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158B1 - Device status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memory improvement - Google Patents
Device status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memory improv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2158B1 KR101602158B1 KR1020150080171A KR20150080171A KR101602158B1 KR 101602158 B1 KR101602158 B1 KR 101602158B1 KR 1020150080171 A KR1020150080171 A KR 1020150080171A KR 20150080171 A KR20150080171 A KR 20150080171A KR 101602158 B1 KR101602158 B1 KR 1016021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ory area
- error code
- volatile memory
- defect
- sto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66—Error or fault reporting or sto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on of errors by analysis, debugging or testing of software
- G06F11/3604—Analysis of software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공전자 장비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 공간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여 항공전자 장비 또는 OFP(Operational Flight Program)의 이상현상 관리를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state of avia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 aviation electronic equipment or an operational flight program (OFP) by reducing unnecessary waste of a memory space, ≪ / RTI >
항공 전자 장비 또는 OFP의 에러 관리를 위한 수많은 에러코드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에러코드들은 임무 컴퓨터(MC: Mission Computer)에서 관리되며, 임무 컴퓨터에서 정전(Power Down)이 발생하더라도 에러 코드들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지속성을 가져야 한다. 항공기의 기능 및 성능이 발전함에 따라 관리 유지가 필요한 에러코드들의 수는 증가하였고 각 에러코드들은 지속성을 가지기 위해서 특정 주기마다 현재의 에러코드 상태값들을 주기적으로 저장 관리 해야 하며, 이러한 에러코드들의 수가 늘어남으로써 저장 관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크기 또한 증가하게 되었고 이는 병렬로 하드웨어적인 메모리 공간의 부족과 데이터를 유지관리 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프로세싱의 증가로 항공전자 시스템 전반에 성능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There are numerous error codes for error management of avionics or OFP. These error codes are managed by a mission computer (MC), and even if a power down occurs in a mission computer, the error codes must be stored in a nonvolatile memory area for continuous management of error codes and have persistence. As th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the aircraft develops, the number of error codes required to maintain maintenance has increased, and each error code has to periodically store and manage the current error code status values at specific intervals in order to have persistence,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data to be stored and managed increases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avionics system due to the lack of hardware memory space in parallel and the increase of the data processing processing for maintaining the data.
도 1은 종래 방식에 따른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으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data from a volatile memory area to a nonvolatile memory area including a RAM (Random Access Memory)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임무컴퓨터의 에러 코드 관리 방식에 있어서, 휘발성 메모리 영역(110)의 에러 코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120)에 쓸 때, 32비트면 32비트 데이터 타입 및 크기 변형 없이 그대로 가져다 옮기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즉, 임무컴퓨터가 1차적으로 에러코드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휘발성 메모리 영역(110)에 쓰고, 이를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120)으로 전달하게 되는데, 첫 번째 워드로 썼던 에러코드 1은 그대로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120)에서도 첫 번째 워드로 기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in the error code management method of the conventional mission computer, when error code data of the
즉, 종래에는 에러코드들의 데이터 타입 및 크기 그대로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을 함에 따라 메모리 영역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mory area is insufficient as the data type and the size of the error codes ar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area.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기내 에러 코드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저장영역을 통하여 불필요한 병렬로 하드웨어 저장공간 낭비를 줄이고 성능향상 및 유지관리 용이성을 제공하는 장비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a system management method, which can reduce waste of hardware storage space in unnecessary parallel through a minimum storage area in order to more efficiently manage error codes in an aircraft, A method and an apparatu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상태 정보 관리 장치는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결함 판단부, 상기 결함 판단부에서 생성된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 및 RAM(Random Access Memory) 영역을 포함하는 휘발성 메모리 영역 및 상기 메모리 영역을 관리하는 메모리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 콘트롤러는, 상기 생성된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1차적으로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2차적으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때,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하나의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최소 기억 단위의 에러코드 상태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미리 정해진 폴트 넘버에 대응되는 위치의 메모리 비트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formation of a device under test, including: a defec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device under test is defective; a nonvolatile memory for storing error code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And a memory controller for managing the memory area, wherein the memory controller stores the generated error code state information in a primary memory area of the volatile memory Volatile memory area, and when the data of the volatile memory area is secondarily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area, one error code status information of the volatile memory area is converted into an error code status value of the minimum memory unit, A memory bi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ault number Can.
