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457B1 - Bed Functional Combine Wheelchairs And A Handrailing Remedial Exercise - Google Patents
Bed Functional Combine Wheelchairs And A Handrailing Remedial Exerci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1457B1 KR101641457B1 KR1020150024452A KR20150024452A KR101641457B1 KR 101641457 B1 KR101641457 B1 KR 101641457B1 KR 1020150024452 A KR1020150024452 A KR 1020150024452A KR 20150024452 A KR20150024452 A KR 20150024452A KR 101641457 B1 KR101641457 B1 KR 1016414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d
- frame
- seat
- wheelchair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246 remedial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715 mod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181 Bronchi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10 Pressure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4 contradic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921 seconda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6—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converting a lying surface into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주행부(140)와, 상기 주행부(140)의 상부에 지지되고 리클라이닝되는 좌석시트(110)로 구성되는 휠체어(100); 및 침대헤드프레임(210)과, 침대시트 형성부위에 도킹공간부(2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침대헤드프레임(2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침대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되는 침대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침대지지프레임(220)은 침대헤드프레임(21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침대헤드프레임(210)과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재활 난간으로 사용되고, 상기 휠체어(100)의 좌석시트(110)는 주행부(140)의 상부에서 수평하게 각도가 리클라이닝되어 도킹공간부(230)에 도킹 시 침대프레임(200)을 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bed for rehabilitation railing and a wheel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chair 100 comprising a driving part 140 and a seat seat 110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part 140 and reclined. And a bed supporting frame 22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ed head frame 210 so that a docking space 230 can be formed in the bed sheet forming part, The bed support frame 220 is hingedly coupled to the bed head frame 210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same line as the bed head frame 210 and selectively used as a rehabilitation guardrail, The seat seat 110 of the seat 100 is reclined horizontally at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140 so that the bed frame 200 can be used as a bed when docked in the docking space 230 .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체어가 침대프레임에 도킹 시 침대프레임을 침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침대지지프레임은 침대헤드프레임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침대헤드프레임과 힌지 결합시켜 선택적으로 재활 난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bed for rehabilitation railing and a wheel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bed capable of being used as a bed when a wheelchair is docked on a bed fr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bed for a rehabilitation rail and a wheelchair which can be selectively used as a rehabilitation railing by being hinged to the bed head frame.
근래에 들어 노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약자, 선천적 또는 후천적 요인으로 인한 장애인, 각종 사고에 따른 중환자들(이하, 사용자)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elderly, the disabled due to inherited or acquired factors, and the intensive caregiv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ers) due to various accidents are gradually increasing in the aging society.
이러한 사용자는 홀로 거동이 불편하여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 위에서 보내고 있다.These users spend most of their time on the bed alone because of their uncomfortable behavior.
침대 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사용자는 관절 기능이 퇴행되거나, 오랜 시간을 누워지냄에 따라 발생되는 욕창,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함에 따라 발생되는 기관지 질환 등의 2차 질환에 시달리게 된다.Users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on a bed suffer from secondary diseases such as degenerative joints, pressure ulcers caused by lingering for a long time, and bronchial diseases caused by living in confined spaces.
따라서 사용자는 타인의 도움을 받아 침대 위에서 주기적으로 자세를 변경해주거나, 침대에서 휠체어로 옮겨진후 산책 등을 목적으로 침대를 벗어나 이동해야 할 경우가 있다.Therefore, the user may be required to change the posture periodically on the bed with the help of others, or to move out of the bed for the purpose of walking after moving from the bed to the wheelchair.
하지만 타인에 의해 휠체어로 옮겨질 때, 낙상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또 다른 부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someone is transferred to a wheelchair by a person, a fall accident frequently occurs, resulting in another injury.
또한 통상 휠체어를 사용하는 환자는 다리가 다쳐 재활운동을 필수적으로 해야하는 바, 휠체어를 통해 재활운동할 수 있는 재활 난간까지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patient who normally uses a wheelchair has a problem that the leg must be injured and rehabilitation must be performed, and the user must move to a rehabilitation barrel capable of rehabilitating through a wheelchair.
따라서 병원에서는 침대, 휠체어 재활난간까지 구비해야 함으로 많은 시설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facilities costs are incurred in the hospital because beds, wheelchair rehabilitation railing are required.
