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756B1 - Dive sea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ive seat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1756B1 KR101611756B1 KR1020140168498A KR20140168498A KR101611756B1 KR 101611756 B1 KR101611756 B1 KR 101611756B1 KR 1020140168498 A KR1020140168498 A KR 1020140168498A KR 20140168498 A KR20140168498 A KR 20140168498A KR 101611756 B1 KR101611756 B1 KR 1016117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cushion
- dive
- seat
- p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다이브 시트에 관한 것으로, 쿠션프레임의 전방 하부가 다이브링크를 매개로 플로어에 고정된 마운팅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쿠션프레임의 사이드멤버 후단이 백프레임의 백브라켓과 일체 회동되는 회동브라켓에 연결되어, 시트백 폴딩시 사이드멤버가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쿠션프레임이 후방 하향으로 다이브 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강성이 향상된 다이브 시트가 제공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ive seat, in which a front lower portion of a cushion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a mounting bracket fixed to a floor via a dive link, and a rear end of a side member of the cushion frame is integrally rotated with a back bracket The cushion frame is connected to the pivotal bracket so that the side member is pulled backward when folding back the seat back so that the cushion frame can be dived backward and downward. Accordingly, there is provided a dive sheet having a reduced number of parts, a simple structure, and improved rigid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다이브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백 폴딩시 시트쿠션이 후방 하향으로 이동되는 차량용 다이브 시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ive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ive seat in which a seat cushion is moved backward and downward when folding back a seat back.
여가를 캠핑 등 아웃도어 활동으로 즐기는 경향이 증가하면서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As the tendency to enjoy leisure activities as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is increasing, the use of SUV (Sports Utility Vehicle) vehicles is increasing.
SUV차량의 3열시트는 시트백을 전방으로 폴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시트쿠션을 다이브(Dive)하여 높이를 낮춤으로써 트렁크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The three row seat of the SUV vehicle not only folds the seatback forward, but also dives the seat cushion to lower the seat height, thereby further securing the trunk space.
종래의 다이브 시트는 시트백이 폴딩될 때 시트쿠션이 전방 하향으로 다이브되었는데, 이 경우 2열시트와의 거리가 줄어들어 시트백 폴딩시 헤드레스트가 2열시트에 간섭되고, 다이브된 시트에 의해 2열시트의 전후 위치 조절에 제한이 발생하였다.In the conventional dive sheet, when the seat back is folded, the seat cushion is danced downward.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 back and the two-row seat is reduced so that the headrest is interfered with the two- There was a restriction on the positional control of the front and rear.
따라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 - 1425353호(2014.08.01. 공고)(이하, 선행문헌이라 칭함)와 같이 시트백 폴딩시 시트쿠션이 후방으로 하향 이동되는 다이브 시트가 개발되었다.Therefore, a dive sheet in which the seat cushion is moved downward in the backward direction when the seat back is folded is develope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2535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다이브 시트는 다이브 작동에 관련된 링크 및 힌지의 수가 많아 구조 및 작동이 복잡하고, 이에 소음 발생 가능성이 크며, 시트의 주 지지부인 제3링크(130)가 회동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 상태(탑승자가 착석하는 상태)에서 고정 강도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dive sheet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operation due to a large number of links and hinges involved in the dive operation, has a high possibility of generating nois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link 130,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xed strength is weak in the use state (the occupant is seat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후방 하향 다이브 작동을 구현하면서도, 보다 단순하고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다이브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dive seat having a simpler and more robust structure while implementing a downward-facing downward dive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로어에 고정된 마운팅브라켓과,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쿠션프레임의 하부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쿠션프레임의 후방 이동시 하단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되는 다이브링크와,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후단에 복수의 볼트를 매개로 회동 불가하게 고정된 쿠션브라켓과, 백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쿠션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백브라켓과, 상기 백브라켓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쿠션프레임의 후단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백프레임 폴딩시 쿠션프레임을 후방으로 당겨주는 회동브라켓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shion frame comprising: a mounting bracket fixed to a floor; a dive unit rotatably connected at both ends of the mounting bracket to a lower portion of the cushion frame, A cushion bracket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bracket so as not to be rotatable via a plurality of bolts, a back bracket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back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cushion bracket, And a rear end of the cushion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shion frame so as to pull the cushion frame backward when the back frame is folded.
