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7573B1 - 제어정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정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573B1
KR101597573B1 KR1020090003311A KR20090003311A KR101597573B1 KR 101597573 B1 KR101597573 B1 KR 101597573B1 KR 1020090003311 A KR1020090003311 A KR 1020090003311A KR 20090003311 A KR20090003311 A KR 20090003311A KR 101597573 B1 KR101597573 B1 KR 101597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frequency resource
sequence
symbol
control chan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934A (ko
Inventor
권영현
한승희
이현우
문성호
곽진삼
김동철
노민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057,427 priority Critical patent/US8681697B2/en
Priority to PCT/KR2009/004469 priority patent/WO2010018970A2/en
Publication of KR2010001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5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llocation of payload; Allocation of data channels, e.g. PDSCH or PUS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볼 공간에 분산되며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포인트 중에서 특정 포인트를 선택하되, 상기 심볼 공간은 변조 차원 및 시퀀스 차원을 포함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포인트에 대응하는 신호를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을 포함하는 제어채널에 맵핑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정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어정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METHOD FOR UPLINK TRANSMITTING A CONTROL INFORM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한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대역폭이 제한된 무선 채널에서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효율(spectral efficiency)을 극대화하면서 고속 전송시 발생하는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및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을 극복해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채널 상태(channel condition)을 이용하는 폐루프(closed-loop) 전송 기법이 등장하고 있다. 적응적 변조 및 코딩(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기법은 귀환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에서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을 조절하여 링크 성능을 증가시키는 기술이다.
따라서, 기지국은 각 단말로부터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수신하여 주파수 선 택적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상향링크 제어신호로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수행하기 위한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 하향링크 채널 품질을 가리키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상향링크 전송은 단말에서 이루어지므로, 배터리 소모를 작게 하기 위해 낮은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는 단일 반송파(single carrier) 특성을 갖는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IMT-Advanced에서 시스템 동작은 기존의 단일 반송파(single carrier) 기반의 OFDM 전송방식에 추가하여 광대역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기반의 전송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일 반송파와 다중 반송파 기반의 전송방식을 통합하여 송수신하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단말은 각 반송파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동시에 여러 반송파를 이용해서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다중 대역에 대한 채널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게 되고 이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심볼 공간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또한, IMT-Advanced는 쓰루풋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향링크에서도 다중 안테나(multi-input multi-output; MIMO)를 사용할 것이므로, 전송 안테나 수의 증가에 따라 정보량이 증가하는 부분도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심볼 스페이스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 QoS)를 보다 잘 충족시키고 커버리지 홀 등을 해소하기 위해, 임의로 온/오프가 가능한 임의 노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임의 노드는 용량 보다는 쓰루풋에 초점을 맞춰 설계되고 있으며, 펨토 셀, 피코 셀 등을 포함한다. 펨토 셀은 일반적으로 서비스 반경이 30m 이내로서 가정, 사무실 등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피코 셀은 일반적으로 서비스 반경이 100m 이내로서 빌딩 내부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 노드는 일반적으로 0.1 와트 미만의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하향 전송한 다. 위와 같이, 임의 노드는 커버러지가 작아서 단말과 기지국간의 채널이 플랫 페이딩(flat fading)에 가깝고, 임의 노드 내에서 단말이 고속으로 움직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단말의 커버리지가 임의 노드의 커버리지 보다 길어질 수 있으므로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반송파 기반의 상향링크 전송에서 다중 반송파 기반의 상향링크 전송으로 확장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안테나 기반의 상향링크 전송에서 다중 안테나 기반의 상향링크 전송으로 확장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펨토 셀과 같은 임의 노드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볼 공간에 분산되며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포인트 중에서 특정 포인트를 선택하되, 상기 심볼 공간은 변조 차원 및 시퀀스 차원을 포함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포인트에 대응하는 신호를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을 포함하는 제어채널에 맵핑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정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포인트는 상기 시퀀스 차원에 속해 있다.
상기 시퀀스 차원은 직교 시퀀스, 의사-직교 시퀀스 또는 의사 잡음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퀀스 차원은 ZC(Zadoff-Chu),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waveform), 왈쉬(walsh),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볼 영역은 주파수 차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파수 차원은 부반송파 그룹, 채널, 서브밴드 또는 호핑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단일 반송파에서 다중 반송파 기반의 상향링크 전송으로 확장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셋째, 단일 안테나에서 다중 안테나 기반의 상향링크 전송으로 확장하는 경 우에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넷째, 펨토 셀과 같은 임의 노드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된 예들이다.
도 1는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따른 송신기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SC-FDMA 송신기는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는 DFT 유닛(110), 부반송파 맵퍼(subcarrier mapper, 120) 및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는 IFFT 유닛(130)을 포함한다.