종래의 특허로는 "휠체어 가변 침대 및 이의 변형 방법(특허공개 제2011-0045932호")가 있다.As a conventional patent, there is a " wheelchair variable bed and its modification method (Patent Publication No. 2011-0045932 ").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휠체어 가변 침대 및 이의 변형 방법은 휠체어가 침대프레임에 단순히 결합되는 것으로, 휠체어가 침대프레임에서 손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wheelchair variable bed and its modification method have a problem in that the wheelchair is simply coupled to the bed frame, so that the wheelchair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bed frame.
또한 종래의 휠체어 가변 침대 및 이의 변형 방법은 침대와 휠체어로 활용될 뿐 재활난간 같은 별도의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heelchair variable bed and its modification method are used as a bed and a wheelchair, but have no separate function such as a rehabilitation barri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휠체어가 침대프레임에 도킹 시 침대프레임을 침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침대지지프레임은 침대헤드프레임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침대헤드프레임과 힌지 결합시켜 선택적으로 재활 난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d frame which can be used as a bed when the wheelchair is docked on the bed fram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unctional bed for a rehabilitation rail and a wheelchair which can be hinged to the bed head frame so as to be positioned on a ship and selectively used as a rehabilitation railing.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침대프레임에서 분리되는 휠체어를 통해 3가지의 용도(침대, 휠체어, 재활 난간)로 사용될 수 있는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habilitation railing and a wheelchair functional bed which can be used for three purposes (bed, wheelchair, rehabilitation railing) through a wheelchair separated from a bed fram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주행부(140)와, 상기 주행부(140)의 상부에 지지되고 리클라이닝되는 좌석시트(110)로 구성되는 휠체어(100); 및 침대헤드프레임(210)과, 침대시트 형성부위에 도킹공간부(2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침대헤드프레임(2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침대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되는 침대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침대지지프레임(220)은 침대헤드프레임(21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침대헤드프레임(210)과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재활 난간으로 사용되고, 상기 휠체어(100)의 좌석시트(110)는 주행부(140)의 상부에서 수평하게 각도가 리클라이닝되어 도킹공간부(230)에 도킹 시 침대프레임(200)을 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bed for both a rehabilitation barrier and a wheelchair, which comprises a traveling part (140) (100) comprising a seat (110) that is reclined and reclined; And a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휠체어(100)의 좌석시트(110)는 연결프레임(120)을 매개로 결합되는 발판(1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선택적으로 좌석시트(110)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좌석시트(11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발판(130)은 연결프레임(120)의 양측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프레임(12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주행부(140)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ㄷ"자 형상의 베이스프레임(14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41)의 일단 및 타단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바퀴(142)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41)의 타단 양측에 결합되는 바퀴손잡이(143a)가 형성된 주바퀴(143)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41)에 외팔보 형식으로 수직결합되어 상기 좌석시트(110)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ling section (140) includes a base frame (141) A main wheel 143 having a
제 4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주바퀴(143)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41)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ain wheel is selectively removable from the base frame.
제 5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각 침대지지프레임(220)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바(25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좌석시트(110)와 발판(13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바(250)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가이드레일(1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제 6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발판(130)의 타측은 베이스프레임(141)의 상부에 안착되는 지지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ix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hird invention,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130) is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141).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침대지지프레임(220) 및 침대헤드프레임(210)은 상단에 난간손잡이(24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ven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rst invention, the bed support frame (220) and the bed head frame (210) are further coupled with a railing handle (240) at the upper end.
본 발명에 따른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에 따르면, 하나의 침대가 휠체어와 재활 난간으로 가변될 수 있어 공간을 절약하고,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unctional bed for both the rehabilitation guardrail and th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bed can be changed to a wheelchair and a rehabilitation barrel, thereby saving space and facility cost.
