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242B1 - security camera elevator - Google Patents
security camera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7242B1 KR101587242B1 KR1020150138542A KR20150138542A KR101587242B1 KR 101587242 B1 KR101587242 B1 KR 101587242B1 KR 1020150138542 A KR1020150138542 A KR 1020150138542A KR 20150138542 A KR20150138542 A KR 20150138542A KR 101587242 B1 KR101587242 B1 KR 1015872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veillance camera
- cylinder
- vertical bar
- horizontal bar
- protect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2)를 자동으로 승강시켜 손쉽게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된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는 상기 수직바(10) 또는 보호함체(30)의 내부에 상기 감시카메라(2)에 연결되어 감시카메라(2)를 승강시키는 윈치(60)가 구비되어, 상기 윈치(60)를 이용하여 감시카메라(2)를 승강시킬 수 있음으로, 카메라(2)를 점검하거나 유지보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illance camera lifting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pected and maintained by automatically lifting and lowering the surveillance camera 2.
The constructed lift device for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inch 60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2 inside the vertical bar 10 or the protective enclosure 30 to elevate the surveillance camera 2, Since the surveillance camera 2 can be raised and lowered using the winch 60, it is very easy to check and maintain the camera 2. [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를 자동으로 승강시켜 손쉽게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illance camera elevating apparatus having a new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ascending and descending a surveillance camera to easily check and maintain the surveillance camera.
일반적으로,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는 다양한 종류의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주변을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Generally, various types of surveillance cameras are installed in a place where security is required, and the surveillance camera is configured to monitor the surroundings.
이때, 건축물을 건축할 때부터 설계에 반영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감시카메라의 경우, 건축물의 벽면이나 천정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지만, 건축물이 완성된 이후에 추가적으로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거나, 실외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할 경우, 지지대를 이용하여 감시카메라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case of a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in a room, the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to be fixed to a wall or a ceiling of a building. However, if a surveillance camera is additionally installed after the building is completed, The surveillance camera is generally installed so that the surveillance camera is spaced upward from the floor.
도 1 및 도 2는 이와 같이 감시카메라(2)를 실내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대의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수직바(10)와, 상기 수직바(10)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바(20)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바(10)의 하단에는 내부에 컨트롤박스(31)가 구비된 보호함체(30)가 구비된다.1 and 2 illustrate a general form of a support frame used for installing the
이때, 상기 수직바(10)는 상기 수평바(20)가 적절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벽면(1)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수평바(20)의 선단부 하측에는 감시카메라(2)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바(10)와 수평바(20)의 내부에는 상기 감시카메라(2)를 상기 컨트롤박스(31)에 연결하는 통신케이블(40)이 구비된다.A
상기 보호함체(3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통체형상으로 구성된다.The protection enclosure (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igh strength.
한편, 실외에 설치되는 지지대의 경우, 상기 수직바(10)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보호함체(30)는 상기 수직바(10)의 중간부에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upport stand installed outdoors, 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상기 감시카메라(2)를 유지보수할 때는 감시카메라(2)를 상기 수평바(20)에서 분리하여 점검을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그런데,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감시카메라(2)의 경우, 일반적인 가정에서 사용되는 소형의 것이 아니라, 주야간에도 자유로운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무게가 매우 많이 나가게 되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수평바(20)에 결합된 감시카메라(2)를 분리할 때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특히, 상기 감시카메라(2)의 경우, 통신케이블(40)에 의해 상기 컨트롤박스(31)에 연결됨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카메라(2)를 수평바(20)에서 분리하여 하측으로 내릴 때, 상기 통신케이블(40)이 당겨져 상기 수평바(20)의 하측으로 노출된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따라서, 점검이나 유지보수가 완료된 감시카메라(2)를 상기 수평바(20)에 결합할 때, 상기 수평바(20)의 하측으로 노출된 통신케이블(40)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수평바(20)의 내부로 밀어 넣어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상기 통신케이블(40)에 단선이나 꺽임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th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such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시카메라를 자동으로 승강시켜 손쉽게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t device for a surveillance camera with a new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pected and maintained by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a surveillance camera.