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867B1 - Fire extinguisher using drone - Google Patents
Fire extinguisher using dr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4867B1 KR101664867B1 KR1020150024370A KR20150024370A KR101664867B1 KR 101664867 B1 KR101664867 B1 KR 101664867B1 KR 1020150024370 A KR1020150024370 A KR 1020150024370A KR 20150024370 A KR20150024370 A KR 20150024370A KR 101664867 B1 KR101664867 B1 KR 1016648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extinguishing
- uav
- module
- sens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 B64C2201/12—
-
- B64C2201/126—
-
- B64C2201/1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가 개시된다. 무인기(drone)에서, 프로펠러(propeller)를 둘러싸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상태를 보호하는 프레임(frame); 상기 무인기의 동체 하단에 구비되는 카메라(camera) 모듈; 상기 무인기의 동체 내부에 구비되어 무선 조종 장치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거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을 상기 무선 조종 장치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상기 무인기의 운행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조종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을 감지하는 화재감지 부재와, 상기 화재감지 부재 내에 주입되어 화재시 외부로 분출되는 소화약제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소화 부재를 구성한다. 상술한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에 의하면, 무인기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이 어려운 곳에서도 쉽게 화재를 진압하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화재의 초기 진압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An extinguishing device using a UAV is disclosed. In a drone, a frame surrounds a propeller and protects the rotating state of the propeller; A camera modul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UAV;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side the body of the UAV to receive a user command from the wireless control device or transmit an image of the camera module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AV by a user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ling the image of the camera module to be transmitted to the radio navigation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fire extinguishing member injected into the fire sensing member and coupled with an extinguishing agent sprayed to the outside in the event of a fire. According to th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using the UAV described above, the fire can be suppressed easily even in a place where fire suppression is difficult by using a UAV. Particularly, it is advantageous for early suppression of fi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인기(drone)를 이용한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inguis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inguishing apparatus using a drone.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불을 끄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용기 내부에 불을 끌 수 있는 화학 물질이 채워져 있어서 화재시 호스 방향을 불이 난 곳으로 하여 안전핀을 제거한 다음 레버를 당기면 화학 물질이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도록 한 것으로, 소화약제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이산화탄소 소화기, 분말소화기, 포말소화기 등, 여러 가지 소화기가 제작되어 왔다.Generally, fire extinguishers are used to turn off the fire. The fire extinguisher is filled with chemicals that can turn off the fire. In case of fire, remove the safety pin by turning the hose direction to fire, and when the lever is pulled, the chemical is sprayed Fire extinguishers, powder fire extinguishers, foam fire extinguishers, etc. have been manufactured depending on the type and form of fire extinguishing agent.
그러나 일반적인 소화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화재를 감지하지 못했을 경우 또는 화재 감지나 화재 진압이 어려운 곳에서는 소화기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a general fire extinguisher must be manually operated by a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e extinguisher can not be used properly when the fire can not be detected or when fire detection or fire suppression is difficult.
이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09541호(특허문헌 1)에서는 밀폐된 용기에 소화약제가 담겨진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된 용기는 상/하부가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판재와 하부 판재 사이에는 코어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 판재와 하부 판재를 기계적으로 서로 고정시키며, 상기 상부 판재와 하부 판재 사이는 연통(連桶)된 공간을 가지며; 상기 밀폐된 용기에는 화재발생부위에 상기 소화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약제 분사부와 상기 소화약제(HFCs 계열의 소화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약제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분사부는 상기 상부 판재 또는 하부 판재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는 가스분사 노즐 플러그에 의해 막혀 있으며, 화재발생에 의해 상기 가스분사 노즐 플러그에 열이 전달되면 상기 가스분사 노즐 플러그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여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한 패널형 소화기를 제안한 바 있다.To this end, Korean Patent No. 10-1209541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fire extinguisher having an enclosed container in which a fire extinguishing agent is contained, wherein the enclosed container is made of a plate material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core is inserted to mechanically fix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each other, an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has a communicating space;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medicine spraying part for spraying the extinguishing agent and a medicine injecting part for injecting the extinguishing agent (fire extinguishing gas of HFCs series) to the fire occurrence part, Wherein the opening is closed by a gas injection nozzle plug, and when heat is transferred to the gas injection nozzle plug by the occurrence of a fire, the gas injection nozzle plug opens the opening to spray the extinguishing agent, Type fire extinguisher.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패널 소화기는 내부가 밀폐된 용기가 상/하부 판재들, 코어로 이루어지고 상/하부 판재 사이에 연통된 공간을 가지는 특수한 형태를 가짐에 따라 그 제조방법이 어렵고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다.However, since the panel fire extinguisher such as the
더욱이 상/하부 판재에 약제 주입구 및 가스분사를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므로 평상시 장시간 방치하면 가스가 누설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provided with openings for injecting medicines and ga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as may leak if left for a long time.
