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733B1 - The holding device of surgical Instruments for single operation - Google Patents
The holding device of surgical Instruments for single ope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2733B1 KR101642733B1 KR1020160071419A KR20160071419A KR101642733B1 KR 101642733 B1 KR101642733 B1 KR 101642733B1 KR 1020160071419 A KR1020160071419 A KR 1020160071419A KR 20160071419 A KR20160071419 A KR 20160071419A KR 101642733 B1 KR101642733 B1 KR 1016427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gle operation
- mounting
- surgical
- surgical instrument
- surgical to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claims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797 qual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술시 다른 수술 보조의의 도움 없이 집도의 혼자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수술도구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tool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gical tool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in which a surgical tool can be fixed so that a single operation of a home can be performed without assistance of another operation assistant will be.
일반적으로 수술실에는 메스를 들고 피부, 그밖에 절리를 행하는 수술의 주요담당자이자 책임자인 집도의와, 집도의를 도와 수술에 필요한 행위를 보조하는 보조의가 투입되어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Generally, the operating room is equipped with a scalpel, a principal who is responsible for the skin, and other operations that perform joints, and the assistant who assists with the operation necessary for the surgery is carried out.
보조의는 수술시 수술 부위가 외부로 잘 보이게 노출시켜 집도의가 수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수술의 난이도에 따라 보조의가 수행하는 역할이 달라진다.The assistant is exposed to the external part of the surgeon during the surgery, so that the surgeon can perform the surgery. The role of the assistant depends on the difficulty of the operation.
그러나 보조의는 전문의료자격을 가진 전문의가 수행하여야 하나 인력이 부족하고 대부분의 전문의가 보조의로 지원하는 않아 전문의료자격을 가진 전문의를 고용하기가 어렵고 비용이 비싸 의료수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ssistant should be performed by a specialist with specialist medical qualification, but it is difficult to hire a specialist with professional medical qualification because most of the specialists do not support the assistant, because of lack of manpower.
이로 인해 일부 병원에서는 전문의를 고용하는 대신 전문의보다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저렴하고 전문의료자격이 없는 PA(Physician Assistant, 진료지원인력)을 고용하여 수술을 진행하고 있으나 의료 질이 낮아지고 의료사고가 발생할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some hospitals employ PAs (Physician Assistant) who do not have professional medical qualifications and have a relatively low labor cost compared to specialists instead of hiring specialists. However,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난이도가 낮은 수술의 경우 집도의 혼자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수술 부위를 외부로 노출시켜 고정시키는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 a surgical tool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in which a surgical site is externally exposed and fixed so that a patient can perform surgery alone in a low difficulty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도의가 수술을 수행할 때 다수의 수술도구를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수술도구의 위치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gical tool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which can be used by fixing the position of a surgical tool so that the home doctor can utilize a plurality of surgical tools when performing surger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의를 고용하지 않고도 집도의 혼자 수술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의료수가를 낮출 수 있는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gical tool fixing device for a single operation that can lower the medical water price because the patient can perform the operation alone without using the assista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술 후 소독기에 넣을 수 있도록 설정된 크기로 접히는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gical tool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which is folded into a size set to be inserted into a sterilizer after surger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는 수술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와, 복수 개의 지지부 양 끝단에서 지지부 사이를 아치형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거치부와, 일측은 거치부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수술도구가 결합되어 수술도구를 수술부위에 위치 및 고정시키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surgical instrument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med at both side edge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urgical table, And an extension part that is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at one side and a surgical tool at the other side to fix and fix the surgical tool to the surgical site.
또한 본 발명의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의 지지부는 수술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바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대와, 지지대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거치부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거치부를 고정시키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ing part of the surgical instrument fixing device for the singl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r shaped bar so that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perating table and a protrus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ing bar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barrel to fix the barrel .
또한 본 발명의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의 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파여지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에는 오링이 삽입되어 돌기가 거치부에 삽입된 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ward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of the surgical tool fixing device for the singl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ring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protrusion is not slipp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
또한 본 발명의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의 거치부는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부의 돌기가 삽입되도록 바닥면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와, 거치대의 외면에서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거치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urgical instrument fixing device for the singl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lder having an arcuate shape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for inserting the protrusion of the support por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 mounting hook.
