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1219B1 -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monitor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219B1
KR101641219B1 KR1020160016481A KR20160016481A KR101641219B1 KR 101641219 B1 KR101641219 B1 KR 101641219B1 KR 1020160016481 A KR1020160016481 A KR 1020160016481A KR 20160016481 A KR20160016481 A KR 20160016481A KR 101641219 B1 KR101641219 B1 KR 101641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sitioning
pipe
support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선욱
Original Assignee
(주)자비오씨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비오씨엔씨 filed Critical (주)자비오씨엔씨
Priority to KR102016001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2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21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8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undercarriag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상부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상기 상부 지지부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하단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바이어싱 수단; 상기 하부 지지부의 외측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가 상승 또는 하강한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지지부에 내장되어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상단부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상기 위치 결정부와 맞물리는 승강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높낮이 조절 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upper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a display panel of a monitor; A lower support portion that is received in the upper support portion so as to be removable from the upper end portion and supports the display panel together with the upper support portion; A lower end fixed to the lower support and biasing means for generating an action force in a direction to push up the upper support; A positioning unit detachably coupled from the outside of the lower support unit and fixing a position where the upper support unit is moved up or down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unit; And a lift control unit built in the upper support uni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support unit and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biasing unit and engaged with the position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monitor.

Description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MONITOR}[0001]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MONITOR [0002]

본 발명은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높낮이 조절 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moni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height of a monitor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a height adjusting state reliably.

컴퓨터용 모니터 및 텔레비전은 액정표시장치(LCD)를 이용하여 매우 얇게 제작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장치에 관하여 많은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BACKGROUND ART A computer monitor and a television are made very thin by u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o that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A lot of techniques are known for 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display panel by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0671198호의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은 모니터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의 내외측에 각각 자기력을 이용하여 승강 왕복 가능한 내, 외부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내부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모니터부를 받침 지지토록 된 것이다.In the "displa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of Patent No. 10-0671198,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stand portion supporting the monitor portion can be moved up and down using magnetic force, A slider is provided, and the monitor is supported by the spring supporting the inner slider.

그러나, 선행기술은 모니터부의 받침 지지가 스프링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모니터가 놓인 책상 등의 거치 대상물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흔들리면, 진동이 그대로 스탠드부를 거쳐 모니터부에 전달되어 화면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support of the monitor unit is made by the spring, if the object is struck or shaken on a desk or the like on which the monitor is placed,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 unit through the stand unit.

특히, 선행기술은 모니터부의 높낮이 위치 결정이 내, 외부 슬라이더 상호간의 자기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정확 위치 결정 상태의 유지가 전술한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어긋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Particularly, in the prior art, since the height of the monitor unit is determined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lid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of the accurate positioning state is shifted by the above-described external shock or vibration.

등록특허 제10-0671198호Registration No. 10-067119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높낮이 조절 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nitor height adjusting device which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monitor and can control the height thereof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상부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상기 상부 지지부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하단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바이어싱 수단; 상기 하부 지지부의 외측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가 상승 또는 하강한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지지부에 내장되어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상단부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상기 위치 결정부와 맞물리는 승강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upper supporting part connected to a display panel of a monitor; A lower support portion that is received in the upper support portion so as to be removable from the upper end portion and supports the display panel together with the upper support portion; A lower end fixed to the lower support and biasing means for generating an action force in a direction to push up the upper support; A positioning unit detachably coupled from the outside of the lower support unit and fixing a position where the upper support unit is moved up or down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unit; And a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built in the upper support uni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support unit and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biasing unit and engaged with the positioning unit. .

여기서, 상기 상부 지지부는, 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승강 조절부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파이프와, 상기 상부 파이프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폭과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된 승강 슬롯과, 상기 승강 조절부의 양측과 상기 상부 파이프의 내주면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상부 파이프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 골조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부는 상기 승강 슬롯을 통하여 상기 승강 조절부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pport portion includes an upper pipe form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ipe is opened to receive the up / down control portion, a lift slot formed by cutt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the lower end edge of the upper pipe,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pipe and connecting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pipe to each other, wherein the end of the positioning portion engages with the lift control portion through the lift slot .