상기 최소 기억 단위의 에러코드 상태값은 1비트의 에러코드 상태값일 수 있다.The error code status value of the minimum storage unit may be an error code status value of 1 bit.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는 하나의 에러코드 상태 정보는 32 비트의 데이터일 수 있다.One error code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area may be 32-bit data.
상기 에러코드 상태값은 해당 폴트 넘버에 따른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The error code status value may be a value indicating an erro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ault number.
상기 에러코드 상태값은 각 폴트 넘버에 대응되는 위치에 저장되도록 시프트 연산을 통해 저장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The storage location may be determined through a shift operation such that the error code state value is stor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each fault number.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은 32비트 데이터 처리 기반의 메모리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The non-volatile memory area may be composed of a memory array based on 32-bit data processing.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주기는 일정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period of storing the data of the volatile memory area in the nonvolatile memory area may be set to be constant.
상기 테스트 대상 장비는 항공 전자 장비 또는 항공 전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The equipment under test may include avionics equipment or avionics software program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상태 정보 관리 방법은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결함 판단 단계 및 상기 결함 판단 단계에서 생성된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 및 RAM(Random Access Memory) 영역을 포함하는 휘발성 메모리 영역을 관리하는 메모리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 제어 단계는, 상기 생성된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1차적으로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2차적으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하나의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최소 기억 단위의 에러코드 상태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미리 정해진 폴트 넘버에 대응되는 위치의 메모리 비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a device under test, comprising: a defec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defect of a device under test is defective; and a nonvolatile memory And a memory control step of managing a volatile memory area including a random access memory (RAM) area, wherein the memory control step comprises: storing the generated error code state information primarily in the volatile memory area And storing the data of the volatile memory area in a secondary nonvolatile memory area, wherein the step of storing the nonvolatile memory area in the nonvolatile memory area includes storing one error code status information of the volatile memory area in the minimum memory unit Into an error code state value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nonvolatile memory area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determined fault number can include the step of storing in a memory bits.
본 발명의 장비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에러 코드 관리를 위한 메모리 공간 사용을 최소화하여 메모리 공간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고 메모리 공간의 병렬로 하드웨어적인 제약을 최소화하여 항공전자 성능 향상 및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stat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waste of memory space can be minimized by minimizing the use of memory space for error code management and ease of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aviation electronics by minimizing hardware constraints in parallel with memory space .
