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549B1 - Anti-releasing bolt capable of disengagement - Google Patents
Anti-releasing bolt capable of disengag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9549B1 KR101669549B1 KR1020150108926A KR20150108926A KR101669549B1 KR 101669549 B1 KR101669549 B1 KR 101669549B1 KR 1020150108926 A KR1020150108926 A KR 1020150108926A KR 20150108926 A KR20150108926 A KR 20150108926A KR 101669549 B1 KR101669549 B1 KR 1016695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lt
- reverse
- bolt body
- coil spring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with a second part of the screw-thread which may be resiliently moun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의 특성을 이용하여 볼트의 체결을 견고토록 함과 아울러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면서도 체결 후 결합해제가 가능하여 결합대상물이나 구조물의 분리가 가능하며, 볼트를 재사용할 수 있는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와 나사산부를 갖는 다리부를 갖고 형성되는 볼트 바디; 상기 볼트 바디의 결합해제방향으로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풀림방지 부재; 및 상기 볼트 바디와 풀림방지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풀림방지 부재의 풀림 방지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결합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lt tightening device using a spring to prevent a bolt from being loosened and to release a bolt after unfastening 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lt-type release preventing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lt body having a head portion and a leg portion having a threaded portion; A release preventing member provided to prevent the bolt body from being loosened in the direction of unbinding; And an engaging releasing means provided on the bolt body and the releasing preventing member to release the releasing prevention of the releasing preventing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특성을 이용하여 볼트의 체결을 견고토록 함과 아울러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면서도 체결 후 결합해제가 가능하여 결합대상물이나 구조물의 분리가 가능하며, 볼트를 재사용할 수 있는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using a spring to secure the fastening of a bolt and prevent unfastening of a bol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capable of being disengaged and capable of re-using a bolt.
일반적으로 볼트는 별도의 너트와 더불어 두 개의 물체를 결합시키거나, 결합체 자체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너트공에 다른 결합체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구로서 사용된다.In general, a bolt is used as a fastener for joining two objects together with a separate nut, or for fastening another body through a nut made of a thread formed in the body itself.
상기한 두 경우에 공통으로 볼트의 체결이 장시간 진동을 받게 되면 체결 당시의 조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볼트의 체결부에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여 풀림이 진행된다.If the fastening of the bolt is subjected to the long-time vibration in the above two cases, the fastening state at the time of fastening can not be maintained, and the fastening part of the bolt slips and the fastening progresses.
특히 심한 진동을 받게 되는 기계구조물이나 철도레일, 하천의 교량 등과 같은 설치물을 고정하는 기초용 볼트는, 이러한 볼트의 풀림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은 물론이고, 체결상태 유지 및 관리에 막대한 비용을 낭비하고 있는 실정이다.Particularly, mechanical bolts subjected to severe vibration, foundation bolts for fixing fixtures such as railway rails and river bridges, as well as the risk of accidents caused by the loosening of these bolts, In fac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풀림이 방지되는 볼트가 제안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bolt has been proposed which is prevented from being loosen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lease preventing bol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17272호는 풀림방지 볼트를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봉과, 육각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머리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체결용 볼트로서, 나사봉(11)은 선단부에 스프링 고정홈(13)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나사봉의 스프링 고정홈(13)에 고정되기 위하여, 일단의 소정 길이를 절곡 고정부(21)로 형성하여, 상기 나사봉의 스프링 고정홈(13)에 고정하며, 나사봉(11)의 나사골에 삽설되는 코일스프링(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1-0017272 proposes a loosening prevention bolt. As shown in Fig. 1, a bolt is provided with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normal fastening The threaded bar 11 is formed by forming a
이러한 종래의 풀림방지 볼트는 볼트의 체결을 견고토록 함과 아울러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Such a conventional release prevention bolt makes the bolt firmly fastened and prevents the bolt from loosening.