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바(10)와, 상기 수직바(10)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하측에 감시카메라(2)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바(20)와, 상기 수직바(10)에 구비되며 내부에 컨트롤박스(31)가 구비된 보호함체(30)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용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10) 또는 보호함체(3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감시카메라(2)에 연결되어 감시카메라(2)를 승강시키는 윈치(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ical bar (10) including a vertical bar (10), a horizontal bar (20) extending for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and detachably connected to a surveillance camera And a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바(10)와 수평바(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감시카메라(2)와 컨트롤박스(31)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케이블(40)의 외측에는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된 금속재의 보호관체(8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시카메라(2)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바(20)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통체(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통체(50)는 상기 윈치(60)가 연결되는 상부통체(51)와, 상기 상부통체(5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감시카메라(2)에 결합된 하부통체(5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통체(51)의 상면에는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상기 통신케이블(40)은 상기 관통공(51a)을 통해 상기 연결통체(50)의 내부로 연장된 후, 상기 연결통체(50)의 내부에 구비된 커넥터(2a)를 통해 상기 감시카메라(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통체(5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평바(20)의 하측에 구비된 보호통체(90)를 더 포함하며, 수평바(20)와 보호통체(90)에는 상호 대응되는 통공(21,91)이 형성되고, 상기 윈치(60)의 윈치케이블(63)은 통공(21,91)을 통해 상기 보호통체(90)의 내부로 연장된 후 상기 연결통체(50)에 연결되어, 상기 윈치(60)로 연결통체(50)를 상승시키면 상기 연결통체(50)가 상기 보호통체(9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protective cylinder (90) provided below the horizontal bar (20)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cylinder (50)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통체(51)에는 상기 관통공(51a)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상기 보호관체(80)가 연결되며 중간부에는 걸림턱(53a)이 형성된 지지관체(53)가 구비되며, 상기 보호통체(90)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관체(53)의 걸림턱(53a)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관체(53)를 고정하는 고정수단(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본 발명에 따른 구성된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는 상기 수직바(10) 또는 보호함체(30)의 내부에 상기 감시카메라(2)에 연결되어 감시카메라(2)를 승강시키는 윈치(60)가 구비되어, 상기 윈치(60)를 이용하여 감시카메라(2)를 승강시킬 수 있음으로, 카메라(2)를 점검하거나 유지보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constructed lift device for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에서 감시카메라를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의 연결통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의 연결통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 1 and FIG. 2 are sid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lift device for a surveillance camera,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landing gear for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rveillance camera is lowered in a surveillance camera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ng cylinder of a lift device for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ng cylinder of a lift device for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시카메라용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감시카메라(2)가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3 to 6 illustrate a lift device for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on a support for a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inside a building, and the
이때, 상기 감시카메라용 지지대는 건축물의 벽면(1)에 고정되는 수직바(10)와, 상기 수직바(10)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하측에 감시카메라(2)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바(20)와, 상기 수직바(10)의 하단에 구비되며 내부에 컨트롤박스(31)가 구비된 보호함체(30)가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In this case, the support for the surveillance camera includes a
이때, 상기 수평바(20)와 수직바(10)의 내부에는 상기 감시카메라(2)와 컨트롤박스(31)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40)이 구비된다.At this time, a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는, 상기 감시카메라(2)의 상측에 구비된 연결통체(50)와,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통체(5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평바(20)의 하측에 구비된 보호통체(90)와, 상기 보호함체(30)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통체(50)에 연결되어 연결통체(50)와 감시카메라(2)를 승강시키는 윈치(60)와, 상기 수평바(20)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통체(50)와 결합되어 연결통체(5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70)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veillance camera lift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통체(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통체(51)와, 상기 상부통체(5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감시카메라(2)에 결합된 하부통체(52)로 구성된다.5 and 6, the connecting
상기 상부통체(51)의 상면 중앙부에는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1a)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 걸림턱(53a)이 형성된 지지관체(53)가 구비된다.A through
상기 걸림턱(53a)은 상기 지지관체(53)의 중간부에 상면이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지지부재(53b)를 결합고정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하부통체(52)에는 상기 상하부통체(52)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통체(52)가 상기 상부통체(51)의 하측에 결합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프(52a)가 구비된다.The lower
상기 클램프(52a)는 상기 상부통체(51)와 하부통체(52)를 원터치로 상호 결합하거나 결합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The
또한, 그리고, 상기 연결통체(50)의 내부에는 상기 감시카메라(2)에 연결된 커넥터(2a)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connector (2a)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2)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cylinder (50).
