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839B1 - Luminous deflector for automobile sunroof - Google Patents
Luminous deflector for automobile sunro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5839B1 KR101595839B1 KR1020140190274A KR20140190274A KR101595839B1 KR 101595839 B1 KR101595839 B1 KR 101595839B1 KR 1020140190274 A KR1020140190274 A KR 1020140190274A KR 20140190274 A KR20140190274 A KR 20140190274A KR 101595839 B1 KR101595839 B1 KR 1015958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ssbar
- cross bar
- deflector
- light source
- sunroof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2—Wind deflectors for open roof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루프(sunroof)에 설치되어 기류(氣流)에 의한 소음을 억제하는 디플렉터(deflector)에 관한 것으로, 디플렉터를 구성하는 크로스바(10)를 중공(中空)의 관체(管體)로 구성하고, 크로스바(10)의 내부에는 선상광원(線狀光源)(20)을 크로스바(10)의 종방향으로 배치하되, 크로스바(10)는 광투과율 50% 내지 80%의 합성수지로 성형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선루프 디플렉터에 발광 기능을 부여하여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야간 주행시 차량 식별성을 확보하여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lector which is installed in a sunroof of an automobile and suppresses noise caused by a current flow. The crossbar 10 constituting the deflector is inserted into a hollow tube, The linear light source 20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 bar 10 in the inside of the cross bar 10 while the cross bar 1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50 to 80% will 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nroof deflector can be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function to obtain a decorative effect, and safety can be improved by ensuring vehicle discrimination during nighttime driv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루프(sunroof)에 설치되어 기류(氣流)에 의한 소음을 억제하는 디플렉터(deflector)에 관한 것으로, 디플렉터를 구성하는 크로스바(10)를 중공(中空)의 관체(管體)로 구성하고, 크로스바(10)의 내부에는 선상광원(線狀光源)(20)을 크로스바(10)의 종방향으로 배치하되, 크로스바(10)는 광투과율 50% 내지 80%의 합성수지로 성형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lector which is installed in a sunroof of an automobile and suppresses noise caused by a current flow. The
선루프 디플렉터란 도 1에서와 같이, 선루프의 무빙글래스(18)가 이동하여 개구부(17)가 형성되면,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평 봉체(棒體)로서, 동 도면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양단이 회동암(19)에 의하여 선루프 개구부(17)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는 크로스바(10)가 구성되고, 회동암(19)에는 스프링 또는 전동 구동수단이 장착되어 무빙글래스(18)의 후퇴 이동시 자동으로 회동암(19)이 회동되면서 크로스바(10)가 선루프 상측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As shown in Fig. 1, the sunroof deflector is a horizontal bar protruding upward when the
이러한 선루프 디플렉터는 선루프가 개방된 상태로 자동차의 주행시 선루프의 개구부(17)로 기류가 고속으로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12-51999호를 들 수 있다.
Such a sunroof deflector plays a role of suppressing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airflow flows into the opening 17 of the sunroof at high speed when the vehicle is running in a state where the sunroof is opened, No. 2012-51999.
공개특허 제2012-51999호를 비롯한 종래의 선루프 디플렉터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차체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체임에도 불구하고 기류에 의한 소음 및 진동 방지라는 고유의 역할 외에는 일체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Although the conventional sunroof deflector including the patent publication No. 2012-51999 is a structur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by the operation of a driver,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additional function except the inherent role of noise and vibration prevention by the airflow .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수평 상태의 봉체인 크로스바(10)가 회동암(19)을 통하여 자동차 선루프 개구부(17) 양 측단부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선루프용 디플렉터(deflector)에 있어서, 크로스바(10)는 중공(中空)의 관체(管體)로 구성되고, 크로스바(10)의 내부에는 선상광원(線狀光源)(20)이 크로스바(1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크로스바(10)는 광투과율 50% 내지 80%의 반투명 합성수지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자동차 선루프용 디플렉터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nroof deflector (cross bar) the
또한, 상기 크로스바(10)의 표면에는 피복시트(30)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자동차 선루프용 디플렉터이며, 상기 크로스바(10)는 노출부(11)와, 단면이 축소된 결합부(12)로 구성되고, 크로스바(10)의 결합부(12)에는 C자형으로 절곡된 곡판(40)의 요입부(凹入部)가 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자동차 선루프용 디플렉터이다.
The
본 발명을 통하여, 선루프 디플렉터에 발광 기능을 부여하여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야간 주행시 차량 식별성을 확보하여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nroof deflector can be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function to obtain a decorative effect, and safety can be improved by ensuring vehicle discrimination during nighttime driving.
