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936B1 - System for confirming position data of underground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confirming position data of underground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5936B1 KR101655936B1 KR1020160077425A KR20160077425A KR101655936B1 KR 101655936 B1 KR101655936 B1 KR 101655936B1 KR 1020160077425 A KR1020160077425 A KR 1020160077425A KR 20160077425 A KR20160077425 A KR 20160077425A KR 101655936 B1 KR101655936 B1 KR 1016559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rker
- unit
- underground
- housing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 기술 분야 중 지하시설물과 그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유도방식의 측량장비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정할 때 지하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마커를 활용하여 실측 데이터와 마커가 보유한 기본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지하시설물의 위치 데이터 관리를 보다 더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시설물과 그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facility and a system for managing the location data of the underground facilit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fac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facility and a system for managing the location data of the underground facility so that the actual data and the basic information held by the marker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marker including the marker.
최근 도시가 첨단화, 기능화하면서 지하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용한 활용공간으로 자리매김을 하여 가고 있다.Recently, as the city has become more advanced and functional, the underground has become more utilized than ever.
그러나, 지금까지 매설된 수많은 상하수도, 전력, 통신, 가스 등의 지하시설물들은 그 위치와 심도가 부정확할 뿐만 아니라 관리주체가 다양하고 분산 관리되어 효율적인 관리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However,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water, sewerage, power, communication, and gas buried so far have become inaccurate in its location and depth, and are becoming obstacles to efficient management due to diversified and controlled management subjects.
따라서, 지하탐사 및 측량장비는 지하시설물에 의한 안전사고의 예방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 국가 차원의 지하시설물 측량을 정밀하게 행하고, 나아가 3차원 지하시설물의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구축을 통해 풍요롭고 안전하며 쾌적한 안전 사회를 구현하고자 하는 기술 분야이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safety accidents caused by underground facilities, underground surveying and surveying equipment should perform precise survey of underground facilities at national level and further establish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 technology field that aims to realize a safe, secure and safe society.
일반적으로, 측량은 지표면, 지하, 수중 및 공간의 일정한 점의 위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면 및 수치로 표시하고, 거리와 높이, 면적, 체적 및 변위의 계산을 하거나 도면 및 수치로 표시된 위치를 재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In general, surveying measures the location of certain points on the surface, underground, underwater, and space, displays the results in figures and figures, calculates distances and heights, areas, volumes and displacements, .
또한, 측량은 지도 제작, 연안 해역 측량, 측량용 사진촬영 등을 포함한다. 즉, 측량은 지구 및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제점들 간의 상호 위치관계와 그 특성을 해석하는 학문으로서 지표면, 지하, 수중, 해양, 공간 및 우주 등 인간 활동이 미칠 수 있는 모든 영역내의 자연물, 인공 시설물 등을 포함한다.Surveys also include mapping, coastal surveying, surveying, and so on. In other words, surveying is a study to analyze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ints existing in the earth and outer space and natural phenomena such as earth surface, underground, underwater, ocean, space and space, And the like.
나아가, 측량은 길이, 각, 시, 방향 등을 수치적으로 규명하며, 평면 및 곡면, 공간을 고려한 거리와 각의 조합 해석에 의하여 수평위치, 연직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를 시간 또는 도형과 함께 3차원적으로 표현하는 정량적 해석을 한다. 그리고 환경 및 자원에 대한 지형정보 수집, 해석 및 처리를 수행하는 의미로서 정성적 해석을 한다. Furthermore, the surveying is to numerically identify the length, angle, direction, and the like, determine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vertical posi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distance and the angle considering the plane and the curved surface and the space, Quantitative interpretation that expresses in three dimensions together. And interpretation and processing of terrain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 and resources.
이와 같이 측량은 대상물 조사, 관측, 해석, 계획 및 설계 그리고 평가 및 유지관리 등의 처리과정을 도출하게 된다.In this way, the survey will lead to processes such as object survey, observation, interpretation, planning and design, and evaluation and maintenance.
지속적인 경제, 사회, 문화 및 산업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국가, 지방자치단체, 전기회사, 수자원공사, 가스공사, 통신회사, 지역난방공사 등의 수많은 기관에서 매설한 각종 지하시설물 및 지하철, 지하공동구 등의 지하공간이 거미줄처럼 지하공간(대부분 지표면에서 지하 3m 이내의 심도)을 자리 잡고 있다.Due to continuous improvement of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industrial level, various underground facilities buried in numerous institutions such as national, local government, electric company, water resources corporation, gas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 company,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Underground space is located in a subterranean space (mostly within 3m below ground level) like a spider web.
그러나, 지하시설물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하지 못한 결과로 공사 중에 발생하는 각종 사고의 피해 정도가 과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as a result of failing to grasp the precise loc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the degree of damage caused by various incidents during constructi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past.
지하시설물은 사회적 기반시설일 뿐만 아니라 정보화 사회 기간망인 관계로, 지하시설물과 관련된 각종 사고 및 재난은 직접적인 물질적, 신체적 피해뿐만 아니라, 국민의 경제적 피해가 그 어느 때보다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Underground facilities are not only social infrastructures but also information infrastructure societies. Therefore, various accidents and disasters related to underground facilities have more serious effects than economic damages of the people as well as physical and physical damages directly.