상기 보호통체(90)는 상기 연결통체(50)에 비해 사이즈가 큰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바(20)의 선단부 하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윈치(60)에 의해 연결통체(50)와 감시카메라(2)가 상승되었을 때, 연결통체(50)와 감시카메라(2)의 상측이 상기 보호통체(90)의 내부로 삽입되어 눈이나 비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고정수단(70)이 구비되기 위한 격판(92)이 구비된다.The
이때, 상기 수평바(20)와 보호통체(90)에는 상호 대응되는 통공(21,91)이 형성되며, 상기 통신케이블(40)은 상기 통공(21,91)을 통해 상기 보호통체(90)의 내부로 연장된 후, 상기 연결통체(50)의 지지관체(53)를 통해 상기 연결통체(50)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2a)에 연결된다.At this time, through
그리고, 상기 통신케이블(40)의 외측에는 금속재의 보호관체(80)가 결합된다.A
상기 보호관체(80)는 강도가 높은 금속스트립을 관형태를 이루도록 코일형태로 꼬아서 구성된 것으로, 중간부가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이러한 금속재의 보호관체(80)는 샤워기나 싱크대에 구비된 수도꼭지의 자바라관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이때, 상기 보호관체(80)는 선단부는 상기 지지관체(53)의 상단에 연결되며, 기단부는 상기 수평바(20)와 수직바(10)를 통해 상기 보호함체(30)의 내부로 연장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윈치(6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함체(30)의 내부에 구비되어 구동모터(62)에 의해 구동되는 권취드럼(61)과, 상기 권취드럼(61)에 권취되며 선단부는 상기 수직바(10)와 수평바(20)를 통해 상기 연결통체(50)에 연결된 윈치케이블(63)로 구성된다.3 and 4, the
이때, 상기 윈치케이블(63)은 상기 보호관체(80)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공(81)을 통해 보호관체(8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연결통체(50)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바(10)와 수평바(20)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관체(80)와 윈치케이블(63)을 안내하는 가이드로울러(64)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62)로 권취드럼(61)을 회전시켜 윈치케이블(63)을 감아 올리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통체(50)와 감시카메라(2)가 상승되어, 상기 연결통체(50)가 상기 보호통체(90)로 삽입된다.3, the connecting
반대로, 상기 구동모터(62)로 권취드럼(61)을 회전시켜 윈치케이블(63)을 풀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통체(50)와 감시카메라(2)가 하강된다.Conversely, when the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보호통체(90)의 격판(92)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관체(53)의 걸림턱(53a)에 결합될 수 잇도록 구성된다.The
이를 위해, 상기 격판(92)의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관체(53)가 삽입되는 삽입공(92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격판(92)의 상면에 상기 삽입공(92a)의 둘레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래칫볼트(71)와, 상기 래칫볼트(71)에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래칫볼트(71)가 삽입공(92a)의 중앙부 쪽으로 전진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래칫볼트(71)가 외측으로 후퇴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장치(72)로 구성된다.The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53)가 상기 삽입공(92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래칫볼트(71)가 상기 걸림턱(53a)에 걸려, 지지관체(53)와 연결통체(50) 및 감시카메라(2)가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된다.3, when the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장치(72)를 on시키면 상기 래칫볼트(71)가 외측으로 후퇴되면서 상기 지지관체(53)의 고정이 해제되며,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윈치(60)를 풀어 상기 연결통체(50)와 감시카메라(2)가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이때, 상기 통신케이블(40)은 상기 보호관체(80)와 함께 상기 수평바(20)와 보호통체(9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감시카메라(2)를 충분히 하강되도록 한 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통체(50)의 클램프(52a)를 풀어서, 상기 상부통체(51)와 하부통체(52)를 분리하여, 상기 연결통체(50)의 내부에 구비된 커넥터(2a)가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커넥터(2a)에서 통신케이블(40)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감시카메라(2)가 완전히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After the
그리고, 이와 같이 분리된 감시카메라(2)를 점검 및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상기 통신케이블(40)을 커넥터(2a)에 연결하고 상기 연결통체(50)를 결합한 후, 상기 윈치(60)를 구동시켜 윈치케이블(63)을 감으면, 상기 연결통체(50)와 감시카메라(2)가 상승된다.After the monitoring and maintenance of the separated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53)가 상기 삽입공(92a)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수단(70)의 래치볼트가 상기 걸림턱(53a)에 걸려 연결통체(50)와 감시카메라(2)가 하강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한다.3, when the