이때,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파이프와, 상기 하부 파이프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일정 면적을 가진 받침 블록과, 상기 하부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부가 삽입 관통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하단부는 상기 받침 블록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ower supporting part includes: a lower pipe form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an upper surface is opened to receive the upper supporting part; a support block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lower pipe and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end of the positioning part into the insertion hole, wherein a lower end of the biasing device is fixed to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그리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의 외측을 통하여 관통 삽입된 일단부가 상기 승강 조절부와 맞물리는 결정봉과,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결정봉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itioning unit may include a crystal rod having one end thereof inserted through the outside of the lower support and engaging with the lift control unit, and a handle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crystal rod so as to be grasped.

또한, 상기 승강 조절부는, 상단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지지부측으로 연장되는 조절바와,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부와 대면하는 상기 조절바의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부가 맞물리는 맞물림부와, 상기 조절바의 하단부에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상단부가 받침 지지하는 받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ward / downward control unit may include an adjusting bar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the upper supporting unit and extending toward the lower supporting unit, and an upper end of the adjusting bar repeatedl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adjusting bar facing the end of the positioning unit, And a supporting piece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control bar and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biasing means.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우선, 본 발명은 하부 지지부에 수용되어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상부 지지부를 바이어싱 수단이 받침 지지하며, 하부 지지부에 대한 상부 지지부의 높낮이 조절 및 위치 결정이 승강 조절부와 위치 결정부의 협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한 높낮이 조절 및 그 조절 상태의 유지 및 정확한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iasing means is supported by an upper support portion received in a lower support portion and connected to a display panel of a monitor, and a height adjustment and a positioning of an upper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portion are performed by cooperation of the lift control portion and the position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adjust the height, maintain the state of adjustment,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특히, 본 발명은 승강 조절부에 위치 결정부가 맞물림으로써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에도 최초에 높낮이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신뢰도 높은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Particularly, since the positioning is made by engaging the positioning part with the elevation control part, it is possible to reliably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height and height are first determined even from external impact or vibration, It will be d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 B 방향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살표 C, D 방향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mon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mon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in the directions of arrows A and B in FIG. 1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ight adjuster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arrows C and D in FIG. 1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oroughly disclosed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nd the terms (mentioned) us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not to limit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constitu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hav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nstituents and actions .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 B 방향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화살표 C, D 방향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structure of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mon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the mon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ight adjuster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in the direction of arrows C and D in FIG. 1. FIG.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부(200)에 수용되어 모니터(400)의 디스플레이 패널(410)에 연결된 상부 지지부(100)를 바이어싱 수단(300)이 받침 지지하며, 하부 지지부(200)에 대한 상부 지지부(100)의 높낮이 조절 및 위치 결정이 승강 조절부(600)와 위치 결정부(5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The biasing means 300 supports the upper support 100 received in the lower support 200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410 of the monitor 400 as shown in FIG.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height adjustment and the positioning of the upper support part 100 are made by the lift control part 600 and the positioning part 500. [

상부 지지부(100)는 모니터(400)의 디스플레이 패널(410)에 연결되는 것으로, 후술할 하부 지지부(200)에 수용되어 출입하며 높낮이 조절되는 것으로, 후술할 승강 조절부(6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upper support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410 of the monitor 400 and is accommodated in a lower support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controlled in height. .

하부 지지부(200)는 상단부로부터 상부 지지부(100)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부 지지부(100)와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410)을 지지하는 것으로, 후술할 바이어싱 수단(300)과 위치 결정부(5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lower supporting part 200 is received in the upper supporting part 100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supporting part 100 can be taken in and out and supports the display panel 410 together with the upper supporting part 100. The lower supporting part 200 includes a biasing unit 300 and a positioning part 500 are accommodated.

바이어싱 수단(300)은 하단부는 하부 지지부(200)에 고정되고, 상부 지지부(100)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iasing means 300 is fixed to the lower support portion 200 and generates an action force in a direction of pushing up the upper support portion 100.

