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201B1 -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rental fe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rental fe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4201B1 KR101654201B1 KR1020150050055A KR20150050055A KR101654201B1 KR 101654201 B1 KR101654201 B1 KR 101654201B1 KR 1020150050055 A KR1020150050055 A KR 1020150050055A KR 20150050055 A KR20150050055 A KR 20150050055A KR 101654201 B1 KR101654201 B1 KR 1016542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
- subordinate
- user
- route
- settl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비용분배 체계를 가지는 복수의 이용자에 대한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관리부에서 임대 대상차량이 할당되는 단계, 경로 설정부가 출발지에 목적지에 이르는 기초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선순위의 이용자단말에서 선순위 이용자의 출발거점 및 목적거점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단계, 선택된 거점 간의 거리에 따라 선순위의 분할요금이 결정되는 단계, 결정된 선순위의 분할요금이 결제서버를 통하여 결제되는 단계, 후순위의 이용자단말에서 후순위 이용자의 출발거점 및 목적거점이 선택되는 단계 및 선택된 거점 간의 거리에 따라 후순위의 분할요금이 결정되는 단계 및 결정된 후순위의 분할요금이 결제서버를 통하여 결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lease fees to a plurality of users having a reasonable and efficient cost distribution system, in which a rental vehicle is allocated in a vehicle management section, a basic route from a route setting section to a destination A step of selecting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point of a senior user at a senior user terminal, a step of determining a prorated division fee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selected points, and a determined prorated division fee being paid through a payment server A step of selecting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point of a subordinate user in a user terminal of a subordinate user, a step of determining a subordinate fee of a subordinate based on a distance between selected points, and a step of paying the determined subordinate fee through a payment server To provide a method of distributing rental fe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송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비용분배 체계를 가지는 복수의 이용자에 대한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ransportation ser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rental fees to a plurality of users having a reasonable and efficient cost distribution system.
운송(運送)이란 사람이나 물건을 소정의 목적지까지 보내는 것을 말하는 것을 말한다.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refers to sending a person or an object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현대사회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의 이동과 물류의 이송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운송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In modern society, as the population increases, the movement of people and the transfer of logistics are increasing rapidly, and various transportation services are emerging accordingly.
이러한 운송서비스는 경로의 관점에서 정해진 구간을 이동하는 구간 운송과, 개별적인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설정된 목적지 까지 이동하는 자율 운송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대표적으로, 여객기, 여객선, 기차 또는 버스와 같은 운송서비스를 들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택시나 렌탈차량과 같은 경우를 들 수 있다.Such a transportation service can be divided into a section transportation that moves a predetermined section in terms of a route and an autonomous transportation that moves to a destination set according to an individual user's request. In the former case, transportation services such as airliners, passenger ships, trains or buses are representative, and in the latter case, such as taxi or rental vehicles.
구간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중적이고 대표적인 버스의 경우를 살펴보면, 정해진 구간에서 각 거점인 정류장을 경유하는 시내버스와, 두 지점을 사이에 두고 비교적 빠르게 오갈 수 있는 셔틀버스로 구분해볼 수 있다. In the case of public buses, which provid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buses passing through a station, which is a predetermined section, and shuttle bus, which can be relatively quickly moved between two points.
이러한 버스의 경우 대중이 이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저렴하고 그 이용절차가 단순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정해진 목적지나 거점이 미리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이용자들마다 다른 목적지에 대한 수요에 정확하게 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불필요한 경로를 경유하여야 하거나 배차간격이 긴 경우 과도한 대기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These buses are available to the public and have a low cost and simple merits. However, since the predetermined destination or station is predetermined, each user can not accurately meet the demand for the other destina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unnecessary route must be passed or an excessive waiting time is required when the dispatch interval is long .
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경로의 신설, 배차간격의 단축, 소요시간의 예보, 환승서비스 등의 다양한 시도가 있으나 근본적으로 구간에 대하여 반복 운행하는 구간 운송서비스의 단점에 대한 극복은 불가능하다.Recently,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such as new route, shortening of dispatch interval, forecasting time and transfer service, but it is impossibl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the intermittent transportation service which is repeatedly operated for the interval.
한편, 대중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자율 운송서비스로서 택시의 경우 이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즉답하여 목적지까지 가변적인 경로로 운행이 가능하므로 신속하고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as an autonomous transportation service that is widely used in the public, taxi can be operated in a variable route to the destin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user, so that it can respond promptly and flexibly to the environment.
이러한 택시의 이용요금은 기본요금에 시간과 거리를 고려한 주행요금을 합산하여 계산하는 규정된 요금체계를 가지고 산정이 된다. 그런데 택시서비스의 경우는 운전자와 승객이 1:1로 매칭되어 제공되므로 대중적이지 못한 한계를 가지며 특히 거리가 멀거나 교통이 정체되는 등의 사정이 있는 경우는 과도한 이용요금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These taxi fares are calculated with the prescribed fare system, which calculates the base fare by calculating the travel fares considering time and distance. However, in the case of taxi service, since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are provided with a matching ratio of 1: 1, it has a limit that is not popular. Especially, when there is a situation such as a long distance or traffic conges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n excessive use charge is required.
택시서비스에 있어서 비슷한 경로로 이동하고자 하는 이용자를 추가로 탑승시키는 이른바 합승의 경우 위의 대중적이지 못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려될 수도 있으나 이는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so-called "merging" of the passengers who want to move to a similar route in the taxi service, this may be considered as overcoming the above-mentioned uncommon problems, but this is illegal.
더욱 자율적인 운송방법으로서 단기적으로 차량을 이용하기 위하여 렌탈을 하는 서비스가 렌탈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기도 한다. 이러한 렌탈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장기 또는 단기 렌탈로 구분되기도 하는데, 최근에는 하루 또는 수일 정도의 단기로 렌탈을 하는 경우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As a more autonomous transportation method, a rental service may be provided by the rental company in order to use the vehicle in the short term. Such rental service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long-term or short-term rentals, and recently, renting in the short-term, such as one day or several days, is also increasing.
또한, 최근에는 복수의 이용자가 공동으로 차량을 이용하는 카쉐어링(car sharing) 서비스도 등장하였다. 카쉐어링은 유럽, 미국 등 해외에서 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서, 회원 고객들이 포스트(Post:무인 주차 장소)의 차량을 인터넷이나 전화를 통해 예약하여 이용한 후 원래 장소에 반납하고, 이용 실적에 따라 매월 이용료를 납부하는 대여 방법이다. 이는 넓은 의미로서의 렌탈서비스로 볼 수 있다.Recently, a car sharing service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share a vehicle has also appeared. Car sharing is a method that is mainly used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nd overseas. Member customers reserve the post (unmanned parking place) by using the Internet or telephone, and return it to the original place. Of the rental fee. This can be seen as a rental service in a broad sense.
상기한 렌탈서비스의 경우는 운송서비스의 방법 중에서 가장 자율적인 형태로 볼 수 있으나, 이용자가 직접 운전을 하여야할 뿐만 아니라 다른 운송방식에 비하여 비용이 높고 차량의 요청과 반납이 번거로운 문제를 가진다. In the case of the rental service described above, it can be regarded as the most autonomous form of the transportation service method. However, the user has to operate the vehicle directly, and the cost is higher than other transportation method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quest and return of the vehicle are cumbersome.
상기 카쉐어링의 개선된 방법으로서 공개특허 10-2004-0049441호는 인터넷 기반의 커뮤니티 회원 관리를 통한 차량의 공동이용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As an improved method of car sharing, Patent Document 10-2004-0049441 provides a method for joint use of vehicles through community-based management of Internet members.
도 1은 상기된 종래 차량의 공동이용 방법을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operating a method for jointly using the conventional vehicle described above.
이러한 종래의 카쉐어링 운영시스템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브라우저를 내장한 개인용 컴퓨터(100),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휴대폰(101), 차량 공동 이용의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102), 차량에 설치된 컴퓨터 및 휴대폰과 통신하는 통신 서버(104), 주행 거리와 연료량을 측정하고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차내 컴퓨터(106), 연료 정산 DB(108), 계약 DB(110), 예약 DB(111), 고객 DB(112) 및 이용 실적 DB(114)로 이루어져 있다.Such a conventional car sharing operating system includes a
이에 따라 복수의 일괄 계약자들은 계약DB를 통하여 자기의 사용시간을 각각 설정하고 기간을 나누어 사용하여 그 사용 기간만큼 비용을 계산한다는 것인데, 사실상 이는 단기 렌트의 경우와 다를 바 없고, 종래의 렌탈서비스의 단점을 그대로 가진다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ly, a plurality of collective contractors set their own use time through the contract DB and use the divided periods to calculate the cost for the use period. Actually, this is not different from the case of the short-term rental, There is a problem that it has the disadvantage as it i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운송체계에 대한 문제들을 극복하고 물품이나 차량의 임대에 있어서 다수의 이용자의 비용분담의 관계를 통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요금부과가 가능한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ransportation system and to provide an efficient and reasonable rental fee And a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차량관리부에서 임대 대상차량이 할당되는 단계, 경로 설정부가 출발지에 목적지에 이르는 기초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선순위의 이용자단말에서 선순위 이용자의 출발거점 및 목적거점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단계, 선택된 거점 간의 거리에 따라 선순위의 분할요금이 결정되는 단계, 결정된 선순위의 분할요금이 결제서버를 통하여 결제되는 단계, 후순위의 이용자단말에서 후순위 이용자의 출발거점 및 목적거점이 선택되는 단계 및 선택된 거점 간의 거리에 따라 후순위의 분할요금이 결정되는 단계 및 결정된 후순위의 분할요금이 결제서버를 통하여 결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assigning a vehicle to be rented by the vehicle management unit, setting a basic route of the route setting unit to the destination, a step of selecting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point of the senior user at the senior user terminal, A step in which a split fee for a priori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bases, a step in which a determined split fee is paid through a payment server, a step in which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point of a subordinate user are selected in a subordinate user terminal, A step of determining a subordinate fee of a subordinate subordinate fee and a subordinate fee of the determined subordinate subordinate fee are paid through a payment server.
