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6741B1 - 목적별 출력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 - Google Patents

목적별 출력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741B1
KR101616741B1 KR1020140122431A KR20140122431A KR101616741B1 KR 101616741 B1 KR101616741 B1 KR 101616741B1 KR 1020140122431 A KR1020140122431 A KR 1020140122431A KR 20140122431 A KR20140122431 A KR 20140122431A KR 101616741 B1 KR101616741 B1 KR 10161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put
high voltage
converter
batt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407A (ko
Inventor
조국형
김소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전자
Priority to KR1020140122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7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7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의 전류를 바다물로 흘러보내 상어를 퇴치하도록 하되, 상기 전원은 배터리에 충전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에에서 발생하는 전원을 고전압발생기에 의해 고전압으로 전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며, 고전압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의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은 펄스폭변환기과 출력주기 변환기 및 출력시간 변환기에 의해 다양하게 변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며, 고전압발생기에서 발생하여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이 조정된 전류는 전기출력선에 의해 발생시키며, 배터리와 고전압발생기 그리고 펄스폭변환기과 출력주기 변환기 및 출력시간 변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컴에 의해 전원의 충전과 고전압출력 그리고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은 일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목적별 출력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이다.
본 발명은 어군의 종류와 운집 정도(상태, 위치, 수심 등)와 상어의 위치에 따라 운집된 어군을 해산시키거나 위해를 주지 않으면서, 단지 상어만을 퇴치시키기 위한 전류의 출력강도와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을 간단하면서도 적절하게 제어하면서 출력시킬 수 있으며, 전기출력선을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인출 또는 회권)하면서 출력시킬 수 있으며, 어업을 할 때에 형성된 어군에 상어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어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레저용이나 인명보호용으로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목적별 출력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A SHARK REPELLENT}
본 발명은 목적별 출력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원의 전류를 바다물로 흘러보내 상어를 퇴치하도록 하되, 상기 전원은 충전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에 충전하고고, 배터리에에서 발생하는 전원을 고전압발생기에 의해 고전압으로 전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며, 출력되는 출력값의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을 다양하게 변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전원의 충전과 고전압출력 그리고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은 마이컴에 의해 일괄 제어하도록 된 것으로서, 어군의 종류와 운집 정도(상태, 위치, 수심 등)와 상어의 위치에 따라 운집된 어군을 해산시키거나 위해를 주지 않으면서, 단지 상어만을 퇴치시키기 위한 전류의 출력강도와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을 간단하면서도 적절하게 제어하면서 출력시킬 수 있으며, 어업을 할 때에 형성된 어군에 상어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어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레저용이나 인명보호용으로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목적별 출력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지구의 온난화로 인해 바다 수온의 변화(상승)하면서 바다의 생태계도 크게 변화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전통 어종인 명태가 우리나라 바다에서 사라진 것이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다.
바다 수온의 변화(상승)와 같은 바다 생태계 변화로 인한 또 다른 피해는 연근해 및 바닷가에 바다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인 상어가 자주 출몰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어의 잦은 출몰은 바다에서 생업에 종사하는 어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바다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그리고 근자에는 해상레포츠가 활발하게 발전하면서 급속하게 증가하는 해상 레저인들의 안전에 큰 위협이 될 뿐만 아니라 인명 피해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낚시를 이용하여 어류를 포획하는 채낚 어법 어종인 오징어, 갈치, 방어 등과 같은 어류를 포획하는 어업의 경우에는 상어가 출물하게 되면 형성된 어군이 흐터져 버리므로 그 피해가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예컨데, 우리나라의 경우 5월부터 시작되는 갈치, 오징어 어장은 상어의 잦은 출몰로 인하여 어장이 황폐화되고, 9월 말부터 마라도 해역에서 실시되는 방어낚시의 경우에도 상어의 출몰로 인하여 조업을 포기하고 있는 실정에 이르고 있다.
어장에 출몰하는 상어의 퇴치법은 상어의 후각이나 특정 기관을 자극하는 방법과 전기 자극법이 알려져 있다.
