping force for supporting the pipe is lowered, There was a case in which the separation was performed.
만약, 가스가 통과하는 파이프를 실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파이프가 분리되거나,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여 가스가 샌다면 엄청난 재난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결합을 나타내게 된다.If the pipe through which the gas passes is installed indoors, the pipe can not be separated or the airtightness can not be maintained, and if the gas is stained, it shows a deadly combination which causes a great disaster.
셋째, 너트를 배관에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배관의 제2 스토퍼에 밀착되게 파이프를 밀어주는 기능이 없어 배관과 파이프의 선단이 도 2와 같이 이격되어 틈새(t)가 발생되므로 틈새를 통해 유체 또는 기체가 누설되는 원인으로 작용되었다.Third, there is no function of pushing the pipe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er of the pipe in the process of screwing the nut to the pipe, so that the tip of the pipe and the pipe are spaced apart as shown in FIG. 2 to generate a gap (t) It was the cause of gas leakage.
넷째, 너트의 내부를 실링하는 기능이 없어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므로 장기간 사용에 따라 그립 링 및 와셔가 부식되어 클램핑력을 떨어뜨리게 된다.Fourth, since there is no sealing function inside the nut,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inner part. As a result, the grip ring and the washer are corroded due to long-term use, and the clamping force is lowered.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배관연결구들은 설치하기에 앞서 부품들을 일일이 준비하여야 되며, 이렇게 준비된 부품들을 작업 진행하기 전에 일일이 결합한 뒤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을 하여야 되므로 작업공수가 늘어나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meantime, the above-described piping connectors need to be prepared individually before installing the components. Since the assembled parts must be connected to one another before the work is performed, the piping must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work operations,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원터치 방식에 의한 푸싱만으로 배관연결구의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이로 인해 작업자에게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배관 연결부위를 고품질로 시공할 수 배관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ing system that can perform assembly work of a piping connector only by pushing by a one-touch method, thereby shortening a working time, So that the piping connection portion can be constructed with high qua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의 양 단부를 연결하되, 양 파이프가 쉽게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밀성이 유지되어 유체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connector connecting both ends of a pipe so that both pipes can not be easily separated and airtightness can be maintained so that fluid can be smoothly transporte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간을 기준으로 내부 및 외부 양측이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로부터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전단부와 접하여 기밀 되도록 하는 실링부재(200); 및 상기 실링부재(2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전단부 후방부와 접하는 결합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300)는, 전단부부터 중간부까지 일정길이 절개되는 절개부(301)가 둘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00)의 전단부는 일정길이 돌출되는 돌출부(302)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은, 그 내측에 파이프(400)가 삽입될 시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302)가 외측으로 향하도록 벌어지되, 이 벌어지는 돌출부(302)가 삽입될 시 이를 수용하기 위한 돌출부 수용홈(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inner side and an outer sid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middle, and a pipe inserted from both ends thereof; A sealing member (200)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and hermetically contacting the front end of the inserted pipe; And a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그 외측면 중간에 하우징(100)의 내벽면과 근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파이프(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의 떨림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303); 및 끝단부에는 결합부재(300)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플랜지(304);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부 중간에는 결합부재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인출제한돌기(103)가 돌출형성되되, 상기 인출제한돌기(103)는, 상기 파이프(400)가 외력에 의해 인출될 시 상기 돌출부(302)의 외측면과 인출제한돌기(103)와 서로 접하여 파이프(400)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이프(400)가 인입될 시에는 결합부재(300)의 유동방지돌기(303)과 접하여 결합부재(300)의 인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draw-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돌출부(302)의 후방에 삽입된 파이프(40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둘 이상으로 형성되되, 결합부재(300)의 후단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커지는 후진억제톱니(305)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200)는, 파이프(400)가 삽입되는 통공부가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파이프(400)의 전단부가 최초 삽입되어 접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01); 및 상기 돌출부(201)의 외측부에 상기 돌출부(201)가 파이프(400)에 의해 가압될 시 공간확보를 위해 형성되는 요홈(202)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al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200)는, 그 외측면에 상기 하우징(100)과의 실링효과를 높이기 위해 돌출형성되는 외측면 돌기(203)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al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1)는, 실링부재(200)의 외주면보다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에서부터 제1 수용홈(101) 및 제2 수용홈(102)이 형성되되, 제1 수용홈(101)에 실링부재(200)가 수용되고, 제2 수용홈(102)에는 결합부재(300)는 제2 수용홈(102)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101, 102)은 그 사이에 구획링(112)이 구비되되, 상기 구획링(112)은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first receiv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양 끝단과 결합부재(300)는 양 단부를 통하여 파이프(400)가 삽입된 후 결합부재(300)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끝단과 플랜지(304) 사이에 개재되는 C형 링(500)을 더 포함한다.Both ends of the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에 의하면, 첫째, 원터치 방식에 의한 푸싱만으로 배관연결구의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이로 인해 작업자에게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배관 연결부위를 고품질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ip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assembling operation of the piping connector can be performed only by pushing by the one-touch method, there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high quality of the site.