그러나 종래 이러한 풀림방지 볼트는 풀림이 방지되는 효과는 있으나 한 번 결합하게 되면 결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오작업으로 인해 풀림방지 볼트로 결합한 결합 대상물을 결합한 경우에는 풀림방지 볼트를 풀 수 없어 결합 대상물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복잡한 결합해제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loosening prevention bol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loosening, but it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joined once it is combined.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joining the joining objects joined with the loosening prevention bolts due to the erroneous operation, the loosening prevention bolts can not be loosened, so that the joining object can not be used or a complicated unblocking operation is required.
또한, 종래의 풀림방지 볼트는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볼트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lease preventing bolts are difficult to maintain and repair the structure, and the bolts can not be reu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스프링의 특성을 이용하여 볼트의 체결을 견고토록 함과 아울러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면서도 체결 후 결합해제가 가능하여 결합대상물이나 구조물의 분리가 가능하며, 볼트를 재사용할 수 있는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lt tightening device, a bolt fastening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which can be disassembled and capable of re-using the bolt.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어 가공비 및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with a simple structure, thereby reducing machining costs and manufacturing cost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parts, and enabling the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bolt-type release preventing fastener.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와 나사산부를 갖는 다리부를 갖고 형성되는 볼트 바디; 상기 볼트 바디의 결합해제방향으로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풀림방지 부재; 및 상기 볼트 바디와 풀림방지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풀림방지 부재의 풀림 방지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결합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lt body including a head portion and a leg portion having a threaded portion. A release preventing member provided to prevent the bolt body from being loosened in the direction of unbinding; And an engaging releasing means provided on the bolt body and the releasing preventing member to release the releasing prevention of the releasing preventing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트 바디의 상기 헤드부는 렌치홈을 갖고 형성되고, 상기 풀림방지 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해제 수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 바디의 시계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코일 스프링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는 클러치 수단, 및 상기 볼트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 바디의 시계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상기 클러치 수단과의 연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연동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body is formed with a wrench groove, and the unlocking member is formed of a coil spring. The unlocking means is formed on the coil spring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 clutch means formed on the bolt body for interlocking with the clutch mean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bolt body, the clutch means being interlocked with the clockwise rotation so as to contract or expand the coil spring, And a selection mean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진방지 클러치 키와, 상기 클러치 키의 끝단에서 코일 스프링의 중심축 선상으로 연장되는 후진스위치 로드,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진 클러치 키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선택 수단은 상기 후진방지 클러치 키가 삽입 안착되도록 상기 다리부의 일단 면에 형성되는 후진방지클러치 키 안착홈과, 상기 헤드부에 가까운 측의 상기 나사산부에 소정 피치 간격에서 형성되는 후진클러치 키 제1 안착홈과 제2 안착홈, 및 상기 볼트 바디의 중심축 선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로드 가이드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utch means includes a reverse lock clutch key that extends inwardly from one end of the coil spring, a reverse switch rod extending on a center axis line of the coil spring at an end of the clutch key, Wherein the linkage selection means comprises a reverse lock clutch key seating groove formed on one end face of the leg portion so that the reverse lock key is inserted and seated, A reverse clutch key first seating groove and a second seat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pitch interval in the threaded portion, and a rod guide hole penetratingly formed on the center axis of the bolt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진스위치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후진스위치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comprise a reverse switch movement unit for moving the reverse switch ro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진스위치 이동 유닛은 상기 볼트 바디의 로드 가이드 구멍에 형성되는 나사산 형성부, 및 상기 나사산 형성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ward switch movement unit may include a thread forming portion formed in a rod guide hole of the bolt body, and a screw coupling member screwed to the thread forming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부재는 무두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engagement member may be formed of a tongue bol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트 바디는 상기 로드 가이드 구멍과 연통되는 렌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진스위치 로드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lt body is formed with a wrench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rod guide hole, and the reverse switch rod is formed longer than the coil spring.