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919B1 -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Orthognathic Surgery - Google Patents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Orthognathic Surg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8919B1 KR101668919B1 KR1020140143461A KR20140143461A KR101668919B1 KR 101668919 B1 KR101668919 B1 KR 101668919B1 KR 1020140143461 A KR1020140143461 A KR 1020140143461A KR 20140143461 A KR20140143461 A KR 20140143461A KR 101668919 B1 KR101668919 B1 KR 1016689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xillary
- maxilla
- cad
- template
- b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10000002050 maxilla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41000282465 Can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08000010392 Bone Fracture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06010017076 Fractur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10000000216 zygoma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08000004872 Maxillary Fracture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4262 dental pulp cavity Anatomy 0.000 claims 2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10000004359 mandibular condy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1738 temporomandibular joint Anatomy 0.000 abstract 1
- 210000000515 tooth Anatomy 0.000 description 18
- 210000004373 mandibl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054 facial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46 3D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591 computed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6010061274 Malocclu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295 maxillary tooth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625 sku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153 Mandibular Fractur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SYJGKVOENHZYMQ-UHFFFAOYSA-N Penoxsulam Chemical compound N1=C2C(OC)=CN=C(OC)N2N=C1NS(=O)(=O)C1=C(OCC(F)F)C=CC=C1C(F)(F)F SYJGKVOENHZYM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71897 Vipe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69 amniocent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0 art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6 maxillary sin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83 osseointe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ja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bone plates, or for adjusting screw-to-plate locking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교정수술에서 턱관절의 불안정과 모델수술을 준비하는 과정과 모델수술의 오차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술용 중간 상부자의 사용을 하지 않음으로써 턱관절 내 하악 과두의 위치와 상관없고, 수술 중 하악과두의 자가회전도 필요 없으면서도 상악을 수술계획에 맞게 정확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재위치시킬 수 있는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for orthognathic surgery)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상악골의 절단선 상부 및 하부 전체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제1부재; 및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하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제2부재를 포함하고, 골절단 수술 전 상악골에 고정된 상기 제1부재의 가이드홈과 골절단 수술 후 절단된 상악 골편에 고정된 상기 제2부재의 가이드부는 서로 끼워맞추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플레이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late to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by not using the mid-upper portion of the surgery to overcome the instability of the jaw joint and preparation of the model surgery and the error of the model operation in the jaw correction surgery, We propose a maxillary template for orthognathic surgery that can accurately and easily reposition the maxilla in accordance with the surgical plan without the need for self rotation of the mandibular canine. To this end, a first member previous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entire cutting lines of the maxilla; And a second member previous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shape of a cut line of the maxillary bone, wherein the guide groove of the first member fixed to the maxilla before the fracture step surgery and the guide groove of the first member fixed to the maxillary fragment, The CAD-CAM-based chin correction surgical plat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two-piece guide portions are fitted to each other is provided.
Description
본원은 턱교정 수술용 상악(위턱) 수술용 형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차원 가상수술(simulation surgery)을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for orthognathic surgery)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late for maxillofacial surgery for maxillofacial surg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D-CAM-based maxillary template for orthognathic surgery u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3D virtual surgery surgery.
이가 고르게 놓이지 않거나 위턱과 아래턱(하악)의 치열궁(齒列弓)의 관계가 정상적인 교합을 이루지 못하는 상태를 부정교합이라고 하며, 위 아래 턱의 크기와 형태가 부조화상태인 주걱턱, 무턱과 안면비대칭 등 골격성 부정교합은 아래턱과 위턱의 성장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위 아래 턱과 좌우 중 일부 또는 모두가 많이 성장하거나 덜 성장한 경우 발생하게 된다. 턱교정수술 또는 악교정수술은 골격적 부정교합을 바로잡는 수술을 말하며, 아래턱 또는 위턱만 수술하는 편악(단악)수술과 위턱과 아래턱을 모두 수술하는 양악수술이 있으며, 심미와 보다 효율적인 기능개선을 위하여 양악수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Malocclusion is defined as a condition in which the teeth are not evenly placed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s (the arches) does not form a normal occlusion is called malocclusion. The jaws of the upper and lower jaws are discordant, The skeletal malocclusion occurs when the lower jaw and upper jaw growth do not match each other and some or all of the upper jaw and the left and right jaws grow more or less. Chin correction surgery or orthognathic surgery is a surgery that corrects skeletal malocclusion. It includes bare-handed surgery for performing only the lower jaw or upper jaw, and amniocentesis for performing both upper and lower jaw surgery. Many ambulatory surgery is being performed.
양악수술 또는 위턱수술에서는 우선 상악의 골절단을 진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Le Fort I 술식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술식은 상악동의 내측벽부터 광대버팀대(zygomatic buttress) 부위까지 수평 골절단 및 익돌판(pterygoid plate) 부위의 분리를 포함하고, 윗니를 포함한 상악골을 두개골로부터 분리한 후 계획된 올바른 위치로 재위치 시키게 되는데, 재위치 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악골과 두개골 부위의 골간섭 부위를 제거하고 금속판과 나사등으로 고정하여 안정화시켜 주게 된다. The Le Fort I procedure is used extensively for the maxillary fracture of the maxillary or upper jaw. This procedure involves the separation of the horizontal fracture and the pterygoid plate from the medial wall of the maxillary sinus to the zygomatic buttress, separating the maxilla including the upper teeth from the skull and then repositioning it in the planned position It removes the bone interfering parts of the maxilla and skull, which occur during the repositioning, and fixes them by fixing with metal plate and screws.
통상적인 턱교정 수술에서 절단된 위턱뼈를 계획된 위치에 재위치하기 위하여 수술용 중간 상부자(surgical intermediate splint 또는 wafer)를 사용한다. 이 상부자를 제작하기 우선 모델수술(model surgery)을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환자 위턱과 아래턱 치아 인상 채득을 하여 치아 모형 제작을 하며, 위턱과 아래턱의 악궁관계를 교합기에 재현하기 위하여 안궁(face bow)을 안면에 고정하고 상악의 위치를 악궁판(bite fork)에 왁스등으로 채득하고 턱관절의 올바른 위치(중심위: centric relation)를 잡기 위하여 하악을 중심위유도하여 왁스등으로 상하악 치아의 교합관계를 채득한다. 상악 치아 모형을 안궁과 악궁판에 인지된 위치로 교합기에 재현하여 석고로 고정하고 아래턱 치아 모형을 중심위유도로 채득된 왁스바이트(wax bite)를 교합기에 고정된 위턱 치아 모형에 위치시키고 왁스바이트에 맞게 아래턱 치아 모형을 위치시키고 석고로 고정한다. 석고가 굳으면 중요 참고점들의 위치를 자로 측정한 후에 위턱 치아 모형을 석고판에서 분리하고 수술계획에 맞게 중요 참고점들이 전후방, 상하방, 좌우 수평 및 회전 이동되도록 상악 치아 모형을 위치시키고 이를 다시 석고로 교합기에 고정하고 교합기에 고정된 상악 치아 모형과 하악 치아 모형 사이에 레진과 같은 복합재료로 채워 넣어 마우스피스와 같은 수술용 중간 상부자를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은 복잡하고 다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중간 상부자가 만들어지는데, 각 과정에서 다양한 오차가 발생하며 환자의 상태와 협조도 및 술자의 술기 능력에 따라서 많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Surgical intermediate splints or wafers are used to reposition the severed jawbone in the planned position in conventional jaw surgery. In order to do this, model surgery should be done first. To do this, tooth modeling is performed by making upper and lower teeth impression, and facial bow to reproduce the upper and lower arches in the articulator. The upper part of the mandible was fixed to the face and the position of the maxilla was made with wax or the like on the bite fork and the center of the mandible was guided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jaw joint The relationship is created. The maxillary tooth model was reproduced in the articulator at the perceived position on the medial and arch plates and fixed with the gypsum. The wax bite, which was obtained by induction of the center of the lower dental tooth model, was placed in the maxillary tooth model fixed to the articulator, Place the lower teeth model and fix it with gypsum. When the gypsum hardens, the positions of the important reference points are measured, then the maxillary tooth model is separated from the gypsum plate and the maxillary tooth model is positioned so that important reference points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It is fixed in the articulator with gypsum and filled with a composite material such as resi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model fixed to the articulator to make the middle upper supine like the mouthpiece. Through such a complicated and multi-step process, an intermediate superstructure is created. In each process, various errors occur, and errors may occur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he degree of coordination, and the skill of the surgeon.