상기 쿠션브라켓의 내측에 백브라켓이 배치되고, 쿠션브라켓의 외측에 회동브라켓이 배치되며, 회동브라켓과 쿠션브라켓 및 백브라켓을 관통하여 힌지핀이 설치되고, 힌지핀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상부고정핀과 하부고정핀 및 캠힌지핀을 매개로 백브라켓에 회동브라켓이 일체 회동되도록 고정되며, 회동브라켓에서 힌지핀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연결홀에 쿠션프레임의 사이드멤버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A back bracket is disposed inside the cushion bracket, a pivot bracket is disposed outside the cushion bracket, a hinge pin is provided through the pivot bracket, the cushion bracket, and the back bracke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inge pi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rear end of the side member of the cushion frame is rotatably mounted to th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lower front of the hinge pin in the pivot bracket .
상기 캠힌지핀은 힌지핀을 기준으로 상부 후방에 배치되고, 캠힌지핀에 캠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쿠션브라켓의 상부 후단에 시트백 폴딩 방향으로 캠이 걸려지는 호형의 걸림면이 형성된다.The cam hinge pin is disposed on the upper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a cam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cam hinge pin, and an arc-shaped engaging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rear end of the cushion bracket to catch the cam in the seat back folding direction.
상기 하부고정핀은 힌지핀을 기준으로 하부 후방에 배치되고, 쿠션브라켓의 후면에 시트백이 세워졌을 때 하부고정핀이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시트백의 후방 회동을 제한한다.The lower fixing pin is disposed at the lower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and a latching jaw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cushion bracket to catch the lower fixing pin when the seat back is raised, restricting the backward rotation of the seatback.
상기 캠에 가이드핀이 설치되고, 가이드핀의 일단은 백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고, 타단은 회동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회동브라켓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가이드핀의 타단과 회동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 사이에 가이드핀을 하방으로 당겨주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되고, 가이드핀의 타단은 와이어를 매개로 시트백 후면에 설치된 시트백폴딩레버와 연결되어 가이드핀을 상방으로 당겨줄 수 있다.The cam has a guide pin. One end of the guide pin is inserted into a guide hole formed in the back bracket. The other end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on bracket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rotation bracket. A coil spring for pulling down the guide pin is provided between the spring fixing portion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The other end of the guide pin is connected to the seat back folding lever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eat back via the wire to pull the guide pin upward have.
상기 쿠션프레임은 프론트멤버와 리어멤버 및 이들의 양단을 전후로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를 포함하며, 프론트멤버의 하면에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다이브링크베이스브라켓이 장착되고, 다이브링크베이스브라켓의 단부와 마운팅브라켓에 형성된 다이브링크마운팅부의 사이에 다이브링크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cushion frame includes a front member, a rear member, and a pair of side members that connect both ends of the front member and the rear member. The dive link base bracket having both ends bent downward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member. And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dive link are rotatably connected between the end portion and the dive link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mounting bracke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쿠션의 후방 다이브 작동을 구현하면서도 부품수와 힌지 연결부의 수가 적은 다이브 시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dive sheet is provided which realizes the backward dive operation of the cushion and has fewer parts and fewer hinge connection parts.
따라서, 시트의 폴드 & 다이브 작동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동 중이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탑승자가 앉아 있을 때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쿠션브라켓이 복수의 볼트로 회전 불가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견고함 및 소음 감소 성능이 배가된다.Thus, the seat fold-and-dive operation is simplified, no noise is generated during operation, and the durability can be maintained when the occupant is seated while in operation or unfolded. Furthermore, since the cushion bracket is fixed in a non-rotatable state by a plurality of bolts, the robustness and noise reduction performance are doubled.