또한 본 발명의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의 연장부는 수술도구의 하중을 지지하며 설정된 길이로 이루어지는 연장대와, 거치부의 거치후크 및 수술도구의 고정후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위치조절홀로 이루어지는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xtended portion of the surgical tool fixing device for the singl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fixing hook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fixing hook of the surgical instrument can be inserted, And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ar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의 지지부, 거치부, 연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중단에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since at least one of the supporting part, the mounting part, and the extension part of the surgical tool fixing device for the singl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the rotation axis, the size thereof can be reduced to half around the rotation axi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에 의하면 난이도가 낮은 수술의 경우 집도의 혼자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수술 부위를 외부로 노출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urgical tool fixing apparatus for the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surgery with low difficulty, the surgical site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perform the surgery al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에 의하면 집도의가 수술을 수행할 때 다수의 수술도구를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수술도구의 위치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urgical tool fixing device for the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surgical tool can be fixedly used so that the home doctor can use the plurality of surgical tools when performing the surge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에 의하면 보조의를 고용하지 않고도 집도의 혼자 수술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의료수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urgical tool fixing device for the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patient can be performed alone without employing the assistant, it is possible to lower the medical co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에 의하면 수술 후 소독기에 넣을 수 있도록 설정된 크기로 접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urgical tool fixing device for a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folding to a size set to be inserted into a sterilizer after surge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가 수술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의 지지부와 거치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의 지지부와 거치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의 지지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의 거치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의 거치부에 형성된 거치후크의 내측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의 연장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rgical instrument fixing device for a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surgical tab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part and a mounting part of a surgical tool fixing device for a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part and a mounting part of a surgical tool fixing device for a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 structure of a surgical instrument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mounting portion of a surgical instrument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mounting hook formed in a mounting portion of a surgical instrument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extension of a surgical tool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본 발명은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술시 다른 수술 보조의의 도움 없이 집도의 혼자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수술도구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tool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gical tool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in which a surgical tool can be fixed so that a single operation of a home can be performed without assistance of another operation assistant will b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가 수술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rgical instrument fixing apparatus for a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surgical tab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20) 고정장치는 수술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100)와, 복수 개의 지지부(100) 양 끝단에서 지지부(100) 사이를 아치형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거치부(200)와, 일측은 거치부(200)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수술도구(20)가 결합되어 수술도구(20)를 수술부위에 위치 및 고정시키는 연장부(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a surgical
지지부(100)는 수술대(10)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수술대(10)에 고정시키기 위해 밀도가 높은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수술대(10) 상부에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거나, 수술대(10)에 볼트결합을 통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The supporting
거치부(200)는 수술대(10)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지지부(100)의 양 끝단 사이를 각각 가로질러 결합되고 아치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수술대(10)에 누운 수술자의 몸을 감싸는 형태가 된다.The
즉, 거치부(200)는 수술자의 몸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지지부(10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수술자의 수술부위의 양단에 형성되게 된다.That is, the
또한 수술부위를 바라보고 있는 거치부(200)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거치후크(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후크(220)에는 다수의 위치조절홀(320)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300)가 결합되게 된다.A plurality of
연장부(300)의 타측에 형성된 위치조절홀(320)에는 고정후크(21)가 형성되어 있는 수술도구(20)가 결합되게 되어 연장부(300)가 수술도구(20)를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집도의는 수술도구(20)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연장부(300)에 수술도구(20)를 고정시켜 수술부위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The
