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127B1 - Vacuum cleaning vehicle - Google Patents
Vacuum cleaning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7127B1 KR101587127B1 KR1020150000276A KR20150000276A KR101587127B1 KR 101587127 B1 KR101587127 B1 KR 101587127B1 KR 1020150000276 A KR1020150000276 A KR 1020150000276A KR 20150000276 A KR20150000276 A KR 20150000276A KR 101587127 B1 KR101587127 B1 KR 1015871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opening
- closing
- loading
- discharge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01H1/04—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taking- up the sweepings, e.g. for collecting, for loading
- E01H1/047—Collec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hopper or by means for unloading the ho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에 후방흡입관을 설치하여 적재물 배출작업이 원활하도록 하는 진공흡입청소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흡입배출장치를 개폐 가능함에 따라 적재부 내부의 적재물을 비울시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고, 개폐기의 개폐 동작 여부에 따라 후방흡입관과 연통하는 적재함 바닥 천공부를 밀폐함으로써 적재물의 역류를 방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suction sweeper which is provided with a rear suction pipe at the rear to smooth the discharge of the load.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a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a discharge can be smoothly performed when a load in the loading part is empty. Also, a loading floor pawn communicating with a rear suction pipe is sealed Prevent backflow of load.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흡입청소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 내부의 적재물을 비울 때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후방도어가 개방되고, 후방흡입구와 연통하는 적재함 바닥 천공부를 개폐기에 의해 밀폐시켜 적재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진공흡입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uction sweep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uction swee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suction sweeper which has a rear door opened so as to discharge smoothly when a load inside the loading box is emptied and a bottom floor punch communicating with a rear suction port, To a vacuum suction sweeper.
일반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이미 건설되어 사용하고 있는 도로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주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관리하고 있다.Generally, each local government or an organization that manages roads regularly carries out cleaning work to remove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roads already constructed and used, and maintains / maintains the road surface in a clean condition.
특히, 도시 미관과 관련하여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그중에서도 도로 및 도로 주변에 대하여 청소가 실시되는 것은 높은 인구가 밀집되어 생활하고 있는 도시 특성상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적은 인력으로도 노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진공흡입청소차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진공흡입청소차는 일반도로, 고속도로, 주차장, 대단위 공단, 비행장 활주로, 대운동장 등에 버려진 쓰레기를 청소하게 된다.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treat the waste in relation to the beauty of the city. Among these, cleaning of roads and roads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city where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Accordingly, a vacuum suction sweeper capable of maintaining / managing the road surface in a clean state is mainly used, and a vacuum suction sweeper is used for cleaning waste discarded on public roads, highways, parking lots, large industrial complexes, airfield runways, .
진공흡입청소차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노면으로부터 공기와 이물질을 함께 흡입하는데, 흡입된 공기는 필터장치를 거치게 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 대기 중으로 재방출되며, 걸러진 이물질은 적재함에 적재된 후 별도로 처리된다.The vacuum suction sweeper uses suction power to suck air and foreign matter together from the road surface. The sucked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device and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after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The filtered foreign matter is loaded on the loading box and then processed separately.
한편, 노면의 이물질은 계절 및 기후 조건 등에 따라 습하거나 건조한 형태를 이루게 되며, 노면의 이물질 상태에 따라 습식 진공흡입청소차와 건식 진공흡입청소차가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노면을 청소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foreign matters on the road surface become wet or dry depending on season and climatic conditions, and a wet vacuum suction sweeper and a dry vacuum suction sweeper ar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foreign matter condition of the road surface to clean the road surface.
일예로, 습식 진공흡입청소차는 적재함 내부로 유입되는 비산먼지의 대기중 배출을 막기위해 노면에 살수 작업이 이루어지거나 여름철의 우기(雨期) 등의 작업 환경에서 사용되고, 건식 진공흡입청소차는 노면 결빙 또는 살수라인 결빙으로 살수 작업이 불가능한 겨울철에 사용되는 등 노면의 이물질 상태에 따라 습식 진공흡입청소차와 건식 진공흡입청소차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For example, a wet vacuum suction sweeper is used in a working environment such as a spraying operation on the road surface or a rainy season in summer to prevent the discharge of scattered dust introduced into the loading box into the atmosphere, and the dry vacuum suction sweeper Wet Vacuum Suction Sweeper and Dry Vacuum Suction Sweeper can be selectively us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foreign object on the road, such as used in the winter season, where spraying work is impossible due to icing line icing.
다시 말해서, 이물질의 투과율이 낮은 필터장치가 설치된 건식 진공흡입청소차가 여름철의 우기(雨期)나 동절기 등에 청소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흡입된 이물질은 습도가 높아 필터장치에 엉겨붙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공기의 흐름 저항을 높이고 필터 효율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필터장치의 내구성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when a dry vacuum suction cleaner equipped with a filter device having a low permeability of foreign matter scavenges in the rainy season or the winter season in the summer, the foreign matter sucked in is highly humid, resulting in clogging of the filter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reducing the filter efficiency, and reducing the durability of the filter device.
이와 반대로, 이물질의 투과율이 높은 필터장치로 구성된 습식 진공흡입청소차가 건조한 상태의 이물질에 대해 청소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필터장치가 미세한 이물질을 미처 걸러내지 못하여 이러한 이물질들이 다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wet vacuum suction sweeper made of the filter device having a high permeability of the foreign substance scavenges foreign matter in a dried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eign substances are discharged again into the atmosphere because the filter device can not remove minute foreign matter have.