둘째, 파이프의 양 단부를 연결하되, 양 파이프가 쉽게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밀성이 유지되어 유체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both ends of the pipe are connected, but both pipes are not easily separated and the airtightness is maintained, so that the fluid can be smoothly conveyed.
셋째,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배관연결구를 구성할 수 있어 작업의 시공이 수월하고, 이로 인해 작업공수를 줄이고 신속한 작업으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pipe connector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construction work is easy, thereby reducing the work flow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due to the quick work.
도 1은 종래 배관연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배관연결구 어셈블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4는 하우징으로 부터 덮개를 분리한 상태에서 부품의 삽입공으로 파이프를 삽입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은 배관연결구에 파이프가 삽입되기 전의 도면이고, 도 9는 배관연결구에 파이프가 삽입되되, 파이프가 외력에 의해 가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서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파이프가 배관 연결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에 구비되는 하우징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piping connection method.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 view of a conventional pipe connector assembly.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pipe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of a component in a state in which a lid is detached from a housin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FIG.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Fig. 6. Fig.
8 to 10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pip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8 is a view before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piping connector,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inserted into the piping connector,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pipe coupled to a pipe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in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housing provided in the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aling member provided in the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ectional view of Fig.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FIG.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는 크게 중간을 기준으로 내부 및 외부 양측이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로부터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전단부와 접하여 기밀 되도록 하는 실링부재(200)와, 상기 실링부재(2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결합부재(30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재(300)는 하우징(100)의 양측 단부인 삽입홀을 통하여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다.5 to 7, a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는 상기한 실링부재(200) 및 결합부재(300)를 수용할 서로 다른 직경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 중 상기 실링부재(200)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제1 수용홈(101)으로, 상기 결합부재(300)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제2 수용홈(10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102)을 제외한 영역은 파이프(400)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실링부재(200) 및 결합부재(300)를 수용할 서로 다른 직경의 홈들이 형성되며, 그 중 상기 실링부재(200)는 제1 수용홈(101)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부재(300)는 제2 수용홈(102)에 수용되되,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101, 102)은 그 사이에 구획링(112)이 구비된다. 상기 구획링(1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하우징(100) 제조 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획링(112)과 하우징(100)을 일체로 형성하기 어려울 시에 상기 구획링(112)을 따로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The
구획링(112)에 의해 결합부재(300)는 파이프(400)의 삽입시에 파이프(400)와 함께 전방으로 전진되지 않고, 벌어지게 되어 파이프(400)와 결합부재(300)가 원터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The joining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그 내측에 파이프(400)가 삽입될 시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302)가 외측으로 향하도록 벌어지되, 이 벌어지는 돌출부(302)가 삽입될 시 이를 수용하기 위한 돌출부 수용홈(111)이 형성된다. 즉, 파이프(400)가 결합부재(30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02)는 파이프(400)의 가압력에 의해 수용홈(111)에 밀려서 삽입된다.Meanwhile, the
하우징(100)은 도시된 일자형 외에도 "I"형, "T"형, "Y"형, "L"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기능 및 조립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나아가 일측은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100)의 형태를 갖고, 타측은 공지된 다양한 결합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결합부재(300)는, 그 외측면 중간에 하우징(100)의 내벽면과 근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파이프(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의 떨림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303) 및 끝단부에는 결합부재(300)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30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그 재질이 파이프(400)에 의해 변형이 용이한 재질인 황동, 기타 금속(SUS)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부 중간에는 결합부재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인출제한돌기(103)가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인출제한돌기(103)는, 