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497B1 - led illumination lamp - Google Patents
led illumination lam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7497B1 KR101587497B1 KR1020140084459A KR20140084459A KR101587497B1 KR 101587497 B1 KR101587497 B1 KR 101587497B1 KR 1020140084459 A KR1020140084459 A KR 1020140084459A KR 20140084459 A KR20140084459 A KR 20140084459A KR 101587497 B1 KR101587497 B1 KR 101587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body case
- main body
- unit
- emitt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게 완충 패드를 부착하여 충격 완화를 통해 제품의 파손을 줄임과 함께 해충 퇴치 기능을 갖도록 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 및 배터리부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발광부의 ON/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발광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어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커버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단면을 따라 상단면이 결합되고 해충 기피향을 발산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a cushion pad extending from a main body case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reduce breakage of a product through impact reduction and to provide a pest control function. A body case for housing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battery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attach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for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diffusion cov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main body case while cover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cushioning pad to which the top surface is joined and emits a pest-resistant flavor .
Description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격 완화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갖도록 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ligh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impact mitigation and pest control function.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광고물 또는 간판 등에 설치되어 주간 또는 야간에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조명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various lighting devices are installed in indoor or outdoor advertisements or signboards to identify images during daytime or nighttime.
이러한 조명장치들은 필라멘트 전구, 형광등, 네온사인 또는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하고 있다.These lighting devices use filament bulbs, fluorescent lamps, neon signs, or LEDs (Light Emitting Diodes).
특히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LED의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전력소비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Particularly, the lighting device using the LED has a semi-permanent lifetime of the LED, low price, and low power consumption, and the use thereof is gradually increasing.
여기서, LED란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칭하는 것으로, LED 반도체의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전력소모 등의 장점이 있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에너지 절약효과가 높아서 차세대 전략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Here, the LED refers to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which has advantages such as a high processing speed and low power consumption of an LED semiconductor,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ighly energy-saving.
이러한 LED 소자는 p형과 n형의 반도체의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압을 가하면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의 결합으로 반도체의 밴드갭(bandgap)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방출하는 일종의 광전자 소자이다.These LED devices are made up of p-type and n-type semiconductor junctions. When a voltage is applied, the energy corresponding to the bandgap of the semiconductor is emitted in the form of light by the combination of electrons and holes It is a kind of optoelectronic device.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의 LED가 개발되어 천연색에 가까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여 옥외용 대형 전광판이나, 교통신호등, 자동차 계기판, 가전제품, 네온대체 간판, 의료장비, 경고 및 유도등과 같은 다양한 곳에 적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LEDs of various colors have been developed and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large outdoor signs for outdoor use, traffic lights, automotive instrument panels, home appliances, neon signboards, medical equipment, warning and guidance lights.
또한, LED 조명장치는 기존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약 10% 내지 15%정도의 낮은 전력소모와 50,000 시간 이상의 반영구적인 수명,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가짐으로 인해 조명기구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In addition, the LED lighting device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lighting device because it has a power consumption of about 10% to 15% low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incandescent lamp or a fluorescent lamp, a semi-permanent lifetime of 50,000 hours or mor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characteristics.
한편, 최근 들어 오토 캠핑과 같은 야외 활동의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야외 활동시 모기와 같은 해충이 많은 피해와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지구 온난화가 심화됨에 따라 모기 등의 해충 생존기간이 늦은 봄부터 여름과 가을 및 초겨울까지 길어지고 점차 독성이 강해지고 있어 이를 퇴치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과 방법이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recently, the population of outdoor activities such as auto camping is rapidly increasing. In such outdoor activities, insect pests such as mosquitoes cause many damage and inconvenience. Especially, as the global warming is getting worse, the survival period of insect pests such as mosquitoes is getting longer from spring to summer, fall and early winter, and gradually become toxic.