또한, 대상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한 이후에 결제 및 정산부에서 서비스수수료를 포함하는 임대요금을 제외한 분할요금의 총액에 대한 초과액을 각 이용자의 계정으로 정산 및 환급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tlement and settlement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in which an excess amount of the total amount of the split charges excluding the rental fee including the service fee is settled and refunded to each user's account after the destination vehicle arrives at the destination.
상기 분할요금은, 임대요금(m)의 총액을 기준시간 동안의 과거의 누적된 운행 총거리에 대한 해당 이용자가 요청한 거점 사이의 이용거리의 비를 곱한 값과 서비스수수료를 합산하여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시간 동안의 임대요금(m)의 총액을 기준시간 동안의 과거의 누적된 운행 총거리와 요청한 거점 사이의 이용거리에 대한 이용거리의 비를 곱한 값과 서비스수수료를 합산이 분할요금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plit fee is calculated by summing the total amount of the lease charge m with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past total travel distance during the reference time by the ratio of the use distance between the base points requested by the user and the service fee Do. The sum of the total rental fee (m) during the reference time multiplied by the ratio of the total accumulated travel distance in the past for the reference time to the utilization distance for the utilization distance between the requested base and the service fee, Can be set.
또한, 상기 이용거리는, 출발거점 및 목적거점에 대한 최단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tilization distance is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starting point and the target point.
상기 분할요금은, 서비스수수료가 이용자가 요청한 거점 사이의 이용거리에 비례하여 증가될 수 있다.The split fee may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usage distance between the service points requested by the user.
또한, 상기 분할요금은, 최초 기초경로에 대한 요청을 수행한 기초 이용자에 대하여, 후순위로 참가한 이용자의 표준요금은 가중값이 부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lit fee may be weighted for the base user who has made the request for the initial base route, and the standard rate of the user participating in the subordinate order.
한편,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대상차량에 대한 할당과 대상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차량관리부, 하나 이상의 이용자단말로부터의 거점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각각의 이용자단말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이용자 관리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최적경로 또는 최단경로에 대한 기초경로를 설정하고 후순위 이용자의 요청을 판단하여 거점을 추가하여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설정부, 각 이용자에 대한 분할요금을 분배하고 후순위 이용자의 추가적인 이용 요청에 따라 선순위 이용자의 분할요금을 감액하는 요금 산출부 및 대상차량의 목적지의 도달시 선결제된 분할요금에 대하여 서비스수수료를 포함하는 임대요금을 제외한 초과액을 정산 및 배당하는 결제 및 정산부를 포함하는 임대요금의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vehicle management unit for collecting al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target vehicl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a target vehicle; a user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a request for a base point from one or more user terminals, A route setting unit for setting a basic route for an optimal route or a shortest route from a departure place to a destination, determining a request of a subordinate user, and adding a base point to change the route, distributing a split fee for each user, A rate calculation unit for reducing the divisional charges of the senior user upon request, and a rental unit including the settlement and settlement unit for setting and allocating the excess amount excluding the rental fee including the service fee for the split fee prepaid upon reaching the destination of the target vehicle Provides a distribution system of fees.
본 발명의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종래의 렌탈서비스의 편리성과, 구간 운송서비스의 낮은 비용부담과, 자율 운송서비스의 유연한 대응의 장점을 모두 결합하고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운송서비스로서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rent char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 the convenience of conventional rental services, the low cost burden of the section transportation service, and the flexible response of the autonomous transportation service, and provide it as a transportation service maximizing efficienc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특히, 동시적 또는 시간차이를 둔 다수가 모바일단말을 통하여 즉시적으로 차량들의 운행정보를 확인하고 소정의 거점에 대한 경로의 변경의 요청을 할 수 있고 이에 즉시적으로 인접성을 판단하여 가능한 리스트가 제공되어 대상차량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의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합리적인 임대요금의 분할과 이에 해당되는 결제를 통하여 비용적인 부담이 완화되며 배당을 통하여 초과액에 대한 정산이 이루어지므로 합리적인 운송에 따른 요금의 지불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의 만족감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simultaneous or time-varying vehicles can instantaneously confirm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request a change of the route to a predetermined base point, immediately determine the adjacency,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maximized and the reasonable burden of the rent is reduced through the division of the reasonable rental fee and the payment corresponding to it, and the excess amount is settled through the divide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차량 공급자의 입장에서도 종래의 수동적이고 임의적인 차량 렌탈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그 활용영역이 확대되므로 차량에 대한 회전율이 향상되어 수익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he vehicle suppli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profitability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turnover rate of the vehicle since the service area of the vehicle is deviated from the conventional passive and arbitrary rental service.
도 1은 종래 차량의 공동이용 방법을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따라 임대차량의 운행 경로가 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을 시간순으로 결정하는 실시예들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을 변경되는 운행경로에 따라 결정하는 실시예들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대요금의 분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서버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경로 설정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의 요금 산출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임대요금의 분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operating a method for jointly using a conventional vehicle.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tting a route of a rental vehicle according to a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embodiments in which the method of distributing rent char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ronologically determined. FIG.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embodiments in which a method of distributing rent char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changed travel route. FIG.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rental fee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rver unit of Fig. 5;
FIG. 7 is a view show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routing unit of FIG. 6;
FIG. 8 is a view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charge calculating unit of FIG. 6; FIG.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distribution system of rental fees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tributing rent char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그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It does not mean anything.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section includes a constituent, it is intended that the inclusion of the other constituent (s)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차량을 복수의 이용자가 시간 차이를 두고 공동으로 임대하되, 후순위의 이용자에 의하여 경로가 변경된 경우 임대요금의 분배 비율이 변경되는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을 제공한다.Basically,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rovides a method of distributing a rent charge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ollectively lease one vehicle at a time difference, but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rental fee is changed when the route is changed by the user of the subordinate.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복수의 이용자에 의한 공동의 결제액이 임대요금으로서 지불되는데, 운행 방식으로서 종래의 구간 운송의 개념과 같이 기초 요청에 의하여 기초경로가 설정되며 후순위의 이용자에 의하여 경로가 변경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개념은 종래의 렌탈 또는 자율 운송 방식의 유동적인 경로의 설정이 가능한 이점과 구간 운송 방식의 낮은 비용 소요의 이점을 결합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on payment amount by a plurality of users is paid as a rental fee. The basic route is set by the basic request like the conventional concept of the section transportation, and the route can be changed by the user of the subordinate The configuration is presented. In other word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bin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stablish a flexible route of a conventional rental or autonomous transportation mode and the advantage of a low cost requirement of an area transportation mode.
상기된 결제액의 총합은 임대요금으로서 상계되고 이용자의 수 및/또는 이용시간 및/또는 이용거리 및/또는 이용구간 및/또는 이용에 따른 시간차이의 요소에 따라 결제액이 개인별 또는 상호간에 가변될 수 있는데 이러한 비용분배의 효율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sum of the settlement amounts can be set as a rental fee and the settlement amount can be varied individually or mutual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and / or the use time and / or the use distance and / or the tim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usage period and / Specific embodiments for the efficiency of cost distribu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임대 대상인 차량은 사람 또는 물품의 운송이 가능한 버스, 택시, 승용차, 오토바이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며 비행기나 선박 등 운송이 가능한 운송수단들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물품의 배송을 목적으로 하는 드론(Drone)의 경우도 본 발명의 운송차량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물품 그 자체나 건축물과 같은 임대가 가능한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to be rented a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forms of buses, taxis, passenger cars, motorcycles, and the like capable of transporting people or goods, and does not exclude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irplanes or ships. Also, a case of a drone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an article may be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objects that can be leased, such as an article itself or a building.
또한, 대상차량이란 복수의 이용자에 의하여 특정된 임대 대상인 차량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단일의 대상차량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되나 복수의 이용자 군(群)에 의한 복수의 대상차량이 일괄되어 관리될 수 있는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The term "target vehicle" refers to a vehicle that is a rental target specified by a plurality of users. The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rent char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single target vehicle. However,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arge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llectively managed.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따라 임대차량의 운행 경로가 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tting a route of a rental vehicle according to a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설명에서 기초경로(ℓ0)는 차량의 임대운행의 개시시 설정된 출발지(s)와 목적지(t) 사이의 최단 또는 최적 구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초경로의 설정은 최초 임대요청을 하는 이용자 또는 이용자들의 집합의 의사결정에 의하거나, 후술될 기초경로 설정부(도 7의 1201)에서 과거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route lO means the shortest or the best interval between the departure point s and the destination t set at the start of lease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setting of the basic rout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cision of the user or the set of users who make the initial lease request or based on the past data in the basic route setting unit (1201 in Fig. 7)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기초경로(ℓ0)는 후술될 바와 같이 선불로 지급될 표준요금의 결정을 위한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This basic route l0 can be used as an element for determining a standard fare to be paid in advance, a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개념에서 상기된 기초경로(ℓ0)는 후순위의 이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고, 변경되는 경로는 변경경로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경로의 변경이란 기초경로 또는 선순위의 변경경로의 구간에서 벗어난 거점(s1, s2)으로의 노선의 변경 또는 기초경로 또는 선순위의 변경경로 구간 상에서 새로운 거점의 추가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above-mentioned basic route (? 0) can be changed by the user of the subordinate position, and the changed route is defined as the change route. Here, the change of the route may mean a change of the route to a base point (s1, s2) deviating from a basic path or a section of the priority change path, or addition of a new base point on a basic path or a priority change path section.
