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6546B1 -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 Google Patents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546B1
KR101606546B1 KR1020150112245A KR20150112245A KR101606546B1 KR 101606546 B1 KR101606546 B1 KR 101606546B1 KR 1020150112245 A KR1020150112245 A KR 1020150112245A KR 20150112245 A KR20150112245 A KR 20150112245A KR 101606546 B1 KR101606546 B1 KR 10160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ound
tuning
unit
digi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대현
한승민
신철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Priority to KR1020150112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5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54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청 주파수 내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정보가 사전에 파악되어 있는 흡음 유니트를 내장하고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으로부터 조율용 음원을 입력받아서 전자기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마이크 송신기와;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에서 출력된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다시 조율용 음원으로 복조하고, 조율용 음원 발생기를 구비한 내부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통해 발생시킨 조율용 음원의 주파수별 전압과 수신된 조율용 음원의 주파수별 전압의 오차를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별 전압 오차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마이크 수신기와; 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은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를 저장하고, 조율사의 요청에 의거 전송하는 서버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 온 주파수별 전압 오차 정보를 조율사가 해석 가능한 그래프로 표시해 주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와;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조율사가 해석한 주파수별 전압 오차
정보를 기준으로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의 음향 주파수 특성을 수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제어를 제공함은 물론, 각종 동작상태 및 제어 가능한 변수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며,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어에 따라 연동되는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구비한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한정된 인적자원인 음향 시스템 조율사를 효율적으로 운용 가능하고, 공연 등 음향 시스템의 긴급한 고장 상황에 실시간 대처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sound tuning system using a wireless microphone and a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sound tuning system using a wireless microphone, in which a sound absorbing unit in which voltage- A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output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demodul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output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into a tuning sound source and outputting a frequency-dependent voltage of the tuning sound source generated through an internal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for analyzing an error of a frequency-dependent voltage of a sound source and transmitting analyzed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information to a server through a network; A server for storing voltage-to-voltage error information of each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and transmitting the voltage err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une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displaying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from the receiver in a graph capable of being interpreted by a tuner; A voltage-dependent voltage error analyzed by the tuner through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twork control for modifying acoustic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sound system to be tun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and provides various operating states and controllable variables to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a coordination target acoustic system having a management syste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operate the acoustic system tuner, which is a limited human resource, and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acoustic system such as the performance in real time.

Description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 및 그 방법{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음 유니트(unit) 특성 보완을 위한 직렬 연결된 다단계의 디지털 음향 필터(filter)와,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향 레벨 측정기(detector) 또는 음향 스펙트럼 분석기(audio spectrum analyzer), 음향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주파수 변경 가능한 사인파 발진기(sinewave generator) 또는 핑크 노이즈(pink noise) 발진기 및, 네트워크 원격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통신부를 구비한 무선 마이크 세트를 조율용 마이크로 사용하며, 상기 무선 마이크 세트를 이용하여 측정된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 특성(즉,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을 기준으로 원격제어 가능한 디지털 음향신호 처리장치(digital audio signal processor)와 원격제어 가능한 디지털 음향 증폭기(digital power amplifier)를 통하여, 원격지에서 사용자의 음향 시스템을 점검하거나, 조율하는 등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발명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using a wireless micro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sound tuning system using a wireless microphone and a multi-stage digital acoustic filter for compensating a sound absorption unit characteristic, a frequency changeable sinewave or pink noise oscillator for measuring acoustic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a network for remote control of the network, A wireless microphone set having a communication unit is used as a tuning microcomputer and a digital sound controllable by a remote control based on a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tuning target sound system measured using the wireless microphone set Digital audio signal processor and remotely controll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which can provide a management service such as checking or tuning a user's sound system at a remote place through a digital power amplifier.

일반적으로 음향 시스템이라 함은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음원 재생기 또는 현장음을 수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등의 음원(sound origin)과, 이러한 여러 형태의 음원을 조합하고, 조절하는 오디오 믹서(audio mixer), 오디오 믹서로부터 최종 출력된 음원을 스피커와 증폭기의 특성에 맞게 사전 조율하는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speaker management system),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amplifier) 및, 증폭된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는 스피커(speaker)로 구성된다.Generally, an acoustic system refers to a sound source such as a sound source reproducer capable of reproducing a sound source or a microphone for collecting a sound field and converting the sound into an electric signal, and an audio mixer (audio a speaker management system for pre-tuning the final output sound source from the audio mixe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and the amplifier,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And a speaker for switching to an audio signal.

이때 시스템의 구성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의 질에 따라 축소되거나, 확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may be reduced or enlarge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sound desired by the user.

음향 시스템의 복잡도에 따라서, 음향 시스템의 조율은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예로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스피커를 설치하는 부분만 보더라도, 공연장의 경우 무대와 객석의 간격, 전체 공간의 크기, 객석의 구조, 높이 등 수 많은 변수들을 감안하여, 스피커의 위치, 높이, 설치 방법 등을 결정한다.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acoustic system, the tuning of the acoustic system can be perform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speaker,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the space betwe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Considering the many variables such as the structure of the audience, height, etc., the position, height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peaker are determined.

한 번 결정되어 설치된 스피커나 기타 장비를 이후에 다시 변경한다는 것은 상당한 인력과 장비가 소요되는 일이므로 치명적인 문제가 아닌 한,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여러 가지 효과기(Effector)를 사용하여 문제점들을 보완한다.
이때, 사용되는 효과기는 대부분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내장되는데, 여기서 상기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이란, 기 알려진 바와 같이 음원장비 또는 오디오 믹서의 출력을 파워앰프를 통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출력을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변환하는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스피커 내부 코일의 기계적인 구조와 스피커 통의 공진구조 등에 의하여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주파수 왜곡 현상을 선보정하고, 또한 스피커로부터 청중 간의 물리적 거리 및 스피커가 설치된 공간상의 소리의 전파 특성 등에 의한 청중이 실제로 듣는 소리의 왜곡을 방지하거나, 원하는 음장 효과를 내기위한 선보정장치이다.
       또한, 스피커별로 재생 가능한 음역이 구분되어 있는 전문가용 스피커의 경우 각 스피커별로 해당 스피커의 재생 가능한 음역대 만을 필터링하여 내보내 주는 크로스오버 필터가 반드시 내장되어 있다.
별도의 장비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파워앰프의 입력부에 통합되어 내장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오디오 믹서와 파워앰프의 중간에 사용되며, 내부적으로 이퀄라이져, 딜레이, 크로스오버 필터, 컴프레서, 리미터, 오디오 믹서, 볼륨조절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Changing the speaker and other equipment once it has been determined once again requires considerable manpower and equipment, so it uses various effectors based on the installed condition to fix the problems unless it is a fatal problem.
In this case, most of the effectors to be used are built in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Here,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a sound source device or an audio mixer through a power amplifier and converting the amplified output to sound through a speaker The frequency distortion caused by the mechanical structure of the inner coil of the speaker and the resonance structure of the speaker bar are introduced and the physical distances between the audiences from the speakers and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s a line correcting device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the sound actually heard by the audience or giving a desired sound field effect.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rofessional speaker in which the reproducible range of the speaker is divided, a crossover filter for filtering only the reproducible band of the corresponding speaker is necessarily built in.
Most of them are composed of separate equipment, and they are sometimes integrated into the input section of the power amplifier.
Such a speaker management system is generally used between an audio mixer and a power amplifier, and internally includes an equalizer, a delay, a crossover filter, a compressor, a limiter, an audio mixer, and a volume controller.

삭제delete

한편, 오디오 믹서에도 효과기가 내장되지만, 오디오 믹서의 효과기는 실 공연시나 녹음 시 등 실시간에서의 음향효과를 위해서 사용되며, 사용자 임의로 조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an effect device is incorporated in the audio mixer. However, the effect device of the audio mixer is used for real-time sound effects such as real performance and recording, and is mostly operated by the user.

그러므로 설치할 때의 음향 조율을 위한 효과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내장되며, 이를 주로 사용한다.Therefore, the effector for sound tuning during installation is usually built in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and is mainly used.

음향 조율을 위한 여러가지 특성 중 청취자에게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특성은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과 응답시간(Response time)이다.Amo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for the acoustic tuning, the frequency response and the response time are the most directly influential characteristics to the listener.

여기서 응답시간의 경우 스피커가 여러 통 설치되어 있고, 객석 상의 일점으로부터 각 스피커 간의 거리가 상이할 경우 객석 상의 일점에서 듣는 소리에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상의 강제 지연(Delay) 효과기를 이용하여 교정이 가능하다. 즉 객석으로부터 가까이 있는 스피커로 내보내는 음원에 강제로 지연 효과를 삽입하여, 객석의 청취자로 하여금 시간차를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교정방식이다.In this case, when the response time is set to several loudspeakers and the distances between the loudspeakers are different from one point on the audience, a time difference may occur in the sound heard at one point in the audience. This is caused by a delay delay effect on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It is possible to calibrate by using. In other words, it is a calibration method that inserting a delay effect to a sound source which is sent to a nearby speaker from the audience so that a listener of the audience does not feel the time difference.

이는 특별한 측정장비 없이도, 인간의 귀로써 어느 정도까지는 측정할 수 있고, 교정의 완성 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 It can be measured to some extent with the human ear, without the need for special measuring equipment, and the completion of the calibration can be measured.

주파수 응답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필요한 기반지식으로서, 재생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류되는 스피커의 종류를 보자면, 7㎑ ~ 20㎑대역 재생이 가능한 슈퍼 트위터(Super Tweeter), 3㎑ ~ 6.9㎑대역 재생이 가능한 트위터(Tweeter), 500㎑ ~ 2.9㎑대역 재생이 가능한 스코커(Squawker), 300㎑ ~ 499㎑대역 재생이 가능한 미드 우퍼(Mid Woofer), 100㎑ ~ 299㎑대역 재생이 가능한 우퍼(Woofer), 20㎑ ~ 99㎑대역 재생이 가능한 서브 우퍼(Sub Woofer)로 상세히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실내 음악감상용 스피커로서 2-way Speaker의 경우 트위터와 우퍼로서 풀레인지(Full-range) 스피커를 구성하고, 3-way Speaker의 경우 트위터, 스코커, 우퍼로서 풀레인지 스피커를 구성하고, 4-way Speaker의 경우 중저음 보강을 위해 별도의 서브우퍼 스피커를 추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As a basic knowledge required before describing the frequency response, considering the types of speaker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producible frequency band, there is a super tweeter (super tweeter) capable of reproducing in the 7 kHz to 20 kHz band, a band of 3 kHz to 6.9 kHz A tweeter, a squawker capable of reproducing a band of 500 kHz to 2.9 kHz, a mid woofer capable of reproducing a band of 300 kHz to 499 kHz, a woofer capable of reproducing a band of 100 kHz to 299 kHz, And a subwoofer capable of reproducing a band of 20 kHz to 99 kHz. In general, a speaker for indoor music listening is a speaker for a 2-way speaker and a full-range speaker for a tweeter and a woofer, For a 3-way speaker, a full-range speaker is configured as a tweeter, a scoker and a woofer. In case of a 4-way speaker, a separate subwoofer speaker is added for bass reinforcement.

