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5239B1 -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239B1
KR101645239B1 KR1020140077646A KR20140077646A KR101645239B1 KR 101645239 B1 KR101645239 B1 KR 101645239B1 KR 1020140077646 A KR1020140077646 A KR 1020140077646A KR 20140077646 A KR20140077646 A KR 20140077646A KR 101645239 B1 KR101645239 B1 KR 101645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measured
health
real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361A (ko
Inventor
홍창영
홍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씨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씨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씨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77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2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2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피측정인의피측정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피측정인의 현 얼굴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피측정인의 건강 상태 정보가 입력되는 피측정인의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건강 정보를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아 처리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와 직렬 통신을 수행하고, 피측정인의 체온, 혈당, 혈압, 몸무게 등의 측정 정보를 측정인에게 제시하는 측정인의 단말기와, 상기 측정인의 단말기 및 상기 관리서버 상호 간에 대한 유선 또는 무선 제어를 수행하는 무선 제어부를 포함하여, 병원이나 진료기관과 멀리 떨어진 소외된 거주지에서 생활하는 피측정인(독거노인, 병약자, 고령자 등)들을 대상으로 원격 진료가 가능해 짐에 따라, 피측정인의 건강 관리가 편리하고, 피측정인에게 급작스레 발생되는 건강 이상 징후 시에도 조기에 응급 조치가 수행될 수 있어 피측정인의 수명을 늘릴 수 있고, 병원에 일일이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어 줄 수 있는 원견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Real Media For Living Health}
본 발명은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병원이나 진료 기관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들과 같은 고령자나 노약자들을 대상으로 원격 진료를 수행하여 건강의 관리나 유지를 편리하게 받아볼 수 있는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견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은 고려화 사회로 진압하였다. 특히, 지역 주변의 섬 등에 거주하는 고령 주민이 많은데, 건강을 체크해야 할 경우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멀고, 병원이나 의원 등을 통한 검사나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
현재의 의료 체계에서 환자의 건강관리는 환자 본인이 직접 의료 기관에 방문하여 각종 진료 및 신체 상태 측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는 사회구조, 즉 65세 이상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인구의 20% 이상인 고령화 사회에서는 국가에 의해 관리되어야 하는 고령 인구 증가와 이에 따른 국가의 의료 지원비 증가를 예측하게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고령화 인구의 증가는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미래의 의료 시스템은 진료나 치료보다는 IT 관련 기술혁신 및 인프라 확충을 통한 U-health care(원격건강관리)를 이용하여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과 같은 성인병의 지속적인 생체모니터링 등 예방중심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휴대용 생체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9035호, 제10-2005-0099780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305406호에 서술되어 있듯이 생체 측정의 한계를 맥박 혹은 혈압에 국한을 시키고 있고 신체 상태 측정을 기존의 휴대용 장치를 이용하거나 공개번호 제10-2006-0009035호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센서와 인체와의 접촉을 위해 팔찌나 띠와 같은 외부 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전원부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active형으로 국한되어 있다. 즉, 센서의 사이즈 및 종류에 대한 한계를 두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생체 모니터링을 위한 실시간성 및 다양성에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사이즈 및 측정 방법의 다양성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센서의 통신 방식을 active뿐 아니라 Passive 즉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현재의 반도체 기술은 나노 사이즈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인 진보를 이루고 있다. 반도체 기술의 발달은 전기 전자 신호 처리에 의해 동작되는 센싱 시스템의 사이즈 및 기능의 진보적 발달에 큰 영향을 주었다.