상기 파이프(400)가 외력에 의해 인출될 시 상기 돌출부(302)의 외측면과 인출제한돌기(103)와 서로 접하여 파이프(400)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이프(400)가 인입될 시에는 결합부재(300)의 유동방지돌기(303)과 접하여 결합부재(300)의 인입되는 길이를 제한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iddle of the inner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돌출부(302)의 후방에 삽입된 파이프(40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둘 이상으로 형성되되, 결합부재(300)의 후단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커지는 후진억제톱니(30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진억제톱니(305)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경우 최전방에 형성되는 후진억제톱니(305)는 파이프(400)가 후방으로 인출될 시 파이프(400)의 표면과 원활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파이프의 강제적인 인출을 제한할 수 없게 되므로 후진억제톱니(305)는 결합부재(300)의 최전방에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후진억제톱니(305)는 파이프(400)가 삽입될 시, 그 직경에 의하여 돌출부(302)가 돌출부 수용홈(111)으로 삽입되므로 이때 후진억제톱니(305)는 결합부재(300)의 후단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커져야 파이프(400)가 삽입될 시 파이프(400)의 외주면에 후진억제톱니(305)가 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joining
또한, 상기 결합부재(300)의 외측면에는 절개부(301)가 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절개부(301)의 개수는 둘 이상의 임의의 개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01)는, 짧게는 끝단부터 후진억제톱니(305)까지 형성될 수도 있고, 길게는 플랜지(304) 전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01)의 길이도 상기한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길이는 사용자의 의도 및 파이프의 외경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절개부(301)가 형성되는 각도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면에서와 같이 18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90도 간격, 60도 간격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게다가, 상기 결합부재(300)의 외측면, 즉 돌출부(302)의 후방에는 오목곡면부(313)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곡면부(313)와 대응되는 위치인 하우징(100)의 내측면에도 볼록곡면부(1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400)를 결합부재(300)의 중간부를 통하여 삽입한 뒤 파이프(400)를 강제로 인출하려 하여도 상기한 오목곡면부(313) 및 볼록곡면부(113)가 서로 접촉되어 파이프의 인출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concave
한편. 상기 실링부재(200)는, 파이프(400)가 삽입되는 통공부가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파이프(400)의 전단부가 최초 삽입되어 접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01) 및 상기 돌출부(201)의 외측부에 상기 돌출부(201)가 파이프(400)에 의해 가압될 시 공간확보를 위해 형성되는 요홈(202)으로 구성된다. Meanwhile. The sealing
이는, 파이프(400)가 결합부재(30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실링부재(200)의 돌출부(201)가 파이프(400)의 외측면과 접하게 되며, 상기 돌출부(201)는 하우징(100)의 외측부로 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실링부재(200)의 관통부 단면의 형상은 사다리꼴로 형성되며, 양 대변 중 단변의 내경부에 해당하는 돌출부(201)는 파이프(40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하기 위해 파이프(400)의 외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파이프(400)가 삽입될 시 파이프(400)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pipe 400 is inserted into the
여기서 상기한 실링부재(200)의 경우 기존에는 O링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O링은 파이프 삽입시의 편리성을 위해 파이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O링이 겉도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에서 연결체인 너트 등을 이용하여 나사결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사결합을 하게 되면 가압력에 의해 O링이 연결체와 파이프 사이를 꽉 채우게 되면서 0링이 찌그러지면서 밀착력을 높이는 것이었다. Here, the sealing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실링부재(200)가 적용되면 종래와 같은 연결체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연결체를 통한 조임공정이 없어지게 된다. 즉, 실링부재(200)의 관통부를 테이퍼(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이에 따라 내경의 전단부에 돌출부(201)가 형성되어 파이프(400) 삽입되어 관통될 시 파이프(400)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어 밀착력을 높이게 된다. However, if the sealing
즉,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에서는 실링부재(200)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게 되므로 파이프의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파이프가 삽입되는 반대편에서는 파이프(40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파이프를 조이는 절차가 없이도 파이프(400)와 실링부재(200)는 보다 확실한 밀착을 하게 된다. That is,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ling
이에 따라 상기한 실링부재(200)의 돌출부(201)가 파이프(400)와 접하게 되면, 파이프(400)가 삽입되면서 돌출부(201)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돌출부(201)는 요홈(202)에 의해 밀리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또한, 상기한 실링부재(200)의 변형예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01)를 실링부재(200)의 외주면보다 일정길이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돌출부(201)가 실링부재(200)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기 때문에 파이프(400)와 접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밀착력이 더 높아지게 된다.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한편, 상기 실링부재(200)는, 그 외측면에 상기 하우징(100)과의 실링효과를 높이기 위해 외측면 돌기(203)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파이프(400)가 삽입되면서 상기 돌출부(201)를 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가압력은 돌출부(201)가 외측으로 밀리는 현상 외에 실링부재(200) 전체가 가압되어 제1 수용홈(101)의 내측으로 밀착된다. 