이와 같은 해충 퇴치 수단은 통상적으로 방충망에 의한 물리적 퇴치수단은 물론 살충제의 살포 또는 기피향을 이용한 전기적 또는 화학적 퇴치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Such insect pest control means typically uses an electrical or chemical pest control means utilizing the insecticide spraying or repellent effect, as well as physical insect control means by screening net.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에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은 즉시 뛰어난 효과를 보이면서도 해충의 사멸 효과 역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체에도 크게 악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밀폐된 실내에서 장시간 사용하거나 어린이 및 유아가 함께 생활하고 있을 경우에는 더욱 건강에 이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음식물이나 식기에 뿌려지는 경우에는 이를 직접 섭취할 수도 있어 권장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is known that the insecticide spraying in the room is immediately effective and the killing effect of the insect pests is also excellent. However, since it has a bad influence on the human body, it is possible to use the insecticide in the closed room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beneficial to the health even when it is present, and it can not be recommended because it can be directly consumed when it is sprinkled on food or tablewa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 케이스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게 완충 패드를 부착하여 충격 완화를 통해 제품의 파손을 줄임과 함께 해충 퇴치 기능을 갖도록 한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a cushion pa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reduce breakage of a product,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 및 배터리부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발광부의 ON/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발광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어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커버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단면을 따라 상단면이 결합되고 해충 기피향을 발산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LED lighting device including a battery unit for stor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light emitting unit for rece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unit or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switching uni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cas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buffer pad coupled to cover the light emitting unit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o sprea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buffer pad coupled to a top surface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to emit a pest-resistant appearance.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체 케이스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게 완충 패드를 부착하여 충격 완화를 통해 조명장치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First, by attaching a cushioning pad to the main body case so as to extend to a certain length, damage to the lighting apparatus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impact.
둘째, 완충 패드를 해충이 싫어하는 기피향을 발산하도록 제작하여 충격 완화와 함께 해충을 퇴치할 수 있다.Second, the buffer pads can be made to emit a repellent incompatibility that pests do not like, and the pests can be eliminated along with the impact reduction.
셋째, 본체 케이스내에 수납되는 부품을 최소화하여 생산단가 및 조립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Thirdly, the parts housed in the body case are minimized, so that the production unit cost and the assembly cost can be reduced.
넷째, 별도의 악세사리 없이 고리부를 손잡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조명장치를 천장이나 벽면, 나무 등에 용이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ring part to the handle without a separate accessory, so that the lighting device can be easily used by hanging on a ceiling, a wall surface, a tree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 1, 제 2 발광부가 실장된 회로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LED illumination device of Fig. 1
Fig. 3 is a rear view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of Fig. 1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D lighting device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of FIG. 4 are mounted.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LED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nstituent member shown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hav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LED lighting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rear view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of FIG. 1,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D lighting device.
또한, 도 5는 도 4의 제 1, 제 2 발광부가 실장된 회로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of FIG. 4 are mounted.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10), 스위칭부(120), 배터리부(130), 발광부(140), 본체 케이스(160), 내부 캡(170), 외부 캡(180), 투명커버(190), 확산커버(200), 완충 패드(210), 충전 표시부(220), 배터리 수납 케이스(230), 고리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4, the LED ligh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DC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아답터 형식의 잭이 삽입되어 DC 전원이 공급된다.The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에너지 저장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는 태양광, 수력, 풍력, 지열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Here, the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은 상기 배터리부(130)를 충전하게 되고, 상기 배터리부(130)에 충전된 전원을 통해 상기 발광부(140)가 구동된다. 이때 상기 발광부(140)는 상기 배터리부(130)에 충전된 전원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도 있다.DC power supplied through the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이 상기 발광부(140)와 배터리부(130)에 공급되어 구동과 충전을 동시에 진행할 수가 있다.Meanwhile, DC power supplied through the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발광부(140)의 ON 또는 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The
