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128B1 - Ink 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 Google Patents
Ink 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0128B1 KR101660128B1 KR1020140178753A KR20140178753A KR101660128B1 KR 101660128 B1 KR101660128 B1 KR 101660128B1 KR 1020140178753 A KR1020140178753 A KR 1020140178753A KR 20140178753 A KR20140178753 A KR 20140178753A KR 101660128 B1 KR101660128 B1 KR 101660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k
- ink cartridge
- cartridge
- pump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잉크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잉크카트리지 결합부; 상기 바디부의 타 측에 결합되고,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된 잉크카트리지에 잉크공급관을 통하여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통; 및 잉크흡입관에 의하여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된 잉크카트리지 내부와 연통되고, 잉크회수관에 의하여 상기 잉크통에 연통되며,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공기 및 잉크를 흡입하거나 상기 잉크통으로 잉크를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흡입관에는 상기 잉크카트리지에서 상기 펌프 쪽으로만 잉크가 흐르도록 하는 제1 체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잉크회수관에는 상기 펌프에서 상기 잉크통 쪽으로만 잉크를 흐르도록 하는 제2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ink filling apparatus for an ink cartridge. An ink filling apparatus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ody portion; An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An ink contain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supplying ink to the ink cartridge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through an ink supply pipe; And an ink supply por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ink cartridge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by an ink s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k reservoir by an ink return pipe, sucking air and ink in the ink cartridge in accordance with a pressure change therein, Wherein the ink suction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check valve for allowing ink to flow only from the ink cartridge to the pump side, and the ink is supplied to the ink return pipe from the pump only to the ink bottle side The second check valve may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 쓴 잉크카트리지 내부에 펌프에 의해 잉크통 내부의 잉크를 흡입하여 잉크카트리지를 충전할 수 있는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를 분사하거나 잉크를 뭉쳐서 분사하는 프린터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종류의 프린터이다.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되는 잉크 카트리지는 인쇄하는 동안 종이에 퍼뜨리는 잉크를 담고 있다. 이러한 잉크카트리지는 프린터 가격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므로 프린터 제조업체가 아닌 다른 제조업체의 호환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하거나, 잉크를 주입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식으로 비용을 절감하여 사용할 수 있다.Ink-jet printers are the most commonly used printers for jetting inks or collecting ink. The ink cartridges used in ink jet printers contain ink that is spread on paper during printing. Because these ink cartridges take up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rice of a printer, they can be used in a cost-effective manner by using a compatible ink cartridge from a manufacturer other than the printer manufacturer, or by using a separate device capable of injecting ink.
잉크카트리지를 충전하는 방식은 잉크를 다 쓴 카트리지에 보충용 잉크와 주사기를 이용하여 직접 잉크를 채워넣는 방식과,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통을 스프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잉크 사용량에 따라 잉크통에 수용된 잉크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In the method of charging the ink cartridge, a method in which ink is filled directly by using a supplementary ink and a syringe in a cartridge in which the ink is consumed, and a method in which the ink container for filling the ink is supported by a spring so that the level of the ink contained in the ink container And a method of keeping it constant are used.
잉크카트리지는 잉크가 전부 소모되면 매번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교체된 잉크카트리지는 재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므로 환경 공해와 자원의 낭비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Ink cartridges are troublesome to be replaced each time ink is completely consumed, and replaced ink cartridges are recognized as serious problems in ter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aste of resources because they are not recycled and discarded.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잉크카트리지를 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고, 외화절약뿐만 아니라 프린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보편적으로 많이 쓸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충전 또는 재생 잉크 시장이 커지는 추세이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use of the ink cartridges as described above can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market for filling or regenerating ink tends to increase due to the advantage that users who use the printer can use the printer widely as well as saving the currency.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다 쓴 잉크카트리지 내부에 잉크를 충전하여 잉크카트리지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k filling apparatus for an ink cartridge which can reuse an ink cartridge by filling ink inside a used ink cartridge so a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또한, 본 발명은 구조와, 잉크를 충전하는 방법이 간단하여 사용자가 쉽게 잉크카트리지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n ink filling device for an ink cartridg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method of filling ink, so that a user can easily charge the ink cartrid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잉크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잉크카트리지 결합부; 상기 바디부의 타 측에 결합되고,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된 잉크카트리지에 잉크공급관을 통하여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통; 및 잉크흡입관에 의하여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된 잉크카트리지 내부와 연통되고, 잉크회수관에 의하여 상기 잉크통에 연통되며,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공기 및 잉크를 흡입하거나 상기 잉크통으로 공기 및 잉크를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흡입관에는 상기 잉크카트리지에서 상기 펌프 쪽으로만 잉크가 흐르도록 하는 제1 체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잉크회수관에는 상기 펌프에서 상기 잉크통 쪽으로만 잉크를 흐르도록 하는 제2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An ink filling apparatus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n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An ink contain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supplying ink to the ink cartridge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through an ink supply pipe; And an ink supply por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ink cartridge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by an ink s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k reservoir by an ink return pipe, sucking air and ink in the ink cartridge in accordance with a pressure change therein, Wherein the ink suction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check valve for allowing ink to flow only from the ink cartridge to the pump side, and the ink return pipe is provided with only ink The second check valv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펌프는, 내부에 잉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펌프 바디부와, 상기 펌프 바디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mp may include a pump body portion having a space in which ink can be received, and a piston slidably inserted into the pump body portion.