이와 같이 밀착될 시 밀착력을 높임과 동시에 파이프의 내측으로 흐르게 될 유체의 누출을 막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링부재(200)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양 끝단과 결합부재(300)는 양 단부를 통하여 파이프(400)가 삽입된 후 결합부재(300)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끝단과 플랜지(304) 사이에 개재되는 C형 링(5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이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에 의해 파이프들의 연결작업이 끝난 뒤 외력에 의해 결합부재(300)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깊이 인입되면 파이프가 외측으로 빠질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재(300)가 과도하게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은 배관연결구에 파이프가 삽입되기 전인 도면이고, 도 9는 배관연결구에 파이프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before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pipe connector,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pipe inserted into the pipe connector.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는 둘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할 시 사용되는 것으로, 최초 원하는 길이만큼으로 파이프를 절단한 뒤 배관연결구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양 단부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8 and 9, the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onnect two or more pipes. The pipe is cut by the first desired length, and both ends of the pipe are connected using a pipe connector.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상기 하우징(100)의 양 단부를 통하여 실링부재(200)를 제1 수용홈(101)에, 결합부재(300)를 제2 수용홈(102)에 삽입된 상태로 출시된다. 작업자는 일일이 실링부재(200) 및 결합부재(300)를 작업장소에서 결합하게 되면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내측에 결합부재(300) 및 실링부재(200)가 삽입된 하나의 제품으로 출시되는 것이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the sealing
이후 상기 양 측부의 결합부재(300)에 파이프(400)를 관통시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400)가 실링부재(200)를 통과하여 하우징(100)의 중앙부에서 양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파이프(400)들의 양 단부는 서로 접하게 된다.9, the pipe 400 passes through the sealing
구체적으로 파이프(400)를 가압하게 되면, 결합부재의 후진억제톱니(305)가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결합부재(300)의 전단부는 벌어지게 된다. 이때 파이프를 더욱 가압하게 되면 파이프(400)는 실링부재(20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의 정중앙까지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파이프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부재(300)의 전단부는 벌어지어 수월하게 파이프(400)가 하우징(100)의 중심부까지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실링부재(200)를 통과하여 하우징(100)의 중간부까지 삽입되도록 파이프(400)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력에 의해 결합부재(300)는 이 힘을 견디지 못하고 더욱 전진하여야 된다. 이때 결합부재(300)의 돌출부(302)는 하우징(100)의 돌출부 수용홈(111)으로 밀려서 삽입된다(도 9의 이점쇄선 화살표 참조). Specifically, when the pipe 400 is pressed, the backward restraining
이후 각 파이프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수용홈(111)으로 삽입된 돌출부(302)는 서서히 후진되어 돌출부 수용홈(111)에서 빠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초 위치 또는 돌출부(302)가 수용홈(111)의 입구에 위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후진억제톱니(305)는 파이프(400)를 꽉 물어서 파이프(40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10, the
한편, 상기와 같이 파이프(400)의 양 단부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면, 외력 즉, 강제로 파이프(400)를 빼려고 하여도, 결합부재(300)의 돌출부(302)가 후진하다가 하우징(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인출제한돌기(103)와 접하게 되어 더 이상 파이프(400)는 후진할 수 없게 된다. 동시에 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후진억제톱니(305)도 하우징(100)의 중앙부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더 이상 파이프(400)는 후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400)를 결합부재(300)의 중간부를 통하여 삽입한 뒤 파이프(400)를 강제로 인출하려 하여도 상기한 오목곡면부(313) 및 볼록곡면부(113)가 서로 접촉되어 파이프의 인출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출제한돌기(103), 돌출부(302), 후진억제톱니(305) 및 볼록, 오목곡면부(113, 313) 4중에 의해 파이프(400)의 후진 및 이탈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탈 방지 효과는 최초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부품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When both ends of the pipe 400 are connected by the pip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pipe 400 is forcibly pulled out, the
한편, 파이프(400)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었지만, 작업자의 실수로 파이프의 내경이 서로 다른 파이프가 연결되었거나, 불량파이프가 연결될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파이프를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해야 되는데 이 경우 파이프(400)를 고정한 채 상기 결합부재(300)를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세게 가압을 하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0)의 돌출부(302)는 하우징(100)의 돌출부 수용홈(111)으로 삽입된다. 그러면 후진억제톱니(305)도 파이프(400)의 외주면과 약간의 유격이 생기기 때문에 이 유격을 통하여 파이프를 인출하여 분리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although both ends of the pipe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that a pipe having different inner diameters is connected to a wrong pipe of a worker or a bad pipe is connected. In this case, the pipe must be separated from the
이와 같이 각 파이프(400)의 양단부를 연결한 뒤 결합부재(300)를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파이프(4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부재(300)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깊이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C형 링(500)이 하우징(100)의 끝단과 플랜지(304)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다.