한편, 이와 같이 상기 감시카메라(2)를 상승시키면, 상기 수직바(10)의 내부에 위치된 보호관체(8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수평바(20)의 하측으로 연장된 보호관체(80)와 통신케이블(40)을 상측으로 당겨져 상기 수평바(20)와 수직바(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직바(10)에 위치된 보호관체(80)의 내측단부는 상기 보호함체(30)의 내부에 접힌 상태로 수납된다.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는 상기 수직바(10) 또는 보호함체(30)의 내부에 상기 감시카메라(2)에 연결되어 감시카메라(2)를 승강시키는 윈치(60)가 구비되어, 상기 윈치(60)를 이용하여 감시카메라(2)를 승강시킬 수 있음으로, 카메라(2)를 점검하거나 유지보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thus constructed surveillance camera lift device is provided with a
특히, 상기 감시카메라(2)와 컨트롤박스(31)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케이블(40)의 외측에는 중간부가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된 금속재의 보호관체(80)가 결합된다.The
따라서, 감시카메라(2)를 승강시킬 때 통신케이블(40)을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윈치(60)를 이용하여 감시카메라(2)를 끌어올릴 때, 상기 수직바(10)의 하측으로 연장된 통신케이블(40)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직바(10)의 내부로 삽입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즉, 상기 보호관체(80)가 없을 경우, 상기 윈치(60)로 감시카메라(2)를 끌어올릴 때, 상기 통신케이블(40)은 상측으로 끌어올려지지 못하게 됨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통신케이블(40)을 상기 수평바(20)의 내부로 밀어 넣어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통신케이블(40)의 외측에 금속재의 보호관체(80)가 결합되어, 윈치(60)로 상기 감시카메라(2)를 상측으로 끌어올릴 때, 상기 보호관체(80)와 통신케이블(40)이 상측으로 당겨져 상기 수평바(20)와 수직바(1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 하강된 감시카메라(2)를 상승시킬 때 작업자가 상기 수직바(10)의 하측으로 연장된 통신케이블(40)을 수평바(20)의 내부로 밀어 넣을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잇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그리고, 상기 감시카메라(2)의 상측에는 상기 수평바(20)의 하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통체(5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통체(50)는 상기 윈치(60)가 연결되는 상부통체(51)와, 상기 상부통체(5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감시카메라(2)에 결합된 하부통체(5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통체(51)의 상면에는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상기 통신케이블(40)은 상기 관통공(51a)을 통해 상기 연결통체(50)의 내부로 연장된 후, 상기 연결통체(50)의 내부에 구비된 커넥터(2a)를 통해 상기 감시카메라(2)에 연결된다.A
따라서, 상기 감시카메라(2)를 점검 및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상기 감시카메라(2)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통체(51)와 하부통체(52)를 분리하고, 상기 커넥터(2a)에 연결된 통신케이블(40)을 분리함으로써, 손쉽게 감시카메라(2)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nspect and maintain the
또한,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통체(5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평바(20)의 하측에 구비된 보호통체(90)를 더 포함하며, 수평바(20)와 보호통체(90)에는 상호 대응되는 통공(21,91)이 형성되고, 상기 윈치(60)의 윈치케이블(63)은 통공(21,91)을 통해 상기 보호통체(90)의 내부로 연장된 후 상기 연결통체(50)에 연결되어, 상기 윈치(60)로 연결통체(50)를 상승시키면 상기 연결통체(50)가 상기 보호통체(90)의 내부로 삽입된다.The horizontal bar (20) further includes a protection cylinder (90) provided below the horizontal bar (20)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cylinder (50) And the
따라서, 상기 연결통체(50)와 감시카메라(2)의 상측 둘레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연결통체(50)와 감시카메라(2)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otect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통체(51)에는 상기 관통공(51a)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상기 보호관체(80)가 연결되며 중간부에는 걸림턱(53a)이 형성된 지지관체(53)가 구비되며, 상기 보호통체(90)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관체(53)의 걸림턱(53a)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관체(53)를 고정하는 고정수단(70)이 구비됨으로, 감시카메라(2)와 연결통체(50)를 상승시킨 후, 상기 고정수단(70)을 이용하여 감시카메라(2)가 하강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윈치(60)는 상기 보호함체(30)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윈치(60)는 상기 수직바(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수직바(10)는 벽면(1)에 고정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실외에 구비되는 승강장치의 경우, 상기 수직바(10)의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보호함체(30)는 상기 수직바(10)의 하측 전면에 고정된다.The
10. 수직바 20. 수평바
30. 보호함체 40. 통신케이블
50. 연결통체 60. 윈치
70. 고정수단 80. 보호관체10.