수술 시 상악골을 분리한 뒤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에 중간 상부자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악간고정을 시행한다. 결합된 상하악 골편을 턱관절을 이루는 하악 과두를 중심으로 자가회전을 시키면서, 상악골의 위치를 계획에 맞게 이동된 상태로 재위치함에 따라 생기는 상악골과 두개골사이의 골 간섭 부위를 골삭제 기구로 제거하고, 상악골을 계획된 위치에 재위치시킨다. 수술 전 모델수술을 위한 다단계 과정에서의 오차에 의해, 특히 중심위교합유도 과정에서 부적절한 하악과두의 위치가 설정된 경우 수술중에 사용하는 중간 상부자가 잘못 만들어지게 되어 잘못된 위치로 상악골이 재위치 될 수 있고, 올바르게 만들어져도, 수술 중에 하악과두의 위치가 불안정한 경우나 술자가 하악과두의 위치를 부적절하게 유지하면서 골간섭을 제거해도 잘못된 위치로 상악골이 재위치 될 수 있다. 또한 어느 수직적 수준까지 하악을 자가회전을 시켜 골간섭 부위를 제거하고 재위치 시킬 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힘들 뿐 아니라, 골간섭 부위를 잘못 파악하여 과도하거나 불완전한 골삭제가 이루어질 경우 결과적으로 상악골의 재위치가 계획에 맞지 않게 설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During the operation, the maxilla are separated and the intermaxillary interposi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le. The combined maxillary and mandibular fractures were self-rotated around the mandibular condyle that made up the jaw joint, and the osseointegration between the maxilla and the skull occurred due to the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in the planned position. And reposition the maxilla in the planned position. Because of the errors in the multilevel process for preoperative model surgery, especially when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is set during the induction of the central stomal occlusion, the midline abdomen used during the surgery is made incorrectly and the maxilla can be repositioned to the wrong position Even if it is made correctly, the maxillary bone may be repositioned to the wrong positio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is unstable during the operation or if the cadaver keeps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inappropriately and removes the bone interferenc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mandibular self-rotation should be removed and repositioned to a certain vertical level, or if excessive or incomplete removal of the bone is performed by mistakenly grasping the bone interfering reg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set to be incompatible with the pla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중간 상부자를 사용하는 수술방법 대신, 상악골의 전후방 위치에 대한 정확성을 보강하도록 3차원 가상수술 및 CAD/CAM을 이용한 3D printing 기술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작하는 기술(Kang SH et al., Orthognathic Y-splint: a CAD/CAM-engineered maxillary repositioning wafer assembly. Br J Oral Maxillofac Surg 52: 667-669, 2014), 또는 중간 상부를 사용하지 않고 가상 계획(Virtual planning)과 CAD/CAM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작하며 악간고정 및 자가회전 없이 수술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상악골을 위치시키는 기술(Zinser MJ, Mischkowski RA, Sailer HF, et al., Computer assisted orthognathic surgery: feasibility study using multiple CAD/CAM surgical spli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13:673-687, 2013)등이 보고된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stead of the conventional operation method using the intermediate upper body, a technique of manufacturing a device using 3D printing technique using 3D virtual surgery and CAD / CAM to reinforce the accuracy of the fore and aft position of the maxilla Shatt et al., Orthognathic Y-splint: a CAD / CAM-engineered maxillary repositioning wafer assembly. Br J Oral Maxillofac Surg 52: 667-669, (Zinser MJ, Mischkowski RA, Sailer HF, et al., Computer assisted orthognathic surgery: feasibility study using multiple CAD / CAM, CAM surgical spli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13: 673-687, 2013) have been reported.
그러나 종래기술은 기존 중간 상부자를 사용하는 턱교정수술 방법에 상악 앞쪽 면에 반원형인 장치물을 통상의 중간 상부자에 연결하여 주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기존 중간 상부자를 사용하는 수술방법에 상악골의 전후방 위치에 대한 정확성을 보강한 정도로, 골간섭 부위에 대한 정보와 새로운 상악골 위치를 정함에 있어서 상악 중심선, 정면 경사도(canting)과 상악의 전후방 수직적 위치에 대한 정보가 장치에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을 보인다. 소개된 다른 종래 기술에서는 큰 장치물 3개가 순차적으로 상악골에 스크류로 고정되고 제거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2-3번의 고정용 나사 식립과 제거 과정에서 얇은 상악골 전벽에서의 나사 구멍이 허물어져서 장치물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좁은 구강 내에서 위치시키고 조작하는 데에 어려움을 주며 골절단 및 골간섭부의 제거시에 좁은 작업 공간으로 인한 어려움을 가져온다. 무엇보다도 종래기술은 골절단선의 위치, 상악골의 최종 위치 등을 인지할 수 있는 장치가 포함하지만 골간섭부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지 않아, 골간섭부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곳을 올바르게 인지하지 못해서 CAD-CAM 층판에 맞게 상악골을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결국 삭제하지 않거나 말아야 할 부위까지 과도하게 삭제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a semicircular device on the front side of the maxilla is connected to a normal intermediate upper part in a chin correcting operation method using the existing middle upper part. In the operation method using the existing middle upper part, Information about the bone interfering sit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maxillary center line, the frontal canting, and the front and rear vertical positions of the maxilla in setting the new maxillary bone position are not reflected in the apparatus to the extent that the accuracy is reinforced. Other prior art techniques disclosed have not only a complicated structure in which three large devices are sequentially screwed and removed to the maxillary bone, but also the screw holes in the thin frontal wall are broken down in the process of fixing and removing the fixing screws 2-3 times The fixture may not be fixed properly, it is difficult to position and manipulate in a narrow mouth, and a difficult working space due to the removal of the fracture end and the bone interfering portion. Among other things, the prior art includes a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the position of a fracture disconnection, the final position of the maxilla, and the like, but does not include a device capable of easil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bone interfering portion, In the process of positioning the maxilla according to the CAD-CAM lay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excessively deleted to the area which should not be deleted or not to be done.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069576은 악교정 임플란트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턱교정 수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가 길이방향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부 에지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미리 성형된 핑거를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분리된 상악골을 절단한 후 재위치시키는 과정에서 골절술 안내 임플란트와 골 고정 임플란트를 번갈아 사용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골 고정 임플란트가 고정된 상태로 사전 제작되기 때문에 수술과정에서 필요하게 된 미세한 위치 변화를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69576 relates to a surgical orthodontic implant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in which an implant for use in chin-correcting surgery includes a plurality of preformed fingers extending from an upper edge of a plate member and a longitudinal plate member .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is complicated in using the fracture guiding implants and the bone-fixed implants alternately in the process of cutting and repositioning the separated maxilla, and since the bone-fixed implants are preliminarily manufactured in a fixed st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apply the fine positional change.