바이어싱 수단(300)은 하단부는 하부 지지부(200)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승강 조절부(600)를 받침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부재일 수도 있다.The lower end of the biasing unit 300 may be fixed to the lower support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biasing unit 300 may be a member such as a coil spring that supports the lift control unit 600.

위치 결정부(500)는 하부 지지부(200)의 외측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지지부(200)에 대하여 상부 지지부(100)가 상승 또는 하강한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다.The positioning unit 500 is detachably coupled from the outside of the lower support unit 200 and fixes the position where the upper support unit 100 is raised or lowered relative to the lower support unit 200.

승강 조절부(600)는 상부 지지부(10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지지부(100)에 내장되어 바이어싱 수단(300)의 상단부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위치 결정부(500)와 맞물리는 것이다.The elevating control part 600 is embedded in the upper supporting part 10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supporting part 100 and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biasing device 300 to engage with the positioning part 500 .

따라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한 높낮이 조절 및 그 조절 상태의 유지 및 정확한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reliable height adjustment, maintenance of its adjustment state and accurate positioning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특히, 본 발명은 승강 조절부(600)에 위치 결정부(500)가 맞물림으로써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에도 최초에 높낮이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Particularly, since the positioning is performed by the positioning part 500 being engaged with the elevation control part 600, it is possible to reliably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height and height positioning are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even from external impact or vibration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우선, 상부 지지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400)의 디스플레이 패널(410)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경사도도 조절 가능한 것으로, 크게 상부 파이프(110)와 승강 슬롯(120)과 보강 골조(1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410 of the monitor 400 and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display panel 410 can b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n upper pipe 110 and a lift slot 120 And a reinforcing frame 130. [0031] As shown in FIG.

상부 파이프(110)는 하면이 개방되어 승강 조절부(600)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pipe 110 forms an inner spac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ipe 110 is opened to accommodate the lift control part 600 and can be pivotally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410.

승강 슬롯(120)은 상부 파이프(11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폭과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된 것으로, 후술할 위치 결정부(500)의 단부가 출입하여 승강 조절부(600)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부 파이프(110)의 승강 범위를 규정하는 역할 또한 하게 되는 것이다.The elevating slot 120 is formed by cutt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the lower end edge of the upper pipe 110 so that the end of the position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goes in and out and is engaged with the elevation control unit 600 And also defines the range of the upper pipe 110 to be lifted or lowered.

보강 골조(130)는 승강 조절부(600)의 양측과 상부 파이프(110)의 내주면을 각각 연결하며, 상부 파이프(110)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부재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에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상부 파이프(110)가 승강함에 따른 하중과 압력을 상부 파이프(110)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분산시키는 역할 또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The reinforcing frame 130 is a plurality of member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pipe 110 and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elevation control part 6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ipe 110, So that the load and pressure of the upper pipe 110 can be distributed over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ipe 110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upper pipe 110.

후술할 위치 결정부(500)의 단부는 승강 슬롯(120)을 통하여 승강 조절부(600)와 맞물리게 된다.The end of the positioning unit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engaged with the lift controller 600 through the lift slot 120.

이러한 복수의 보강 골조(130)는,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승강 조절부(60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부 파이프(110)의 내주면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호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보강바(131)를 포함한다.2, one end of the reinforcement frame 130 is coupled to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elevation control part 600 and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ement frame 130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ipe 110, And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131 arrang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복수의 보강 골조(130)는, 또한 승강 조절부(600)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부 파이프(110)의 내주면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호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보강바(132)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130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130 ea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elevation control portion 6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ipe 110, 2 reinforcement bars 132. [

여기서, 상부 파이프(110)의 하강에 따라 위치 결정부(500)에 걸리는 승강 슬롯(120)의 상단부는 상부 지지부(100)의 하강 하한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He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slot 120, which is caught in the positioning part 500 along with the lowering of the upper pipe 110, is the lowering lower limit of the upper supporting part 100.

즉, 승강 슬롯(12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이 승강 가능한 최대 범위인 것이다.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slot 120 is the maximum range in which the display panel 410 is movable up and down.