또한, 건물이나 복잡한 구조물의 화재시에는 소방관이 직접 진입하기 어려운 곳이 있는데, 이러한 곳의 불길을 신속하게 진압하지 않으면 더 큰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최근에는 고도의 위험이 존재하는 작업을 로봇(robot)의 특수 작업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아직까지 화재에 대해서는 이러한 로봇이나 특수 장치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re is a place where firefighters can not enter directly in the case of a fire in a building or a complex structure.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high-risk tasks have been replaced by special tasks of robots. However, these robots and special devices have not yet been utilized properly.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inguishing device using a UAV.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의 제1 실시예는, 무인기(drone)에서, 프로펠러(propeller)를 둘러싸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상태를 보호하는 프레임(frame); 상기 무인기의 동체 하단에 구비되는 카메라(camera) 모듈; 상기 무인기의 동체 내부에 구비되 어 무선 조종 장치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거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을 상기 무선 조종 장치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상기 무인기의 운행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조종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fire extinguisher, which comprises a frame for protecting a propeller in a drone and protecting the rotating state of the propeller; A camera modul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UAV;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side the body of the UAV so as to receive a user command from the wireless control device or transmit an image of the camera module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AV by a user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ling the image of the camera module to be transmitted to the RN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이때, 상기 프레임은,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을 감지하는 화재감지 부재와, 상기 화재감지 부재 내에 주입되어 화재시 외부로 분출되는 소화약제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소화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ram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e-sensing member for sensing high-temperature heat due to the occurrence of fire, and a fire extinguishing member formed of a combinat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 injected into the fire sensing member and ejected to the outside during a fire.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동체 하단에 구비되어 강구를 발사하는 강구(iron ball) 발사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an iron ball firing modul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to fire a steel ball.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 부재는 난연성 에폭시이고, 상기 소화약제는 HFC 계열의 소화가스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e sensing member may be a flame retardant epoxy, and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composed of an HFC-based extinguishing gas.
이때, 상기 화재감지 부재는, 25~40부피%의 난연성 에폭시 내에 60~75부피%의 HFC 계열의 소화가스가 기포 상으로 분산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e detection member is sprayed with HFC-based extinguishing gas of 60 to 75% by volume in a bubble-like state in a flame-retardant epoxy of 25 to 40% by volume.
그리고 상기 소화 부재를 화재 발생 예상 위치에 부착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재는 부직포 및 접착제층으로서, 상기 부직포의 일측 면에 상기 소화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부직포의 타측면에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될 수 있다.And a fixing member for attaching the fire extinguishing member to a fire occurrence expected position,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a non-woven fabric and an adhesive layer, the fire extinguishing member is fixed to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 부재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내부가 밀폐되는 폴리머 튜브이고, 상기 소화약제는 HFC 계열의 소화가스와 질소가스의 혼합물로서, 상기 소화약제가 상기 튜브 내의 밀폐 공간에 주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e-sensing member is a polymer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ealed inside, and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a mixture of HFC-based extinguishing gas and nitrogen gas, and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injected into the enclosed space in the tube .
이때, 상기 화재감지 부재는 내경이 5~25mm인 폴리머 튜브이고, 상기 소화약제는 HFC 계열의 소화가스 80~95부피%와 질소가스 5~20부피%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e sensing member may be a polymer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5 to 25 mm, and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a mixture of 80 to 95% by volume of extinguishing gas of HFC series and 5 to 20% by volume of nitrogen ga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의 제2 실시예는, 무인기(drone)에서, 프로펠러(propeller)를 둘러싸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상태를 보호하는 프레임(frame); 상기 무인기의 동체 하단에 구비되는 카메라(camera) 모듈; 상기 무인기의 동체 내부에 구비되어 무선 조종 장치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거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을 상기 무선 조종 장치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상기 무인기의 운행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조종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무인기의 동체 하단에 구비되는 착륙 장치의 일단에 구비되는 모터(motor); 상기 무인기의 동체 하단에 구비되는 착륙 장치의 타단에 구비되는 베어링(bearing); 일단이 상기 베어링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로프(rope); 상기 로프에 묶음 형태로 감겨 고정되며 상기 로프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풀어지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투하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불이나 열에 의해 상기 로프가 끊어져 투하되는 소화 튜브(distinguishing tube)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fire extinguisher, comprising: a frame for protecting a propeller of a propeller in a drone; A camera modul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UAV;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side the body of the UAV to receive a user command from the wireless control device or transmit an image of the camera module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AV by a user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ting an image of the camera module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motor provided at one end of a landing gea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UAV; A bearing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anding gea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UAV; A ro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ear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otor and rotated in both directions by driving the motor; The rope may be wound in a bundled form and may be rotated downward when the rope is driven to rotate by driving the motor. Alternatively, the rope may be blown down by a fire or heat to release the rope. .