전자(상어의 후각을 자극하는 방법)는 상어가 싫어하는 특정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냄새로 상어를 퇴치하는 방법으로서, 광범위한 지역에서의 사용보다 주로 바다에서 조난될 때에 개인의 인명 보호용으로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화학물질이 조류를 타고 퍼지는데 있어 그 범위가 좁고 수심에 따른 고른 퍼짐 현상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 후자(전기 자극법)는 대부분의 어종이 싫어하는 전기 자극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어의 로렌치니 기관을 자극하여 퇴치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어는 먹이감을 탐지할 때에 여러가지의 탐지 방법을 활용하여 탐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에서도 모든 생명체가 활동할 때에 발생시키는 생체전기신호를 상어의 전면에 위치한 로렌치니기관으로 감지하여 탐지 능력도 어류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어의 경우 대략 1nV정도의 전기를 감지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데, 이는 일반의 어종이 느끼지 못하는 매우 적은 량의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어류를 감지하고 공격하게 된다.
전극자극법을 사용하게 되면 집어된 어종에도 작용하여 집어된 어군을 일시적으로 분산시킬수도 있으나 조류 및 수심의 영향이 없고 어군의 특성에 맞게 전기강도 를 조절하게 되면 집어된 어군이 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국내에 알려진 종래의 상어 퇴치기로서는 등록특허 제10-1238341호(상어 퇴치기), 등록특허 제10-0945160호(상어 퇴치기), 등록특허 제10-1074912호(유해어류 퇴치를 위한 물고기로봇 및 유해어류 퇴치방법)등이 알려져 있다.
등록특허 제10-1238341호(상어 퇴치기)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건전지를 수납하여 스위치에 의해 전원을 ON/OFF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건전지에 연결되는 전선(일단)을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켜,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전류가 바다물에 흐르면서 상어를 퇴치하도록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945160호(상어 퇴치기)는, 밀봉되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건전지를 수납하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어가 싫어하는 물질을 내장하여, 상어가 출몰하면 밀봉을 제거하여 줌으로서 바닷물에 건전지의 전류가 흐르고 동시에 물질이 비산되면서 상어를 퇴치하도록 된 것이다.
또 등록특허 제10-1074912호(유해어류 퇴치를 위한 물고기로봇 및 유해어류 퇴치방법)의 물고기 로봇은, 본체를 어류 형상으로형성하고, 통신부는 원격에 위치한 관측소와 통신하며 상기 관측소로부터 정찰 구역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추적부는 어군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정찰 구역 정보에 대응하는 정찰 구역 내에서 상기 본체는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도록 설치된 지느러미 등을 구동하며, 전류 방출부는 상기 생성된 어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양측에구비된 수염을 통해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전류를 방출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상어 퇴치기 또는 물고기 로봇은, 전류값을 조정할 수 없다는 것이고, 따라서 일반 어종에게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어군을 퇴치시키는 현상도 발생하게 되며, 특히 전원으로서 일회용 건전지를 사용하게 되면 건전지가 바닷에 수장되면 바다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목적별 출력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의 전류를 바다물로 흘러보내 상어를 퇴치하도록 된 상어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배터리에 충전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터리에에서 발생하는 전원을 고전압발생기에 의해 고전압으로 전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전압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의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은 펄스폭변환기과 출력주기 변환기 및 출력시간 변환기에 의해 다양하게 변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전압발생기에서 발생하여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이 조정된 전류는 전기출력선에 의해 발생시키며, 상기 배터리와 고전압발생기 그리고 펄스폭변환기과 출력주기 변환기 및 출력시간 변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컴에 의해 전원의 충전과 고전압출력 그리고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은 일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별 출력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군의 종류와 운집 정도(상태, 위치, 수심 등)와 상어의 위치에 따라 운집된 어군을 해산시키거나 위해를 주지 않으면서, 단지 상어만을 퇴치시키기 위한 전류의 출력강도와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을 간단하면서도 적절하게 제어하면서 출력시킬 수 있으며, 어업을 할 때에 형성된 어군에 상어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어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레저용이나 인명보호용으로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목적별 출력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전원의 전류를 바다물로 흘러보내 상어를 퇴치하도록 된 상어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충전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에서 발생하는 전원을 고전압으로 전환시켜 출력시키는 고전압발생기;