또한, 상기 펌프 바디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body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펌프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고, 음압이 형성되면 상기 잉크흡입부를 통하여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공기 및 잉크가 흡입되어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에 음압을 형성시켜 상기 잉크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잉크통 내부의 잉크가 상기 잉크카트리지에 공급될 수 있다.When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pump and air is formed, air and ink in the ink cartridge are sucked through the ink suction unit to form a negative pressure in the ink cartridge, so that ink Can be supplied to the ink cartridge.
또한, 상기 잉크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잉크가 상기 잉크흡입관 및 상기 제1 체크밸브를 통하여 상기 펌프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ink discharged from the ink cartridge may be introduced into the pump through the ink suction pipe and the first check valve.
또한, 상기 펌프 내부에 잉크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 내부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펌프 내부의 잉크는 상기 잉크회수관 및 상기 제2 체크밸브를 통하여 상기 잉크통으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pump in a state where the ink flows into the pump, ink in the pump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k tank through the ink return pipe and the second check valve.
또한,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에서 유출 및 유입되는 잉크가 유동되는 펌프 잉크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 잉크관의 단부에는 Y형 분기관이 결합되며, 상기 Y형 분기관의 제1 분기관에는 상기 잉크흡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Y형 분기관의 제2 분기관에는 상기 펌프 잉크관이 연결되며, 상기 Y형 분기관의 제3 분기관에는 상기 잉크회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The pump ink tube further includes a pump ink tube connected to the pump and through which the ink flowing out from the pump flows. A Y-shaped branch tube is coupled to an end of the pump ink tube, The ink su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the pump ink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ipe of the Y type branch pipe, and the ink return pipe is connected to the third branch pipe of the Y type branch pipe.
또한, 상기 잉크통의 내부는 상기 잉크공급관과 연통되어 상기 잉크카트리지로 공급되는 잉크가 저장되는 제1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회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펌프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펌프 내부에 저장된 잉크가 회수되는 제2 잉크저장부로 구획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ink container includes a first ink reservoir communicating with the ink supply pipe to store ink supplied to the ink cartridge, and a second ink reservoir connected to the ink recovery pipe and stored in the pump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pump. And can be partitioned into a second ink storage portion where ink is recovered.
또한, 상기 제2 잉크저장부에 채워진 잉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잉크저장부의 잉크배출부를 상기 잉크공급관에서 분리하여 상기 잉크회수관에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잉크저장부의 잉크배출부를 상기 잉크회수관에서 분리하여 상기 잉크공급관에 연통되도록 상기 잉크통의 배치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잉크통에 결합할 수 있다.In order to reuse the ink filled in the second ink storage part, the ink discharge part of the first ink storage part is separated from the ink supply pi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k return pipe, Can be separated from the ink return pipe,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ink container can be changed so as to be communicated with the ink supply pipe to be coupled to the ink container.
또한, 상기 잉크흡입관의 일부분을 상기 바디부의 외부에 노출하여 충전완료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ink suction tub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to confirm whether charging is completed or not from outside.
또한,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잉크카트리지에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공기구멍을 색상별로 밀봉하는 상부밀봉부와,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의 하부에서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된 잉크카트리지와 결합되고,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잉크토출부를 색상별로 밀봉하는 하부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또한, 상기 상부밀봉부는,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잉크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잉크카트리지를 덮으면 상기 잉크카트리지에 색상별로 삽입되는 잉크주입바늘; 및 상기 덮개부의 안쪽 면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면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sealing portion may include a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ement portion and capable of selectively covering the ink cartridge; An ink injection needle provided in the lid part, the ink injection needle being inserted into the ink cartridge by color when the lid part covers the ink cartridge;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id unit to prevent air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k cartridge when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ink cartridge by the pump.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잉크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잉크카트리지 결합부; 상기 바디부의 타 측에 결합되고, 잉크통 잉크관을 통하여 잉크를 내부의 잉크를 출입하는 잉크통;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된 잉크카트리지와 연통하는 잉크흡입관; 상기 잉크흡입관에 의하여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된 잉크카트리지 내부와 연통되고,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공기 및 잉크를 흡입하는 펌프; 상기 잉크흡입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Y형 분기관; 일단이 상기 제1 Y형 분기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펌프 잉크관; 상기 잉크통 잉크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Y형 분기관; 일단이 상기 제1 Y형 분기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Y형 분기관에 결합되는 잉크유동관; 및 일단이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된 잉크카트리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2 Y형 분기관에 결합되며 상기 잉크통의 잉크를 상기 잉크카트리지에 공급하는 잉크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흡입관에는 상기 잉크카트리지에서 상기 제1 Y형 분기관 쪽으로만 잉크가 흐르도록 하는 제1 체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잉크유동관에는 상기 제1 Y형 분기관에서 상기 제2 Y형 분기관 쪽으로만 잉크를 흐르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k cartridge for an ink cartridge comprising: a body; An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An ink container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ink flows in and out of the ink through the ink container; An ink s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k cartridge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A pump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ink cartridge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by the ink suction pipe and sucking air and ink inside the ink cartridg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pressure inside; A first Y-shaped branch pipe coupled to an end of the ink suction pipe; A pump ink tub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Y type branch pip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ump; A second Y-shaped branch pipe coupled to an end of the ink tube; An ink flow tube in which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Y-type branch tub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Y-type branch tube; And an ink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k cartridge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and whos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Y type branch pipe and supplying the ink of the ink cartridge to the ink cartridge, Wherein the first check valve is provided in the ink cartridge so that ink flows only toward the first Y-shaped branch pipe, and the ink flow pipe is provided with the ink flow only in the first Y- .