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 의하면, 스프링의 특성을 이용하여 볼트의 체결을 견고토록 함과 아울러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면서도 체결 후 결합해제가 가능하여 결합대상물이나 구조물의 분리가 가능하며, 볼트를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of the bolt can be made strong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ring, and the bolt can be unfastened, The structure can be separated and the bolt can be reused,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어 가공비 및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reby reducing the machining cost and the production cost,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parts, and maintaining and repairing the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hav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를 구성하는 풀림방지 부재와 결합해제 수단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를 구성하는 볼트 부재와 결합해제 수단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풀림방지 부재의 풀림방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결합해제하기 위하여 결합해제 수단의 후진방지 클러치 키를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볼트 바디가 결합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풀림방지 부재의 풀림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결합해제하기 위하여 결합해제 수단의 후진방지 클러치 키를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볼트 바디가 결합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lease preventing bol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bolt-type release preventing fastener that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and the engagement releasing means constituting the bolt-type release preventing fastener which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bolt member and the disengagement means constituting the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which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preventing loosening of a loosening preventing member in a bolt-type loosening preventing fastener that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verse prevention clutch key of the disengagement means is released in order to release the engagement in the bolt-type release preventing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lt body is disengaged in a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that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unlocking principle of the unlocking member in the bolt-type unlocking fastener which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that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verse prevention clutch key of the disengagement means is released in order to release the engagement in the bolt-type release preventing fastener that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lt body is disengaged in a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that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Fur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Further, terms such as " part, "" uni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ay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를 구성하는 풀림방지 부재와 결합해제 수단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를 구성하는 볼트 부재와 결합해제 수단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rst, a bolt-type release preventing fastene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osening preventing member constituting a bolt-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olt member and the disengaging means constituting the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capable of being diseng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다리부(110)와 다리부(110)의 일단에 헤드부(120)를 갖고 형성되는 볼트 바디(100); 상기 볼트 바디(100)의 다리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볼트 바디(100)의 결합해제방향으로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풀림방지 부재(200); 및 상기 볼트 바디(100)와 풀림방지 부재(200)에 구비되어 상기 풀림방지 부재(200)의 풀림 방지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결합해제 수단을 포함한다. 미설명부호 400은 너트이다.2 to 4, the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readed
상기 볼트 바디(100)는 통상의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헤드부(120)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헤드부의 면에 다각형의 렌치홈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볼트 바디(100)에서 헤드부(120)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헤드부의 면에 렌치홈이 형성되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볼트 바디는 원형 단면의 헤드부에 다각형의 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The
상기 풀림방지 부재(20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풀림방지 부재(200)의 외경은 너트의 내경과 대략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다.The
상기 결합해제 수단은 상기 풀림방지 부재(200)인 코일 스프링에 형성되어 볼트 바디(100)의 시계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코일 스프링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는 클러치 수단(310), 및 상기 볼트 바디(100)에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 수단(310)의 시계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으로의 연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연동선택 수단(320)을 포함한다.The disengagement means includes a clutch means 310 formed on the coil spring serving as the unlocking
상기 클러치 수단(310)은 도 3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풀림방지 부재(200)인 코일 스프링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진방지 클러치 키(311)와, 상기 클러치 키(311)의 끝단에서 코일 스프링의 중심축 선상으로 연장되는 후진스위치 로드(312),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진 클러치 키(313)를 포함한다.3, the clutch means 310 includes a reverse