도시사항은 제1후순위 이용자에 의하여 이러한 기초경로(ℓ0)가 제1변경경로(ℓ1)로 변경되고, 다시 제2후순위 이용자에 의하여 제1변경경로(ℓ1)가 제2변경경로(ℓ2)로 변경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The illustration shows that the first subordinate user changes this basic route l0 to the first change route l1 and then the first change route l1 is changed to the second change route l2 by the second subordinate user And conceptually shows the changed state.
제1후순위 이용자가 기초경로(ℓ0)의 설정 이후에 제1거점(s1)에서의 픽업 요청에 따라 후술될 본 발명의 분배 시스템에서 이를 승인하여 변경하도록 하는데, 이때 승인 여부는 기초경로(ℓ0)와의 인접성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The first subordinate user approves and changes this in the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pick-up request at the first base point s1 after the setting of the base path l0, As shown in FIG.
즉, 제1거점(s1)과 기초경로(ℓ0) 사이의 거리(d1)은 이러한 인접성 판단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리(d1)는 반드시 기초경로와의 최단 및 직선거리만을 의미하지는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대상차량의 운행시 소정의 도로를 따라 운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거리는 실제 운행될 수 있는 도로의 형태와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신호체계나 교통량도 인접성 판단의 요소로 고려될 수 있다.That is,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base point s1 and the base path l0 can be an important factor of such adjacency determi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stance d1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shortest and straight line distance to the base path. This distance is based on the type and state of the road that can actually be operated since the vehicle travels along a predetermined road when it is operated. At this time, signal system and traffic volume can be considered as a factor of adjacency judgment.
이렇게 거리(d1)을 요소로 하여 결정된 인접성의 값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큰 경우 경로변경의 승인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초경로(ℓ0)는 제1거점(s1)을 경유하는 제1변경경로(ℓ1)로 변경될 수 있다.If the value of the adjacency determined by using the distance d1 as an element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set value, approval of the route change can be made, and thus the basic route l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hange route < RTI ID = (l1).
또한, 제1변경경로(ℓ1)로 변경된 이후 제2후순위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거점(s2)이 추가되고 이러한 제2거점(s2)의 인접성의 판단은 제1변경경로(ℓ1)를 기준으로 한 제2거점(s2)과의 거리(d2)를 요소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fter the change to the first change path l1, the second base point s2 is add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econd subordinate user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adjacency of the second base point s2 is made based on the first change path ll And a distance d2 between the first base point s2 and the second base point s2.
따라서, 인접성의 판단은 요청에 따라 추가되는 거점과 기초경로 또는 선순위 변경경로와의 대비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us, the determination of adjacency can be made as a comparison between a base point added on demand and a base path or a priority change path.
여기서, 제2변경경로(ℓ2)는 제1변경경로(ℓ1)와 제1거점(s1)을 공유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거점(s1, s2)들은 후순위 이용자들의 탑승지 또는 목적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하나의 이용자의 요청시 두 개 이상의 거점의 경유에 대한 요청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cond changing path l2 shares the first changing point ll and the first point s1. In addition, the base points s1 and s2 may denote a boarding place or a destination of subordinate users, and a request may be made for two or more base points at the request of one user.
한편, 제3후순위 이용자의 요청거점(p1)에의 변경요청이 있는 경우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시된 개념도에서는 요청거점(p1)과 제2변경경로(ℓ2)와의 거리(d3)가 제1 또는 제2거점의 변경요청에 대한 대비거리보다 먼 상태로 도시되었다.On the other hand, a case where there is a change request to the request base point p1 of the third subordinate user will be described. In the illustrated conceptual diagram, the distance d3 between the request point p1 and the second change path l2 is shown to be longer than the contrast distance for the change request of the first or second focal point.
이는 제3후순위 이용자의 요청거점(p1)의 인접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를 의미하여 이는 변경이 승인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한 시스템 상에서 서버부는 각각의 요청을 판단하여 대상차량에 적용될 수 없는 이용자의 요청임을 확인하고 이용자단말에서 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is means that the proximity of the requesting point p1 of the third subordinate user is relatively low, which means that the change can not be approved. On the system for this purpose, the server unit judges each request and confirms that it is a user's request that can not be applied to the target vehicle, and does not display it on the user terminal.
서버부는 복수의 대상차량들을 상기된 알고리즘에 따라 동시적이고 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이용자의 소정 시간에 요청되는 거점에의 변경가능한 운행경로를 가지는 대상차량들만을 인접도 순으로 정렬하고 필터링하여 이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하며 각 이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임대요금을 분배하여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erver unit can simultaneously and complexly manage a plurality of target vehicles according to the algorithm described above, and only the target vehicles having the changeable travel route to the base requested by each user at a predetermined time are sorted in order of proximity and filtered To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the rental fee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each user so that settlement can be mad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을 시간순으로 결정하는 실시예들의 개념도이다.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embodiments in which the method of distributing rent char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in chronological order.
임대요금(m)은 하나의 대상차량에 대한 소정의 기간 동안 사용되는 총요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개념은 이러한 임대요금(m)을 다수의 이용자가 적절하게 분배하여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는데, 이를 위하여 제1개념으로서 시간의 순에 따라 분배하는 방식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rental fee m means a total charge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for one target vehicle.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an appropriately distribute the lease charge m to alleviate the burden. To this end, the first concept is described as a method of distributing according to the order of time.
기초경로(ℓ0)에 대한 최초의 이용자들은 기초분할요금(p01, p02, p03)에 대한 분배를 받으며, 이는 기초요청의 제공시에 결정된다. The first users for the base path (l0) receive a distribution for the base split fee (p01, p02, p03), which is determined upon provision of the base request.
임대요금(m)은 각 이용자들의 분할요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할요금의 총액은 임대요금(m)에 충족될 수 있다. 이러한 임대요금은 소정의 렌탈사업자와 같은 차량의 공급자에 대한 수익이 되며, 이때 후술될 비용 분배, 결제 및 차량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제공자측의 수수료(c)가 임대요금(m)에 대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수료(c)가 임대요금의 분할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는 아닐 수 있다.The rental fee (m) may consist of a split fee for each user, and the total amount of the split fee may be met by the rental fee (m). (C) the fee for the provider of the system for cost distribution, payment and vehicle manage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 portion of the rental fee (m). It can occupy. However, the fee (c) may not be an essential factor in the division of the rental fee.
도 3의 (a)는 소정의 표준요금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다.FIG. 3 (a)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predetermined standard fee is applied.
도시사항에서는 총 5명의 이용자에 의하여 임대요금(m)이 분할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초분할요금(p01, p02, p03)은 기초요청시의 제1구간(α1)에서 결정되며 이는 차량의 운행 전에 결정될 수 있다.In the city map, the rent charge (m) is divided by 5 users. The basic divided charges (p01, p02, p03) are determined in the first section (? 1) at the base request and can be determined before the vehicle is operated.
이때, 최초의 계약 진행시 후순위 이용자들의 참가 여부가 불명하기 때문에 최초 이용자들이 전체 임대요금(m)을 부담하도록 분배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이러한 기초분할요금은 목적지 도달시 정산으로서 후순위 이용자들의 참가에 따라 정산될 수 있지만 후순위 이용자가 없거나 도시사항과 같이 극히 적은 후순위 이용자가 있는 경우 과도한 부담을 가지는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있다. 특히, 최초 이용자가 1인이고 후순위 이용자가 없는 경우는 종래의 단기 렌트의 경우와 다를 바가 없어 대중교통이나 택시 등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매우 불리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initial users are allocated to bear the total rental fee (m) because it is unknown whether subordinate users participate in the initial contract. As will be described later, such a basic split fee can be settled according to participation of subordinate users as a settlement upon reaching the destination,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problem of excessive burden may occur when there is no subordinate user or a very small number of subordinate users . Particularly, when the first user is one and there is no subordinate user,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short-term rent, which can be very disadvantageous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or taxi.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표준요금을 지불하고, 이용자들이 총 결제한 표준요금이 이에 미달되는 경우 추가로 납부하는 것이 없도록 하는 개념을 제시한다.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concept of providing a predetermined standard fee and providing the user with no additional payment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standard fee is exceeded is presented.
기초경로에 대한 운행 개시 이후 제2구간(α2)에서 2인의 후순위 이용자가 참가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때 각 후순위 이용자는 후순위분할요금(p11, p12)을 결제하게 된다.And a case where two subordinate users participate in the second section [alpha] 2 after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base route. At this time, each subordinate user pays the subordinate divisional charges (p11, p12).