따라서, 턱교정수술을 짧은 시간내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절개된 위턱뼈를 바른 위치에 고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턱교정 수술용 형판(surgical template)에 대한 요구가 당 분야에서 강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strong need in the art for a surgical template that can help secure the incised jawbone in the correct position so that it can be safely and accurately perform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
본 발명은 전술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안출된 것으로, 턱교정수술에서 턱관절의 불안정과 모델수술을 준비하는 과정과 모델수술의 오차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술용 중간 상부자의 사용을 하지 않음으로써 턱관절 내 하악 과두의 위치와 상관없고, 수술 중 하악과두의 자가회전도 필요 없으면서도 상악을 수술계획에 맞게 정확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재위치시킬 수 있는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for orthognathic surgery)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on the basis of the foregoing descrip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instability of the jaw joint and preparation of the model surgery and the error of the model operation in the jaw correction surgery, A maxillary template for orthognathic surgery, which is independent of the position of the condyle of the mandible and can be repositioned accurately and easily according to the surgical plan, without the need for self-rota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during surgery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악골의 절단선 상부 및 하부 전체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제1부재; 및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하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제2부재를 포함하고, 골절단 수술 전 상악골에 고정된 상기 제1부재의 가이드홈과 골절단 수술 후 절단된 상악 골편에 고정된 상기 제2부재의 가이드부는 서로 끼워맞추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a first member previously formed to correspond to a shape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 cut line of a maxilla; And a second member previous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shape of a cut line of the maxillary bone, wherein the guide groove of the first member fixed to the maxilla before the fracture step surgery and the guide groove of the first member fixed to the maxillary fragment, The CAD-CAM-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orthodontic surger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wo-piece guide portions are fit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구조물, 상기 절단선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구조물 및 상기 상부 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구조물과 상기 하부구조물은 비강 측벽의 최전방부 경계와 접하면서 비강을 기준으로 좌우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좌우로 형성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서로 연결하되, 좌측 상부구조물은 좌측 하부구조물과 연결하고 우측 상부구조물은 우측 하부구조물과 연결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ember includes an upper structure positioned above the cutting line of the maxilla, a lower structure located below the cutting lin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contacts the forefront boundary of the nasal side wall and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nasal cavity, and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formed by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structure connected to the left lower structure The right upper structure provides a maxillary template for CAD-CAM-based chin correction surgery, which connects with the lower right structur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상부구조물은, 상악골의 절단선 상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좌, 우 상부판; 상기 상부판 각각을 계획된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사용 개구; 상기 각각의 상부판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악골 골절단 후 상악 골편 이동시 발생하는 골간섭 부분을 표시하는 골간섭 변연부; 및 상기 상부판 각각의 상부에 돌출된 형상으로 위치하고, 골절단된 상악 골편에 고정한 제2 부재의 가이드부와 끼워 맞추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tructure comprises left and right upper plates previous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t line of the maxilla; At least one bite opening for fixing each of said top plates to a planned area; A bone interfering rim positioned at a lower edge of each of the upper plates to indicate a bone interfering portion generated when the upper and lower bone fragments are moved after a maxillary fracture; A CAD-CAM-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correcting surgery, the CAD-CAM-based chin orthopedic surgical tool comprising a guide groove that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on a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upper plates and is fitted to a guide portion of a second member fixed to a fractured- .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열린 다각형 또는 원형의 요(凹)형상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요(凹)형상과 부합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철(凸)형상인,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is an open polygonal or circular concave shape and the guide portion is a CAD-CAM based chin correction, which is a polygonal or circular convex shape conforming to the concave shape, A maxillary template for surgery is provided.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열린 다각형 또는 원형의 요(凹)형상이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요(凹)형상과 부합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철(凸)형상인,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is an open polygonal or circular concave shape and the guide groove is a polygonal or circular convex shape conforming to the concave shape, A maxillary template for surgery is provided.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다각형은 삼각형인,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axillary template for CAD-CAM-based chin correction surgery wherein said polygon is triangula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하부구조물은,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하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좌, 우 하부판; 상기 하부판 각각을 계획된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사 개구; 및 상기 좌, 우 하부판 각각을 상악골에 장착하면 상기 좌, 우 하부판이 상악 중심선 부위에서 결합되는 지그재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은, 상기 하부판 각각과 상악골의 적합(들어맞음)을 쉽게 하는 견치(어금니) 치근 덮개부, 광골 지지대(zygoma buttress) 덮개부; 및 상구(piriform aperture) 덮개부를 포함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tructure comprises: left and right lower plates previous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t line of the maxilla; One or more screw openings for fixing each of said bottom plates to a planned area; And a zigzag engaging portion in which the left and right lower plates are coupled at the upper center line portion when the left and right lower plates are attached to the maxillary bone, respectively, and the lower plate includes a canine Molar) root cover, zygoma buttress cover; And a maxillary template for CAD-CAM-based chin correction surgery, including a piriform aperture lid.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이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을 중심으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AD-CAM-based jaw comprising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can form an interval around a cutting line of the maxillary bone, A maxillary template for orthodontic surgery is provided.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상부구조물 및 상기 하부구조물에서 돌출된 부위가 고리형상으로 서로 이어져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교차하지 않도록 고리형상으로 돌출하여 상기 상부구조물과 상기 하부구조물을 연결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by projecting portions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in a ring shap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annularly protruded so as not to intersect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 CAD-CAM-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orthodontic surgery that connects the structure and the underlying structur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2부재는, 비강을 기준으로 좌우로 형성되는 좌측부와 우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부는 상기 제1부재 좌측 상부구조물과 맞추어지고 상기 우측부는 상기 제1부재 우측 상부구조물과 맞추어지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ember has a left side portion and a right side portion which are formed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nasal cavity, the left side portion is aligned with the first member left upper structure and the right side portion is formed with the first member right upper structure To provide a maxillary template for CAD-CAM-based chin orthodontic surgery.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 2 부재는 상악골의 절단선 하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나사 고정 위치가 상기 제1 부재 하부 구조물의 나사 고정 위치와 동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재의 하부구조물의 나사 개구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가진 나사 개구; 및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돌출된 형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부재의 상부구조물의 가이드홈에 끼워 맞추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은, 상기 하부판 각각과 상악골의 적합(들어맞음)을 쉽게 하는 견치(어금니) 치근 덮개부, 광골 지지대(zygoma buttress) 덮개부; 및 상구(piriform aperture) 덮개부를 포함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ember is a preformed preform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t line below the maxilla; A screw opening having the same arrangement as the screw opening arrangement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first member so that the screw fixing position of the fixing plate may be the same as the screw fixing position of the first member lower structure; And a guid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and adapted to fit into a guide groov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first member, wherein the lower plate includes a cannula for facilitating fitting of the upper plate and the maxilla Molar) root cover, zygoma buttress cover; And a maxillary template for CAD-CAM-based chin correction surgery, including a piriform aperture lid.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후방부에서 광골 지지대쪽으로 돌출된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은 광골지지대와 접촉하여 상악골 수직위치를 안정화하거나, 잔존 골간섭을 측정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The second member further includes a column projecting toward the femoral support at a rea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wherein the column is in contact with the optical golfer to stabiliz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 or measure the residual bone interference,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재료는, 금속, 합성수지, 레진, 또는 이들의 합성물인,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orthodontic surgery, wherein the material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a metal, a synthetic resin, a resin,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3차원 인쇄기술(3D printing)로 제조된,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orthodontic surgery,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made of 3D printing technology.