또한, 관체형(管體形) 반투명 크로스바(10)를 적용함으로써, 광원이 내장된 선루프 디플렉터에 고도의 수밀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광원 설치 지점에 광도가 편중되지 않고 디플렉터 표면에 균일한 광도 분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the tube-shaped
특히, 크로스바(10)의 반투명화를 위하여 크로스바(10)를 구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고강도 합성수지에 흡광성 미분체 또는 미세 기포를 혼합하되, 광투과율을 50% 내지 80%로 조정하여 크로스바(10)의 강도 또한 확보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order to make the
또한, 크로스바(10)의 외부 표면에 피복시트(30)를 부착하거나, 금속판으로 절곡 제작된 곡판(40)에 크로스바(10)의 측단부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크로스바(10)의 발광기능 및 독립된 관체로서의 수밀성 등은 유지하면서도 강도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the
도 1은 본 발명의 장착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피복시트가 적용된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발췌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곡판이 적용된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발췌 부분절단 분해 사시도
도 6은 곡판이 적용된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발췌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t-away por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cover sheet is applied
4 is a sectional view taken on line A-A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cut-out por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디플렉터는 통상의 디플렉터와 외견상 차이점이 없으나, 도 2에서와 같이, 디플렉터를 구성하는 크로스바(10)의 내부에 선상광원(線狀光源)(20)이 설치되어 발광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mount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ef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apparent difference from a normal deflector. However, as shown in FIG. 2, the crossbar 10 A line-
이렇듯 디플렉터의 크로스바(10)가 발광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크로스바(10) 자체에 광원을 직접 설치하거나, 크로스바(10) 내부에 광원을 설치하되 크로스바(10)를 일부 절개하고 절개부에 투명창을 설치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으나, 두 방식 모두 광원 또는 투명창 설치 부위에 고도의 차수처리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디플렉터는 차체 외부에 수시로 노출되는 장착물인 바 강우 및 강설 등 기상현상은 물론 차량 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결로(結露)로 인하여 광원 및 연관 배선으로의 누수 가능성이 상존할 뿐 아니라, 디플렉터 설치 광원의 배선은 결국 자동차 자체의 배선과도 연결될 수 밖에 없으므로, 전술한 차수 구조상의 한계는 결국 자동차 자체의 기능 및 안전성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The deflector has a possibility of leakage to the light source and the associated wiring due to the meteorological phenomenon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meteorological phenomenon such as bar rainfall and snow which are ofte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As a result, the above-mentioned limitations on the order structure may ultimately have a serious effect on the function and safety of the vehicle itself.
또한 상기와 같이 개별 광원이 설치되는 경우 점발광(點發光) 방식으로 작동하는 바, 통상의 방향지시등 또는 차폭등과의 차별성이 전무할 뿐 아니라 조잡한 느낌을 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individual light sources are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y operate in a point light-emitting manner, 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ventional direction indicator lamps or the car lights, and there is a problem of giving a rough feeling.
이에, 본 발명에서는 디플렉터의 크로스바(10)를 반투명 관체로 구성하고, 그 내부에 선상광원(20)을 설치하여 고도의 수밀성을 확보하면서도 크로스바(10)의 전체 표면상 균일한 광도 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서의 디플렉터는 통상의 디플렉터에서와 같이, 무빙글래스(18)가 후퇴하여 개구부(17)가 개방되면 회동암(19)이 상측으로 회동하여 회동암(19)에 양단이 연결된 크로스바(10)가 상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크로스바(10)에 내장된 선상광원(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선상광원(2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배선 역시 회동암(19)을 통하여 차체로 인입되어 차내 배선과 결선된다.The def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when the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디플렉터를 구성하는 봉체(棒體)인 크로스바(10)에 광원이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되는 발광형 디플렉터으로서, 양 단부가 자동차 선루프의 개구부(17) 양측에 연결되는 크로스바(10)가 반투명의 중공(中空) 관체(管體)로 구성되고, 크로스바(10)의 내부에는 선상광원(線狀光源)(20)이 크로스바(10)의 종방향(縱方向) 즉, 크로스바(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emitting deflector in which a light source is provided in a
본 발명에 있어서 선상광원(20)이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선(線) 형태의 광원으로서, 다수의 단일 광원이 일렬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도 2에서와 같이, 좁고 긴 장방형 기판에 다수의 엘이디(25)가 설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in the dictionary meaning of the