또한, 쿠션이 후방 하향 다이브됨으로써 전열시트와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다이브시트와 전열시트의 간섭이 방지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허용 높이가 증대되고, 전열시트의 전후 위치 조절의 자유도가 향상된다.Further, since the cushion is dribbled backward,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heat-transfer sheet, and interference between the dive sheet and the heat-transfer sheet is prevented. Therefore, the allowable height of the headrest is increased,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adjusting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heat transfer sheet is improved.
또한, 시트의 후방 다이브 완료시, 시트백 상단과 트렁크 플로어의 높이가 같아지고, 시트백과 트렁크 플로어의 사이의 틈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트렁크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다.Further, at the completion of the backward dive of the seat, the height of the seatback top becomes equal to the height of the trunk floor, and there is no gap between the seatback and the trunk floor, thereby improving trunk space utiliz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브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프론트크로스멤버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회동브라켓과 쿠션사이드멤버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시트백 폴딩부 확대도.
도 5는 도 4에 회동브라켓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시트백 폴딩 전의 다이브 시트 측면도.
도 7은 시트백 폴딩 중의 다이브 시트 측면도.
도 8은 시트백 폴딩이 완료된 다이브 시트의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v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cross member disassembled in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vot bracket and the cushion side member disassembled in Fig. 1;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at back folding portion of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rotation bracket is mounted on Fig. 4; Fig.
6 is a side view of the dive sheet before folding back the seat back.
7 is a side view of the dive sheet during seat back folding;
8 is a side view of a dive seat in which seat back folding is complet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precedent.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이브 시트는 플로어에 고정된 마운팅브라켓(100)과, 마운팅브라켓(100)에 후방 다이브 가능하게 설치된 쿠션프레임(200)과, 쿠션프레임(20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쿠션프레임(200)의 상부로 폴딩될 수 있는 백프레임(300)을 포함한다.1 to 3, a vehicle div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마운팅브라켓(100)은 시트 전체를 지지하는 것으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이며, 플로어에 볼트로 고정된다.The
쿠션프레임(200)은 쿠션의 형상과 같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프론트멤버(210)와 리어멤버(220) 및 이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230)가 상호 용접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좌우측의 사이드멤버(230)는 L-브라켓으로 지칭되는 바와 같이 리어멤버(220)와의 결합부 후단이 L자 형상으로 구부려져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프론트멤버(210)와 리어멤버(220)의 사이에는 탑승자의 체중을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S형이 반복 형성된 형상의 지지스프링(240)이 복수 개 연결된다.Between the
프론트멤버(210)의 하면에는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다이브링크베이스브라켓(250)이 볼트로 고정된다.A dive
다이브링크베이스브라켓(250)의 양단에는 쿠션의 다이브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다이브링크(260) 상단이 볼트를 매개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한 쌍의 다이브링크(260) 하단은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마운팅브라켓(10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다이브링크마운팅부(110)에 볼트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즉, 다이브링크(26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쿠션프레임(200)과 플로어측의 마운팅브라켓(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at i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마운팅브라켓(100)의 후단에는 쿠션브라켓(270)의 하단이 복수의 볼트(B1,B2)를 매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The lower end of the