상기 고전압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의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을 다양하게 변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된 펄스폭변환기과 출력주기 변환기 및 출력시간 변환기;
상기 고전압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회로제어부와 출력회로;
상기 고전압발생기에서 발생하여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이 조정된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기출력선;
상기 배터리와 고전압발생기 그리고 펄스폭변환기과 출력주기 변환기 및 출력시간 변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충전과 고전압출력 그리고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은 일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는,
전원의 전류를 바다물로 흘러보내 상어를 퇴치하도록 하되, 상기 전원은 배터리에 충전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터리에에서 발생하는 전원을 고전압발생기에 의해 고전압으로 전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며, 출력되는 출력값의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은 펄스폭변환기과 출력주기 변환기 및 출력시간 변환기에 의해 다양하게 변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전압발생기에서 발생하여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이 조정된 전류는 전기출력선에 의해 발생시키며, 상기 배터리와 고전압발생기 그리고 펄스폭변환기과 출력주기 변환기 및 출력시간 변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컴에 의해 전원의 충전과 고전압출력 그리고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은 일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군의 종류와 운집 정도(상태, 위치, 수심 등)와 상어의 위치에 따라 운집된 어군을 해산시키거나 위해를 주지 않으면서, 단지 상어만을 퇴치시키기 위한 전류의 출력강도와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을 간단하면서도 적절하게 제어하면서 출력시킬 수 있으며, 전류가 전기출력선은 길게 느리거나 회수(회권)하여 길이를 조절하면서 출력시킬 수 있으며, 어업을 할 때에 형성된 어군에 상어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어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레저용이나 인명보호용으로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를 보인 회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에서 고압발생기를 발췌하여 보인 회로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에서 출력회로를 발췌하여 보인 회로도.
도 4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에 예시된 가변저항(VR1 ~ VR3)의 작동관계 설명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회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에서 고압발생기(100)와 출력회로(70)를 발췌하여 보인 각 회로도이며, 도 4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에 에시된 가변저항(VR1 ~ VR3)의 작동관계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배터리(10)는 충전기(10)를 통해 공급되는 통상의 상용전기(AC220V)를 직류(DC) 12V 또는 24V로 충전하고, 배터리(10)의 전원은 전원부(20)에서 저항(R3, R4)과 제너다이오드(ZD1)로 구성된 배터리전압체크부를 통하여 마이컴(30)의 입력단(입력5)으로 입력된다.
마이컴(30)은 입력1(입력1) ~ 입력단8(입력8)과 출력단1(출력1) ~ 출력단9(출력9)를 제어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제어회로부(60)와 전기출력선전기모터(40)의 작동을 제어(컨트롤)한다.
상기 마이컴(30)은, 입력단5(입력5)로 입력되는 배터리(10)의 전압이 하위설정전압 이하 바람직하게는 3.8V이하이면 출력단7(출력7)에서 발광다이오드(LED2)를 발광시켜 배터리(10)를 충전시켜야 할 저전압 상태임을 표시하고, 배터리(10)를 충전기(11)에 의해 충전시키면 출력단8(출력8)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3)를 발광시켜 충전중임을 표시하며, 입력단5(입력5)로 입력되는 배터리(10)의 전압이 상위설정전압 이상 바람직하게는 4.9V이상이면 출력단9(출력9)에서 발광다이오드(LED4)를 발광시켜 충전이 완료된 상태임을 표시한다.
상기 배터리(10)에서 배터리전압체크부를 통하여 입력단5(입력5)로 입력되는 입력되는 전압이 상위설정전압(4.9V)과 하위설정전압(3.8V)과의 사이이면 마이컴(30)은 대기(입력1)상태를 유지시킨다.