건강을 점검함에 있어서 간단하고도 기본적인 측정은 가정 내에서도 하고 있으나, 만성 고질병의 경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데, 고령자들은 이러한 지속적인 관리를 수행하기에는 연로하여 이행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 건강 상태의 실질적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피검자인들은 불규칙한 식사 습관, 증가하는 패스트푸드 선호, 업무 스트레스, 운동 부족 등으로 건강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자가 진단을 위해 많은 제품이 시중에 출시되어 있지만 휴대가 용이하지 않고, 지속적인 실시간 데이터 관리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자가진단 측정기가 시중에 출시되어 있지만 측정된 데이터를 컴퓨터나 휴대폰에 전송하는 시스템 구축이 아직은 이루어지지 않을 뿐더러 각각의 측정 목적을 위해 특수목적 측정기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혈액 채취가 필요한 건강 측정기의 경우 측정기 중복 사용에 따른 2차 감염의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측정기를 구매해도 사용자 혼자서 측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최근의 기술동향이나 경쟁력을 고려해볼 때, 국내의 경우, 일반 측정기는 다수 존재하며, 이들에 대한 사례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 측정용 기기로는, 피측정인(고령자나 노약자)들의 건강측정정보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피측정인과 측정인 상호 간의 밀접한 교류가 단절되어 건강의 관리나 유지가 어렵다. 물론, 국외의 경우에도, 블루투스 혈당 측정기는 이미 공지된바 있으나, 혈압이나 체온과 같은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측정기는 공지된바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903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978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05406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측정인의 체온, 혈당, 혈압, 몸무게 등을 휴대용 기기들과 컴퓨터 및 무선 통신이 가능한 센서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특정 장소의 병원이나 진료기관 등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간편하게 피측정인 스스로 건강 검진을 할 수 있게 한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아울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패치형 센서와 일반 자가 건강 검진 및 건강관리 기능이 내재된 휴대용 이동 통신 단말기, 고정식 유선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등과 연동하여 실시간 자가 건강관리를 유지할 수 있는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피측정인에 장착된 센서부로부터 센서 신호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관리서버에서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2단계와, 상기 관리서버에서 관리된 건강 정보 데이터를 직렬 통신으로 측정인의 단말기에 전송하여 파악하는 제3단계와, 상기 측정인의 단말기에 전송된 건강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측정인에게 처방 및 지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 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방법에 다른 일례의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단계에서는, 피측정인의 실시간 얼굴 상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컴퓨터로 분석하는 제1a 단계와, 피측정인의 실시간 육성 상태를 녹음하여 컴퓨터로 분석하는 제1b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a 단계는, 피측정인의 실시간 얼굴 상태에 대한 이미지를 이미 건강한 상태의 이미지로 저장한 표준 이미지와 매칭하여, 건강 이상 징후 시 야기되는 이미지로 판단될 경우 측정인에게 경고음을 통하여 알리고, 건강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다시 피측정인의 실시간 얼굴 이미지를 표준 이미자와 매칭하는 제1a-1 단계와, 경고음을 들은 측정인으로 하여금 즉시 피측정인과 의사소통하여 피측정인으로부터 건강에 이상이 있다는 점을 잠정 결정하여 병원이나 소방서에 피측정인에 대한 송환을 통보하는 제1a-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b 단계는, 피측정인의 녹음된 음향 신호가 전달되면 HPF에 의해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 1b-1 단계와, 상기 제 1b-1 단계 후 음향의 주파수 패턴을 비교하는 제 1b-2 단계와, 상기 제 1b-2 단계에서 주파수 패턴 비교에 의해 피측정인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측정인에게 경고음을 통하여 알리고, 피측정인의 건강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다시 음향을 감시하도록 하는 제 1b-3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4단계는, 피측정인의 체온, 혈당, 혈압, 몸무게 등의 건강 측정 정보에, 피측정인의 현 실시간 얼굴 상태로 파악되는 건강 측정 정보, 및 피측정인의 현 실시간 육성 상태로 파악되는 건강 측정 정보를 더 부가하여 피측정인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객관화시켜 최종 결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피측정인에게 처방 및 지시하는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 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방법에 다른 일례의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무선 기능을 통한 자동 원격 조작을 수행하며, 피측정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 