백프레임(300)의 양측면 하부에는 백브라켓(310)이 볼트로 고정된다.A
백브라켓(310)은 쿠션브라켓(270)의 내측면측에 힌지핀(P1)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브라켓(310)에는 힌지핀(P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부고정핀(P2)과 하부고정핀(P3) 및 캠힌지핀(P4)이 장착된다.4, an upper fixing pin P2, a lower fixing pin P3, and a cam hinge pin P4 are mounted on the
쿠션브라켓(270)의 외측면측에는 회동브라켓(320)이 장착된다. 회동브라켓(320)에는 상기 힌지핀(P1), 상부고정핀(P2), 하부고정핀(P3), 캠힌지핀(P4)에 대응되는 힌지핀홀(321), 상부고정핀홀(322), 하부고정핀홀(323) 및 캠힌지핀홀(324)이 형성된다. 상기 각 핀(P1,P2,P3,P4)이 각각 대응하는 핀홀(321,322,323,324)에 삽입되는 상태로 회동브라켓(320)이 쿠션브라켓(270)을 사이에 두고 백브라켓(310)의 외측에 장착된다.A
따라서, 백브라켓(310)이 힌지핀(P1)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 회동브라켓(320)도 백브라켓(310)과 일체로 힌지핀(P1)을 중심으로 회동된다.Therefore, when the
회동브라켓(320)의 힌지핀홀(321)을 중심으로 전방 하측 부분에는 연결홀(326)이 형성된다. 연결홀(326)에는 쿠션프레임(200)의 사이드멤버(230) 후단이 볼트(B3)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홀(326)은 회동브라켓(320) 회동시 사이드멤버(230)와의 연결 볼트(B3)의 간섭에 의해 회동이 억제되지 않도록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백프레임(310)과 일체로 회동브라켓(320)이 시트백 폴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할 때 연결홀(326)에 연결된 사이드멤버(230)를 차량의 뒤쪽 방향으로 당겨줄 수 있게 된다.A
상부고정핀(P2)은 힌지핀(P1)을 기준으로 상부 전방에 위치된다. 백브라켓(310) 폴딩시 상부고정핀(P2)의 이동 경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쿠션브라켓(270)의 전방 상단은 힌지핀(P1)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면(271)으로 형성된다. 상부고정핀(P2)에 롤러를 설치하고, 그 롤러를 호형면(271)에 접하도록 하여 호형면(271)을 가이드면으로 이용함으로써 백브라켓(310)의 회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upper fixing pin P2 is positioned at the upper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P1. The front upper end of the
하부고정핀(P3)은 힌지핀(P1)을 기준으로 하부 후방에 위치된다. 시트백이 보통의 사용 상태(탑승자 착석 상태)에 있을 때 하부고정핀(P3)을 지지하는 걸림턱(272)이 쿠션브라켓(270)의 후면에 형성된다. 즉, 걸림턱(272)은 전방으로 회동되었던 백브라켓(310)이 원위치로 복귀 회동할 때 하부고정핀(P3)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 역할을 하여 시트백의 복귀 위치를 일정하게 제한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lower fixing pin P3 is positioned at the lower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P1. A latching
캠힌지핀(P4)은 힌지핀(P1)을 기준으로 상부 후방에 위치된다. 캠힌지핀(P4)에는 이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캠(330)이 설치된다.The cam hinge pin P4 is positioned at the upper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P1. The cam hinge pin (P4) is provided with a cam (330) rotatable about the cam pin (P4).
쿠션브라켓(270)의 상부 후단에는 캠(330)의 회동 경로를 따라 호형의 걸림면(273)이 형성된다. 따라서, 캠(330)이 걸림면(273)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백브라켓(310)이 전방으로 회동될 수 없으므로 시트백은 사용상태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an upper rear end of the
캠(330)에는 캠힌지핀(P4)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가이드핀(P5)이 설치된다. 가이드핀(P5)의 일측(시트 내측 방향) 단부는 캠(330)을 관통하여 백브라켓(310)에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홀(311)에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홀(311)은 캠힌지핀(P4)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가이드핀(P5)과 동일 거리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캠힌지핀(P4)을 중심으로 캠(330)이 회동할 때 가이드핀(P5)이 가이드홀(311)에 의해 안내되므로 캠(330)의 회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The
가이드홀(311)은 가이드핀(P5)의 회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캠(330)의 상향 및 하향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역할도 수행한다.The
상기 가이드홀(311)에 상응하는 가이드홀(325)이 회동브라켓(320)에도 형성된다. 회동브라켓(320) 장착 상태에서 가이드핀(P5)의 타측(시트 외측 방향) 단부는 도 5에서와 같이, 가이드홀(325)의 외측으로 돌출된다.A
회동브라켓(320)의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핀(P5)은 코일스프링(340)(원통형으로 간략히 도시함)을 매개로 회동브라켓(320)의 하단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327)에 연결된다. 코일스프링(340)의 양단은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데 그 상단은 가이드핀(P5)에 걸려지고 하단은 스프링고정부(327)에 형성된 삽입홀(327a)에 삽입되어 걸려진다. 코일스프링(340)은 인장스프링으로서 가이드핀(P5)을 항상 하방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pin P5 protruding outwardly of the