저항(R1)이 구비된 스위치(SW1)를 ON시킴으로서 입력단1(입력1)은 출력을 개시(ON)하고, 저항(R2)이 구비된 스위치(SW2)를 OFF시킴으로서 입력단2(입력2)는 출력을 정지(OFF)시킨다.
마이컴(30)의 입력단6(입력6), 입력단7(입력7), 입력단8(입력8)에 펄스폭변환기와 출력주기변환기 및 출력시간변환기 바람직하게는 가변저항1(VR1)과 가변저항2(VR2) 및 가변저항3(VR3)을 각각 구비하고, 가변저항1(VR1)과 가변저항2(VR2) 및 가변저항3(VR3)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출력되는 출력값의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을 다양하게 변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펄스폭변환기와 출력주기변환기 및 출력시간변환기를 구성하는 가변저항1(VR1)과 가변저항2(VR2) 및 가변저항3(VR3)은 여러단계 바람직하게는 10단계씩 각각 설정하여 각 단계를 임의로(선택적으로) 조정(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펄스폭변환기(가변저항1:VR1)와 출력주기변환기(가변저항2:VR2) 및 출력시간변환기(가변저항3:VR3)를 각각 10단계씩 구비하게 되면 1000(10×10 ×10)단계의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출력신호를 다양하게 하면 어군의 종류와 특성 및 상태(수심)에 따라 출력신호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펄스폭변환기(가변저항1:VR1)와 출력주기변환기(가변저항2:VR2) 및 출력시간변환기(가변저항3:VR3)에서 발생하는 출력신호의 제어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펄스폭변환기(가변저항1:VR1)에 따른 펄스 폭 제어: 상하 1회출력되는 전기출력의 강도를 시간으로 조절하며, 최소 100㎲ ~ 최대 5㎳ 까지 10단계로 제어한다.
출력주기변환기(가변저항2:VR2)에 따른 전기출력의 주기의 기간을 조절하며, 최소 2초 주기 ~ 최대 60초 주기까지 10단계로 제어한다.
출력시간변환기(가변저항3:VR3)에 따른 출력유지시간을 제어하며, 최소 5초 ~ 최대 600초 및 연속 등 10단계로 제어한다.
출력단1(출력1)과 출력단2(출력2)는 상펄스와 하펄스를 출력하여 출력회로제어부(60)의 작동을 제어(컨트롤)하게 되고, 출력단1(출력1)과 출력단2(출력2)는 상펄스와 하펄스가 출력되는 동안에 출력단5(출력5)와 출력단6(출력6)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1)와 부저가 작동하여 출력상태임을 표시하여 외부에 알려준다.
출력단4(출력4)가 ON되면 전기출력선전기모터(40)가 정방향으로 작동(ON)하여 전기출력선(50)을 풀어주고, 전기출력선(50)의 풀기가 완료되어 인출감지기(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한 풀기완료신호가 입력단4(입력4)로 입력되면 전기출력선전기모터(40)는 정지(OFF)된다.
또 출력단3(출력3)이 ON되면 전기출력선전기모터(40)가 역방향으로 작동(ON)하여 전기출력선(50)을 감아 회수하고, 전기출력선(50)의 회수가 완료되어 회수감지기(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한 회수완료신호가 입력단3(입력3)으로 입력되면 전기출력선전기모터(40)의 작동은 정지(OFF)된다.
도 2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에서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발생기(100)의 구성(형성)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에 내장된 배터리(10)의 12V를 공급받아서 동작한다. 방형파 발생 IC(U2:ir2153)에서 출력된 하이(high)와 로우(low)펄스는 출력 FET(Q104)(Q105)에 교차하여 입력되고, 트랜스 퍼머(T1)에의 일차에는 12V의 교류 신호가 나타난다.
