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360B1 -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및 그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0360B1 KR101580360B1 KR1020130057508A KR20130057508A KR101580360B1 KR 101580360 B1 KR101580360 B1 KR 101580360B1 KR 1020130057508 A KR1020130057508 A KR 1020130057508A KR 20130057508 A KR20130057508 A KR 20130057508A KR 101580360 B1 KR101580360 B1 KR 1015803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and
- magnetic
- microstructure
- soft magnetic
- magnetic part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26—Magnetic particles
- G01N33/5434—Magnetic particles using magnetic particle immunoreagent carriers which constitute new materials per s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01N33/532—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은 다수의 시험 화합물로 구성된 리간드자성입자 라이브러리와 생화학적 시스템인 표적물질을 반응시켜 미결합 리간드자성입자 및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을 형성하는 반응모듈; 외부 자기장을 제어하여 하기 연자성미세구조물, 상기 미결합 리간드자성입자 및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를 자화시키는 자기력 발생모듈; 상기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경우 내부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자화 방향에 따라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연쇄 연자성미세구조체, 한쪽 말단에 상기 반응혼합물을 넣는 로딩장소, 및 다른 말단에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가 이송되는 감지장소로 구성된 이송모듈;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이 자화됨에 따라 발생된 상기 내부 자기장에 의해 움직임을 제어받는 상기 미결합 리간드자성입자 및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 및 상기 이송된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로부터 분리된 리간드 및 상기 리간드가 표적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자성미세구조물이 타원판 형태인 경우 외부 자기장에 의한 미결합리간드자성입자와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의 직선형 이송을 위한 타원판 형태의 연자성미세구조물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연쇄 연자성미세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의 앞 뒤 움직임을 위한 반쪽 타원판 형태의 연자성미세구조물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연쇄 연자성미세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자기장의 회전 방향에 따라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들을 모이게 하거나 흩어지게 하기 위한 연자성미세 구조물이 사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연쇄 연자성미세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간암세포주 압타머 기반 바이오칩 및 일차적으로 스크리닝된 압타머리간드를 이용하여 간암세포주 및 GIBCO 간세포에 결합하는 압타머리간드의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리닝된 간암세포주 압타머리간드를 형광물질로 표지하여 간암세포주 및 GIBCO 간세포의 반응성을 확인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리닝된 간암세포주 압타머리간드를 이용하여 간암세포주 및 GIBCO 간세포의 결합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간 cdk2 siRNA의 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cdk2 siRNA가 간암세포주의 cdk2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암세포주 압타머리간드-cdk2 siRNA 복합체가 간암세포주의 cdk2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결과를 도시한 도면
2: 반응모듈
3: 자기력 발생모듈
4: 이송모듈
5: 분석모듈
6: 로딩장소
7: 연쇄 연자성미세구조체
8: 감지장소
100: 외부 자기장
200: 연자성미세구조물
300: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
400: 내부 자기장
500: 연자성미세구조물의 자화 방향
Claims (25)
- 다수의 시험 화합물로 구성된 리간드자성입자 라이브러리로부터 생화학적 시스템인 표적물질에 대한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1)으로서,
상기 리간드자성입자 라이브러리와 상기 표적물질을 반응시켜 미결합 리간드자성입자 및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를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을 형성하는 반응모듈(2);
외부 자기장(100)을 제어하여 하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 및 상기 미결합 리간드자성입자 및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를 자화시키는 자기력 발생모듈(3);
상기 외부 자기장(100)에 의해 자화되는 경우 내부 자기장(400)을 발생시키며 자화 방향(500)에 따라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연쇄 연자성미세구조체(7), 한쪽 말단에 상기 반응혼합물을 넣는 로딩장소(loading well,6), 및 다른 말단에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가 이송되는 감지장소(8)로 구성된 이송모듈(4);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이 자화됨에 따라 발생된 상기 내부 자기장(400)에 의해 움직임을 제어받는 상기 미결합 리간드자성입자 및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 및
상기 이송된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로부터 분리된 리간드 및/또는 상기 분리된 리간드가 표적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분석모듈(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은 NiFe, Fe, Ni, 및 Co 중 어느 하나인 연자성 박막을 패터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은 원판, 타원판, 및 반쪽 타원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쇄 연자성미세구조체(7)은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를 유체 미세 칩 내에 있는 감지장소(8)로 유인하도록 연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은 1 테슬라(Tesla)의 포화 자화를 가지고 10m 이하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자기장(400)의 변화도는 104 T/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자기장(100)에 의해 자화된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은 기하학적 구조 및 연자성에 의하여 국소적인 내부 자기장(400)을 발생시키고 상기 내부 자기장(400)의 힘의 차이로 인해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를 상기 내부 자기장(400)의 힘이 가장 강한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의 