DFT 유닛(110)은 입력되는 시간 영역의 데이터에 DFT를 수행하여 주파수 영역 심볼을 출력한다. 부반송파 맵퍼(120)는 주파수 영역 심볼들을 각 부반송파에 맵핑시킨다. IFFT 유닛(130)은 입력되는 주파수 영역 심볼에 대해 IFFT를 수행하여 시간 영역 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라고 한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슬롯의 길이는 0.5ms일 수 있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SC-FDMA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을 포함한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상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SC-FDMA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을 포함한다. 도 3에서, 상향링크 슬롯은 7 SC-FDMA 심볼을 포함하고, 자원블록은 12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했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개수는 순환전치(Cyclic Prefix; CP)의 길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하나의 자원 블록은 12×7 자원요소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 NUL은 셀에서 설정되는 상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제어채널)가 할당되는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중간 부분이 PUSCH에 할당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데이터 영역의 양측 부분이 PUCCH에 할당된다.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PUCCH 상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수행에 사용되는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상향링크 무선자원 할당 요청인 스케줄링 요청 신호 등이 있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2 슬롯들의 각각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차지하는 하나의 자원블록을 사용한다. 2 슬롯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서로 다른 자원블록(또는 부반송파)을 사용한다. 즉, PUCCH에 할당되는 2개의 자원블록은 슬롯 경계(slot boundary)에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된다. 도 4에서는, m=0인 PUCCH, m=1인 PUCCH, m=2인 PUCCH, m=3인 PUCCH 4개의 단말에 대한 PUCCH가 서브프레임에 할당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PUCCH는 다중 포맷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변조 방식(modualtion scheme)에 따라 서브프레임 당 서로 다른 비트 수를 갖는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를 사용하는 경우 1 비트의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PUCCH로 전송할 수 있고,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를 사용하는 경우 2 비트의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PUCCH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서브프레임상의 상향링크 제어채널로서 CQI 채널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7개의 SC-FDMA 심볼 중 3개의 SC-FDMA 심볼 간격만큼 떨어진 2개의 SC-FDMA 심볼에는 파일럿(RS)이 실리고, 나머지 5개의 SC-FDMA 심볼에는 CQI가 실린다. 한 슬롯 안에 두 개의 파일럿이 사용된 것은 고속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각 단말은 직교 시퀀스(예, cyclic shift version of one root sequence)를 사용하여 구분된다. CQI 정보 심볼들은 SC-FDMA 심볼 전체에 변조되어 전달되고, SC-FDMA 심볼은 하나의 시퀀스로 구성되어 있다. 즉, 단말은 각 시퀀스에 CQI를 변조해서 전송한다.
하나의 TTI에 전송할 수 있는 심볼 수는 10개이고, CQI의 변조는 QPSK까지 정해져 있다. SC-FDMA 심볼에 대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맵핑을 사용하는 경우 2비트의 CQI 값이 실릴 수 있으므로, 한 슬롯에 10비트의 CQI 값을 실을 수 있다. 따라서, 한 서브프레임에 최대 20비트의 CQI 값을 실을 수 있다.
CQI를 주파수 영역에서 확산시키기 위해 주파수 영역 확산 부호를 사용한다. 주파수 영역 확산 부호로는 ZC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영역 확산 부호로 상관 특성이 우수한 다른 시퀀스를 적용할 수도 있다. 특히, 각 제어채널은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cyclic shift) 값을 갖는 ZC 시퀀스를 적용하여 채널 구분을 할 수 있다.
길이가 N인 ZC 시퀀스 c(k) 의 생성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02658509-pat00001
여기에서, 0≤k≤N-1이고, M은 원시 인덱스(root index)로 N과 서로 소(relatively prime)인 N 이하의 자연수이다. N이 정해지면, 원시 인덱스의 수는 사용 가능한 원시 ZC 시퀀스의 개수를 의미한다.
ZC 시퀀스 c(k)은 다음 세 가지 특징을 가진다.
Figure 112009002658509-pat00002
Figure 112009002658509-pat00003
Figure 112009002658509-pat00004
수학식 2는 ZC 시퀀스는 언제나 그 크기가 1임을 의미하고, 수학식 3은 ZC 시퀀스의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은 Dirac-delta 함수로 표시됨을 의미한다. 여기서 자동 상관은 순환 상관(circular correlation)에 기반한다. 수학식 4는 교차 상관(cross correlation)이 언제나 상수임을 의미한다.
상향링크 제어채널에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제어신호가 다중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채널에는 CQI와 ACK/NACK이 다중화될 수 있다.
실시예: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전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
이하, 본 발명에서는 단일 반송파(single carrier) 기반의 OFDM 또는 이의 변종 시스템에서 고안된 CQI 채널 구조에 기초하여, 송신 시스템을 다중 반송파 또는 다중 안테나로 확장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추가적인 고려사항이나, 확장/변형 기법에 대해서 고찰한다. 특히, 펨토 셀과 같이 부가 백색 가우시안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채널 특성을 보이는 환경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방법은 매크로 셀(macro cell)의 방법과 동일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에서 정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심볼 공간(symbol space)을 확장하는 방법과 다중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구조 변형 방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예로서 3GPP LTE의 CQI 채널을 사용하도록 한다. 그러나, CQI 채널을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CQI 채널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후술하는 내용은 CQI 채널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ACK/NACK, PMI, RI 등의 상향링크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채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CQI 채널에 대한 심볼 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다중 반송파/단일 반송파에서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심볼 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방법을 중심으로 제안한다. 본 명세서에서, 심볼 공간(Symbol space)은 정보가 표현되거나 전달될 수 있는 차원(dimension)을 나타낸다. 심볼 공간은 비트 오포튜니티(bit opportunity)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조합으로 구 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볼 공간은 신호 변조, 시간, 주파수, 코드 등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심볼 공간이 증가한다는 것은 심볼이 더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거나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3GPP LTE의 CQI 채널은 시간으로 구분된 변조 심볼이라는 오포튜니티(opportunity) 하나에만 의존하고 있다. 현재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심볼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현재보다 더 높은 변조율(modulation order)을 사용하는 것이다. 현재, 3GPP LTE의 CQI 채널은 변조율이 QPSK까지로 제한되어 있다. 이는 제어채널의 중요성 및 매크로 셀에서의 통신 환경(예, 페이딩, 딜레이, 잡음, 커버리지, 전력 제한 등)을 고려하여, 제어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변조율을 낮게 설정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펨토 셀과 같은 작은 셀에서는 무선 채널이 AWGN 특성을 갖고 있어 페이딩에 의한 영향이 감소된다. 또한, 단말의 고속 이동이 제한되고 커버리지가 작으므로 딜레이도 상당히 작게 된다. 또한, 펨토 셀의 작은 커버리지를 고려할 때,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하는 전력은 상대적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일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펨토 셀의 특성을 고려할 경우,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변조율을 낮게 설정할 필요가 없다. 즉, 더 높은 변조율을 갖도록 하더라도, 펨토 셀 내에서 상향링크 전송되는 제어채널의 신호 품질에는 열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펨토 셀 내에서 단말은 CQI 채널의 변조율을 QPSK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 16, 32, 64 등의 포인트로 구성된 성상(constellation)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포인트는 성상도 내에서 크기와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서로 구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n-PSK, 회전된 n-PSK, n-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회전된 n-QAM 또는 이들의 중첩(superposition) 등에 의해 변조될 수 있다. 여기에서, n은 성상도 내에서의 포인트 개수를 의미한다.