이때, 상기 소화 튜브는,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을 감지하는 화재감지 부재와, 상기 화재감지 부재 내에 주입되어 화재시 외부로 분출되는 소화약제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소화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e-sensing member for sensing high-temperature heat caused by a fire, and a fire extinguishing member formed of a fire extinguishing agent injected into the fire sensing member and ejected to the outside .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을 감지하는 화재감지 부재와, 상기 화재감지 부재 내에 주입되어 화재시 외부로 분출되는 소화약제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소화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ram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e-sensing member for sensing high-temperature heat caused by a fire, and a fire-extinguishing member formed of a combination of fire-extinguishing agent injected into the fire-sensing member and ejected to the exterior during a fire.
한편,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동체 하단에 구비되어 강구를 발사하는 강구(iron ball) 발사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ron ball firing modul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to fire a steel ball.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 부재는 난연성 에폭시이고, 상기 소화약제는 HFC 계열의 소화가스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e sensing member may be a flame retardant epoxy, and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composed of an HFC-based extinguishing gas.
이때, 상기 화재감지 부재는, 25~40부피%의 난연성 에폭시 내에 60~75부피%의 HFC 계열의 소화가스가 기포 상으로 분산 주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e sensing memb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fire extinguishing gas of 60 to 75% by volume in the flame-retardant epoxy of 25 to 40% by volume is dispersedly injected into the bubble phase.
그리고 상기 소화 부재를 화재 발생 예상 위치에 부착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재는 부직포 및 접착제층으로서, 상기 부직포의 일측 면에 상기 소화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부직포의 타측면에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될 수 있다.And a fixing member for attaching the fire extinguishing member to a fire occurrence expected position,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a non-woven fabric and an adhesive layer, the fire extinguishing member is fixed to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 부재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내부가 밀폐되는 폴리머 튜브이고, 상기 소화약제는 HFC 계열의 소화가스와 질소가스의 혼합물로서, 상기 소화약제가 상기 튜브 내의 밀폐 공간에 주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e-sensing member is a polymer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ealed inside, and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a mixture of HFC-based extinguishing gas and nitrogen gas, and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injected into the enclosed space in the tube .
이때, 상기 화재감지 부재는 내경이 5~25mm인 폴리머 튜브이고, 상기 소화약제는 HFC 계열의 소화가스 80~95부피%와 질소가스 5~20부피%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e sensing member may be a polymer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5 to 25 mm, and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a mixture of 80 to 95% by volume of extinguishing gas of HFC series and 5 to 20% by volume of nitrogen gas.
상술한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에 의하면, 무인기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이 어려운 곳에서도 쉽게 화재를 진압하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화재의 초기 진압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using the UAV described above, the fire can be suppressed easily even in a place where fire suppression is difficult by using a UAV. Particularly, it is advantageous for early suppression of fire.
또한, 강구를 발사하여 진입이 어려운 건물 내부나 고층에도 쉽게 진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무인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인적이 드문 산속이나 숲속의 화재를 초기 진압하는 데에도 유용하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enter into a building or a high-rise building in which a steel ball is fired and is difficult to enter. And because it uses UAV, it is also useful for early suppression of fires in mountains and forests that are rarely human.
무인기의 프레임을 소화 부재로 구성하거나 소화 튜브를 하단에 거치하여 화재 지역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운반 등의 부담없이 초기 화재 진압에 신속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frame of the UAV is composed of a fire extinguishing member or the fire extinguisher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t is advantageous to be quickly utilized in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without any burden of transport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부재는 소화 약제의 누설 위험이 없이 그 제조가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In addition, the fire extinguish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conomical because it is easy to manufacture without the risk of leakage of the extinguishing agent, the structure is simpl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mass production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 부재의 단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xtinguishing system using a UAV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lan view of an extinguisher using a UAV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B is a front view of an extinguisher using a UAV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extinguishing system using a UAV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n extinguisher using a UAV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extinguish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a fire extinguish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to the concrete inventive concep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의 정면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xtinguishing system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lan view of an extinguishing system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front view of an extinguisher using a UAV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drone)를 이용한 소화 장치(100)는 기구적으로 볼 때, 동체(101), 지지대(102), 모터(motor)(103), 프로펠러(propeller)(104), 착륙 장치(105), 프레임(frame)(110), 카메라(camera) 모듈(120), 강구(iron ball) 발사 모듈(130), 무선 통신 모듈(140), 제어 모듈(1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2A and 2B, a
여기서, 소화 장치(100)는 강구 발사 모듈(130)을 이용하여 강구를 발사하여 유리창 등을 깨고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소화 장치(100)는 무인기의 조종에 의해 무인기를 불속에 자폭시키도록 구성되며, 무인기의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소화 부재에 포함된 소화 약재에 의해 소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소화 장치(100)는 소방관이 진입할 수 없는 불길 속이나 높은 구조물은 물론 인적이 드문 산속이나 숲속에도 신속하고 쉽게 진입하여 화염을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동체(101)는 무인기(drone)의 본체로서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동체(101)는 방사형의 지지대(102)를 통해 모터(103)와 연결되며, 모터(103)에 연결되는 프로펠러(104)는 모터(103)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동체(101)의 하단에는 착륙 장치(105)와 카메라 모듈(120), 강구 발사 모듈(130)이 구비될 수 있다.A
그리고 동체(101) 내부에는 무선 통신 모듈(140)과 제어 모듈(150)이 구비될 수 있다.The
한편, 동체(101)의 측방향으로는 프로펠러(104)의 개수에 상응하는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프레임(110)은 모터(112)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propeller)(104)를 둘러싸 프로펠러(104)의 회전 상태를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프레임(110)은 동체(101)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거나 또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볼트너트 결합을 예시하고 있다.The
여기서, 프레임(110)은 소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소화 부재는 화재감지 부재와 소화약제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member may comprise a combination of fire extinguishing member and fire extinguishing agent.