다시한 번 설명하면, 양측 단부로부터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중간을 기준으로 내부 및 외부 양측이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되, 내측면에는 제1수용홈(101) 및 제2수용홈(102)이 형성되는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통공부가 전방을 향해 내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01)와, 상기 돌출부(201)의 외측부에 상기 돌출부(201)가 파이프에 의해 가압될 시 공간확보를 위해 형성되는 요홈(202) 및 실링효과를 높이기 위해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외측면 돌기(20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수용홈(101)에 삽입되며, 삽입되는 파이프의 전단부와 접하여 기밀 되도록 하는 실링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단부부터 중간까지 일정길이 둘 이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301)에 의해 파이프 삽입 시 외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일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전단부는 전방을 향해 내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돌출부(30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수용홈(102)에 삽입되며, 파이프의 후단부와 접하여 기밀 되도록 하는 결합부재(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제1수용홈(101)은 상기 실링부재(200)와 동일한 길이로 전방을 향해 직선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삽입 시 상기 실링부재(200)의 외측면 돌기 및 외측면을 밀착시키는 밀착수용홈(101-1) 및 상기 밀착수용홈(101-1)에서 전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이프 삽입 시 상기 실링부재(200)의 전단 외측부를 모아주면서 안착시키는 안착수용홈(101-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제2수용홈(102)은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기 돌출부(302)를 수용하기 위한 돌출부 수용홈(111)과, 돌출부 수용홈(111)의 후방에 형성되는 볼록곡면부(113)와, 상기 볼록곡면부(113)의 후방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돌출되어 형성되되, 전단부는 상기 볼록곡면부(113)의 후방에서 직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단부는 상기 결합부재(300)의 테이퍼진 돌출부(302)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상기 돌출부(302)의 경사방향과 대응되도록 외측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인출제한돌기(103)가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pipe 400 can be separated from the
The
In addition, a
The
Here, the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re will be.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하우징 101 : 제1 수용홈
102 : 제2 수용홈 103 : 인출제한돌기
111 : 돌출부 수용홈 200 : 실링부재
201 : 돌출부 202 : 요홈
203 : 외측면 돌기 300 : 결합부재
301 : 절개부 302 : 돌출부
303 : 유동방지돌기 304 : 플랜지
305 : 후진억제톱니 400 : 파이프
500 : C형 링100: housing 101: first receiving groove
102: second receiving groove 103:
111: projection receiving groove 200: sealing member
201: protrusion 202: groove
203: outer side projection 300: coupling member
301: incision section 302:
303: Flow prevention protrusion 304: Flange
305: Reverse restraining tooth 400: Pipe
500: C-shaped ring
Claims (9)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통공부가 전방을 향해 내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01)와, 상기 돌출부(201)의 외측부에 상기 돌출부(201)가 파이프에 의해 가압될 시 공간확보를 위해 형성되는 요홈(202) 및 실링효과를 높이기 위해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외측면 돌기(20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수용홈(101)에 삽입되며, 삽입되는 파이프의 전단부와 접하여 기밀 되도록 하는 실링부재(200); 및
전단부부터 중간까지 일정길이 둘 이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301)에 의해 파이프 삽입 시 외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일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전단부는 전방을 향해 내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돌출부(30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수용홈(102)에 삽입되며, 파이프의 후단부와 접하여 기밀 되도록 하는 결합부재(300);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제1수용홈(101)은
상기 실링부재(200)와 동일한 길이로 전방을 향해 직선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삽입 시 상기 실링부재(200)의 외측면 돌기 및 외측면을 밀착시키는 밀착수용홈(101-1) 및
상기 밀착수용홈(101-1)에서 전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이프 삽입 시 상기 실링부재(200)의 전단 외측부를 모아주면서 안착시키는 안착수용홈(101-2)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제2수용홈(102)은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기 돌출부(302)를 수용하기 위한 돌출부 수용홈(111)과, 돌출부 수용홈(111)의 후방에 형성되는 볼록곡면부(113)와, 상기 볼록곡면부(113)의 후방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돌출되어 형성되되, 전단부는 상기 볼록곡면부(113)의 후방에서 직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단부는 상기 결합부재(300)의 테이퍼진 돌출부(302)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상기 돌출부(302)의 경사방향과 대응되도록 외측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인출제한돌기(1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A housing 100 in which a first receiving groove 101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102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100, ;