및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어플에 의해 도출된 피측정인(고령자 및 노약자 등)의 건강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측정인(의료인 또는 보호자)에게 전송하여 전문적인 건강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센서 정보를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해 전달받아 피측정인의 건강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며, 주택이나 가정 내에서 피측정인의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신 가정에서 홀로 지내는 고령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건강상의 레드신호(비정상) 상태를 신속히 간파하여, 응급 조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령자들의 수명을 연장하는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에 가지 않고서도 가정에서 고령자들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며, 간단한 처방이나 지시를 집에서도 받아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령자들의 건강 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인 관리용 통신망을 구축함에 따라, 피측정인(고령자)와 측정인(의사, 보호자)들 상호 간의 원격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여, 무인 관리시스템을 확장 적용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생활 대부분의 활동 장소인 가정(집)에서의 관리가 중요한데, 이러한 가정에서의 관리를 위해 의료인이나 동거인이 고령자들과 동일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건강 상황의 측정이나 관리 등을 실질적인 것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센서 네트워크 관리부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데이터 처리부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단계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a단계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1b단계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방법에 대한 일부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5 및 도 7을 참고로 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방법에 대한 일부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울러, 하기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해석한 확장 범위까지 포함하는 권리범위로 인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본건강 측정 센서가 장착된 측정기기와 상기 측정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 또는 기기의 전용 S/W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현지(피측정인 거주지)와 원격지(측정인 거주지)에서 건강정보를 측정하여, 실감미디어 기반에 사용자 간 또는 진료인과의 원격 관리가 가능한 원격 건강 관리 시스템이다.
즉, 센서가 장착된 기기와 통신 가능한 스마트기기 또는 장비를 연결하여 송출하고, 이러한 송출 정보는 유무선을 통하여 관리서버와 연결하여 또 다른 스마트기기 또는 장비에서 그 측정정보를 실감미디어 기반으로 모니터링, 진료 , 처방, 관리 및 통제를 함으로써 개인 또는 관리자, 본인 등의 건강을 생활 속에서 용이한 관리가 가능해 진다.
개괄적인 구성요소로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체온, 혈당, 혈압, 측정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기기나 장비 및 실감 미디어기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피측정인)과, 사용자별 실감미디어기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측정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후술되는 용어 중 '피측정인'과 '측정인'이 명기된바, 상기 '피측정인'은 고령자 및 노약자나 관찰 대상이 필요한 유아기 또는 건강 측정 정보를 통한 자가 확인이 요망되는 자들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측정인'은 상기 피측정인을 능동적으로 돌보아야 하는 자로서, 의료인인 의사나, 피측정인을 법적으로 부양하는 부양자인 보호자나, 제3의 관리자 등을 총칭하여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로 구성된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피측정인의 건강 상태 정보가 입력되는 피측정인의 단말기(200)와, 상기 피측정인의 단말기(200)에 입력된 건강 정보를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아 처리하는 관리서버(300)와; 상기 관리서버(300)와 직렬 통신을 수행하고, 피측정인의 체온/혈당/혈압/몸무게의 측정 정보를 측정인에게 제시하는 측정인의 단말기(400)와, 상기 단말기(400) 및 상기 관리서버(300) 상호 간에 대한 유선 또는 무선 제어를 수행하는 무선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100)는 통신 가능한 측정 기기에 부착된 것으로, 피측정인은 상기 측정 기기를 통하여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 기기에 부착된 센서부(100)로 하여금 피측정인의 건강 이상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100)는, 피측정인의 체온, 혈당, 혈압, 몸무게를 측정하는 센서(110, 120, 130, 140)로 구성되는 한편, 피측정인의 현 얼굴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관리서버(300)에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영상처리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110)은 피측정인의 정상치 체온을 벗어난 범위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상기 