화재감지 부재는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e sens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sense heat at a high temperature as the fire occurs.
그리고 소화 약제는 화재시에 외부로 분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configured to be blown out in the event of a fire.
화재감지 부재에 의해 고온의 열이 감지되면 소화 약제가 외부로 분출되어 소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이 불속에 녹거나 고온 상태가 되면 소화 약제에 의해 자동으로 소화 작용을 한다.When the high-temperature heat is sensed by the fire sensing member,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may be ejected to the exterior to extinguish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When the
카메라 모듈(12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인기의 동체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0)은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을 통해 원격에서 화재 현장과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0)은 그 촬영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무선 통신 모듈(130)은 무인기의 동체(101) 내부에 구비되어 무선 조종 장치(100a)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무선 통신 모듈(130)은 카메라 모듈(120)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무선 조종 장치(100a)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무선 통신 모듈(130)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3G/4G 이동통신 등의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The
강구 발사 모듈(140)은 동체(101) 하단에 구비되어 강구를 발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강구는 유리창 등을 뚫어 무인기가 건물이나 구조물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The steel
강구 발사 모듈(140) 역시 사용자의 무선 조종 장치(100a)에 의해 그 방향과 격발 등이 조종될 수 있다.The ball
사용자는 무선 조종 장치(100a)에서 카메라 모듈(120)의 영상을 보면서 조준을 하여 강구 발사 모듈(140)이 강구를 발사하도록 원격 조종할 수 있다.The user can aim at the image of the
제어 모듈(150)은 무선 통신 모듈(140)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무인기의 운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제어 모듈(150)은 카메라 모듈(120)의 영상을 무선 통신 모듈(140)을 통해 무선 조종 장치(100a)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제어 모듈(150)은 강구 발사 모듈(130)이 강구를 발사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은 전기적인 제어 신호를 강구 발사 모듈(130)로 인가하고 강구 발사 모듈(130)의 격발 장치를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의 정면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extinguishing system using a UAV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an extinguishing apparatus using an UAV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200)는 동체(201), 착륙 장치(202), 프레임(210), 카메라 모듈(220), 강구 발사 모듈(230), 무선 통신 모듈(240), 제어 모듈(250), 모터(260), 베어링(bearing)(270), 로프(rope)(280), 소화 튜브(distinguishing tube)(29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3 and 4, an unmanned
소화 장치(200)는 사용자의 원격 조종 장치(200a)에서 무인기를 원격 제어를 하여 소화 튜브(290)를 불길속에 떨어뜨리거나 늘어뜨려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소화 튜브(290)는 로프(280)에 걸려 있도록 구성되는데, 소화 튜브(290)의 묶음이 로프(280)로부터 풀려 화재 현장에 투하되거나 로프(280)가 불이나 열에 의해 늘어지거나 끊어지면 소화 튜브(290)의 묶음이 소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extinguishing
여기서, 프레임(210)은 경량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의 프레임(110)과 같이 소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110)이 소화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무인기가 불길속으로 자폭하여 프레임(210)의 소화약제에 의해 소화 작용을 하게 된다.Here, the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동체(201)는 무인기(drone)의 본체로서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동체(201)의 하단에는 착륙 장치(202)와 카메라 모듈(220), 강구 발사 모듈(230)이 구비될 수 있다.A
그리고 동체(201) 내부에는 무선 통신 모듈(240)과 제어 모듈(250)이 구비될 수 있다.The
그리고 동체(201)의 측방향으로는 프로펠러(미도시)의 회전 상태를 보호하는 프레임(210)이 구비될 수 있다.A
프레임(210)은 동체(201)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거나 또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볼트너트 결합을 예시하고 있다.The
한편, 동체(201)의 하단에 구비된 착륙 장치(202)의 양단에는 각각 모터(260)와 베어링(270)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그리고 착륙 장치(202)의 일단에 구비된 모터(260)와 타단에 구비된 베어링(270) 간에는 로프(280)가 연결될 수 있다.A
그리고 로프(280)의 중간에는 묶음 형태의 소화 튜브(290)가 감겨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화 튜브(290)는 고리 형태의 걸림 구조가 소화 튜브(290)의 상단에 형성되어 로프(280)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middle of the