종래기술의 진공흡입청소차는 흡입구의 위치상 흡입관이 적재함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위치에 있는 흡입관은 적재함에서 적재물을 배출할 때 배출되는 적재물의 저항요인으로 작용한다.The vacuum suction sweeper of the prior ar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loading box on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pipe in this position acts as a resistance factor of the load discharged when discharging the load from the loading box.
특히, 물에 젖은 먼지와 모래, 흙 등은 물의 표면장력으로 말미암아 액즙상태가 되며 이것이 적재함의 흡입관에 점착되면 그 차체도 배출이 잘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적재함의 흡입관에 점착되면 그 차체도 배출이 잘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적재물의 배출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the dirt, sand and soil wetted by water become liquid juice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If this is adhered to the suction pipe of the loader, the body is not discharged well. If the loader is adhered to the suction pipe of another load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only difficult but also hinders the discharge of other loads.
(특허문헌 1) KR20-0432352 Y1
(Patent Document 1) KR20-0432352 Y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방에 후방흡입관이 설치된 청소차의 적재물 배출작업이 원활하도록 진공흡입청소차를 개선한 진공흡입청소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suction sweeper which is improved in a vacuum suction sweeper so that a load discharge operation of a sweeper equipped with a rear suction pipe is smoothly perform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노면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개폐 가능한 흡입배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배출장치가 개방될 경우, 상기 흡입배출장치는 상기 적재부의 내부에 있던 적재물이 상기 적재부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지원하는 진공흡입청소차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loading unit in which a foreign matter on a road surface is introduced and accommodated; And a suction / discharge device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part, wherein when the suction / discharge device is opened, the suction / discharge device is provided with a vacuum for supporting the discharge of the load inside the load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part Provide suction sweeper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부의 일측 하단부에 장착되는 흡입구 콘넥터; 상기 흡입구 콘넥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 콘넥터와 연통하도록 천공구가 관통형성되는 적재함 바닥 천공부; 및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에 장착되는 개폐기;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 콘넥터,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 및 상기 개폐기는 상호 연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unit may include: a suction inlet connector mounted at one lower end of the loading unit; A loading floor penetration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let connector and through which a cloth tool is inserted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connector; 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mounted on the loading floor perforation, wherein the inlet connector, the loading floor perforation, and the opening / closing devi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로 상기 적재물이 들어가서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를 폐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may close the loading floor pit so that the load does not flow back into the loading floor p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도록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에 장착되는 밀폐용 고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용 고무링은 상기 흡입배출장치가 폐쇄될 경우, 상기 흡입배출장치의 일면과 밀착됨에 따라 기밀을 유지시킨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aling rubber ring mounted on the loading floor perforation so as to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loading floor perforation, When the discharge device is closed, the airtightness is maintained as it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uction /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출장치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중앙 흡입부,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 및 상기 개폐기는 상호 연통하고, 상기 흡입배출장치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개폐기가 폐쇄됨에 따라 상기 적재부 내부에 있던 상기 적재물의 역류를 방지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ction / discharge device is closed, the central suction portion, the loading floor perforation and the switch are mutually communicated, and when the suction / discharge device is opened, the switch is closed Thereby preventing backflow of the load inside the loading p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출장치는, 상기 적재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개폐 가능한 개폐하우징; 상기 개폐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후방흡입관; 및 상기 개폐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후방도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may include: an openable / closable housing hing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to be opened and closed; A rear suction pipe mounted inside the opening / closing housing; And a rear door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hous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방도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개폐하우징을 피벗운동시킨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door pivots the opening / closing housing by a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출장치는 상기 후방도어의 후방에 장착되는 제 1 살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살수장치는 상기 후방도어의 후방을 향하여 살수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 discharge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spray device mounted to the rear of the rear door, and the first spray device sprays toward the rear of the rear do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출장치는 상기 후방도어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제 2 살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살수장치는 상기 후방도어의 양측면에서 살수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further includes a second spray devic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door, and the second spray device sprinkles at both sides of the rear do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출장치는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에 장착되는 제 3 살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살수장치는 상기 노면을 향하여 살수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further includes a third spray device mounted on the loading floor perforation, and the third spray device sprinkles toward the road surfac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above-described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흡입배출장치를 개폐 가능함에 따라 적재부 내부의 적재물을 비울시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고, 개폐기의 개폐 동작 여부에 따라 후방흡입관과 연통하는 적재함 바닥 천공부를 밀폐함으로써 적재물의 역류를 방지한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a suction / discharge device, a load can be smoothly discharged when a load inside the loading part is empty, and a bottom floor penetrating hole communicating with a rear suction pipe depending on opening / Sealing prevents backflow of the load.