또한 환자가 휠체어의 좌석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내리지 않고 침대에 눕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l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atient can be laid down on the bed without getting down while sitting on the seat of the wheelch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분리된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휠체어가 분리된 침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재활 난간으로 사용되는 침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habilitation barrier and a wheelchair function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chair separated in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d frame in which a wheelchair is separated in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ed frame used as a rehabilitation barrier i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것이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upled "," connected ",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Or may be directly bond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 specially contradictory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upled,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는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ehabilitation barrier and the wheelchair function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분리된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휠체어가 분리된 침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재활 난간으로 사용되는 침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eelchair separated in FIG. 1,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eel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d frame used as a rehabilitation barrier in FIG. 4;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d frame in which a wheelchair is separated in FIG. 1;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휠체어(100)가 침대프레임(200)에 도킹 시 침대프레임(200)을 침대(300)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침대지지프레임(220)은 침대헤드프레임(21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침대헤드프레임(210)과 힌지 결합시켜 선택적으로 재활 난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300)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즉,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300)는 침대프레임(200)에서 분리되는 휠체어(100)를 통해 3가지의 용도(침대, 휠체어, 재활 난간)로 사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That is, the
상기 휠체어(1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주행부(140)와, 상기 주행부(140)의 상부에 지지되고 선택적으로 침대시트로 활용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각도가 리클라이닝(reclining) 되는 좌석시트(110)로 구성된다.2 and 3, the
또한 휠체어(100)는 좌석시트(110)를 리클라이닝시켜 침대프레임(200)의 도킹공간부(230)에 결합되어 침대프레임(200)이 침대로써 사용될 수 있도록 기능을 겸한다.The
이러한 상기 휠체어(100)는 연결프레임(120)을 매개로 결합되는 발판(13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The
이 때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선택적으로 리클라이닝된 좌석시트(110)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좌석시트(11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발판(130)은 연결프레임(120)의 양측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프레임(12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구성이다.The
즉, 상기 발판(130)은 휠체어로 기능할 경우에는 연결프레임(120)을 매개로 좌석시트(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통상의 발판(130)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고, 선택적으로 힌지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연결프레임(120)의 양측면에 밀착시킨 후, 연결프레임(120)과 함께 좌석시트(110)의 일단에 수평 결합시켜 상기 좌석시트(110)와 한몸을 이루는 구성이다.That is, the
이 때 결합 방법은 연결프레임(120)과 발판(130)은 좌석시트(110)의 일단에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거나, 또한 좌석시트(110)의 일단에 홈부(미도시)를 마련하고, 발판(130)의 단부에는 돌기부(미도시)를 마련하여 상호 간 끼움결합시키는 방법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아울러 상기 주행부(140)는 베이스프레임(14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41)의 일단 및 타단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바퀴(142)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41)의 타단 양측에 결합되는 바퀴손잡이(143a)가 형성된 주바퀴(143)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41)에 외팔보 형식으로 수직결합되어 상기 좌석시트(110)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44)으로 구성된다.The traveling unit 140 includes a
여기서 상기 주행부(140)의 베이스프레임(141)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ㄷ"자 형상으로 최소한의 뼈대를 이루는 구조로 구성되고, 지지프레임(144)은 베이스프레임(141)의 좌측 또는 우측의 상부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좌석시트(11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Here, the
이 때 상기 주바퀴(143)는 휠체어(100)를 사용할 때는 부착시켜 사용하고, 도킹공간부(230)에 결합될 경우에는 탈거가 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베이스프레임(141)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wheel 143 may be attached to the
이러한 상기 침대프레임(200)은 도 4와 같이, 침대헤드프레임(210)과, 침대시트 형성부위에 도킹공간부(2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침대헤드프레임(210)의 양측에 직교되게 결합되는 침대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4, the
이러한 상기 각 침대지지프레임(220)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바(25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좌석시트(110)와 발판(13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바(250)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가이드레일(15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A
이러한 구성은 휠체어(100)의 좌석시트(110)와 연결프레임(120)과 발판(130)을 수평으로 리클라이닝시켜 상호 간 한몸으로 결합시킨 후, 좌석시트(110)를 도킹공간부(230)에 도킹시킬 때 상기 좌석시트(110)와 침대지지프레임(220)이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In this configuration, the
아울러 상기 각 침대지지프레임(220)은 상기 침대헤드프레임(210)에 힌지 결합되기 때문에 리클라이닝된 좌석시트(110)를 침대헤드프레임(210)에 밀착시킨 후, 침대지지프레임(220)을 좌석시트(110)의 양측면에 결합시켜 침대지지프레임(220)과 좌석시트(110)를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그리고 휠체어(100)가 분리된 침대프레임(200)은 도 5와 같이, 2개의 침대지지프레임(220)을 침대헤드프레임(210)과 동일 선상으로 회동시키고, 침대지지프레임(220)과 침대헤드프레임(210)의 상부에 형성된 난간손잡이(240)를 통해 환자가 난간손잡이(240)를 잡고 재활 운동할 수 있도록 재활 난간 기능을 겸한다.