각 대역의 재생을 위해서는 별도의 파워 앰프가 소요되기 때문에, 파워 앰프의 수량에 따른 비용 등의 문제와 공간 배치 문제 등으로 인하여, 대형 공연장 등의 경우 라인 어레이(Line-array)라고 불리는 적층형(Stacked) 설치가 가능한 2-way 풀레인지 스피커들과 서브 우퍼를 연결하여 구조물에 매달아 설치하는 플라잉(Flying) 기법이 자주 사용된다.In order to reproduce each band, a separate power amplifier is required. Therefore, due to problems such as cost due to the number of power amplifiers and a problem of space allocation, in the case of a large theater, a stacked ) Flying is often used to install two-way full-range speakers that can be installed and a subwoofer attached to the structure to hang it.

이럴 경우 음원은 2-way 풀레인지 스피커용 음원과 서브 우퍼용 음원으로 구분되어 파워 앰프에서 증폭되어야 하며, 이렇게 하나의 음원을 스피커의 주파수 대역에 맞추어 나누어주는 필터를 크로스오버 필터라고 부른다.In this case, the sound source should be amplified by a power amplifier divided into a sound source for a 2-way full-range speaker and a sound source for a sub-woofer. A filter that divides one sound source into the frequency bands of the speakers is called a crossover filter.

이러한 크로스오버 필터 또한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포함되어 제공되며, 세부적인 필터 셋팅을 위한 여러가지 제어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크로스오버 필터 외에도, 앞서 설명한 강제 지연, 일정 주파수 대역의 증폭 또는 감쇄를 위한 이퀄라이져, 급격하게 발생된 큰 소리를 방지하는 리미터, 컴프레서 등의 효과기 등이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포함된다. 음향 장비의 설치자는 객석에서 청취자가 가장 원음과 동일하거나 더 듣기에 좋은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조절하여 음향을 조율한다.These crossover filters are also included in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and you can set various control parameters for detailed filter settings. In addition to the crossover filter,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includes the above-described forced delay, an equalizer for amplifying or attenuating a certain frequency band, a limiter for preventing a sudden occurrence of a loud sound, and an effector such as a compressor. The installer of the sound equipment tunes the sound by adjusting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so that the listener can hear the sound that is the same or better than the original sound in the audience.

앞서 설명한 대로 응답시간은 인간의 귀로서 조율이 가능하지만, 주파수 응답 특성의 경우 귀를 통해 듣는 것만으로는 세부적인 조율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측정 장비를 필요로 한다.
여기서 주파수 응답 특성(frequency-response characteristic, 周波數應答特性; 전자용어사전, 1995. 3. 1., 성안당)이라 함은 어떤 정현파를 입력으로 했을 때의 출력에 있어서의 이득 및 위상 벗어남의 주파수 의존성을 말하는 것(즉, 진폭이 일정한 다양한 주파수의 입력 신호가 어떤 시스템에 들어왔을 때, 어떤 응답을 내는지 측정하는 것)으로, 선형 시스템에서의 정현파 입력과 그에 의한 정상 상태에서의 정현파 출력과의 사이의 주파수에 의존하는 이득 및 위상의 차의 관계를 말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sponse time can be adjusted as a human ear, but in the case of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it is impossible to fine-tune only by listening through the ear, so measurement equipment is required.
Here, the term "frequency-response characteristic" refers to the frequency dependence of the gain and out-of-phase of the output when a sinusoidal wave is input, (Ie, measuring what response an input signal with a constant amplitude of a certain frequency enters when entering a certain system), and between the sinusoidal input in the linear system and the sinusoidal output in steady state thereb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ain and the phase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 signal.

이때, 측정 장비는 주파수 응답 특성이 전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매우 균일하게 제작된 측정용 마이크와, 사인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핑크 노이즈 등의 조율용 음원 발진기를 내장하고, 수신된 음향의 스펙트럼 분석이 가능한 음향 측정용 계측기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measuring instrument includes a measuring microphone with a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that is made very uniformly in the entire audio frequency band and a tone generator oscillator for tuning such as sine wave, white noise and pink noise, It consists of analyzable instruments or software for sound measurement.

측정 방법은 1차 조율이 완료된 음향 시스템을 대상으로 객석 중 관객의 가장 일반적인 위치를 선정하여 그 위치에 측정용 마이크를 설치하고, 그 마이크의 출력을 측정용 계측기의 입력에 연결하며, 측정용 계측기의 발진기 출력을 음원으로서 음향 시스템에 입력한 다음, 전 대역에 걸친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The measurement method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general position of the audiences among audiences is selected for the first tuned acoustic system, a measurement microphone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the output of the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measuring instrument, Is input to the sound system as a sound source, and then the frequency response over the entire frequency band is measured.

또, 측정된 주파수 응답을 해석하고, 인간이 듣기에 더 좋은 형태의 음향으로 조율해 나가는 과정은 특정한 목표치가 정해져 있기보다는 각 현장의 공간적인 구조, 사용자의 특별한 요청사항, 주로 재생되는 음원의 형태 등에 매우 주관적으로 좌우되며, 조율사(tuning engineer)의 개인적인 능력과 상관 관계가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measured frequency response and coordinating with the sound of a better form to be heard by the human being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target value, but rather the spatial structure of each site, the special request of the user, , And is correlated with the personal abilities of the tuning engineer.

즉, 음향 조율에 대한 특별한 교육이나, 경험을 갖지 못한 일반인의 경우, 측정용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고 해도, 주파수 응답을 해석하여 더 좋은 음향 상태로 만드는 데에는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한다.In other words, even if there is a special education about sound coordination, or a general person who does not have experience, it is very time-consuming to analyze the frequency response and make a better acoustic state, do.

그렇기 때문에, 최초 설치시에 전문 조율사가 조율해 놓은 음향 시스템이 사용자의 부주의, 장비의 고장 등 내,외부적 요인으로 인하여 변경되었을 경우, 이를 바로잡기 위하여 다시금 전문 조율사가 방문하여 조율해야 하는 상황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Therefore, if the sound system tuned by the professional tuner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is changed due to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such as user's carelessness, malfunction of equipment, etc., the professional tuner will have to visit and coordinate again to correct it It occurs very frequentl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21368호(2015년 05월 12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21368 (May 12, 20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82756호(2014년 07월 02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82756 (Jul. 02, 2014)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음향 시스템의 점검과 조율을 위하여 전문 조율사가 방문하지 않고, 원격지에서 점검 및 조율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sound tuning and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microphone System and method theref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 조율사가 원격지에서 음향 시스템을 점검 및 조율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several problems must be solved in order for a professional tuner to check and tune an acoustic system at a remote site.

그 중 첫 번째 과제는, 조율을 하는데 필요한 조율용 마이크 및 계측기가 현장에 있어야 하지만, 고가인 조율용 마이크와 계측기를 사용자가 구매하여 구비할 수는 없으며, 매점검시마다 현장에 보내야 한다면, 조율사가 현장 방문을 하는 것과 동일한 수준의 비용이 소모되므로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장비를 응용하여, 조율용으로 사용 가능하여야 한다.The first task is to have the tuner mic and instrument necessary for tuning in the field, but if the tuner microphone and instrument can not be purchased by the user and should be sent to the site on every inspection, Since the same level of cost as the site visit is consumed, it should be possible to use the equipments installed on site and use it for tuning.

두번째 과제는, 조율용 마이크 및 계측기의 계측결과를 원격지에서 수신하여, 조율사가 해석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해 주어야 한다.The second task is to receive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tuning microphone and the instrument remotely and express it in a form that can be interpreted by the tuner.

세번째 과제는, 조율사가 원격지에서 해당 음향 시스템의 음향 특성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The third challenge is that the tuner should be able to remotely control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acoustics system.

상기에서 제시한 과제 중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수단이 제시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problem described above, various means can be suggested.

조율용 마이크로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일반 다이나믹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의 주파수 특성인 저주파가 낮고 고주파가 높은 형태의 주파수 응답을 얻게 된다.When tuning microphones and general dynamic microphones used by users are used, low frequency low frequency and high frequency high frequency response, which are commonly used microphone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물론, 이 결과를 보고 해당 다이나믹 마이크 주파수 응답의 표준치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유추하여 점검이 가능하긴 하지만, 원격지에서 조율사가 수많은 종류의 다이나믹 마이크의 주파수 응답의 표준치를 확보하기는 불가능에 가깝다.Of course, this result is relatively inferior to the standard value of the corresponding dynamic microphone frequency response.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for the tuner to obtain the standard value of the frequency response of many types of dynamic microphones at the remote site.

또한, 다이나믹 마이크의 주파수 응답을 얻기 위한 계측기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콘덴서 마이크,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마이크 등 여러 형태의 유선 마이크에 모두 해당되는 문제점이다.In addition, a meter for obtaining a frequency response of a dynamic microphone is separately required. This is a problem that is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wired microphones such as a condenser microphone, a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microphone, and the lik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및 관리 시스템은, 가청 주파수 내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정보가 사전에 파악되어 있는 흡음 유니트를 내장하고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으로부터 조율용 음원을 입력받아서 전자기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마이크 송신기와;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에서 출력된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다시 조율용 음원으로 복조하고, 조율용 음원 발생기를 구비한 내부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통해 발생시킨 조율용 음원의 주파수별 전압과 수신된 조율용 음원의 주파수별 전압의 오차를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별 전압 오차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마이크 수신기와; 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은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를 저장하고, 조율사의 요청에 의거 전송하는 서버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 온 주파수별 전압 오차 정보를 조율사가 해석 가능한 그래프로 표시해 주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와;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조율사가 해석한 주파수별 전압 오차 정보를 기준으로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의 음향 주파수 특성을 수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제어를 제공함은 물론, 각종 동작상태 및 제어 가능한 변수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며,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어에 따라 연동되는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구비한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remote sound tuning and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absorbing unit in which voltage error information of sound pressure frequency versus sound pressure frequency is pre- A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omagnetic wave and output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And 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output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demodul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output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into a tuning sound source and outputting a frequency-dependent voltage of the tuning sound source generated through an internal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for analyzing an error of a frequency-dependent voltage of a sound source and transmitting analyzed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information to a server through a network; A server for storing voltage-to-voltage error information of each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and transmitting the voltage err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une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displaying the frequency error information of each frequency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from the receiver in a graph interpretable by the tun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etwork control for modifying the acoustic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system to be tuned based on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information analyzed by the tuner through the graphic user interface, and also provides various operation states and controllable variables to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a speaker management system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of the graphic user interface.