도 3의 (a)의 실시예에서는 각 이용자들이 최초 이용자 및 후순위 이용자를 불문하고 소정의 표준요금을 적용하여 분배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In the embodiment of FIG. 3 (a), a case where each user applies a predetermined standard fee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is an initial user or a subordinate user is distributed.
다만, 각각의 이용자마다 출발거점과 목적거점이 차이가 있으므로 그 구간에 해당하는 운임만이 적용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표준요금은 각 이용자들에 대한 운행거리에 비례한 금액일 수 있으며, 총 운행거리에 대비하여 결정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point are different for each user, only the fare corresponding to that section needs to be applied. Therefore, the standard fare may be an amount proportional to the traveling distance to each user, and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traveling distance.
그런데,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경로가 추가되는 거점에 따라 가변되기 때문에 목적지에 도달 전에는 총 운행거리를 알 수 없는 문제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분할요금의 결제가 목적지 도착 시점에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으나, 각각의 이용자들의 목적거점이 다를 수 있는 점과 후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공급자나 서비스제공자 측의 비용에 대한 위험부담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표준요금에 대한 결제는 운행의 개시 또는 경로의 변경 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tal travel distance can not be known before reaching the destination because the route varies depending on the base to which the route is added. For this reason,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payment of the split fee is made at the time of arrival of the destination. However, there may be a risk that the destination base of each user may be different and the cost of the provider or the service provider It is desirable that the settlement of the standard fare be performed before the commencement of the operation or the change of the route.
따라서, 이러한 표준금액들은 선결제되는 방식으로 납부된 이후에 과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정산되어 환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se standard amounts may be settled and refunded if it is determined that overpayment has occurred after payment in a prepaid manner.
이와 같은 표준요금의 산출과 관련하여서는 비용 분배 시스템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calculation of the standard fee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explanation of the cost distribution system.
도 3의 실시예들에서 수수료(c)는 편의상 분할요금과 분리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임대요금(m)에 포함되어 각각의 분할요금에 배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FIG. 3, the fee (c) is shown separately from the split fee for convenience, but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included in the rental fee m and distributed to each split fee.
도 3의 (b)에서는 임대요금(m)을 전체의 이용자의 수에 따라 분할하는 개념을 제시한다.In FIG. 3 (b), the concept of dividing the rent charge (m)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users is presented.
이때, 제1구간(α1)에서의 기초분할요금(p01, p02, p03)과 제2구간(α2)에서의 후순위 분할요금(p11, p12)는 각각 운행거리에 따라 비율대로 임대요금(m)에서 분할되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ic divided charges (p01, p02, p03) in the first section? 1 and the subordinate split charges p11, p12 in the second section? 2 are the rental fees m, As shown in FIG.
이 경우 과거의 운행 및 운임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한 예측 분할요금의 산출이 중요성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be important to calculate the forecasted split rate based on data related to past service and freight.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선불시스템에 직접 적용되기는 어려운 난점을 가질 수 있어, 후불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difficult to apply directly to the prepaid system,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apply to the postpaid system.
이러한 방식의 경우 각 이용자가 이용자단말에서 결제 대기의 요청을 수행하고, 서버부는 운행이 종료된 경우 이용자가 기설정한 결제방식으로 결제요청을 결제서버로 송출하여 후 결제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In this case, each user requests a payment waiting at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service is completed, the server unit may transmit the payment request to the payment server using the payment method previously set by the user, have.
도 3의 (c)는 (b)의 실시예에 대한 추가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Figure 3 (c) presents a further concept for the embodiment of (b).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이용자들이 최초 또는 후순위를 불문하고 거리에 비례하여 임대요금(m)이 분할되는 경우가 제시되었다.In the above embodiment, it has been suggested that each user is divided into rent charges m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regardless of the initial or subordinate position.
그런데, 최초 이용자들은 비용에 대한 부담을 어느 정도 감수하면서 운행의 요청을 한 경우이기 때문에 후순위 이용자들에 대항 가중값(pm11, pm12)을 후순위 분할요금(p11, p12)에 부가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initial users request the service while paying a certain amount of cost, it is possible to consider adding subordinate weights (pm11, pm12) to the subordinate users (p11, p12) have.
상기된 분할요금에 대한 정산 역시 이러한 가중값을 공제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settlement for the above split fee may also be made by subtracting this weighting valu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을 변경되는 운행경로에 따라 결정하는 실시예들의 개념도이다.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embodiments in which a method of distributing rent char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changed travel route.
도 4의 (a)에서는 각각의 분할요금이 증가되는 거리에 따라 분배되는 형태를 나타내며, 후순위 분할요금(p11, p12, p21)들이 기초분할요금에 대비하여 가중값을 가지는 점에서 도 3의 (c)의 경우에 대응될 수 있다.In FIG. 4 (a), each split fee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distance, and in the case where the subordinate split charges p11, p12, p21 have a weight in comparison with the basic split fee, ). ≪ / RTI >
본 발명의 분할요금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사항들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각각의 이용자들의 운행거리 및 전체 운행거리에 대한 증가된 거리의 비율 등에 대한 인자는 고려되지 않았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since the items shown for explaining the division ch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explain the concept, factors such as the travel distance of each user and the ratio of the increased distance to the total travel distance are not considered.
본 도시사항에서는 상기 수수료(c)가 기초수수료(c0), 제1변경수수료(c1), 제2변경수수료(c2)로서 각 분할요금에 포함된 상태로서 나타내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ee (c) is shown as being included in each split fee as the basic fee (c0), the first change fee (c1), and the second change fee (c2).
최초 이용자들은 6명으로 설정되고, 각각 기초경로(ℓ0)에 대하여 기초분할요금(p01, p02, p03, p04, p05, p06)이 분배되며, 제1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제1변경경로(ℓ1)로서 변경된 경우 제1후순위분할요금(p11, p12)에 대한 분할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후순위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변경경로(ℓ2)로서 변경된 경우 제2후순위분할요금(p21)에 대한 분할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itial users are set to six, and the basic divided charges (p01, p02, p03, p04, p05, p06) are distributed to the basic route (l0) l1), the division for the first subordinate divisional rates p11 and p12 can be additionally performed. Further, a division for the second subordinate divisional rate p21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if the second modification route l2 is changed as requested by the second subordinate user.
도 4의 (b)는 후순위 이용자들의 참가에 따라 기초분할요금의 절감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4 (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duction of the basic split fee according to participation of the subordinate users.
상기한 바와 같이 기초경로(ℓ0)에 대하여 기초분할요금(p01, p02, p03, p04, p05, p06)이 분할되어 각각의 기초 이용자들에 지정되는데, 제1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제1변경경로(ℓ1)에서 일부 운행거리가 증가된 상태가 나타난다. As described above, the basic divided charges (p01, p02, p03, p04, p05, p06) are divided and assigned to the respective basic users with respect to the basic route l0, A state in which a certain traveling distance is increased in the route (l1) appears.
이때, 후순위이용자에 제1후순위분할요금(p11, p12)에 의하여 임대요금(m)의 분담 비율은 감소될 수 있고, 도 4의 (b)에서 하단의 기초분할요금(p01)은 상단의 기초분할요금(p01)보다 감소되었음이 확인된다.At this time, the sharing ratio of the rental fee m can be reduced by the first subordinate divisional charges p11 and p12 to the subordinate users, and the basic divisional fee p01 at the bottom of FIG. 4 (b) It is confirmed that it is lower than the split fee p01.
