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9225B1 - Safety baby carriage - Google Patents

Safety baby carri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225B1
KR101669225B1 KR1020150033353A KR20150033353A KR101669225B1 KR 101669225 B1 KR101669225 B1 KR 101669225B1 KR 1020150033353 A KR1020150033353 A KR 1020150033353A KR 20150033353 A KR20150033353 A KR 20150033353A KR 101669225 B1 KR101669225 B1 KR 101669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wheel
braking force
main bod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9260A (en
Inventor
박종혁
조민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혁
조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혁, 조민호 filed Critical 박종혁
Priority to KR102015003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225B1/en
Publication of KR2016010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2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22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안전 유모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안전 유모차, 손잡이와 바퀴가 구비된 본체; 손잡이에 마련되는 센서; 및 본체에 마련되어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고, 제동부는 복수의 홀을 갖는 복수의 제어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마련되고, 복수의 제어플레이트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바퀴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baby carriage is started. The safety s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handle and a wheel; A sensor provided on the handle; And a braking unit provided on the main body for braking the wheel based on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wherein the braking unit is provid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trol plates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o each other, So that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wheels can be controlled.

Description

안전 유모차{SAFETY BABY CARRIAGE}SAFETY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안전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유모차를 제동함과 아울러 바퀴의 제동력을 가변할 수 있는 안전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baby carri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baby carriage capable of automatically braking a baby carriage and varying a braking force of a wheel when a user does not hold a handle of the baby carriage.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차의 일종으로서, 안전성 및 기능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종류의 유모차가 제안되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A baby carriage is a kind of car that pushes and drives an infant, and various types of baby carriages are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functionality.

안전성을 고려한 측면에서는 바퀴 또는 바퀴휠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부착한 유모차가 개시된 바 있으며, 기능성을 고려한 측면에서는 바퀴 또는 바퀴회전축에 전동장치를 연결하여 경사지 등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유모차가 개시된 바 있다.In view of safety, a stroller with a fixing device for fixing a wheel or a wheel is disclosed. In view of functionality, a stroller is disclosed in which a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connected to a wheel or a wheel rotation shaft to smoothly move a slant or the like have.

그러나 고정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고정장치를 수동으로 사용자가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부주의할 경우에 경사지 등에서의 사고를 피할 수 없게 된다.However, in the baby carriage having the fixing device, since the fixing device must be manually operated by the user, it is impossible to avoid an accident on a slope when the user is careless.

한편 전동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전동장치로 인해 경사지 등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으나, 이 역시 안전을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자가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전동장치와 고정장치는 별개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baby carriage having a power transmission device can receive a great deal of assistance from a slope due to a power transmission device, but it is also troublesome for a user to operate a separate fixing device for safety.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are configured to operate separately.

이에 유모차의 안전성(고정장치)과 기능성(전동장치)을 조합하여 일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9656호(2014.05.20) "전동식 유모차"에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configuration capable of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combination of the safety (fixing device) and the functionality (transmission device) of the stroller, and the prior art for improving thi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99656 Stroller "

전술한 선행기술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 발생 여부에 대응하여 브레이크의 제동 여부를 결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 discloses a technique for determining whether to brake the brake in response to whether or not a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a sensor.

하지만 유모차에 앉혀지는 유아의 신체 상태 즉 몸무게를 고려하지 않아 유아의 몸무게에 대응되게 제동력을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braking force can not be contro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weight of the infant because the body condition of the infant, which is placed in the stroller, is not considered.

즉 일반적으로 유모차에는 다양한 나이대의 유아가 착석되는 데 유아의 몸무게가 설정된 제동력을 초과하는 경우 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유아의 몸무게가 설정된 제동력에 훨씬 못 미치는 경우 제동력의 낭비가 발생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general, babies of various ages are seated in the stroller, and if the weight of the infant exceeds the set braking force, the braking may not be performed properly. In addition, if the weight of the infant is far below the set braking force, the braking force may be wasted.