즉, 기존의 보조의가 수술도구(20)로 수행하는 작업을 집도의가 수행한 후 연장부(300)에 수술도구(20)를 고정시켜 단독으로 수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assistive
또한 여기서 수술도구(20)라 하면 모스키토(mosquito), 켈리(kelly), 핀셋, 포셉, 겸자 등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연장부(300)의 위치조절홀(3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후크(21)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Herein,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20) 고정장치의 지지부(100)와 거치부(200)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20) 고정장치의 지지부(100)는 수술대(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바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대(110)와, 지지대(110)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거치부(200)의 삽입홀(230)에 삽입되어 거치부(200)를 고정시키는 돌기(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supporting
거치부(200)는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부(100)의 돌기(120)가 삽입되도록 바닥면에 삽입홀(230)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210)와, 거치대(210)의 외면에서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거치후크(2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지지부(100)에 형성되는 지지대(110)는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자석이 형성되어 수술대(10)와 자력으로 결합되게 할 수도 있으며, 고무 재질의 패드가 부착되어 수술대(10)에서 지지부(10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magnet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지지대(110)의 양 끝단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돌기(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120)는 거치부(200)의 지지부(100)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230)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The
또한 돌기(120)의 지름과 삽입홀(230)의 지름은 억지끼움이 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홀(230)에 돌기(120)가 삽입되면 억지끼움으로 인해 지지대(110)와 거치대(210)가 설정된 힘 이상을 가하지 않으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거치부(200)의 아치형으로 이루어진 거치대(210)에는 갈고리 형상으로 된 복수 개의 거치후크(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후크(220)는 거치대(210)의 아치형상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어 있게 된다.A plurality of
즉, 거치후크(220)에 거치되는 도 1의 연장부(300)는 수술부위의 위치에 맞춰 거치대(210)에 형성된 거치후크(220)를 선택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수술부위에 도 1의 수술도구(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20) 고정장치의 지지부(100)와 거치부(20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돌기(120)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파여지는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121)에는 오링(122)이 삽입되어 돌기(120)가 거치부(200)에 삽입된 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sertion groove 121 is formed to be inward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돌기(120)에 형성되는 삽입홈(121)은 돌기(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부에서 보았을 때 내측으로 원형으로 파고 들어가는 형상이 되며, 삽입홈(121)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도넛 형상의 오링(122)이 삽입되게 된다.The insertion groove 121 formed in the
오링(122)이 삽입홈(121)에 삽입되면 오링(122)의 일부는 돌기(120)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되며 거치대(210)에 형성된 삽입홀(230)에 삽입되면 삽입홀(230)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삽입홈(121) 내측으로 가압되어 삽입되게 된다.When the O-
따라서 오링(122)은 삽입홀(230) 내측면과 밀착되어 가압되므로 억지끼움 결합이 되게 되며,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마찰력이 커져 돌기(120)가 삽입홀(23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O-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20) 고정장치의 지지부(100)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20) 고정장치의 지지부(100)의 지지대(110)는 중단에 제1회동축(13)이 형성되어 있어 제1회동축(13)을 중심으로 양측에 지지대(110)가 회동하여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the
지지대(110)의 길이는 수술대(10)의 길이, 수술자의 몸길이, 수술부위의 범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지지대(110)의 길이가 일정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소독기에 넣어 소독할 수 없게 된다.Since the length of the support table 110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operation table 10, the length of the operator's body, and the range of the operation site, if the length of the support table 110 exceeds a predetermined length, it can not be disinfected in a sterilizer.
이를 위해 지지대(110)의 중단에 제1회동축(13)이 형성되며 제1회동축(13)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지지대(110)가 각각 형성되며, 제1회동축(13)에 결합할 때는 일측 지지대(110)는 "ㄱ", 타측지지대(110)는 "ㄴ"자 형상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지지대(110)의 단차에 서로 포개어져 제1회동축(13)에 결합되게 된다.To this end, a first coaxial shaft 13 is formed at the stop of the
따라서 제1회동축(13)을 중심으로 양측 지지대(110)의 높이가 평행하게 되며 수술 후 보관 또는 소독할 때는 제1회동축(13)을 중심으로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height of the two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20) 고정장치의 거치부(200)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unt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20) 고정장치의 거치부(200)의 거치대(210) 중단에 제2회동축(240)이 형성되어 있어 제2회동축(240)을 중심으로 양측에 거치대(210)가 회동하여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the
거치대(210)는 제2회동축(24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대(210)는 제2회동축(240)에 결합할 때는 일측 거치대(210)는 "ㄱ", 타측 거치대(210)는 "ㄴ"자 형상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거치대(210)의 단차에 서로 포개어져 제2회동축(240)에 결합되게 된다.The
따라서 제2회동축(240)을 중심으로 양측 거치대(210)를 회동시켜 접을 수 있게 되며 수술 후 보관 또는 소독할 때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both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20) 고정장치의 거치부(200)에 형성된 거치후크(220)의 내측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ide of a mountin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20) 고정장치의 거치후크(220)는 거치후크(220)와 연결되며 원판으로 형성되며 거치대(210)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지지판(221)과, 상기 지지판(2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221)을 타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체(222)와, 상기 지지판(22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221)을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체(2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 the fixing