도 1은 종래 방식에 따른 RAM 영역을 포함하는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으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상태 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상태 관리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으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32비트의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으로 옮기기 위한 시프트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5b는 폴트 넘버에 따라 특정 어레이에 배치 및 독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상태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illustrates a method of storing data in a nonvolatile memory area in a volatile memory area including a RAM area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IG. 2 illustrates an apparatus stat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data from a volatile memory area to a nonvolatile memory area in an apparatus stat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hift operation for shifting 32-bit data to a nonvolatile memory area,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rranging and reading a specific array according to a fault number,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aratus stat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장비상태 관리 장치Device state management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상태 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상태 관리 장치(200)는 결함 판단부(210), 메모리 콘트롤러(220) 및 메모리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FIG. 2 illustrates an apparatus stat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apparatus
도 2를 참조하면, 장비상태 관리 장치(200)는 항전장비 또는 항전 장비에 들어가는 OFP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메모리 영역(230)에 저장하는 장치로써, 임무 컴퓨터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apparatus
결함 판단부(210)는 에러코드에 입각하여 테스트 대상 장비의 에러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는, 에러 여부를 판단한 상태 결과를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결함 판단부(210)는 장비 상태 관리 장치(200)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결함 판단부(210)는 테스트 대상 장비의 여러 기능의 결함 유무를 판별하는데, 기능에 대응하는 에러 코드를 기반으로 해당 기능을 에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1번 항전 장비의 1번 기능에 대한 것은 1번 에러코드를 통해 에러 여부를 판단하고, 1번 항전 장비의 2번 기능에 대한 것은 2번 에러코드를 통해 에러 여부를 판단하는 등 하나의 기능에 대해 대응하는 에러코드를 이용하여 에러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는 에러 코드 상태 정보로 생성될 수 있고, 에러코드 상태 정보는 에러 코드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에러의 종류, 에러 식별 정보(폴트 넘버(FN: Fault Number) 또는 테스트 넘버에 대응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폴트 넘버 또는 테스트 넘버는 결함 또는 결함 테스트의 속성에 따라 해당 결함 또는 결함 테스트를 식별할 수 있도록 부친 식별번호이다. 결함 판단부(210)는 폴트 넘버 또는 테스트 넘버를 부치면서 대응되는 에러코드를 알고 있어야 하며, 이를 식별 정보로써 기록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폴트 넘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에러코드 상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The
메모리 콘트롤러(220)는 메모리 영역(230)을 관리 및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메모리 콘트롤러(220)는 결함 판단부(210)로부터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 영역(230)에 저장한다. 메모리 콘트롤러(220)는 먼저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1차적으로 휘발성 메모리 영역(232)에 저장한다. 그리고는, 일정 주기마다 휘발성 메모리 영역(232) 내의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234)에 기입한다.The
휘발성 메모리 영역(232)은 1차적으로 에러코드 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이고, 에러코드 상태 정보 그대로 기입하므로, 하나의 에러 코드당 32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 영역(232)은 파워가 차단될 시 보유하고 있던 데이터가 소멸될 수 있다. 따라서, 휘발성 메모리 영역(232) 내에 저장된 메모리는 소정 주기마다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234)에 기입해야 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234)은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소실하지 않을 수 있다. The
메모리 콘트롤러(220)의 동작은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상태 관리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으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storing data from a volatile memory area to a nonvolatile memory area in an apparatus stat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콘트롤러는 1차적으로 저장된 휘발성 메모리 영역(310)의 데이터를 일정 주기 단위로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320)으로 옮김에 있어서, 32비트의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온/오프(on/off)만을 나타내는 1비트의 값만으로 해당 상태의 이상 유무를 처리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320)에 기록할 수 있다. 이는 반드시 1비트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최소 기억 단위의 값으로 나타내어지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트 타입을 베이스로 설명하고자 한다. 메모리 콘트롤러는 프로세서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컴퓨팅 계산에 기반하여 시프트 연산을 통한 메모리 관리 기능을 적용하고, 32비트 기본 데이터 처리를 통해 32비트 컴퓨터 시스템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32비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16비트, 64비트 등의 데이터 처리로의 적용도 무방하다.Referring to FIG. 3, in moving the data of the
메모리 콘트롤러는 1비트의 에러코드 상태 값을 생성하는데, 이는 해당 폴트넘버에 따른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즉, 32비트의 에러코드 상태 정보에서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싱하여 1 또는 0의 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The memory controller generates a 1-bit error code status value, which may be a value indicating whether or not an error has occurred according to the fault number. That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rror in the 32-bit error code status information can be parsed and generated as a value of 1 or 0.
메모리 콘트롤러는 생성된 에러코드 상태값을 저장할 위치를 폴트 넘버(FN)를 기반으로 시프트 연산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memory controller can determine a position to store the generated error code status value through a shift operation based on a fault number (F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32비트의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으로 옮기기 위한 시프트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hift operation for transferring 32-bit data to a non-volatile memory area.