특히 전술한 선행기술로는 특정 나이대에 대응되게 제동력을 제어할 수 없어 유모차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braking force can not be controlled to correspond to a specific age, and the stroller may not be used.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399656호(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05. 20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99656 (Hanbat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Foundation) 2014. 05. 2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유모차를 제동함과 아울러 바퀴의 제동력을 가변할 수 있는 안전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stroller which can automatically braking the stroller and varying the braking force of the wheel when the user does not hold the handle of the stroll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손잡이와 바퀴가 구비된 본체;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는 센서;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복수의 홀을 갖는 복수의 제어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플레이트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바퀴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유모차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ody having a handle and a wheel; A sensor provided on the handle; And a braking unit provided on the main body for braking the wheel based on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wherein the braking unit is provid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trol plates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o each other, So that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wheel can be controlled.

상기 제동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 모터; 상기 제동 모터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홀을 갖는 복수의 제어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바퀴로 가해지는 제동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제동력 제어부; 상기 제동력 제어부에 일측부가 연결되 상기 제동력 제어부와 같이 회동되는 제동 레버; 및 상기 본체의 바퀴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부가 상기 제동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braking unit includes: a braking motor provided in the body to provide a braking force for braking the wheel; A braking force control unit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 plates each having the plurality of holes to vary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wheels, 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king motor to provide braking force; A braking le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And a brake disk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housing of the main body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rake lever to brake the wheel.

상기 제동력 제어부는, 상기 제동 모터에 일측부가 연결되며, 복수의 홀이 구비된 제1 제어플레이트; 및 일측부는 상기 제1 제어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동 레버에 연결되는 제2 제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control plat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raking motor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second control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plate at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braking lever at the other side.

상기 센서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may comprise a touch sensor.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동 모터를 안착시키며 내벽에 복수의 완충 돌기가 구비된 안착 바디와, 상기 안착 바디를 상기 본체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가 구비된 제동모터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braking motor mounting part having a mounting body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mount the braking motor and having a plurality of buffer protrusions on an inner wall thereof and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mounting body to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바퀴를 제동하므로 부주의로 인해 경사지 등에서 유모차가 이동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baby stroller is moved due to inadvertent movement of the baby stroller due to the automatic braking of the wheel when the user does not hold the handle of the baby stroller.

또한 바퀴의 제동력을 제동력 제어부의 길이 변경으로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대의 유아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king force of the wheel can be freely changed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used for infants of various a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유모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에 제어부와 배터리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동 모터가 제동모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afety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 area in Fig.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unit and a battery provided in the main body shown in FIG. 1. FIG.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is embodiment.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braking motor shown in Fig. 1 is seated on the braking motor seat.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유모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에 제어부와 배터리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의 작동 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afety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rea "A" of FIG. 1, And a battery are provided, and Fig.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is embodimen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유모차(1)는, 손잡이(120)와 바퀴(140)가 구비된 본체(100)와, 손잡이(120)에 마련되는 센서(2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센서(2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바퀴(140)를 제동시키는 제동부(300)와, 본체(100)에 마련되는 제어부(4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제동 모터(310)와 제어부(400)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50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afety baby carria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 handle 120 and a wheel 140, a sensor 200 provided on the handle 120, A braking unit 30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and braking the wheel 140 based on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200, a control unit 40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And a battery 5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braking motor 310 and the control unit 400.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110)을 결합시켜 마련될 수 있고, 본체(100)의 상측부에는 센서(200)가 장착되며 절곡된 손잡이(120)가 마련된다.1, the body 100 may be provid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frames 110, and a sensor 20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0, and a bent handle 120 is provided do.

본 실시 예에서 본체(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 하우징(130)이 마련될 수 있고, 바퀴 하우징(130)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1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바퀴(140)는 바퀴 하우징(130)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축에 결합되어 지지축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wheel housing 130 as shown in FIG. 2, and a pair of wheels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wheel housing 130 .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wheels 140 may be coupled to a support shaft provided inside the wheel housing 130 and rotat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shaft.

센서(200)는,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손잡이(120)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잡이(120)가 감지되면 이 신호를 제어부(400)로 보낸다. 제어부(400)에서는 센서(2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제동부(300)를 작동시켜 바퀴(140)의 제동을 해제하여 유모차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The sensor 200 is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bent handle 120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of FIG. 1, and send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400 when the user's knob 120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400 activates the braking unit 300 based on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200 to release the braking of the wheel 140 to enable movement of the stroller.