따라서, 지하시설물은 도시의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안전하고 쾌적한 도시(u-CITY)를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지하시설물의 관리가 필요하다.Therefore, underground facilit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city, and systematic and scientific underground facilities need to be managed for a safe and pleasant city (u-CITY).
그러나, 현실은 건설교통부 및 정보통신부 등의 지하시설물의 위치확인 및 GIS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연구개발 투자에 비하여 그 성과는 선진국에 비하여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원인 중의 하나는 지하시설물의 매설단계에서부터 확인까지 철저하게 유기적으로 설계된 바 대로 시공되지 않는 원인도 있으며, 이렇게 매설된 지하시설물의 확인을 위한 지하탐사 및 측량의 현재 기술의 한계성과 제한성에도 그 원인이 있다.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and the government's support for the location confi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GIS are far below those of advanced countries. One of these causes is that it is not constructed as it has been thoroughly organized from the burial stage to the confi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and the limit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technology of the underground exploration and surveying to confirm the buried underground facilities .
또한, 도시정보시스템(UIS) 및 지능형 국토정보체계를 실현할 수 있기 위해서는 고해상, 장심도의 3차원 지하시설물 탐사 및 측량 기술에 의한 위치 파악이 매우 필요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the Urban Information System (UIS) and the intelligent terrestrial information system, it is very necessary to locate the high-resolution, long-depth 3D underground facilities by exploration and surveying technology.
종래 지하시설물의 탐사 및 측량을 위한 대표적인 탐사 및 측량기술로 전자유도 탐사법(유도자장 탐사법)이 있다.Conventional exploration and surveying techniques for exploration and surveying of underground facilities includ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nduction method).
전자유도 방식은 전도체에 전기가 흐르면 도체 주변에 자장이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법칙(Maxwell 법칙)에 따라 전류가 통하는 물체는 동심원적인 자장을 형성하며, 그 크기는 전류의 강도 및 거리에 따라 좌우되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전자유도 탐사법은 동심원적인 자장을 수신기로 증폭시켜 그 크기를 음향이나 지시계에 나타나도록 구성하여 탐사를 행한다. 전자유도 탐사법은 매설된 관로와 케이블의 위치 및 심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매우 편리하고, 비금속 관로(non-metallic pipe) 탐지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으나 탐침(Sonde)을 이용하면 부분적으로 비금속 관로나 공관로를 탐지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한다.According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rule (Maxwell's law),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a conductor when an electric current flows through the conductor. An object through which electric current passes forms a concentric magnetic field. The size of the magnetic field depends on the intensity and distance . Therefore,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mplifies the concentric magnetic field by the receiver and constructs it so that its size appears on the sound or indicator.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s very useful as a method to measure the position and depth of buried pipelines and cables. It has a disadvantage that non-metallic pipe can not be detected. However, the probe can be partially used as a non- Because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전자유도 탐사법으로 평면위치 측정과 매설 심도 측정을 행하며, 평면위치 측정에는 최대법(Peak method)과 최소법(Null Method)을 사용한다.Plane position measurement and burial depth measurement are perform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Peak method and null method are used for plane position measurement.
이때, 최대법은 수신기를 전류가 흐르는 전도체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자력선은 코일의 방향에 따라 진행하므로 전도체 위에서는 최대신호(Peak Signal)가 발생하며, 매설물의 양단에서의 자력선이 코일 축의 방향으로 진행하므로 자력선은 점점 작아져서 신호가 감소되는 점을 이용한다. 즉 매설된 전도체의 가장 근접한 곳에서 직각을 이루어 정확한 배열일 때에는 전류가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내는 점을 이용한다.At this time, when the receiver is mov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conductor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the magnetic line of force proceeds along the direction of the coil, so that a maximum signal (Peak Signal) is generated on the conductor. So that the magnetic line becomes smaller and the signal is reduced. That is, at the right angle to the closest of the buried conductors and in the correct arrangement, the current exhibits the highest response.
그리고, 최소법은 지하시설물의 중심(자장 세기의 최고점)을 수신기의 수치가 "0"에 가까운 데서 찾는 방법으로, 개략적인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즉 수직 안테나(Vertical Antenna)의 수신기를 전류가 흐르는 매설물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시키면, 코일의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자력선(Magnatic Force line)이 최소로 되어 시설물 위에서는 최소의 신호(Null Signal)가 발생하는 점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시설물 양단에서의 강한 신호와 시설물 위에서의 약한 신호의 차이로 시설물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And, the least law is used to measure the approximate loc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the highest point of the magnetic field strength) by looking at the receiver near the "0" value. That is, when the receiver of the vertical antenna is vertically moved with respect to the buried object, the magnetic force line runn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il is minimized, and a null signal is generated on the facility .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rong signal at both ends of the facility and the weak signal on the facility.
그리고, 매설 심도 측정은 탐사대상 관로의 직상부에서 최대법에 의하여 정밀한 위치를 측정한 후에, 두개의 수평 안테나가 일정 간격(예를 들면, 400mm) 떨어져 있는 이중 안테나(Twin Aerial Antenna)를 사용하여 탐사한다.The depth of buried depth is measured by using a double aerial (Twin Aerial Antenna) in which two horizontal antenna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400 mm) Exploration.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수평안테나(t)와 하부 수평 안테나(b)를 일정 간격(x)을 두고 설치한 수신기를 사용하여 전도체에 흐르는 전류(I)를 측정하면, 상부 수평안테나(t)의 반응도와 하부 수평안테나(b)의 반응도는 각각 다음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when a current (I) flowing through a conductor is measured using a receiver provided with an upper horizontal antenna (t) and a lower horizontal antenna (b) The reactivity of the horizontal antenna (t) and the reactivity of the lower horizontal antenna (b) ar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1) and (2), respectively.