이러한 감소된 차액은 정산액으로서 이용자에 환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Such reduced amount may be refunded to the user as a settlement amount. Hereinaf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대요금의 분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ntal fee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대요금의 분배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전산상의 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장치인 중계망(2000)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이용자단말(2100)과 정보교환을 하는 통신부(1300), 상기 통신부(1300)를 통하여 입출력되는 이용자 및 대상차량의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처리하는 서버부(1100)로 이루어진다.The rental fee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상기 통신부(1300)는 이용자단말(2100)로 정보를 입출력하는 웹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0)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웹상에서 정보를 구현하는 서버로서 이용자의 단말기는 와이파이 또는 3G나 4G와 같은 이동통신망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데, 다만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정보를 입출력할 수도 있고, 이메일을 통하여 접속할 수도 있음은 물론, 종래의 통신망을 이용한 SNS나 MMS를 통하여 접속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통신부(1300)는 인터넷상의 웹을 통한 정보의 입출력을 위한 장치만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The
이러한 데이터의 통신을 위한 중계망(2000)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의 기지국 등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또한, 이러한 중계망(2000)을 통하여 통신부(1300)는 공급자서버(400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공급자서버(4000)는 대상차량의 임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측에 구비되는 정보처리 서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이용자에 의하여 이용자단말(2100)의 입력에 따라 조합 형태의 임대요청과 소정의 계약관계를 수립하면 족하므로 상기 통신부(1300)가 중계망(2000)을 통하여 공급자측에 SNS나 ARS알림 등의 방식으로 필요한 대상차량에 대한 임대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상기 이용자단말(2100)의 연결을 위한 중계망(2000)과 공급자서버(4000)의 연결을 위한 중계망(2000)은 분리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급자서버(4000)와 통신부(1300)의 연결은 비개방형의 통신망에 의하여 보안처리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이용자단말(2100)은 개인용컴퓨터, 모바일단말기나 스마트영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PDA, 노트북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의미하며, 스마트영상장치는 화상으로 정보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통신수단 및 네트워크 연결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러한 이용자단말(2100)은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부(1100)에 제공할 수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후술될 바와 같이 이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인근의 대상차량의 정보들을 매핑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은 각각의 이용자에 의한 결제액을 통한 운임의 결제 또는 정산의 처리는 서버부(1100)에 구비되는 결제 및 정산부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300)가 소정의 모바일결제업체나 통신사의 결제서버와 같은 외부의 결제시스템인 결제서버(30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제서버(3000)는 서버부(1100)에 일체화된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settlement or settlement of the freight through the settlement amount by each user as described below can be performed by the settlement and settlement unit provided in the
도 6은 상기된 본 발명의 서버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erv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이러한 서버부(1100)는 상기 통신부(1300) 및/또는 결제서버(3000)와 함께 하나의 시스템 모듈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각의 서버 및 '부'들이 분리된 장치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서버부(1100)에서 동작되는 각각의 '부'들은 하나의 정보처리모듈에서 프로그래밍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부(1100)는, 대상차량의 배당과 대상차량에 구비되는 GPS와 같은 위치정보확인모듈로부터 통신부(1300)를 통하여 수집된 위치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도록 기능하는 차량 관리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대상차량은 소정의 차량식별번호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대상차량의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는 실시간으로 차량 관리부(1110)에서 수집되어 관리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러한 차량 관리부(1110)는 대상차량에 구비되는 소정의 표시수단(미도시)을 통하여 호출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용자 또는 이용자들의 집합이 선택하여 경로 설정부(1200)에서 변경 승인된 경로나 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을 운전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운전자단말(미도시)이나 네비게이션 또는 대상차량에 탑재되는 화상표시장치일 수 있다.The
또한, 이용자 관리부(1120)는 각각의 이용자 단말에 대응한 이용자식별번호별로 구분하되 각 대상차량에 대응되는 이용자들의 군을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 관리부(1120)는 이용자단말(2100)에 구비되는 위치정보확인모듈로부터 통신부(1300)를 통하여 수집된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후술될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이용자단말(2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대상차량의 목록을 제공하거나 매핑(mapping)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 관리부(1120)에서의 이용자단말의 위치는 현재시점의 이용자의 위치 또는 예정된 시점의 이용자의 위치에 대하여 대상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대상차량의 예정된 경로를 대비하여 효율적인 분배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서버부(1100)는 경로 설정부(1200)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설정부(1200)는 기초경로를 설정하며 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승인하여 기초경로에 대한 경로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의 변경은 2회 이상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2회 이상의 경로의 변경은 복수의 후순위 이용자들에 의하여 복수의 거점이 지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로 설정부(1200)의 작동과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또한, 서버부(1100)는 대상차량을 임대하기 위한 전체적인 임대요금과 각각의 이용자들에 대한 결제액을 관리하는 요금 산출부(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대요금은 최초 기초경로에 의하여 결정되나 후순위 이용자들에 의하여 추가되는 거점에 의하여 변경되는 경로에 따라 변동 가능한 양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임대요금에 대하여 하나의 대상차량에 대응되는 이용자들의 군에서 각 이용자들의 결제액 또한 이용자의 수 또는 각각의 이용자들의 이용거리, 이용자의 요청의 순위 등의 요소에 따라 변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운행이 종료된 이후에 결제액에 대한 정산 또는 배당을 위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In addi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이용자들이 전체적인 대상차량의 임대요금에 대하여 소정의 집합단위로서 군을 형성하여 분할요금의 개념을 통하여 이를 분할하여 임대함으로써 소정의 임대요금에 대한 절감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분할의 개념은 소정의 기초경로에 대한 운행의 개시 이후 시간의 차이를 두고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선순위의 이용자들의 결제액은 후순위 이용자들의 탑승의 요청 또는 결제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sers form a group as a predetermined aggregate unit with respect to the total rental fee of the target vehicle, and rent the divided rental vehicle through the concept of the split fee, thereby achieving the effect The concept of this segmentation can be continuously generated with a time difference after the start of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base route.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ayment amount of the users of the priority ord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est or payment amount of the subordinate users.
상기 결제액은 각 이용자들의 호출시점 또는 호출에 대한 이용자 관리부(1120)에서의 승인시점 또는 경로 설정부(1200)에서의 경로 변경에 대한 판단시점 또는 탑승 및 하차시점에서 적절하게 선택되는 시점에 따라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결제 및 정산부(1130)가 서버부(110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ettlement amount may be set at a point of time at which each user makes a call or an approval point in the
본 발명에서는 결제의 형식으로 각 이용요금을 제공하고 배당의 형식으로 저감된 이용요금에 대한 정산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제 및 정산부(1130)에서 결제금의 결제는 각 이용자의 계약시점에 선결제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여기서, 계약시점은 선순위의 이용자나 이용자들의 집합이 최초 임대의 요청을 제공하는 시점 또는 후순위의 이용자나 이용자들의 집합이 거점을 추가하거나 지정된 경로에서 탑승을 요청하고 이러한 요청이 승인되는 시점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settlement can be provided for the usage fee reduced in the form of a payment and each usage fee in the form of settlement, the payment and
이러한 선결제의 금액은 계약자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후술될 바와 같이 요금 산출부(1210)에 의하여 절감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이용자단말(2100)에서 설정되어 이용자 관리부(1120)에 관리되는 계정에 환급되는 방식으로 정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the number of contractors increases, the prepaid amount can be reduced by the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분할요금이 임대요금의 지분으로서 활용되고, 운행서비스의 제공과 절감되어 환급되는 정산액이 수익의 배당으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다.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the split fee is utilized as a share of the rental fee, and the amount of the settlement that is refunded because of the provision of the service and the service can be accepted as the dividend of the profit.
한편, 각 대상차량의 운행정보와 결제금 및 정산액과 이용자의 수에 대한 정보는 누적되어 데이터화되고 운행데이터베이스(12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행데이터베이스(1220)는 누적된 데이터에 따라 효율적인 자원의 분배가 가능하도록 한다.Meanwhile, information on the driving information, the amount of payment, the amount of settlement and the number of users of each target vehicle can be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예를 들어, 각각의 이용자들이 자주 이용하거나 선호하는 구간에 대한 차량의 분배 또는 기초경로를 증가시키도록 하여 미리 수요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고, 후술될 바와 같이 각 기초경로에 대한 표준요금을 미리 설정하도록 하여 합리적인 결제금의 초기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for each user to respond to demand in advance by increasing the distribution or basic route of the vehicle to the frequently used or preferred section, and to set the standard fare for each basic route in advance So that the initial setting of a reasonable payment amount can be made possible.
상기된 표준요금에 대하여서는 아래의 식으로 정리될 수 있다.The above standard rat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i는 각 이용자에 대한 표준요금을 정의하며, R는 임대요금(m)의 총액을 의미한다. Pi defines the standard rate for each user, and R is the total amount of the rental fee (m).
Σxn은 기준시간 동안의 누적된 운행 총거리를 나타내고, xi는 해당 이용자가 요청한 이용거리를 나타낸다.Σx n represents the accumulated total travel distance during the reference time, and x i represents the usage distance requested by the user.
즉, 본 발명에서 표준요금은 기준시간 동안의 임대요금(m)의 총액을 기준시간 동안의 과거의 누적된 운행 총거리와 이용거리에 대한 해당 이용자가 요청한 거점 사이의 이용거리의 비일 수 있다. 따라서, 표준요금이 과거 데이터에 기반한 대상 차량의 기준시간 동안의 누적거리를 인자로 하는 값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분모의 값은 과거 기준시간 동안의 누적거리로서 설정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ard fare may be a ratio of the total amount of the lease charge m during the reference time to the total distance traveled in the past during the reference tim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se points of the user and the utilization distance. Therefore, the standard fare is affected by the value of the cumulative distance over the reference time of the target vehicle based on the past data. In some cases, the value of the denominator may be set as the cumulative distance for the past reference time.
여기서, 기준시간은 일반적인 렌탈서비스의 사용형태를 고려하여 10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2일 이상의 기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reference time may be set to 10 hours in consideration of the usage form of a general rental service, and may be a period of 2 days or more depending on the case.
이러한 기준시간이란 당해 차량의 현재 혹은 미래 시점의 시간인 경우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이용자들은 시간 차이를 두고 운송서비스를 이용하되 표준요금이 미래에 다른 이용자들의 경로나 시간에 따라 불확실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Such a reference time may be considered as the present or future time of the vehicle concerned. In this case, each user may use the transportation service with time difference, bu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standard fee becomes uncertain depending on the route and time of other users in the future.
따라서, 당해 경로를 주행하기 전의 전일 또는 과거에 대한 기간을 기준시간으로 설정하고 그에 대한 임대요금의 총액을 기준으로 하여 현재에 이용하는 이용자들에 대한 표준요금의 예측모델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주행시마다 변동되는 시간과 거리에 대한 요금을 합리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준시간 동안의 임대요금의 총액이란 단순히 전일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수집된 다양한 시점들의 평균값이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주행시간과 요금에 대한 빅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차량들을 배치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period as the reference time before or before the travel on the route as a reference time, and to utilize it as a prediction model of the standard fare for the users currently used on the basis of the total amount of the rental fee. It is possible to reasonably calculate the time and the fare for the distance. In this case, the total amount of the rental fee during the reference time may be simply the data of the previous day, but the average value of the collected various times may be utilized in some cases. In this case, big data about driving time and fare can be collected and analyzed so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ly arranging the vehicles.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수수료(c)는 소정의 정보이용료로 볼 수 있고, 이는 표준요금에 반영될 수 있다. 이러한 수수료(c)의 값은 각각의 이용자에 대하여 고정된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수료(c)는 임대요금(m)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 분할의 대상이 되는 임대요금(m) 총액으로 볼 수 있고, 또한 상기 임대요금(m)에는 운전자의 운전서비스에 대한 운전서비스수수료도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Also, as described above, the fee (c) can be regarded as a predetermined information usage fee, which can be reflected in the standard fee. The value of the fee (c) may be determined as a fixed value for each user, and is preferab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to receive the service as described above. The fee (c) is regarded as being included in the rental fee (m), and can be regarded as the total amount of the lease charge (m) subject to the division, and the rental fee (m) As shown in FIG.