상기 스위칭부(120)는 3 단계로 상기 발광부(140)의 밝기를 디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위칭부(120)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상기 발광부(140)의 밝기가 바뀌게 된다.The
예를 들면, 상기 발광부(140)의 최대 밝기를 100으로 가정했을 경우 상기 스위칭부(120)를 1번 누르면 상기 발광부(140)가 ON되면서 100의 밝기, 2번을 누르면 70의 밝기, 3번을 누르면 30의 밝기로 조명되어 상기 배터리부(130)의 전력 소비를 줄임과 함께 발광부(140)의 수명을 한층더 연장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maximum brightness of the
따라서 상기 발광부(140)의 밝기 제어가 가능하므로 용도에 따라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Accordingly, since the brightness of the
한편, 상기 발광부(140)를 OFF할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120)를 약 2초간 지속적으로 누르면 OFF되는데, 이때 상기 2초의 시간은 필요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배터리부(13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곳으로서, 상기 배터리부(130)에 저장된 전원을 통해 상기 발광부(140)를 구동하게 된다.The
상기 배터리부(130)는 리튬전지로 이루어져 일반적으로 납축전지로 이루어진 종래보다 유해물질이 없어 친환경적이고, 급속충전이 가능한 고효율 특성을 갖으며, 발화성 및 폭발성과 같은 위험성을 사전에 해결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배터리부(130)는 리튬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니켈-수소 전지(NiMH: nickel metal hydride battery)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Here, the
한편, 상기 배터리부(130)는 상기 배터리부(130)의 제어를 통한 고효율의 충방전과 더불어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관리부(BMS: Battery Management Aystem)(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The
상기 배터리부(13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역할을 하며, 비상 또는 야간 외출 시 상기 발광부(14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터리부(130)는 과충전 및 과방전의 발생을 방지하는 보호 회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상기 발광부(140)는 실내 또는 실외 조명을 위한 조명등으로, 다수의 LED들이 회로 기판(141)에 실장되어 상기 배터리부(130)에 저장된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스위칭부(12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The
상기 발광부(140)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100)는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이동이 편리하다. 즉, 사용자가 공부를 하기 위해 스탠드 역할을 하도록 벽면에 부착하거나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실내 공간에서는 천장에 부착하여 실내 조명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야간 외출시에는 탈착하여 후레쉬로 사용할 수가 있다.The LED lighting apparatus 100 including the
상기 본체 케이스(160)는 상기 배터리부(130)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230)와 발광부(140)를 수납하고, 측면에 각각 상기 전원 공급부(110)가 결합되는 제 1 결합홀(161) 및 상기 스위칭부(120)가 결합되는 제 2 결합홀(162)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The
상기 배터리 수납 케이스(230)는 상기 배터리부(130)를 수납 및 고정되게 수납공간(231)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본체 케이스(160)를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The
상기 내부 캡(170)은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230)를 덮으면서 상기 본체 케이스(160)에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된다.The
상기 외부 캡(180)은 상기 내부 캡(170)과 후크 결합을 통해 상기 내부 캡(170)를 완전히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한편, 상기 내부 캡(170)과 외부 캡(180)은 사용자가 실외에서 후레쉬로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171,181)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외부 캡(180)의 상단에는 소정 깊이의 결합홈(182)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홀(182)에 고리부(240)가 탈부착되게 된다. 상기 고리부(240)는 후레쉬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손목에 걸어지도록 손목 걸이를 장착하거나 실내 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해 천장에 매달 경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고리가 연결된다.A
상기 투명커버(190)는 상기 발광부(140)에서 발광하는 빛의 투과량을 높여 발광부(140)에서 조사되는 빛의 지향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즉, 상기 투명커버(190)의 상부 중심의 두께보다 양측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여 투명커버(190)의 양측부로 방사되는 빛의 투과량을 높여 상기 각 LED에서 조사되는 빛의 지향각을 확장하여 형광등의 조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thickness of both sides of the
상기 투명커버(19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는 것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의 투과량을 보정하기 위한 반투명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각 LED의 직사광을 반투명 부재로 형성된 투명커버(190)를 통하여 투과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럽고 은은한 조명이 가능하여 사용자 눈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The
상기 투명커버(190)의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유리이고, 상기 합성수지는 아크릴, PE 또는 PVC,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합성수지에는 광확산제가 혼합되어 있다.The material of the
상기 투명커버(190)는 상기 본체 케이스(160) 타단에 탑재된 발광부(140)가 발광했을 때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어 외부로 방출하여 실내 조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된다.The
상기 투명커버(190)는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가장자리 부분이 본체 케이스(160)의 내부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볼록한 부분만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발광부(140)에서 발광된 빛이 통과하면서 방사각을 크게 한다.The
상기 확산커버(200)는 상기 투명커버(190)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빛의 확산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 일정한 곡률을 갖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상기 확산커버(200)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소비자의 성향에 따라 상기 투명커버(120)를 감싸도록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확산커버(200)는 소비자의 색상 성향에 따라 상기 발광부(140)의 발광시 다양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다.The