본 발명의 턱교정 수술용 CAD-CAM 기반 수술용 상악 형판은 3차원 가상수술(simulation surgery)에서 상악 골절단을 하고 수술계획에 따라 이동시켜 골간섭 부위를 미리 확인한 후, 가상수술에서 결정된 상악골 절단선, 골간섭 부위 및 상악골 이동에 따른 상악골의 새로운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디자인한 후 3차원 프린팅 장비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상악 골절단선 상방의 두개안면골과 하방의 상악 골편에 각각 고정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끼워맞추는 것만으로 하악과두의 위치와 턱관절의 회전운동과 무관하게 상악 골편을 원하는 위치에 재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턱교정수술을 짧은 시간내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AD-CAM-based surgical maxillofacial plate for chin orthodontic surg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xillary fracture stage in 3D virtual surgery, And the new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axillary bon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xillary bone, and then made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printing equipment. The first face member fixed to the craniofacial bone above the burn line of the maxillary fracture and the first member So that the maxillary fragment can be re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jaw joint, so that the jaw correc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afely and accurately in a short time .
도 1은 본 발명의 CAD-CAM 기반 턱교정 상악 수술용 형판의 제1부재를 상악골에 고정시킨 3차원 영상이다.
도 2는 턱교정 수술을 위해 상악 골절단선을 점선으로 표시한 3차원 영상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인 수술용 중간상부자를 사용한 턱교정 시술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플레이트의 제1부재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의 제1부재 형상의 좌우 대칭 구조물 중 우측(환자 위치에서) 구조물을 나타낸 3차원 영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의 제1부재를 적용한 수술과정을 나타낸 3차원 영상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의 제1부재 상악골에 고정하고 골절단선과 골간섭 부위 제거를 위한 골절단을 한 후에 하부구조물을 제거한 상태와 하악골에서 하악상행지를 시상골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3차원 영상이다.
도 8은 제2 부재와 제2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3차원 영상이다.
도 9는 재위치된 상악골을 고정하는 과정과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턱교정 수술이 끝난 후의 3차원 CT 영상이다. FIG. 1 is a three-dimensional image in which the first member of the CAD-CAM-based chin orthodontic maxillofacial surgery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axillary bone.
FIG. 2 is a three-dimensional image showing a broken line of the maxillofacial fracture for dental correction surgery.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hin orthodontic treatment using a conventional middle-phase surgical technique.
Figure 4 shows the shape of a first member of a CAD-CAM based chin orthotic surgica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three-dimensional image showing the right side (at the patient position) of the right and left symmetrical structures of the first member shape of the CAD-CAM-based chin orthopedic surgical upp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three-dimensional image showing an operation procedure using a first member of a maxillofacial plate for a CAD-CAM based chin orthodontic surg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D-CAM-based chin orthodontic surgical maxillofacia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structure is removed, It is a three-dimensional image showing a single fracture.
8 is a three-dimensional imag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ixed.
FIG. 9 shows a process and state of fixing the repositioned maxilla.
Fig. 10 is a three-dimensional CT image after completion of chin-correcting operation.
다양한 양상이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아래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은 각각의 구체적인 세부사항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은 하나 이상의 양상에 대한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의 원리에서 다양한 방법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은 그러한 양상 및 그 균등물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Various aspects are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below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It will be appreciated, however,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 specific details of each.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aspects are illustrative and that some of the various ways may be used in various aspects of the principles, and that the description set forth is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다양한 양상 및 특징이 다수의 장치,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이 추가적인 장치, 부품, 구성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 부품, 구성품 등 모두를 포함할 수 없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Various aspects and features will be presented by a system that may include multiple devices, modules, and the like.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and appreciated that the various systems may include additional devices, components, components, etc., and / or may not include all of the devices, components, components, etc.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례",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상기 경우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항목 중 하나 이상 항목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s " an embodiment, "" an embodiment, "" an example, "etc. should not be construed as advantageous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In addition, the term "or" is intended to mean " exclusive or " That is, it is intended to mean one of the natural inclusive substitutions "X uses A or B ",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unclear in context. That is, X uses A; X uses B; Or when X uses both A and B, "X uses A or B" can be applied in any of the above case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 / or" as used herein refers to and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단계, 동작, 모듈,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모듈, 구성요소, 및/또는 이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구성요소는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이러한 용어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 간의 구별을 위해서 사용될 뿐이고, 순서 또는 우선순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term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means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feature, step, operation, module, and / Elements, and / or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uch groups. In addition, although the terms first and seco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at i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meaning order or priority. Also,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or to the contrary, the singular forms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generally be construed to mean "one or more. &Quot;
이하 본원의 장치에 포함된 구성 및 그에 따른 명칭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을 이해하고 해석함에 있어서는 상응하는 구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the names thereof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a corresponding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 제1부재를 상악골에 고정시킨 3차원 영상이다. 상기 제1 부재는 상부구조물(1), 하부구조물(2) 및 연결부(3,4)를 포함한다. 좌우 2개로 구성된 형판이 가상 이미지에서 디자인될 때의 위치대로 수술 중 상악골에 정확하게 재현되기 위해서 안면 골부위 중 견치(어금니) 치근부(31), 이상구(piriform aperture)(33) 및 광골 지지대(zygoma buttress)(32)를 덮고, 좌우 형판이 만나는 중심부에서 상악 정중부의 돌출부(34)를 덮으면서 지그재그 모양으로 만나게 한다. 치과용 CAD/CAM이란 치과 진료 과정에서 필요한 장치물을 3차원 스캔하거나 또는 3차원 CT와 같은 이미지 영상을 컴퓨터에 저장하여 컴퓨터 상에서 장치물을 직접 디자인(CAD)하고 이를 기계로 정밀하게 절삭(CAM) 또는 층상으로 쌓아 올려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CAD/CAM의 도입으로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생체 친화성을 가진 재료를 이용한 장치물의 제작이 용이해졌다. 도 1을 포함한 전체 도면에서 상기 형판을 상악골에 고정하는 나사는 도시하지 않고 상기 나사가 관통하는 상기 형판의 개구만 도시하였다. FIG. 1 is a three-dimensional image in which a first member of a maxillofacial plate for a chin correcting surgery based on the CAD-C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axillary bone. The first member includes an
3차원 가상 수술이란 CT(Computer tomography) 및 MRI(Magnetic resonance image)등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3차원 영상을 구성하고 이를 3차원 모형데이터로 디지털 형상 정보를 획득하여 가상 진단을 시행한 후 치료 계획에 따라 가상 시술을 해 보고 결과를 예측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턱교정수술에 필요한 3차원 영상을 수득하고 3차원 CAD/CAM 및 3차원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surgical maxillary template)을 제작한다. 3D virtual surgery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human body using computer tomography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acquiring digital shape information using three-dimensional model data, And the results are predic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image required for chin correction surgery is obtained, and a surgical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is produced using three-dimensional CAD / CAM and three-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y.