또한, 가이드핀(P5)은 시트백의 후면에 설치되는 시트백폴딩레버(미도시)와 와이어(350)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핀(P5)의 단부에 결합된 캡(360)(도 1, 도 2 참조)의 내부에 와이어(35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재(351)가 걸려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트백폴딩레버를 당기면 와이어(350)가 당겨져서 가이드핀(P5)을 상방으로 당겨주며, 이에 캠(330)이 상방으로 회동되어 캠(330)에 의한 백브라켓(310) 록(lock) 상태가 해제된다.The guide pin P5 is connected to a seat back folding lever (not shown)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eat back by a
이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도 1 내지 도 5 동시 참조)Now,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ee FIGS. 1 to 5)
도 6은 시트백 폴딩 전 상태의 다이브 시트 측면도로서, 일반적인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하부고정핀(P3)이 쿠션브라켓(270) 후면의 걸림턱(272)에 걸려 있으므로 시트백이 더 이상 후방으로 젖혀지지 않고 탑승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다.6 is a side view of the dive seat in a state before folding back the seat back, showing a general use state. In this state, the lower fixing pin P3 is caught by the
또한, 코일스프링(340)에 의해 가이드핀(P5)이 하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캠(330)이 쿠션브라켓(270)의 걸림면(273)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백브라켓(310)이 전방으로 회동할 수 없는 폴딩 록 상태를 유지한다.The guide pin P5 is pulled downward by the
따라서, 백브라켓(310)에 고정된 회동브라켓(320)도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회동브라켓(320)에 연결된 사이드멤버(230)도 전후진이 불가한 상태로 고정된다.Therefore, the
따라서, 쿠션프레임(200)의 전후 위치가 고정되므로 쿠션프레임(200)에 연결된 다이브링크(260)도 회동 불가한 상태가 되며, 그 상태에서 쿠션프레임(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이때 쿠션브라켓(270)의 하단이 마운팅브라켓(100)에 복수의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쿠션브라켓(270)에 직/간접으로 연결된 모든 부품들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시트가 탑승자의 체중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lower end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다이브 시트의 폴드 & 다이브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The folding and diving operation of the div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s follows.
사용자가 시트백 후면에 구비된 시트백폴딩레버를 당기면 그에 연결된 와이어(350)가 가이드핀(P5)을 상방으로 당겨줌으로써(정확히는 가이드핀(P5)에 장착된 캡(360)을 당김) 캠(330)이 상방으로 회동하여 쿠션브라켓(270)의 걸림면(273)으로부터 이탈된다.When the user pulls the seat back folding lever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eat back, the
상기와 같이 캠(330)에 의한 폴딩 록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사용자는 시트백을 전방으로 밀어 백프레임(300)을 힌지핀(P1)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시트백을 폴딩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olding lock state by the
도 7과 같이, 시트백이 폴딩될 때 즉, 백프레임(300)이 전방으로 회동될 때 백프레임(300)에 고정된 백브라켓(310)이 전방으로 회동되고, 백브라켓(310)에 고정된 회동브라켓(320)도 일체로 전방으로 회동된다.7, when the seat back is folded, that is, when the
회동브라켓(320)이 전방으로 회동되면 회동브라켓(320)의 연결홀(326)이 위치 불변하는 힌지핀(P1)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하므로 연결홀(326)에 연결된 쿠션프레임(200)의 사이드멤버(230)가 후방으로 당겨진다.The
따라서, 쿠션프레임(200) 전체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쿠션프레임(200)의 후방 이동에 연동하여 쿠션프레임(200)의 하측에 연결된 다이브링크(260)가 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쿠션프레임(200)의 높이가 낮아진다.The
상기와 같은 폴드 & 다이브 작동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백프레임(300)과 쿠션프레임(200) 및 마운팅브라켓(100)은 상호 평행 상태로 적층된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When the folding and diving opera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시트를 사용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시트백을 상향 회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시트백 즉, 백프레임(300)이 완전히 상향 회동되면 하부고정핀(P3)이 쿠션브라켓(270) 후면의 걸림턱(272)에 걸려져서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때 코일스프링(340)에 의해 가이드핀(P5)이 하방으로 당겨져서 캠(330)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캠(330)이 쿠션브라켓(270)의 걸림면(273)에 다시 걸려짐으로써 시트백이 전방으로 회동할 수 없도록 잡아주게 된다.In order to return the seat to the use state, it is sufficient to turn the seat back upward. When the