위와 같은 방법은 때때로 적절한 QoS를 보장해줄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기존 CQI와 완벽하게 호환되면서 별도의 보완 구조가 필요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만약,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하는 제어채널의 변조율이 매크로 셀과 펨토 셀에서 상이하다면, 단말은 자신이 속한 셀의 종류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변조율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한 정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조적인 해석을 다르게 하거나 심볼 공간을 변형함으로써 심볼 공간을 확장하는 방법에 대해 예시한다.
실시예 1: 심볼 공간의 확장
1) 단일 반송파/다중 반송파를 통한 단순 어그리게이션( simple aggregation )
단말이 다수의 RF(radio frequency) 전송 채널을 가지고 있는 경우(즉, 단말이 다중 안테나나 다중 반송파 대역에 대한 RF 체인(chain)을 별도로 가짐), 단말은 이들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추가 구성없이 바로 심볼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전송 방식은 다중 반송파에 별도로 제어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CQI 정보를 전송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력 증폭기(power amp)의 제약이 심하지 않는 상황이라면, 단순히 단일 반송파 상에서 여러 제어채널에 CQI 정보를 직접 전송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물론 단일 반송파임에도 여러 제어채널을 동시에 사용하면, SC-FDMA의 단일 반송파 성질(single carrier property)가 훼손된다.
2) 부가 공간을 통한 심볼 공간의 확장
CQI 채널 용량을 늘리기 위해, 성상(constellation)을 늘리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전송 전력이 충분하다고 가정할 경우, 현재처럼 단순히 QPSK로 변조율(modulation order)을 정해놓고 CQI 채널을 사용하게 되면, QoS가 너무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전송 전력이 충분한 경우로는 전력 증폭기에 제약이 없는 경우, 단말이 펨토 셀과 같은 커버리지가 작은 셀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이 경우, CQI 심볼 공간을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변조율을 올리거나, 변조율과 함께 추가적인 공간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6은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심볼 공간을 확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보 전송을 위한 심볼 공간은 변조 차원, 시퀀스 차원, 주파수 차원, 호핑(Hopping) 차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확장될 수 있다. 즉, 심볼 자체를 나타내는 변조된 신호와 상기 신호가 실려가는 시퀀스, 및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부반송파로 공간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조 차원은 PSK 및 회전된-PSK, QAM, 회전된-QAM, 가우스 최소 편이 변조(GMS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조 공간은 BPSK, 회전된-BPSK, QPSK, 회전된-QPSK, 16PSK, 회전된-16PSK, 16QAM, 64QAM,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른 중첩 변조 등을 포함한다. 심볼 공간을 확장하는 측면에서, 변조 공간은 QPSK, 8PSK, 16QAM 처럼 성상 개수를 늘려가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시퀀스 차원을 이용하는 경우, 단말은 동일한 정보에 대해 사용되는 시퀀스를 다르게 선택함으로써, 전송 정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1'을 보낼 때는 미리 정해진 하나의 시퀀스를 사용해서 변조된 심볼을 전송하고, '0'을 보낼 때는 미리 정해진 다른 하나의 시퀀스를 사용해서 변조된 심볼을 전송하는 형태이다. 더 많은 비트 정보를 시퀀스 선택에 부가할 경우 더 많은 시퀀스를 묶어서 사용할 수 있다. 시퀀스 공간은 직교 시퀀스인 ZC(Zadoff-Chu),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waveform), 왈쉬(walsh),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시퀀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퀀스 공간은 의사-직교(quasi-orthogonal) 시퀀스, 상호상관 특성이 작은 PN(pseudo noise) 계열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서는 시퀀스 차원을 심볼 공간의 확장에 사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제어채널을 통해 동시에 전송될 수 있는 단말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셀 내에서 단말의 수가 작은 경우(예, 펨토 셀)에는 시퀀스를 심볼 공간에 사용하더라도 무리는 없다.