A protrusion 201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rotrusion 201 to secure a space when the protrusion 201 is pressed by a pipe, a protrusion 201 formed to taper inward toward the front, (201), and an outer side projection (203)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to increase the sealing effect. The seal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101) Member (200); And
And a protrusion 302 formed by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extend toward the outside when the pipe is inserted by the incision 301 formed by cutting at least two predetermined lengths from the front end to the middle and the front end portion is formed to taper inward toward the front side And an engaging member (300)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02) to be hermetically contacted with the rear end of the pipe,
The first receiving groove (101) of the housing
(101-1) formed in a straight line to the front with the same length as that of the sealing member (200) and closel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projec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200)
A seating receiving groove 101-2 formed to be inclined inward toward the front in the close contact receiving groove 101-1 to receive and seat the front end outer side of the sealing member 200 when the pipe is inserte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02) of the housing
A protruding portion receiving groove 111 for receiving the protruding portion 302 extending outward and a convex curved surface portion 113 formed at the rear of the protruding portion receiving groove 111;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302 is protru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rear end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113. The front end portion is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rear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113, 302) is formed so as to be tapered toward the outside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pipe connecting protrusions (302, 302).
상기 결합부재(300)는,
그 외측면 중간에 하우징(100)의 내벽면과 근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파이프(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의 떨림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303); 및
끝단부에는 결합부재(300)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플랜지(3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gaging member (300)
A flow prevention protrusion 303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wall of the housing 100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shaken when the pipe 400 is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side wall of the housing 100; And
And a flange (304) formed at the end portion to prevent the coupling member (300)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상기 인출제한돌기(103)는, 상기 파이프(400)가 외력에 의해 인출될 시 상기 돌출부(302)의 외측면과 인출제한돌기(103)와 서로 접하여 파이프(400)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이프(400)가 인입될 시에는 결합부재(300)의 유동방지돌기(303)와 접하여 결합부재(300)의 인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rawing limiting protrusion 103 prevents the pipe 400 from being drawn out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02 and the drawing limiting protrusion 103 when the pipe 400 is pulled out by an external force, Wherein a length of the coupling member (300) is limited by contacting the flow prevention protrusion (303) of the coupling member (300) when the pipe (400) is inserted.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돌출부(302)의 후방에 삽입된 파이프(40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둘 이상으로 형성되되, 결합부재(300)의 후단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커지는 후진억제톱니(3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gaging member (300)
And further includes a backward suppressing tooth 305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pipe 400 inserted to the rear of the protrusion 302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increasing toward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member 300 Features a plumbing connection.
상기 돌출부(201)는,
실링부재(200)의 외주면보다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portion 201 is formed,
Is form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200).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101, 102)은 그 사이에 구획링(112)이 구비되되, 상기 구획링(112)은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grooves 101 and 102 are provided with a dividing ring 112 between them and the dividing ring 112 is integrally form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 Connector.