수학식 1Equation 1
수학식 2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Et는 상부 수평안테나에서의 반응도를 나타내고, Eb는 하부 수평안테나에서의 반응도를 나타내고, I는 전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나타내고, x는 상부 수평안테나와 하부 수평안테나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고, d는 하부 수평안테나로부터 전도체 까지의 심도를 나타낸다.In the equations (1) and (2), Et denotes the degree of reactivity in the upper horizontal antenna, Eb denotes the reactivity in the lower horizontal antenna, I denote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nductor, Represents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antennas, and d represents the depth from the lower horizontal antenna to the conductor.
그리고 하부 수평안테나(b)에서의 반응도(Eb)에서 상부 수평안테나(t)에서의 반응도(Eb)를 차감하여 정리하면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And the reactivity (Eb) in the lower horizontal antenna (b) is subtracted from the reactivity (Eb) in the upper horizontal antenna (t), the following equation (3) is obtained.
수학식 3Equation 3
상기 수학식 3에 수학식 1을 전도체에 흐르는 전류(I)에 대하여 정리하여 대입하면,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내어진다.Equation (1)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by summarizing Equation (1) with respect to the current (I) flowing in the conductor.
수학식 4Equation 4
따라서 수학식 4를 정리하면, 하부 수평안테나(b)로부터 전도체(지하시설물)까지의 심도(d)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내어진다.Accordingly, the depth d from the lower horizontal antenna b to the conductor (underground facility)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5).
수학식 5Equation 5
그리고 전자파 장애지역에서는 삼각법을 이용하여 매설 깊이를 구한다.In the electromagnetic disturbance area, the depth of burial is obtained by using trigonometry.
상기와 같이 전자유도 탐사법은 지하시설물인 관로나 케이블 등에 교류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주변에 교류자장을 발생시켜 지표면에서 발생된 교류 자장을 수신기의 측정 코일 감도 방향성을 이용하여 평면 위치를 측정하고, 지표면으로부터 전위 경도에 대해 심도를 측정한다. 전류를 통과시키는 토질은 국지적으로 변하는 데, 젖은 토양은 건조한 모래보다 훨씬 좋은 도체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n AC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round an underground facility, such as a pipe or a cable, and an AC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round the AC magnetic field. The AC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ground surface is measured using the directional sensitivity of the measurement coil of the receiver. Lt; / RTI > for the potential gradient. The soil that passes the current changes locally, and the wet soil is a much better conductor than the dry san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전자유도 탐사법에 있어서는 지하시설물의 직상부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며, 탐사 결과가 지상의 임의 위치에서의 직하부 몇 m(심도)에 지하시설물이 존재한다는 1차원적인 정보라는 한계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erform measurement only at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result of the survey is one-dimensional information that an underground facility exists at a few meters (depth) have.
즉, 어느 지역에서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지하시설물을 탐사하는 경우에, 의심되는 지역 전체에 대한 정밀한 탐사를 행하여 지하시설물의 평면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여야만, 이를 바탕으로 직상부에서 심도에 대한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exploring an underground facility where the exact location is not known, it is necessary to obtain precise information about the plane posi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by performing a precise survey on the entire suspected area.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measurement for.
따라서, 지하시설물의 평면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탐사 시간이 매우 오래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ploration time for acquiring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planar posi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is very long.