심볼 공간을 확장하는 또 다른 방법은 주파수 차원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심볼 공간을 확장하는 것은 주파수 자원의 사용에 대한 응용을 포함한다. 주파수 축으로 제어채널이 여러 곳에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동일 신호에 대해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즉, 서로 다른 서브밴드/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가 전송되는 위치(서브밴드/채널)에 따라 추가 비트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시간 축으로 심볼 영역을 확장하는 것은 서로 다른 호핑 패턴의 사용을 포함한 다. 예를 들어,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추가하고자 하는 비트 수가 적다면, 변조 심볼이 실리는 위치를 OFDM 심볼 마다 일정한 규칙으로 호핑시켜 전송할 수 있다. 패턴 규칙 자체가 비트 정보를 나타내므로, 전송 정보의 호핑이 완료되기 이전에는 해당 호핑 패턴이 나타내는 비트 정보를 알 수 없다. 따라서, 넓은 구간의 SC-FDMA 심볼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좁은 구간의 SC-FDMA 심볼을 이용하는 것이 정보를 신속히 디코딩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즉, 많은 양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보다 적은 양의 정보를 전송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만일, 넓은 구간의 OFDM 심볼을 이용하여 호핑한다면, 호핑 패턴 자체가 정보의 LSB(least sigficant bit)를 지시하게 함으로써 디코딩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부가 공간들은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확장 가능하다. 또한, 다중 반송파가 가능한 경우, 주파수 자원의 사용에 대한 응용은 다중 반송파에서 특정 반송파를 선택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3) 감소된 파일럿( Reduced pilot )
채널이 상대적으로 좋은 환경(예, 도플러 주파수, 주파수 오프셋이 작은 환경)에서는 많은 수의 파일럿이 필요하지 않다. 특히, 펨토 셀과 같이 기지국의 용량(capacity)이 단말보다 좋지 않을 수 있는 환경에서는 더욱 더 단말에게 유리한 파일럿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의 개수가 많지 않은 경우에 파일럿의 필요성은 더욱 감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변형된 파일럿을 할당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7개의 SC-FDMA 심볼 중에서 정 가운데 있는 SC-FDMA 심볼에는 파일럿(RS)이 실리고, 나머지 6개의 SC-FDMA 심볼에는 CQI 정보가 실린다. 펨토 셀과 같이 단말의 고속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에는 한 슬롯 안에 한 개의 파일럿만 있더라도 무리가 없다. 파일럿이 할당되는 SC-FDMA 심볼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파일럿은 제어채널 상에서 배치가 용이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각 단말은 직교 시퀀스(예, cyclic shift version of one root sequence)를 사용하여 구분된다. CQI 정보 심볼들은 SC-FDMA 심볼 전체에 변조되어 전달되고, 각각의 SC-FDMA 심볼은 하나의 시퀀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퀀스는 주파수 영역 확산 부호이고, 직교 시퀀스, 의사-직교 시퀀스 또는 상관 특성이 우수한 다른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파일럿 구조를 변형할 경우, 기존에 파일럿을 할당했던 SC-FDMA 심볼에 CQI 정보를 실을 수 있다. 따라서, 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할 수 있는 CQI 정보 심볼의 수는 2개로 늘어나고, QPSK 맵핑을 사용하는 경우 최대 4비트의 정보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된 파일럿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파일럿이 슬롯 당 두개에서 하나로 줄어든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하더라도 펨토 셀과 같은 환경에서는 채널추정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사용함으로써, 펨토 셀 내의 단말은 슬롯 당 하나의 SC-FDMA 심볼을 CQI 또는 다른 제어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된 파일럿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하나의 SC-FDMA 심볼을 모두 사용하여 파일럿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모든 단말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파일럿 채널을 만드는 것에 대해 고려할 수 있다. 펨토 셀과 같은 환경에서는 채널이 급격히 변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모든 대역에 대해서 단말은 한번만 파일럿을 전송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하나의 TTI에 하나의 파이럿 심볼만이 존재하며, 펨토 셀 내의 단말들은 자신의 파일럿을 해당 위치에 전송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제어채널을 사용하는 단말 및 공유채널(즉, 데이터/제어 코드워드를 전송하는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은 모두 공통적인 파일럿 채널을 사용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펨토 셀의 채널 특징, 펨토 셀에서의 단말/기지국의 역대칭(즉, 단말의 전력 증폭기(Power AMP)가 기지국 보다 좋음) 전력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제어채널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심볼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해당 펨토 셀이 사용하는 대역에 걸친 파일럿의 구조는 크기가 조절될 수 있어야(scalable)하는 제한을 갖는다. 예를 들어, 1 RB 크기의 제어채널을 사용하는 단말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수신단에서는 성능감소가 적은 파일럿 구조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일 예로, RB 단위로 파일럿 시퀀스를 생성하고 커버 시퀀스를 사용함으로써, PAPR/CM (Peak-to-Average Power Ratio/cubic metric) 특징에서 많은 손해를 보지 않고 파일럿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에서, 파일럿의 위치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파일럿은 제어채널 상에서 배치가 용이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서브프레임 내에 복수의 파일럿이 존재 할 수도 있고, 여러 서브프레임 당 파일럿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된 파일럿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펨토 셀과 같은 환경에서, 단말은 전력 증폭기(PA)에 여지가 많기 때문에, PAPR/CM은 실제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더구나, 도 9에서와 같이, 하나의 SC-FDMA 심볼을 완전히 다 차지하는 형태의 파일럿 구성은 설계상 문제점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약간의 PAPR/CM 불리를 안더라도, 해당 제어채널 내에서만 신호를 전송하는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채널에 대해 호핑(hopping)을 제한할 수 있다. AWGN과 비슷한 플랫 페이딩(flat fading)이 나타나는 환경에서 슬롯 호핑(slot hopping)이 주는 이득은 미미하다. 따라서,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슬롯 호핑을 배제함으로써, 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채널이 연속으로 보이도록 변형할 수 있다. 이런 구조는 기존 제어채널 구조와 완벽히 호환되면서도 CQI 심볼 공간이 확장된다. 도 10에서, 파일럿의 위치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파일럿은 제어채널 상에서 배치가 용이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서브프레임 내에 복수의 파일럿이 존재할 수도 있고, 여러 서브프레임 당 파일럿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4) 다중 안테나 확장( Multiple antenna extension )
단말이 다중 안테나 전송 능력을 갖고 있는 경우(즉, 전송 RF 체인/전력 증폭기가 여러 개 존재), 상기 능력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수신단의 QoS를 보장하고, 공간 효율(spectral efficiency)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안테나 개수의 증가에 따라 전송해야 되는 CQI 정보량이 많아지 는 경우, 다중 안테나 전송 능력은 심볼 공간의 확장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다만, CQI 정보 심볼들은 SC-FDMA 심볼 전체에 변조되어 전달되고, SC-FDMA 심볼은 하나의 시퀀스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다중 안테나 기술과는 다른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이하, 기존 SC-FDMA의 단일 반송파 전송 특성을 깨지 않고, 다중 안테나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안테나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안테나를 통해 서로 다른 전송 자원(예, 서로 다른 제어채널)에 신호를 전송하는 예를 나타냈다. 이 경우, 전송 포맷은 단일 전송 안테나에서 사용했던 포맷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신호에 안테나 셀렉션(selection)을 적용할 수 있다. 안테나 셀렉션은 신호가 전송되는 안테나가 특정 간격으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든 안테나에서 신호를 전송하지만, 각각의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소정 조건하에서 서로서로 바뀔 수 있다. 