또한,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잉크카트리지가 결합되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잉크공급관을 개방하고,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서 잉크카트리지가 분리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잉크공급관을 차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ink cartridge is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the ink cartridge is moved downward to open the ink supply tube. When the ink cartridge is detached from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the opening / .
또한, 상기 펌프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면 상기 잉크흡입부를 통하여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공기 및 잉크가 흡입되면서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상기 잉크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잉크통 내부의 잉크가 상기 잉크카트리지에 공급되며,In addition, when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pump, air and ink in the ink cartridge are sucked through the ink suction unit, so that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ink cartridge, so that ink inside the ink cartridge is supplied to the ink cartridge ≪ / RTI &
또한, 상기 잉크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잉크가 상기 잉크흡입관과, 상기 제1 체크밸브와, 제1 Y형 분기관과, 상기 펌프 잉크관을 통하여 상기 펌프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Further, the ink discharged from the ink cartridge may be introduced into the pump through the ink suction pipe, the first check valve, the first Y-type branch pipe, and the pump ink pipe.
또한, 상기 펌프 내부에 잉크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 내부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펌프 내부의 잉크는 상기 잉크유동관과, 상기 제2 체크밸브를 거쳐서 상기 제2 Y형 분기관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2 Y형 분기관에 유입된 잉크의 일부는 상기 잉크공급관을 통하여 잉크카트리지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잉크통 잉크관을 통하여 잉크통으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pump in a state where the ink is introduced into the pump, ink in the pump flows into the second Y-shaped branch via the ink flow tube and the second check valve, A part of the ink flowing into the 2 Y type branch pipes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k cartridge through the ink supply pipe and the rest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k bottle through the ink bottle ink tube.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카트리지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충전에 의해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 공해를 방지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ink cartridge is not replaced, it can be used many times by charging, thereby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ducing the cost.
또한, 모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펌프를 눌러주는 동작으로 잉크통의 잉크를 잉크카트리지 내부로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Further, even if the motor is not used, the ink in the ink container can be easily charged into the ink cartridge by the action of pressing the pump.
또한, 잉크충전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하기가 용이하고, 생산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ink filling apparatus is simple, so that it is easy to produce and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잉크통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와 바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를 일부 분해하여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k filling apparatus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 ink filling apparatus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nk container of an ink cartridge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an ink cartridge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k cartridge and the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an ink filling apparatus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k cartridge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angle.