특히, 지하시설물이 존재하는 위치를 잘못 판단하여 어느 정도 떨어진 지역에서 탐사를 행하는 경우 정확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찾아내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In particular, it is not possible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location of an underground facility may not be found when the loc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s erroneously determined and the exploration is performed to a certain distan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전자유도방식의 측량장비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정할 때 지하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마커를 활용하여 실측 데이터와 마커가 보유한 기본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지하시설물의 위치 데이터 관리를 보다 더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시설물과 그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easuring a position of an underground facility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asuring instrument, And to provide a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and location data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so as to more accurately maintain the location data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by comparing actual data and basic information held by the markers.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탐사하려는 지하시설물(2)에 교류 전류를 전파하는 송신기(10)와, 상기 송신기(10)로부터 전파된 교류 전류에 의하여 지하시설물(2)에서 발생하는 유도 자기장을 수신하여 매설 위치와 깊이를 탐사하는 수신기(20)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기(20)는 정삼각기둥 형상, 정삼각통 형상, 원기둥 형상, 원통 형상, 구형상 중에서 선택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쌍의 상부 수신안테나(22)와 하부 수신안테나(24)가 평면에서 보아서 360°를 3으로 등분할 한 3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하여 설치되며; 지면과 수직으로 위치하며 상기 송신기(10)와 수신기(20)가 설치되는 지지봉(30)과, 상기 지면과 수평으로 위치하며 상기 지지봉(30)의 상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40)와, 상기 하부 수신안테나(24)와 상부 수신안테나(2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조건 및 처리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58)와, 상기 제어부(50)에 설정되는 값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56)와,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기(10)의 작동여부를 알려주는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부(59)와, 상기 제어부(50)와 외부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도록 시리얼 포트와 USB 포트를 갖는 포트부(57)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과 그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ich comprises a
상기 제어부(50)에는 제어부(50)가 위치한 현재 좌표를 수신하는 GPS수신기(GP1)와, 지하시설물(2)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마커(MK)의 마커통신부(WP2)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WP1)를 더 포함하며;The
상기 마커(MK)는 마커하우징(310)과, 상기 마커하우징(310)이 장탈착되는 마커베이스(MKB)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커하우징(3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커하우징(310)의 개방된 상면은 커버체(32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밀폐되고; 상기 마커하우징(310)의 내부에는 배터리(330)와 컨트롤박스(340)가 설치되며; 상기 마커하우징(310)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사각형상의 고정돌기(35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350)의 하단면에는 하우징접속단자(352)가 돔스위치 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커버체(320)의 상단면에는 GPS안테나(GP2) 및 무선통신 가능한 마커통신부(WP2)가 설치되고;The marker MK includes a
상가 마커베이스(MKB)는 지하시설물(2)의 직상방에 표면만 노출되게 매립되는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며, 마커베이스(MKB)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고정돌기(350)가 끼워지는 사각홈을 갖는 사각고정구(410)가 돌출되고, 상기 사각고정구(410)의 바닥면에는 상기 하우징접속단자(352)와 접속되는 돔형상의 베이스단자(412)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단자(412)는 상기 마커베이스(MKB)에 내장된 제어기(414)와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기(414)는 매립된 지하시설물(2)의 종류, 깊이, 좌표, 매립년월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과 그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arcade marker base (MKB) is formed in a quadrangular plate shape which is buried so as to be expos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2), and a square groov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s (350) A dome-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유도방식의 측량장비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정할 때 지하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마커를 활용하여 실측 데이터와 마커가 보유한 기본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지하시설물의 위치 데이터 관리를 보다 더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measuring the position of an underground facility by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asurement equipment, the actual information and the basic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marker are compared using a marker including basic information about the underground facility, Location data management can be maintained more accurately.
도 1은 전자유도 탐사법의 심도를 측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과 그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과 그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과 그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과 그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사용하여 지하시설물을 탐사하는 상태와 표시부의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마커 및 마커베이스의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커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ituation in which the depth of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robe is measured.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and loc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receiver in an embodiment of a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and loc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and loc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exploring an underground facility and a screen of a display unit using an embodiment of a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and loc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llustration of marker and marker bases applied to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7 is an exemplary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ma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 공개특허 제2011-0058313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공개특허 제2011-0058313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bove-described prior-art patent publication No. 2011-0058313 as it is. Therefore, the features of the devic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are all described in the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11-0058313.