이때,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는 일반적인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무선 마이크 송신기로서, 흡음 감도가 매우 높은 흡음 유니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흡음 유니트의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가 가청 주파수 전대역에 걸쳐 최고 및 최저 응답이 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기의 DSP 내에 구현한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가 보정할 수 있는 최대값 이내에 위치하는 흡음 유니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is a general digital or analog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using a sound-absorbing unit having a very high sound-absorbing sensitivity, and the voltage-to-sound-voltage error information of each sound- Wherein a sound absorption unit in which a response is located within a maximum value that can be corrected by a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implemented in the DSP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is used.

또한, 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기는,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에서 출력된 전자기파를 입력받아서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RF 수신 및 동조부와;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RF 수신 및 동조부에서 선택된 전자기파 주파수 대역을 다시 조율용 음원으로 전환하는 검파 및 복조부와; 상기 검파 및 복조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의 조율용 음원 신호를 디지털 음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부와;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ADC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에 생산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에 사용된 흡음 유니트 주파수별 전압 오차 특성과 이상적인 조율용 마이크 주파수별 전압 오차 특성간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디지털 필터들을 적용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음향을 분석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상기 DSP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DAC부와; 상기 DAC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로 증폭하고 밸런싱 처리하여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 내 오디오 믹서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검파 및 복조부에서의 채널선택을 위한 PLL(Phase Locked Loop; 미도시)을 제어함은 물론, 상기 DSP부 내부에서의 로직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 DSP부에서 수집된 음향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서버로부터 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DSP부를 제어하며, 또한 표시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무선 마이크 수신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에게 현재 무선 마이크 수신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명령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n RF receiving and tuning unit for receiving an electromagnetic wave output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selecting a desired channel; A detection and demodulation unit for receiving the RF reception and tuning unit and switching the selected electromagnetic wave frequency band to the tuning sound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 ADC unit for converting the analog sound source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ion and demodulation unit into digital sound source data;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error characteristic of the sound-absorbing unit frequency used i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the voltage error characteristic of each microphone frequency for the ideal tuning are stored in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converted by the ADC unit, A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applying and correcting the digital filters for analyzing the corrected sounds, and transmitting the analyzed sounds through a network; A DAC unit for converting a digital audio signal input from the DSP into an analog audio signal; An audio output unit for amplifying and balancing the analog audio signal input from the DAC unit to a level desired by the user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analog audio signal to an audio mixer in the tuning target sound system; (PLL) (not shown) for channel selection in the detection and demodulation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gic module in the DSP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gic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SP uni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urrent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to the user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urrent state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to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voltage-dependent sound pressure-dependent voltage error information to the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control unit.

또, 상기 DSP는 상기 ADC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흡음유니트 보정용 필터부로 전달하거나 또는 제 2디지털 논리 스위치로 바이패스시켜 주는 제1디지털 논리 스위치와; 상기 제1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에 부착된 흡음 유니트의 가청 주파수내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에 따라 보정하는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와; 상기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제1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통해 직접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리미터로 전달하는 제2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미리 지정된 음량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제거하거나 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여, 지정된 음량 이하로 조절하는 리미터와; 상기 리미터를 통해 전달받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로 바이패스시켜 주거나, 또는 디지털 음향 주파수 분석기 내 F.F.T(Fast Fourier Transform) 모듈 또는 V.B.P.F(Variable Frequency Band Pass Filter) 및 검출기 모듈로 전달하는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와; 상기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Fast Fourier Transform 수식에 따라서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와 네트워크통신부를 통해 조율사에게 전송하는 F.F.T 모듈 또는 상기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신호내에 포함되어 있는 가변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여 필터링해 주는 V.B.P.F 및 검출기로 구성된 디지털 음향 주파수 분석기와; 조율에 필요한 잡음을 전음역대에 동일한 레벨로 발생시켜 주는 핑크 노이즈 발생기(Pink Noise Generator) 또는, 정해진 주파수를 갖는 사인파를 발생시키는 사인파 발진기로 구성된 조율용 음원 발생기와; 상기 조율용 음원 발생기의 구성요소 중 상기 핑크 노이즈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핑크 노이즈 신호 또는 사인파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사인파 신호 또는 상기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에서 바이패스되어 오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한 신호를 저항기로 전달해 주는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와; 상기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핑크 노이즈 신호나 사인파 신호 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제한하여 DAC부로 전달해 주는 저항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SP includes a first digital logic switch for transmitting a digital audio signal input from the ADC unit to a filter unit for correcting a sound absorption unit or bypassing the digital audio signal to a second digital logic switch; A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ng filter for correcting a digital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digital logic switch according to frequency-to-frequency sound pressure-dependent information in an audible frequency of a sound-absorbing unit attach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 sound signal output through the sound 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or a digital audio signal directly inputted through the first digital logic switch is transmitted to a limiter. Or adjusts the volume of the digital audio signal to a specified volume or less; A digital FFT (Fast Fourier Transform) module or a variable frequency band pass filter (VBPF) in a digital sound frequency analyzer and a detecto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igital audio signal to a detector module 3 digital logic switch; An FFT module for calculating a voltage error for each frequency of a digital audio signal input according to a Fast Fourier Transform equation when a digital audio signal is input through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a tuner through a control unit and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A digital acoustic frequency analyzer comprising a VBPF and a detector for detecting and filtering a variable frequency region included in the digital audio signal when the digital audio signal is input through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A tuning sound generator including a Pink Noi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noise level required for tuning at the same level in the entire band or a sine wave oscillator for generating a sine wave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A pink noise signal output from the pink noise generator or a sine wave signal output from a sine wave oscillator or a digital audio signal bypassed from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among components of the tuning sound source generator is transmitted to a resistor A fourth digital logic switch; And a resistor for limiting a level of a pink noise signal, a sine wave signal, or a digital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h digital logic switch to the DAC unit.

또한, 상기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는, 복수 개의 2차 IIR(Infinite Impulse Response)필터를 직렬로 연결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ound 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cond IIR (In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s are connected in series.

또, 상기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는, 특정 주파수의 대역을 높이거나, 낮추는 대역 필터와 특정 주파수 이상 또는 이하의 주파수의 대역을 전체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필터로 사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단위 필터를 직렬로 연결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und 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may include a band filter for raising or lowering a band of a specific frequency and a plurality of unit filters which can be used as a filter for raising or lowering a band of frequencies above or below a specific frequency as a whole .

또한,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의 흡음 유니트의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에 따라, 그 특성을 이상적인 조율용 마이크와 동일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상기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의 제어 변수를 미리 산정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parameter of the sound 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is previously calculated and stored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absorbing unit can be corre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deal tuning microphone in accordance with the sound pressure unit voltage difference information of the sound absorbing unit of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do.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및 관리방법은, 무선 마이크 송신기와 무선 마이크 수신기, 서버, 퍼스널 컴퓨터에 구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및 음향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방법에 있어서, 조율사가 조율 시작 키를 조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조율 시작 키가 "온"되었으면 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기 내 제어부에서 DSP부에 구비된 제3 및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각각 디지털 음향 주파수 분석기 내 F,F.T 또는 V.B.P.F 및 검출기 측과 조율용 음원 발생기 내 핑크 노이즈 발생기 또는 사인파 발진기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는 단계와;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에 미리 저장된 조율용 제어변수에 따라 계산된 계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는 단계와; 조율사가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F.F.T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고,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는 핑크 노이즈 발생기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한 경우이면, 핑크 노이즈를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의 입력부로 출력하는 단계와;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을 거쳐 핑크 노이즈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와; F.F.T 모듈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지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F.F.T 모듈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Fast Fourier Transform 수식에 따라서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네트워크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응답 데이터를 저장해 놓은 서버가 조율사의 요청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의 요청에 전송되어 오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음향 정보를 주파수별 응답 곡선으로 변환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구비된 GUI에 표시하고 조율사가 GUI에 표시되고 있는 분석된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판독하는 단계와; 조율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조율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 네트워크통신부를 통해 판독된 주파수 응답에 따라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초기 시작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조율이 완료된 상태이면 상기 제1 내지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일반 사용 모드인 바이패스모드로 전환하고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mote sound tuning and management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including a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a serve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provided in a personal computer, A method for remote sound tuning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tuner manipulates a tuning start key; When the tuning start key is turned "on ", the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sets the movable terminals of the third and fourth digital logic switches provided in the DSP unit to F, FT or VBPF in the digital acoustic frequency analyzer, Switching to a pink noise generator in a generator or a fixed terminal connected to a sine wave oscillator side respectively; Inputting a coefficient calculated according to a control variable for tuning stored in advance in a sound-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Switching the movable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logic switches to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side; If the tuner switches the movable terminal of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to the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FFT module and the movable terminal of the fourth digital logic switch is switched to the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pink noise generator, To an input of a tuning target acoustic system; Amplifying the pink noise through the tuning target sound system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pink noise; Continuing to determine whether a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in the F. F.TM module; If the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in the F.F.TM module, calculating a voltage error for each frequency of the input digital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Fast Fourier Transform equation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When the server storing the frequency response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quest of the personal computer at the request of the tuner, the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s converted into a frequency response curve to be displayed on a GUI provided in the personal computer, Reading out the analyzed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indicated in the frequency-domain signal; Determining whether the tuning has been completed;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to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requency response rea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and returning to the initial start step when the tuning is not completed; And switching the first to fourth digital logic switches to a bypass mode, which is a normal use mode, when the tuning is completed.

또한, 제1 및 제2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는 단계를 실시한 후, 조율사가 DSP 내의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V.B.P.F 및 검출기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고,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사인파 발진기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한 경우이면,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를 최저 주파수로 확정하는 단계와; V.B.P.F 및 검출기를 측정 주파수에 맞춰주는 단계와; 측정 주파수의 사인파 출력 및 응답시간에 대한 측정을 시작하는 단계와; V.B.P.F 및 검출기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지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V.B.P.F 및 검출기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레벨 측정 및 응답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하고자 하는 분해능에 맞추어 측정 주파수를 증분하는 단계와; 증분된 주파수가 정해진 최고 주파수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크지 않으면 V.B.P.F 및 검출기를 측정 주파수에 맞춰주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증분된 주파수가 정해진 최고 주파수보다 크면 상기 주파수 응답 데이터를 저장해 놓은 서버가 조율사의 요청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의 요청에 전송되어 오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음향 정보를 주파수별 응답 곡선으로 변환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구비된 GUI에 표시하고 조율사가 GUI에 표시되고 있는 분석된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판독하는 단계로 돌입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the step of switching the movable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logic switches to the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side, the tuner connects the movable terminal of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in the DSP to the VBPF and the detector Determining a frequency to be measured as a lowest frequency if the movable terminal of the fourth digital logic switch is switched to a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sine wave oscillator; Matching the V.B.P.F and the detector to the measurement frequency; Starting a measurement of the sinusoidal output and response time of the measured frequency; Continuing to determine whether a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at V.B.P.F and the detector; Measuring a signal level measurement and response time when a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at V.B.P.F and the detector; Incrementing the measureme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resolution to be measured; Determining whether the incremented frequency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ximum frequency and returning to adjusting the V.B.P.F and the detector to the measurement frequency if not greater; If the incremented frequency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maximum frequency, when the server storing the frequency response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quest of the personal computer at the request of the tuner, the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s converted into a frequency response curve, And a step of entering into a step of displaying on the GUI and reading the analyzed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of the tuner displayed on the GUI.