거치후크(220)와 결합되는 지지판(221)은 거치대(210) 내부에 형성되어 거치대(210) 내부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거치후크(220)가 쳐지지 않도록 거치후크(220)의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의 홀(도시되지 않음)이 거치대(210)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The
제1탄성체(222)와 제2탄성체(223)는 거치대(210) 내부에 형성되어 각각 지지판(221)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게 되며 거치대(210)의 내측면과 지지판(221)에 결합되어 거치후크(220)의 이동에 따라 지지판(221)이 이동하게 되면 제1탄성체(222) 또는 제2탄성체(223)가 압축 또는 팽창하도록 형성되게 된다.The first
따라서 거치후크(220)에 외력을 가해 일측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제1탄성체(222)가 압축되면서 제2탄성체(223)가 팽창하게 되고 거치후크(22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제1탄성체(222)와 제2탄성체(223)의 복원력에 의해 제자리로 되돌아오게 된다.The first
즉, 거치후크(220)는 거치대(210)의 외면에서부터 돌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으므로 도 1의 연장부(300)가 결합된 후 도 1의 수술도구(20)가 연장부(300)에 결합될 때 연장부(300)를 당기거나 밀어 거치후크(2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 1의 수술도구(20)를 연장부(300)에 쉽게 걸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mounting
또한 거치후크(220)가 구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거치후크(220)를 회전시켜 후크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ountin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20) 고정장치의 연장부(30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20) 고정장치의 연장부(300)는 수술도구(20)의 하중을 지지하며 설정된 길이로 이루어지는 연장대(310)와, 거치부(200)의 거치후크(220) 및 수술도구(20)의 고정후크(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위치조절홀(320)로 이루어지는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7, the
연장대(310)의 길이는 수술부위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연장대(310)의 재질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술도구(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The length of the
위치조절홀(320)은 연장대(310)를 관통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끝단에 형성된 위치조절홀(320)은 도 5의 거치대(210)에 형성된 도 5의 거치후크(220)가 삽입되어 연장대(310)가 도 5의 거치후크(220)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게 된다.The
연장대(3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위치조절홀(320)에는 도 1의 수술도구(20)에 형성된 도 1의 고정후크(21)가 삽입되게 되며, 수술부위의 위치에 따라 도 1의 수술도구(20)를 중단에 형성된 위치조절홀(320)에도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1 is inserted into the
또한 연장대(310)의 길이가 긴 경우 연장대(310)의 중단에는 제3회동축(330)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3회동축(33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연장대(310)가 결합되게 되고 연장대(310)가 회동하여 크기를 줄일 수도 있게 되어 소독기에 넣을 수 있거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에 의하면 난이도가 낮은 수술의 경우 집도의 혼자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수술 부위를 외부로 노출시켜 고정시킬 수 있고, 집도의가 수술을 수행할 때 다수의 수술도구를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수술도구의 위치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의를 고용하지 않고도 집도의 혼자 수술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의료수가를 낮출 수 있고, 수술 후 소독기에 넣을 수 있도록 설정된 크기로 접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urgical tool fixing apparatus for the sing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operation with a low degree of difficulty, the surgical site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lone, The position of the surgical tool can be fixed so that it can be used by using a plurality of surgical tools, and since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lone without the assistant, the cost of the medical treatment can be lowered, It has the effect of folding to the set siz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as a limitati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odify 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therefore,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claims set forth to cover many of such variations.
10 : 수술대 20 : 수술도구
21 : 고정후크 100 : 지지부
110 : 지지대 120 : 돌기
121 : 삽입홈 122 : 오링
130 : 제1회동축 200 : 거치부
210 : 거치대 220 : 거치후크
221 : 지지판 222 : 제1탄성체
223 : 제2탄성체 230 : 삽입홀
240 : 제2회동축 300 : 연장부
310 : 연장대 320 : 위치조절홀
330 : 제3회동축 10: Surgical table 20: Surgical tool
21: fixed hook 100:
110: Support 120:
121: insertion groove 122: O-ring
130: first coaxial shaft 200: mounting part
210: cradle 220: mounting hook
221: support plate 222: first elastic member
223: second elastic member 230: insertion hole
240: second coaxial shaft 300: extension part
310: extension base 320: position adjustment hole
330: 3rd coaxial
Claims (6)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양 끝단에서 상기 지지부 사이를 아치형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거치부와;
일측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수술도구가 결합되어 상기 수술도구를 수술부위에 위치 및 고정시키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 상기 거치부, 상기 연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중단에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med at both side ed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table;
A mounting portion which is arcuately cros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nd an extension part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on one side and a surgical tool on the other side to fix and fix the surgical tool to a surgical sit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upporting portio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ivot shaft so that the size of the pivot shaft can be reduced by half,
Surgical instrument fixation device for single operation.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술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바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를 고정시키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A bar in the form of a bar so that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perating table;
And protrus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of the mounting portion to fix the mounting portion.