한편, 하부 지지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부(100)를 출입 가능하게 수용하며, 위치 결정부(500)가 관통 체결되는 공간 또한 제공하기 위하여, 크게 하부 파이프(210)와 받침 블록(220)과 안내 돌출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part 200 includes a lower pipe 210 and a support block 210 to accommodate the upper support part 100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space through which the positioning part 500 is inserte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guide protrusion 220 and the guide protrusion 230 are included.

하부 파이프(210)는 상면이 개방되어 상부 지지부(100)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며, 받침 블록(220)은 하부 파이프(21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승강에 따른 충격과 압력 또한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support pipe 220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pipe 210 and has a predetermined area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410 And disperses impact and pressure due to the elevation of the display panel 410. In addition,

안내 돌출부(230)는 하부 파이프(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위치 결정부(500)의 단부가 삽입 관통되는 것을 안내하는 것이다.The guide protrusion 230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210 and guides the insertion of the end of the positioning unit 500.

이때, 바이어싱 수단(300)의 하단부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받침 블록(220)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biasing means 300 is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ase block 220, 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바이어싱 수단(300)은 하부 파이프(210)에 대하여 상부 파이프(110)가 갑작스레 하강하여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The biasing means 300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upper pipe 110 from suddenly falling down with respect to the lower pipe 210.

또한, 하부 지지부(200)는, 안내 돌출부(230)의 외측 끝면 중심으로부터 하부 파이프(210)의 내주면까지 관통되고, 내주면을 따라 후술할 위치 결정부(500)가 나사 결합되어 출입 가능한 조절 암나사산(2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lower support part 200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end face of the guide protrusion 230 to the inner peripheral face of the lower pipe 210 and the positioning part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screw- (240).

한편, 위치 결정부(500)는, 하부 지지부(200)의 외측을 통하여 관통 삽입된 일단부가 승강 조절부(600)와 맞물리는 결정봉(510)과, 파지 가능하도록 결정봉(51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5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The positioning unit 500 includes a crystal rod 510 having one end inserted through the outer side of the lower support 200 to engage with the lift control unit 600,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tructure includes the handle 520 formed at the end portion.

여기서, 위치 결정부(500)는, 하부 지지부(200)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된 안내 돌출부(230)의 외측 끝면 중심으로부터 하부 파이프(210)의 내주면까지 관통된 내주면을 따라 결정봉(510)이 나사 결합되어 출입 가능한 조절 암나사산(240)과 결합되도록, 결정봉(5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조절 수나사산(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sitioning unit 500 includes a positioning rod 500 and a positioning rod 500. The positioning rod 500 is fixed to the lower supporting part 200 by a screw (not shown) And may include adjustable threading 540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ystal rod 510 to engage with the removable adjustable arm thread 240.

이때, 위치 결정부(500)는, 결정봉(5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결정봉(510)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폭과 넓이를 가진 다각형의 단면을 가진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결정 핀(5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positioning unit 500 includes a crystal pin 510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crystal rod 510 and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having a width and an area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rystal rod 510 530).

따라서, 결정 핀(530)의 단부가 도 3과 같이 승강 조절부(600)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확실한 높낮이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유지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end portion of the crystal pin 530 is fixed to the lift controller 600 as shown in FIG. 3, whereby the height position can be reliably determined and maintained.

승강 조절부(600)는, 전술한 위치 결정부(500)와의 협력을 통한 확실한 높낮이 위치 결정을 위하여 조절바(610)와 맞물림부(620)와 받침편(6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ft controller 600 may include the adjusting bar 610 and the engaging portion 620 and the receiving piece 630 for reliable height determina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positioning portion 500 described above.

조절바(610)의 상단부는 상부 지지부(100) 중 상부 파이프(110)에 고정되어 하부 지지부(200)측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맞물림부(620)는 위치 결정부(500)의 단부와 대면하는 조절바(610)의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위치 결정부(500)의 단부가 맞물리는 것이다.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bar 610 is fixed to the upper pipe 110 of the upper supporting part 100 and extends toward the lower supporting part 200. The engaging part 620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positioning part 500, And the end portion of the positioning portion 500 is engaged with the one side of the bar 610 repeated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받침편(630)은 조절바(610)의 하단부에 바이어싱 수단(300)의 상단부가 받침 지지하는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이다.The supporting piece 630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adjusting bar 610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where the upper end of the biasing unit 300 supports and supports.