도 4를 참조하면, 32비트의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에러코드 상태 정보는 1 또는 0의 값만으로 해당 상태의 이상 유무를 처리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공간에 기입될 수 있고, 이 값들은 정해진 위치에서 데이터가 읽고 쓰여질 수 있도록 시프트 연산을 통해 위치가 결정된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32-bit data processing, the error code state information of the volatile memory area can be written into the nonvolatile memory space by proces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ate with only a value of 1 or 0, The position is determined by a shift operation so that data can be read and writte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폴트 넘버(FN)를 기반으로 폴트 넘버 0부터 1비트씩 순차적으로 기입될 수 있다. 즉, FN 0의 에러코드 상태값(0 또는 1)은 최상단 최우측 비트에 쓰여지고, FN 1부터 FN 31까지는 FN 0의 좌측으로 첫 번째 워드라인에 기입될 수 있다. 그리고는, FN 32부터 FN 63까지 32개의 에러코드 상태 값은 두번째 워드라인에 기입되게 된다. 두 번째 워드라인은 좌측부터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세번째 워드라인은 FN 64부터 FN95의 에러코드 상태 값으로 채워지게 되고, 우측부터 차게 된다. Can be sequentially written from the
이를 수식으로 설명하면, WORD = COMPACT_ACTIVE + (FN≫5)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COMPACT_ACTIVE 값은 변수이다. This can be expressed as WORD = COMPACT_ACTIVE + (FN > 5). Here, the COMPACT_ACTIVE value is a variable.
도 5a 및 5b는 폴트 넘버에 따라 특정 어레이에 배치 및 독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rranging and reading a specific array according to a fault number.
도 5a를 참조하면, FN이 0인 에러코드 상태값을 독출하고자 하는 경우, 독출하고자 하는 대상 FN와 0x1F를 참조하여 위치 결정을 위한 번호를 획득한다. Ox1F의 00011111은 2진수로 31을 나타내는 값으로 시프트를 하기 위한 최대값을 나타내고, 31 이하의 값만을 나타내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32비트 이상은 허용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00000인 경우, Compact Active 첫 번째 어레이의 최하위 비트를 독출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A, when it is desired to read out an error code status value of FN = 0, a number for position determination is obtained with reference to the target FN to be read and 0x1F. 00011111 of Ox1F represents a maximum value for shifting to a value representing 31 in binary number, and serves to guide only a value of 31 or less. That is, it indicates that 32 bits or more are not allowed. 00000, Compact Active reads the least significant bit of the first array.
도 5b를 참조하면, FN이 79인 에러코드 상태값을 독출하고자 하는 경우, FN이 79이므로, 이진수로 1001111(2)로 표시되고, 이를 5자리로 끊으면, 01111로 표시된다. 버려지는 1은 6번째 자리의 수(2의 6승: 26)이므로, 5번째 자리(2의 5승: 25)를 기준으로 볼 때, 두 칸 아래의 3번째 어레이에 값을 찾아야 한다. 5자리의 수 01111를 0x1F와 AND 연산을 하면, 01111이 나오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첫번째 어레이로부터 2칸 아래의 3번째 어레이의 16번째 비트를 독출하게 된다. 기입 방식도 독출 방식과 동일한 방식이 이용된다.Referring to FIG. 5B, when it is desired to read out an error code status value of FN = 79, since the FN is 79, it is represented by binary number 1001111 (2). Since discarded 1 is the number of the 6th digit (2 of 6: 26), the value must be found in the 3rd array below the 2th column based on the 5th digit (5th power of 2: 25). If the 5-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에러코드 상태값의 위치를 FN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산출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기입 및 독출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error code status value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based on the FN, and written into and rea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장비상태 관리 방법How to Manage Equipment Statu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상태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aratus stat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임무컴퓨터는 먼저 에러코드를 기반으로 결함 유무를 따져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외부 결함 유무 판별 장치로부터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10). 그리고는,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순차적으로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S620).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는 일정 주기로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쓰여지게 된다. 따라서, 특정 주기가 도달했는지 판단하여(S630), 특정 주기가 되면 해당 에러코드를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기입한다. 이때, 에러코드 상태 정보는 최소 기억 단위(예컨대, 비트 단위)의 에러코드 상태 값으로 변형시켜 기입할 수 있다(S640). 에러코드 상태 값은 1비트의 값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는 해당 폴트넘버에 따른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즉, 32비트의 에러코드 상태 정보에서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싱하여 1 또는 0의 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mission computer may generate error code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fect based on the error code, or may receive error cod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fect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apparatus (S610). Then, the error code state information is sequentially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area (S620). The data in the volatile memory area is written to the nonvolatile memory area at regular intervals. 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pecific cycle has been reached (S630), and the error code is written into the nonvolatile memory area when the cycle is reached. At this time, the error code state information can be written into the error code state value of the minimum memory unit (e.g., bit unit) and written (S640). The error code status value can be generated with a value of 1 bit. This may be a value indicating an abnormality depending on the fault number. That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rror in the 32-bit error code status information can be parsed and generated as a value of 1 or 0.