이때,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의 응답시간(response time)과 주파수별 위상 측정은, 상기 핑크 노이즈 발생기 또는 사인파 발진기의 발진시간과 해당 측정 음원의 수신시간과 디지털 음향 시스템의 지체시간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sponse time and the phase-by-frequency measurement of the sound system to be tuned are performed by combining the oscillation time of the pink noise generator or the sine wave oscillator, the reception time of the measured sound source and the delay time of the digital sound system .

또한, 조율시작 초기 조율 시작 키가 "오프" 상태이면 무선 마이크의 사용자가 음색변경을 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음색변경도 원하지 않는 상태이면 제1 및 제2 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바이패스로 전환하는 단계와; 음색변경을 원하는 상태이면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에 음색변경용 제어변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 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wireless microphone wants to change the timbre if the tuning start initial tuning start key is in the "off" state; Switching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logic switches to bypass if no tone change is desired; Inputting a control variable for changing a tone color to a sound-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when the tone color is desired to be changed; And switching the movable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logic switches to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side and terminating the oper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wireless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한정된 인적 자원인 조율사의 현장 방문 없이도, 원격지에서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 조율이 가능해진다. 또한 현장별로 조율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해 주는 서비스가 가능하며, 즉각적인 복구가 가능하여, 공연 임박시의 문제점에 긴급히 대처가 가능하다.The tuning target sound system can be tuned remotely, without having to visit the tuner, which is a limited human resour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ore and manage the tuning data for each site, and immediate restoration is possibl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problems imminently when the performance is imminent.

또한, 별도의 조율용 마이크나 계측 시스템 없이 조율이 가능하므로, 상시 점검이 필요한 현장에서 갖춰야 할 조율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시스템 단가가 줄어든다.In addition, since tuning can b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tuning microphone or measurement system, the configuration of the tuning system to be provided at a site requiring constant maintenance is simplified, and the system cost is reduced.

평상시 사용할 때에는 본 기능을 응용하여, 무선 마이크의 음색 제어 및 수신 음향 분석 또한 가능하여, 무선 마이크에 추가되는 부품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normal use, this function can be applied to the tone control of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analysis of the reception sound, so that the component resources add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can be effectively us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및 관리 시스템 중 무선 마이크 수신기의 내부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2 중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DSP부) 내의 구체적인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명을 돕기 위한 이상적인 조율용 마이크 흡음 유니트의 주파수 응답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설명을 돕기 위한 일반적으로 인간이 듣기 좋다고 느끼는 목소리용 마이크의 흡음 유니트의 주파수 응답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마이크 흡음 유니트를 조율용 마이크로 보정하기 위한 필터의 셋팅 예를 나타낸 그래프.
도 7 및 7b는 본 발명 중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remote sound tuning system using a wireless micropho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in a remote sound tuning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pecific block diagram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DSP unit) in FIG.
4 is a graph of the frequency response of an ideal tuning microphone sound-absorbing unit to assist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of the frequency response of a sound-absorbing unit of a microphone for a voice generally felt by a human to help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of a filter for micro tuning for tuning a general microphone sound absorb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7B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remote sound tuning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using a wireless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remote sound tuning system using a wireless micropho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은 무선 마이크 송신기(100)와,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 서버(130), GUI(Graphic User Interface)부(140)가 구비된 PC(Personal Computer; 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emote sound tuning system using the wireless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0, a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a server 130, and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nd a personal computer (PC) 150.

한편, 조율하고자 하는 음향 시스템(170)은 일반적으로 오디오 믹서(171)와,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172), 증폭기(173), 스피커(174)로 구성된다. The sound system 170 to be tuned is generally composed of an audio mixer 171, a speaker management system 172, an amplifier 173, and a speaker 174.

또, 음원을 발생시켜 주는 음원장비(160)는 현장 상황에 따라 실시간적으로 수정되기 때문에 조율 대상에서는 제외된다.In addition, the sound source device 160 for generating a sound source is excluded from the coordination target because it is modifi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ite.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무선 마이크 송신기(100)는 공연자에 의해 사용되며, 음원장비(160)의 하나로서 동작한다.In general use,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0 is used by a performer and acts as one of the source equipment 160.

또한, 원격 조율의 준비작업으로서, 무선 마이크 송신기(100)는 객석의 중앙 등 조율의 기준점이 되는 객석의 위치에 설치되며, 스피커(174)가 설치되어 있는 방향을 향하여 지향된다.Further, as a preparatory work for remote tuning,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of a seat that serves as a reference point for central adjustment of the seat, and is directed toward a direction in which the speaker 174 is installed.

사용자는 객석에서 조율하고자 하는 기준점을 정하고, 무선 마이크 송신기(100)의 방향을 정하여 설치하며, 오디오 믹서(171)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 입력 포트의 볼륨을 평상시 사용하던 수준으로 조정하고, 측정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나머지 입력 포트를 무음으로 전환한다. The user sets the reference point to be tuned in the audience, sets the direction of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0, adjusts the volume of the input port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connected to the audio mixer 171 to a level that is normally used And switches the remaining input ports to silence to prevent measurement errors.

이후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를 원격 조율 모드로 전환한 후 원격지의 조율사에게 통보한다.After switching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to the remote tuning mode, it notifies the remote tuner.

한편, 원격 조율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mote tuning proceeds as follows.

먼저, 원격지의 조율사가 조작하고 있는 PC(150)의 GUI부(140) 상에서 측정 명령이 서버(130)를 통하여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에 전달된다.First, a measurement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through the server 130 on the GUI unit 140 of the PC 150 operated by the remote site's tuner.

측정 명령을 수신한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에서 조율용 음원을 출력하게 되면,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170) 내에서는 상호 연결된 순서대로 오디오 믹서(171),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172)을 거쳐, 증폭기(173)를 통해 정해진 레벨로 증폭된 음원이 스피커(174)로 출력된다.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receiving the measurement command outputs the tuning sound source through the audio mixer 171 and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172 in the mutually connected order in the tuning target acoustic system 170, 173 are output to the speaker 174. The speaker 174 is connected to the speaker 174,

이와 같이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170) 내 스피커(174)를 통해 출력된 음파는 객석에 설치된 무선 마이크 송신기(100)에 의해 수집된 다음 전자기파로 변환된 상태에서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 측으로 전송된다.The sound waves output through the speaker 174 in the target sound system 170 are collected by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0 installed in the audience and then transmitt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in a converted state.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100)에서 출력된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다시 조율용 음원으로 복조함은 물론 내부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통해 주파수 응답 특성(즉,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을 분석하는 기능을 가진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에서 분석된 음향 정보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이더넷 등)를 통하여 서버(130)로 전송되며, 조율사가 보고 있는 PC(150)의 GUI부(140)에서는 서버(130)의 정보를 조회하여 화면에 표시해 준다.The electromagnetic wave output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0 is demodulated into a sound source for tuning, and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i.e., voltage-to-frequency voltage error information per frequency) is analyzed through an internal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The acoustic information analyzed in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having the func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30 through the network (for example, Ethernet or the like), and in the GUI unit 140 of the PC 150 viewed by the tuner, 130)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따라서, 조율사는 화면에 표시된 주파수 응답 등의 음향 정보를 참조하여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170)을 점검하고, 조정할 부분을 판단하여 다시 서버(130)를 통하여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172)에 제어 명령을 보내어 조정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을 반복하여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170)의 조율을 완료한다.Accordingly, the tuner checks the tuning target sound system 170 by referring to the sound information such as the frequency response displayed on the screen, determines the part to be tuned, and sends a control command to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172 through the server 130 again And this process is repeated to complete the tuning of the tuning target acoustic system 170.

이와 같은 원격 조율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는, 일반적으로 목소리용으로 제작되는 무선 마이크의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조율에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과, 도 1과 같은 폐회로 형태의 구성시에 발생하는 피드백 발진(feedback oscillation)을 제거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n such a remote tuning process is to adjust the frequency error of the frequency of a wireless microphone, which is generally made for a voice, so that it can be used for tuning, and to provide feedback Thereby eliminating the feedback oscillation.

이를 위하여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 내부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DSP; Digital Signal Processor)가 채용된다.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s employed in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for this purpose.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및 관리 시스템 중 무선 마이크 수신기의 내부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nal block of a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in a remote sound tuning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는 RF 수신 및 동조부(111), 검파 및 복조부(112), ADC부(113), DSP부(114), DAC부(115), 오디오 출력부(116), 제어부(117), 네트워크통신부(118), 표시부(119)로 구성된다.2,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includes an RF receiving and tuning unit 111, a detection and demodulation unit 112, an ADC unit 113, a DSP unit 114, a DAC unit 115, A control unit 117,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18, and a display unit 119. [0033]

이와 같은 구성의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에 대한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low of signals t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100)에서 발신된 전자기파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 내 RF 수신 및 동조부(111)로 입력되며, 전자기파를 수신한 상기 RF 수신 및 동조부(111)에서는 원하는 RF 주파수 대역만을 증폭하여 검파 및 복조부(112)로 전송한다.First, the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0 is input to an RF receiving and tuning unit 111 in a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through an antenna, and the RF receiving and tuning unit 111 receiving the electromagnetic wave Only the desired RF frequency band is amplified and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and demodulation unit 112.

따라서, 상기 검파 및 복조부(112)는 입력된 RF신호 중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다음 ADC부(113)로 출력해 주게 되고,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ADC부(113)에서는 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다음 DSP부(114)로 출력해 주게 된다. Therefore, the detection and demodulation unit 112 selects a desired channel among the input RF signals, converts the selected channel into an analog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audio signal to the ADC unit 113. The ADC unit 113 receives the converted audio signal, 113), the analog audio signal is sampled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audio signal, which is then output to the DSP unit 114.