도 2는 턱교정 수술을 위해 상악 골절단선(60)을 점선으로 표시한 3차원 영상이다. 상기 상악 골절단선을 중심으로 상악골(30)은 수술 후 위치가 이동되는 상악골편(37)과 수술에 의한 위치변화 없이 두개안면골에 연결된 상악골(38)로 나뉘어진다. 절단되는 턱교정 수술은 대부분 상악골편(37) 이동과 하악골(40) 중 원심골편(44)의 이동을 순차적으로 시술하게 되는데, 상악골편(37) 이동을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골이 포함된 두개안면골 중 치관과 치근이 포함된 상악골을 골절단선(60)을 따라 골절단을 하고 전후방, 상하방, 좌우 측방운동(평행이동과 회전이동)을 하여 수술계획에 맞게 이동하게 된다. 종래 기술은 상기 골절단된 상악 골편을 수술계획에 따라 위치 이동 후의 재위치를 위해 하악골와 상악골편을 연결하는 중간 상부자(intermediate wafer)를 사용하였다. FIG. 2 is a three-dimensional image in which the maxillary
도 3은 종래기술인 수술용 중간상부자를 사용한 턱교정 시술을 나타내는 개념도로, 도 3a는 종래기술에서 수술용 중간 상부자를 만들기 위하여 위턱(30)과 아래턱(40)의 치아 모형과 위턱과 아래턱의 악궁관계를 교합기에 재현한 모습이다. 도 3b는 교합기에서 수술계획에 따라 상악 치아 모형을 이동하여 모델수술을 한 후 재위치 시킨 모습으로, 이동으로 재위치된 위턱(35)은 이동 전 위턱(30)과 비교하여 위치가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c는 모델 수술 후 상하악 치아 모형사이의 공간에 레진을 넣고 다듬어서 중간 상부자(50)를 만들고 치아 모형에 장착한 모습이다. 도 3d는 이러한 과정을 교합기에서 손으로 수행한 것이 아니라 3차원 영상이미지에서 상악골의 가상 수술 후 CAD/CAM 장비로 상악골 중간 상부자(intermediate splint)를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술용 중간 상부자를 만드는 과정은 위턱과 아래턱의 치아 모형과 위턱과 아래턱의 악궁관계를 교합기에 재현하고, 교합기에서 수술계획에 따라 상악 치아 모형을 이동하여 모델수술을 한 후 재위치 시킨 후, 상하악 치아 모형사이의 공간에 레진을 넣고 다듬어서 중간 상부자를 만들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 이러한 과정을 교합기에서 손으로 수행한 것이 아니라 3차원 영상이미지에서 상악골의 가상 수술 후 CAD/CAM 장비로 상악골 중간 상부자(intermediate splint)를 만들 수도 있다.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hin orthodontic treatment using a conventional surgical intermediate sheath. FIG. 3a shows a tooth model of the upper and
그러나, 이 방법은 위턱과 아래턱이 중간 상부자로 결합된 상하악 복합체를 턱관절 내 하악 과두를 중심으로 자가회전을 시키면서, 두개안면뼈와 절단된 상악 골편 사이의 골 간섭 부위를 제거하고, 상악골편을 계획된 위치에 재위치시키게 되는데, 수술 전 모델수술을 위한 다단계 과정에서의 오차에 의해, 특히 중심위교합유도 과정에서 부적절한 하악과두의 위치가 설정된 경우 수술중에 사용하는 중간 상부자가 잘못 만들어지게 되어 잘못된 위치로 상악골이 재위치 될 수 있고, 올바르게 만들어져도, 수술 중에 하악과두의 위치가 불안정한 경우나 술자가 하악과두의 위치를 부적절하게 유지하면서 재위치로 인해 상악골편부와 두개안면골의 뼈가 서로 간섭하게 되는 골간섭을 제거해도 잘못된 위치로 상악골이 재위치 될 수 있다. 또한 어느 수직적 수준까지 하악을 자가회전시켜 골간섭 부위를 제거하고 재위치 시킬 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힘들 뿐 아니라, 골간섭 부위를 잘못 파악하여 과도하거나 불완전한 골삭제가 이루어질 경우 결과적으로 상악골의 재위치가 계획에 맞지 않게 설정되는 문제점이 있다.This method, however, removes bone interferences between the craniofacial bones and the cut maxillae while allowing the upper and lower jaw complexes of the upper and lower jaws to engage with the mandibular condyle in the jaw joint,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anal is inadvertently created by the errors in the multi-step process for preoperative model surgery, especially when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is set in the process of inducing the central occlusion, If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anal is unstable during surgery, or if the caretaker improperly maintains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anal, even if the maxilla is repositioned to the wrong position, the bone of the maxillary bone and craniofacial bone Even when bone interferences are interfered with each other, the maxilla can be relocated to the wrong posi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mandibular self-rotation to remove and reposition the mandibular canal to any vertical level, and if excessive or incomplete removal of the bone is performed by mistakenly grasping the bone interfering reg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set to be incompatible with the plan.
도 4는 본 발명의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의 제1부재의 형상을 나타낸다. 좌우 두 개로 구성되며 각각 따로 상악골에 장착한 후에 중앙부 지그재그 결합부에서 만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은 중간 상부자 없이 턱교정수술이 가능하도록 상악골의 절단선(6) 상부 및 하부 전체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제1부재; 및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하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제2부재를 포함하고, 골절단 수술 전 상악골에 고정된 상기 제1부재의 가이드홈과 골절단 수술 후 절단된 상악 골편에 고정된 상기 제2부재의 가이드부는 서로 끼워맞추어지는 구조(8, 300)를 가진다. 상기 절단선 상부는 두개안면골에 고정된 상악골(38)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선 하부는 수술 후 위치가 이동되는 상악골편(37)을 포함한다. Fig. 4 shows the shape of a first member of a maxillofacial molding for a CAD-CAM based chin orthodontic surg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ade up of two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is mounted on the maxilla and then met at the central zigzag coupling part. The CAD-CAM-based chin orthodontic surgery top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mber previous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entire shapes of th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구조물(1), 상기 절단선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구조물(2) 및 상기 상부 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3, 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구조물과 상기 하부구조물은 비강 측벽의 최전방부 경계와 접하면서 비강을 기준으로 좌우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좌우로 형성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서로 연결하되, 좌측 상부구조물은 좌측 하부구조물과 연결하고 우측 상부구조물은 우측 하부구조물과 연결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ember includes an
도 5는 본 발명의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의 제1부재 형상의 좌우 대칭 구조물 중 우측(환자 위치에서) 구조물을 나타낸 3차원 영상이다. 상기 우측 구조물 중 상부구조물은, 상악골의 절단선 상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상부판; 상기 상부판을 상응하는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한개 이상의 나사용 개구(5); 상기 상부판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악골 골절단 후 상악 골편 이동시 발생하는 골간섭 부위를 표시하는 골간섭 변연부(7); 및 상기 상부판의 상부에 돌출된 형상으로 위치하고, 골절단된 상악 골편을 고정한 제2 부재의 가이드부와 끼워 맞추는 가이드홈(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가이드 요(凹)부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철(凸)부이고 그 형태는 삼각형 또는 다각형, 원형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가이드 철(凸)부이고 그 형태는 삼각형 또는 다각형, 원형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요(凹)부이다. FIG. 5 is a three-dimensional image showing the right side (at the patient position) of the right and left symmetrical structures of the first member shape of the CAD-CAM-based chin orthopedic surgical upp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tructure of the right structure includes an upper plate previously formed to correspond to a shape of a cut line of the maxilla; At least one borehole (5) for fixing said top plate to a corresponding site; A bone-interfering rim (7) located at a lower edge of the upper plate and indicating a bone-interfering site occurring when the maxillary bone fragment moves after the maxillary bone fracture; And a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우측(환자 위치에서) 구조물 중 하부구조물은,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하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하부판; 상기 하부판을 상응하는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한개 이상의 나사 개구(5); 상기 하부판과 상악골의 적합(들어맞음)을 쉽게 하는 견치(송곳니) 치근 덮개부(11), 광골 지지대(zygoma buttress) 덮개부(12) 및 이상구(piriform aperture) 덮개부(13)를 포함한다. 상기 견치(송곳니) 치근 덮개부(11), 광골 지지대(zygoma buttress) 덮개부(12) 및 이상구(piriform aperture) 덮개부(13)는 도 1에 도시된 안면 골부위 중 견치(어금니) 치근부(31), 이상구(piriform aperture)(33) 및 광골 지지대(zygoma buttress)(32)를 덮으며 고정된다. 견치 뿌리는 치조골에서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광골 지지대(zygoma buttress) 및 이상구(piriform aperture)는 돌출되고 안면골이 굴곡이 심하기 때문에 위치를 조절하기에 적합하고, 이를 통해 수직 수평의 위치를 가상 이미지에서 디자인할 때와 같은 위치로 상악골편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우측 하부구조물은 그 윗부분이 비강구조를 따라 내측 경계(9)를 이루고 그 아랫부분은 우측 하부구조와 지그재그 결합부(10)를 이루어서 상악골에 장착된 후, 좌우 상악 형판의 하부 구조물이 결합하게 되어 보다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tructure of the right (at the patient position) structure comprises a lower plate previous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t line below the maxilla; At least one screw opening (5) for fixing the bottom plate to a corresponding portion; A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연결부(3, 4)는 상기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이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6)을 중심으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유지하는 제1 연결부(3) 및 제2 연결부(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연결부(3)는 안면 측부와 인접한 부위에서, 제2 연결부(4)는 비강과 인접한 부위에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내측과 외측에서 고리형상으로 돌출하여 연결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상기 제1부재의 상부구조물 및 하부구조물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나사 개구(5)를 통해 나사를 상악골에 조임으로써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상악골에 고정하게 된다. The first member is fixed to the maxillary bone by fastening screws to the maxillary bone through at least one