반투명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본 발명의 크로스바(10)는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을 통하여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관체로 성형되며, 내장된 선상광원(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크로스바(10) 내부가 은폐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선상광원(20)에서 발광된 광선이 반투명 크로스바(10) 내부에서 난반사됨과 동시에 크로스바(10)를 통과하면서 확산되어 외견상 크로스바(10) 표면이 균일하게 발광된다.The
즉,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25) 등 다수의 단일 광원이 간헐적으로 배열된 선상광원(20)이 적용되어도 반투명 관체인 크로스바(10)의 난반사 내지 광확산 효과를 통하여 전체 크로스바(10) 표면에 걸친 균일한 광도 분포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광원 설치 지점의 광도 편중 및 이로 인한 미관 저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even if the
본 발명 크로스바(10)의 난반사 내지 광확산 작용은 특유의 반투명성으로 인하여 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반투명성은 널링(knurling) 가공 등을 통하여 크로스바(10) 외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부여할 수도 있으나, 요철 방식은 그 자체로서 외관상 미감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가공과정은 물론 사용과정에 표면 손상을 수반할 수 밖에 없으므로 크로스바(10)의 강도 또한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The diffuse reflection or light diffusion of th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성형과정에서 크로스바(10)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에 흡광성 미분체(微粉體) 또는 미세 기포를 혼합함으로써 소기의 반투명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는 고강도 투명 합성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에 굴절률이 상이한 이종(異種) 합성수지 분말 또는 안료 등의 흡광성 미분체를 혼입하여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하거나, 폴리카보네이트 크로스바(10)를 발포 성형하여 크로스바(10)의 조직내 미세한 기포를 분포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thetic resin constituting the
특히, 폴리카보네이트에 혼입되는 흡광성 미분체의 양을 조절하거나, 발포 성형시 첨가되는 발포제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완성된 크로스바(10)의 광투과율을 50% 내지 80%로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광투과율이 50%이하일 경우 흡광성 미분체 또는 미세 기포가 과도하게 혼입되어 크로스바(10)의 재료 균일성이 저하되고 조직 구조가 이완되어 결국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광투과율이 80%이상일 경우 크로스바(10)의 은폐성이 부족하여 크로스바(10) 표면상 발광점과 여타 지점간의 광도 불균형이 유발되고 미관이 저하되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completed
이렇듯 본 발명을 통하여 널링(knurling) 등의 표면가공 없이도 크로스바(10)의 표면에 균일한 광도 분포를 부여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투명 합성수지인 재료 특성상 크로스바(10)의 강도 확보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재료 유연성이 저하되는 동절기에는 크로스바(10)의 취성파괴(脆性破壞)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iform brightness distribution can be imparted to the surface of the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크로스바(10)의 표면에 합성수지제 시트 등의 피복시트(30)를 부착함으로써, 크로스바(10)의 휨변형을 억제하고 외력의 작용시 휨변형에 의한 인장응력이 집중되는 크로스바(10)의 표면부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였다.3, by attaching a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크로스바(10)의 상면, 하면 및 차체 후방측 측면에 피복시트(30)를 부착하여, 크로스바(10)의 취성파괴를 방지하는 것으로, 이때 크로스바(10) 표면에 부착되는 피복시트(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피복시트(30)를 크로스바(10)의 일부를 제외한 전체 표면을 포위하도록 부착하는 것이 보강효과 측면에서 유리하다.3 and 4, the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크로스바(10)의 차체 전방측의 표면을 제외한 크로스바(10)의 전체 외부 표면에 피복시트(30)가 부착되었으나, 투명한 피복시트(30)를 적용하는 경우 차체 전방측을 포함한 크로스바(10)의 전체 표면에 피복시트(30)가 부착될 수도 있다.3 and 4, the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크로스바(10) 자체는 독립된 관체로 구성하되, 크로스바(10)가 결합되는 별도의 금속제 곡판(40)을 구성하여 크로스바(10)의 구조적 강성을 극대화한 것으로, 고속 주행시 작용할 수 있는 풍압(風壓)에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5 to 7 illustrate the structure of the
즉, 곡판(40)이 적용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인 도 5에서와 같이, 크로스바(10)의 차체 후방측에 C자형 금속제 곡판(40)을 결합하여 보강한 것으로, 이때 크로스바(10)는 단일 관체(管體)의 기본 구조는 유지하되 차체 전방측의 노출부(11)와, 단면이 축소된 차체 후방측의 결합부(12)로 구분되어 구성되며, C자형 금속제 곡판(40)에 상기 결합부(12)가 긴밀하게 치합되는 구조를 가진다.5,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도 5에서와 같이, 크로스바(10)에 결합되는 곡판(40)은 금속제 판체가 횡단면상 C자 형태로 절곡되어 성형될 수 있으며,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곡판(40)과 크로스바(10)의 결합시 크로스바(10) 결합부(12) 표면이 곡판(40)의 요입부 내부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 the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곡판(40)과 크로스바(10)간 결합시 결합부위가 평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미관은 물론 불필요한 공기저항의 감소에 있어서도 유리하다.6 and 7, it is advantageous not only to provide aesthetically pleasing but also to reduce unnecessary air resistance when the joining portion between the
이러한 곡판(40) 결합형 실시예에 있어서도 중공 관체인 크로스바(10)의 내부에 선상광원(20)이 설치되는데, 크로스바(10) 내부 표면에 상호 이격된 한쌍의 단턱(13)을 형성하여 단턱(13) 사이에 선상광원(20)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조시는 물론 유지보수 과정에서 선상광원(20)의 용이한 탈부착과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the combined embodiment of the