백프레임(300) 상향 회동에 연동하여 백브라켓(310)과 회동브라켓(320)도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때 회동브라켓(320)의 상향 회동에 의해 사이드멤버(230)가 전방으로 밀려져 쿠션프레임(200)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다이브링크(260)가 전방으로 상향 회동하여 쿠션프레임(200) 지지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이브 시트는 기본적인 폴딩 시트에 백브라켓(310)과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브라켓(320)을 설치하고, 쿠션프레임(200)의 사이드멤버(230)를 회동브라켓(320)에 연결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후방 다이브 시트를 구현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div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folding sheet is provided with the
따라서, 후방 다이브를 위한 부품(링크, 힌지 등)의 수가 줄어 장치의 구성이 매우 단순해지고, 작동시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게 감소하였다.Therefore, the number of components (links, hinges, etc.) for the rear dive is reduced, which greatly simplifies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and greatly reduces the possibility of noise during operation.
또한, 적은 수의 부품으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에 더하여 시트 지지의 기본이 되는 부품인 쿠션브라켓(270)이 복수의 볼트를 매개로 고정됨으로써 시트 고정 상태가 보다 견고해져 폴드 및 다이브 작동시나 탑승자 착석시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작동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이브 시트는 시트백 폴딩시 쿠션이 후방으로 하향 다이브 됨으로써 전열시트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트백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의 허용 높이를 증대할 수 있게 되고, 전열시트의 전후방향 위치 이동이 보다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div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void interference with the heat-transfer sheet by diving downward the cushion when the seat back folds backward. Therefore, the allowable height of the headres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atback can be increased, and the front-rear directional movement of the heat-transfer sheet can be made more freely.
또한, 시트의 후방 다이브 완료시, 폴딩된 시트백 상단과 트렁크 플로어의 높이가 같아짐은 물론, 트렁크 플로어와 시트백 후단이 밀착되어 시트와 트렁크 플로어 사이의 틈이 존재하지 않게 됨으로써 보다 넓고 바닥이 고른 트렁크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eat is backwardly docked, the height of the folded seat back and the trunk floor are mad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gap between the seat and the trunk floor does not exist due to the close contact of the trunk floor and the rear end of the seatback, Space can be ensur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이브 시트는 시트백의 길이가 쿠션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시트백이 완전 폴딩되었을 때 도 8과 같이 쿠션의 전방 단부 (E1)보다 시트백의 전방 단부(E2)가 더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시트백 폴딩 상태에서 헤드레스트 전면 상부의 돌출부가 쿠션 앞쪽 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쿠션 상부에 헤드레스트의 돌출부가 접하여 쿠션과 시트백의 사이에 들뜨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Meanwhile, in the div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seat back is longer than that of the cushion. Therefore, when the seat back is completely folded, the front end portion E2 of the seatback is projected further forward than the front end portion E1 of the cushion as shown in Fig. Therefore, in the seat back folding state, the projecting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rest front can be positioned in the space in front of the cushion, so that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headre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 thereby preventing the space between the cushion and the seatback from being formed.