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노면의 이물질 상태에 따라 제1개폐부와 제2개폐부는 메인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노면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노면에 살수 작업이 이루어지거나 여름철의 우기(雨期) 등의 이물질의 상태가 습한 작업 환경에서는 제1개폐부가 개방되어 적재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여과부에서 1차 필터링이 이루어진 후 대기중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고, 결빙으로 살수 작업이 불가능한 겨울철이나 이물질의 상태가 건조한 작업 환경에서는 제2개폐부가 개방되어 적재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여과부에서 1차 필터링이 이루어진 후 필터유닛에서 미세한 이물질에 대해 2차 필터링이 이루어진 후 대기중으로 배출된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are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main duct according to the foreign matter condition of the road surface, so that the road surface can be cleaned. That is, in a working environment in which a spray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road surface or a foreign matter such as a rainy season in the summer seaso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and the air introduced from the loading part is firstly filtered by the filtering part,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and the air introduced from the loading part is subjected to the first filtering in the filtering part, and the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for 2 After the car is filtered, it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이와 같이, 진공흡입청소차는 계절 및 기후 조건 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제1개폐부와 제2개폐부의 선택적인 개폐 조절에 따라 원활한 노면 청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the vacuum suction sweeper is not affected by season and climatic conditions, and smooth surface clean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selective opening / closing control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하우징은 안착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하우징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하우징이 구비되어, 안착부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제1하우징에 구비된 제1필터유닛과 제2하우징에 구비된 제2필터유닛으로 균일하게 공급되어 미세 먼지 제거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ir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housing has a first housing on one side and a second housing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part, and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seating part is supplied to the first housing The first filter unit and the second filter unit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are uniformly supplied, so that the fine dust removing oper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하측에는 이물질 배출부가 형성되어 제1필터유닛과 제2필터유닛의 내측으로 고압의 분사가 이루어질 시 제1필터유닛과 제2필터유닛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털어짐과 동시에 이물질 배출부를 통해 진공흡입청소차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필터유닛과 제2필터유닛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에 대한 청소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Fourth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igh-pressure injection is made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unit and the second filter unit, a foreign matter discharge un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hereto can be shaken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acuum suction sweeper through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ion. That is, the foreign matter falling into the first filter unit and the second filter unit can be easily clean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흡입배출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흡입배출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적재함 바닥 천공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개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적재부에 흡입배출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후방흡입관, 밀폐용 고무링, 적재함 바닥 천공부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개폐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개폐기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제1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제2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요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로 변경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로 변경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개폐부의 개방시 이동되는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개폐부의 개방시 이동되는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개폐부의 개방시 이동되는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of a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of a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ading floor punching of a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ing / closing device of a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 discharge device is mounted on a loading portion of a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ear suction pipe of a vacuum suction swab, a rubber ring for sealing, and a floor punch of a loading 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witch of the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witch of the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n air flow in a state wher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ir flow in a state in which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of a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11 is a plan view of a main part of a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flow path chang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flow path chang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ir flow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ir flow that is moved whe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the air flow moved whe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흡입배출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흡입배출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of a vacuum suction sw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of a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공흡입청소차(1000)는 적재부(100), 여과부(200), 메인덕트(300), 습식유입덕트(400), 건식유입덕트(500), 필터하우징(600), 안내하우징(700) 및 흡입배출장치(900)를 포함할 수 있다. 노면의 이물질은 계절 및 기후 조건 등에 따라 습하거나 건조한 형태를 이루게 되며, 진공흡입청소차(1000)는 이물질의 상태에 따라 제1개폐부와 제2개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노면 청소를 행하게 된다. 후술될 진공흡입청소차(1000)는 간략한 명칭의 진공흡입청소차(1000)로 용어를 통일시키기로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이하,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이 포함된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은 노면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적재부(100) 및 적재부(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개폐 가능한 흡입배출장치(9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ful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00).
여기서, 흡입배출장치(900)가 개방될 경우, 흡입배출장치(900)는 적재부(100)의 내부에 있던 적재물이 적재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지원하게 된다.Here, when the suction and
적재부(100)는 적재부(100)의 일측 하단부에 장착되는 중앙 흡입부(120), 중앙 흡입부(1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앙 흡입부(120)와 연통하도록 천공구가 관통형성되는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 및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에 장착되는 개폐기(190)를 포함한다.The
이때, 중앙 흡입부(120),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 및 개폐기(190)는 상호 연통함에 따라 적재부(100) 내부에 있는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At this time, the
또한, 적재부(100)는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도록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에 장착되는 밀폐용 고무링(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밀폐용 고무링(170)은 흡입배출장치(900)가 폐쇄될 경우, 흡입배출장치(900)의 일면과 밀착됨에 따라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When the suction and
한편, 상기한 개폐기(190)는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로 적재물이 들어가서 역류하지 않도록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개폐기(1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실린더(191), 한 쌍의 개폐 실린더(191)의 일단에 장착되는 커버부재, 및 커버부재를 수용하고 커버부재를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개폐 콘넥터(192)를 포함한다. 개폐 콘넥터(192)는 직사각형태의 판부재로 형성되고, 그 일측부는 라운딩된 원호형상이며, 이러한 개폐 콘넥터(192)의 일측면은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의 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천공구와 연통한다. 또한, 개폐 콘넥터(192)의 중앙부에는 커버부재가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다.