상기 발광부(140)가 발광시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투명커버(190)를 구성하여 투과율을 높임과 동시에 광원부를 구성하는 LED의 도트(dot)가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비자의 선택 사양에 따라 투과율이 70%, 80%, 90% 등 소비자가 원하는 투과율의 스펙에 따라 확산커버(200)를 제작하여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커버(190)를 씌우도록 하여 소비자 맞춤형 LED 형광등을 제작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dot of the LEDs constituting the light source unit from being seen while increasing the transmittance by forming the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LED 형광등의 설치시 주위 환경을 고려하여 확산커버(200)를 선택사양으로 구입하여 원하는 색온도 값이나, 확산율에 맞는 확산커버(200)를 사용하여 보다 폭 넣은 조명의 사양을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LED fluorescent lamp is installed, the user can purchase the
상기 회로 기판(141)의 측면에는 상기 배터리부(130)의 충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충전 표시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 표시부(220)는 상기 스위칭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130)가 충전하고 있을 때는 적색등이 표시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등이 들어오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side surface of the
상기 완충 패드(21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하단면을 따라 상단면이 결합되는데, 상기 확산 커버(200)보다 더 돌출되게 구성하여 낙하에 의해 떨어지더라도 충격 완화에 의해 확산 커버(200)를 포함하여 투명 렌즈(19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The
상기 완충 패드(210)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발광부(140)를 통해 발광된 빛이 상기 완충 패드(210)의 측면에서 은은한 빛이 빛나도록 되어 있고 중심 부분을 포함하여 그에 인접한 부분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확산 커버(200)를 통해 확산된 빛이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완충 패드(210)는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하단면을 따라 강제 끼움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거나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하단 측면을 따라 소정깊이의 결합홈(도시되지 않음)을 구성하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완충 패드(210)의 상단면이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상기 완충 패드(210)를 제작할 때 뱀이나 해충이 싫어하는 기피향을 발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When the
일반적으로 뱀은 후각이 매우 발달되어 있으므로 뱀이 싫어하는 냄새를 통해 뱀의 접근을 방지할 수가 있는데, 백반, 봉숭아, 담배 냄새를 싫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뱀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휘발유 냄새로 알려져 있다.In general, snakes are highly developed in their sense of smell, so they can prevent the snake from approaching it through the smell of the snake, which is said to be dislike of the smell of alchemy, balsam and tobacco. It is also known as the most effective gasoline smell to prevent snake access.
뿐만 아니라 메리골드, 금잔화, 야관문(퇴사초), 어성초와 같은 각종 식물을 심어 뱀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In addition, they have planted various plants such as marigold, marigold, yuan guanmun (exhumation candl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충 패드(210)를 뱀이 싫어하는 향기를 발산하는 발산제와 더불어 각종 해충들이 싫어하는 발산제를 혼합하여 제작함으로써 뱀과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가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는 뱀 또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기피향을 발산하는 완충 패드(210)를 본체 케이스(160)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충격 완화를 통한 제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과 더불어 뱀 또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기피향을 발산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기피향을 이용한 퇴치수단은 모기 등의 해충 및 뱀이 싫어하는 향기를 발산시켜 일정 범위 내에 해충 및 뱀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in the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실시예에 비교하여 본체 케이스(160)의 일측면에 인체감지센서(250) 및 조도 센서(260)를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As shown in FIG. 6, the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인체감지센서(250)를 통해 조명장치가 설치된 일정범위내에 사람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발광부(140)를 자동으로 OFF하고 일정범위내에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발광부(140)를 자동으로 ON하여 LED 조명장치의 수명을 한층더 연장시킬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조도 센서(260)를 통해 상기 LED 조명장치(100)가 설치된 부분의 조도를 측정하여 일정 조도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140)를 OFF하거나 최소 밝기로 디밍하여 LED 조명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The illuminance of the portion where the LED illuminating device 100 is installed is measured through the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10 : 전원 공급부 120 : 스위칭부
130 : 배터리부 140 : 발광부
160 : 본체 케이스 170 : 내부 캡
180 : 외부 캡 190 : 투명커버
200 : 확산커버 210 : 완충 패드
220 : 충전 표시부 230 : 배터리 수납 케이스
240 : 고리부110: Power supply unit 120:
130: Battery part 140:
160: main body case 170: inner cap
180: outer cap 190: transparent cover
200: diffusion cover 210: buffer pad
220: charge display section 230: battery storage case
240:
Claims (12)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 및 배터리부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발광부의 ON/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발광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어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커버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단면을 따라 상단면이 결합되고 해충 기피향을 발산하는 완충 패드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구성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A battery unit for stor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light emitting unit that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unit or an external power source,
A body case for hous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battery portion,