도 6은 본 발명의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의 제1부재를 적용한 수술과정을 나타낸 3차원 영상으로, 도 6a는 본 발명의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의 제1부재를 상악골에 고정시킨 뒤 상기 연결부(3, 4)를 제거한 상태의 3차원 영상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 제1부재의 상악 골절단 가이드(6)와 이를 따라 위치하는 골절단선(60)을 나타낸 3차원 영상이며, 도 6c는 골간섭 부위의 제거를 위한 골절단 가이드를 따라서 골절단을 나타낸 3차원 영상이다. FIG. 6 is a three-dimensional image showing a surgical procedure using a first member of a maxillofacial plate for a chin orthodontic surg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three-dimensional image in which the
상기 제1부재를 도 1과 같이 상악골에 고정한 뒤에는 상기 연결부(3, 4)를 제거하며, 상기 제거는 모터를 이용한 장비에서 생기는 진동으로 인한 충격에 의해 상악 형판이 미세하게 위치변화 하게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압전(piezo) 방식을 이용한 절단기구(piezoelectric cutting device)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연결부를 제거한 뒤 상기 제1부재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노출된 골절단선(60)을 따라 뼈를 절단하여(도 6b) 상기 윗니가 포함된 상악부 골편을 안면뼈로부터 분리시키고, 상부 구조물의 하연부에 설정된 골간섭부 변연을 따라 골절단을 하여(도 6c) 골간섭이 일어나는 골간섭 부위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After the first member is fixed to the maxillary bone as shown in FIG. 1, the connecting
도 7은 본 발명의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의 제1부재 상악골에 고정하고 골절단선과 골간섭 부위 제거를 위한 골절단을 한 후에 하부구조물을 제거한 상태와 하악골에서 하악상행지를 시상골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3차원 영상이다. 상기 골간섭 부위 제거 후, 분리된 상악부 골편에 고정되어 있던 제1부재 하부구조물은 제거하되, 고정용 나사를 제거할 때, 상기 하부구조물의 나사 개구를 통해 상악골에 형성된 나사 개구은 손상되지 않게 조심스럽게 제거하여, 제2부재를 상악 골편에 적합시키고 고정할 때 상악골편에 형성된 동일한 나사 개구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D-CAM-based chin orthodontic surgical maxillofacia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structure is removed, It is a three-dimensional image showing a single fracture. After removal of the bone intervention site, the first member lower structure fixed to the separated upper and lower fragments is removed. When the fixing screw is removed, the screw opening formed in the maxillary bone through the screw opening of the lower structure is carefully removed So that the second member can be fixed to the same screw opening formed in the maxillary bone piece when fitting and fixing the second member to the maxillary fragment.
도 8은 제2 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악골 골편 및 상기 제1 부재 상부구조물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3차원 영상이다. 도 8a는 제2 부재의 우측 (환자 위치에서)부를 나타낸 3차원 영상이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하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다. 즉, 상기 제2부재는 비강을 기준으로 좌우로 형성되는 좌측부와 우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부는 상기 제1부재 좌측 상부구조물과 맞추어지고 상기 우측부는 상기 제1부재 우측 상부구조물과 맞추어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우측부는,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하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고정판(100); 상기 고정판을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에 형성하되, 상기 제1 부재의 하부구조물이 상악 골편에 고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제2 부재가 위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제1 부재 하부구조물의 나사 개구와 동일한 배열을 가지는 나사용 개구(200); 및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돌출된 형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부재의 상부구조물의 가이드홈에 끼워맞추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가이드 요(凹)부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철(凸)부이며, 삼각형을 비롯한 다각형 형태 또는 원형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요(凹)부이고, 상기 가이드홈은 가이드 철(凸)부이며, 삼각형을 비롯한 다각형 형태 또는 원형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8 is a three-dimensional imag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ixed to the maxillary bone fragment and the first member upper structure. 8A is a three-dimensional image showing the right side (at the patient position) of the second member. The second member is pre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t line below the maxilla. That is, the second member has a left side portion and a right side portion that are formed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nasal cavity, and the left side portion is aligned with the first member left upper structure and the right portion is aligned with the first member right upper structu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ht side includes a fixing
도 8b는 상악골을 수술계획에 맞게 재위치 시킴에 따라 상기 제1부재의 상부구조물에 구비된 가이드홈(8)에 상기 제2부재의 가이드부(300)가 끼워 맞추어진 상태를 나타낸 3차원 영상이다. 턱교정수술에서 상기 제1부재의 하부구조물의 나사 개구부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가진 제2 부재 고정판의 나사 개구부를 통해 제2 부재 고정판을 상악 골편에 고정시킨다. 제2부재가 고정된 상악부 골편을 이동시켜 상기 제1부재 상부구조물에 구비된 가이드홈에 상기 제2부재 가이드부를 끼워 맞춤으로써 상악부 골편의 재위치를 완성하게 된다. 이 때, 상악골만 위치시킬 수도 있고, 상행지가 시상분할된 하악골(40)의 원심골편(44) 치아와 상악 치아가 정상교합이 되게 하고 상하악 치아 또는 교정용 브라겟에 철사로 묶어서 상하악 골편을 고정하고 위의 과정을 시행할 수도 있다. 8B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8c는 우측(환자 위치에서) 상악골에서, 상기 제2부재의 다른 형태로 상악 골편(37)과 두개안면골 간의 접촉이 불량한 경우 상악골의 피치 회전(pitch; 두개골을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절단된 상악골편의 뒤쪽이 올라갈 때 상악 골편 앞쪽이 하방으로 내려오거나 그 반대 방향의 회전운동)이 발생하여 상악 구치부 또는 광골 지지대(zygoma buttress)(32)에서의 수직 위치가 불안정할 수 있는 점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제2부재 고정판의 후방부에서 광골 지지대(32) 쪽으로 돌출된 기둥(500)이 광골 지대대와 접촉하게 하여 광골 지지대 부위에서의 상악골 수직위치를 안정되게 잡아 주는 구조물이 포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둥(500)은 상기 광골지지대(32)의 상부 위치와 접한다. FIG. 8C shows the pitch rotation of the maxilla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상기 상악형판으로 상악골을 재위치시킨 후에는 금속판(800)을 이용하여 단단하게 고정시켜 상기 재위치된 위치로 영구교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After the maxillary bone is repositioned with the maxillary template, it is fixed firmly using the
도 9a는 재위치된 상악골을 고정하기 위하여 금속판(800)을 위치시킬 부위에 있는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의 제1부재와 제2부재 형판의 일부를 기구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선(700)을 표시한 것이다. 도 9b는 환자의 상악 좌측에서 형판의 일부를 잘라내고 금속판을 고정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는 임상사진이다. 9A shows a
도 10은 재위치된 상악골을 금속판으로 최종 고정하고 시상분할된 하악골 근심골편을 턱관절의 올바른 위치에 위치시키고 원심골편과 겹치는 부위를 절제해 내고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을 금속판으로 고정하고 수술이 끝난 후의 3차원 CT 영상이다. 상악골(30)의 수술 후 위치가 이동되는 상악골편(37)과 수술에 의한 위치변화 없이 두개안면골에 남아 있는 상악골(38)이 금속판(800)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원심골편(44)을 포함하는 하악골(40)의 형상도 함께 관찰할 수 있다.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positioned maxillary bone is finally fixed with a metal plate, a sagittal mandibular mesial bone fragment is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jaw joint,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distal bone fragment is resected, Dimensional CT images. Th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재료는, 금속, 합성수지, 레진, 또는 이들의 합성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3차원 인쇄기술(3D printing)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3차원 인쇄기술 장비로 3D systems(US)사의 VIPER Si2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재료는 DSM(US)사의 WaterShed(TM) 11122XC가 사용되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ay be made of a metal, a synthetic resin, a resin,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ay be a three- 3D print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PER Si2 equipment of 3D systems (US) was used as a three-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y equipment, and WaterShed (TM) 11122XC manufactured by DSM (US) was use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 제1부재 상부구조물
2. 제1부재 하부구조물
3. 제1연결부
4. 제2연결부
5. 나사 개구
6. 골절단가이드
7. 골간섭변연부
8. 제1부재 상부구조물 가이드홈
9. 제1부재 하부구조물의 내측 경계
10. 제1부재 하부구조물의 지그재그 경계
11. 제1부재 견치(어금니) 치근 덮개부
12. 제1부재 광골 지지대(zygoma buttress) 덮개부
13. 제1부재 이상구(piriform aperture) 덮개부
30. 상악골
31. 안면 골부위 중 견치(어금니) 치근부