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과 그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탐사하려는 지하시설물에 교류 전류를 전파하는 송신기(10)와, 상기 송신기(10)로부터 전파된 교류 전류에 의하여 지하시설물에서 발생하는 유도 자기장을 수신하여 매설 위치와 깊이를 탐사하는 수신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and 3, a system for managing an underground facility and its loc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송신기(10)는 지하시설물의 재질에 따라 간접탐사법(유도법), 직접연결법 등을 선택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상기에서 간접탐사법은 송신기(10)를 유도 안테나(guidance antennas)로 구성하여, 일정 주파수(예를 들면, 50Hz, 60Hz, 1KHz, 8KHz, 33KHz, 128KHz 등)의 교류 전류를 전파하도록 구성한다.In the indirect method, the
상기 직접연결법은 송신기(10)와 연결된 단자를 지면에 접지시켜 일정 주파수(예를 들면, 50Hz, 60Hz, 1KHz, 8KHz, 33KHz, 128KHz 등)의 교류 전류를 전파하도록 구성한다.In the direct connection metho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상기 송신기(10)의 구성은 종래 전자유도 탐사법에서 사용하는 송신기의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수신기(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쌍의 상부 수신안테나(22)와 하부 수신안테나(24)가 평면에서 보아서 360도를 3으로 등분할한 3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상부 수신안테나(22)와 하부 수신안테나(2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설치되고,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어 설치된다.The
예를 들면, 상기 수신기(20)는 정삼각기둥이나 정삼각통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원기둥이나 원통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용 3차원 전자유도 측량장비의 일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지지봉(30)과, 지면과 수평으로 위치하는 손잡이(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three-dimensional electromagnetic induction measuring instrument for measuring undergroun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수신기(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서 360°를 3등분한 3면에 각각 하부 수신안테나(24)를 배치하여 구성하는 하부 수신블럭(23)과, 평면에서 보아서 360°를 3등분한 3면에 각각 상부 수신안테나(22)를 배치하여 구성하는 상부 수신블럭(21)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4, the
상기 하부 수신블럭(23) 및 상부 수신블럭(21)은 상기 지지봉(30)에 설정된 일정 간격(예를 들면 400mm, 800mm, 1m)을 두고 고정 설치된다.The
상기 지지봉(30)의 하단에는 하부 수신블럭(23)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 수신블럭(23)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 수신블럭(21)이 설치된다.A
상기 하부 수신블럭(23)과 상부 수신블럭(21)은 각각 3면에 설치되는 하부 수신안테나(24)와 상부 수신안테나(22)가 서로 대응되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한다.The
상기 하부 수신블럭(23) 및 상부 수신블럭(21)은 각각 구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원기둥형상이나 원통형상, 삼각기둥형상이나 삼각통형상, 육각기둥형상이나 육각통형상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상기 지지봉(3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180°로 위치하는 한쌍의 유도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송신기(10)를 상기 하부 수신블럭(23) 위쪽에 설치한다.As shown in FIG. 4, a
상기 지지봉(30)은 필요에 따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중간부분에 접이식 결합부(folding joint part)(34)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접이식 결합부(34)는 일반적으로 기계구조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예를 들면,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하여 접는 방식 또는 경첩 등을 이용하여 접는 방식 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folding
상시 지지봉(30)의 상단에는 손잡이(40)를 연결한다.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용 3차원 전자유도 측량장비의 일실시예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수신안테나(24)와 상부 수신안테나(2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조건 및 처리된 결과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58)와, 설정되는 입력값 및 상기 송신기(10)로부터 전파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56)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three-dimensional electromagnetic induction measuring instrument for measuring undergroun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상기에서 제어부(50)와 표시부(58), 키패드부(56)는 지지봉(30)과 손잡이(4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여 설치한다.The
또, 상기 손잡이(40)에는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상기 송신기(10)의 작동여부를 알려주는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부(59)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상기 제어부(50)에는 외부 컴퓨터와 연결할 수 있도록 시리얼 포트(serial port), USB 포트(USB port) 등으로 이루어지는 포트부(57)가 연결 설치된다.A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50)에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통신부(WP1)와 GPS수신기(GP1)가 더 연결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무선통신부(WP1)는 후술될 마커(MK, 도 7 참조)의 마커통신부(WP2, 도 7 참조)와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P1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arker communication unit WP2 (see FIG. 7) of a marker MK (see FIG. 7)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손잡이(40)에는 상기 제어부(5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60)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손잡이(40)를 잡은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지하시설물의 탐사를 행하기에 매우 편리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very convenient to carry out the search of the underground facility while easily moving while holding the
도 5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용 3차원 전자유도 측량장비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2)에 대한 탐사를 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FIG. 5 shows a process of exploring an
예를 들면, 지하시설물(2)의 직상방 위치에 수신기(20)가 위치하는 경우(㉯위치의 경우)에는 표시부(58)에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표시되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경우(㉮ 또는 ㉰ 위치의 경우)에는 표시부(58)에 중앙에서 치우쳐 위치하는 것으로 표시된다.For example, in a case where the
상기에서 상기 수신기(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분할된 3면에 각각의 상부 수신안테나(22)와 하부 수신안테나(24)가 위치하므로, 지하시설물(2)이 위치하는 방향에 따라 각 면의 상부 수신안테나(22) 및 하부 수신안테나(24)로부터 얻어지는 신호가 다르게 된다.3, each of the upper receiving