또한, 변환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DSP부(114)에서는 일반 사용시에는 음색 조절 필터를 적용하여 DAC부(115)로 전달해 주게 되고, 이를 입력받은 상기 DAC부(115)에서는 다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출력부(116)로 전달하게 되므로 상기 오디오 출력부(116)에서 적절한 증폭 및 밸런싱 등의 처리를 수행한 다음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170) 내 오디오 믹서(171)로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SP unit 114 receiving the converted digital audio signal applies a tone color adjustment filter to the DAC unit 115 when the digital audio signal is generally used, and the DAC unit 115, receiving the converted digital audio signal, So that the audio output unit 116 performs appropriate amplification and balancing processing and then outputs the processed signals to the audio mixer 171 in the target sound system 170. [

또, 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 내 제어부(117)에서는 검파 및 복조부(112)에서의 채널선택을 위한 PLL(Phase Locked Loop; 미도시)을 제어함은 물론, 상기 DSP부(114) 내부에서의 로직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 DSP부(114)에서 수집된 음향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부(118)를 통해 서버(130)로 전송하거나, 또는 서버(130)로부터 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DSP부(114)를 제어하며, 또한 표시부(119)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는 등의 제어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17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controls a phase locked loop (PLL) (not shown) for channel selection in the detection and demodulation unit 112, And transmits the acoustic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SP unit 114 to the server 130 via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18 or the DSP unit 114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server 130. [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19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to the user.

한편, 도 3은 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 내에 구비된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즉, DSP부(114)의 구체적인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3 is a specific block diagram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at is, the DSP unit 114, provided in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도 3을 참조하여 DSP부(114) 내부에서의 신호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ignal processing process in the DSP unit 11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DSP부(114)로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제1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0)를 통해 복수의 필터로 구성된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로 입력되거나, 또는 제2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4) 측으로 바이패스된다. First, the digital audio signal input to the DSP unit 114 is input to the sound 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11413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s through the first digital logical switch 11410, or to the second digital logical switch 11414 side Bypassed.

이때, 상기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의 동작을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조율용으로 제작되어 판매되는 마이크는 도 4와 같은 이상적인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가진다.Here, the operation of the sound 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11413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a microphone manufactured and sold for tuning has an ideal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as shown in FIG.

즉, 가청 주파수 대역인 20㎐에서 20㎑까지 거의 평탄한 응답을 가져야만, 계측기로 입력된 주파수 응답에 별도의 보정 없이 원하는 조율 대상 시스템의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확인 할 수 있다.That is, it is necessary to have a substantially flat response from the audio frequency band of 20 Hz to 20 kHz, so that the desired voltage error of the tuning target system can be confirmed without any correction to the frequency response inputted to the instrument.

그러나, 조율용이 아닌 일반 마이크는 인간의 귀에 가장 듣기 좋은 주파수 응답과 주파수별 공기 중 감쇄 현상 등을 고려하여 도 5와 같은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가지도록 제조된다.However, a non-tunable general microphone is manufactured to have a voltage error according to frequency as shown in FIG. 5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response most susceptible to human ear and the frequency-dependent air attenuation.

즉, 저주파에서는 낮고 감쇄가 심한 고주파로 갈수록 커지는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가진다.That is, it has a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that becomes low at a low frequency and becomes high at a high frequency at which the attenuation becomes severe.

이러한 일반 마이크를 조율에 사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6과 같은 응답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디지털 음향 필터 즉, 제1필터 내지 제N필터(부호 기입은 생략함)를 구비시킨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를 사용한다.In order to use such a general microphone for tun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gital acoustic filters, that is, a sound-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having first to Nth filters (code-writing omitted) (11413).

상기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에서는, 조율용 마이크에 비해 레벨이 낮은 저주파 대역을 강제로 높이는 제1필터와, 전반적으로 높아진 고주파 대역을 전체적으로 낮추는 제2필터, 고주파 대역에서 굴곡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 추가 보정을 하는 제3필터 등 여러 개의 디지털 음향 필터를 사용하여, 최종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조율용 마이크와 근접하게 보정한다.The sound-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11413 includes a first filter for forcibly raising a low-frequency band having a lower level than the tuning microphone, a second filter for lowering the overall high-frequency band as a whole, A plurality of digital acoustic filters, such as a third filter for performing additional correction, are used to correct voltage errors per final frequency close to the tuning microphones.

물론 도 6은 일 실시 예로서, 사용되는 흡음 유니트의 가청 주파수내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에 따라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 내에 구비되는 각 필터의 수와 동작형태는 수정될 수 있으며, 이 필터의 중심주파수와 형태 및 증폭도 또는 감쇄도와 기울기 등의 제어변수는 제조단계에서 흡음 유니트의 시험 결과에 따라 제어부(117)에 사전 저장된다.Of course,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number and operation mode of each filter provided in the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11413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voltage error information of the sound absorption unit used in the audio frequency, Control variables such as the center frequency, shape, amplification degree, attenuation and tilt of the filter are pre-stored in the control unit 117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ound absorption unit test in the manufacturing step.

상기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는 비록 도면부호 기입은 생략하였으나 도 3과 같이 수 개의 디지털 음향 필터(제1필터 내지 제N필터)의 직렬 조합으로 구성되고, 이때 사용되는 디지털 음향 필터는 바이쿼드(Biquid) 필터로 구성되며, 아래 [수학식 1]의 전달함수를 가진다.3, the sound 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11413 is composed of a series combination of several digital acoustic filters (first filter to Nth filter), although the digital sound filter used in this case is a bipod (Biquid) filter, and has a transfer function of the following equation (1).

그리고, 1개의 바이쿼드 필터는 2차 IIR(Infinite Impulse Response)필터로 구성된다.And, one biquad filter consists of a second IIR (In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1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1

상기 2차 IIR 필터는 중심주파수(f), 이득(Boost/Cut), 선형이득(gain), 대역폭을 나타내는 성능계수(Quality Factor;Q)에 의해 제어된다.The second IIR filter is controlled by a quality factor (Q) representing a center frequency (f), a gain (Boost / Cut), a linear gain, and a bandwidth.

상기 제어 변수에 의해 상기 [수학식 1]의 계수(a1, a2, b0, b1, b2)는 그 형태에 따라 아래 [수학식 2], [수학식 3], [수학식 4]에 의해 결정된다.(A1, a2, b0, b1, b2) of the above-mentioned [Expression 1] are determined by the control variables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s (2), (3) do.

제1필터 및 제3필터와 같은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높이거나 낮추는 경우의 계수는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도출된다.The coefficients when raising or lowering only a specific frequency band such as the first filter and the third filter are deriv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2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2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3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3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4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4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5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5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6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6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7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7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8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8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9
Figure 112015077040503-pat00009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0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0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1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1

제2필터와 같이 특정 주파수 이상의 전체 대역을 원하는 boost 또는 cut만큼 높이거나 낮추는 필터의 계수는 아래 [수학식 3]에 의해 도출된다.The coefficients of the filter for raising or lowering the entire band above a certain frequency such as the second filter by a desired boost or cut are derived by Equation (3) below.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2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2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3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3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4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4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5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5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6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6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7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7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8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8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9
Figure 112015077040503-pat00019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0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0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1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1

제2필터의 반대로 특정 주파수 이하의 전체 대역을 원하는 boost 또는 cut만큼 높이거나 낮추는 필터의 계수는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도출된다.In contrast to the second filter, the coefficient of the filter that raises or lowers the entire band below a certain frequency by a desired boost or cut is derived by Equation (4) below.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2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2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3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3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4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4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5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5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6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6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7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7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8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8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9
Figure 112015077040503-pat00029

Figure 112015077040503-pat00030
Figure 112015077040503-pat00030

Figure 112015077040503-pat00031
Figure 112015077040503-pat00031

이상과 같이 형태에 따라 [수학식 2], [수학식 3], [수학식 4]에 의해 제어부(117)에서 계산된 계수는 제1필터에서 제N필터까지 입력되어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를 구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efficients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117 according to the formulas (2), (3) and (4) are input from the first filter to the Nth filter, ).

상기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를 거쳐서 보정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제1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0)에서 바이패스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각각 제2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4)를 통해 리미터(11415)로 입력된다.The digital audio signal corrected through the sound 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11413 or the digital audio signal bypassed from the first digital logical switch 11410 is input to the limiter 11415 via the second digital logical switch 11414 .

따라서, 상기 리미터(11415)에서는 미리 지정된 음량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제거하거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여, 지정된 음량 이하로 조절한 다음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6)으로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6)에서는 이와 같이 전달받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11421)로 바이패스시키거나, F.F.T(Fast Fourier Transform)(11417-1) 모듈 또는 V.B.P.F(Variable Frequency Band Pass Filter) 및 검출기(11417-2) 모듈로 입력된다.Accordingly, the limiter 11415 removes an audio signal of a predetermined volume or more, controls the volume of the digital audio signal to be adjusted to a specified volume or less, and then transmits the adjusted audio signal to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11416, The logic switch 11416 bypasses the digital audio signal thus received to the fourth digital logic switch 11421 or a FFT (Fast Fourier Transform) 11417-1 module or a Variable Frequency Band Pass Filter (VBPF) Detector 11417-2 module.

일반적인 사용시에는 제1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0), 제2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4),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6),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11421) 모두가 바이패스시켜 주게 되며,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추가적인 디지털 신호 처리 없이 출력된다.In general use, the first digital logical switch 11410, the second digital logical switch 11414, the third digital logical switch 11416, and the fourth digital logical switch 11421 are all bypassed, The signal is output without any additional digital signal processing.

그러나, 원격 조율 모드에서는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6)에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조율사의 선택에 따라 디지털 음향 주파수 분석기(11417) 내 F.F.T(11417-1) 모듈 또는 V.B.P.F 및 검출기(11417-2) 모듈로 입력되며, 그 입력은 출력 측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피드백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in the remote tuning mode, the digital audio signal input to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11416 is fed to the FFT 11417-1 module or VBPF and detector 11417-2 in the digital audio frequency analyzer 11417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tuner, And the input is not transmitted to the output side, so that the feedback oscillation can be prevented.

이때, 고속 푸리에 변환기인 상기 디지털 음향 주파수 분석기(11417) 내 F.F.T(11417-1) 모듈은 Fast Fourier Transform 수식에 따라서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17)와 네트워크통신부(118)를 통해 조율사에게 전송한다.At this time, the FFT 11417-1 module in the digital acoustic frequency analyzer 11417, which is a fast Fourier transformer, calculates a voltage error for each frequency of the digital audio signal input according to the Fast Fourier Transform equation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117 And transmits it to the tuner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18.

이 경우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11421)는 핑크 노이즈(Pink Noise) 발생기(11419-1) 또는 사인파(Sinewave) 발진기(11419-2)로 이루어진 조율용 음원 발생기(11419) 내 구성요소 중 핑크 노이즈(Pink Noise) 발생기(11419-1)에 연결되어야 하며, 발생된 핑크 노이즈(Pink Noise)는 저항기(11422)를 통해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을 거쳐 디지털 음향 주파수 분석기(11417) 내 구성요소 중 F.F.T(11417-1) 모듈로 입력된다.In this case, the fourth digital logical switch 11421 is connected to the pink noise (pink noise) among components in the tuning tone generator 11419, which is comprised of a pink noise generator 11419-1 or a sinewave oscillator 11419-2 Pink Noise is generated by the FFT 11417-1 of the components in the digital acoustic frequency analyzer 11417 via the tuning target acoustic system via the resistor 11422. The pink noise is generated by the FFT 11417-1, 1) module.