Surgical instrument fixation device for single operation.
상기 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파여지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에는 오링이 삽입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거치부에 삽입된 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wardly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an O-ring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protrusion is not slipp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Surgical instrument fixation device for single operation.
상기 거치부는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의 돌기가 삽입되도록 바닥면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외면에서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거치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A mounting base formed in an arcuate shape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 bottom surface thereof to insert the projec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mounting hook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radle in a claw shape.
Surgical instrument fixation device for single operation.
상기 연장부는
수술도구의 하중을 지지하며 설정된 길이로 이루어지는 연장대와;
상기 거치부의 거치후크 및 상기 수술도구의 고정후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위치조절홀;로 이루어지는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 수술을 위한 수술도구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An extension for supporting a load of the surgical instrument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mounting hook of the mounting part and the fixing hook of the surgical tool can be inserted.
Surgical instrument fixation device for single oper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71419A KR101642733B1 (en) | 2016-06-09 | 2016-06-09 | The holding device of surgical Instruments for single ope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71419A KR101642733B1 (en) | 2016-06-09 | 2016-06-09 | The holding device of surgical Instruments for single opera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42733B1 true KR101642733B1 (en) | 2016-07-28 |
Family
ID=5668177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71419A Active KR101642733B1 (en) | 2016-06-09 | 2016-06-09 | The holding device of surgical Instruments for single opera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42733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518643A (en) * | 2003-02-21 | 2006-08-17 | ハメル,ロス | Skull and facial fracture reconstruction assembly |
| US20060253109A1 (en) * | 2006-02-08 | 2006-11-09 | David Chu | Surgical robotic helping hand system |
| KR20080072625A (en) * | 2005-09-30 | 2008-08-06 | 인튜어티브 서지컬 인코포레이티드 | Surgical Auxiliary Clamps and Systems |
| US20110201897A1 (en) * | 2009-10-21 | 2011-08-18 | Rudolf Bertagnoli | Retractor System for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 |
-
2016
- 2016-06-09 KR KR1020160071419A patent/KR1016427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518643A (en) * | 2003-02-21 | 2006-08-17 | ハメル,ロス | Skull and facial fracture reconstruction assembly |
| KR20080072625A (en) * | 2005-09-30 | 2008-08-06 | 인튜어티브 서지컬 인코포레이티드 | Surgical Auxiliary Clamps and Systems |
| US20060253109A1 (en) * | 2006-02-08 | 2006-11-09 | David Chu | Surgical robotic helping hand system |
| US20110201897A1 (en) * | 2009-10-21 | 2011-08-18 | Rudolf Bertagnoli | Retractor System for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159520B2 (en) | Device for fixing a femur for hip endoprosthesis surgery | |
| US3572326A (en) | Chest wall retractor | |
| EP1285633B1 (en) | Device for connecting a surgical instrument to a stable basis | |
| US10478364B2 (en) | Limb positioning system | |
| US3970075A (en) | Surgical retractor anchor apparatus | |
| GB2098484A (en) | Limb positioning device | |
| US20130001180A1 (en) | Sterile rack for contraceptive procedure | |
| WO1997004713A1 (en) | Laparoscopic scope manipulator | |
| WO2018079045A1 (en) | Fixing base | |
| JP7058661B2 (en) | Surgical limb positioning device | |
| JP6633693B2 (en) | Surgical retractor | |
| KR101642733B1 (en) | The holding device of surgical Instruments for single operation | |
| KR101658604B1 (en) | Pad for arranging surgery instrument | |
| AU2018203253A1 (en) | Patient Pad for Operating Theatre | |
| US20100071704A1 (en) | Medical device for supporting limbs | |
| CN110338909A (en) | Medical endoscopic surgery auxiliary stent | |
| JP6818194B2 (en) | Oral opening maintenance device | |
| TWM503196U (en) | Stereotactic stabilizer | |
| US20180000676A1 (en) | Surgical Extremity Position Supporting Device | |
| JP6923136B2 (en) | Oral opening maintenance device and its opening maintenance parts | |
| CN210872051U (en) | Medical endoscope operation auxiliary stand | |
| JP4709985B2 (en) | Lower limb fixation device | |
| JP6474140B2 (en) | Retractor fixing device | |
| CN217885983U (en) | Thoracoscope support device | |
| CN221469906U (en) | Incision protector with adjustable ring opening siz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6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