따라서, 시트백의 높이를 더욱 낮게 하여 트렁크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타입의 헤드레스트를 적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height of the seat back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trunk space can be secured more widely, and various types of headrests can be appli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understanda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마운팅브라켓 110 : 다이브링크마운팅부
200 : 쿠션프레임 210 : 프론트멤버
220 : 리어멤버 230 : 사이드멤버
240 : 지지스프링 250 : 다이브링크베이스브라켓
260 : 다이브링크 270 : 쿠션브라켓
300 : 백프레임 310 : 백브라켓
320 : 회동브라켓 330 : 캠
340 : 코일스프링 350 : 와이어
B1,B2,B3 : 볼트 P1 : 힌지핀
P2 : 상부고정핀 P3 : 하부고정핀
P4 : 캠힌지핀 P5 : 가이드핀100: Mounting bracket 110: Dive link mounting part
200: Cushion frame 210: Front member
220: rear member 230: side member
240: Support spring 250: Dive link base bracket
260: Dive link 270: Cushion bracket
300: back frame 310: back bracket
320: Rotation bracket 330: Cam
340: coil spring 350: wire
B1, B2, B3: Bolt P1: Hinge pin
P2: Upper fixing pin P3: Lower fixing pin
P4: Cam hinge pin P5: Guide pin
Claims (6)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쿠션프레임의 하부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쿠션프레임의 후방 이동시 하단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되는 다이브링크와,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후단에 복수의 볼트를 매개로 회동 불가하게 고정된 쿠션브라켓과,
백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쿠션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백브라켓과,
상기 백브라켓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쿠션프레임의 후단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백프레임 폴딩시 쿠션프레임을 후방으로 당겨주는 회동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브라켓의 내측에 백브라켓이 배치되고, 쿠션브라켓의 외측에 회동브라켓이 배치되며, 회동브라켓과 쿠션브라켓 및 백브라켓을 관통하여 힌지핀이 설치되고, 힌지핀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상부고정핀과 하부고정핀 및 캠힌지핀을 매개로 백브라켓에 회동브라켓이 일체 회동되도록 고정되며, 회동브라켓에서 힌지핀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연결홀에 쿠션프레임의 사이드멤버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이브 시트.Mounting brackets fixed to the floor,
A dive link rotatably connected at its lower e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cushion frame, the dive link being pivoted rearward about a lower end when the cushion frame is moved backward;
A cushion bracket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bracket so as not to be rotatable through a plurality of bolts,
A back bracket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back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cushion bracket,
And a pivotal bracket fixed to the back bracket and integrally rotated, and a rear end of the cushion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so as to pull the cushion frame backward when the back frame is folded,
A back bracket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cushion bracket and a pivot bracket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ushion bracket and a hinge pin is provided through the pivot bracket, the cushion bracket and the back bracket, And the rear end of the side member of the cushion frame is rotatably mounted to th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lower front of the hinge pin in the pivot bracket. The pivoting bracket is fixed to the back bracket via the upper fixing pin, the lower fixing pin and the cam hinge pin, Wherein the dive sea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seat.
상기 캠힌지핀은 힌지핀을 기준으로 상부 후방에 배치되고, 캠힌지핀에 캠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쿠션브라켓의 상부 후단에 시트백 폴딩 방향으로 캠이 걸려지는 호형의 걸림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이브 시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m hinge pin is disposed on the upper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the cam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cam hinge pin, and the arc-shaped engaging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rear end of the cushion bracket to catch the cam in the seat back folding direction And a dive seat for a vehicle.
상기 하부고정핀은 힌지핀을 기준으로 하부 후방에 배치되고, 쿠션브라켓의 후면에 시트백이 세워졌을 때 하부고정핀이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시트백의 후방 회동을 제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이브 시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fixing pin is disposed at a lower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and a latching jaw is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cushion bracket to catch the lower fixing pin when the seat back is raised, Vehicle dive seat.