여기에서, 상기 후진스위치 로드(312)는 코일 스프링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연동선택 수단(320)은 도 4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진방지 클러치 키(311)가 삽입 안착되도록 상기 볼트 바디(100)의 다리부(110)의 일단 면에 형성되는 후진방지클러치 키 안착홈(321)과, 상기 다리부(110)의 나사산부에 형성되어 볼트 바디(100)의 전진 시 후진 클러치 키(313)가 삽입 안착되는 후진클러치 키 제1 안착홈(322), 상기 다리부(110)의 나사산부에 형성되어 볼트 바디(100)의 후진 시 후진 클러치 키(313)가 삽입 안착되는 후진클러치 키 제2 안착홈(323), 및 상기 볼트 바디(100)의 중심축 선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로드 가이드 구멍(324)을 포함한다.4, the interlock selection means 320 includes a reverse lock clutch key seat (not shown) formed on one end face of the
상기 후진방지클러치 키 안착홈(3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110)의 일단 면에서 중심을 지나는 라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hat the reverse-facing clutch key-receiving
상기 후진클러치 키 제1 안착홈(322)과 후진클러치 키 제2 키 안착홈(323)은 다리부의 타단 측 나사산부(다시 말해서, 헤드부에 가까운 나사산부)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1피치의 간격을 갖고 형성되며, 다른 나사산부의 나사골보다 깊은 나사골을 갖고 형성된다.The reverse clutch ke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의 체결 및 체결해제 동작을 도 5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풀림방지 부재의 풀림방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결합해제하기 위하여 결합해제 수단의 후진방지 클러치 키를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볼트 바디가 결합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풀림방지 부재의 풀림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5 to 8, the operation of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which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preventing loosening of a loosening preventing member in a bolt-type loosening preventing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lt-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verse-direction clutch key of the disengagement means is released in order to disengage the engagement member.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bolt body is disengaged in a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that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 Fig. 7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unlocking the preventing memb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의 동작을 다음과 같다. 아래 설명에 있어 풀림방지 부재인 코일 스프링에서 헤드부 측을 전방부라고 하고, 그에 대향하는 단부를 후방부라고 칭한다.The operation of the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head portion side is referred to as the front portion and the opposite end portion thereof is referred to as the rear portion in the coil spring as the unlocking member.
풀림방지 부재(200)인 코일 스프링이 나사산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볼트 바디(100)를 너트(400)에 결합시킨 후, 볼트 바디(100)를 결합해제하고자 볼트 바디(1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후진방지 클러치 키(311)는 후진방지 클러치키 안착홈(321)에 삽입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후방부는 확장되어 나사산부와 마찰 증대와 간섭으로 볼트 바디(100)는 너트(400)로부터 결합해제되지 않는다. 이때 후진클러치 키(313)는 후진클러치 키 제1 안착홈(322)에 안착되어 있다.The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볼트 바디(100)를 결합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소정 도구를 이용하여 로드 가이드구멍(324)으로 집어넣어 후진스위치 로드(312)를 밀어내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후진스위치 로드(312)와 일체로 형성된 후진방지 클러치 키(311)도 함께 밀려나가 후진방지 클러치키 안착홈(321)에서 벗어나게 된다.When the
이러한 상태에서 볼트 바디(100)를 결합해제 방향(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게 되면, 후진방지 클러치 키(311)는 자유회전되어 회전하는 볼트 바디(100)에 구속되지 않는 한편, 후진클러치 키(313)는 후진클러치 키 제2 안착홈(323)에 삽입 안착되어 구속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바디(100)의 회전으로 풀림방지 부재인 코일 스프링의 전방부는 수축되어 나사산부와 마찰이 저감되고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볼트 바디(100)는 너트(400)로부터 결합해제 되게 된다.When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Next, a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that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that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 예의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며, 제1 실시 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Since the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and only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의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후진스위치 로드(312)를 이동시키기 위한 후진스위치 이동 유닛(500)을 더 포함한다.9, the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후진스위치 이동 유닛(500)은 볼트 바디(100)의 로드 가이드 구멍(324)에 형성되는 나사산 형성부(510)와, 상기 나사산 형성부(510)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 이동하는 나사결합부재(520)를 포함한다.The backward
여기에서, 상기 나사결합부재(520)는 무두 볼트(무두렌치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crew-engaging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의 작동을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결합해제하기 위하여 결합해제 수단의 후진방지 클러치 키를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서 볼트 바디가 결합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The operation of the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that can be disengag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verse prevention clutch key of the engagement release means is released to release engagement in a bolt-type release prevention fastener capable of being diseng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lt body is disengaged in a possible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아래 설명에 있어 풀림방지 부재인 코일 스프링에서 헤드부 측을 전방부라고 하고, 그에 대향하는 단부를 후방부라고 칭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head portion side is referred to as the front portion and the opposite end portion thereof is referred to as the rear portion in the coil spring as the unlocking member.