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k cartridge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k cartridge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posed differently by adding, modifying and deleting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잉크통의 내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와 바디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k filling apparatus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 ink filling apparatus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nk container of an ink cartridge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n ink cartridge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k cartridge and the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k filling apparatus for 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는, 바디부(10)와,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와, 상부밀봉부(31, 32)와, 하부밀봉부(33, 34)와, 잉크공급관(40)과, 펌프(50)와, 잉크통(6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6, an ink cartridge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바디부(10)는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고, 바디부(1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11)가 결합될 수 있다. 개폐부(11)는 뚜껑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개폐부(11)의 내측면에는 잉크통(60)의 공기구멍(611, 621)에 결합되는 밀폐부재(612, 622)를 누를 수 있는 누름부재(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바디부(10)는 적어도 내부 일 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디부(10)의 일 측에는 잉크통(6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잉크통 결합부(63)가 구비될 수 있다. 잉크통 결합부(63)의 하부에는 잉크통(60)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631, 63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631, 632)는 잉크통(60)의 제1 잉크저장부(61)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631)와, 제2 잉크저장부(62)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63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631, 632)는 잉크통 결합부(63)의 하부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바디부(10)의 타 측에는 잉크카트리지(41, 4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잉크카트리지(41, 42)는 그 하부에 하부밀봉부(33, 34)가 결합된 상태로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에 삽입될 수 있다.An ink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는 검정 잉크카트리지(41)가 수용되는 검정카트리지 결합부(21)와, 삼색 잉크카트리지(42)를 수용하는 삼색카트리지 결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는 하부밀봉부(33, 34)가 결합된 잉크카트리지(41, 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잉크카트리지(41, 42)는 하나의 잉크흡수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검정 잉크카트리지(41)와, 세 부분으로 구획되어 각각 잉크흡수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삼색 잉크카트리지(42)로 구비될 수 있다.The ink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는 잉크카트리지(41, 42) 및 하부밀봉부(33, 3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잉크카트리지(41, 42) 및 하부밀봉부(33, 34)가 삽입되었을 때, 잉크카트리지(41, 42) 및 하부밀봉부(33, 34)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다시 말해,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는 내주면이 잉크카트리지(41, 4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k
잉크카트리지(41, 42)는 상부밀봉부(31, 32)를 통하여 잉크통(60)으로부터 잉크를 흡입하여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충전할 수 있고,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의 저면에는, 잉크카트리지(41, 42)를 충전한 후 배출되는 잉크가 흐르는 잉크 흡입관(23)이 관통하는 관통홀(213, 223)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13, 223)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의 하부에는 잉크카트리지(41, 42)의 잉크토출부(411, 421)와 색상 별로 결합되어 잉크토출부(411, 421)를 밀봉할 수 있는 하부밀봉부(33, 34)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부밀봉부(33, 34)는 잉크카트리지(41, 42)의 잉크토출부(411, 412)와 잉크가 누출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ink
하부밀봉부(33, 34)는 검정 잉크카트리지(41)의 하부를 밀봉시키는 검정 하부밀봉부(33)와, 삼색 잉크카트리지(42)의 하부를 밀봉시키는 삼색 하부밀봉부(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하부밀봉부(33, 34)에는 잉크카트리지 밀착부(330, 340)가 구비될 수 있다. 잉크카트리지 밀착부(330, 340)에는 잉크카트리지(41, 42)의 잉크토출부(411, 421)를 밀봉할 수 있는 잉크토출부 밀봉부재(330a, 340a)가 결합될 수 있다. 잉크토출부 밀봉부재(330a, 340a)에는 결합홈(331, 341)이 형성될 수 있다. 검정 잉크카트리지(41)의 경우에는, 결합홈(331)이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삼색잉크 카트리지(42)의 경우에는, 결합홈(341)이 세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잉크토출부 밀봉부재(330a, 340a)의 결합홈(331, 341)은 잉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잉크카트리지의 잉크토출부(411, 421)의 형상과 대응 형성되어 잉크카트리지의 잉크토출부(411, 421)를 색상별로 밀봉하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잉크토출부 밀봉부재(330a, 340a)의 결합홈(331, 341)에는 상기 결합홈(331, 341)과 연통되고 잉크관이 결합 가능한 형태의 흡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The
상기 흡입공은 색상별로 형성되며, 잉크흡입관(23)이 결합된다. 삼색 잉크토출부 밀봉부재(340a)의 흡입공은 3개가 형성되며, 검정 잉크토출부 밀봉부재(330a)의 흡입공은 1개가 형성된다.The suction holes are formed for each color, and the
상부밀봉부(31, 32)는 바디부(10)의 일측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잉크카트리지(41, 42)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밀봉부(31, 32)는 검정 잉크카트리지(41)에 삽입되는 검정색 잉크주입바늘(미도시)이 구비되는 검정 상부밀봉부(31)와, 검정색을 제외한 삼색잉크 주입바늘(322)이 구비되는 삼색 상부밀봉부(32)로 구성될 수 있다.The