순서상으로는 핑크 노이즈 발생이 우선되며, 상기 핑크 노이즈가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서 F.F.T(11417-1) 모듈에서 주파수 응답 정보로 변환된다.In order, pink noise generation takes precedence, and the pink noise is converted into frequency response information in the F.F.T (11417-1) module as a digital audio signal.

상기 핑크 노이즈(Pink Noise) 발생기(11419-1)나 F.F.T(11417-1) 모듈은 많은 계산자원을 소모하므로, 단가 및 DSP의 크기 등의 문제로 인하여 계산자원이 제한될 경우에는 사인파(Sinewave) 발진기(11419-2)와 V.B.P.F 및 검출기(11417-2)의 쌍으로서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측정할 수 있다.Since the Pink Noise generator 11419-1 or the FFT 11417-1 module consumes a large amount of calculation resources, if the calculation resources are limited due to problems such as the unit price and the DSP size, The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can be measured as a pair of the oscillator 11419-2 and the VBPF and the detector 11417-2.

이는 사인파의 주파수를 가청 주파수 대역 내에서 이동해가며, 그에 따라 V.B.P.F의 패스 밴드(Pass Band) 주파수를 함께 이동하고, 검출기로서 입력레벨을 측정하는 방식이다.This is a method of moving the frequency of the sine wave in the audible frequency band, thereby moving the pass band frequency of V.B.P.F together and measuring the input level as a detector.

또한, 상기 제어부(117)에서는 상기 핑크 노이즈(Pink Noise) 발생기(11419-1)나 사인파(Sinewave) 발진기(11419-2)의 출력이 시작되는 시점에서부터 응답시간 측정을 시작하여, 디지털 음향 주파수 분석기(11417) 내의 F.F.T(11417-1) 모듈 또는 V.B.P.F 및 검출기(11417-2) 모듈에 신호가 입력되는 순간까지의 소요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소요시간에서 기존에 측정되어 저장된 ADC부(113), DAC부(115), 흡음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의 시간지연을 차감하여 전체 음향 시스템의 응답시간 측정이 가능하다. The control unit 117 starts measuring the response time from the start of the output of the Pink Noise generator 11419-1 or the Sinewave oscillator 11419-2, The time required until the signal is input to the FFT 11417-1 module or the VBPF and the detector 11417-2 module in the ADC 11417 is measured and the ADC unit 113,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response time of the entire acoustic system by subtracting the time delay of the DAC unit 115 and the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11413.

상기와 같이 측정된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은 서버(130)를 통해 조율사 PC(150)의 GUI부(140)에 표시되며, 조율사는 이를 판독하여 적합한 주파수 응답과 응답시간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서버(130)를 통하여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172)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tuning target acoustic system measured in the above manner is displayed on the GUI unit 140 of the tuner PC 150 via the server 130. The tuner reads the frequency response, And sends a control command to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172 via the speaker 130.

이때, 상기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172)에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의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 보정을 위한 크로스오버 필터, 이퀄라이져, 응답속도 보정을 위한 강제지연, 위상 보정을 위한 위상 반전기, 음량 제어를 위한 볼륨제어기, 급격한 과대출력 방지를 위한 리미터 및 컴프레서 기능이 일반적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인터넷 상에서 GUI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다.In this case, as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172 includes a crossover filter for correcting the voltage error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of sound of the target sound system to be tuned, an equalizer, a forced delay for response speed correction, Volume control for volume control, limiter and compressor for abrupt over-discharge protection, and control via a GUI on the Internet.

한편, 도 7a 및 7b는 본 발명 중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7A and 7B are flow charts for explaining a remote sound tuning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기(110) 내 제어부(117)에 조율사가 조율 시작 키를 조작하는지 판단(S01)하여 만약 조율 시작 키가 "온"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17)에서는 DSP부(114)에 구비된 제3 및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6)(11421)의 가동단자를 각각 디지털 음향 주파수 분석기(11417) 내 F,F.T(11417-1) 또는 V.B.P.F 및 검출기(11417-2) 측과, 조율용 음원 발생기(11419) 내 핑크 노이즈 발생기(11419-1) 또는 사인파 발진기(1142)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게 된다(S02).The control unit 117 determines whether the tuning start key is operated by the tuner in step S01 so that the DSP unit 114 11417-1 or VBPF and the detector 11417-2 in the digital acoustic frequency analyzer 11417 and the movable terminals of the third and fourth digital logic switches 11416, , The pink noise generator 11419-1 in the tone generator for tone generator 11419 or the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sine wave oscillator 1142 side (S02).

이어서 상기 제어부(117)에서는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에 미리 저장된 조율용 제어변수에 따라 계산된 계수를 입력(S03)한 다음, 제1 및 제2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0)(11414)의 가동단자를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한다(S04).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7 inputs a coefficient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variable for tuning stored in advance in the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11413 (S03),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logic switches 11410 and 11414 Terminals to the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11413 side (S04).

이후, 상기 제어부(117)에서는 조율사가 DSP(114) 내의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6)의 가동단자를 F.F.T(11417-1)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고,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11421)의 가동단자는 핑크 노이즈 발생기(11419-1)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한 상태인지 또는,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6)의 가동단자를 V.B.P.F 및 검출기(11417-2)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고,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11421)의 가동단자를 사인파 발진기(11419-3)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한 상태인지 파악(S05)하여, 만약 핑크 노이즈를 선택한 경우이면 핑크 노이즈를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170)의 입력부로 출력(S06)하게 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17 switches the movable terminal of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11416 in the DSP 114 to a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FFT 11417-1 module, and the fourth digital logic switch 11421 is switched to a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pink noise generator 11419-1 or the movable terminal of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11416 is connected to the VBPF and the detector 11417-2 (S05) whether the movable terminal of the fourth digital logical switch 11421 is switched to the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sine wave oscillator 11419-3 (S05). If the pink noise is selected And outputs the pink noise to the input unit of the target sound system 170 (S06).

이와 같이 출력된 핑크 노이즈는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170)을 거쳐 증폭되어 스피커(174)로 출력한다(S07).The pink noise thus output is amplified through the tuning target sound system 170 and output to the speaker 174 (S07).

이어서 상기 제어부(117)에서는 F.F.T(11417-1) 모듈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지 계속 판단(S08)하여, 만약 F.F.T(11417-1) 모듈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Fast Fourier Transform 수식에 따라서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네트워크통신부(118)를 통해 서버(130)로 전송한다(S09).Then, the controller 117 determines whether a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in the FFT 11417-1 module (S08). If the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in the FFT module 11417-1, the controller 117 determines whether the digital audio signal is input through the Fast Fourier Transform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erver 13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18 (S09).

따라서, 상기 퍼스널 컴퓨터(150)에서는 서버(130)를 통해 전송받은 음향 정보를 주파수별 응답 곡선으로 변환하여 자체에 구비된 GUI(140)에 표시하게 되므로 조율사가 GUI(140)에 표시되고 있는 분석된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판독할 수 있다(S18).Accordingly, in the personal computer 150, the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erver 130 is converted into a frequency-dependent response curve and displayed on the GUI 140 provided in the personal computer 150, The voltage error of each frequency can be read (S18).

이후, 조율사는 주파수 응답 판독 결과에 따라 원격 음향 조율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에어부(117)에 조율 완료 명령을 전송하게 되는데, 이를 전송받은 상기 제어부(117)에서는 조율사의 조율 완료 명령 여부를 판단(q19)하여, 만약 조율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 네트워크통신부(118)를 통해 지시된 조율사의 제어병력에 따라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170) 내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172)에 제어명령을 전송(S21)하고 초기 시작단계(S01)로 되돌아간다.Thereafter, the tuner determines whether the remote sound tuning has been comple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response reading result, and transmits a tuning completion command to the air unit 117. The controller 117 receiving the tuning completion comm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uning completion command is received (q19). If the tuning is not completed, a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172 in the tuning target sound system 170 (S21) according to the control history of the tuner instructe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18, And returns to the initial start step S01.

그러나, 해당 무선 마이크 송신기(100)에 대한 원격 음향 조율이 완료된 상태이면 상기 제1 내지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0)(11414)(11416)(11421)를 일반 사용 모드인 바이패스모드로 전환(S20)하고 종료한다.However, if the remote sound tuning for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0 is completed, the first to fourth digital logical switches 11410, 11414, 11416, and 11421 are switched to the bypass mode that is the normal use mode S20) and ends.

한편, 상기 단계(S05)에서 파악한 결과, 조율사가 조율용 음원으로 사인파를 선택한 경우이면,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를 최저 주파수로 확정(S10)하고, V.B.P.F 및 검출기(11417-2)를 측정 주파수에 맞춰준(S11) 다음, 측정 주파수의 사인파 출력 및 응답시간에 대한 측정을 시작한다(S12).If it is determined in step S05 that the tuner has selected a sine wave as the tuning sound source, the frequency to be measured is determined to be the lowest frequency (S10), and the VBPF and the detector 11417-2 are set to the measurement frequency Subsequently, measurement of the sine wave output of the measurement frequency and the response time is started (S12).

이어서 상기 제어부(117)에서는 V.B.P.F 및 검출기(11417-2)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지 계속 판단(S13)하여, 만약 V.B.P.F 및 검출기(1418)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레벨 측정 및 응답시간을 측정(S14)한 다음, 측정하고자 하는 분해능에 맞추어 측정 주파수를 증분해 주게 된다(S15).The control unit 117 continuously determines whether a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at the VBPF and the detector 11417-2 at step S13. If a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at the VBPF and the detector 1418, After measurement (S14), the measurement frequency is incremented according to the resolution to be measured (S15).

이후, 상기 제어부(117)에서는 증분된 주파수가 정해진 최고 주파수보다 큰지를 판단(S16)하여, 만약 크지 않으면 V.B.P.F 및 검출기(11417-2)를 측정 주파수에 맞춰주는 단계(S11)로 되돌아가고, 증분된 주파수가 정해진 최고 주파수보다 크면 주파수별 측정레벨을 네트워크통신부(118)를 통해 서버(130)로 전송(S17)하고 조율사가 퍼스널 컴퓨터(150)에 구비된 GUI(140)를 통해 분석된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판독하는 단계(S18)로 돌입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17 determines whether the incremented frequency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ximum frequency (S16). If not, the control unit 117 returns to step S11 to adjust the VBPF and the detector 11417-2 to the measurement frequency (S17)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18 (S17). When the tuner transmits the analyzed frequency level to the server 130 via the GUI 140 provided in the personal computer 150 The process goes to step S18 of reading the voltage error.