A switching uni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cas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diffusion cove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while cover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A cushion pad coupled to a top surface along a lowe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and emitting a pest-
And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상기 배터리부를 수납하고 고정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 및 배터리 수납 케이스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발광부의 ON/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발광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보호 캡과,
상기 보호 캡의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리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어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커버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단면을 따라 상단면이 결합되고 해충 기피향을 발산하는 완충 패드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구성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A battery unit for stor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battery housing case for housing and fixing the battery unit,
A light emitting unit that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unit or an external power source,
A main body case for hous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battery housing case,
A switching uni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cas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protective ca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and having a handle,
An annular portion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protective cap,
A diffusion cove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while cover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A cushion pad coupled to a top surface along a lowe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and emitting a pest-
And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84459A KR101587497B1 (en) | 2014-07-07 | 2014-07-07 | led illumination lam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84459A KR101587497B1 (en) | 2014-07-07 | 2014-07-07 | led illumination lamp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05485A KR20160005485A (en) | 2016-01-15 |
| KR101587497B1 true KR101587497B1 (en) | 2016-01-22 |
Family
ID=5517332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844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7497B1 (en) | 2014-07-07 | 2014-07-07 | led illumination lamp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8749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5707039B (en) * | 2016-05-02 | 2018-06-15 | 泰州市梦之谷科技发展有限公司 | Champignon deinsectization devic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09755A (en) | 2001-06-29 | 2003-01-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Lantern with insect repellent function |
| KR200311436Y1 (en) * | 2003-01-07 | 2003-04-30 | 김영훈 | Multi purpose super bright LED Flashlight using rechargeable cellular phone battery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506210B2 (en) * | 1989-12-08 | 1996-06-12 | 株式会社クボタ | Seedling transplanter |
| KR20030079063A (en) * | 2002-04-01 | 2003-10-10 | 김창현 | Electronic Exterminator for Outdoor |
| KR100993791B1 (en) | 2008-11-22 | 2010-11-11 | (주) 반도체 통신 | Power LED Street Lights with Pest Control |
| KR101020490B1 (en) | 2009-06-19 | 2011-03-09 | 전자부품연구원 | LED lighting with pest control |
| KR101037550B1 (en) | 2009-07-09 | 2011-05-31 | 전자부품연구원 | Pest control device and method using digital dimming of light emitting diode |
-
2014
- 2014-07-07 KR KR1020140084459A patent/KR10158749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09755A (en) | 2001-06-29 | 2003-01-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Lantern with insect repellent function |
| KR200311436Y1 (en) * | 2003-01-07 | 2003-04-30 | 김영훈 | Multi purpose super bright LED Flashlight using rechargeable cellular phone batter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05485A (en) | 2016-01-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104914B2 (en) | Light device | |
| KR101691428B1 (en) | portable LED lantern | |
| US8002427B2 (en) | Solar rechargeable light emitting diode lights | |
| US8262245B1 (en) | Solar pathway light | |
| US20080105287A1 (en) | Umbrella comprising an illumination device | |
| US10139083B2 (en) | Package and light device | |
| US8147086B2 (en) | Purselight with touch-sensitive switch | |
| KR101587496B1 (en) | led illumination lamp | |
| KR101137413B1 (en) | The Field Lantern | |
| KR101609749B1 (en) | LED lantern | |
| KR101605396B1 (en) | led illumination lamp | |
| KR101587497B1 (en) | led illumination lamp | |
| CN105013180A (en) | Cheering device | |
| US7461943B1 (en) | Fiber optic garden light | |
| KR200488358Y1 (en) | a device of interrupt access of mosquito | |
| KR101561848B1 (en) | led illumination lamp | |
| US11035565B1 (en) | Flag topper | |
| US10711981B2 (en) | Package and light device | |
| KR101648166B1 (en) | led illumination lamp | |
| KR101529882B1 (en) | led illumination lamp | |
| JP3184729U (en) | Pest capture device | |
| CN214094234U (en) | Built-in LED paster lamp area | |
| US12285001B1 (en) | Insect repellent light assembly and method of use | |
| CN203453923U (en) | Anti-glare LED (light-emitting diode) road lamp | |
| US20250049016A1 (en) | Led tube of mosquito killer lamp and mosquito killer lamp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