32. 안면 골부위 중 광골 지지대(zygoma buttress)
33. 안면 골부위 중 이상구(piriform aperture)
34. 상악 정중부의 돌출부
37. 상악골편
38. 두개안면골에 연결된 상악골
40. 하악골
44. 원심골편
60. 골절단선
100. 제2부재 이동판
200. 제2부재 나사 개구
300. 제2부재 가이드부
500. 광골 지지대쪽으로 돌출된 기둥
700. 제1부재와 제2부재 형판의 일부를 기구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선
800. 금속판1. First member superstructure
2. First member substructure
3. First connection
4. Second connection part
5. Screw openings
6. Guide to fracture end
7. Bone marginal margin
8. First member upper structure guide groove
9. Inner boundary of the first member lower structure
10. Zigzag boundaries of the first member substructure
11. First member canine (molar)
12. The first member zygoma buttress cover
13. A first member piriform aperture cover
30. Maxilla
31. Cranial (molar) root portion of facial bone
32. Zygoma buttress in the facial bone area.
33. A piriform aperture in the facial bone area,
34. The protrusion of the maxillary mid-
37. Maxillary incision
38. Maxilla connected to craniofacial bone
40. Mandibular
44. Centrifugal fragment
60. fracture disconnection
100. Second member moving plate
200. Second member screw opening
300. Second member guide portion
500. Columns protruding toward the optic support
700. A cutting tool for cutting a part of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type plate with a tool
800. Metal plate
Claims (14)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하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제2부재를 포함하고,
골절단 수술 전 상악골에 고정된 상기 제1부재의 가이드홈과 골절단 수술 후 절단된 상악 골편에 고정된 상기 제2부재의 가이드부는 서로 끼워맞추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구조물, 상기 절단선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구조물 및 상기 상부 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구조물과 상기 하부구조물은 비강 측벽의 최전방부 경계와 접하면서 비강을 기준으로 좌우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좌우로 형성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서로 연결하되, 좌측 상부구조물은 좌측 하부구조물과 연결하고 우측 상부구조물은 우측 하부구조물과 연결하며,
상기 상부구조물은,
상악골의 절단선 상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좌, 우 상부판;
상기 상부판 각각을 계획된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사용 개구;
상기 각각의 상부판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악골 골절단 후 상악 골편 이동시 발생하는 골간섭 부분을 표시하는 골간섭 변연부; 및
상기 상부판 각각의 상부에 돌출된 형상으로 위치하고, 골절단된 상악 골편에 고정한 제2 부재의 가이드부와 끼워 맞추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A first member previous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shape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cut line of the maxilla; And
And a second member previous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t line of the maxillary bone,
The guide portion of the first member fixed to the maxilla before the fracture plate operation and the guide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fixed to the maxilla fragment after the fracture plate operation are fit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member comprises:
A top structure positioned above the cutting line of the maxilla, a bottom structure positioned below the cutting lin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top structure and the bottom structure, wherein the top structure and the bottom structure are arranged at the forefront boundary And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formed by the right and left sides, the left upper structure connects with the lower left structure, the right upper structure connects with the lower right structure,
Wherein the upper structure comprises:
A left and right upper plate previous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t line of the maxilla;
At least one bite opening for fixing each of said top plates to a planned area;
A bone interfering rim positioned at a lower edge of each of the upper plates to indicate a bone interfering portion generated when the upper and lower bone fragments are moved after a maxillary fracture; And
And a guide groove which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upper plates and is fitted to the guide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fixed to the fractured bone,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상기 가이드홈은 열린 다각형 또는 원형의 요(凹)형상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요(凹)형상과 부합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철(凸)형상인,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groove has an open polygonal or circular concave shape,
Wherein the guide portion has a polygonal or circular convex shape conforming to the concave shape,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상기 가이드부는 열린 다각형 또는 원형의 요(凹)형상이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요(凹)형상과 부합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철(凸)형상인,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ortion may have an open polygonal or circular concave shape,
Wherein the guide groove has a polygonal or circular convex shape conforming to the concave shape,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상기 다각형은 삼각형인,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polygon is a triangle,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상기 하부구조물은,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하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좌, 우 하부판;
상기 하부판 각각을 계획된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사 개구; 및
상기 좌, 우 하부판 각각을 상악골에 장착하면 상기 좌, 우 하부판이 상악 중심선 부위에서 결합되는 지그재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은,
상기 하부판 각각과 상악골을 들어맞게 하는 견치(어금니) 치근 덮개부, 광골 지지대(zygoma buttress) 덮개부; 및 이상구(piriform aperture) 덮개부를 포함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ucture may comprise:
A left and right lower plate previous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t line of the maxilla;
One or more screw openings for fixing each of said bottom plates to a planned area; And
Wherein when the left and right lower plates are attached to the maxilla, the left and right lower plates are coupled at the upper center line,
Wherein the lower plate comprises:
A root canal covering the upper plate and the maxilla; a zygoma buttress lid; And a piriform aperture cover,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이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을 중심으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can form an interval around a cut line of the maxilla,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상부구조물 및 상기 하부구조물에서 돌출된 부위가 고리형상으로 서로 이어져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교차하지 않도록 고리형상으로 돌출하여 상기 상부구조물과 상기 하부구조물을 연결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onnects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to each other in a ring-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projects in a ring shape so as not to intersect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connect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상기 제2부재는,
비강을 기준으로 좌우로 형성되는 좌측부와 우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부는 상기 제1부재 좌측 상부구조물과 맞추어지고 상기 우측부는 상기 제1부재 우측 상부구조물과 맞추어지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member
A left side portion and a right side portion which are formed laterally on the basis of the nasal cavity,
Wherein the left side portion is aligned with the first member left upper structure and the right side portion is aligned with the first member right upper structure,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상기 제 2 부재는 상악골의 절단선 하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나사 고정 위치가 상기 제1 부재 하부 구조물의 나사 고정 위치와 동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재의 하부구조물의 나사 개구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가진 나사 개구; 및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돌출된 형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부재의 상부구조물의 가이드홈에 끼워 맞추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구조물은,
상기 상악골의 절단선 하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미리 성형된 좌, 우 하부판;
상기 하부판 각각을 계획된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사 개구; 및
상기 좌, 우 하부판 각각을 상악골에 장착하면 상기 좌, 우 하부판이 상악 중심선 부위에서 결합되는 지그재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은,