이때, 상기 제어부(117)에서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17)의 응답시간(response time)과 주파수별 위상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 핑크 노이즈 발생기(11419-1) 또는 사인파 발진기(11419-2)의 발진시간과 해당 측정 음원의 수신시간과 디지털 음향 시스템의 지체시간을 조합하여 실시하게 된다.The method for measuring the response time and frequency-dependent phase of the sound system 17 to be tuned in the control unit 117 is the same as that of the pink noise generator 11419-1 or the sine wave oscillator 11419-2 The oscillation time, the reception time of the measured sound source, and the delay time of the digital sound system are combined.

한편, 상기 제어부(117)에서 조율시작 초기 조율 시작 키의 상태를 판단(S01)한 결과 "오프" 상태이면, 무선 마이크의 사용자가 음색변경을 원하는지 판단(S22)하여, 만약 음색변경도 원하지 않는 상태이면 제1 및 제2 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0)(11414)를 바이패스로 전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 unit 117 determines that the tuning start key is in the "off" state (S01), the control unit 117 determines whether the user of the wireless microphone wants to change the timbre (S22) State,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logic switches 11410 and 11414 are switched to bypass.

그러나, 무선 마이크의 사용자가 음색변경을 원하는 상태이면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에 음색변경용 제어변수를 입력(S23)하고 난 다음, 제1 및 제2 디지털 논리 스위치(11410)(11414)의 가동단자를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11413)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S24)하고 종료한다However, if the user of the wireless microphone desires to change the tone color, the control parameter for tone color change is input to the sound 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11413 (S23),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logical switches 11410 and 11414 The movable terminals are switched to the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11413 side (S24) and the process is terminated

이상과 같은 과정에 의해 원격지에 위치한 조율사가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의 현재의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확인하고,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을 조율할 수 있다.The tuner located at a remote place can confirm the current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of the tuning target sound system and tune the tuning target sound system by the above process.

결과적으로 조율사가 현장으로 이동하지 않아도 현장의 일반적인 사용장비를 이용하여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 조율이 가능해짐으로써, 음향 시스템의 안정된 사용이 보장되며 공연전 등 긴급한 서비스 요청에 응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even if the tuner does not move to the site, it is possible to use the general use equipment in the field to adjust the sound system to be tuned, thereby ensuring stable use of the sound system and responding to urgent service requests before the performance.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o be embraced within their scope.

100 : 무선 마이크 송신기
110 : 무선 마이크 수신기
111 : RF 수신 및 동조부 112 : 검파 및 복조부
113 : ADC부 114 : DSP부
11410 : 제1디지털 논리 스위치 11413 :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
11414 : 제2디지털 논리 스위치 11415 : 리미터
11416 :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 11417 : 디지털 음향 주파수 분석기
11417-1 : F.F.T 11417-2 : V.B.P.F 및 검출기
11419 : 조율용 음원 발생기
11419-1 : 핑크 노이즈 발생기 11419-2 : 사인파 발진기
11421 :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 11422 : 저항기
115 : DAC부 116 : 오디오 출력부
117 : 제어부 118 : 네트워크통신부
119 : 표시부
130 : 서버
140 : GUI(Graphic User Interface)부
150 :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160 : 음원장비
170 :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
171 : 오디오 믹서 172 :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
173 : 증폭기 174 : 스피커
100: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10: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11: RF reception and tuning unit 112: Detection and demodulation unit
113: ADC section 114: DSP section
11410: first digital logic switch 11413: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11414: second digital logical switch 11415: limiter
11416: third digital logic switch 11417: digital acoustic frequency analyzer
11417-1: FFT 11417-2: VBPF and detector
11419: Tuning sound generator
11419-1: Pink noise generator 11419-2: Sinusoidal oscillator
11421: fourth digital logic switch 11422: resistor
115: DAC unit 116: Audio output unit
117: control unit 118: network communication unit
119:
130: Server
140: GUI (Graphic User Interface)
150: Personal computer (PC)
160: Sound source equipment
170: Tuning target sound system
171: Audio Mixer 172: Speaker Management System
173: Amplifier 174: Speaker

Claims (11)