안테나 셀렉션은 전송되는 신호에 대해 슬롯 단위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성상이 변형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콘쥬케이트(conjugate)와 같은 연산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CQI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심볼 공간에 대한 요구(requirement)가 적은 경우에는 여러 개의 전송 안테나를 임의 개수로 짝지움으로써 전송 다이버시티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전송 다이버시티를 위한 기법은 STBC(space time block code) 기법, SFBC(space frequency block code) 등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전송 다이버시티를 위한 연산은 시퀀스 자체, 심볼 자체 또는 시퀀스/심볼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기존 단말들과 호환성을 철저하게 유지하는 반면, 더 많은 전송 자원을 사용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안테나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경우에, 각 안테나가 동일한 전송 자원에 신호를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안테나가 여러 개 있으므로, 전송 다이버시티를 얻거나, 공간 멀티플렉싱을 얻는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전송 다이버시티는 다중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얻을 수 있다. 즉, 단말은 수신단이 각 안테나 신호를 구분할 수 없는 형태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다만, 단말의 전송 안테나는 매우 가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채널을 통해 수신단의 수신 안테나로 전달되는 전력-지연 프로파일(power-delay profile)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난다. 이들 신호의 채널 페이즈(channel phase)가 상쇄적인 빔(destructive beam)을 형성하는 경우, 수신단은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경우 제어채널 신호에 빔포밍(beamforming)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상향링크 제어채널 간에 빔포밍을 감소시키기 위해, 아주 작은 사이클릭 딜레이(cyclic delay)을 삽입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전송 안테나 별로 약간의 서로 다른 사이클릭 딜레이를 도입함으로써, 수신단에서 전력-피크(power-peak) 끼리 중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송신-수신 안테나 쌍에 대한 채널 추정이 가능한 경우 좀 더 다양한 다이버시티 또는 공간 멀티플렉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각 안테나는 독립적인 채널 추 정이 가능해야 하며, 다중 파일럿 심볼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안테나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경우에, 각 안테나의 파일럿 심볼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한 슬롯안에 존재하는 복수의 파일럿 심볼은 서로 다른 시퀀스를 이용하는 구별될 수 있다. 시퀀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이 외에, 각각의 SC-FDMA 심볼을 서로 다른 안테나에 할당하거나, SC-FDMA 심볼의 조합을 안테나 세트에 적용하는 형태로 파일럿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각각의 안테나를 적절히 짝지워서 동일한 자원을 공유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짝지워진 안테나들의 파일럿은 시퀀스를 이용하여 구분될 수 있다. 파일럿만 구분될 수 있으면 관련된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복조하는 가능하므로, 시퀀스는 파일럿에만 적용해도 충분하다. 시퀀스에 의해 구분할 수 있는 파일럿의 개수는 시퀀스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시퀀스 길이는 슬롯에 있는 파일럿 심볼의 개수에 의해 제한된다. 예를 들어, 한 슬롯에 파일럿 심볼의 개수가 3이라면 시퀀스 길이는 3으로 제한된다. 이 경우, 시퀀스로 구분할 수 있는 파일럿이 3개이므로, 함께 짝지울 수 있는 안테나도 3개가 된다. 만약, 슬롯 당 호핑이 제한된다면, 시퀀스 길이는 서브프레임에 있는 파일럿 심볼의 개수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시퀀스는 직교 시퀀스인 ZC(Zadoff-Chu),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waveform), 왈쉬(walsh),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시퀀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퀀스 공간은 의사-직교(quasi-orthogonal) 시퀀스, 상호상관 특성이 작은 PN(pseudo noise) 계열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GPP LTE의 CQI를 위한 상향링크 슬롯 구조는 5개의 CQI 정보 심볼과 2개의 파일럿 심볼로 구성되어 있고, 슬롯 당 호핑이 적용된다(도 5). 슬롯 당 2개의 파일럿 심볼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있는 시퀀스는 길이가 2이다. 따라서, 2개의 안테나(또는 묶음)를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심볼 공간은 최대 5*2 = 10의 공간으로 확장된다. 만약, 구분될 수 있는 파일럿의 개수를 증가시키려면 한 슬롯에 포함되는 파일럿 심볼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한 슬롯이 4개의 데이터 심볼과 3개의 파일럿 심볼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럿 심볼의 개수가 3이므로, 길이가 3인 시퀀스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가 3인 시퀀스는 {(1, 1, 1), (1, ej2 π/3, ej4 π/3), (1, ej4 π/3, ej2 π/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3개의 안테나(또는 묶음)가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심볼 공간은 최대 4*3 = 12의 공간으로 확장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 수의 증가에 따라 심볼 공간을 늘릴 수 있다면 파일럿을 추가로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심볼 공간은 전송해야 할 정보가 많지 않은 경우에 다이버시티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즉, 각 안테나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STBC 또는 SFBC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변환 대상은 변조 심볼 및 시퀀스 신호 자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 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을 상향링크 전송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SC-FDMA 방식에 따른 송신기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2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3은 상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서브프레임상의 상향링크 제어채널로서 CQI 채널 구조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심볼 공간을 확장하는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변형된 파일럿을 할당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된 파일럿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된 파일럿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된 파일럿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안테나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안테나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채널 을 전송하는 다른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안테나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또 다른 예이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슬롯에서 제1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물리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슬롯에서 제2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슬롯의 상기 제1 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2 슬롯의 상기 제2 주파수 자원으로의 주파수 호핑 패턴은 특정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및 RI(Rank Indicato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채널은 복수의 시퀀스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복수의 시퀀스 각각은 서로 다른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은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rotated-BPSK,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rotated-QPSK, n-PSK(Phase Shift Keying) 또는 n-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을 포함하고, n은 8, 16, 32 또는 64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퀀스는 직교(orthogonal) 시퀀스, 의사-직교(quasi-orthogonal) 시퀀스 또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차원은 ZC(Zadoff-Chu),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waveform), 왈쉬(Walsh),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자원과 상기 제2 주파수 자원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자원과 상기 제2 주파수 자원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subban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자원과 상기 제2 주파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슬롯에서 제1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물리 채널을 전송하고,
    제2 슬롯에서 제2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채널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슬롯의 상기 제1 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2 슬롯의 상기 제2 주파수 자원으로의 주파수 호핑 패턴은 특정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KR1020090003311A 2008-08-11 2009-01-15 제어정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 Active KR101597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57,427 US8681697B2 (en) 2008-08-11 2009-08-11 Method for uplink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PCT/KR2009/004469 WO2010018970A2 (en) 2008-08-11 2009-08-11 Method for uplink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73708P 2008-08-11 2008-08-11