즉, 어느 한면의 신호가 다른 2면의 신호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나타내게 되며, 상대적으로 큰 값을 나타내는 면과 수직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하시설물(2)이 위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That is, the signal of one side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signal of the other two sides, and it is interpreted that the
상기와 같이 지하시설물(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확인한 다음, 이 방향과 수직하게 이동하면서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면, 용이하게 지하시설물(2)의 직상방 위치를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즉, 지하시설물(2)과 근접될수록 신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신호가 커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용이하게 지하시설물(2)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easily find the direct room position of the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부(50)에서는 3면의 하부 수신안테나(24)와 상부 수신안테나(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수신기(20)의 위치를 중심으로 지하시설물(2)이 어느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지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58)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용 3차원 전자유도 측량장비의 실시예에 의하면, 3면으로부터 얻어지는 하부 수신안테나(24)와 상부 수신안테나(22)의 신호를 분석하여, 각 면에서 얻어지는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지하시설물(2)의 배치방향과 위치를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탐사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three-dimensional electromagnetic induction measuring instrument for measuring undergroun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s of the
본 발명은 상술한 기본구성에 더하여 지하시설물(2)에 대한 고유정보 혹은 기본정보, 이를 테면 지하시설물의 종류, 매설깊이, 매설년월일, 위치정보(좌표) 등을 지하시설물(2) 매설 당시 혹은 조사 후 확인할 수 있도록 도 6과 같이, 마커(MK)와 마커베이스(MKB)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마커(MK)와 무선통신하여 해당 좌표 정보(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지도제작에 필요한 기초정보로 활용하거나 혹은 관리시스템의 관리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o the basic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basic structure, specific information or basic information on the underground facilities (2), such as the type of underground facilities, depth of burial, date of burial, 6, the
이를 위해, 상기 마커(MK)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마커하우징(31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marker MK includes a
그리고, 상기 마커하우징(310)의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안쪽 모서리 부분이 'ㄴ' 형상으로 절삭되어 단차면(도면번호 생략)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면에는 커버체(320)가 안정적으로 안착된다.In addition, a stepped surface (not shown)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이때, 상기 커버체(320)를 마커하우징(310)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단차면을 따라 둘레 방향을 간격을 두고 다수 매립된 자석(M1,M2) 상호간의 흡인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함이 커버체(320)를 열고 닫기 편리하므로 관리상 용이하다.The method of fixing the
아울러, 상기 마커하우징(310)의 내부 바닥면에는 배터리(330)와 컨트롤박스(34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마커하우징(310)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방향으로 고정돌기(350)가 돌출되는데, 상기 고정돌기(350)의 하단면에는 하우징접속단자(352)가 돔스위치 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된다.A
이때, 상기 하우징접속단자(352)는 상기 컨트롤박스(340)와 연결되어 제어되며, 컨트롤박스(340)의 구동전류는 상기 배터리(330)를 통해 얻는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상기 커버체(320)의 상단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GPS안테나(GP2)와, 마커통신부(WP2)가 설치되며, 이들은 상기 컨트롤박스(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GPS antenna GP2 and a marker communication unit WP2 are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한편, 지하시설물(2)의 직상방에는 사각판상의 마커베이스(MKB)가 표면만 노출된 상태로 매립된다.On the other hand, a square plate-shaped marker base (MKB) is buried in a state of being expos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마커베이스(MKB)의 상면 중앙에는 사각홈을 갖는 사각고정구(410)가 돌출되고, 상기 사각고정구(410)의 바닥면에는 돔형상의 베이스단자(412)가 설치되며, 상기 사각고정구(410)에는 사각단면을 갖는 상기 고정돌기(350)가 삽입된다.A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단자(412)는 상기 마커베이스(MKB)에 내장된 제어기(414)와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기(414)는 매립된 지하시설물(10)의 종류, 깊이, 좌표, 매립년월일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정보는 마커베이스(MKB) 설치시 외부에서 입력된 후 상기 제어기(414) 구성시에는 칩 상태로 실장되하도록 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마커베이스(MKB)의 하단면은 유실방지와이어(WW)에 의해 지하시설물(2)과 결속되는데, 이를 통해 지각 변동에 의해 마커베이스(MKB)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여 지하시설물(2)에 관한 정보를 안전하게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lower end surface of the marker base MKB is connected to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마커(MK) 만을 교체 사용하거나 회수, 재설치 등이 자유롭고, 마커하우징(310)을 마커베이스(MKB)에 꽂게 되면 하우징접속단자(352)가 베이스단자(412)와 접속되면서 마커베이스(MKB)이 가지고 있던 지하시설물(2)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시켜 마커하우징(310) 상의 정보를 업데이트시키게 된다.Thus, when the
때문에, 마커하우징(310)이 신품으로 제작되어 새로 설치되더라도 설치되는 순간 지하시설물(2)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측량시 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뿐만 아니라, 마커하우징(310)은 자체적으로 GPS안테나(GP2)를 통해 마커하우징(310)의 좌표정보를 수신하여 인식하고, 마커베이스(MKB)에 장착되었을 때 마커베이스(MKB)로부터 로딩된 제어기(414)의 정보와, GPS안테나(GP2)가 수신한 좌표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지를 확인하고 그 차이에 대한 사항을 컨트롤박스(340)가 정보로 저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후, 제어부(50)의 접근에 따라 제어부(50)는 무선통신부(WP1)와 마커통신부(WP2) 상호간의 무선통신을 제어하고, 마커통신부(WP2)로부터 수신된 지하시설물(2)에 대한 기본정보를 확인한 뒤 실제 검출한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GPS수신기(GP1)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와 마커통신부(WP2) 송신한 좌표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차이 여부를 이중, 3중으로 확인함으로써 아주 정확한 지하시설물(2)에 대한 정보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Thereafter, the
특히, 위치 변동이 발생하면 이를 즉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a position change occurs, it can be immediately checked and managed.
이에 더하여,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서와 같이, 야간 항공촬영시 기준좌표를 제시하여 지하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여 지도 제작시 효율성과 정확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present the reference coordinates at the time of night aerial photographing to accurately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accuracy in the map production.