상기 캠에 가이드핀이 설치되고, 가이드핀의 일단은 백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고, 타단은 회동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회동브라켓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가이드핀의 타단과 회동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 사이에 가이드핀을 하방으로 당겨주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되고, 가이드핀의 타단은 와이어를 매개로 시트백 후면에 설치된 시트백폴딩레버와 연결되어 가이드핀을 상방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이브 시트.The method of claim 3,
The cam has a guide pin. One end of the guide pin is inserted into a guide hole formed in the back bracket. The other end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on bracket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rotation bracket. A coil spring for pulling down the guide pin is provided between the spring fixing portion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The other end of the guide pin is connected to the seat back folding lever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eat back via the wire to pull the guide pin upward Wherein the dive seat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상기 쿠션프레임은 프론트멤버와 리어멤버 및 이들의 양단을 전후로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를 포함하며, 프론트멤버의 하면에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다이브링크베이스브라켓이 장착되고, 다이브링크베이스브라켓의 단부와 마운팅브라켓에 형성된 다이브링크마운팅부의 사이에 다이브링크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이브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shion frame includes a front member, a rear member, and a pair of side members that connect both ends of the front member and the rear member. The dive link base bracket having both ends bent downward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member.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ive link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end portion and the dive link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mounting bracke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68498A KR101611756B1 (en) | 2014-11-28 | 2014-11-28 | Dive seat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68498A KR101611756B1 (en) | 2014-11-28 | 2014-11-28 | Dive seat for vehic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11756B1 true KR101611756B1 (en) | 2016-04-11 |
Family
ID=558008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684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1756B1 (en) | 2014-11-28 | 2014-11-28 | Dive seat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11756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966499B2 (en) | 2002-01-29 | 2007-08-29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Vehicle seat |
| JP4023720B2 (en) | 2002-01-29 | 2007-12-19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Vehicle seat |
| JP5119910B2 (en) | 2007-12-26 | 2013-01-16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Vehicle seat |
-
2014
- 2014-11-28 KR KR1020140168498A patent/KR10161175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966499B2 (en) | 2002-01-29 | 2007-08-29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Vehicle seat |
| JP4023720B2 (en) | 2002-01-29 | 2007-12-19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Vehicle seat |
| JP5119910B2 (en) | 2007-12-26 | 2013-01-16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Vehicle sea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421894B2 (en) |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 |
| KR101790543B1 (en) | Foldable baby carriage | |
| US20140145476A1 (en) | Vehicle seat | |
| US8622468B2 (en) | Seat back device | |
| WO2015098040A1 (en) | Vehicle seat | |
| JP2009173067A (en) | Vehicle storage seat | |
| KR101268179B1 (en) |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 |
| KR101372960B1 (en) | Apparatus for folding and walk-in motions of vehicle seat | |
| JP6378052B2 (en) | Vehicle seat | |
| CN105142974A (en) | Vehicle seat | |
| KR101611756B1 (en) | Dive seat for vehicle | |
| JP3662873B2 (en) | Vehicle seat | |
| JP6236233B2 (en) | Vehicle seat | |
| JP6347688B2 (en) | Vehicle seat | |
| JP2013139199A (en) | Vehicle seat | |
| JP6033206B2 (en) | Vehicle seat | |
| KR20140057763A (en) | Seat linkage typed folding headrest device | |
| JP6912722B2 (en) | Vehicle seat | |
| KR20120072601A (en) |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 |
| JP6527555B2 (en) | Vehicle seat | |
| KR101723101B1 (en) | Folding reclining device of semi locking structure having vehicle seat | |
| KR101593849B1 (en) | Apparatus for sliding in headrest | |
| JP2014205429A (en) | Vehicle seat | |
| JP2010076603A (en) | Seat device of vehicle | |
| JP6263421B2 (en) | Vehicle sea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4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