Meanwhile, the
흡입배출장치(900)는 적재부(100)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개폐 가능한 개폐하우징(910), 개폐하우징(910)의 내부에 장착되는 후방흡입관(920) 및 개폐하우징(9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후방도어(930)를 포함한다.The suction and
여기서, 후방도어(930)는 사용자에 의해 개폐하우징(910)을 피벗운동시킴에 따라 적재부(100)와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Here, the
흡입배출장치(900)가 폐쇄되는 경우, 중앙 흡입부(120),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 및 개폐기(190)는 상호 연통한다.When the suction and
한편, 흡입배출장치(900)가 개방되는 경우, 개폐기(190)의 한 쌍의 개폐 실린더(191)가 좌우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한 쌍의 개폐 실린더(191)의 일단에 장착되는 커버부재가 한 쌍의 개폐 콘넥터(192)의 홈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의 한 쌍의 천공구를 폐쇄함에 따라 적재부(100) 내부에 있던 적재물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ction an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1000)는 후방도어(930)의 후방, 양측면 및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에 장착되는 제 1, 2, 3 살수장치(941, 942, 9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이때, 제 1, 2, 3 살수장치(941, 942, 9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3곳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econd and
우선, 흡입배출장치(900)는 후방도어(390)의 후방에 장착되는 제 1 살수장치(941)를 더 포함하고, 제 1 살수장치(941)는 후방도어(930)의 후방을 향하여 살수한다.First, the suction and
다음, 흡입배출장치(900)는 후방도어(930)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제 2 살수장치(942)를 더 포함하고, 제 2 살수장치(942)는 후방도어(930)의 양측면에서 살수한다.Next, the suction and
마지막으로 흡입배출장치(900)는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에 장착되는 제 3 살수장치(943)를 더 포함하고, 제 3 살수장치(943)는 노면을 향하여 살수한다.Finally, the suction and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 2, 3 살수장치(941, 942, 943)는 흡입배출장치(900)가 개방될 경우,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The first, second and
제 1, 2, 3 살수장치(941, 942, 943)는 노면을 향하여 살수되므로 적재부(100) 내부에 있던 적재물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비산되는 미세먼지가 노면으로 가라 앉을 수 있도록 돕는다.Since the first, second and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살수장치(941)는 후방도어(930)의 후방으로 살수하되, 노면을 향하여 소정거리 경사지도록 물을 분사하고, 제 2 살수장치(942)는 후방도어(930)의 양측면에서 노면을 향하여 소정거리 경사지도록 물을 분사하며, 제 3 살수장치(943)는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에서 노면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살수하므로 비산되는 미세먼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적재함 바닥 천공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ading floor punching of a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는 적재부(100)의 일측 하단부에 장착된다. 또한,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의 일면에는 한 쌍의 천공구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load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개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ing / closing device of a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기(190)는 적재함 바닥 천공부(180)와 인접한 적재부(10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4, the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개폐 콘넥터(192)의 중앙부는 한 쌍의 천공구와 대응하여 상호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상태는 개폐 콘넥터(192)에 의해 중앙부가 폐쇄된 상태이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portions of the pair of the opening /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적재부에 흡입배출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 discharge device is mounted on a loading portion of a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배출장치(900)는 적재부(1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피벗운동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the suction and
더욱 상세하게 개폐하우징(910)의 내부에는 후방흡입관(920)이 장착되고, 개폐하우징(910)의 외측면에는 후방도어(930)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개폐하우징(910)의 피벗운동을 가능하게 한다.More specifically, a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배출장치(900)가 개방되는 경우, 후방흡입관(920)은 전후방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어 적재부(100) 내부의 적재물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돕는다.5, when the suction an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후방흡입관, 밀폐용 고무링, 적재함 바닥 천공부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ear suction pipe of a vacuum suction swab, a rubber ring for sealing, and a floor punch of a loading 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배출장치(900)가 폐쇄될 경우, 개폐하우징(910)과 후방흡입관(920)의 일단은 밀폐용 고무링(170)과 밀착되어 고정된다.6, one end of the opening / closing
흡입배출장치(900)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개폐기(1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적재부(100) 내부에서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된다.Since the
한편, 흡입배출장치(900)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개폐기(1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이므로 적재부(100) 내부의 적재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Meanwhile, since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개폐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개폐기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suction sw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suction sw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실린더(191)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실린더일 수 있으며, 개폐 실린더(191)의 내부에는 개폐 실린더로드 및 원형으로 개방된 개폐 콘넥터(192)를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 실린더로드의 일단에 장착되는 판재의 커버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opening and
상기한 개폐기(190)는 흡입배출장치(900)의 개폐 여부에 따라 동작이 결정된다.The operation of the
우선, 흡입배출장치(900)가 폐쇄된 경우, 개폐기(1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실린더(191)에 의해 개폐 실린더로드가 중앙부로 이동하면서 개폐 콘넥터(192)가 개방되어 적재부(100) 내부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된다.7, the opening /