모터(260)의 회전 구동에 의해 로프(280)가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로프(280)에 묶음 형태로 감겨 고정된 소화 튜브(290)가 모터(260)의 회전 구동에 의해 풀어지는 경우 소화 튜브(290)가 화재 현장으로 투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다른 방식으로는 로프(280)가 열이나 불에 의해 끊어지거나 늘어지는 경우 로프(280)에 감겨 고정된 소화 튜브(290)가 아래로 늘어지거나 떨어져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여기서, 소화 튜브(290)는 화재감지 부재와 소화약제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소화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여기서, 화재감지 부재는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소화약제는 화재감지 부재 내에 주입되어 화재시 외부로 분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e sensing member is configured to sense heat at a high temperature as the fire occurs,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may be injected into the fire sensing member and blown out to the outside during a fire.
한편, 프레임(210) 역시 소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소화 부재는 화재감지 부재와 소화약제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member may comprise a combination of fire extinguishing member and fire extinguishing agent.
화재감지 부재는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e sens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sense heat at a high temperature as the fire occurs.
그리고 소화 약제는 화재시에 외부로 분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configured to be blown out in the event of a fire.
화재감지 부재에 의해 고온의 열이 감지되면 소화 약제가 외부로 분출되어 소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이 불속에 녹거나 고온 상태가 되면 소화 약제에 의해 자동으로 소화 작용을 한다.When the high-temperature heat is sensed by the fire sensing member,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may be ejected to the exterior to extinguish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When the
1차적으로는 소화 튜브(290)가 먼저 화재 현장에 투하되어 소화 기능을 수행하고, 2차적으로 무인기를 불길속으로 자폭시켜 프레임(210)의 소화 부재에 의한 소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카메라 모듈(22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인기의 동체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0)은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을 통해 원격에서 화재 현장과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0)은 그 촬영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강구 발사 모듈(230)은 동체(201) 하단에 구비되어 강구를 발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강구는 유리창 등을 뚫어 무인기가 건물이나 구조물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The steel
강구 발사 모듈(230) 역시 사용자의 무선 조종 장치(200a)에 의해 그 방향과 격발 등이 조종될 수 있다.The ball
사용자는 무선 조종 장치(200a)에서 카메라 모듈(220)의 영상을 보면서 조준을 하여 강구 발사 모듈(230)이 강구를 발사하도록 원격 조종할 수 있다.The user can aim at the image of the
무선 통신 모듈(240)은 무인기의 동체(201) 내부에 구비되어 무선 조종 장치(200a)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무선 통신 모듈(240)은 카메라 모듈(220)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무선 조종 장치(200a)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무선 통신 모듈(240)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3G/4G 이동통신 등의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The
제어 모듈(250)은 무선 통신 모듈(240)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무인기의 운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제어 모듈(250)은 카메라 모듈(220)의 영상을 무선 통신 모듈(240)을 통해 무선 조종 장치(200a)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제어 모듈(250)은 강구 발사 모듈(230)이 강구를 발사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전기적인 제어 신호를 강구 발사 모듈(230)로 인가하고 강구 발사 모듈(230)의 격발 장치를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인 소화 장치(100) 및 소화 장치(200)에 개시된 소화 부재는 소화 부재는 패드 형태인 제1실시예와 호스 형태인 제2실시예(도 5 및 도 6)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의 구성 및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extinguishing members disclosed i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부재의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of the extinguish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소화 부재의 제1 실시예는 패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first embodiment of the extinguishing member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ad.