5,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barrier and the wheelchair function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휠체어(100)가 결합된 침대프레임(200)은 통상의 침대(300)로 사용된다.The
침대(300)에 누운 사람이 이동할 경우에는 좌석시트(110)에 누운상태로 좌석시트(110)만을 밀면 상기 좌석시트(110)는 주행부(140)에 의해 분리된다.When the person lying on the
좌석시트(110)가 분리되면 좌석시트(110)의 등받이 쪽을 세우고, 좌석시트(110)에 힌지 결합된 연결프레임(120)을 각도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연결프레임(120)에 힌지 결합된 발판(130) 각도를 지면과 수평하게 회동시킨다.When the
이 때 지면과 수평하게 회동되는 발판(130)의 타측 저면은 베이스프레임(141)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지지되어 처짐 없이 발판(130)으로써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other bottom surface of the
그리고 휠체어(100)의 주행부(140)인 베이스프레임(141)에 바퀴손잡이(143a)가 형성된 주바퀴(143)를 결합시켜 통상의 휠체어(100)로 기능할 수 있다. The main wheel 143 having the wheel handle 143a is coupled to the
아울러 휠체어(100)가 분리된 침대프레임(200)은 2개의 침대지지프레임(220)을 침대헤드프레임(210)과 동일 선상으로 회동시키고, 침대지지프레임(220)과 침대헤드프레임(210)의 상부에 형성된 난간손잡이(240)를 통해 환자가 난간손잡이(240)를 잡고 재활 운동할 수 있도록 재활 난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The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00: 휠체어 110: 좌석시트 120: 연결프레임
130: 발판 140: 주행부
141: 베이스프레임 142: 보조바퀴
143: 주바퀴 143a: 바퀴손잡이
144: 지지프레임 150: 가이드레일
200: 침대프레임 210: 침대헤드프레임 220: 침대지지프레임
230: 도킹공간부 240: 난간손잡이
250: 가이드바
300: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100: wheelchair 110: seat seat 120: connecting frame
130: footstool 140:
141: Base frame 142: Auxiliary wheels
143: main wheel 143a: wheel handle
144: support frame 150: guide rail
200: bed frame 210: bed head frame 220: bed supporting frame
230: docking space part 240: railing handle
250: Guide Bar
300: functional bed for rehabilitation railings and wheelchairs
Claims (7)
침대헤드프레임(210)과, 침대시트 형성부위에 도킹공간부(2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침대헤드프레임(2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침대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되는 침대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침대지지프레임(220)은 침대헤드프레임(21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침대헤드프레임(210)과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재활 난간으로 사용되고,
상기 휠체어(100)의 좌석시트(110)는 주행부(140)의 상부에서 수평하게 각도가 리클라이닝되어 도킹공간부(230)에 도킹 시 침대프레임(200)을 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
A wheelchair (100) comprising a driving part (140) and a seat seat (110)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part (140) and reclined; And
The bed frame 200 includes a bed head frame 210 and a bed supporting frame 22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ed head frame 210 to form a docking space 230 at the bed sheet forming part. , ≪ / RTI >
The bed support frame 220 is hingedly coupled to the bed head frame 210 so as to be positioned in line with the bed head frame 210 and selectively used as a rehabilitation guardrail,
The seat seat 110 of the wheelchair 100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bed frame 200 can be used as a bed when docked in the docking space part 230 by reclining an angle horizontally at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part 140 Functional bed for both wheelchair and rehabilitation railing.
상기 휠체어(100)의 좌석시트(110)는 연결프레임(120)을 매개로 결합되는 발판(1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선택적으로 좌석시트(110)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좌석시트(11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발판(130)은 연결프레임(120)의 양측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프레임(12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 seat 110 of the wheelchair 100 may further include a footrest 130 coupled to the seat frame 110 via a connection frame 120,
The connection frame 120 is hinged to one end of the seat seat 110 so as to be selectively horizontal with the seat seat 110 so that the footrest 130 can be pivot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frame 120 And is hing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frame (120).
상기 주행부(140)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ㄷ"자 형상의 베이스프레임(14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41)의 일단 및 타단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바퀴(142)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41)의 타단 양측에 결합되는 바퀴손잡이(143a)가 형성된 주바퀴(143)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41)에 외팔보 형식으로 수직결합되어 상기 좌석시트(110)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unit 140 includes a base frame 141 having a horizontal line with the ground, auxiliary wheels 142 coupled to one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base frame 141, And a support frame 144 vertical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41 in a cantilevered manner to be coupled to the seat seat 110. The support frame 144 is coupled to the seat frame 110, Wherein the functional bed is a folding chair.