풀림방지 부재(200)인 코일 스프링이 나사산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볼트 바디(100)를 너트(400)에 결합시킨 후, 볼트 바디(100)를 결합해제하고자 볼트 바디(1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후진방지 클러치 키(311)는 후진방지 클러치키 안착홈(321)에 삽입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후방부는 확장되어 나사산부와 마찰 증대와 간섭으로 볼트 바디(100)는 너트(400)로부터 결합해제되지 않는다. 이때 후진클러치 키(313)는 후진클러치 키 제1 안착홈(322)에 안착되어 있다(도 2 참조).The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볼트 바디(100)를 결합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렌치 등을 이용하여 로드 가이드구멍(324)에 위치된 나사결합부재(520)인 무두 볼트를 회전시키면, 나사산 형성부(510)를 따라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로드 가이드구멍(324)에 위치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재(520)에 대향하게 위치된 후진스위치 로드(312)를 밀어내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후진스위치 로드(312)는 후방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후진스위치 로드(312)와 일체로 형성된 후진방지 클러치 키(311)도 함께 밀려나가 후진방지 클러치키 안착홈(321)에서 벗어나게 된다.In order to disengage the
이러한 상태에서 볼트 바디(100)를 결합해제 방향(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게 되면, 후진방지 클러치 키(311)는 자유회전되어 회전하는 볼트 바디(100)에 구속되지 않는 한편, 후진클러치 키(313)는 후진클러치 키 제2 안착홈(323)에 삽입 안착되어 구속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바디(100)의 회전으로 풀림방지 부재인 코일 스프링의 전방부는 수축되어 나사산부와 마찰이 저감되고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볼트 바디(100)는 너트(400)로부터 결합해제 되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는 후진스위치 이동 유닛(500)을 포함함으로써 후진스위치 로드(312)의 후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볼트 바디(100)를 용이하게 결합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revers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에 의하면, 스프링의 특성을 이용하여 볼트의 체결을 견고토록 함과 아울러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면서도 체결 후 결합해제가 가능하여 결합대상물이나 구조물의 분리가 가능하며, 볼트를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olt-type unfastening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of the bolt can be made strong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ring, and the bolt can be unfastened,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object or the structure, and the bolt can be reused, which is advantageous in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어 가공비 및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reby reducing the machining cost and the production cost,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parts, and maintaining the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have.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는, 크게 볼트 바디와 스프링코일, 단 두 가지 구성요소로 구성되고, 두 가지 구성요소는 다른 풀림방지 볼트 및 너트에 비해 간단하게 구성되므로, 가공비나 제작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인해 부품의 내구성도 증대하는 이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bolt-type loosening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components, namely, the bolt body and the spring coil, and the two components are simple compared with the other loosening prevention bolts and nut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of the parts is increased due to the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홀과 나사선만 존재하는 체결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는 기존 풀림방지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던 구조에서 손쉽게 풀림방지를 적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astening structure in which only a hole and a thread are present without using a nut, and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pply a loosening prevention in a structure to which the conventional loosening prevention technology is not applied.