US61/087,737 2008-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934A KR20100019934A (ko) 2010-02-19
KR101597573B1 true KR101597573B1 (ko) 2016-02-25

Family

ID=4209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311A Active KR101597573B1 (ko) 2008-08-11 2009-01-15 제어정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81697B2 (ko)
KR (1) KR101597573B1 (ko)
WO (1) WO201001897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529B1 (ko) * 2007-10-15 201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기지국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및 이동 통신 단말
DK2509269T3 (en) 2008-09-19 2018-01-08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Signal transmission on multiple component carrier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5219708B2 (ja) * 2008-09-22 2013-06-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9608780B2 (en) * 2008-09-23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for SC-FDMA
US8902874B2 (en) * 2008-10-20 2014-12-02 Nokia Siemens Networks Oy Sounding channel apparatus and method
WO2010087674A2 (en) * 2009-01-30 2010-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over a data channel or over a control channel
WO2010126339A2 (en) * 2009-04-30 201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xing large payloads of control information from user equipments
WO2010137925A2 (ko) * 2009-05-29 2010-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코딩된 참조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93678B2 (en) * 2009-10-08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Muting scheme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and signaling thereof
KR101783610B1 (ko) * 2010-04-21 201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90523B1 (ko) 2010-04-22 201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2237986A (zh) * 2010-05-06 2011-11-0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复合及传输上链路控制信息的方法及其通讯装置
JP4923161B1 (ja) 2010-09-29 2012-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1958774B (zh) * 2010-09-30 2015-10-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反馈信息发送方法和用户设备
KR101801579B1 (ko) * 2010-10-01 2017-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138112A2 (ko) 2011-04-04 201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87122B1 (ko) 2011-04-28 201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3022260A2 (ko) * 2011-08-07 2013-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
JP5893897B2 (ja) 2011-11-11 2016-03-2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2523026B (zh) * 2011-12-20 2014-04-0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通信终端及其秩指示参数的检测方法和装置
US9661612B2 (en) * 2012-06-29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uplink control channel multiplexing in beamformed cellular systems
US9973980B2 (en) 2013-03-06 2018-05-15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 handover decisions and related measurements
US9094951B2 (en) 2013-03-14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on of resources and handover related measurements
KR102078191B1 (ko) * 2013-06-14 2020-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품질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171502B1 (ko) * 2014-02-27 2020-10-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을 위한 변조 방법 및 장치
WO2016004634A1 (en) 2014-07-11 2016-01-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enb, ue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9806778B2 (en) * 2014-11-11 2017-10-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virtual antenna to physical antenna
KR102406284B1 (ko) * 2014-11-11 2022-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안테나를 물리 안테나에 맵핑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991483B (zh) * 2015-01-28 2020-08-07 索尼公司 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EP3369185B1 (en) * 2015-10-27 2020-01-01 Sony Corporation Pilot resource allocation for a mimo system
US10980022B2 (en) * 2015-12-04 2021-04-13 Qualcomm Incorporated Coupled mode common uplink burst in TDD subframe structure
US10448380B2 (en) * 2016-06-27 2019-10-15 Qualcomm Incorporated Split symbol control for aligned numerology
US10038488B2 (en) 2016-12-22 2018-07-31 Qualcomm Incorporated PUCCH transmit diversity with one-symbol STBC
US10454659B2 (en) 2017-02-28 2019-10-22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time-division duplex frame structure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WO2019012562A1 (en) * 2017-07-14 2019-01-17 Wisig Networks Private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DATA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0965786B2 (en) * 2018-10-31 2021-03-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daptive fixed point mapping for uplink and downlink fronthaul
CN111385076B (zh) * 2018-12-29 2021-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1502790B2 (en) * 2020-04-09 2022-11-15 Qualcomm Incorporated Orthogonal sequence generation for multi-bit payloads
CN112887230B (zh) * 2021-01-08 2021-11-19 西安电子科技大学 平坦衰落信道下空时块编码msk系统的信道估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1393A (en) * 1999-03-03 2000-10-31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channel estimation, equalization, and interference suppression
US20020110108A1 (en) 2000-12-07 2002-08-15 Younglok Kim Simple block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using multiple spreading codes
US20030048753A1 (en) 2001-08-30 2003-03-13 Ahmad Jalali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ath elim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95709B2 (en) * 2002-06-24 2006-08-22 Qualcomm, Incorporated Diversity transmission modes for MIMO OFDM communication systems
FI20031200A0 (fi) * 2003-08-26 2003-08-26 Nokia Corp Menetelmä ja tukiasema siirtoyhteyden sovituksen ja pakettiajoituksen ohjaamiseksi HSDPA-radiojärjestelmässä
DE10341107B3 (de) * 2003-09-05 2005-05-19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Empfangseinheit zur Kompensation eines Frequenzversatzes und/oder einer zeitlichen Änderung der Phase eines Übertragungskanals durch empfängerseitiges Auswerten von Randsymbolen eines empfangenen Datenbursts