맞물림부(620)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절바(610)의 일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621)과, 경사면(621)의 하단부로부터 위치 결정부(500)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걸림면(622)이 반복되는 패턴의 래칫(620r)을 포함한다.1 and 3, the engaging portion 62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621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trol bar 610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clined surface 621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621 And a latching surface 622 forme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rt 500 is inserted includes a ratchet 620r having a repeated pattern.

여기서, 걸림면(622)은 위치 결정부(500)의 단부, 즉 결정 핀(530)의 상면에 의하여 받침 지지됨으로써, 확실한 위치 결정 상태가 유지됨과 동시에, 상부 파이프(110)가 하강하는 것 또한 방지하게 된다.Here, the retaining surface 622 is supported by the end of the positioning unit 50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rystal pin 530, so that the reliable positioning state is maintained and the upper pipe 110 is also lowered .

이때, 승강 조절부(600)는, 받침편(630)의 저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바이어싱 수단(300)의 상부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바이어싱 수단(300)의 상부측을 지지하는 지지 안내봉(640)을 더 구비하여, 바이어싱 수단(300)의 상단부가 받침편(630)의 중심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600 includes a supporting member 630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iece 630 to the lower side and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biasing unit 300, The upper end of the biasing means 3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from the center position of the receiving piece 630.

따라서, 사용자는 하부 파이프(210)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상부 파이프(110)가 위치하도록 높낮이를 조절한 다음, 위치 결정부(500)의 결정봉(510)을 하부 지지부(200)의 안내 돌출부(230) 중앙을 관통하는 조절 암나사산(240)에 조준하여 나사 결합시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결정 핀(530)의 단부가 맞물림부(620)의 래칫(620r)에 맞물리는 것을 손으로 느끼게 되면 높낮이 위치 결정이 완료되는 것이다.The user adjusts the height of the upper pipe 110 so that the upper pipe 11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lower pipe 210 and then inserts the crystal rod 510 of the positioning unit 500 into the guide protrusions 230 of the engaging portion 620 and engaging with the ratchet 620r of the engaging portion 620 at the end of the engaging pin 530 while rotating or rotating in the normal direction The height position determination is comple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높낮이 조절 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monitor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to provide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monitor which can surely control the height of the monitor.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상부 지지부
110...상부 파이프
120...승강 슬롯
130...보강 골조
131...제1 보강바
132...제2 보강바
200...하부 지지부
210...하부 파이프
220...받침 블록
230...안내 돌출부
240...조절 암나사산
300...바이어싱 수단
400...모니터
410...디스플레이 패널
500...위치 결정부
510...결정봉
520...손잡이
530...결정 핀
540...조절 수나사산
600...승강 조절부
610...조절바
620...맞물림부
620r...래칫
621...경사면
622...걸림면
630...받침편
640...지지 안내봉
100 ... upper support
110 ... upper pipe
120 ... lifting slot
130 ... reinforcement frame
131 ... first reinforcing bar
132 ... 2nd reinforcement bar
200 ... lower support
210 ... lower pipe
220 ... base block
230 ... guide protrusion
240 ... Adjustable arm thread
300 ... biasing means
400 ... monitor
410 ... display panel
500 ... positioning portion
510 ... crystal rods
520 ... handle
530 ... crystal pin
540 ... adjustable thread
600 ... lift control portion
610 ... control bar
620 ... engaging portion
620r ... ratchet
621 ... slope
622 ... engaging surface
630 ... pedestal
640 ... support guide rod