상기 하우징(100)의 양 끝단과 결합부재(300)는 양 단부를 통하여 파이프(400)가 삽입된 후 결합부재(300)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끝단과 플랜지(304) 사이에 개재되는 C형 링(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Both ends of the housing 100 and the coupling member 300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to limit the coupling member 300 from being inserted further into the housing 100 after the pipe 400 is inserted through both ends 100) and the flange (304). ≪ RTI ID = 0.0 > 31. <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1604A KR101586171B1 (en) | 2015-07-17 | 2015-07-17 | Pipe connec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1604A KR101586171B1 (en) | 2015-07-17 | 2015-07-17 | Pipe connecting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86171B1 true KR101586171B1 (en) | 2016-01-19 |
Family
ID=553062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016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6171B1 (en) | 2015-07-17 | 2015-07-17 | Pipe connec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86171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1206450A1 (en) * | 2020-04-10 | 2021-10-14 | (주)피엘에스 | Connection device |
| KR102753025B1 (en) * | 2024-03-19 | 2025-01-10 | 김병호 | Tube coupling apparaatus for connecting mist nozzle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320768A (en) * | 1999-05-17 | 2000-11-24 | Hidesaburo Ishii | Connection plug device for pipe member |
| JP2002031285A (en) * | 2000-04-04 | 2002-01-31 | Camozzi Spa | Quick connection device for pipe and rigid element |
| KR20060098327A (en) * | 2005-03-09 | 2006-09-18 | 죤 게스트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 Tube fittings or improvements therefor |
| KR200447466Y1 (en) * | 2007-04-04 | 2010-01-25 | 최육남 | Pipe connector |
| KR101416672B1 (en) | 2013-01-29 | 2014-07-09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Pipe connecting device |
-
2015
- 2015-07-17 KR KR1020150101604A patent/KR10158617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320768A (en) * | 1999-05-17 | 2000-11-24 | Hidesaburo Ishii | Connection plug device for pipe member |
| JP2002031285A (en) * | 2000-04-04 | 2002-01-31 | Camozzi Spa | Quick connection device for pipe and rigid element |
| KR20060098327A (en) * | 2005-03-09 | 2006-09-18 | 죤 게스트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 Tube fittings or improvements therefor |
| KR200447466Y1 (en) * | 2007-04-04 | 2010-01-25 | 최육남 | Pipe connector |
| KR101416672B1 (en) | 2013-01-29 | 2014-07-09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Pipe connecting devic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1206450A1 (en) * | 2020-04-10 | 2021-10-14 | (주)피엘에스 | Connection device |
| KR102753025B1 (en) * | 2024-03-19 | 2025-01-10 | 김병호 | Tube coupling apparaatus for connecting mist nozz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TWI710726B (en) | Method of joining pipe elements | |
| KR101110400B1 (en) | Pipe connector assembly and pip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1518377B1 (en) | Connector and connecting method of pipe | |
| KR200260578Y1 (en) | pipe coupling | |
| KR102175152B1 (en) | One touch type pipe connector | |
| US20220299134A1 (en) |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that can fin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ube | |
| KR101586171B1 (en) | Pipe connecting device | |
| KR101171692B1 (en) | Piping connector | |
| KR20140044347A (en) | Self- tightning pipe clamp | |
| KR101691384B1 (en) | A assembly for connecting a pipe to another pipe | |
| US5193856A (en) | Pipe connector | |
| US6843512B2 (en) | Tubing connector | |
| KR101918082B1 (en) | Low Pressure Compression Type Pipe Fitting And Method of Compressing Thereof | |
| KR20180030958A (en) | Pipe coupler | |
| KR20190018858A (en) | Telescopic type connecting structure for pipe | |
| KR101990141B1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pipe | |
| KR101788002B1 (en) | Coupling for pipe | |
| KR101676320B1 (en) | Structure of pipe connector | |
| KR20160095571A (en) | Structure of pipe connector | |
| KR101773751B1 (en) | The connecting socket for a pipe | |
| KR101638835B1 (en) | Pipe connector | |
| US11543060B2 (en) | Pipe-fitting device for connecting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 |
| KR101393395B1 (en) | Pipe and nut assembly for fixing pipe | |
| KR200473400Y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a pipe and a connecting pipe | |
| KR20150120328A (en) | Pipe conne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1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