KR100929091B1 (ko) 2004-02-14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US7564814B2 (en) 2004-05-07 2009-07-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mode and rate sel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20096B2 (en) * 2004-05-25 2009-11-17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Equal BER power control for uplink MC-CDMA with MMSE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KR100800795B1 (ko) 2004-05-31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응답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U2005273137B2 (en) * 2004-08-17 200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pace-time-frequency block coding for increasing performance
KR100774290B1 (ko) 2004-08-17 2007-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성능 향상위한 시공간 블록 부호화 장치 및 방법
JP4384668B2 (ja) * 2004-09-13 2009-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Mimo−ofdm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再送要求制御システム及び再送信方法
US8040968B2 (en) 2004-09-30 2011-10-18 Intel Corporation High rate, high diversity transmission on multiple transmit antennas
KR100938091B1 (ko) 2004-10-13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다중분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록 부호화기법과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하는 기지국송신 장치 및 방법
KR100719840B1 (ko) * 2004-11-04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장치 및 방법
US8130855B2 (en) * 2004-11-12 2012-03-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space-frequency block coding, spatial multiplexing and beamforming in a MIMO-OFDM system
US8446892B2 (en) * 2005-03-16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ructures for a quasi-orthogonal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730877B2 (en) * 2005-06-16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Pilot and data transmission in a quasi-orthogonal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20070183386A1 (en) * 2005-08-03 2007-08-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Sequences and Multi-User Reference Signal Sequence Allocation
US8331216B2 (en) * 2005-08-09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and interference estimation in single-carrier and multi-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s
ES2342493T3 (es) * 2005-10-27 2010-07-07 Qualcomm Incorporated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generacion de una permutacion para salto de enlace inverso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o.
BRPI0618220A2 (pt) * 2005-11-04 2016-09-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arelho de radiotransmissão e método de radiotransmissão
US20070171849A1 (en) * 2006-01-03 2007-07-2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chedul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and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feedback
KR100918729B1 (ko) * 2006-01-09 2009-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제어정보와 데이터의 시간적 다중화 방법 및 장치
US8130857B2 (en) 2006-01-20 2012-03-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ilot multiplex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848438B2 (en) * 2006-02-14 2010-12-0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ilot signal transmission
WO2007095697A1 (en) * 2006-02-27 2007-08-30 Cohda Wireless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20070091889A (ko) 2006-03-08 200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CN101043311B (zh) 2006-03-20 2011-01-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实现混合频分多址的频率分配和检测方法
US7916775B2 (en) 2006-06-16 2011-03-29 Lg Electronics Inc. Encoding uplink acknowledgments to downlink transmissions
KR101253162B1 (ko) 2006-06-1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 상향링크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제어정보 전송장치 및 dft-s-ofdm 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 기기
JP4430052B2 (ja) * 2006-06-19 2010-03-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及び送信方法
US8839362B2 (en) * 2006-07-31 2014-09-1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nsmit power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8295243B2 (en) * 2006-08-21 2012-10-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an orthogonal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670777B2 (en) * 2006-09-08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other sector interference (OSI) adjustment
CN101542938B (zh) * 2006-09-18 2012-12-12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无线mimo通信系统中的隐式波束形成的校准校正
KR100830614B1 (ko) 2006-10-10 2008-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 송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US8630256B2 (en) * 2006-12-05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backhaul utilization during base station handoff in wireless networks
KR101002247B1 (ko) 2006-12-18 2010-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를 통해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8075890A1 (en) 2006-12-18 200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n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46875B1 (ko) * 2006-12-21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PL1942596T3 (pl) * 2007-01-05 2013-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osób i urządzenie do transmitowania i odbierania informacji sterującej dla powodowania losowości zakłóceń międzykomórkowych w komórkowym systemie telekomunikacyjnym
KR101386214B1 (ko) 2007-01-09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k 신호의 송수신 방법
KR101384078B1 (ko) * 2007-01-10 2014-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애크/내크 채널 자원을 할당하고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US9065714B2 (en) * 2007-01-10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using cyclically shifted sequences
US8625652B2 (en) * 2007-01-11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free group hopp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20607B2 (en) * 2007-01-17 2013-08-27 Qualcomm Incorported Hopping structure for control channels
US8169956B2 (en) * 2007-01-26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Mapping uplink acknowledgement transmission based on downlink virtual resource blocks
JP4935993B2 (ja) 2007-02-05 2012-05-2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リファレンス信号生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8193414A (ja) * 2007-02-05 2008-08-21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上りリンクにおけるデータ送信方法、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CN101247171A (zh) * 2007-02-16 2008-08-2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使用约定资源发送控制信道的设备和方法
MX2009009245A (es) * 2007-03-01 2009-09-08 Ntt Docomo Inc Dispositivo de estacion de base y metodo de control de comunicacion.