본 실시 예에서 센서(200)는 사용자의 손이 터치되면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센서를 채택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200 includes a touch sensor that can be recognized when a user's hand is touched. In addition, various known sensors may be employed.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센서(200)는 손잡이(120)의 저면부에 실리콘이나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지지 로드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200 may be detachably bolted to a support rod that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andle 120 by silicone, bolt, or the like.

제동부(300)는, 제어부(400)에서 전달되는 신호로 바퀴(140)를 제동시켜 유모차가 의도하지 않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바퀴(140)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braking unit 300 brakes the wheel 140 wit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400 to prevent the stroller from moving unintentionally and to vary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wheel 140.

즉 본 실시 예에서 제동부(300)는 바퀴(140)를 단순히 제동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100)에 착석되는 유아의 연령대와 몸무게에 대응되게 바퀴(140)에 가해지는 제동력과 제동 응답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braking unit 300 does not merely brak the wheel 140 but varies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wheel 140 and the braking response time corresponding to the age and weight of the infant sitting on the main body 100 can do.

참고로 도 4의 (a)는 제동부(300)가 바퀴(140)를 제동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제동부(300)가 바퀴(140)를 제동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4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braking unit 300 does not brak the wheel 140, and FIG. 4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braking unit 300 brakes the wheel 140 Respectively.

본 실시 예에서 제동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에 마련되며 배터리(5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기초로 작동되는 제동 모터(310)와, 일측부가 제동 모터(310)에 연결되어 회동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동력 제어부(320)와, 제동력 제어부(320)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바퀴 하우징(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동 레버(330)와, 바퀴 하우징(130)의 지지축에 마련되며 제동 레버(330)의 접촉 마찰력에 의해 바퀴(140)를 제동시키는 제동 디스크(340)를 포함한다.4, the braking unit 300 includes a braking motor 310 provided on the frame 110 and operated on the basis of a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500, A brake lever 33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320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housing 130, a braking force control unit 320 connected to the wheel housing 310, And a braking disc 340 provided on a support shaft of the braking lever 130 and braking the wheel 140 by a contact friction force of the braking lever 330.

제동부(300)의 제동 모터(310)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다양한 모터를 채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동 모터(310)는 마그네틱 모터를 포함한다.The braking motor 310 of the braking unit 300 may employ various electrically operated motors. In this embodiment, the braking motor 310 includes a magnetic motor.

제동부(300)의 제동력 제어부(320)는, 제동 모터(310)의 회전력을 제동 레버(330)로 전달함과 아울러 결합 길이를 조절하여 바퀴(140)로 가해지는 제동력과 제동력의 응답 시간 즉 바퀴(140)를 제동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변하는 역할을 한다.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320 of the braking unit 300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raking motor 310 to the braking lever 330 and adjusts the coupling length so that the response time of the braking force and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wheel 140 And the time required for braking the wheel 140 can be varied.

본 실시 예에서 제동력 제어부(3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모터(310)에 일측부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복수의 홀(320a)을 갖는 제1 제어플레이트(321)와, 상측부는 제1 제어플레이트(321)에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되고 하측부는 제동 레버(330)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복수의 홀(320a)을 갖는 제2 제어플레이트(322)를 포함한다.2 and 4, 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320 includes a first control plate 321 having a plurality of holes 320a, one side of which is removably screwed to the braking motor 310, And a second control plate 322 having an upper portion screwed or bolted to the first control plate 321 and a lower portion detachably threaded to the braking lever 330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320a .

본 실시 예는 제1 제어플레이트(321)와 제2 제어플레이트(322)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바퀴(140)에 가해지는 제동력과 제동력의 응답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the response time of the braking force and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wheel 140 by varying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first control plate 321 and the second control plate 322. [

예를 들어 유아의 체중이 많이 나가 바퀴(140)에 많은 제동력을 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제어플레이트(321)와 제2 제어플레이의 결합 길이를 짧게 해서 결합하면 된다. 이 경우 바퀴(140)에 가해지는 제동력의 응답 시간도 감소되어 더 빠른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fant has a large weight and needs to apply a large braking force to the wheel 140, the combined length of the first control plate 321 and the second control play may be shortened. In this case, the response time of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wheel 140 is also reduced, so that faster braking can be achieved.