따라서, 수수료는 단위거리당 정보이용료에 대한 상수값(α)에, 요청된 이용거리(xi)를 곱한 값일 수 있다.Therefore, the fee may be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onstant value (?) For the information usage fee per unit distance by the requested usage distance (xi).
이때, 상기 이용거리는 가변될 수 있는데, 도 2의 경우처럼 기초 이용자가 기초경로(ℓ0)로 설정하여 소정의 출발지(s)에서 목적지(t)까지 최단 또는 최적의 경로로 이용하고자 할 때, 제1후순위 이용자 또는 제2후순위 이용자에 의하여 경로가 가변되어 출발지(s)로부터 목적지(t) 까지의 운행거리가 증가되었음이 확인된다.In this case, the usage distance may be variable. When the basic user sets the basic route l0 as in the case of Fig. 2 and wants to use the route from the predetermined origin (s) to the destination t as the shortest or optimum route, 1 It is ascertained that the distance from the origin (s) to the destination (t) is increased because the route is changed by the subordinate user or the second subordinate user.
이는 기초 이용자에 불합리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이용자에 적용되는 이용거리는 소정의 출발거점에서 목적거점까지의 최단 또는 최적거리로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tilization distance applied to each user is determined as the shortest or the optimum distance from the predetermined starting point to the target point since it can act irrationally to the basic user.
수학식 1의 경우, 해당 이용자의 표준요금의 산출에 있어서 분모에 해당 이용자에 의한 요청거리가 합산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며, 수학식 2의 경우는 개별적인 요청거리를 합산한 경우를 나타낸다.In the case of Equation (1), the case where the request distance by the user is not added to the denominator in the calculation of the standard rate of the user, and the case of Equation (2) represents the case in which the individual request distances are added.
도 7은 상기된 경로 설정부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ath setting unit.
본 발명에서는 최초 개별 이용자 또는 이용자들의 집합의 요청에 의하여 대상차량이 할당되고 기초 경로가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이후에 후순위의 이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경로의 변경이 가능한 개념이 제시되는데, 이를 위하여 기초경로 설정부(1201)는 이용자의 기초요청에 따라 차량 관리부(1110)에서 분배된 대상차량의 기초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초경로는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의 최단구간 또는 교통상황을 반영한 최적의 운행구간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arget vehicle can be assigned and a basic route can be set by a request of a first individual user or a group of users, and thereafter, a concept that a rout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 request of users of a subordinate is presented. The route setting unit 1201 can set the basic route of the target vehicle distributed from the
이러한 기초요청은 단일의 이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복수의 이용자들의 공동의 결제를 통한 임대요금의 분할 부담에 있으므로 최초 선순위 이용자들이 소정의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일시에 기초요청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이용자 관리부(1120)에서 추가적으로 최초 운행의 요청의 의사와 목표 인원이 제기된 이후에 참가되는 다른 이용자들의 요청들이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기초경로 설정부(1201)에서 기초경로의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기초요청을 수행하는 이용자 또는 이용자들에 대한 심리적인 비용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Such a basic request can be made by a single user's request, but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senior users form a predetermined community, A request may be provided. This is because the
또한, 기초경로 설정부(1201)에서의 기초경로의 설정은 이용자들의 요청이 아닌 운행데이터베이스(1220)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이 선호하거나 소정의 시간대에 발생되는 거점을 중심으로 효율적인 구간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asic route setting unit 1201 may set the basic route based on the big data collected in the
한편, 경로의 변경은 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에 의하여 경로 변경부(1202)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기초경로의 설정의 경우와는 달리 하나의 대상차량에 대한 운행경로가 이미 결정된 이후의 변경이므로 모든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the route can be made through the
이를 위하여 판단부(1203)는 후순위의 요청에 따른 소정 시간에서의 출발거점 또는 탑승거점이 선순위의 경로에 인접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먼저 수행하도록 경로 설정부(1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부(1203)에서 요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승인된 경우 경로 변경부(1202)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For this, the
여기서, 경로의 변경이란 기초경로 또는 선순위의 이용자에 의하여 먼저 변경된 경로에서 운행 경로 자체가 변경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거점이 추가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거점이란 대상차량이 임시적으로 정차하여 이용자를 탑승 또는 하차시킬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한다.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hange of the route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route itself is changed in the route changed first by the user of the basic route or the priority, but also the case where a stronghold is added. The strong point means a point where the target vehicle stops temporarily and the user can get on or off.
도 8은 상기된 요금 산출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harge calculating unit.
요금 산출부(1210)는 결제금을 분배하고 증가된 이용자의 수에 따라 이러한 결제금에서 정산액을 조정하는 분배부(1222)를 포함한다.The
상기 분배부(1222)에 의한 분할요금의 분배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최초 대상차량이 할당되어 기초경로가 제공되는 요청시에 임대요금 전체금액에 대하여 최초 계약자(들)이 결제를 수행하고 추가되는 후순위의 이용자들이 수에 따라 정산액이 발생되도록 하는 경우를 고려해볼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distribution of the split fee by the
그런데, 일실시예의 분할요금의 경우는 최초 계약자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고 후순위의 이용자가 부재하는 경우 일반적인 단독 또는 임의의 그룹의 렌탈과 구별되지 않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plit fee of the embodiment, the burden on the initial contractor is increased, and when there is no user of the subordinate,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is not distinguished from a rental of a general single or an arbitrary group.
이를 고려하여 다른 실시예로서, 분배부(1222)가 예상되는 분할요금에 대한 표준요금을 설정하고 이를 결제액으로 분배하도록 함으로써 최초 계약자에 대한 부담을 완화시키는 경우가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Considering this, as another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러한 표준요금은 과거의 대상차량의 동일 또는 유사한 운행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요금 산출부(1210)는 운행데이터베이스(1220)로부터 과거의 운행구간과 이용자의 수에 대한 데이터를 호출하여 표준요금을 산출하도록 하는 호출부(121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준요금의 산출과 관련하여 상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tandard fare may be based on data on the same or similar route of the past vehicle, and the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배부(1222)가 표준요금의 산출에 인자가 되는 과거 표준 이용자의 수가 미리 결정된 이후에 후순위 이용자가 이에 도달할 때까지는 정산액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이를 초과한 경우 정산액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other embodiment, the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산출되는 결제금은 결제 및 정산부(1130)의 요청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제금은 모바일 소액결제방법을 통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통신사의 결제서버(3000)를 통하여 이용요금에 대한 통신요금에 부가되는 결제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제의 방식은 미리 이용자단말(2100)에 의하여 결정되는 계좌이체, 신용카드 납부, 가상화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각 대상차량이나 거점에 구비되는 IC리더, RFID리더나 비콘 등에의 결제요청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payment amount calcul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can be processed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settlement and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임대요금의 분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ntal fee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버부(1100)가 통신부(1300)를 통하여 각 이용자단말(2100)의 요청을 수신하고 소정의 정보를 송출하며, 경우에 따라 대상차량을 관리하고 제공하는 공급자측에 공급자서버(4000)를 통하여 전산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결제서버(3000) 및 상기 서버부(1100)의 작동과 관련하여 상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상기 통신부(1300)는 중계망(2000)을 통하여 운전자서버(4100)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운전자는 대상차량에 대한 운행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인력일 수 있다. 상기 운전자는 운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사업자이거나 대상차량의 공급자에서 제공하는 인력을 불문한다.The
이때, 운전자서버(4100)는 운전자의 사업자 측에 구비되는 정보처리기구를 의미하거나 개별적인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운전자단말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상기 서버부(1100)는 대상차량(2110)에 대하여서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운행과정에서 대상차량(2110)에 구비되는 GPS모듈로부터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목적지 또는 거점에의 도착여부, 예상도착시간, 경유시간 등을 판단할 수 있다.The
이러한 대상차량(2110)의 실시간의 정보는 후순위 이용자들이 요청을 결정할 수 있는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며 경로변경의 판단시 인접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The real-time information of the
또한, 기초경로가 설정된 이후 후순위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경로가 변경된 경우 운전자는 이를 인지하여 경로를 변경하고 소정의 거점을 경유할 필요성이 있다. In addition, if the rou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ubordinate user after the basic route is set, the driver needs to recognize the route and change the route and pass through the predetermined base.
이를 위하여 상기 차량 관리부(1110)는 대상차량(2110) 또는 운전자의 단말에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요청에 대하여 즉시적인 표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여 운송차량이 운영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tributing lease ch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portation vehicle by the system.