센서(120)은 피측정인의 정상치 혈당을 벗어난 범위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상기 센서(130)은 피측정인의 정상치 혈압을 벗어난 범위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상기 센서(140)은 피측정인의 키에 기준하여 정상치 몸무게의 저체중이나 과체중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피측정인의 현 얼굴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촬영하는 카메라(151)와, 피측정인의 현 얼굴 이미지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측정인과 피측정인의 상호 간 육성을 통하여 피측정인을 병원으로 이송해야할지를 판단 가능하게 하는 의사소통용 스피커(152)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피측정인의 실시간 이미지 및 피측정인의 육성을 관리서버(300)에 전송하는 컴퓨터(153)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컴퓨터(153)에는, 피측정인과 측정인 상호 간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내장된 스피커를 장착할 수도 있고, 피측정인의 육성을 측정인 편에서 들을 수 있도록 마이크의 연결과 함께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피측정인의 육성을 실시간 녹음하는 음성변환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153) 및 관리서버(300)에는 피측정인의 실시간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피측정인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이미지 보정 프로그램 및 피측정인의 육성을 음성파일로 변환하는 상기 음성변환프로그램이 각각 설치되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센서부(100)와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은 센서 네트워크 관리부(310)와; 상기 센서 네트워크 관리부(310)에 수신된 상기 센서부(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제어부(50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3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직렬 통신을 통해 상기 측정인의 단말기(400)와 교신하게 된다. 상기 무선 제어부(500)는, 휴대용 기기(다른 기종인, PDA 또는 휴대폰)와도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 네트워크 관리부(31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센서 네트워크 관리부(310)의 구동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어플리케이션 드라이버(3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는 고속 원거리 무선 통신망(WAN)을 적용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32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데이터 처리부(320)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현하는 GUI(3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피측정인의 단말기(200)와 측정인의 단말기(400)는, 상호 간 처리된 건강 측정 정보 데이터를 실감 미디어 형태로 화면상에서 볼 수 있게, 클라이언트 어플(application)이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200,400)들은 유선이나 무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장치들이 내장되어 있음이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 방법에 대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인에 장착된 센서부로부터 센서 신호를 감지하는 제1단계(S1)와, 상기 제1단계 후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관리서버에서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2단계(S2)와, 상기 관리서버에서 관리된 건강 정보 데이터를 직렬 통신으로 측정인의 단말기에 전송하여 파악하는 제3단계(S3)와, 상기 측정인의 단말기에 전송된 건강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측정인에게 처방 및 지시하는 제4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S1)는, 측정인의 체온, 혈당, 혈압, 몸무게를 센서(110, 120, 130, 140)들로 감지하면서, 도 5에서와 같이, 피측정인의 실시간 얼굴 상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컴퓨터(153)로 분석하는 제1a 단계(S1a), 및 피측정인의 실시간 육성 상태를 녹음하여 컴퓨터(153)로 분석하는 제1b 단계(S1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단계(S1)는, 피측정인의 체온, 혈당, 혈압, 몸무게뿐만 아니라, 피측정인의 현 얼굴 이미지와 육성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이는 체온과 혈당 및 혈압과 몸무게만 측정할 경우 피측정인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없는 요인에 의해 현 얼굴 이미지 및 현 육성 상태까지 파악하여 피측정인의 객관화된 건강 검진 결론을 내리기 위함이다.
상기 제1a 단계(S1a)는, 도 6 및 도 8에서와 같이, 피측정인의 실시간 얼굴 이미지를 표준 이미지(건강의 양호한 상태의 이미지)와 매칭하는 제1a-1단계(S1a-1), 및 피측정인의 건강 이상 시 병원이나 소방서에 피측정인을 송환 통보하는 제1a-2단계(S1a-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a-1(S1a-1) 단계는, 피측정인의 실시간 얼굴 상태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151)로 촬영하여 이미 상기 컴퓨터(153)에 저장된 표준 이미지와 매칭하게 되는데, 매칭 결과 기설정된 표준 이미지에서 벗어난 이미지로 판명될 경우, 피측정인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측정인에게 경고음을 통하여 알리고, 병원이나 소방서와 같은 기관에 피측정인을 송환하도록 통보하는 제1a-2단계(S1a-2)를 수행하게 된다.