반대로 유아의 체중이 적게 나가는 경우 제1 제어플레이트(321)와 제2 제어플레이트(322)의 결합 길이를 증가시키면 된다. 이 경우 바퀴(140)에 가해지는 제동력의 응답 시간은 증가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child's weight is low, the combined length of the first control plate 321 and the second control plate 322 may be increased. In this case, the response time of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wheel 140 is increased.

제동부(300)의 제동 디스크(340)는, 도 4에 도시된 원형 형태 외에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 디스크(340)를 원형 형태가 아닌 바퀴(140)의 휠 사이로 삽입되게 로드 형태로 설계 변경하여, 로드 형태의 제동 디스크가 바퀴(140)의 휠과 접촉되어 바퀴(140)를 제동할 수도 있다.The braking disk 340 of the braking unit 300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addition to the circular shape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braking disc 340 is designed to be inserted into the wheel of the wheel 140 instead of being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brake disc in the form of a ro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heel of the wheel 140, You may.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동 모터가 제동모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braking motor shown in Fig. 1 is seated on the braking motor seat.

일반적으로 유모차의 프레임은 금속 재질 보다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대부분 제작되므로 제동 모터(310)를 프레임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Generally, since the frame of the baby carriage is mostly made of a hard plastic material rather than a metal material, it may not be easy to mount the braking motor 310 on the frame.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동 모터(310)를 본체(100)에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제동모터 안착부(600)를 구비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braking motor seat portion 600 so that the braking motor 310 can be convenient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제동모터 안착부(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모터(310)가 안착되는 공간이 마련된 안착 바디(610)와, 안착 바디(610)를 프레임(110)에 마련된 홀에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는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620)를 포함한다.5, the braking motor mounting portion 600 includes a mounting body 610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braking motor 310 is mounted, and a mounting body 610 mounted in the hole provided in the frame 110 And a fastening member 620, such as a bolt and a nut, which can be mounted.

본 실시 예에서 안착 바디(610)의 내벽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완충 돌기(611)가 마련되며, 이 완충 돌기(611)는 안착 바디(610)에 안착된 제동 모터(310)로 본체(100)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5, a plurality of buffer protrusions 611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ating body 610 in this embodiment, and the buffer protrusions 611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king motor 610 310 to prevent vibration or shock of the main body 100 from being applied.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바퀴를 제동하므로 부주의로 인해 경사지 등에서 유모차가 이동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ser does not hold the handle of the stroller, the brakes automatically brakes the wheel, so that the accident that the stroller is moved due to inadvertent movement of the stroller can be prevented.

또한 바퀴의 제동력을 제동력 제어부의 길이 변경으로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대의 유아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king force of the wheel can be freely changed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used for infants of various age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안전 유모차
100 : 본체 110 : 프레임
120 : 손잡이 130 : 바퀴 하우징
140 : 바퀴 200 : 센서
300 : 제동부 310 : 제동 모터
320 : 제동력 제어부 320a : 홀
321 : 제1 제어플레이트 322 : 제2 제어플레이트
330 : 제동 레버 340 : 제동 디스크
400 : 제어부 500 : 배터리
600 : 제동모터 안착부 610 : 안착 바디
611 : 완충 돌기 620 : 체결부재
1: Safety stroller
100: main body 110: frame
120: handle 130: housing of the wheel
140: Wheel 200: Sensor
300: Braking unit 310: Braking motor
320: braking force control part 320a: hole
321: first control plate 322: second control plate
330: Braking lever 340: Brake disk
400: control unit 500: battery
600: a braking motor mounting portion 610: a mounting body
611: buffering projection 620: fastening member

Claims (5)