극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자기장(100)에 의해 자화된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은 기하학적 구조 및 연자성에 의하여 국소적인 내부 자기장(400)을 발생시키고 회전 또는 진동하는 상기 외부 자기장(100)에 의해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자기장(100)이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이 타원판의 형태이며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이 유체 채널 내에 있는 경우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를 상기 유체 채널의 특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자기장(1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이 반쪽 타원판의 형태인 경우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는 앞으로 진행하게 되고 상기 외부 자기장(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이 반쪽 타원판의 형태인 경우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는 뒤로 진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자기장(1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이 사선으로 배열되는 연쇄 연자성미세구조체(7)은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은 상기 사선이 가운데로 모아지는 부분으로 집중되게 되고 상기 외부 자기장(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이 사선으로 배열되는 연쇄 연자성미세구조체(7)은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은 상기 사선이 가운데로 모아지는 부분으로부터 흩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이 가운데로 모아지는 부분은 유체 미세 칩 내에 있는 감지장소(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 1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모듈(5)은 리간드를 분석하는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 1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모듈(5)은 리간드가 표적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세포학적 분석, 생리학적 분석, 생화학적 분석, 분자생물학적 분석, 유전체 분석, 단백질체 분석을 하는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 제 1항에 기재된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1)을 사용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방법으로서,
리간드자성입자 라이브러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반응모듈(2)에서 상기 리간드자성입자 라이브러리와 표적물질을 반응시켜 미결합 리간드자성입자 및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를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반응혼합물을 로딩장소(6)에 넣고 상기 자기력 발생모듈(3)에서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에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반응혼합물에서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만을 상기 연쇄 연자성미세구조체(7) 말단에 위치한 감지장소(8)로 상기 복합체(300)를 이송하는 단계;
상기 자기력 발생모듈(3)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장소(8)에 이송된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를 상기 분석모듈(5)로 이송하여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복합체에서 리간드자성입자를 분리분석하여 동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방법. - 제15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모듈(2)에서 상기 반응혼합물의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를 세척용액으로 세척하여 비특이적이거나 상대적으로 약하게 결합한 리간드자성입자를 분리하여 반응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방법. - 제15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4)로부터 분석모듈(5)로 이송된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로부터 리간드를 증폭하여 리간드자성입자를 준비하는 단계에 이어서; 반응단계; 세척단계; 및 분리단계; 를 2회이상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방법. - 제 1항에 기재된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1)을 이용한 리간드의 검정 방법으로서,
상기 동정된 리간드자성입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반응모듈(2)에서 상기 리간드자성입자와 표적물질을 반응시켜 미결합 리간드자성입자 및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를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반응혼합물을 로딩장소(6)에 넣고 상기 자기력 발생모듈(3)에서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에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반응혼합물에서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만을 상기 연쇄 연자성미세구조체(7) 말단에 위치한 감지장소(8)로 이송하여 상기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자기력 발생모듈(3)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를 상기 분석모듈(5)로 이송하여 상기 동정된 리간드자성입자가 표적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상기 리간드를 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검정 방법. - 제18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모듈(5)에서 상기 리간드의 검정은 상기 리간드자성입자가 상기 표적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세포학적 분석, 생리학적 분석, 생화학적 분석, 분자생물학적 분석, 유전체 분석, 단백질체 분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검정 방법. - 제 1항에 기재된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1)을 이용한 표적물질의 정성 및 정량 방법으로서,
상기 표적물질에 결합하는 리간드자성입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반응모듈(2)에서 상기 리간드자성입자와 시료를 반응시켜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를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혼합물을 로딩장소(6)에 넣고 상기 자기력 발생모듈(3)에서 상기 연자성미세구조물(200)에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반응혼합물에서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만을 상기 연쇄 연자성미세구조체(7) 말단에 위치한 감지장소(8)로 이송하여 분석모듈(5)로 상기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로부터 표적물질을 정성 및 정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표적물질의 정성 및 정량 방법. - 제20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모듈(5)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장소(8)에 있는 표적물질-리간드자성입자 복합체(300)로부터 표적물질을 정성 및 정량 분석하는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표적물질을 정성 및 정량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57508A KR101580360B1 (ko) | 2013-05-22 | 2013-05-22 |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및 그 용도 |