도 5에서 보듯이 소화부재(1)는, 패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화재감지 부재(10)는 난연성 에폭시이고, 소화약제(11)는 HFC 계열의 소화가스로서 특히 HFC-2227 약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5, the fire-sensing
HFC 계열의 소화가스는 전역방출방식의 가스계 소화설비에 주로 적용되는 것으로 특허문헌 1에도 적용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HFC-based extinguishing gas is mainly applied to the gas-based extinguishing system of the global-release type, it is also applied to
소화약제(11)는 가스 형태로서 점성이 높은 에폭시 수지 내에 기포 형태로 주입되어 있으며, 이때 난연성 에폭시와 소화약제(11)는 각각 25~40부피% 내지 60~75부피%의 부피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e extinguishing agent 11 is injected in the form of gas in the form of bubbles in a highly viscous epoxy resin. In this case, the flame-retardant epoxy and the extinguishing agent 11 preferably have a volume ratio of 25 to 40% by volume to 60 to 75% by volume Do.
후술하는 실험 결과와 같이 소화약제(11)가 60부피% 이하인 경우에는 소화약제의 분출이 지연되고 소화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난연성 에폭시에 75부피% 이상으로 소화약제를 주입하는 것은 그 제조에 있어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다.When the extinguishing agent 11 is 60 vol.% Or less as in the experimental results to be described later, the ejection of the extinguishing agent is delayed and the extinguishing ability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it is technically difficult to injec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nto the flame-retardant epoxy in an amount exceeding 75 vol%.
이와 같은 패드형 소화 부재(1)를 제품화하여 소화 부재(1)를 화재 발생 예상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동 소화기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matic extingui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so that the pad type
고정 부재는 부직포(3) 및 접착제층(5)을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접착제층(5)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스트립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부직포(3)의 일측 면에 소화 부재(1)가 고정되고, 부직포(3)의 타측면에 접착제층(5)이 형성된다.The fixing member may comprise a
이와 같이 제조된 패드형 자동 소화기는, 화재 발생시 난연성 에폭시인 소화감지 부재(10)가 열변형 및 크랙이 발생하면서 그 내부에 주입되어 있는 소화약제(11)가 외부로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In the padded typ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 부재의 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of a fire extinguish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는 호스(hose) 내지는 튜브 형태의 소화 부재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embodiment shows a fire extinguishing member in the form of a hose or a tube.
도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화 부재(2)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내부가 밀폐된 폴리머 튜브로 이루어진 화재감지 부재(20)와, 그 내부에 주입된 소화약제(21)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화재감지 부재(20)인 튜브(20)의 내경은 5~25mm일 수 있고, 약 100? 이상의 열이 가해질 경우 용융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소재로 제조된다.The inner diameter of the
소화약제(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HFC 계열의 소화가스 80~95부피%와 질소가스 5~20부피%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화약제(21)는 튜브형 화재감지 부재(20) 내의 밀폐 공간에 주입된 형태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xtinguishing
화재감지 부재(20)의 길이는 제한이 없으며, 짧게는 300mm, 길게는 3000mm일 수도 있으며, 설치 장소나 공간에 따라 그 직경과 길이가 적절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There will be.
101: 동체 102: 지지대
103: 모터 104: 프로펠러
105: 착륙 장치 110: 프레임
120: 카메라 모듈 130: 강구 발사 모듈
140: 무선 통신 모듈 150: 제어 모듈
201: 동체 202: 착륙 장치
210: 프레임 220: 카메라 모듈
230: 강구 발사 모듈 240: 무선 통신 모듈
250: 제어 모듈 260: 모터
270: 베어링 280: 로프
290: 소화 튜브101: body 102:
103: motor 104: propeller
105: Landing device 110: Frame
120: camera module 130: steel ball launch module
14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control module
201: body 202: landing gear
210: frame 220: camera module
230: Steel ball launch module 24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50: control module 260: motor
270: Bearing 280: Rope
290: Fire extinguisher tube
Claims (15)
프로펠러(propeller)를 둘러싸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상태를 보호하는 프레임(frame);
상기 무인기의 동체 하단에 구비되는 카메라(camera) 모듈;
상기 무인기의 동체 내부에 구비되어 무선 조종 장치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거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을 상기 무선 조종 장치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상기 무인기의 운행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조종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동체 하단에 구비되며, 유리창을 깨고 건물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유리창에 강구를 발사하는 강구(iron ball) 발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을 감지하는 화재감지 부재와, 상기 화재감지 부재 내에 주입되며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에 의해 상기 화재감지 부재가 녹으면 외부로 분출되는 소화약제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소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 부재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내경이 5~25mm이고 내부가 밀폐되는 폴리머 튜브이고,
상기 소화약제는,
HFC 계열의 소화가스 80~95부피%와 질소가스 5~20부피%의 혼합물로서, 상기 소화약제가 상기 튜브 내의 밀폐 공간에 주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무인기를 불속으로 자폭시켜 상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소화 작용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In a drone,
A frame surrounding the propeller to protect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A camera modul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UAV;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side the body of the UAV to receive a user command from the wireless control device or transmit an image of the camera module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AV by a user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ting an image of the camera module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n iron ball firing modul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usel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for emitting a steel ball to the windshield so as to break the windshield and enter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e frame includes:
And a fire extinguishing member which is injected into the fire sensing member and is combined with a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e sensing member melts due to heat at a high temperature caused by the fire, Including,
The fire sensing member includes:
A polymer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 inner diameter of 5 to 25 mm and a sealed interior,
The extinguishing agent,
A mixture of 80 to 95% by volume of HFC-based extinguishing gas and 5 to 20% by volume of nitrogen gas, wherein the extinguishing agent is injected into the sealed space in the tube,
The control module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fighting apparatus is controlled so as to perform the fire extinguishing operation using the frame so as to fire the fire extinguisher without fire.