또한, 본 발명은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고 언제든 재사용이 가능하여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매우 큰 강점이 있어 풀림방지 기술을 적용시킨 구조물의 문제 중 하나는 유지보수 비용의 부담을 억제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보수도 용이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tached and reused at any time, there is a great advantage in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and one of the problems of the structure with the anti-loosening technique is to suppress the maintenance cost,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repair and secur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볼트 바디
110: 다리부
120: 헤드부
200: 풀림방지 부재
310: 클러치 수단
311: 후진방지 클러치 키
312: 후진스위치 로드
313: 후진 클러치 키
320: 연동선택 수단
321: 후진방지클러치 키 안착홈
322: 후진클러치 키 제1 안착홈
323: 후진클러치 키 제2 안착홈
324: 로드 가이드 구멍
400: 너트
500: 후진스위치 이동 유닛
510: 나사산 형성부
520: 나사결합부재100: Bolt body
110:
120:
200: Release preventing member
310: clutch means
311: Reverse clutch key
312: Reverse switch load
313: reverse clutch key
320: Interlock selection means
321: Reverse retaining clutch key seating groove
322: reverse clutch key first seat groove
323: reverse clutch key second seat groove
324: rod guide hole
400: nut
500: Reverse switch movement unit
510: thread forming section
520:
Claims (7)
상기 풀림방지 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해제 수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 바디의 시계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코일 스프링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는 클러치 수단, 및 상기 볼트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 바디의 시계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상기 클러치 수단과의 연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연동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진방지 클러치 키와, 상기 클러치 키의 끝단에서 코일 스프링의 중심축 선상으로 연장되는 후진스위치 로드,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진 클러치 키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선택 수단은 상기 후진방지 클러치 키가 삽입 안착되도록 상기 다리부의 일단 면에 형성되는 후진방지클러치 키 안착홈과, 상기 헤드부에 가까운 상기 나사산부에 소정 피치 간격에서 형성되는 후진클러치 키 제1 안착홈과 제2 안착홈, 및 상기 볼트 바디의 중심축 선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로드 가이드 구멍을 포함하는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
A bolt body having a head portion having a wrench groove and a leg portion having a threaded portion; A release preventing member provided to prevent the bolt body from being loosened in the direction of unbinding; And a releasing means provided on the bolt body and the releasing preventing member to release the releasing prevention of the releasing preventing member,
Wherein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comprises a coil spring,
Wherein the coupling release means includes a clutch means formed on the coil spring for interlocking with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bolt body to shrink or expand the coil spring and a clutch means formed on the bolt body for rotating clockwise Or interlocking selection means configured to selectively interlock with the clutch means in counterclockwise rotation,
Wherein the clutch means comprises a reverse lock clutch key that extends inwardly from one end of the coil spring, a reverse switch rod extending on a central axis line of the coil spring at an end of the clutch key, and a reverse switch rod extending i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A reverse clutch key,
The interlock selection means includes a reverse lock key recessed groove formed on one end face of the leg portion so that the reverse lock key is inserted and seated, and a reverse clutch key first groove formed in the threaded portion near the head portion at a predetermined pitch, And a rod guide hole penetratingly formed on the center axis of the bolt body,
Bolt-type loosening fastener that can be disassembled.
상기 후진스위치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후진스위치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verse switch movement unit for moving the reverse switch rod
Bolt-type loosening fastener that can be disassembled.
상기 후진스위치 이동 유닛은
상기 볼트 바디의 로드 가이드 구멍에 형성되는 나사산 형성부, 및
상기 나사산 형성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
The method of claim 4,
The backward switch movement unit
A thread forming portion formed in the rod guide hole of the bolt body, and
And a screw-engaging member screwed into the thread-forming portion
Bolt-type loosening fastener that can be disassembled.
상기 나사결합부재는 무두 볼트로 이루어지는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crew-engaging member is a screw-
Bolt-type loosening fastener that can be disassembled.