상기 하부판 각각과 상악골의 적합(들어맞음)을 쉽게 하는 견치(어금니) 치근 덮개부, 광골 지지대(zygoma buttress) 덮개부; 및 이상구(piriform aperture) 덮개부를 포함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member is a preformed preform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t line of the maxilla;
A screw opening having the same arrangement as the screw opening arrangement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first member so that the screw fixing position of the fixing plate may be the same as the screw fixing position of the first member lower structure; And
And a guide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and adapted to fit into a guide groov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first member,
The substructure may comprise:
A left and right lower plate previous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t line of the maxilla;
One or more screw openings for fixing each of said bottom plates to a planned area; And
Wherein when the left and right lower plates are attached to the maxilla, the left and right lower plates are coupled at the upper center line,
Wherein the lower plate comprises:
A root canal, a zygoma buttress lid, and a canine to facilitate fit (fit) of each of the lower plates to the maxilla; And a piriform aperture cover,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후방부에서 광골 지지대쪽으로 돌출된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은 광골지지대와 접촉하여 상악골 수직위치를 안정화하거나, 잔존 골간섭을 측정하는,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member further comprises a column projecting toward the femoral support at a rea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The column is in contact with the optical golfer zone to stabilize the maxillary vertical position, to measure residual bone interference,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재료는,
금속, 합성수지, 레진, 또는 이들의 합성물인,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maxillary templat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terial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ay be,
Metal, synthetic resin, resin, or a composite thereof,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chin correction surg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40124342 | 2014-09-18 | ||
| KR1020140124342 | 2014-09-18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33564A KR20160033564A (en) | 2016-03-28 |
| KR101668919B1 true KR101668919B1 (en) | 2016-11-09 |
Family
ID=5700772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43461A Active KR101668919B1 (en) | 2014-09-18 | 2014-10-22 |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Orthognathic Surger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68919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89488A (en) | 2019-01-17 | 2020-07-2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Facial bone and Orthognathic surgery apparatus using robo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ITUA20162604A1 (en) * | 2016-04-14 | 2017-10-14 | Volux Srl | METHOD FOR REALIZING A SURGICAL SPLINT |
| US11154311B2 (en) | 2017-12-15 | 2021-10-26 |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 Customizable surgical bone-cutting jigsaw puzzle-type guide device and customizable surgical bone-cutting guide-traction-suction device |
| KR102002706B1 (en) * | 2017-12-15 | 2019-07-22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Customized bone cutting guide apparatus for medical care |
| WO2020060349A1 (en) * | 2018-09-21 | 2020-03-26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Patient-customized mentum surgical guide, three-dimensional bone excision guid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recording medium,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KR102189952B1 (en) * | 2018-09-21 | 2020-12-1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Patient Specific 3D Surgical Cutting Guide for Bo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US20220330992A1 (en) * | 2021-04-20 | 2022-10-20 | Travis Simpson | Maxillofacial Fixation Implants Having a Registration Member Relative to the Anterior Nares and Anterior Nasal Spine |
| KR20240086272A (en) * | 2022-12-09 | 2024-06-18 |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Orthognathic surgery device |
| CN116211396A (en) * | 2023-03-23 | 2023-06-06 | 宁夏医科大学总医院 | Guide plate for orthognathic maxilla Le Fort I-type osteotomy and positioning and preparation method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2128812A1 (en) * | 2011-03-23 | 2012-09-27 | Zimmer Dental, Inc. | Formable resorbable biomaterial interface for dental implant devices |
| KR101422993B1 (en) | 2013-01-11 | 2014-07-24 | 이채붕 | articulator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066733B2 (en) * | 2010-04-29 | 2015-06-30 | DePuy Synthes Products, Inc. | Orthognathic implant and methods of use |
| CN102858257B (en) | 2010-04-29 | 2015-10-14 | 斯恩蒂斯有限公司 | Orthognathous implant and using method |
-
2014
- 2014-10-22 KR KR1020140143461A patent/KR10166891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2128812A1 (en) * | 2011-03-23 | 2012-09-27 | Zimmer Dental, Inc. | Formable resorbable biomaterial interface for dental implant devices |
| KR101422993B1 (en) | 2013-01-11 | 2014-07-24 | 이채붕 | articulator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89488A (en) | 2019-01-17 | 2020-07-2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Facial bone and Orthognathic surgery apparatus using robo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33564A (en) | 2016-03-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68919B1 (en) |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Orthognathic Surgery | |
| US10034722B2 (en) | Edentulous surgical guide | |
| KR101485882B1 (en) | Method of creating an accurate bone and soft-tissue digital dental model | |
| KR100970341B1 (en) | Multi-purpose st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 JP6853895B2 (en) | Jaw correction system using 3D hybrid video construction program | |
| US8282635B1 (en) | Intra-oral devices for craniofacial surgery | |
| JP4512097B2 (en) | Thermoplastic surgical template and method for bone cutting for dental implants | |
| KR101501447B1 (en) | Maxillofacial Surgical Y-spl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JP2012517842A (en) | Customized assembly of at least two osteosynthesis plates customized in sequence | |
| KR101719576B1 (en) | Bimaxillary Orthognathic Y-spli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 KR101309488B1 (en) | Simulation Method, Recorder and Apparatus for Orthognathic Surgery | |
| US20230355367A1 (en) | Method for dynamically guiding a dental oral and maxillofacial prosthesis using a 3d dataset | |
| JP7450845B2 (en) | Surgical guide and implant with alignment member | |
| CN110623715A (en) | A digital guide plate for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20140024363A (en) | Method for producing trays for brackets | |
| CN211985743U (en) | Implant operation guide plate for retaining labial tooth root | |
| KR102180559B1 (en) | Customized Surgical Guide for Mandibular Chi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 KR102146278B1 (en) | Fully Customized 3D Distractor for Jaw or Skeletal Bo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Distractor Therefor | |
| KR101749592B1 (en) | Fixing Holder for Jaw Bone Distrac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 KR101363417B1 (en) | Jig of Fixing Bilateral Bone of Mandibula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Ciocca et al. | Technical aspects of prosthetically guided maxillofacial surgery of the mandible: A pilot test study | |
| CN216702600U (en) | Maxilla extends cuts bone baffle | |
| CN213217733U (en) | An orthognathic surgical splint for positioning of the ascending mandibular ramus | |
| CN211156169U (en) | Digital guide plate for stretching and osteogenesis of mandible | |
| KR102146292B1 (en) | Partially Customized 3D Distractor for Jaw or Skeletal Bo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Distractor Theref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