건강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다시 피측정인의 실시간 얼굴 이미지를 표준 이미자와 매칭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a-2(S1a-2) 단계는, 피측정인의 건강에 이상이 있으므로, 경고음을 측정인이 듣고, 즉시 피측정인과 의사소통하는바, 이는 상기 스피커(152)나 컴퓨터(153)에 연결된 내장 스피커와 마이크를 통하여 상호 교신할 수 있다.
상호 간 의사소통 후 측정인은 피측정인의 육성을 통하여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여 병원이나 소방서에 피측정인에 대한 송환을 통보하는 제1a-2단계(S1a-2)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b 단계(S1b)는, 도 7 및 도 9에서와 같이,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b-1(S1b-1) 단계와, 음향의 주파수 패턴을 비교하는 제1b-2 단계(S1b-2)와, 주파수 패턴 비교에 의해 피측정인의 정상적이 아닌 육성을 통하여 건강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제1b-3(S1b-3) 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b-1(S1b-1) 단계는, 피측정인의 녹음된 음향 신호가 전달되면 HPF에 의해 노이즈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는 피측정인의 고유 육성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가정에는 여러 종류의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잡음이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이 크므로, 이러한 잡음들을 제거하여 피측정인의 고유 육성을 측정인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다.
상기 제 1b-1 단계 후, 제1b-2 단계(S1b-2)는, 음향의 주파수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로서, 피측정인의 고유 육성에 대한 음향의 주파수 패턴을 이미 컴퓨터(153)에 저장된 표준 음향의 주파수(피측정인의 건강 상태의 육성 주파수)와 비교하게 된다.
이때, 주파수 패턴 비교에 의해 피측정인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제1b-3 단계(S1b-3)를 수행하는바, 상기 제1b-3 단계는, 피측정인의 건강에 이상이 있을 경우 경고음을 통하여 측정인에게 알린 후, 병원이나 소방서와 같은 기관에 피측정인을 송환하도록 통보하는 제1a-2단계(S1a-2)를 수행하게 된다.
피측정인의 건강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다시 음향을 실시간으로 녹음하며 감시하게 된다.
피측정인(고령자나 노약자)의 관리를 위해 구현된 모듈별 장치들과 피측정인에 부착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하여 피측정인의 현 건강 상태(체온, 혈당, 혈압, 몸무게)나, 현재의 모습(얼굴, 육성)을 측정하고, 이를 피측정인의 단말기(휴대용기기, 일례 PDA)에 전송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설계되어졌다.
한편, 상기 제4단계(S4)는, 피측정인의 체온, 혈당, 혈압, 몸무게 등의 건강 측정 정보에, 피측정인의 현 실시간 얼굴 상태로 파악되는 건강 측정 정보, 및 피측정인의 현 실시간 육성 상태로 파악되는 건강 측정 정보를 더 부가하여, 피측정인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객관화시켜, 이를 기반으로 피측정인에게 처방 및 지시하게 된다.
즉, 종합적인 객관화된 최종 결정 건강진단정보를 기반으로, 측정인은 피측정인에게 처방 및 지시함에 따라, 건강진단의 오진 확률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독신 가정에서 홀로 지내는 고령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건강상의 레드신호(비정상) 상태를 신속히 간파하여, 응급 조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령자들의 수명을 연장하는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에 가지 않고서도 가정에서 고령자들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며, 간단한 처방이나 지시를 집에서도 받아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령자들의 건강 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안정적인 관리용 통신망을 구축함에 따라, 피측정인(고령자)와 측정인(의사, 보호자)들 상호 간의 원격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여, 무인관리시스템을 확장 적용시킬 수 있다.