Claims (5)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상부 지지부;
상단부로부터 상기 상부 지지부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하단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바이어싱 수단;
상기 하부 지지부의 외측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가 상승 또는 하강한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지지부에 내장되어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상단부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상기 위치 결정부와 맞물리는 승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조절부는,
상단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지지부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조절바와,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부와 대면하는 상기 조절바의 일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부가 맞물리는 맞물림부와,
상기 조절바의 하단부에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상단부가 받침 지지하는 받침편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부는,
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승강 조절부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파이프와,
상기 상부 파이프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폭과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된 승강 슬롯과,
상기 승강 조절부를 구성하는 판형상의 조절바의 양측과 상기 상부 파이프의 내주면을 각각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에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상부 파이프가 승강함에 따른 하중과 압력을 상부 파이프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분산시키도록 상기 상부 파이프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 골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부는 상기 승강 슬롯을 통하여 상기 승강 조절부를 구성하는 판형상의 조절바와 맞물리며,
상기 복수의 보강 골조는,
상기 조절바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부 파이프의 내주면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하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호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조절바의 두께보다 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제1 보강바; 및
상기 조절바의 양측면 중 상기 제1 보강바가 결합된 위치에 대응하는 타측면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부 파이프의 내주면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하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호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조절바의 두께보다 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제2 보강바를 포함하며,
상부 파이프의 하강에 따라 위치 결정부에 걸리는 승강 슬롯의 상단부는 상부 지지부의 하강 하한이며,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파이프와,
상기 하부 파이프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일정 면적을 가진 받침 블록과,
상기 하부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부가 삽입 관통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하단부는 상기 받침 블록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의 외측을 통하여 관통 삽입되는 결정봉과,
상기 결정봉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조절 수나사산과,
상기 결정봉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결정봉의 직경보다 작은 폭과 넓이를 가지고 다각형의 단면을 가진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 조절부를 구성하는 판형상의 조절바와 맞물리는 결정핀과,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결정봉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부는,
조절바의 일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과, 경사면의 하단부로부터 위치 결정부의 결정핀이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걸림면이 반복되는 패턴의 래칫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면은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결정핀의 평평한 상면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어, 위치 결정 상태를 유지하고 상부 파이프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승강 슬롯의 좌우 폭은 상기 위치 결정부를 구성하는 결정봉이 승강 슬롯에 걸리지 않으며 출입할 수 있도록 결정봉 보다 직경이 큰 상기 손잡이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높낮이 조절 장치.
An upper support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of the monitor;
A lower support portion that is received in the upper support portion so as to be removable from the upper end portion and supports the display panel together with the upper support portion;
A lower end fixed to the lower support and biasing means for generating an action force in a direction to push up the upper support;
A positioning unit detachably coupled from the outside of the lower support unit and fixing a position where the upper support unit is moved up or down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unit; And
And a lift control unit built in the upper support uni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support unit and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biasing unit and engaged with the positioning unit,
The elevating /
The upper end portion of which is fixed to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extends toward the lower support portion,
An engag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ar facing the end portion of the positioning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being repeatedly form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to engage the end portion of the positioning portion,
And a support piece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control bar and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biasing means,
The upper support portion
An upper pipe form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opened to receive the lift control part,
A lifting slot formed by cutting the upper pipe at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a lower end edge of the upper pip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pipe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late-shaped control ba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ipe constituting the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so as to maintain the structural strength against external vibration and impact,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pipe so as to be dispersed throughou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Wherein an end of the positioning portion engages with a plate-shaped adjusting bar constituting the lift adjusting portion through the lift slot,
Wherei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And one end of each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control bar is coupl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face of the upper pi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A first reinforcing bar of the first member; And
One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rol bar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coupled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ipe to be vertically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bars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ars,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slot engaged with the positioning portion along with the lowering of the upper pipe is the lowering lower limit of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The lower support portion
A lower pip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to form an inner space in which the upper support portion is received,
A support block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lower pipe and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and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end of the positioning unit,
The lower end of the biasing means is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ase block,
Wherein the positioning unit comprises:
A crystal rod penetratingly inserted through the outside of the lower support,
An adjusting screw thread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ystal rod,
A crystal pi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crystal rod and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with a width and an area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rystal rod and engaging with a plate-shaped control bar constituting the lift control part;
And a handle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crystal rod so as to be grasped,
The engaging portion
A ratchet having a slop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control bar and slanted downward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atching surfac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rystal pin of the positioning part is inser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lanted surface,
The engaging surface is supported by a flat upper surface of a crystal pin formed in a polygonal column shape to maintain the positioning state and prevent the upper pipe from descending,
Where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levating slots are formed to a degre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handl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crystal rods so that the crystal rods constituting the positioning portions are not caught by the elevating slots and can be moved in and out.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16481A 2016-02-12 2016-02-12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monitor Expired - Fee Related KR101641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481A KR101641219B1 (en) 2016-02-12 2016-02-12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481A KR101641219B1 (en) 2016-02-12 2016-02-12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mon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219B1 true KR101641219B1 (en) 2016-07-20