가청 주파수 내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정보가 사전에 파악되어 있는 흡음 유니트를 내장하고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으로부터 조율용 음원을 입력받아서 전자기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마이크 송신기와;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에서 출력된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다시 조율용 음원으로 복조하고, 조율용 음원 발생기를 구비한 내부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통해 발생시킨 조율용 음원의 주파수별 전압과 수신된 조율용 음원의 주파수별 전압의 오차를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별 전압 오차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마이크 수신기와;
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은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를 저장하고, 조율사의 요청에 의거 전송하는 서버와;
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 온 주파수별 전압 오차 정보를 조율사가 해석 가능한 그래프로 표시해 주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와;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조율사가 해석한 주파수별 전압 오차
정보를 기준으로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의 음향 주파수 특성을 수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제어를 제공함은 물론, 각종 동작상태 및 제어 가능한 변수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며,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어에 따라 연동되는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구비한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으로 구성하되,
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기는,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에서 출력된 전자기파를 입력받아서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RF 수신 및 동조부와;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RF 수신 및 동조부에서 선택된 전자기파 주파수 대역을 다시 조율용 음원으로 전환하는 검파 및 복조부와;
상기 검파 및 복조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의 조율용 음원 신호를 디지털 음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부와;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ADC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에 생산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에 사용된 흡음 유니트 주파수별 전압 오차 특성과 이상적인 조율용 마이크 주파수별 전압 오차 특성 간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디지털 필터들을 적용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음향을 분석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DAC부와;
상기 DAC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로 증폭하고 밸런싱 처리하여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 내 오디오 믹서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검파 및 복조부에서의 채널선택을 위한 PLL(Phase Locked Loop)을 제어함은 물론, 상기 DSP부 내부에서의 로직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 DSP부에서 수집된 음향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서버로부터 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DSP부를 제어하며, 또한 표시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무선 마이크 수신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에게 현재 무선 마이크 수신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명령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
A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for receiving a tuning sound source from a tuning target sound system and converting the sound source into an electromagnetic wave and outputting the sound wave;
And 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output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demodul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output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into a tuning sound source and outputting a frequency-dependent voltage of the tuning sound source generated through an internal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for analyzing an error of a frequency-dependent voltage of a sound source and transmitting analyzed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information to a server through a network;
A server for storing voltage-to-voltage error information of each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and transmitting the voltage err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une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displaying voltage error information of each frequency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in a graph interpretable by the tuner;
A voltage-dependent voltage error analyzed by the tuner through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twork control for modifying acoustic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sound system to be tun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and provides various operating states and controllable variables to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a coordination target acoustic system having a management system,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includes:
An RF receiving and tuning unit for receiving an electromagnetic wave output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selecting a desired channel;
A detection and demodulation unit for receiving the RF reception and tuning unit and switching the selected electromagnetic wave frequency band to the tuning sound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 ADC unit for converting the analog sound source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ion and demodulation unit into digital sound source data;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error characteristic of the sound-absorbing unit frequency used i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the voltage error characteristic of each microphone frequency for the ideal tuning are stored in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converted by the ADC unit, A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applying and correcting the digital filters for analyzing the corrected sounds, and transmitting the analyzed sounds through a network;
A DAC unit for converting a digital audio signal input from th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back into an analog audio signal;
An audio output unit for amplifying and balancing the analog audio signal input from the DAC unit to a level desired by the user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analog audio signal to an audio mixer in the tuning target sound system;
A PLL (Phase Locked Loop) for channel selection in the detection and demodulation unit is controlled, and the operation of the logic module in the DSP unit is controlled, and the sound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DSP unit is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SP uni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server or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urrent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to the user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urrent state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to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voltage error information of the frequency dependent sound pressure to the server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SP는,
상기 ADC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흡음유니트 보정용 필터부로 전달하거나 또는 제 2디지털 논리 스위치로 바이패스시켜 주는 제1디지털 논리 스위치와;
상기 제1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에 부착된 흡음 유니트의 가청 주파수내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에 따라 보정하는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와;
상기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제1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통해 직접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리미터로 전달하는 제2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미리 지정된 음량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제거하거나 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여, 지정된 음량 이하로 조절하는 리미터와;
상기 리미터를 통해 전달받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로 바이패스시켜 주거나, 또는 디지털 음향 주파수 분석기 내 F.F.T(Fast Fourier Transform) 모듈 또는 V.B.P.F(Variable Frequency Band Pass Filter) 및 검출기 모듈로 전달하는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와;
상기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Fast Fourier Transform 수식에 따라서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와 네트워크통신부를 통해 조율사에게 전송하는 F.F.T 모듈 또는 상기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신호내에 포함되어 있는 가변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여 필터링해 주는 V.B.P.F 및 검출기로 구성된 디지털 음향 주파수 분석기와;
조율에 필요한 잡음을 전음역대에 동일한 레벨로 발생시켜 주는 핑크 노이즈 발생기(Pink Noise Generator) 또는, 정해진 주파수를 갖는 사인파를 발생시키는 사인파 발진기로 구성된 조율용 음원 발생기와;
상기 조율용 음원 발생기의 구성요소 중 상기 핑크 노이즈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핑크 노이즈 신호 또는 사인파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사인파 신호 또는 상기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에서 바이패스되어 오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한 신호를 저항기로 전달해 주는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와;
상기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핑크 노이즈 신호나 사인파 신호 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제한하여 DAC부로 전달해 주는 저항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SP includes:
A first digital logic switch for transmitting the digital audio signal input from the ADC unit to the filter unit for adjusting the sound absorption unit or bypassing the digital audio signal to the second digital logic switch;
A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ng filter for correcting a digital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digital logic switch according to frequency-to-frequency sound pressure-dependent information in an audible frequency of a sound-absorbing unit attach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 sound signal output through the sound 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or a digital audio signal directly inputted through the first digital logic switch is transmitted to a limiter. Or adjusts the volume of the digital audio signal to a specified volume or less;
A digital FFT (Fast Fourier Transform) module or a variable frequency band pass filter (VBPF) in a digital sound frequency analyzer and a detecto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igital audio signal to a detector module 3 digital logic switch;
An FFT module for calculating a voltage error for each frequency of a digital audio signal input according to a Fast Fourier Transform equation when a digital audio signal is input through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a tuner through a control unit and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A digital acoustic frequency analyzer comprising a VBPF and a detector for detecting and filtering a variable frequency region included in the digital audio signal when the digital audio signal is input through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A tuning sound generator including a Pink Noi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noise level required for tuning at the same level in the entire band or a sine wave oscillator for generating a sine wave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A pink noise signal output from the pink noise generator or a sine wave signal output from a sine wave oscillator or a digital audio signal bypassed from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among components of the tuning sound source generator is transmitted to a resistor A fourth digital logic switch;
And a resistor for limiting a level of a pink noise signal, a sine wave signal, or a digital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h digital logic switch to a DAC uni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는,
복수 개의 2차 IIR(Infinite Impulse Response)필터를 직렬로 연결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sound-absorbing-unit-
Wherein a plurality of secondary IIR (In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s are connected in seri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는,
특정 주파수의 대역을 높이거나, 낮추는 대역 필터와 특정 주파수 이상 또는 이하의 주파수의 대역을 전체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필터로 사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단위 필터를 직렬로 연결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sound-absorbing-unit-
And a plurality of unit filters, which can be used as a filter for raising or lowering a band of a frequency higher or lower than a specific frequency as a whole, are connected in series. Remote sound tune system us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의 제어 변수는,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기의 흡음 유니트의 주파수별 음압 대비 전압 오차 정보에 따라, 그 특성을 이상적인 조율용 마이크와 동일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미리 산정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variable of the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istics are previously calculated and stor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be corrected in the same manner as an ideal tuning microphone according to the sound pressure unit-to-sound-pressure voltage error information of the sound-absorbing unit of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무선 마이크 송신기와 무선 마이크 수신기, 서버, 퍼스널 컴퓨터에 구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및 음향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 방법에 있어서,
조율사가 조율 시작 키를 조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조율 시작 키가 "온"되었으면 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기 내 제어부에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부에 구비된 제3 및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각각 디지털 음향 주파수 분석기 내 F.F.T(Fast Fourier Transform) 모듈 또는 V.B.P.F(Variable Frequency Band Pass Filter) 및 검출기 모듈 측과 조율용 음향 발생기 내 핑크 노이즈 발생기 또는 사인파 발진기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는 단계와;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에 미리 저장된 조율용 제어변수에 따라 계산된 계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는 단계와;
조율사가 DSP 내의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F.F.T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고,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는 핑크 노이즈 발생기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한 경우이면, 핑크 노이즈를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의 입력부로 출력하는 단계와;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을 거쳐 핑크 노이즈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와;
F.F.T 모듈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지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F.F.T 모듈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Fast Fourier Transform 수식에 따라서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네트워크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별 전압 오차 데이터를 저장해 놓은 서버가 조율사의 요청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의 요청에 전송되어 오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음향 정보를 주파수별 응답 곡선으로 변환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구비된 GUI에 표시하고 조율사가 GUI에 표시되고 있는 분석된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판독하는 단계와;
조율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조율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 네트워크통신부를 통해 판독된 주파수별 전압 오차에 따라 스피커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초기 시작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조율이 완료된 상태이면 상기 제1 내지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일반 사용 모드인 바이패스모드로 전환하고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방법.
A remote sound tuning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a serve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provided in a personal computer, and an acoustic system,
Determining whether the tuner manipulates the tuning start key;
When the tuning start key is "on ", the control terminals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FT (Fast Fourier Transform) module in the digital acoustic frequency analyzer, and the movable terminals of the third and fourth digital logic switches provided in th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Or a variable frequency band pass filter (VBPF) and a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detector module side and a pink noise generator or a sine wave oscillator side of the tuning sound generator, respectively;
Inputting a coefficient calculated according to a control variable for tuning stored in advance in a sound-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Switching the movable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logic switches to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side;
If the tuner switches the movable terminal of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in the DSP to the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FFT module and the movable terminal of the fourth digital logic switch is switched to the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pink noise generator, Outputting noise to an input of a tuning target acoustic system;
Amplifying the pink noise through the tuning target sound system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pink noise;
Continuing to determine whether a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in the FFT module;
If the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in the FFT module, calculating a voltage error for each frequency of the input digital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Fast Fourier Transform equation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When the server storing the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data is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tuner, the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s converted into a frequency-dependent response curve, displayed on a GUI provided in the personal computer, Reading an analyzed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that is being displayed on the GUI;
Determining whether the tuning has been completed;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to the speak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rea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and returning to the initial start step if the tuning is not completed;
And switching the first to fourth digital logic switches to a bypass mode in a normal use mode and terminating the tuning when the tuning is completed.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및 제2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는 단계를 실시한 후 확인한 결과,
조율사가 DSP 내의 제3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V.B.P.F 및 검출기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고, 제4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사인파 발진기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한 경우이면,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를 최저 주파수로 확정하는 단계와;
V.B.P.F 및 검출기를 측정 주파수에 맞춰주는 단계와;
측정 주파수의 사인파 출력 및 응답시간에 대한 측정을 시작하는 단계와;
V.B.P.F 및 검출기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지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V.B.P.F 및 검출기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레벨 측정 및 응답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하고자 하는 분해능에 맞추어 측정 주파수를 증분하는 단계와;
증분된 주파수가 정해진 최고 주파수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크지 않으면 V.B.P.F 및 검출기를 측정 주파수에 맞춰주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증분된 주파수가 정해진 최고 주파수보다 크면 주파수별 측정레벨을 네트워크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주파수별 전압 오차 데이터를 저장해 놓은 서버가 조율사의 요청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의 요청에 전송되어 오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음향 정보를 주파수별 응답 곡선으로 변환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구비된 GUI에 표시하고 조율사가 GUI에 표시되고 있는 분석된 주파수별 전압 오차를 판독하는 단계로 돌입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방법.
The method of claim 8,
Converting the movable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logic switches to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side,
When the tuner switches the movable terminal of the third digital logic switch in the DSP to the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VBPF and the detector and switches the movable terminal of the fourth digital logic switch to the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sine wave oscillator, Determining a desired frequency as a lowest frequency;
Adjusting the VBPF and the detector to the measurement frequency;
Starting a measurement of the sinusoidal output and response time of the measured frequency;
Continuously determining whether a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at the VBPF and the detector;
Measuring a signal level measurement and response time when a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at the VBPF and detector;
Incrementing the measureme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resolution to be measured;
Determining whether the incremented frequency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ximum frequency and returning to the step of adjusting the VBPF and the detector to the measurement frequency if not greater;
If the incremented frequency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maximum frequency, the frequency-based measurement leve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When the server storing the frequency-based voltage error data is transmitted at the request of the personal computer at the request of the tuner, And converting the sou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uner into a frequency-dependent response curve, displaying it on a GUI provided in the personal computer, and reading the analyzed frequency-dependent voltage error displayed on the GUI by the tuner A remote sound tuning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청구항 9에 있어서,
조율 대상 음향 시스템의 응답시간과 주파수별 위상 측정은,
상기 핑크 노이즈 발생기 또는 사인파 발진기의 발진시간과 해당 측정 음원의 수신시간과 디지털 음향 시스템의 지체시간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response time and frequency-dependent phase measurement of the target acoustic system,
Wherein the oscillation time of the pink noise generator or the sine wave oscillator, the reception time of the measured sound source, and the delay time of the digital acoustic system are combined.
청구항 8에 있어서,
조율시작 초기 조율 시작 키가 "오프" 상태이면, 무선 마이크의 사용자가 음색변경을 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음색변경도 원하지 않는 상태이면 제1 및 제2 디지털 논리 스위치를 바이패스로 전환하는 단계와;
음색변경을 원하는 상태이면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에 음색변경용 제어변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 디지털 논리 스위치의 가동단자를 흡음 유니트 보정용 필터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자로 전환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음향 조율방법.
The method of claim 8,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wireless microphone wants to change the timbre if the tuning start initial tuning start key is in the "off"state;
Switching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logic switches to bypass if no tone change is desired;
Inputting a control variable for changing a tone color to a sound-absorbing unit correction filter when the tone color is desired to be changed;
And switching the movable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logic switches to the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ound absorption unit correction filter side and terminating the step of terminating the remote sound tuning method.
KR1020150112245A 2015-08-10 2015-08-10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Active KR1016065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245A KR101606546B1 (en) 2015-08-10 2015-08-10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245A KR101606546B1 (en) 2015-08-10 2015-08-10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546B1 true KR101606546B1 (en) 2016-03-25

Family

ID=5564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245A Active KR101606546B1 (en) 2015-08-10 2015-08-10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54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985B1 (en) 2017-06-19 2018-08-13 이재호 On-site Audio Center system based on Audio over IP with on-site adapted audio equalizing ability
WO2019103382A1 (en) * 2017-11-21 2019-05-31 삼성전자(주)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240075A1 (en) * 2021-05-10 2022-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Wearable device and audio output control method using multi-dac path
CN116466633A (en) * 2023-04-20 2023-07-21 镁佳(北京)科技有限公司 A vehicle remote tun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S12126975B2 (en) 2021-05-10 2024-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using multi digital to analog converter pat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21B1 (en) * 2009-08-26 2011-05-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395286B1 (en) * 2013-02-14 2014-05-28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Digital audio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daptive equalizer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21B1 (en) * 2009-08-26 2011-05-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395286B1 (en) * 2013-02-14 2014-05-28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Digital audio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daptive equalizers and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985B1 (en) 2017-06-19 2018-08-13 이재호 On-site Audio Center system based on Audio over IP with on-site adapted audio equalizing ability
WO2019103382A1 (en) * 2017-11-21 2019-05-31 삼성전자(주)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240075A1 (en) * 2021-05-10 2022-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Wearable device and audio output control method using multi-dac path
US12126975B2 (en) 2021-05-10 2024-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using multi digital to analog converter path
CN116466633A (en) * 2023-04-20 2023-07-21 镁佳(北京)科技有限公司 A vehicle remote tun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546B1 (en)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US68767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digital hearing aids
CA2628524C (en) Sound tuning method
US20250260377A1 (en) Audio equalization of audio environment
US9036825B2 (en) Audio signal correction and calibration for a room environment
US9137619B2 (en) Audio signal correction and calibration for a room environment
US12192737B2 (en) Automated audio tuning and compensation procedure
EP3193514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cross-over frequency of a loudspeaker
KR20120080593A (en) An auditory test and compensation method
CN105491495B (en) Deterministic sequence based feedback estimation
EP2705672B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impedance of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for operating an audio playback device
US10984779B2 (en) Audio adjustment method and associated audio adjustment device for active noise cancellation
US20250220348A1 (en) Automated audio tuning launch procedure and report
WO201900677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djusting sound field of active linear array loudspeaker
JPWO2007007695A1 (en) Audio system
RU2106075C1 (en) Spatial sound playback system
US20070237343A1 (en) Sound Enhancement
WO2023081534A1 (en) Automated audio tuning launch procedure and report
CN110740404B (en) Audio correlation processing method and audio processing device
JP4737758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layback apparatus
JP7738203B2 (en) Optimizing speaker placement within the monitoring space
US11463809B1 (en) Binaural wind noise reduction
US202401473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phase interference or cancellation by aligning waveforms to 3rd harmonics
EP2308245A2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af loudspeaker system
Hauser et al. Commissioning, Calibration, Optim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