100 : 센서부
150 : 영상처리부
200 : 단말기
300 : 관리서버
400 : 단말기
500 : 무선제어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피측정인에 장착된 센서부로부터 센서 신호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후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관리서버에서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2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관리된 건강 정보 데이터를 직렬 통신으로 측정인의 단말기에 전송하여 파악하는 제3단계; 상기 측정인의 단말기에 전송된 건강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측정인에게 처방 및 지시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는, 피측정인의 실시간 얼굴 상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컴퓨터로 분석하는 제1a 단계와; 피측정인의 실시간 육성 상태를 녹음하여 컴퓨터로 분석하는 제1b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a 단계는, 피측정인의 실시간 얼굴 상태에 대한 이미지를 이미 건강한 상태의 이미지로 저장한 표준 이미지와 매칭하여, 건강 이상 징후 시 야기되는 이미지로 판단될 경우 측정인에게 경고음을 통하여 알리고, 건강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다시 피측정인의 실시간 얼굴 이미지를 표준 이미자와 매칭하는 제1a-1 단계; 경고음을 들은 측정인으로 하여금 즉시 피측정인과 의사소통하여 피측정인으로부터 건강에 이상이 있다는 점을 잠정 결정하여 병원이나 소방서에 피측정인에 대한 송환을 통보하는 제1a-2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b 단계는, 피측정인의 녹음된 음향 신호가 전달되면 HPF에 의해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 1b-1 단계; 상기 제 1b-1 단계 후 음향의 주파수 패턴을 비교하는 제 1b-2 단계; 상기 제 1b-2 단계에서 주파수 패턴 비교에 의해 피측정인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측정인에게 경고음을 통하여 알리고, 피측정인의 건강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다시 음향을 감시하도록 하는 제 1b-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 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피측정인의 체온, 혈당, 혈압, 몸무게 등의 건강 측정 정보에, 피측정인의 현 실시간 얼굴 상태로 파악되는 건강 측정 정보, 및 피측정인의 현 실시간 육성 상태로 파악되는 건강 측정 정보를 더 부가하여 피측정인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객관화시켜 최종 결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피측정인에게 처방 및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 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방법.
KR1020140077646A 2014-06-24 2014-06-24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45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46A KR101645239B1 (ko) 2014-06-24 2014-06-24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46A KR101645239B1 (ko) 2014-06-24 2014-06-24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61A KR20160000361A (ko) 2016-01-04
KR101645239B1 true KR101645239B1 (ko) 2016-08-03

Family

ID=5516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6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5239B1 (ko) 2014-06-24 2014-06-24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2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3066A (ja) * 2000-06-30 2002-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健康診断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406Y1 (ko) 2002-10-04 2003-03-03 이지민 블루투스칩을 이용한 맥박감지장치와 경보기
KR20050099780A (ko) 2004-04-12 2005-10-1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
KR20060009035A (ko) 2006-01-06 2006-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생체 측정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3066A (ja) * 2000-06-30 2002-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健康診断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61A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gchandani et al. IoT based heart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with cloud computing and managing the traffic for an ambulance in India
US2010024954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hysiological Data Acquired from an Ambulatory Physiological Monitoring Unit
EP2574953A1 (en) Method for providing remote health monitoring data and associated system
JP2012222443A (ja) 救命救急補助システムとその方法とユーザ端末装置と救命救急補助装置
WO2013134845A1 (en) Wearable miniature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0667687B2 (en) Monitoring system for physiological parameter sensing device
Megalingam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elders: Wireless intelligent healthcare gadget
CN107847161A (zh) 生成患者的状况的指示符
KR20210073404A (ko) 노인 요양보호를 위한 의료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 시스템
Panicker et al. Tablet PC enabled body sensor system for rural telehealth applications
US20220230741A1 (en) Method for Remote Diagnostics and Vital Sign Monitoring
KR100963698B1 (ko) 의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Wagner Blood pressure self-measurement
KR20090065869A (ko)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KR100723655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3382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KR20060084916A (ko) 위치 이동이 가능한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원격건강관리시스템 및 서비스
KR101645239B1 (ko)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
Jasti Madhu IoT based remote patient health monitoring system
KR102470263B1 (ko)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JP2006081838A (ja) 生体情報データ測定機能付き腕時計
Bangera et al. IOT based smart health monitoring for old aged patients
Baig et al. A wireless patient monitoring system for hospitalized older adults: Acceptability, reliability and accuracy eval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7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K12-X000 Request for ip right revival rejec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2-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