Family

ID=5668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4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1219B1 (en) 2016-02-12 2016-02-12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21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5963A (en) * 2018-06-20 2018-11-16 芜湖华特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table type industrial display support frame
CN114992430A (en) * 2022-05-30 2022-09-02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Server mounting platform
CN115291679A (en) * 2022-07-29 2022-11-04 联想(北京)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12297954B2 (en) 2022-08-22 2025-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tand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2779A (en) * 1999-07-29 2001-02-16 Toshiba Corp Personal computer
KR20040013886A (en) * 2002-08-09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nd structure for lcd monitor
KR200355581Y1 (en) * 2004-04-22 2004-07-07 윤상원 Height adjustable desk
KR100671198B1 (en) 2004-01-14 200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1578855B1 (en) * 2015-04-27 2015-12-18 (주)와이앤제이이앤씨 Spacer tower link structure that supports the connection to overhead power lin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2779A (en) * 1999-07-29 2001-02-16 Toshiba Corp Personal computer
KR20040013886A (en) * 2002-08-09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nd structure for lcd monitor
KR100671198B1 (en) 2004-01-14 200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0355581Y1 (en) * 2004-04-22 2004-07-07 윤상원 Height adjustable desk
KR101578855B1 (en) * 2015-04-27 2015-12-18 (주)와이앤제이이앤씨 Spacer tower link structure that supports the connection to overhead power lin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5963A (en) * 2018-06-20 2018-11-16 芜湖华特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table type industrial display support frame
CN114992430A (en) * 2022-05-30 2022-09-02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Server mounting platform
CN114992430B (en) * 2022-05-30 2023-08-18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A server installation platform
CN115291679A (en) * 2022-07-29 2022-11-04 联想(北京)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12297954B2 (en) 2022-08-22 2025-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tand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219B1 (en)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monitor
KR101132002B1 (en) A testing jig
WO2017022739A1 (en) Lifting table provided with height adjustment device
US7839626B2 (en) Display structure
KR102011605B1 (en) Moving stage for inspection equipment
KR200279427Y1 (en) Elevatoring apparatus for lcd monitor
KR20170089481A (en) Display panels for cassette loading
KR200465696Y1 (en) Floor frame system to adjust the height
KR102246019B1 (en) Height control device for furniture
KR101189524B1 (en) Cassette for substrate loading
CN105140169B (en) A kind of support construction and vacuum equipment
KR102079075B1 (en) Monitor Alighting Apparatus
KR101724827B1 (en) Movement device for car window glass
KR200182808Y1 (en) Elevating stand apparatus for lcd monitor
KR100633073B1 (en) Display device
JP2016007183A (en) Sheet fixing member
US20110203744A1 (en) Venetian Blind
JP2008178438A (en) Vertically lifting shelf
US20210069988A1 (en) Three-dimensional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three-dimensional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adjustment method, and three-dimensional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adjustment program
KR100664323B1 (en) Stand device of video display device using magnet
KR200473194Y1 (en)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sink shelf
CN102673184A (en) Wide paper feeding work platform of printer
US7717386B2 (en) Support arm with clamps for adjustably fastening a visual display
KR20140016612A (en) Apparatus for fixing sample
KR20130106697A (en) Monitor lif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901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7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