한편, 흡입배출장치(900)가 개방된 경우, 개폐기(1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실린더(191)에 의해 개폐 실린더로드가 죄우 양측으로 이동하면서 개폐 콘넥터(192)가 폐쇄됨에 따라 역류가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ction and
이하, 도 9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10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진공흡입청소차(1000)가 노면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진공흡입청소차(1000)에 구비된 송풍력 발생부(150)는 측면 흡입부(110)와 중앙 흡입부(120)로 흡입력을 전달하여 측면 브러쉬 조립체(130) 및 롤링 브러쉬 조립체(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적재부(100)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송풍력 발생부(150)는 송풍팬 등이 회전함에 따라 송풍력이 발생되는 송풍기(blower)일 수 있다.The suction
즉, 측면 흡입부(110)는 측면 브러쉬 조립체(130)의 작동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진공흡입청소차(1000)의 측면 공간에 위치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이루어지고, 중앙 흡입부(120)는 롤링 브러쉬 조립체(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탈된 진공흡입청소차(1000)가 이동되는 하면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이와 같이, 측면 흡입부(110)와 중앙 흡입부(120)로부터 유입된 이물질 및 먼지 등은 적재부(100)로 안내된다. 이때, 적재부(100)로 안내된 공기는 이물질 필터링 작업이 이루어진 후 진공흡입청소차(1000)의 외부로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matter, dust, etc., introduced from the
먼저 적재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여과부(200)에서 이물질에 대한 1차 필터링이 이루어진다.First, primary filtering is performed on a foreign object in the
여과부(200)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특히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걸러지도록 이루어진다. 즉, 여과부(200)는 그물 형태(mesh)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 중의 다습한 이물질을 걸러내게 된다. 다시 말해서, 여과부(200)는 노면 상태가 습한 상태에서 측면 흡입부(110)와 중앙 흡입부(120)를 통해 적재부(100)로 안내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낸 후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를 메인덕트(300)로 안내하게 된다.The
여기서 여과부(200)는 걸러내기 위한 대상 이물질이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이물질인 점을 감안하여, 부직포나 종이 재질 보다는 내수성이 강한 합성섬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러진 이물질이 부착됨으로 인하여 공기의 흐름 저항이 증가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공기 중의 다습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부(200)의 형상 및 모양 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여과부(200)는 장방향의 직사각형태를 이루어 적재부(100)의 넓은 면적에 대해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The
여과부(200)에서 1차 필터링이 이루어진 공기는 메인덕트(30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메인덕트(300)로 이동되는 공기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1개폐부(410) 또는 제2개폐부(510)에 따라 습식유입덕트(400) 또는 건식유입덕트(500)로 이동된 후 진공흡입청소차(1000)의 외부로 배출된다.The first filtered air in the
일예로, 노면 상태가 습한 경우에는, 적재부(100)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여과부(200)에서 1차 필터링이 이루어진 후 제1개폐부(410)의 개방에 따라 습식유입덕트(400)로 유입된 후 진공흡입청소차(10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For example, when the road surface state is humid,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노면 상태가 건조한 경우에는, 적재부(100)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여과부(200)에서 1차 필터링이 이루어진 후 제2개폐부(510)의 개방에 따라 건식유입덕트(500)로 유입된 후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에서 2차 필터링이 이루어진 후 진공흡입청소차(1000)의 외부로 배출된다.When the road surface is dry,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청소차의 요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로 변경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로 변경부의 사시도이다.FIG. 11 is a plan view of a substantial part of a vacuum suction sw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flow path chang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습식유입덕트(400)의 상부에는 제1개폐부(410)가 구비되어 메인덕트(300)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습식유입덕트(400)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즉, 습식유입덕트(400)의 상부는 메인덕트(300)의 하면과 연통 결합되되, 제1개폐부(410)의 개폐 여부에 따라 메인덕트(3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습식유입덕트(40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습식유입덕트(400)로 이동된 공기는 안내하우징(700)을 경유한 후 연결덕트(800)를 거쳐 진공흡입청소차(10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제1개폐부(410)는 제1차단부재(411)와 제1실린더(412)를 포함하며, 제1차단부재(411)는 습식유입덕트(40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제1실린더(412)는 습식유입덕트(40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제1차단부재(41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즉, 제1실린더(412)는 제1차단부재(411)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습식유입덕트(400)의 양측면에 한 쌍을 이루며 구비되어 습식유입덕트(40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한편, 건식유입덕트(500)의 상부에는 제2개폐부(510)가 구비되어 메인덕트(300)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건식유입덕트(500)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즉, 건식유입덕트(500)의 상부는 메인덕트(300)의 하면과 연통 결합되되, 제2개폐부(510)의 개폐 여부에 따라 메인덕트(3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건식유입덕트(5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개폐부(510)는 제2차단부재(511)와 제2실린더(512)를 포함하며 제1개폐부(41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제1개폐부(410)와 제2개폐부(510)는 높이가 달리 형성되어 제1개폐부(410)와 제2개폐부(510)의 개폐시 서로 접촉됨이 없도록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이러한 건식유입덕트(500)와 습식유입덕트(400)는 메인덕트(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서 이격된다. 건식유입덕트(500)와 습식유입덕트(400)는 메인덕트(300)의 하측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메인덕트(300)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게 된다.The
이와 같이, 건식유입덕트(500)와 습식유입덕트(400)는 메인덕트(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메인덕트(300)의 내부로 이동되는 공기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 즉, 메인덕트(300)는 굴곡 형성되지 않고 일직선상으로 형성된다.Since the