트랜스퍼머(T1)의 1차 권선수는 각각 6 회 이고 트랜스퍼머 (T1)의 2 차 권선수는 각각 150회로서, 트랜스퍼머(T1)의 1차측의 12V 교류 전압은 트랜스 퍼머(T1)의 권선비에 따라 승압되어 트랜스퍼머(T1)의 2차 측에 나타난다.
트랜스 퍼머(T1)의 2차 전압 = (150회/6회)*12V= 300V이며, 이 고압(300V)은 다이오드(D104)(D105)에서 정류되고 콘덴서(C106)에서 평활되어 출력회로로 공급(출력)된다.
미설명부호에서 C101, C102, C103, C104, C10는 콘덴서이고, D101, D102, D103는 다이오드, R101, R102, R103, R104, R107은 저항이다.
도 3은 상기 고압발생기(100)에서 공급되는 고압을 출력시키는 출력회로(70)이다.
하프브릿지(Half Bridre) 출력회로와 전압분할콘덴서(C7)(C8) 그리고 입력신호를 출력IGBT(Q1)(Q2)에 공급하는 IC(U2:IR2101)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력회로는 평소에 12V를 공급받아 출력하고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를 작동시키면 사용자의 스위치(75) 조작에 의해 300V으로 전환하여 고압의 전류를 출력한다.
미설명부호에서 D71는 다이오드이고, R71, R72, R73, R74,는 저항이며, ZD71과 ZD72는 제너다이오드이며, C72, C77, C78은 평활용 콘덴서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마이컴(30)의 아날로그 입력단자6(입력6), 입력단자7(입력7), 입력단자8(입력 8)에는 가변저항(VR1)(VR2)(VR3)을 각각 연결한 것으로서, 각 가변저항(VR1)(VR2)(VR3)의 상단에는 마이컴(30)의 전원과 동일한 DC5V가 입력된다.
마이컴의 아날로그단자는 8비트(bit)이며 이는 256 단계의 분해능력을 의미한다.
마이컴(30)의 입력단자6(입력6), 입력단자7(입력7), 입력단자8(입력 8)은 도 1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변저항1(VR1) 가변저항2(VR2), 가변저항3(VR3)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가변저항은 가변저항1(VR1) 가변저항2(VR2), 가변저항3(VR3)은 중심축(C점)이 상단의 A점과 하단의 B점 사이를 회전하면서 A점으로 입력되는 전기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여 C점으로 전달한다.
도 1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A점에 공급된 전압은 C점에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DC5V = 전압1 + 전압2 이며 C점의 전압을 CV라고하고 A점과 C점 사이의 저항을 ACR, B점과 C점 사이의 저항을 BCR, 이라고 가정하면 CV = [DC5V/(ACR+BCR)] * BCR이다.
가변저항1(VR1), 가변저항2(VR2), 가변저항3(VR3)의 값을 10㏀이라고 가정하고 C점의 위치를 B점 기준 70%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면, 10㏀ * 70% = 7㏀, 10㏀-7㏀= 3㏀, 정리하면 ACR = 3㏀ BCR =7㏀ 이 된다.
이때 마이컴(30)의 아날로그단자의 입력단자6(입력6), 입력단자7(입력7), 입력단자8(입력 8)에 입력되는 전압CV는 CV=전압2 이다이고, CV= [DC5V/(ACR+BCR)] * BCR 이므로 [DC5V/(3㏀+7㏀)] * 7㏀ = 3.5V이다.
이를 디지털 값으로 환산하면 (3.5V/5V)*256=179이다. 마이컴(30)은 179의 값을 환산하는데 이는 입력6(VR1)에서는 3㎳에 해당되며 이는 출력 펄스의 폭을 3㎳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입력7(VR2)에서는 40초에 해당되며 이는 출력 주기를 40초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입력8(VR3)에서는 400초에 해당되며 이는 출력을 400초간 실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압발생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에 내장된 배터리(10)의 12V를 공급받아서 동작한다. 방형파 발생 IC(U2:ir2153)에서 출력되는 하이(high)와 로우(low)펄스는 출력 FET(Q104)(Q105)에 교차하여 입력되고, 트랜스 퍼머(T1)의 일차에는 12V의 교류 신호가 나타나며, 트랜스퍼머(T1)의 1차측의 12V 교류 전압은 트랜스 퍼머(T1)의 권선비에 따라 승압되어 트랜스퍼머(T1)의 2차 측에 나타난다.