상기 주바퀴(143)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41)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in wheel (143) is selectively removable to the base frame (141).
상기 각 침대지지프레임(220)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바(25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좌석시트(110)와 발판(13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바(250)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가이드레일(1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A guide bar 250 is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bed support frames 220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seat sheet 110 and the foot plate 130 ar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guide bars 250 Wherein the guide rails (150) are formed on the guide rails (150).
상기 발판(130)의 타측은 베이스프레임(141)의 상부에 안착되는 지지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130) is supported to b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141).
상기 침대지지프레임(220) 및 침대헤드프레임(210)은 상단에 난간손잡이(24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d support frame (220) and the bed head frame (210) are further coupled with a railing handle (240) at the upper end thereof.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24452A KR101641457B1 (en) | 2015-02-17 | 2015-02-17 | Bed Functional Combine Wheelchairs And A Handrailing Remedial Exerci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24452A KR101641457B1 (en) | 2015-02-17 | 2015-02-17 | Bed Functional Combine Wheelchairs And A Handrailing Remedial Exercis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41457B1 true KR101641457B1 (en) | 2016-07-21 |
Family
ID=5668065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24452A Active KR101641457B1 (en) | 2015-02-17 | 2015-02-17 | Bed Functional Combine Wheelchairs And A Handrailing Remedial Exercis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4145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557801A (en) * | 2020-05-26 | 2020-08-21 | 武汉工程大学 | A movable reclining chair and multifunctional wheelchair composed thereof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93040A (en) * | 2000-04-17 | 2001-10-23 | Murata Mach Ltd | Multi-functional bed |
| KR20010098666A (en) * | 2000-04-17 | 2001-11-08 |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 Multifunctional bed |
| WO2011161930A1 (en) * | 2010-06-21 | 2011-12-2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Wheelchair and bed |
-
2015
- 2015-02-17 KR KR1020150024452A patent/KR10164145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93040A (en) * | 2000-04-17 | 2001-10-23 | Murata Mach Ltd | Multi-functional bed |
| KR20010098666A (en) * | 2000-04-17 | 2001-11-08 |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 Multifunctional bed |
| WO2011161930A1 (en) * | 2010-06-21 | 2011-12-2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Wheelchair and bed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557801A (en) * | 2020-05-26 | 2020-08-21 | 武汉工程大学 | A movable reclining chair and multifunctional wheelchair composed thereof |
| CN111557801B (en) * | 2020-05-26 | 2025-07-01 | 武汉工程大学 | A movable reclining chair and a multifunctional wheelchair composed of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2196794B (en) | Beds especially as hospital beds or nursing beds | |
| US8505134B2 (en) | Nursing bed with a lateral movement of translation | |
| US8713727B2 (en) | Siderail assembly for patient support apparatus | |
| US8714171B1 (en) | Walker handrail extension | |
| TWI693932B (en) | Care robot | |
| CN104013502A (en) | Multifunctional wheelchair | |
| KR20170124398A (en) | Bed chair | |
| US20100148542A1 (en) | Multi-purpose chair | |
| CN102920554A (en) | Electric wheelchair with functions of nursing bed | |
| JP2005304626A (en) | Method of constituting bed for nursing care with function of wheelchair and bed for nursing care | |
| KR101522929B1 (en) | Bed chair for patient convertible into bed or wheel chair with stool function | |
| US5405187A (en) | Wheelchair where the seat is divided longitudinally | |
| KR20170101333A (en) | electric wheelchair for bad-movement | |
| KR102289619B1 (en) | Wheelchair Detachable Type Bed | |
| KR102080545B1 (en) | Wheelchair comprising mobile device | |
| CN205964341U (en) | Sickbed | |
| CN107456335A (en) | Bed hoisting frame | |
| CN108056876A (en) | A kind of bed chair for being convenient for bed combines | |
| KR101641457B1 (en) | Bed Functional Combine Wheelchairs And A Handrailing Remedial Exercise | |
| KR102360916B1 (en) | bed and chair assembly | |
| CN203970712U (en) | Multifunctional wheelchair | |
| CN106389027A (en) | Electric crawler stair climbing potty wheelchair bed | |
| CN107468443A (en) | The medical treatment and nursing wheelchair of smooth running | |
| KR200420149Y1 (en) | Disabled and Patient Mobility | |
| CN213697566U (en) | Nursing robot suitable for pedestal toilet base frame struct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