상부밀봉부(31, 32)는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에 결합되어 잉크카트리지(41, 42)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덮개부(311, 321)와, 덮개부(311, 321)에 구비되어 잉크카트리지(41, 42)를 덮으면 잉크카트리지(41, 42)의 상부에 삽입되는 잉크주입바늘(322, 검정 상부밀봉부의 잉크주입바늘은 미도시)과, 덮개부(311, 321)의 안쪽 면에 구비되는 밀봉부재(323, 검정 상부밀봉부의 밀봉부재는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덮개부(311, 321)는 잉크카트리지(41, 42)의 상면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잉크카트리지(41, 42)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311, 321)는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의 상면에 힌지 등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잉크카트리지(41, 42)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다.The
덮개부(311, 321)의 전단에는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와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후크(316, 326)가 구비될 수 있고, 잉크카트리지 수용부(20)에는 후크(316, 326)가 삽입될 수 있는 후크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311, 321)의 상면에는 'ㄱ'자 형상의 피팅관(315, 325)이 구비될 수 있다. 피팅관(315, 325)은 덮개부(311, 321)의 상면에 삽입되어 검정 상부밀봉부(31)의 잉크주입바늘 및 삼색 상부밀봉부(32)의 잉크주입바늘(322)과 연통될 수 있다. 피팅관(315, 325)은 잉크공급관(40)과 연결될 수 있고, 잉크공급관(40)을 통하여 잉크통(60)의 잉크를 공급받을 수 있다. 바디부(10)의 저면에는 잉크공급관(40)이 연결되는 잉크공급관 결합부(26)가 구비될 수 있다. 잉크공급관 결합부(26)는 'ㄱ'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잉크 저장부(61)의 잉크를 배출하는 제1 잉크배출부(613)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631)와, 잉크공급관(40)을 연결할 수 있다.Shaped
잉크공급관(40)은 잉크카트리지(41, 42)로 잉크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잉크공급관(40)의 일 측은 잉크통(60)의 잉크카트리지(41, 42)에 공급될 잉크가 저장되는 제1 잉크저장부(61)와 연결되고, 타 측은 덮개부(311, 321)의 상면에 형성된 피팅관(315, 325)과 연결될 수 있다.The
잉크주입바늘(322)은 덮개부(311, 321)가 잉크카트리지(41, 42)의 상면을 덮으면 잉크카트리지(41, 42)의 상면에 형성된 스티커를 뚫고 잉크카트리지(41, 42)의 상면에 삽입될 수 있다.The
검정 상부밀봉부(31)의 밀봉부재(미도시) 및 삼색 상부밀봉부(32)의 밀봉부재(323)는 잉크카트리지(41, 42)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여 잉크주입바늘을 통하여 잉크가 잉크카트리지(41, 4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가 잉크카트리지(41, 4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ling
상부밀봉부(31, 32)를 회동하여 잉크카트리지(41, 42)를 덮었을 때, 상부밀봉부(31, 32)의 잉크주입바늘은 잉크카트리지(41, 42) 내부의 잉크흡수부재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고, 하부밀봉부(33, 34)의 하부에 연결된 잉크 흡입관(23)에 의하여 잉크카트리지(41, 42) 내부의 공기와 잉크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잉크흡수부재에 잉크충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When the
잉크카트리지(41, 42) 내부의 공기 및 잉크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잉크카트리지(41, 42)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인 에어밴트(410, 420)를 막아줘야 되는데, 에어밴트(410, 420)를 막아주기 위한 방법으로 상부밀봉부(31, 32)에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밀봉부재(323)를 결합 형성하여 잉크주입바늘(322)이 잉크카트리지(41, 42)를 덮으면 에어밴트(410, 420)를 막아주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suck air and ink inside the
펌프(50)는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와 잉크관(23)에 의해 연결되고, 잉크카트리지(41, 42)의 내부에 압력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펌프(50)는 주사기 형태의 펌프이거나, 탄성을 더하여 누르면 자동으로 상향하며 흡입하게 하는 탄성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잉크통(60)은 바디부(10)의 일 측에 결합되고, 펌프(50)에 누르는 압력이 가해지기 전의 잉크를 저장하는 제1 잉크저장부(61)와, 펌프(50)에 압력이 가해진 후의 잉크를 저장하는 제2 잉크저장부(62)를 구비할 수 있다.The
잉크통(60)은 상단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공기구멍(611, 621)이 형성될 수 있고, 공기구멍(611, 621)은 제1 잉크저장부(6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공기구멍(611)과, 제2 잉크저장부(62)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공기구멍(62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구멍(611, 621)에는 바디부(10)의 개폐부(11)를 닫을 때 잉크통(60)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밀폐부재(612, 622)가 결합될 수 있다.Air holes 611 and 621 can b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잉크통(60)은 잉크통(60)으로부터 잉크카트리지(41, 42)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배출부(613, 623)가 구비될 수 있다. 잉크배출부(613, 623)는 제1 잉크저장부(61)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어 잉크를 공급하는 제1 잉크배출부(613)와, 제2 잉크저장부(62)의 타측 내부에 형성되어 잉크를 공급하는 제2 잉크배출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잉크충전을 위한 잉크흡입방향은 잉크카트리지(41, 42)의 종류 및 잉크충전의 효율성에 따라서 잉크카트리지(41, 42)에 결합된 상부밀봉부(31, 32)에서 하부밀봉부(33, 34) 방향으로 흡입하여 충전할 수 있고, 반대방향인 하부밀봉부(33, 34) 에서 상부밀봉부(31, 32) 방향으로 흡입하여 충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잉크카트리지(41, 42)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밀봉부(33, 34)에 연결되는 잉크 흡입관(23)을 분리하여 잉크카트리지(41, 4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밀봉부(31, 32)에 구비된 피팅관(315, 325)에 연결하고, 상부밀봉부(31, 32)에 연결되는 잉크 공급관(40)을 분리하여 하부밀봉부(33, 34)에 연결하여 잉크를 하부밀봉부(33, 34)에서 상부밀봉부(31, 32) 방향으로 흡입하여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The ink sucking direction for ink filling is changed from the