최초 이용자 또는 이용자들의 집합에 의하여 초기 운행의 요청인 기초요청(S100)이 이루어지면, 차량 관리부(1110)는 공급자서버(4000)로부터 할당이 가능한 차량들을 확인하여 대상차량을 할당(S110)한다.When the initial request (S100), which is a request for initial operation, is made by the first user or a set of users, the
이에 할당된 대상차량의 임대요금에 대한 최초 이용자들의 선순위 결제(S120)가 선행되어 임대의 절차가 개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선순위 결제(S120)의 분할요금은 임대요금 전체이거나 표준요금일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S120) of the first user to the lease charge of the target vehicle allocated thereto is preceded, and the lease procedure may be started. The split fee of the senior payment (S120) may be the entire lease charge or the standard charge As described above.
최초 이용자 또는 이용자 집합의 요청 또는 기초경로 설정부(1201)에 의하여 과거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출발지(s)와 목적지(t)가 결정되어 기초경로가 설정되고 기초경로에 대한 운행(S130)이 개시된다. The origin (s) and the destination (t) using the past database are determined by the request of the first user or user set or the basic route setting unit 1201 and the basic route is set and the operation for the basic route (S130) is started .
이 때에는 대상차량에 공석을 보유한 상태로 최초 계약자들을 태운 상태에서 운행이 개시되는데, 이러한 최초 계약자들은 기초경로를 공유하지만, 동시에 탑승하는 경우가 아닐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탑승지 또는 하차지별로 동일한 경로에 대한 복수의 거점들을 기초경로가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is started with the first contractors carrying the vacant seat in the target vehicl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initial contractors may share the basic route but not simultaneously ride. In this case, the base rou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se points for the same route for each boarding area or subset.
후순위 이용자들의 탑승 또는 계약에 대한 요청(S210)이 있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요청거점과 선순위의 경로에 대한 거리를 주요한 인자로 하는 인접도에 따라 판단부(1203)에서 변경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인접도 판단(S220) 단계에서 판단부(1203)에 기설정된 설정값과 거점에 대한 인접도 값을 비교하고 설정값보다 큰 경우 계약이 승인되도록 할 수 있다. If there is a request (S210) for a subordinate user to board or contract the subordinate users, the
한편, 인접도 값이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요청의 거절(S221)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의 인접도 판단(S220)과정이 서로 다른 시간 또는 구간을 가지는 대상차량들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요청의 거절은 후순위 요청을 제공한 이용자단말(2100)에 해당 대상차량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링을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ximity value is smaller than the set value, the request may be rejected (S221). The proximity determination process (S22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on the target vehicles having different time periods or intervals , Rejecting the request may mean filtering to prevent the subject vehicle from being displayed in the
여기서, 추가적으로 경로변경의 여부에 대한 판단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후순위 이용자에 의하여 추가되는 거점이 이미 선순위 이용자(들)에 의하여 설정된 거점과 동일한 경우에는 경로의 변경이 불필요하다.Here, it is additionally possible to further judge whether or not the route is changed, and in the case where the base added by the subordinate user is the same as the base established by the priority user (s), the change of the route is unnecessary.
여기서, 경로의 변경은 동일한 구간에서의 거점의 추가 또는 경로를 벗어나는 거점에 대한 경유의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hange of the route may include the case of adding the stronghold in the same section or passing through the stronghold that is out of the way.
이렇게, 판단부(1203)에서 후순위 이용자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는 경우 후순위의 결제(S310)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후순위의 후순위분할요금에 대한 의 결제는 후순위 요청(S210)의 계속적인 추가 및 이에 대한 승인에 따라 지속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If the
상기 결제(S120, S310)들은 통신서버를 이용한 통화요금에 합산되는 모바일 소액결제, 신용카드 결제, 계좌이체, 가상화폐 결제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It is noted that the settlements S120 and S310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mobile micropayment, credit card settlement, account transfer, and virtual currency settlement, which are added to the call charge using the communication server.
후순위 결제가 이루어지고 경로 변경부(1202)에서 경로의 변경(S320)이 이루어진 이후에 새롭게 요청된 추가 거점에 대한 경유(S330)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된 결제의 순위를 보면 경로의 운행 또는 경로의 결정 전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도시되었다.After the subordinate payment is made and the route is changed (S320) in the
경우에 따라 상기와 같은 결제는 소정의 목적지 또는 거점에 도달한 이후에 결제되는 방식이 고려될 수도 있는데, 부득이하게 선순위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초경로가 결정되고 대상차량이 할당되었으나 탑승하지 않은 경우 또는 후순위의 요청에 따라 경로가 변경되었으나 후순위 이용자가 탑승하지 않은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대상차량은 운행을 제공하였으나 운송은 받지 못한 상태로서 공급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 측에 손실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In some cases, the settlement may be considered to be settled after reaching a predetermined destination or a base. If the base rou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riority user and the target vehicle is allocated but not boarded If the route is changed at the request of the subordinate but the subordinate user is not boarded, the target vehicle actually provides the service but the transportation is not receiv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loss to the supplier or the system manager.
따라서, 선순위 결제(S120)는 기초경로의 결정 또는 운행(S130)의 전에 이루어지고, 후순위 결제는 경로의 변경(S320)의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iority payment (S120) is made before the determination of the basic route or the operation (S130), and the subordinate payment is made prior to the change of the route (S320).
이 경우 결제액은 소정의 위약금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yment amount may function as a predetermined penalty.
이렇게 변경된 경로에 따라 추가 거점을 경우(S330)하고 운행이 계속되는 과정에서는 대상차량의 현재위치로부터 목적지(t) 사이에는 추가적인 후순위의 요청(S210)을 지속적으로 받아 상기의 과정을 궤환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f the additional bas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d route (S330), the process of continuing the opera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by requesting additional subordination (S210)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the destination t .
후순위의 요청이 없거나 실질적으로 후순위의 요청을 받을 수 없는 상태인 경우 목적지 도착여부에 대한 판단(S240)을 수행하며, 차량 관리부(1110)에서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결제금 정산 및 배당(S300) 단계로서 하나의 대상차량에 대한 이용자의 서비스제공이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정산을 위한 목적지는 상기된 최종 목적지(t) 만이 아니라, 중간에 경유하는 개별이용자들의 목적지인 목적거점을 의미할 수도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이용자가 조합을 구성하기 위하여 전체 임대요금에 대한 소정 지분에 결제를 먼저 수행하여 차량의 임대 또는 운송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는 것인바, 이용자의 수에 따라 적절한 임대요금의 징수가 가능하고 또 각 결제금의 합이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잔여액을 배당금으로서 다시 환급해줌으로써 조합의 기능을 완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first make a payment to a predetermined stake for an entire lease charge in order to construct a combination, thereby being able to receive a lease or a transportation service of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users, And when the sum of the respective amounts exceeds the sum, the remainder is paid back as a dividend, so that the function of the combination can be performed completely.
상기 결제금 정산 및 배당(S300)은 결제 및 정산부(1130)를 통하여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환급계좌나 가상계좌 등의 가치 충전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payment amount settlement and payment (S300) may be provided as a value charging means such as a refund account or a virtual account preset by the user through the settlement and
여기서, 배당액을 차감한 결제금의 합은 임대요금으로서 공급자로서 제공될 수 있는데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그 시스템의 계약 및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자의 수수료가 추가적으로 공제될 수 있다.Here, the sum of the payment amounts obtained by deducting the dividend may be provided as a supplier as a rental fee, and the method of distributing the rental fee and the service provider's fee for contracting and operating the system may be additionally deductibl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여 종래의 렌탈서비스의 편리성과, 구간 운송서비스의 낮은 비용부담과, 자율 운송서비스의 유연한 대응의 장점을 모두 결합한 운송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distributing lease charg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ntal method that combines advantages of convenience of conventional rental service, low cost burden of area transportation service, and flexibility of self- Services may be provided.
특히, 동시적 또는 시간차이를 둔 다수가 모바일단말을 통하여 즉시적으로 차량들의 운행정보를 확인하고 소정의 거점에 대한 경로의 변경의 요청을 할 수 있고 이에 즉시적으로 인접성을 판단하여 가능한 리스트가 제공되어 대상차량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의 편리성은 극대화된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simultaneous or time-varying vehicles can instantaneously confirm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request a change of the route to a predetermined base point, immediately determine the adjacency,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maximized because the vehicle can be selected.
또한, 합리적인 임대요금의 분할과 이에 해당되는 결제를 통하여 비용적인 부담이 완화되며, 배당을 통하여 초과액에 대한 정산이 이루어지므로 합리적인 운송에 따른 요금의 지불이 가능하므로 만족감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st burden is alleviated through the division of the reasonable rent charges and the corresponding settlement, and since the excess amount is settled through the dividend, it is possible to pay the fee according to the reasonable transportation, and the satisfa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종래의 수동적이고 임의적인 차량 렌탈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그 활용영역이 확대되므로 공급자측의 차량에 대한 회전율이 향상되어 수익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rvice area is expanded beyond the conventional passive and arbitrary rental ser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otation rate of the vehicle on the supplier side is improved and the profit is improved.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반드시 렌탈 차량의 운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택시, 버스나 대리운전과 같은 여객 또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운송서비스 방식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the rental fe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peration of the rental vehicle but can be applied to various transportation service methods for providing a passenger or transportation service such as taxi, Be careful.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100...서버부 1110...차량 관리부
1120...이용자 관리부 1130...결제 및 정산부
1200...경로 설정부 1201...기초경로 설정부
1202...경로 변경부 1203...판단부
1210...요금 산출부 1211...호출부
1220...운행데이터베이스 1222...분배부
1300...통신부 2000...중계망
2100...이용자단말 2110...대상차량
3000...결제서버 4000...공급자서버
4100...운전자서버1100 ...