또한, 건식유입덕트(500)와 습식유입덕트(400)는 메인덕트(300)의 하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메인덕트(300)의 내부 또는 내측에 공기의 유로를 변경하기 위한 공기 유로 변경 구성이 구비되지 않는다. 이에, 메인덕트(300)의 내부로 이동되는 공기는 공기 유로 변경 구성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으며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 즉, 제1개폐부(410) 또는 제2개폐부(510)는 메인덕트(3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인 개폐 조절을 통해 건식유입덕트(500) 또는 습식유입덕트(400)로 공기를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The
필터하우징(600)은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을 포함하며,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은 연결형성된다. 이때, 제1하우징(610)의 내부에는 제1필터유닛(611)이 구비되고, 제2하우징(620)의 내부에는 제2필터유닛(621)이 구비되어 건식유입덕트(5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대해 2차 필터링 처리가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필터하우징(600)에는 안착부(630)가 형성되며 건식유입덕트(500)의 하부는 안착부(630)에 형성된 안착홀(631)과 연통되도록 안착 결합되어 건식유입덕트(5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을 경유한 후 진공흡입청소차(1000)의 외부로 배출된다.The
구체적으로, 필터하우징(600)의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이 연결형성되고,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 사이에는 건식유입덕트(500)가 삽입되는 안착공간부(632)를 형성하며 건식유입덕트(500)의 하부는 안착부(630)에 안착된다. 이러한, 안착부(630)는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며, 건식유입덕트(500)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건식유입덕트(500)로부터 필터하우징(600)의 내부로 배출된 공기는 제1연통홀(612)과 제2연통홀(622)의 방향을 향해 상측으로 이동되되,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의 내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으로 이동되어 2차 필터링이 이루어진다.Specifically, a
또한,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은 안착부(63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건식유입덕트(5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으로 골고루 분산 공급되어 2차 필터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안착부(630)는 필터하우징(600)의 어느 일측에 치우치도록 위치되지 않고, 필터하우징(600)의 중간지점에 위치되어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으로 균일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건식유입덕트(5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으로 균일하게 공급되어 미세 먼지 제거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특히 수분을 적게 함유하고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데 효과적이도록 이루어지며, 미세한 중공(中空) 등이 형성되어 공기 중의 건조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은 걸러내기 위한 대상 이물질이 수분을 적게 함유하고 있는 이물질인 만큼, 부직포나 종이 또는 합성섬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위시간 동안 많은 양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공기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으로부터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교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제1하우징(610)의 하측과 제2하우징(620)의 하측에는 이물질 배출부(640)가 연결형성되어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압 분사부(미도시)로부터 고압의 공기 분사가 이루어질 시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털림과 동시에 이물질 배출부(640)를 통해 진공흡입청소차(1000)의 외부로 손쉽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털림과 동시에 필터하우징(600)의 하면에 쌓이는 것이 방지되어, 별도로 필터하우징(600)의 내부를 청소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의 관리가 용이하다.A foreign
여기서 이물질 배출부(640)에는 경사면(641)이 형성되어 고압 분사부(미도시)의 고압 공기 분사 작업을 통해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으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이 진공흡입청소차(1000)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경사면(641)은 다양한 경사각을 이룰 수 있으며, 제1하우징(6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이물질 배출부(640)의 경사면(641)과 제2하우징(6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이물질 배출부(640)의 경사면(641)이 서로 맞닿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foreign
한편, 제1하우징(610)의 상측에는 제1연통홀(612)이 형성되고, 제2하우징(620)의 상측에는 제2연통홀(622)이 형성되어 안내하우징(700)의 일단부는 제1연통홀(612)에 연통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연통홀(622)에 연통결합된다. 즉, 필터하우징(600)과 안내하우징(700)이 포함되는 공기 유로 변경부는 필터하우징(600)의 제1연통홀(612)과 제2연통홀(622)에 안내하우징(700)이 연통 결합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로 변경부의 제조가 용이하며 진공흡입청소차(1000)에 공기 유로 변경부를 장착하기가 수월하다.A
한편, 안내하우징(700)의 상면에는 습식유입덕트(400)의 하부가 결합되고, 하면에는 송풍력 발생부(150)로 공기가 이동되는 연결덕트(800)가 결합된다. 또한, 안내하우징(700)의 일단부는 제1하우징(610)의 제1연통홀(612)과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하우징(620)의 제2연통홀(622)과 결합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이러한, 안내하우징(700)의 하면에는 송풍력 발생부(150)와 연결되는 연결덕트(800)가 구비되어 송풍력 발생부(150)로부터 전달되는 흡입력은 제1개폐부(410) 또는 제2개폐부(510)의 선택적인 개폐 조절에 따라 공기의 이동 경로가 달라진다.The connecting
여기서 연결덕트(800)는 안내하우징(700)의 상면에 결합되는 습식유입덕트(400)와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이는, 연결덕트(800)와 습식유입덕트(400)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연결덕트(800)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은 습식유입덕트(400)로 전달되어 제1개폐부(41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제1개폐부(410)에 큰 부하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결덕트(800)는 안내하우징(700)의 일측부에 결합되고, 습식유입덕트(400)는 안내하우징(700)의 중앙부에 결합된다.Wherein the connecting
메인덕트(300)를 경유한 공기가 제1개폐부(410) 또는 제2개폐부(510)의 선택적인 개폐 조절에 따라 이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mov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개폐부의 개방시 이동되는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개폐부의 개방시 이동되는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개폐부의 개방시 이동되는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 예시도로,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ir flow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an air flow moving whe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n air flow which is moved whe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design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members shown in Figs. 9 to 13 And member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re not described in detail.