30.
50.
70. Fixing means 80. Protective tube
Claims (5)
상기 수직바(10)로부터 상기 수평바(20)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수직바(10)와 상기 수평바(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감시카메라(2)와 상기 컨트롤박스(31)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40);
상기 통신케이블(40)을 감싸는 보호관체(80);
상기 수평바(20)의 선단부 하측면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삽입공(92a)이 중앙부에 마련된 격판(92)이 구비되고, 상기 보호관체(80)와 상기 통신케이블(40)이 관통하는 통공(91)이 마련된 보호통체(90);
상기 보호통체(9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면 중앙부에는 관통공(51a)이 형성된 상부통체(51)와, 상부가 상기 상부통체(51)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상기 감시카메라(2)가 결합된 하부통체(52)와, 상기 관통공(51a)에 구비되되 상측으로 연장되고 중간부에 걸림턱(53a)이 형성된 지지관체(53)를 포함하는 연결통체(50);
상기 수직바(10) 또는 상기 보호함체(30)의 내부에 구비되어 구동모터(62)에 의해 구동되는 권취드럼(61)과, 상기 권취드럼(61)에 권취되고 선단부는 상기 보호관체(80)에 연결된 윈치케이블(63)과, 상기 수직바(10) 및 상기 수평바(20)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관체(80)와 상기 윈치케이블(63)을 안내하는 가이드로울러(64)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통체(52)에 연결된 상기 감시카메라(2)를 승강시키는 윈치(60); 및
평상시에는 상기 걸림턱(53a)이 걸림되도록 상기 지지관체(53)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공(92a)의 둘레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래칫볼트(71)와, 상기 래칫볼트(71)에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래칫볼트(71)를 상기 삽입공(92a)에서 멀어지는 외측으로 후퇴시켜 상기 래칫볼트(71)에 상기 걸림턱(53a)이 걸림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지지관체(53)를 하강시키는 솔레노이드장치(72)를 포함하는 고정수단(70); 을 포함하되,
상기 통신케이블(40)은 상기 관통공(51a)을 통해 상기 연결통체(50)의 내부로 연장된 후, 상기 연결통체(50)의 내부에 구비된 커넥터(2a)를 통해 상기 감시카메라(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A vertical bar 10 and a horizontal bar 20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10 and having a through hole 21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urveillance camera 2, A support for a surveillance camera including a protection box (30) provided on a bar (10) and provided with a control box (31)
The vertical bar 10 and the horizontal bar 20 extend from the vertical bar 10 to the horizontal bar 20 and connect the monitoring camera 2 and the control box 31 A communication cable 40;
A protection tube (80) surrounding the communication cable (40);
A partition plate 92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sertion hole 92a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bar 20 and a through hole 92a through which the protective tube 80 and the communication cable 40 are passed A protective cylinder 90 provided with an opening 91;
An upper cylinder 51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ylinder 90 and formed with a through hole 51a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ylinder 51, A connecting cylinder 50 including a lower tubular body 52 having a through hole 51a and an upper tubular body 52 and a supporting tubular body 53 extending upward and having an engaging protrusion 53a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 take-up drum 61 provided inside the vertical bar 10 or the protective housing 30 and driven by a drive motor 62 and a take-up drum 61 wound around the take-up drum 61, And a guide roller 64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10 and the horizontal bar 20 and guiding the protective tube 80 and the winch cable 63. [ A winch (60) for lifting the surveillance camera (2) connected to the lower cylinder (52); And
A plurality of ratchet bolts 71 disposed at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92a into which the supporting tube 53 is inserted so that the latching jaw 53a is normally engaged;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ratchet bolt 71 is retracted outward away from the insertion hole 92a so that the latching protrusion 53a is not hooked on the ratchet bolt 71 to lower the support tube body 53 Fixing means (70) comprising a solenoid device (72); ≪ / RTI >