JP2010521864A (ja) * 2007-03-12 2010-06-24 韓國電子通信研究院 パケット基盤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伝送のための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データ伝送方法
US8077596B2 (en) * 2007-03-12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049138B1 (ko) * 2007-03-19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확인신호 수신 방법
US8553594B2 (en) * 2007-03-20 2013-10-0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with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8451915B2 (en) * 2007-03-21 2013-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fficient uplink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233966A1 (en) * 2007-03-22 2008-09-25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Resource al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272179A (zh) * 2007-03-23 2008-09-24 Nxp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订户站和基站
KR101350134B1 (ko) * 2007-04-26 2014-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준신호 전송 방법
WO2008136615A1 (en) * 2007-05-02 200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084277B2 (en) * 2007-05-04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L ACK allocation
US7852959B2 (en) * 2007-05-30 2010-12-1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31688B2 (en) * 2007-06-11 2011-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rtitioning of frequency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and data signals in SC-FDMA communication systems
US8493873B2 (en) * 2007-06-18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of sounding signals in ACK and CQI channels
JP5024533B2 (ja) * 2007-06-19 2012-09-12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リファレンス信号系列の割当方法および装置
US8102809B2 (en) * 2007-06-19 2012-01-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ime-sharing of sounding resources
US20090028261A1 (en) * 2007-07-26 2009-01-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ignaling overhead during a dual codewor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US8149938B2 (en) 2007-08-07 2012-04-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ACK/NACK bits and their embedding in the CQI reference signal
US20090046645A1 (en) * 2007-08-13 2009-02-19 Pierre Bertrand Uplink Reference Signal Sequence Assignments in Wireless Networks
RU2010106971A (ru) * 2007-08-14 2011-09-20 НТТ ДоСоМо, Инк. (JP) Терминал пользователя,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сигнала
KR101405974B1 (ko) * 2007-08-16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코드워드를 전송하는 방법
JP5094975B2 (ja) * 2007-09-03 2012-12-12 三星電子株式会社 Sc−fdma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シーケンスホッピング
US8077693B2 (en) * 2007-09-19 2011-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ource remapping and regroup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23524B2 (en) * 2007-10-09 2011-09-20 Nokia Corporation Cooperative relay system enabling simultaneous broadcast-unicast operation with efficient automatic repeat request functionality
KR101447750B1 (ko) * 2008-01-04 201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WO2009098224A1 (en) * 2008-02-04 2009-08-13 Nokia Siemens Networks Oy Mapping a cyclic shift to a channel index for ack/nack resource allocation
US8155683B2 (en) * 2008-02-05 2012-04-10 Motorola Mobility, Inc.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specific scrambling
KR100943908B1 (ko) * 2008-02-19 201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Pdcch를 통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KR101349830B1 (ko) * 2008-03-05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간섭 측정 방법
CN102017506B (zh) * 2008-03-16 2014-06-0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混合自动重传请求(harq)的方法
US8374143B2 (en) * 2008-03-17 2013-02-1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up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06336B2 (en) * 2008-03-20 2013-12-10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iming synchronization in conjunction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US8477734B2 (en) * 2008-03-25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of ACK and CQI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36564B2 (en) * 2008-03-28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assignment of ACK resour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30948B2 (en) * 2008-03-30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Encoding and decoding of control infor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2017499B (zh) * 2008-04-25 2013-10-16 美国博通公司 用于为2×2多入多出无线系统中的最大似然检测预测信道质量指数值的方法和系统
KR101467512B1 (ko) * 2008-04-30 201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피투피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US20090276675A1 (en) * 2008-05-05 2009-11-05 Jussi Ojala Signaling of redundancy version and new data indication
US8626223B2 (en) * 2008-05-07 2014-01-07 At&T Mobility Ii Llc Femto cell signaling gating
RU2493656C2 (ru) * 2008-05-15 2013-09-2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Повышение надежности протокола гибрид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запроса на повторную передачу данных
JP4511611B2 (ja) 2008-05-29 2010-07-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リソース選択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JP5425901B2 (ja) * 2008-06-23 2014-02-26 ノキア シーメンス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確認応答バンドリングを実現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2292027A4 (en) * 2008-06-25 2014-08-06 Nokia Corp ACK / NACK INDEX FOR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US20100150081A1 (en) * 2008-06-30 2010-06-17 Nokia Corporation Physical upling control channel compression supporting ack/nack bundling
KR101565417B1 (ko) * 2008-08-08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019947A (ko) 2008-08-11 2010-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KR101603338B1 (ko) 2008-08-11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520708B1 (ko) * 2008-08-12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반송파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094910B2 (en) * 2008-09-09 2015-07-28 Htc Corporation Methods utilized in mobile device for handling situations when time alignment timer expires, and mobile device thereof
CN102177674B (zh) * 2008-10-08 2014-12-03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选择物理下行链路控制信道的控制信道元素的方法和设备
US8824347B2 (en) * 2008-10-17 2014-09-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improving battery life and HARQ re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KR101197389B1 (ko) * 2008-10-20 2012-11-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캐리어 집적
CN102187726B (zh) * 2008-10-20 2014-07-2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载波聚合
KR101648775B1 (ko) * 2008-10-30 2016-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 확인 응답 전송 및 전송 블록 재전송 방법
EP2352249B1 (en) * 2008-10-31 2019-03-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pro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051662A1 (en) * 2008-11-04 2010-05-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source indices
US8488535B2 (en) * 2008-11-04 2013-07-1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allocate communication resources for an aperiodic data packet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10056078A2 (ko) * 2008-11-14 2010-05-20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A2749373C (en) * 2009-01-12 2017-04-04 Battelle Memorial Institute Nested, hierarchical resource allocation schema for management and control of an electric power grid
KR101731333B1 (ko) * 2009-03-25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00329200A1 (en) * 2009-06-24 2010-12-30 Industrial Tehnolo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US8891480B2 (en) * 2009-07-01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8970A2 (en) 2010-02-18
US20110134747A1 (en) 2011-06-09
KR20100019934A (ko) 2010-02-19
US8681697B2 (en) 2014-03-25
WO2010018970A3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573B1 (ko) 제어정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
US99492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412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6989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119493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854800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STBC scheme
US84724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CN102812654B (zh) 在无线通信系统中使用重复编码传送信号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1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