트랜스 퍼머(T1)의 2차 전압은 300V(150회/6회*12V)로서, 이 고압(300V)은 다이오드(D104)(D105)에서 정류되고 콘덴서(C106)에서 평활되어 출력회로(70)로 공급(출력)된다.
상기 고압발생기(100)에서 공급되는 고압을 출력시키는 출력회로(70)는, 평소에 12V를 공급받아 출력하고,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1)를 작동시키면서 스위치(75)를 조작하게 되면 300V으로 전환되어 고압의 전류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출력회로(70)에서 출력되는 고압(300V)의 전류는 전기출력선(50)을 통하여 바닷물로 출력되어 상어를 퇴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 목적별 출력제어 지능형 상어퇴치기
10: 배터리 20: 전원부
30: 마이컴 40: 전기출력선모터
50: 전기출력선 60: 출력회로제어부
70: 출력회로 100: 고압발생기

Claims (8)

  1. 전원의 전류를 바다물로 흘러보내 상어를 퇴치하도록 하되, 상기 전원은 충전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전원을 고전압으로 전환시키는 고전압발생기, 상기 고전압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회로제어부와 출력회로, 상기 고전압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의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을 다양하게 변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된 펄스폭변환기과 출력주기 변환기 및 출력시간 변환기, 상기 고전압발생기에서 발생하여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이 조정된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기출력선, 상기 배터리와 고전압발생기 그리고 펄스폭변환기과 출력주기 변환기 및 출력시간 변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충전과 고전압출력 그리고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은 일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된 상어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입력단5(입력5)로 입력되는 배터리의 전압이 하위설정전압 이하이면 발광다이오드(LED2)를 발광시켜 배터리(10)를 충전시켜야 할 저전압 상태임을 표시하도록 한 것과;
    배터리를 충전기에 의해 충전시키면 발광다이오드(LED3)를 발광시켜 충전중임을 표시하도록 한 것과;
    입력단5(입력5)로 입력되는 배터리의 전압이 상위설정전압 이상이면 발광다이오드(LED4)를 발광시켜 충전이 완료된 상태임을 표시하도록 한 것과;
    상기 배터리에서 배터리전압체크부를 통하여 입력단5(입력5)로 입력되는 입력되는 전압이 상위설정전압(4.9V)과 하위설정전압(3.8V)과의 사이이면 대기(입력1)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한 것과;
    스위치(SW1)를 ON시킴으로서 입력단1(입력1)은 출력을 개시(ON)하고, 스위치(SW2)를 OFF시킴으로서 입력단2(입력2)는 출력을 정지(OFF)시키도록 한 것과;
    입력단6(입력6), 입력단7(입력7), 입력단8(입력8)에 펄스폭변환기와 출력주기변환기 및 출력시간변환기를 각각 구비하여 출력되는 출력값의 펄스폭과 출력주기 및 출력시간을 변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출력되는 상하 펄스를 출력하여 출력회로를 제어하는 출력회로제어부를 제어하도록 한 것과;
    전기출력선전기모터의 정역 작동을 제어 및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별 출력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전압발생기는;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동작되도록 한 것과;
    방형파 발생 IC(U2:ir2153)에서 출력된 하이(high)와 로우(low)펄스는 출력 FET(Q104)(Q105)에 교차하여 입력도록 한 것과;
    트랜스 퍼머(T1)의 일차에는 12V의 교류이고, 2차 전압은 300V인 것과;
    상기 트랜스 퍼머(T1)의 2차 고압(300V)은 다이오드(D104)(D105)에서 정류되고 콘덴서(C106)에서 평활되어 출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별 출력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출력회로는;
    하프브릿지(Half Bridre) 출력회로와 전압분할콘덴서, 입력신호를 출력IGBT(Q1)(Q2)에 공급하는 IC(U2:IR2101)로 구성된 것과;
    상기 출력회로는 평소에 12V를 공급받아 출력하고, 사용자의 스위치(75) 조작에 의해 300V으로 전환하여 고압의 전류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별 출력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22431A 2014-09-16 2014-09-16 목적별 출력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 Active KR10161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431A KR101616741B1 (ko) 2014-09-16 2014-09-16 목적별 출력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431A KR101616741B1 (ko) 2014-09-16 2014-09-16 목적별 출력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407A KR20160032407A (ko) 2016-03-24