| PCT/KR2014/004495 WO2014189257A1 (ko) | 2013-05-22 | 2014-05-20 |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및 그 용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57508A KR101580360B1 (ko) | 2013-05-22 | 2013-05-22 |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및 그 용도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137088A KR20140137088A (ko) | 2014-12-02 |
| KR101580360B1 true KR101580360B1 (ko) | 2015-12-28 |
Family
ID=5193376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575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0360B1 (ko) | 2013-05-22 | 2013-05-22 |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및 그 용도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80360B1 (ko) |
| WO (1) | WO201418925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636162B (zh) | 2015-06-01 | 2021-12-10 | 加利福尼亚技术学院 | 用针对特定群体的抗原筛选t细胞的组合物和方法 |
| US12258613B2 (en) | 2017-03-08 | 2025-03-25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Pairing antigen specificity of a T cell with T cell receptor sequences |
| WO2020255641A1 (ja) * | 2019-06-20 | 2020-12-2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0049417A1 (en) | 1999-02-17 | 2000-08-24 | Arcaris, Inc. | Methods for substrate-ligand interaction screening |
| WO2006066368A1 (en) | 2004-12-23 | 2006-06-29 | Vrije Universiteit Brussel | Method for screening and selecting ligands |
| KR101067695B1 (ko) | 2010-03-25 | 2011-09-27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연자성 미세 구조물을 이용한 분자 이송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GB2392723B (en) * | 2002-09-04 | 2005-01-12 | Bioinvent Int Ab | Screening methods |
| US7732153B2 (en) * | 2006-05-09 | 2010-06-08 | Beckman Coulter, Inc. | Nonseparation assay methods |
-
2013
- 2013-05-22 KR KR1020130057508A patent/KR10158036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5-20 WO PCT/KR2014/004495 patent/WO201418925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0049417A1 (en) | 1999-02-17 | 2000-08-24 | Arcaris, Inc. | Methods for substrate-ligand interaction screening |
| WO2006066368A1 (en) | 2004-12-23 | 2006-06-29 | Vrije Universiteit Brussel | Method for screening and selecting ligands |
| KR101067695B1 (ko) | 2010-03-25 | 2011-09-27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연자성 미세 구조물을 이용한 분자 이송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4189257A1 (ko) | 2014-11-27 |
| KR20140137088A (ko) | 2014-12-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Zhou et al. | Microfluidics applications for high-throughput single cell sequencing | |
| Song et al. | Enrichment and single-cell analysis of circulating tumor cells | |
| Templin et al. | Protein microarrays: promising tools for proteomic research | |
| JP6802185B2 (ja) | ハイスループットbh3プロファイリング:少量の細胞でのbh3プロファイルのための迅速かつ拡大縮小可能な技術 | |
| Kodadek | Development of protein-detecting microarrays and related devices | |
| US9983203B2 (en) | Method for protein analysis | |
| CN108614102A (zh) | 基于适体的多重测定 | |
| WO1999055826A1 (en) | Micro-compartmentalization device and uses thereof | |
| US20170322204A1 (en) | Simultaneous detection of biomolecules in biological entities | |
| CN101148667B (zh) | 一种亲和人白蛋白核酸适配子的制备与用途 | |
| Gebreyesus et al. | Recent advances in microfluidics for single-cell functional proteomics | |
| WO2019178033A1 (en) | Ultrahigh throughput protein discovery | |
| JP2009000070A (ja) | 大規模並列核酸分析方法 | |
| Hung et al. | Microfluidic platforms for discovery and detection of molecular biomarkers | |
| KR101580360B1 (ko) | 연자성미세구조물을 이용한 리간드의 스크리닝 시스템 및 그 용도 | |
| US20210308679A1 (en) | Microfluidic devices and methods of use | |
| US20080242557A1 (en) | System For Detecting Molecular Interactions | |
| Wang et al. | High-throughput and multimodal profiling of antigen-specific T cells with a droplet-based cell-cell interaction screening platform | |
| JP2024525724A (ja) | Dnaコード化ライブラリーの予め鋳型化された即時パーティション化 | |
| Hao et al. | Introduction of aptamer, SELEX, and different SELEX variants | |
| US20050079507A1 (en) | Target evaluation using biological membrane arrays | |
| EP4080208A1 (en) | Quantification of successful encapsulation into microfluidic compartments | |
| Ahn et al. | Selection of aptamers in SELEX process | |
| US20240301490A1 (en) | High throughput single cell based assay for capturing genomic information for functional and imaging analysis and methods of use | |
| Li et al. | Mass Spectrometry-based Solutions for Single-cell Proteomic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12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