10 : 크로스바
11 : 노출부
12 : 결합부
13 : 단턱
17 : 개구부
18 : 무빙글래스
19 : 회동암
20 : 선상광원
25 : 엘이디
30 : 피복시트
40 : 곡판10: Crossbar
11: Exposure unit
12:
13: step
17: opening
18: Moving glass
19:
20: linear light source
25: LED
30: Cover sheet
40:
Claims (3)
크로스바(10)의 상면, 하면 및 차체 후방측 측면을 포함하는 크로스바(10)의 표면에는 피복시트(30)가 부착되어, 크로스바(10)의 취성파괴가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자동차 선루프용 디플렉터.The crossbar 10 is a deflector for a sunroof in which a horizontal rod chain crossbar 1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utomobile sunroof opening 17 through a rotary rocker 19, A linear light source 20 is installed in the crossba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bar 10 and the crossbar 10 has a light transmittance of 50 to 80% % ≪ / RTI > of a translucent synthetic resi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sheet (3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rossbar (10) includ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rossbar (10) and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ody to prevent brittle fracture of the crossbar Deflector fo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90274A KR101595839B1 (en) | 2014-12-26 | 2014-12-26 | Luminous deflector for automobile sunro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90274A KR101595839B1 (en) | 2014-12-26 | 2014-12-26 | Luminous deflector for automobile sunro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95839B1 true KR101595839B1 (en) | 2016-02-22 |
Family
ID=5544555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90274A Active KR101595839B1 (en) | 2014-12-26 | 2014-12-26 | Luminous deflector for automobile sunro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95839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119581A (en) * | 1996-10-21 | 1998-05-12 | Kanto Auto Works Ltd | Sunroof deflector for automobile |
| JP2000233643A (en) * | 1998-12-15 | 2000-08-29 | Toyota Motor Corp | Car sunroof deflector |
-
2014
- 2014-12-26 KR KR1020140190274A patent/KR1015958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119581A (en) * | 1996-10-21 | 1998-05-12 | Kanto Auto Works Ltd | Sunroof deflector for automobile |
| JP2000233643A (en) * | 1998-12-15 | 2000-08-29 | Toyota Motor Corp | Car sunroof deflecto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377296B2 (en) | Illuminated trim fitting | |
| CN109843648B (en) | Lighting device on a motor vehicle | |
| CN210462854U (en) | Vehicle lighting assembly | |
| DE102014006567B4 (en) | Backlit interior component | |
| KR20130044341A (en) | Signalling lamps for motor vehicle | |
| EP3245084A1 (en) | Back-lit decorative strip | |
| US8388214B1 (en) | Lighted railing and similar structures | |
| US10502390B1 (en) | Vehicle lamp assembly having a bezek, lens and lamp housing with a micro mesh of holes in a side wall | |
| CN104089233A (en) | Light-guide type automobile side turn signal lamp | |
| DE202006003768U1 (en) | Vehicle lighting with flexible light conductor for vehicle part e.g. vehicle door or luggage compartment lid has shining surface, which is formed through lateral surface of light conductor | |
| DE102006011108A1 (en) | Vehicle light, has lighting surface provided at vehicle part and formed by shell surface of light conductor, where light conductor partially extends along outer contour of vehicle part | |
| WO2005070714A1 (en) | Side visor cover for vehicle | |
| JP3214613U (en) | Vehicle light emitting assembly | |
| CN102207272A (en) | Automobile interior trim | |
| KR102117794B1 (en) | LED lighting | |
| KR101595839B1 (en) | Luminous deflector for automobile sunroof | |
| EP3459791A1 (en) | Running board for a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running board | |
| CN105402808A (en) | Vertical air conditioner | |
| CN217843719U (en) | Vehicle light decorative cover, vehicle lamp of vehicle and vehicle | |
| CN211969293U (en) | Luminous central control decorative panel structure | |
| CN205156148U (en) | Vertical air conditioner | |
| CN208931259U (en) | A kind of vehicle rear-side window frame external ornament and its mounting structure | |
| DE102004007555B4 (en) | Interior light with high transparency and translucence, especially for vehicles with glass roof | |
| CN115257571A (en) | Luminous side wall decorative strip for frameless vehicle door | |
| CN201875607U (en) | Automotive trim lamp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