1120 ...
1200 ... path setting unit 1201 ... base path setting unit
1202 ...
1210 ... charge calculating
1220 ...
1300 ...
2100 ...
3000 ...
4100 ... operator server
Claims (7)
경로 설정부가 출발지에 목적지에 이르는 기초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선순위의 이용자단말에서 선순위 이용자의 출발거점 및 목적거점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단계;
선택된 거점 간의 거리에 따라 기초분할요금이 결정되는 단계;
결정된 기초분할요금이 결제서버를 통하여 결제되는 단계;
후순위의 이용자단말에서 후순위 이용자의 출발거점 및 목적거점이 선택되는 단계;
후순위 이용자의 출발거점 및 목적거점에 따라 상기 기초경로가 변경경로로 변경되는 단계;
후순위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후순위분할요금이 결정되는 단계;
결정된 후순위의 분할요금이 결제서버를 통하여 결제되는 단계; 및
목적지의 도달시 후순위분할요금에 따라 기초분할요금에 대하여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A step in which a vehicle to be rented is allocated to a vehicle to be rented;
Setting a route to reach a destination at a departure point;
A step of selecting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point of a senior user at a user terminal of a priority;
Determining a base split rate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selected base points;
A step in which the determined basic split fee is settled through the settlement server;
Selecting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point of a subordinate user at a subordinate user terminal;
Changing the basic route to a change route according to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point of a subordinate user;
A subordinate division fee is determined at the request of the subordinate user;
Determining a subordinate fee of the subordinate subordinate fee through the payment server; And
And performing settlement for the base split fee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split fee when the destination is reached.
상기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는,
결제 및 정산부에서 서비스수수료를 포함하는 임대요금을 제외한 기초분할요금과 후순위분할요금의 총액에 대한 초과액을 각 이용자의 계정으로 환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settlement includes:
And the amount of the excess of the sum of the basic split fee and the subordinate split fee excluding the rental fee including the service fee in the settlement and settlement unit is returned to each user's account.
상기 기초분할요금은, 임대요금(m)의 총액을 기준시간 동안의 과거의 누적된 운행 총거리와 해당 이용자가 요청한 거점 사이의 이용거리의 합에 대한 이용거리의 비를 곱한 값과 서비스수수료를 합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ic divided rat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total amount of the lease charge m by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accumulated travel distance in the past during the reference time and the utilization distance of the sum of the utilization distances between the base points requested by the user and the service fee And calculating the sum of the rental fees.
상기 이용거리는, 출발거점 및 목적거점에 대한 최단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tilization distance is a shortest distance to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point.
상기 후순위분할요금은, 서비스수수료가 이용자가 요청한 거점 사이의 이용거리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bordinate division fee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a utilization distance between service points requested by the user.
상기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는,
표준 이용자 수에 따라 표준요금이 산출되어 기초분할요금으로 정해지고 후순위 이용자와 선순위 이용자의 합이 표준 이용자 수를 초과한 경우 기초분할요금에 대한 정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settlement includes:
The standard fare is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standard users and is set as the basic division fee, and when the sum of the subordinate users and the senior users exceeds the standard number of users, the basic division fee is settled. Way.
하나 이상의 이용자단말로부터의 거점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각각의 이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이용자 관리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기초경로를 설정하고 후순위 이용자의 요청으 을수신하고 거점을 추가하여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설정부;
선순위 이용자단말에 대해 기초분할요금을 분배하고, 차량의 운행중 후순위 이용자의 추가적인 이용 요청에 따라 후순위분할요금을 결정하며, 후순위분할요금에 따라 기초분할요금을 감액하는 요금 산출부; 및
대상차량의 목적지의 도달시 선결제된 분할요금에 대하여 서비스수수료를 포함하는 임대요금을 제외한 초과액을 선순위 이용자에 정산 및 배당하는 결제 및 정산부;를 포함하는 임대요금의 분배 시스템.A vehicle management unit for collecting al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target vehicl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 user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a request for a base point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A route setting unit for setting a basic route from a start point to a destination, receiving a request from a subordinate user, and adding a base point to change the route;
A rate calculation unit for distributing the basic split rate to the senior user terminal, determining the subordinate split rate according to the additional use request of the subordinate user while the vehicle is in operation, and reducing the basic split rate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split rate; And
And a settlement and settlement section for settlement and allocation of an excess amount, excluding a rental fee including a service fee, to a senior user for a pre-paid split fee when the destination of the target vehicle arrive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50055A KR101654201B1 (en) | 2015-04-09 | 2015-04-09 |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rental fe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50055A KR101654201B1 (en) | 2015-04-09 | 2015-04-09 |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rental fe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54201B1 true KR101654201B1 (en) | 2016-09-05 |
Family
ID=5693912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50055A Active KR101654201B1 (en) | 2015-04-09 | 2015-04-09 |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rental fe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54201B1 (en)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089921A (en) * | 2017-02-01 | 2018-08-10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for managing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 |
| KR20180091808A (en) * | 2016-12-30 | 2018-08-16 | 베이징 디디 인피니티 테크놀로지 앤드 디벨럽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 Methods and systems for modify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equest |
| WO2020180152A1 (en) * | 2019-03-06 | 2020-09-10 | (주)무브 | Shopper service method |
| KR102323831B1 (en) * | 2020-12-29 | 2021-11-08 | 김우영 | System and method for recruiting charter bus passengers |
| JP2022044241A (en) * | 2020-09-07 | 2022-03-1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Vehicle rental service management apparatus, vehicle rental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
| KR20220159226A (en) * | 2021-05-25 | 2022-12-02 | 김현성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sharable vehicl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49442A (en) * | 2002-12-06 | 2004-06-12 | 에스케이 주식회사 | Method for jointly using vehicles by connecting the demands via Internet |
| KR20110029997A (en) * | 2009-09-17 | 2011-03-23 | 김상조 | Carpool relay system |
| KR20120134359A (en) * | 2011-06-02 | 2012-12-12 | (주)그린포인트 | System and method for car sharing |
-
2015
- 2015-04-09 KR KR1020150050055A patent/KR1016542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49442A (en) * | 2002-12-06 | 2004-06-12 | 에스케이 주식회사 | Method for jointly using vehicles by connecting the demands via Internet |
| KR20110029997A (en) * | 2009-09-17 | 2011-03-23 | 김상조 | Carpool relay system |
| KR20120134359A (en) * | 2011-06-02 | 2012-12-12 | (주)그린포인트 | System and method for car sharing |
Cited B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091808A (en) * | 2016-12-30 | 2018-08-16 | 베이징 디디 인피니티 테크놀로지 앤드 디벨럽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 Methods and systems for modify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equest |
| KR102042403B1 (en) * | 2016-12-30 | 2019-11-11 | 베이징 디디 인피니티 테크놀로지 앤드 디벨럽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 Methods and systems for modify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equest |
| KR20180089921A (en) * | 2017-02-01 | 2018-08-10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for managing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 |
| KR102023806B1 (en) * | 2017-02-01 | 2019-09-23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for managing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 |
| WO2020180152A1 (en) * | 2019-03-06 | 2020-09-10 | (주)무브 | Shopper service method |
| JP2022044241A (en) * | 2020-09-07 | 2022-03-1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Vehicle rental service management apparatus, vehicle rental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
| JP7170693B2 (en) | 2020-09-07 | 2022-11-1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Vehicle rental service management device, vehicle rental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
| KR102323831B1 (en) * | 2020-12-29 | 2021-11-08 | 김우영 | System and method for recruiting charter bus passengers |
| KR20220159226A (en) * | 2021-05-25 | 2022-12-02 | 김현성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sharable vehicle |
| KR102610906B1 (en) * | 2021-05-25 | 2023-12-07 | 김현성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sharable vehic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1031938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transport service for drivers and users of a geographic region | |
| KR101654201B1 (en) |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rental fee | |
| KR101462034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taxi service | |
| US1138635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 |
| JP7189028B2 (en) | Vehicle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vehicle service providing method | |
| US20030040944A1 (en) | On-demand transportation system | |
| KR20160120898A (en) | Rental system of car using partnership method | |
| US9123246B2 (en) | Parking guidan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vehicle human occupancy | |
| US2016024709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 |
| CN107111792B (en) |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and checking tickets in traffic network | |
| KR20200001124A (en) | Taxi sharing fare calculation method and taxi sharing system | |
| KR102854713B1 (en) | Management systems for car sharing services | |
| KR101740029B1 (en) | Viriable path system for segment transporting vehicle | |
| KR20160120901A (en) | Forecast and selection system for variable path of transporting vehicle | |
| KR20180029990A (en) | Rental system of car using partnership method | |
| KR101783702B1 (en) | Forecast and selection system for variable path of transporting vehicle | |
| KR20170023058A (en) | Rental system of car using partnership method | |
| KR20210009491A (en) |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on-demand transportation service | |
| WO2020230149A1 (en) | A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multimodal multi-route transportation and travel options | |
| JP2003036499A (en) | Parking lane reservation service system | |
| JP7181514B1 (en) | Transportation fee calcul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 |
| JP2003076762A (en) | Electronic information provision and use service system | |
| TR2021010686A2 (en) | A SYSTEM THAT ENABLES ELECTRIC VEHICLES TO MAKE RESERVATIONS AT THE CHARGING STA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