에러코드 상태 값을 생성하면서, 에러코드 상태 정보로부터 폴트 넘버를 추출하여(S650), 폴트 넘버에 대해 시프트 연산을 통해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기입될 위치를 결정한다. 시프트 연산으로는 32비트를 기준으로 할때, 32비트의 에러코드 상태값마다 워드 라인을 변경하면서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시프트 연산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위치가 결정되면, 결정된 위치의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해당 에러코드 상태 값을 저장한다(S670).
A fault number is extracted from the error code state information while generating an error code state value (S650), and a position to be written in the nonvolatile memory area is determined through a shift operation on the fault number. As the shift operation, a shift operation method in which 32-bit error code status values are sequentially stored while changing word lines can be used when 32-bit is used as a reference. Once the location is determined, the corresponding error code state value is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area at the determined location (S670).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9)
상기 결함 판단부에서 생성된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 및 RAM(Random Access Memory) 영역을 포함하는 휘발성 메모리 영역; 및
상기 메모리 영역을 관리하는 메모리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 콘트롤러는,
상기 생성된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1차적으로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2차적으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때,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하나의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최소 기억 단위의 에러코드 상태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미리 정해진 폴트 넘버에 대응되는 위치의 메모리 비트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상태 정보 관리 장치.A defect judging unit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equipment to be tested is defective;
A volatile memory area including a non-volatile memory area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area for storing error code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efect determination part; And
And a memory controller for managing the memory area,
Storing the generated error code status information in the volatile memory area,
Wherein when the data of the volatile memory area is secondarily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area, one error code status information of the volatile memory area is converted into an error code status value of the minimum memory unit, Wherein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stored in a memory bi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ult number.
상기 최소 기억 단위의 에러코드 상태값은 1비트의 에러코드 상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상태 정보 관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rror code status value of the minimum storage unit is a 1-bit error code status value.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는 하나의 에러코드 상태 정보는 32 비트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상태 정보 관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ne error code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area is 32-bit data.
상기 에러코드 상태값은 해당 폴트 넘버에 따른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상태 정보 관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rror code status value is a value indicating an abnormality according to the fault number.
상기 에러코드 상태값은 각 폴트 넘버에 대응되는 위치에 저장되도록 시프트 연산을 통해 저장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상태 정보 관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location is determined by a shift operation so that the error code status value is stor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each fault number.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은 32비트 데이터 처리 기반의 메모리 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상태 정보 관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volatile memory area comprises a 32-bit data processing based memory array.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주기는 일정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상태 정보 관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ycle of storing data in the volatile memory area in the nonvolatile memory area is set to be constant.
상기 테스트 대상 장비는 항공 전자 장비 또는 항공 전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상태 정보 관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vice under test includes an avionics device or an avionics software program.