즉, 마커하우징(310)의 내부에서 배터리(330) 및 컨트롤박스(34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권취모터(500)를 설치하고, 상기 권취모터(500)의 모터축(510)에는 권취드럼(520)을 고정한다.That is, the retracting
그리고, 상기 권취모터(500)의 구동은 상기 컨트롤박스(340) 및 배터리(330)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권취드럼(520)에는 권취와이어(530)가 감긴다.The winding
뿐만 아니라, 상기 마커하우징(310)의 둘레 일부에는 와이어구멍(540)이 뚫리고, 상기 권취와이어(530)의 일단은 상기 와이어구멍(540)을 관통하여 마커하우징(310) 밖으로 노출된다.A
아울러, 상기 와이어구멍(540)이 뚫린 마커하우징(310)의 외주면에는 와이어구멍(540)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55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브라켓(550) 사이에는 작동판(560)이 힌지축(570)을 통해 힌지 고정된다.A pair of
또한, 상기 작동판(560)의 상단은 라운드가공되고,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폭 중앙부에는 'v'형 요홈(580)이 형성되어 상기 권취와이어(530)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 후 작동판(560)의 길이 일부에 권취와이어(530)의 단부가 결속된다.The upper end of the
한편, 상기 와이어구멍(540)의 상측 마커하우징(310) 외측면에는 삼각단면을 갖는 스토퍼(590)가 고정되어 빗물이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면서 작동판(560)이 세워졌을 때 수평상태를 오버하여 둔간이 되지 못하도록, 즉 수평상태로 고정되도록 스토핑하게 된다.A
그리고, 상기 작동판(560)이 수평상태로 세워졌을 때 상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보조배터리(BTR)가 내장되며, 상기 보조배터리(B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램프(LP)가 설치되어 야간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When the
특히, 상기 램프(LP)와 반대되는 면인 상기 마커하우징(310)의 외측면 쪽 단면에는 상기 보조배터리(BTR)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SW)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위치(SW)는 상기 마커하우징(310)의 외벽과 접촉되면 눌리면서 전원을 오프하고, 권취모터(500)가 구동되어 권취드럼(520)을 감아 작동판(560)을 수평상태로 세우게 되면 눌렸던 스위치가 복원되면서 전원이 온되어 램프(LP)를 점등시키는 푸쉬버튼형 스위치이다.In particular, a switch SW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BTR is provided on an end surface of the outer side of the
뿐만 아니라, 상기 작동판(560)의 복귀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작동판(560)의 상단부와 마커하우징(310)의 외벽면 사이에는 코일스프링(SPR)이 설치되며, 와이어구멍(540)의 하측 마커하우징(310) 안쪽면에는 권취와이어(53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도르레(DRL)가 설치될 수 있다.A coil spring SPR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10: 송신기 20: 수신기
50: 제어부 56: 키패드부
58: 표시부 60: 배터리부 10: transmitter 20: receiver
50: control unit 56: keypad unit
58: Display section 60: Battery section
Claims (1)
상기 제어부(50)에는 제어부(50)가 위치한 현재 좌표를 수신하는 GPS수신기(GP1)와, 지하시설물(2)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마커(MK)의 마커통신부(WP2)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WP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커(MK)는 마커하우징(310)과, 상기 마커하우징(310)이 장탈착되는 마커베이스(MKB)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커하우징(3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커하우징(310)의 개방된 상면은 커버체(32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밀폐되고; 상기 마커하우징(310)의 내부에는 배터리(330)와 컨트롤박스(340)가 설치되며; 상기 마커하우징(310)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사각형상의 고정돌기(35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350)의 하단면에는 하우징접속단자(352)가 돔스위치 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커버체(320)의 상단면에는 GPS안테나(GP2) 및 무선통신 가능한 마커통신부(WP2)가 설치되고;
상가 마커베이스(MKB)는 지하시설물(2)의 직상방에 표면만 노출되게 매립되는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며, 마커베이스(MKB)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고정돌기(350)가 끼워지는 사각홈을 갖는 사각고정구(410)가 돌출되고, 상기 사각고정구(410)의 바닥면에는 상기 하우징접속단자(352)와 접속되는 돔형상의 베이스단자(412)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단자(412)는 상기 마커베이스(MKB)에 내장된 제어기(414)와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기(414)는 매립된 지하시설물(2)의 종류, 깊이, 좌표, 매립년월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과 그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A transmitter 10 for transmitting an AC current to an underground facility 2 to be surveyed and an induced magnetic field generated in an underground facility 2 by an AC current propagated from the transmitter 10, Wherein the receiver comprises a pair of upper reception unit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receiver unit being configured in a shape selected from a triangular prism shape, a right triangular shape, a cylindrical shape, a cylindrical shape, The antenna 22 and the lower receiving antenna 24 are disposed on three surfaces of the antenna 3, which are equally divided into three by 360 ° in plan view; A support bar 30 position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on which th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20 are installed, a handle 40 position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30, A control unit 50 for proces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lower receiving antenna 24 and the upper receiving antenna 22, a display unit 58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and displaying the input conditions and processed results, A keypad unit 56 for inputting a value to be set in the control unit 50 and a speaker unit 59 for generating a signal tone indicating whether the transmitter 10 is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 And a port unit (57) having a serial port and a USB port for connecting the control unit (50) and an external computer, the system comprising:
The control unit 50 is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GPS receiver GP1 for receiving the current coordinates of the controller 50 and a marker communication unit WP2 for the marker MK having th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2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P1);
The marker MK includes a marker housing 310 and a marker base (MKB) on which the marker housing 310 is inserted and removed. The marker housing 3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marker housing 310 is closed by a cover body 320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 battery 330 and a control box 340 are installed in the marker housing 310; A rectangular protrusion 350 protruding downward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rker housing 310; A housing connection terminal 352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350 so as to protrude in the form of a dome switch; A GPS antenna GP2 and a marker communication unit WP2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320;
The arcade marker base (MKB)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which is buried so as to be expos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2), and a square groov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s (350) A dome-shaped base terminal 412 connected to the housing connection terminal 352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tangular fixing member 410, and the base terminal 412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quare fixing member 410, The controller 414 includes information on the type, depth, coordinates, and date of landfill of the buried underground facility 2, and the controller 414, A system for managing location data.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77425A KR101655936B1 (en) | 2016-06-21 | 2016-06-21 | System for confirming position data of underground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77425A KR101655936B1 (en) | 2016-06-21 | 2016-06-21 | System for confirming position data of underground construc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55936B1 true KR101655936B1 (en) | 2016-09-08 |