KR101616741B1 true KR101616741B1 (ko) 2016-04-29

Family

ID=5565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431A Active KR101616741B1 (ko) 2014-09-16 2014-09-16 목적별 출력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839B1 (ko) * 2016-07-05 2020-06-02 주식회사 아이언에스 상어 퇴치장치
US20220053753A1 (en) * 2019-01-07 2022-02-24 Hanazono Co., Ltd. A Device for Repelling Aquatic Organisms that cause Human Harm or Feeding Damage and Method for Using the Device
GB2588916B (en) * 2019-11-13 2023-08-02 Fishtek Marine Ltd Shark deterrent device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9275A (ja) 2004-11-29 2006-06-15 Techno Pulse:Kk 漁業用鮫撃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066796A (en) * 1995-05-22 1996-12-05 Natal Sharks Board Shark repellant devices
KR101074912B1 (ko) * 2009-12-30 2011-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해 어류 퇴치를 위한 물고기 로봇 및 유해 어류 퇴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9275A (ja) 2004-11-29 2006-06-15 Techno Pulse:Kk 漁業用鮫撃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407A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6310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elling aquatic creatures
EP0631721B1 (en) Control of sharks
US4667431A (en) Shark prod
US3683280A (en) Shark repelling device including pulse generator producing electrical field in water between widely spaced electrodes
US8988226B2 (en) High efficacy signal format and thin-profile ankle-mounting for electronic shark deterrent
US7924165B2 (en) Electronic shark deterrent
KR101616741B1 (ko) 목적별 출력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상어퇴치기
US7707764B1 (en) Light emitting fishing lure
US20220264870A1 (en) Shark deterrent device and method
US20120199079A1 (en) Electromagnetic apparatus and methods for affecting behavior in elasmobranch fish
JPS58501454A (ja) 電気的に魚をトロ−リングする方法と装置
JP6582307B2 (ja) 水中に生息する鮫等の人的被害或いは食害を齎す生物を忌避する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5417006A (en) Magnetic influence and control of living organisms
US20240172740A1 (en) Electric device and electric field barrier forming device
EP3662748B1 (en) Device for preventing aquatic organisms from jumping out
AU2012236557B2 (en) High efficacy signal format and thin-profile ankle-mounting for electronic shark deterrent
EP3125686B1 (en) Electronic ice jig with flashing light
US20220053753A1 (en) A Device for Repelling Aquatic Organisms that cause Human Harm or Feeding Damage and Method for Using the Device
KR102497393B1 (ko) El 와이어를 이용한 갈치 집어용 묶음추
KR100316197B1 (ko) 낚시질용 감전충격부여장치
AU2023203257B2 (en) Electric device, electric field barrier forming device and magnetic field barrier forming device
JP2015198627A (ja) 導電性とした漁網用のフィラメント糸、及び導電性とした釣り糸用のフィラメント糸、及び猪、鹿などからの防御が目的の高電圧印加が可能な編網用のフィラメント糸、及びその加工方法。
JP3506496B2 (ja) 魚釣り用の感電衝撃付与装置
WO2025127940A1 (en) A system configured to protect aquaculture installations from marine biological threats
DE10220453A1 (de) Fang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3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4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