또한, 제2 잉크저장부(62)로 흡입되는 잉크에 혼색이 없을 경우에는, 잉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1 잉크저장부(61)의 제1 잉크배출부(613)와 제2 잉크저장부(62)의 제2 잉크배출부(623)를 교체하여 삽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잉크저장부(61)의 잉크가 잉크카트리지(41, 42)를 충전하고, 제2 잉크저장부(62)에는 잉크카트리지(41, 42)를 충전하고 남은 잉크가 저장되므로, 제1 잉크저장부(61)에 저장된 잉크를 많이 사용하여 제1 잉크저장부(61)에 저장된 잉크를 다 사용하고 제2 잉크저장부(62)에 저장된 잉크만 남았을 경우, 잉크통 결합부(63)에 결합된 잉크통(60)을 분리하여 앞뒤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잉크통 결합부(63)에 다시 결합할 수 있다. When there is no color mixture in the ink sucked into the
이에 따라, 잉크카트리지(41, 42)에 잉크를 충전하는 제1 잉크저장부(61)의 잉크를 다 사용하더라도 잉크통(60) 자체를 새로운 잉크통으로 교체할 필요없이 전후 방향만 바꿔서 잉크통 결합부(63)에 다시 결합하면 제2 잉크저장부(62)에 수용된 잉크로 잉크카트리지(41, 42)를 다시 충전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Thus, even if the ink of the
한편, 펌프(50)는 내부에 잉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펌프 바디부(51)와, 펌프 바디부(5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52)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52)의 하단부에는 펌프 바디부(51)의 내주면과의 밀착을 위하여 고무재질의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피스톤(52)을 펌프 바디부(51) 외측으로 당기면(펌프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된 경우에는 피스톤을 누르면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피스톤이 밖으로 밀려나오면서 흡입함) 펌프 바디부(51)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고, 피스톤(52)을 펌프 바디부(51)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펌프 바디부(5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When the
펌프 바디부(51)에는 펌프 바디부(51)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가 펌프 바디부(51)에 구비되는 경우 피스톤(52)을 펌프 바디부(51) 안으로 밀어 넣으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피스톤이 밖으로 밀려나오면서 펌프의 흡입이 이루어진다.The
이와 다르게, 펌프 바디부(51)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사람의 힘으로 피스톤(52)을 펌프 바디부(51)의 외측으로 당긴 다음에 피스톤(52)을 펌프 바디부(51)의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잉크카트리지(41, 42)는 피스톤(52)을 펌프 바디부(51)의 외측으로(도 2에서 위쪽으로) 잡아당겨서 제1 잉크저장부(61)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를 흡입하여 내부를 충전할 수 있고, 펌프(50)의 내부로 흡입된 잉크는 피스톤(52)을 펌프 바디부(51) 내측으로 밀어서 펌프 바디부(51) 내부에 압력이 작용하면 제2 잉크저장부(62)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일단이 잉크카트리지(41, 42)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밀봉부(33, 34)에 결합되는 잉크 흡입관(23)에는 제1 체크밸브(81)가 구비될 수 있고, 잉크 흡입관(23)의 타단은 Y형 분기관(83)의 제1 분기관(83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체크밸브(81)는 잉크가 일 방향, 즉 하부밀봉부(33, 34)에서 Y형 분기관(83) 쪽으로 흐르는 방향으로만 흐르게 할 수 있다.A
바디부(10)의 저면에는 잉크회수관(40)이 연결되는 잉크회수관 결합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잉크회수관 결합부(27)는 'ㄱ'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잉크 저장부(62)의 잉크를 배출하는 제2 잉크배출부(623)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632)와, 잉크회수관(25)을 연결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Y형 분기관(83)의 제2 분기관(832)은 펌프 잉크관(24)에 의하여 펌프(5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단이 Y형 분기관(83)의 제3 분기관(833)에 연결되고, 타 단이 잉크회수관 연결부(27)에 연결되는 잉크 회수관(25)에는85 제2 체크밸브(82)가 구비되고, 제2 체크밸브(82)는 잉크가 일 방향, 즉 Y형 분기관(83)에서 잉크회수관 결합부(27) 쪽으로 흐르는 방향으로만 흐르게 할 수 있다.The
보다 상세히, 펌프(50)의 피스폰(52)을 펌프 바디부(51)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잉크 흡입관(23)과 펌프 잉크관(24)을 통하여 잉크카트리지(41, 42) 내부의 공기 및 잉크가 펌프 바디부(51) 내부로 유입되어 잉크카트리지(41, 42)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고, 따라서 펌프(50)에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 제1 잉크저장부(61)에 저장되어 있던 잉크가 잉크 공급관(40)을 통하여 잉크카트리지(41, 42)의 내부를 채운 후 펌프 바디부(5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잉크카트리지(41, 42)에서 펌프 바디부(51) 내부로 유입되는 잉크는 잉크 흡입관(23)과, Y형 분기관(83)의 제1 분기관(831)과, 제2 분기관(832)과, 펌프 잉크관(24)을 따라 흘러서 펌프 바디부(51)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 때 잉크가 흐르는 방향이 하부밀봉부(33, 34)에서 Y형 분기관(83) 쪽으로 흐르는 방향이므로 제1 체크밸브(81)는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The ink flowing into the
펌프 바디부(51) 내부로 잉크가 유입된 상태에서 펌프 바디부(51) 내부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피스톤(52)이 펌프 바디부(52) 내부를 누르거나, 펌프 바디부(51)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람의 힘으로 피스톤(52)을 펌프 바디부(51) 내부로 누를 수 있다.The
이와 같이, 펌프 바디부(51)의 내부에 잉크가 수용된 상태에서 피스톤(52)으로 펌프 바디부(51) 내부를 누르면 펌프 바디부(51) 내부의 잉크는 펌프 잉크관(24)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고, Y형 분기관(83)의 제2 분기관(832)와, 제3 분기관(833)과, 제2 체크밸브(82)가 구비된 잉크 회수관(25)을 따라 흘러서 잉크통(60)의 제2 잉크 저장부(6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잉크가 흐르는 방향이 Y형 분기관(82)에서 잉크회수관 결합부(27) 쪽으로 흐르는 방향이므로 제2 체크밸브(82)는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고, 이 경우 Y형 분기관(83)의 제1 분기관(831)에서 하부밀봉부(33, 34) 쪽으로 흐르는 방향의 경우 제1 체크밸브(81)가 차폐되므로 펌프 바디부(51)에서 펌프 잉크관(24)을 통해서 배출된 잉크가 하부밀봉부(33, 34)로 유입되지는 않는다.The ink inside the