도 14를 참고하면, 노면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의 상태가 습한 경우에는 제1개폐부(410)는 개방되고 제2개폐부(510)는 폐쇄된 상태를 이루어 메인덕트(3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제1개폐부(410)를 통해 습식유입덕트(400)의 내부로 이동된다.14, when the state of the foreign object sucked from the road surface is humi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다음으로, 습식유입덕트(400)를 경유한 공기는 안내하우징(700)을 거쳐 연결덕트(800)로 이동된 후 진공흡입청소차(1000)의 외부로 배출된다.Nex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도 15와 도 16을 참고하면, 노면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의 상태가 건조한 경우에는 제1개폐부(410)는 폐쇄되고 제2개폐부(510)는 개방되어, 메인덕트(3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제2개폐부(510)를 통해 건식유입덕트(500)의 내부로 이동된다.15 and 16, when the state of the foreign object sucked from the road surface is dry,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다음으로, 건식유입덕트(500)를 경유한 공기는 안착홀(631)을 통해 필터하우징(60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필터하우징(600)의 내부로 배출된 공기는 안착부(630)의 양측에 형성된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으로 균일하게 분산 이동되어 2차 필터링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필터하우징(600)의 내부로 배출된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며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을 경유하게 된다. 이때, 필터하우징(60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사이클론(cyclone) 방식으로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으로 이동되어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은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내게 된다.Next, the air passed through the
안착부(630)가 안내하우징(700)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건식유입덕트(5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안내하우징(700)이 위치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630)는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의 하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어, 안착홀(63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으로 이동시 걸림이 발생되지 않으며 원활한 공기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630)는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의 하면과 동일선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다음으로, 제1필터유닛(611)과 제2필터유닛(621)을 경유한 공기는 제1연통홀(612)과 제2연통홀(622)을 통해 안내하우징(700)으로 이동되어 연결덕트(800)를 거친 후 진공흡입청소차(1000)의 외부로 배출된다.Nex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이때, 제1연통홀(612)과 제2연통홀(62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안내하우징(700)의 일측부에 결합된 연결덕트(800)로의 공기 유입이 원활하도록 안내하우징(700)의 타측부에는 곡면이 형성되어 연결덕트(8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연통홀(62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대해 연결덕트(800)로 수월한 유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이와 같이, 공기 유로 변경부는 제1개폐부(410)와 제2개폐부(510)의 선택적인 개폐 조절이 이루어져 습식 상태의 이물질과 건조한 상태의 이물질에 대해 선택적인 노면청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assage changing part selectively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적재부 110: 측면 흡입부
120: 중앙 흡입부 130: 측면 브러쉬 조립체
150: 송풍력 발생부 170: 밀폐용 고무링
180: 적재함 바닥 천공부 190: 개폐기
191: 개폐 실린더 192: 개폐 콘넥터
200: 여과부 300: 메인덕트
400: 습식유입덕트 410: 제1개폐부
500: 건식유입덕트 510: 제2개폐부
600: 필터하우징 610: 제1하우징
611: 제1필터유닛 612: 제1연통홀
620: 제2하우징 621: 제2필터유닛
622: 제2연통홀 630: 안착부
640: 이물질 배출부 700: 안내하우징
800: 연결덕트 900: 흡입배출장치
910: 개폐하우징 920: 후방흡입관
930: 후방도어 941: 제 1 살수장치
942: 제 2 살수장치 943: 제 3 살수장치
1000: 진공흡입청소차100: loading part 110: side suction part
120: Central suction part 130: Side brush assembly
150: a wind power generating part 170: a rubber ring for sealing
180: Loading floor piercing 190: Actuator
191: opening / closing cylinder 192: opening / closing connector
200: Filtration unit 300: Main duct
400: wet inlet duct 410: first opening / closing part
500: Dry inlet duct 510: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600: filter housing 610: first housing
611: first filter unit 612: first communication hole
620: second housing 621: second filter unit
622: second communication hole 630: seat part
640: Foreign matter discharging portion 700: Guide housing
800: connecting duct 900: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910: opening / closing housing 920: rear suction pipe
930: rear door 941: first sprinkler device
942: Second sprinkler 943: Third sprinkler
1000: Vacuum suction sweeper
Claims (10)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개폐 가능한 흡입배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배출장치가 개방될 경우, 상기 흡입배출장치는 상기 적재부의 내부에 있던 적재물이 상기 적재부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지원하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부의 일측 하단부에 장착되는 중앙 흡입부;
상기 중앙 흡입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흡입부와 연통하도록 천공구가 관통형성되는 적재함 바닥 천공부; 및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에 장착되는 개폐기;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는,
한 쌍의 개폐 실린더;
상기 한 쌍의 개폐 실린더의 일단에 장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커버부재를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개폐 콘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개폐 실린더는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부재를 양측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고,
상기 흡입배출장치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중앙 흡입부,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 및 상기 개폐기는 상호 연통하고,
상기 흡입배출장치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개폐 실린더가 좌우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개폐 실린더의 일단에 장착되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한 쌍의 개폐 콘넥터의 홈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의 한 쌍의 천공구를 폐쇄함에 따라 상기 적재부 내부에 있던 상기 적재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
A loading section in which a foreign object on the road surface is received and accommodated; And
And a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part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When th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is opened, th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supports the load inside the loading par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part,
The loading section
A central suction unit mounted at one lower end of the loading unit;
A cargo bottom floo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suction portion and having a cloth tool penetrated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suction portion; And
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mounted on the loading floor perforation,
The switch,
A pair of opening and closing cylinders;
A cover member mounted on one end of the pair of open / close cylinders; And
And an opening / closing connector for receiving the cover member and guiding the cover member movably,
Wherein the pair of open / close cylinders are positioned between the cover members to linearly reciprocate the cover members to both sides,
When th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is closed, the central suction portion, the loading floor perforation and the switch are mutually communicated,
Wherein when th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is opened, the pair of the opening and closing cylinders move left and right, and the cover member mounted on one end of the pair of opening and closing cylinders is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groove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nnector And prevents the backward flow of the load inside the loading section as the pair of cloth tools of the loading floor piercing is closed.
Vacuum suction sweeper.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도록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에 장착되는 밀폐용 고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용 고무링은 상기 흡입배출장치가 폐쇄될 경우, 상기 흡입배출장치의 일면과 밀착됨에 따라 기밀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aling rubber ring mounted on the loading floor perforation so as to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loading floor perf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rubber ring keeps airtight as it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when th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is closed,
Vacuum suction sweeper.