Family
ID=5695060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77425A Active KR101655936B1 (en) | 2016-06-21 | 2016-06-21 | System for confirming position data of underground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55936B1 (en)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31071B1 (en) | 2016-12-16 | 2017-04-27 |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 Location change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facilities |
| KR101778725B1 (en) | 2017-05-15 | 2017-09-15 | 뉴비전엔지니어링(주) |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recognition of various information data |
| KR101783812B1 (en) * | 2016-12-16 | 2017-10-10 |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ing RFID |
| KR101803429B1 (en) * | 2017-06-28 | 2017-11-30 | 네이버시스템(주) | Underground facilities buried display |
| KR101803428B1 (en) * | 2017-06-28 | 2017-11-30 | 네이버시스템(주) | Apparatus for measuring underground facility location with possible survey of one man |
| CN108470512A (en) * | 2018-06-12 | 2018-08-31 |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朝阳供电公司 | Buried indicator |
| KR20190067757A (en) | 2019-06-10 | 2019-06-17 |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position invormaiton of underground facilities |
| KR102266812B1 (en) * | 2020-12-01 | 2021-06-17 | 안상로 | Three Dimension Location Mapping System of Underground Passage Using Gyro Sensors and Encode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52939Y1 (en) * | 2001-07-05 | 2001-11-16 | (주) 이우티이씨 | Administration system of layer under the ground using intelligence marker |
| KR20110042647A (en) * | 2009-10-19 | 2011-04-27 | 한국전력공사 | Submarine burial inspection system using ship |
| KR20110058313A (en) | 2009-11-26 | 2011-06-01 |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 3D Electromagnetic Induction Surveying Equipment for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
| KR101539587B1 (en) * | 2014-11-19 | 2015-08-10 |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 Mobile Underground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marker approach has been applied |
-
2016
- 2016-06-21 KR KR1020160077425A patent/KR1016559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52939Y1 (en) * | 2001-07-05 | 2001-11-16 | (주) 이우티이씨 | Administration system of layer under the ground using intelligence marker |
| KR20110042647A (en) * | 2009-10-19 | 2011-04-27 | 한국전력공사 | Submarine burial inspection system using ship |
| KR20110058313A (en) | 2009-11-26 | 2011-06-01 |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 3D Electromagnetic Induction Surveying Equipment for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
| KR101539587B1 (en) * | 2014-11-19 | 2015-08-10 |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 Mobile Underground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marker approach has been applied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31071B1 (en) | 2016-12-16 | 2017-04-27 |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 Location change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facilities |
| KR101783812B1 (en) * | 2016-12-16 | 2017-10-10 |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ing RFID |
| KR101778725B1 (en) | 2017-05-15 | 2017-09-15 | 뉴비전엔지니어링(주) |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recognition of various information data |
| KR101803429B1 (en) * | 2017-06-28 | 2017-11-30 | 네이버시스템(주) | Underground facilities buried display |
| KR101803428B1 (en) * | 2017-06-28 | 2017-11-30 | 네이버시스템(주) | Apparatus for measuring underground facility location with possible survey of one man |
| CN108470512A (en) * | 2018-06-12 | 2018-08-31 |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朝阳供电公司 | Buried indicator |
| KR20190067757A (en) | 2019-06-10 | 2019-06-17 |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position invormaiton of underground facilities |
| KR102266812B1 (en) * | 2020-12-01 | 2021-06-17 | 안상로 | Three Dimension Location Mapping System of Underground Passage Using Gyro Sensors and Encod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55936B1 (en) | System for confirming position data of underground construction | |
| US9703002B1 (en) | Utility locator systems and methods | |
| US10761233B2 (en) | Sondes and methods for use with buried line locator systems | |
| US7336078B1 (en) | Multi-sensor mapping omnidirectional sonde and line locators | |
| US10712467B2 (en) | Underground utility line detection | |
| US10677820B2 (en) | Buried locators systems and methods | |
| KR101731071B1 (en) | Location change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facilities | |
| CN110196452A (en) | Extraordinary great burying underground piping detection device | |
| KR20110058313A (en) | 3D Electromagnetic Induction Surveying Equipment for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 |
| EP355567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marking, locating and virtually displaying buried utilities | |
| KR101179001B1 (en) | System for measuring position and management of buried structures | |
| KR101602358B1 (en) | Updated image data system by GIS based new data | |
| KR101388131B1 (en) | Detecting system for underground pipes using electric field | |
| Kolera et al. | Intelligent utility locating tool for excavators | |
| KR102366911B1 (en) |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for underground facilities to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 |
| KR100602525B1 (en) | Underground buried detector with multiple sensors | |
| KR101564718B1 (en) | System for analyzing the depth and location of underground pipe by analysis of electromagnetic response | |
| KR101778725B1 (en) |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recognition of various information data | |
| JP4389814B2 (en) | Pipeline search position specifying method, portable terminal, and pipeline search position specifying program | |
| Yu et al. | Applying Electrical Magnetic Coil and In-Pipe INS to Map Underground Pipeline Track | |
| CN211293285U (en) | Supernormal large buried depth underground pipeline detecting device | |
| KR20160031323A (en) | method for dete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 through measurement of electrical resistivity | |
| KR100883794B1 (en) | Pipe surveying device, pipe survey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pipe surveying system using the same | |
| KR101406777B1 (en) | System for confirming position of underground construction | |
| KR102525896B1 (en) |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de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6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