The communication cable 40 is extended into the connecting cylinder 50 through the through hole 51a and then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camera 50 through the connector 2a provided inside the connecting cylinder 50, Lt; / RTI >
And the elevating device for a surveillance camera.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38542A KR101587242B1 (en) | 2015-10-01 | 2015-10-01 | security camera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38542A KR101587242B1 (en) | 2015-10-01 | 2015-10-01 | security camera elevat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87242B1 true KR101587242B1 (en) | 2016-01-20 |
Family
ID=5530825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38542A Active KR101587242B1 (en) | 2015-10-01 | 2015-10-01 | security camera eleva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87242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446009A (en) * | 2019-07-25 | 2019-11-12 | 卓集送信息科技(武汉)有限公司 | A kind of video monitoring system of storable abnormal image data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30218A (en) | 2000-10-16 | 2002-04-24 | 천국성 | Supervisory camera with an Infrared LED adhesive means |
| KR100651688B1 (en) | 2004-12-02 | 2006-12-01 | 황의남 | Omni-directional surveillance camera device |
| KR101299121B1 (en) * | 2013-04-05 | 2013-08-21 | (주)오티에스 | Cctv camera after service equipment |
-
2015
- 2015-10-01 KR KR1020150138542A patent/KR10158724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30218A (en) | 2000-10-16 | 2002-04-24 | 천국성 | Supervisory camera with an Infrared LED adhesive means |
| KR100651688B1 (en) | 2004-12-02 | 2006-12-01 | 황의남 | Omni-directional surveillance camera device |
| KR101299121B1 (en) * | 2013-04-05 | 2013-08-21 | (주)오티에스 | Cctv camera after service equipment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446009A (en) * | 2019-07-25 | 2019-11-12 | 卓集送信息科技(武汉)有限公司 | A kind of video monitoring system of storable abnormal image data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21702B1 (en) | Lifting device for cctv | |
| KR20130033628A (en) | Hoist type | |
| KR101230711B1 (en) | Pool of security camera | |
| CN108539363B (en) | Communication antenna lifting device sharing electric power tower | |
| AU201520099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ballast | |
| KR101447737B1 (en) | House of Commons of the keys for the roof crane | |
| CN211393761U (en) | Hanging device for mine underground sensor | |
| KR101917524B1 (en) | Elevator for CCTV camera | |
| KR102343548B1 (en) | Prevention of electric shock accident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KR101587242B1 (en) | security camera elevator | |
| KR101492125B1 (en) | Safety apparatus for lift Gang Form | |
| JP5872642B2 (en) | Lifting equipment | |
| KR101634926B1 (en) | Case for adjusting the height | |
| US9709214B2 (en) | Bracket and lifting/lowering device assembly | |
| KR20180012881A (en) | Structure of veranda installed with room for outside unit of air-conditioner within house | |
| KR20200057303A (en) | Structure for support pole of variable camera | |
| CN111433973B (en) | An antenna mounting assembly | |
| KR101585395B1 (en) | Safe lighting system using wall mounted lift | |
| US11754132B2 (en) | Safety brake for telescopic mast of several segments | |
| KR102419090B1 (en) | Rail-type up and down lighting tower with safety system | |
| KR101781395B1 (en) | Device for protecting a falling accident of opening | |
| KR102701327B1 (en) | The appartus for mounting dome camera for elevator | |
| KR100264611B1 (en) | Utility poles for reactor core work | |
| KR102668500B1 (en) | Smart Smoke Detector | |
| JP2007153534A (en) | Lighting device with surveillance camera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0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