한편, 잉크카트리지(41, 42)에서 잉크흡입관(23)을 통하여 배출된 잉크가 펌프(50)로 유입되기 전에 잉크가 보일 수 있도록 잉크흡입관(23)의 일부를 바디부(10) 외부에 노출시켜서 외부에서 육안으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도 1 참조). 잉크카트리지(41, 42)에서 잉크흡입관(23)을 통하여 잉크가 배출된다는 것은 잉크카트리지(41, 42)에 잉크의 충전이 어느 정도 완료된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는 외부에 노출된 잉크흡입관(23)의 부분에 잉크가 흐르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해서 잉크충전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잉크흡입관(23)에 잉크가 흐르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잉크흡입관(23)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를 일부 분해하여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단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k filling apparatus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k filling apparatus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an ink cartridge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overlapping configuration of the ink filling device for 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k filling device for 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2)는 바디부(10)에 잉크통(60)이 다수개 결합되고, 잉크통(6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잉크카트리지(41)가 바디부(10)의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과 같이 5개의 잉크통(60)이 바디부(10)에 구비되고, 각각의 잉크통(60)으로부터 잉크를 공급받는 5개의 잉크카트리지(40)가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잉크카트리지(40)는 서로 별개의 잉크통(60)과 대응될 수 있다.7 to 9, the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2)는 잉크카트리지(41)의 상부에 잉크흡입관(231)이 연결되고, 잉크카트리지(41)의 하부에 잉크공급관(401)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카트리지(40) 내부에 음압을 발생하기 위해 펌프(50)의 피스톤(52)을 잡아당기면 잉크카트리지(40)의 상부로 공기가 빠져나와서 잉크카트리지(40)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고, 잉크카트리지(40)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면 잉크통(60)으로부터 잉크를 끌어당겨 잉크카트리지(40)에 잉크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잉크카트리지(40)의 상부에서 펌프(50) 방향의 잉크흡입관(231)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제1 체크밸브(511)와 연결된 다음 Y형 분기관(513)의 제1 분기관과 연결되고, Y형 분기관(513)의 제2 분기관은 펌프 잉크관(241)에 의하여 펌프(50)에 연결되며, Y형 분기관(513)의 제3 분기관은 잉크유동관(232)에 의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제2 체크밸브(512)와 연결된 다음, 다른 Y형 분기관(521)의 제2 분기관에 연결될 수 있다.The
잉크통(60)에서 잉크카트리지(40)의 하부로 연결된 잉크공급관(401)을 절단하여 절단된 잉크관 중 잉크카트리지(40) 방향의 잉크관, 즉 잉크공급관(401)을 Y형 분기관(521)의 제1 분기관과 연결하고 절단된 잉크관 중 잉크통(60) 방향의 잉크통 잉크관(610)을 Y형 분기관(521)의 제3 분기관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Y형 분기관(521)의 제2 분기관에는 잉크유동관(232)이 연결될 수 있다.The
한편,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의 저면에는 잉크공급관(401)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85)가 구비될 수 있고, 개폐부재(85)는 잉크카트리지(40)가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에 결합되면 잉크카트리지(40)에 눌려서 아래로 이동하여 잉크공급관(401)을 개방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부재(85)의 하부에는 탄성부재(86)가 구비될 수 있고, 잉크카트리지(40)가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에서 분리되면 탄성부재(86)의 복원력에 의하여 개폐부재(85)가 상방으로 움직이고, 개폐부재(85)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잉크공급관(401)을 눌러서 잉크공급관(401)을 차폐시킬 수 있다.When the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에 잉크카트리지(40)가 장착된 경우에는, 펌프(50)가 흡입될 경우, 즉 피스톤(52)을 펌프 바디부(51) 외측으로 당기는 경우에는 잉크카트리지(40)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여 잉크통(60)의 잉크가 잉크통 잉크관(610)과, Y형 분기관(521)과, 잉크공급관(401)을 통하여 잉크카트리지(40)의 하부로 공급되고, 잉크카트리지(40)를 거쳐 잉크카트리지(40)의 상부로 배출되어 잉크흡입관(241)으로 흡입되어 펌프(5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When the
펌프(50)를 밀어 넣으면 펌프 바디부(51) 내부의 잉크는 펌프 바디부(51)에서 배출되어 Y형 분기관(513)의 제3 분기관 및 제2 체크밸브(512)를 지나, 또 다른 Y형 분기관(521)의 제2 분기관을 지나 Y형 분기관(521)의 제1 분기관과 제3 분기관 방향으로 흘러간다. 즉, 잉크카트리지(40) 방향과 잉크통(60) 방향 양쪽으로 흘러가서 일부는 잉크카트리지(40)에 충전되고 일부는 잉크통(60)에 수용될 수 있다.When the
한편, 잉크카트리지(40)의 충전을 마치고, 펌프(50)의 피스톤(52)이 펌프 바디부(51)의 외측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잉크카트리지(40)를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에서 분리한 다음에, 피스톤(52)을 펌프 바디부(51)를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펌프 바디부(51) 내부의 잉크는 펌프 바디부(51)에서 배출되어 Y형 분기관(513)의 상기 제3 분기관 및 제2 체크밸브(512)를 지나, 또 다른 Y형 분기관(521)의 제2 분기관을 지나 Y형 분기관(521)의 제1 분기관 방향, 즉 잉크공급관(401)은 개폐부재(85)에 의하여 차폐되어 잉크가 흘러가지 못하므로 상기 제3 분기관 방향의 잉크통 잉크관(610)으로만 흘러가 잉크통(60)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통(60)에 하나의 잉크저장부로 구성되어도 펌프(50)에 수용된 잉크를 다시 잉크통(60)으로 수용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한편, 잉크카트리지(4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에는 잉크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상태표시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충전상태표시부(9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충전상태표시부(90)의 아래에는 잉크흡입관(231)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cover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충전상태표시부(90)는 펌프(50)에 압력이 가해지면 잉크공급관(401)을 통하여 잉크카트리지(41, 42)에 공급된 잉크가 잉크흡입관(231)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harging