상기 결함 판단 단계에서 생성된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 및 RAM(Random Access Memory) 영역을 포함하는 휘발성 메모리 영역을 관리하는 메모리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 제어 단계는,
상기 생성된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1차적으로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2차적으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하나의 에러코드 상태 정보를 최소 기억 단위의 에러코드 상태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미리 정해진 폴트 넘버에 대응되는 위치의 메모리 비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대상 장비의 결함 상태 정보 관리 방법.A defect judgment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equipment to be tested is defective; And
And a memory control step of managing a volatile memory area including a non-volatile memory area for storing error code stat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defect determination step and a RAM (Random Access Memory) area,
Storing the generated error code state information primarily in the volatile memory area; And
And storing data of the volatile memory area in a secondary nonvolatile memory area,
Wherein the step of storing in the nonvolatile memory area converts one error code state information of the volatile memory area into an error code state value of a minimum memory unit to store a memory bi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ault number in the nonvolatile memory area, And storing the defect status information of the test target device in the defect management tabl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80171A KR101602158B1 (en) | 2015-06-05 | 2015-06-05 | Device status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memory improv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80171A KR101602158B1 (en) | 2015-06-05 | 2015-06-05 | Device status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memory improvemen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02158B1 true KR101602158B1 (en) | 2016-03-10 |
Family
ID=5553927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80171A Active KR101602158B1 (en) | 2015-06-05 | 2015-06-05 | Device status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memory improve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02158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95133A (en) * | 2005-02-28 | 2006-08-31 | (주)엠씨에스로직 | How to run a system program stored in nonvolatile memory |
| JP2010013004A (en) * | 2008-07-04 | 2010-01-21 | Denso Corp |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vehicle |
| KR20140117716A (en) * | 2013-03-26 | 2014-10-08 | (주) 픽소니어 | Built in test system of fl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
-
2015
- 2015-06-05 KR KR1020150080171A patent/KR10160215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95133A (en) * | 2005-02-28 | 2006-08-31 | (주)엠씨에스로직 | How to run a system program stored in nonvolatile memory |
| JP2010013004A (en) * | 2008-07-04 | 2010-01-21 | Denso Corp |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vehicle |
| KR20140117716A (en) * | 2013-03-26 | 2014-10-08 | (주) 픽소니어 | Built in test system of fl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209896B2 (en) | Performance optimization of read functions in a memory system | |
| CN110658990A (en) | Data storage system with improved preparation time | |
| US9600189B2 (en) | Bank-level fault management in a memory system | |
| CN101604267B (en) |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 |
| JP2003131954A (en) | Dynamically variable-length error correction code | |
| US10241678B2 (en) | Data storage device and data writing method capable of avoiding repeated write operation of a TLC block when interrupted | |
| US20130117632A1 (en) | Storage control apparatus | |
| KR2000005279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multilevel cell memory by using error locating codes | |
| KR20190033387A (en) |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US10733049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error management method | |
| US9274884B2 (en) | Encoding and decoding data to accommodate memory cells having stuck-at faults | |
| CN105359114A (en) | Memory migration in presence of live memory traffic | |
| US20190324664A1 (en) |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emory system | |
| US20170003890A1 (en) | Device,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extending service life of memory | |
| US2018001823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 KR20170009554A (en) | Test system and test method | |
| KR101602158B1 (en) | Device status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memory improvement | |
| CN106547759B (en) |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incremental backup mode | |
| US20120005426A1 (en) | Storage device, controller of stor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storage device | |
| US8200919B2 (en) | Storage device with self-condition inspection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 |
| US11262936B2 (en) | Memory controller, storag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mory control method | |
| KR20240067763A (en) | Apparatus for monitoring memory state using ecc information and its method | |
| US9104596B2 (en) | Memory system | |
| KR20200018156A (en) | Memory system having ECC functionality for memor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memory system | |
| US20160098315A1 (en) | Device for managing the storage of data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