손잡이와 바퀴가 구비된 본체;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는 센서;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복수의 홀을 갖는 복수의 제어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플레이트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바퀴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유모차.
A body having a handle and a wheel;
A sensor provided on the handle; And
And a braking unit provided on the main body for braking the wheel based on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Wherein the braking unit is provid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trol plates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o each other, and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wheels can be controlled by varying a joining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control plat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 모터;
상기 제동 모터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홀을 갖는 복수의 제어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바퀴로 가해지는 제동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제동력 제어부;
상기 제동력 제어부에 일측부가 연결되 상기 제동력 제어부와 같이 회동되는 제동 레버; 및
상기 본체의 바퀴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부가 상기 제동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 디스크를 포함하는 안전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ing unit includes:
A braking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provide a braking force for braking the wheel;
A braking force control unit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 plates each having the plurality of holes to vary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wheels, 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king motor to provide braking force;
A braking le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And
And a brake disk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housing of the main body and having one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braking lever to brak the whee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제어부는,
상기 제동 모터에 일측부가 연결되며, 복수의 홀이 구비된 제1 제어플레이트; 및
일측부는 상기 제1 제어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동 레버에 연결되는 제2 제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안전 유모차.
The method of claim 2,
The braking forc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control plat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raking motor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nd a second control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plate at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braking lever at the other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includes a touch sens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동 모터를 안착시키며 내벽에 복수의 완충 돌기가 구비된 안착 바디와, 상기 안착 바디를 상기 본체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가 구비된 제동모터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 유모차.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braking motor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seating body having the braking motor mounted thereon and having a plurality of buffer protrusions on an inner wall thereof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seating body to the main body.
KR1020150033353A 2015-03-10 2015-03-10 Safety baby carriage Expired - Fee Related KR1016692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53A KR101669225B1 (en) 2015-03-10 2015-03-10 Safety baby carri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53A KR101669225B1 (en) 2015-03-10 2015-03-10 Safety baby carri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60A KR20160109260A (en) 2016-09-21
KR101669225B1 true KR101669225B1 (en) 2016-10-28

Family

ID=5708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3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9225B1 (en) 2015-03-10 2015-03-10 Safety baby carri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22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04B1 (en) * 2018-11-15 2020-05-14 (주)동인기연 Baby carriage
KR102354897B1 (en) * 2020-09-22 2022-01-24 이재완 Smart stroller base on I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142A (en) * 2019-06-11 2019-08-23 淄博创立机电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ewage treatment trolle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4704A (en) 2008-09-12 2010-03-25 Aron Kasei Co Ltd Wheelbarrow brak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5367A (en) * 1996-11-18 1998-04-07 Brubaker; Wilmer R. Hand operated shopping cart brake
KR101399656B1 (en) 2013-01-25 2014-05-2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motive baby carri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4704A (en) 2008-09-12 2010-03-25 Aron Kasei Co Ltd Wheelbarrow brake mechanis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04B1 (en) * 2018-11-15 2020-05-14 (주)동인기연 Baby carriage
KR102354897B1 (en) * 2020-09-22 2022-01-24 이재완 Smart stroller base on I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60A (en)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8654B1 (en) A hand-detecting brake system for baby stroller
KR101408162B1 (en) electromotive baby carriage
JP6023390B2 (en) Car seat footrest
CN104661892A (en) Device for automatic rocking of the trolley
US10383780B2 (en) Bed
KR101669225B1 (en) Safety baby carriage
KR200474422Y1 (en) Baby stroller attached electric mov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speed without using hands
US20150353158A1 (en) Self-balancing vehicle frame
US7862118B2 (en) Infant seat rocker
AU2017361121A1 (en) Electrically motorised wheel, transmission and control module, kit, vehicle and system
KR20180082481A (en) Self balancing board with main wheel and distal auxiliary wheels
KR20210136185A (en) Handle assemblies and carts for carts with power assist function
KR101399656B1 (en) Electromotive baby carriage
US10988159B2 (en) Drive mechanism and automatic sw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316155B2 (en) Electric assist cart
KR102006142B1 (en) Wagon with electric motor and frame length adjustment
KR101841879B1 (en) Smart stroller
KR20110105450A (en) Safety apparatus for rickshaw and pram having the same
JP6055446B2 (en) Lock mechanism and wheelchair
KR20130006058U (en) Baby movable chair fastening device
KR20100125001A (en) Chair having movement prevetion function
KR102324477B1 (en) Electric wagon for guardian to ride
AU2013100166A4 (en) A hand-detecting brake system for baby stroller
KR20180074245A (en) Stroller transforming Car Sheat
US20060066066A1 (en) Child kick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10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