상기 화재감지 부재는 난연성 에폭시이고, 상기 소화약제는 HFC 계열의 소화가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e sensing member is a flame-retardant epoxy, and the extinguishing agent is composed of an HFC-based extinguishing gas.
25~40부피%의 난연성 에폭시 내에 60~75부피%의 HFC 계열의 소화가스가 기포 상으로 분산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The fir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60 to 75% by volume of HFC-based extinguishing gas is dispersedly injected in a bubble phase in a flame-retardant epoxy of 25 to 40% by volume.
상기 소화 부재를 화재 발생 예상 위치에 부착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재는 부직포 및 접착제층으로서, 상기 부직포의 일측 면에 상기 소화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부직포의 타측면에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a nonwoven fabric and an adhesive layer, the fire extinguishing member is fixed to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프로펠러(propeller)를 둘러싸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상태를 보호하는 프레임(frame);
상기 무인기의 동체 하단에 구비되는 카메라(camera) 모듈;
상기 무인기의 동체 내부에 구비되어 무선 조종 장치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거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을 상기 무선 조종 장치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상기 무인기의 운행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조종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무인기의 동체 하단에 구비되는 착륙 장치의 일단에 구비되는 모터(motor);
상기 무인기의 동체 하단에 구비되는 착륙 장치의 타단에 구비되는 베어링(bearing);
일단이 상기 베어링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로프(rope);
상기 로프에 묶음 형태로 감겨 고정되며 상기 로프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풀어지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투하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불이나 열에 의해 상기 로프가 끊어져 투하되는 소화 튜브(distinguishing tube);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동체 하단에 구비되며, 유리창을 깨고 건물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유리창에 강구를 발사하는 강구(iron ball) 발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 튜브는,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을 감지하는 화재감지 부재와, 상기 화재감지 부재 내에 주입되며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에 의해 상기 화재감지 부재가 녹으면 외부로 분출되는 소화약제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소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감지 부재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내경이 5~25mm이고 내부가 밀폐되는 폴리머 튜브이고,
상기 소화약제는,
HFC 계열의 소화가스 80~95부피%와 질소가스 5~20부피%의 혼합물로서, 상기 소화약제가 상기 튜브 내의 밀폐 공간에 주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In a drone,
A frame surrounding the propeller to protect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A camera modul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UAV;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side the body of the UAV to receive a user command from the wireless control device or transmit an image of the camera module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AV by a user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ting an image of the camera module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motor provided at one end of a landing gea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UAV;
A bearing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anding gea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UAV;
A ro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ear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otor and rotated in both directions by driving the motor;
The rope being wound and fixed in a bundle form, the rope being driven to rotate by driving of the motor and being released in a downward direction, or a rope is blown off by a fire or heat to be dropped;
And an iron ball firing modul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usel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for emitting a steel ball to the windshield so as to break the windshield and enter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e extinguishing member which is injected into the fire sensing member and is combined with a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e sensing member melts due to heat at a high temperature caused by the fire, ≪ / RTI &
The fire sensing member includes:
A polymer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 inner diameter of 5 to 25 mm and a sealed interior,
The extinguishing agent,
Wherein the extinguishing agent is injected into the closed space in the tube as a mixture of 80 to 95% by volume of extinguishing gas of HFC series and 5 to 20% by volume of nitrogen gas.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을 감지하는 화재감지 부재와, 상기 화재감지 부재 내에 주입되어 화재시 외부로 분출되는 소화약제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소화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9. The apparatus of claim 8,
And a fire extinguishing unit which is composed of a fire sensing member for sensing heat at a high temperature due to fire occurrence and a fire extinguishing agent injected into the fire sensing member and ejected to the outside in case of fire, .
상기 화재감지 부재는 난연성 에폭시이고, 상기 소화약제는 HFC 계열의 소화가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fire sensing member is a flame-retardant epoxy, and the extinguishing agent is composed of an HFC-based extinguishing gas.
25~40부피%의 난연성 에폭시 내에 60~75부피%의 HFC 계열의 소화가스가 기포 상으로 분산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12. The fir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Characterized in that 60 to 75% by volume of HFC-based extinguishing gas is dispersedly injected in a bubble phase in a flame-retardant epoxy of 25 to 40% by volume.