상기 흡입배출장치는,
상기 적재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개폐 가능한 개폐하우징;
상기 개폐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후방흡입관; 및
상기 개폐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후방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
An opening / closing housing hing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to be opened / closed;
A rear suction pipe mounted inside the opening / closing housing; And
And a rear door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housing.
Vacuum suction sweeper.
상기 후방도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개폐하우징을 피벗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door pivots the opening / closing housing by a user.
Vacuum suction sweeper.
상기 흡입배출장치는 상기 후방도어의 후방에 장착되는 제 1 살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살수장치는 상기 후방도어의 후방을 향하여 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sprinkler device mounted behind the rear door,
Characterized in that said first sprinkler sprinkles toward the rear of said rear door.
Vacuum suction sweeper.
상기 흡입배출장치는 상기 후방도어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제 2 살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살수장치는 상기 후방도어의 양측면에서 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further includes a second spray devic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door,
Characterized in that said second sprinkler device sprinkles on both sides of said rear door.
Vacuum suction sweeper.
상기 흡입배출장치는 상기 적재함 바닥 천공부에 장착되는 제 3 살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살수장치는 상기 노면을 향하여 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청소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further includes a third spray device mounted on the loading floor perf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said third sprinkler device sprinkles toward said road surface.
Vacuum suction sweep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00276A KR101587127B1 (en) | 2015-01-02 | 2015-01-02 | Vacuum cleaning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00276A KR101587127B1 (en) | 2015-01-02 | 2015-01-02 | Vacuum cleaning vehic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87127B1 true KR101587127B1 (en) | 2016-01-20 |
Family
ID=5530822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00276A Active KR101587127B1 (en) | 2015-01-02 | 2015-01-02 | Vacuum cleaning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87127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396698A (en) * | 2018-04-15 | 2018-08-14 | 扬州金威环保科技有限公司 | One kind, which is washed, sweeps integrated environmental sanitation vehicles |
| CN116374452A (en) * | 2023-02-08 | 2023-07-04 | 重庆鸿旭实业有限公司 | Sealing device for tail door of garbage truck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787103B2 (en) * | 1994-10-07 | 1998-08-13 | 初田拡撒機株式会社 | sweeper |
| KR100704375B1 (en) * | 2005-12-28 | 2007-04-06 | (주)깨끗한도시 | Road cleaning vehicles |
| KR101195135B1 (en) * | 2010-08-20 | 2012-10-29 | 효동개발 주식회사 | a vehicle load type a sprinkler for scattering dust remove |
-
2015
- 2015-01-02 KR KR1020150000276A patent/KR10158712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787103B2 (en) * | 1994-10-07 | 1998-08-13 | 初田拡撒機株式会社 | sweeper |
| KR100704375B1 (en) * | 2005-12-28 | 2007-04-06 | (주)깨끗한도시 | Road cleaning vehicles |
| KR101195135B1 (en) * | 2010-08-20 | 2012-10-29 | 효동개발 주식회사 | a vehicle load type a sprinkler for scattering dust remove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396698A (en) * | 2018-04-15 | 2018-08-14 | 扬州金威环保科技有限公司 | One kind, which is washed, sweeps integrated environmental sanitation vehicles |
| CN108396698B (en) * | 2018-04-15 | 2024-05-03 | 扬州金威环保科技有限公司 | Washing and sweeping integrated sanitation vehicle |
| CN116374452A (en) * | 2023-02-08 | 2023-07-04 | 重庆鸿旭实业有限公司 | Sealing device for tail door of garbage truck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87171B1 (en) | Road cleaner | |
| KR101296194B1 (en) | Vacuum cleaning vehicle used both as dry type and wet type having dust filtering | |
| KR101552163B1 (en) | High efficiency dry street sweeper | |
| KR102069546B1 (en) | Garbage truck for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on roads | |
| US2006023072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collecting airborne hazardous particles generated by a moving vehicle | |
| US11559180B2 (en) | Filter system and a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a filter system | |
| KR100627027B1 (en) | Vacuum suction sprinkler | |
| US20090089964A1 (en) | Pick-up head having a re-circulating air system for a mobile sweeping vehicle | |
| KR101595838B1 (en) | Dry type road sweeping vehicle | |
| US8082625B2 (en) | Pick-up head having housed gutter brooms for a mobile sweeping vehicle | |
| KR101587127B1 (en) | Vacuum cleaning vehicle | |
| KR100977510B1 (en) | Street cleaning vehicle with bag filter | |
| KR20150144465A (en) | Air freshening system of road sweeper | |
| CN107816003B (en) | Sweeping vehicle | |
| KR101991083B1 (en) | Air cleaning system using electric air cleaner | |
| US20120192377A1 (en) | Pavement Sweeper with Improved Filter Screen System | |
| US20090089962A1 (en) | Pick-up head with debris urging means for a mobile sweeper | |
| CN108421357A (en) | A kind of vehicle-mounted Wet-dry filter device | |
| RU2068043C1 (en) | Sweeping equipment | |
| KR200278984Y1 (en) | Automatic regeneration type air filter device for air cleaner | |
| US20090083936A1 (en) | Variable width pick-up head for a mobile sweeper | |
| US8108964B2 (en) | Sealed pick-up head for a mobile sweeper | |
| JPH08112226A (en) | Cleaner | |
| KR101715390B1 (en) | Road sweeping vehicle provided with wet type filter | |
| CN215629670U (en) |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