상기 볼트 바디는 상기 로드 가이드 구멍과 연통되는 렌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진스위치 로드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olt body has a wrench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rod guide hole,
The backward switch rod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Bolt-type loosening fastener that can be disassembl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8926A KR101669549B1 (en) | 2015-07-31 | 2015-07-31 | Anti-releasing bolt capable of disengag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8926A KR101669549B1 (en) | 2015-07-31 | 2015-07-31 | Anti-releasing bolt capable of disengagemen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69549B1 true KR101669549B1 (en) | 2016-11-04 |
Family
ID=575301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089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9549B1 (en) | 2015-07-31 | 2015-07-31 | Anti-releasing bolt capable of disengage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69549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28696B1 (en) | 2018-03-15 | 2018-12-12 | 박홍욱 | Locking bolt |
| KR20210090366A (en) * | 2020-01-10 | 2021-07-20 | 주식회사 케이에스엘엔씨 | A bolt having an anti-loosening spring |
| KR102275388B1 (en) | 2020-11-10 | 2021-07-22 | 케이앤씨컨설턴트(주) | Connector for sensing of come loose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220218B1 (en) * | 1996-04-09 | 1999-09-01 | 정부강 | Anti-loose nut and bolt |
| KR20010017272A (en) | 1999-08-10 | 2001-03-05 | 김영덕 | Bolt with locking spring |
| KR100398934B1 (en) * | 2000-09-26 | 2003-09-29 | 김영덕 | Nuts having a spring for restraining loose |
| KR100701782B1 (en) | 2006-12-07 | 2007-03-29 | (주)성실기계 | Loosening Nut |
| JP2011149550A (en) * | 2010-01-21 | 2011-08-04 | Imjin St Co Ltd | Safer lock nut |
-
2015
- 2015-07-31 KR KR1020150108926A patent/KR1016695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220218B1 (en) * | 1996-04-09 | 1999-09-01 | 정부강 | Anti-loose nut and bolt |
| KR20010017272A (en) | 1999-08-10 | 2001-03-05 | 김영덕 | Bolt with locking spring |
| KR100398934B1 (en) * | 2000-09-26 | 2003-09-29 | 김영덕 | Nuts having a spring for restraining loose |
| KR100701782B1 (en) | 2006-12-07 | 2007-03-29 | (주)성실기계 | Loosening Nut |
| JP2011149550A (en) * | 2010-01-21 | 2011-08-04 | Imjin St Co Ltd | Safer lock nut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28696B1 (en) | 2018-03-15 | 2018-12-12 | 박홍욱 | Locking bolt |
| KR20210090366A (en) * | 2020-01-10 | 2021-07-20 | 주식회사 케이에스엘엔씨 | A bolt having an anti-loosening spring |
| KR102301404B1 (en) | 2020-01-10 | 2021-09-14 | 주식회사 케이에스엘엔씨 | A bolt having an anti-loosening spring |
| KR102275388B1 (en) | 2020-11-10 | 2021-07-22 | 케이앤씨컨설턴트(주) | Connector for sensing of come loos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568894B2 (en) | Fastener devices, such as lock-pins | |
| KR102004857B1 (en) | Loosening prevention nut | |
| KR102048634B1 (en) | Bolt-nut type coupling device having looseness prevention fucntion for earthquake-proof | |
| EP2079561B1 (en) | Fasteners and spacer rings therefor | |
| KR102243164B1 (en) | Fastening element and fastening assembly | |
| KR101669549B1 (en) | Anti-releasing bolt capable of disengagement | |
| KR20170066634A (en) | Quick fastener, method for connecting two components by means of the quick fasten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 |
| US20100290862A1 (en) | Detachable joint for large thickness pieces | |
| US20130156525A1 (en) | Blind fastener | |
| KR101505425B1 (en) | Locking nut | |
| JP5413995B2 (en) | bolt | |
| KR20150137910A (en) | Anti-loose bolt and nut | |
| KR101500263B1 (en) | Bolt and nut's tighten structure | |
| KR102020270B1 (en) | Double thread bolt and double combination nut | |
| JP5082070B2 (en) | Coupling device | |
| US20140314515A1 (en) | Threaded Component Locking Mechanism | |
| KR20170128875A (en) | Flexible anti-releasing bolt | |
| KR101213456B1 (en) | a bolt assembly | |
| CN108443288B (en) | Fastening piece | |
| KR20150039336A (en) | Locking nuts assembly | |
| KR20160003314A (en) | Anti-loosening cylindrical threaded part | |
| KR20180045523A (en) | The Combining Structure Of The Nut and Unlock Prevention Type Bolt | |
| KR20120063957A (en) | Hard lock volt and nut | |
| KR101241170B1 (en) | Brake disk | |
| US896756A (en) | Expansion bolt-anch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10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