상기 소화 부재를 화재 발생 예상 위치에 부착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재는 부직포 및 접착제층으로서, 상기 부직포의 일측 면에 상기 소화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부직포의 타측면에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a nonwoven fabric and an adhesive layer, the fire extinguishing member is fixed to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24370A KR101664867B1 (en) | 2015-02-17 | 2015-02-17 | Fire extinguisher using dr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24370A KR101664867B1 (en) | 2015-02-17 | 2015-02-17 | Fire extinguisher using dron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01560A KR20160101560A (en) | 2016-08-25 |
| KR101664867B1 true KR101664867B1 (en) | 2016-10-12 |
Family
ID=5688471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24370A Active KR101664867B1 (en) | 2015-02-17 | 2015-02-17 | Fire extinguisher using dron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6486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44354B1 (en) * | 2017-06-23 | 2019-01-31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Disaster evacu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disaster maneuver drone |
| CN108674658A (en) * | 2018-07-09 | 2018-10-19 | 陈福敏 | A kind of manned fire-fighting aircraft and the method using aircraft progress high-altitude fire extinguishing |
| CN111017218A (en) * | 2019-12-30 | 2020-04-17 | 南京航空航天大学 | Heavy-duty rotary-wing drones for forestry fire fighting operations |
| KR102482430B1 (en) * | 2021-01-12 | 2022-12-29 | 하상균 | Equipment for transporting fire hoses and extinguishing fire using drone |
| KR102394457B1 (en) * | 2021-03-12 | 2022-06-13 | 주식회사 유니텍코리아 | Aircraft with launch device |
| KR102394456B1 (en) * | 2021-03-12 | 2022-06-13 | 주식회사 유니텍코리아 | Aircraft for fire fighting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346896A (en) * | 2000-04-07 | 2001-12-18 | Eads Airbus Gmbh | Extinguishing apparatus for passenger airplane |
| KR101009456B1 (en) * | 2010-08-12 | 2011-01-19 | (주)한동알앤씨 | Monitoring system using unmanned airship equipped with CTC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147832B2 (en) | 2003-08-14 | 2012-04-03 | Merck Patent Gmbh | CD20-binding polypeptide compositions and methods |
| KR20100135582A (en) * | 2009-06-17 | 2010-12-27 | 압둘 아지즈 알 사우드 빈 맘두 나이에프 빈 | Fire and rescue units attachable to helicopters |
-
2015
- 2015-02-17 KR KR1020150024370A patent/KR10166486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346896A (en) * | 2000-04-07 | 2001-12-18 | Eads Airbus Gmbh | Extinguishing apparatus for passenger airplane |
| KR101009456B1 (en) * | 2010-08-12 | 2011-01-19 | (주)한동알앤씨 | Monitoring system using unmanned airship equipped with CTC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01560A (en) | 2016-08-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64867B1 (en) | Fire extinguisher using drone | |
| KR101437323B1 (en) | Unmanned plane for fire reconnaissance and fire-fighters | |
| US11286053B2 (en) | Damage mitigating apparatus operable by pressurized deployment of a fabric | |
| KR101599053B1 (en) |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s using an Unmmanned Aerial Vehicle | |
| CN107683243B (en) | Fire fighting drone | |
| CN105129091B (en) | A kind of unmanned plane extinguishing device | |
| KR101691731B1 (en) |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using dr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JP6749693B2 (en) | Unmanned aerial vehicle | |
| JP3224081U (en) | Drone with fire bomb dropping module | |
| KR102264602B1 (en) | Fire Extinguisher System using Unmanned Air Vehicle | |
| DE102021004290A1 (en) | Sprinkler head of an automatic fire suppression system | |
| US20160367846A1 (en) | Flame Suppression Grenade | |
| JP2644700B2 (en) | How to guide fire bombs | |
| US20170291050A1 (en) | Multi-Functional Fire Attack System | |
| KR102394457B1 (en) | Aircraft with launch device | |
| KR101410136B1 (en) | Rescue Patrol Robot | |
| KR20170079150A (en) | Fire fighting drone | |
| CN205854503U (en) | A kind of suspension unmanned plane fire extinguishing system | |
| CN111268128A (en) | A tethered fire rescu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 |
| KR100953937B1 (en) | Extinguishment apparatus of long distance fire | |
| US20170333738A1 (en) | Fire extinguishing device | |
| KR102288633B1 (en) | Fire suppression drone | |
| CN105920760A (en) | High-altitud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 |
| RU2451625C1 (en) | Fire helicopter | |
| KR101944821B1 (en) | Fire Extinguisher Bomb With Curved Shape At Both End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0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