펌프(50)의 피스톤(52)을 잡아당기면, 처음에는 잉크흡입관(231)에 공기만 유동되어 잉크가 보이지 않다가, 잉크카트리지(40)에 어느 정도 잉크가 차고, 잉크카트리지(40)를 채우고 남은 잉크가 잉크흡입관(231)을 통하여 흐르는 것을 확인하면, 잉크 충전이 어느 정도 완료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다시 말해, 잉크카트리지(40)에서 잉크흡입관(231)을 통하여 잉크가 배출된다는 것은 잉크카트리지(40)에 잉크의 충전이 어느 정도 완료된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는 외부에 노출된 잉크흡입관(23)의 부분에 잉크가 흐르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해서 잉크충전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ejection of ink through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k filling apparatus for an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1)는, 잉크카트리지(41, 42)로의 잉크흡입방향이 양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First, in the
일례로, 잉크통(60)에서 배출된 잉크가 잉크카트리지(41, 42)의 상부에서 하부로 충전되는 경우에는, 잉크가 '제1 잉크저장부(61)-잉크공급관(40)-잉크카트리지(41, 42)-잉크흡입관(23)-펌프(50)-제2 잉크저장부(62)'의 순서로 흐를 수 있다. 사용자는 펌프(50)를 잡아 당기는 압력을 가해 잉크카트리지(41, 42)의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키면, 잉크통(60)의 제1 잉크저장부(61)에 저장되어 있던 잉크는 잉크카트리지(41, 42)의 상부에서 하부로 충전될 수 있다. 이 때, 펌프(50)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따라 펌프(50)가 작동하여 잉크가 충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펌프(5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k discharged from the
잉크카트리지(41, 42)를 충전하고 난 후의 잉크는 펌프(50)에 저장되어 있다가 펌프(50)의 피스톤(52)을 누르면 제2 잉크저장부(62)로 저장될 수 있다.The ink after filling the
반대로, 잉크통(60)의 잉크가 잉크카트리지(41, 42)의 하부에서 상부로 충전되는 경우에는, 잉크공급관(40)과 잉크흡입관(23)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결합할 수 있고, 펌프(50)의 작동에 따라 잉크카트리지(41, 42)의 내부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Conversely, when the ink of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2)는 잉크통(60) 내부에 잉크저장부가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는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의 하부에 결합부재(85)가 구비될 수 있다.The
결합부재(85)는 잉크통(60)에서 배출되는 잉크를 잉크카트리지(40)로 공급하는 잉크공급관(401)을 개폐 할 수 있다. 즉, 잉크카트리지(40)가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에 결합되면, 결합부재(85)가 하방으로 밀리고, 결합부재(85) 사이를 관통하는 잉크공급관(401)이 개방되고, 펌프(50)의 피스톤(52)을 당겨서 잉크카트리지(40)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면 잉크가 공급될 수 있다.The engaging
잉크카트리지(40)를 충전하고 펌프(50)로 유입되는 잉크는, 펌프(50)의 피스톤(52)이 탄성부재의 복원력 또는 사람의 힘으로 다시 펌프 바디부(51) 내부를 압축하면 제2 체크밸브(512)의 개방에 따라 잉크유동관(232)을 통하여 Y형 분기관(521)으로 흐르고, Y형 분기관(521)에서 잉크카트리지(40) 방향과, 잉크통(60) 방향으로 모두 흐를 수 있다. 즉, 일부는 잉크공급관(401)을 통하여 잉크카트리지(40)로 흡입되어 충전될 수 있고, 일부는 잉크통(60)으로 회수될 수 있다. 다만, 이 때, 잉크카트리지(40)가 잉크카트리지 결합부(20)에서 분리되어 잉크공급관(401)이 차단된 경우에는 펌프 바디부(51) 내부의 잉크는 피스톤(52)을 압축하면 잉크통 잉크관(610)을 통하여 모두 잉크통(60)으로 회수될 수 있다.When the
1: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 10: 바디부
11: 개폐부 12: 누름부재
20: 잉크카트리지 결합부 21: 검정카트리지 결합부
22: 삼색카트리지 결합부 23, 231: 잉크흡입관
31, 32: 상부밀봉부 33, 34: 하부밀봉부
40: 잉크공급관 41: 검정 잉크카트리지
42: 삼색 잉크카트리지 50: 펌프
51: 펌프 바디부 52: 피스톤
60: 잉크통 61: 제1 잉크저장부
62: 제2 잉크저장부 63: 잉크통 결합부
81, 511: 제1 체크밸브 82, 512: 제2 체크밸브
83, 513, 521: Y형 분기관 85: 개폐부재
86: 탄성부재 90: 충전상태표시부
213, 223: 관통홀 311, 321: 덮개부
322: 잉크주입바늘 323: 밀봉부재
315, 325: 피팅관 316, 326: 후크
330, 340: 잉크카트리지 밀착부 331, 341: 결합홈
410, 420: 에어밴트 411, 421: 잉크토출부
611, 621: 공기구멍 612, 622: 밀폐부재
613, 623: 잉크배출부 631, 632: 결합부재1: Ink charging device for ink cartridge 10:
11: opening / closing part 12:
20: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21: black cartridge engaging portion
22: tri-color
31, 32: upper sealing
40: ink supply tube 41: black ink cartridge
42: tri-color ink cartridge 50: pump
51: Pump body part 52: Piston
60: ink container 61: first ink storage part
62: second ink storage part 63:
81, 511:
83, 513, 521: Y-shaped branch pipe 85: opening / closing member
86: elastic member 90: charging state indicator
213, 223: through
322: ink injection needle 323: sealing member
315, 325:
330, 340: ink
410, 420:
611, 621:
613, 623:
Claims (16)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잉크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잉크카트리지 결합부;
상기 바디부의 타 측에 결합되고, 잉크통 잉크관을 통하여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된 잉크카트리지와 연통하는 잉크통; 및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된 잉크카트리지와 연통하는 잉크흡입관;
상기 잉크흡입관을 통하여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된 잉크카트리지 내부와 연통되고,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공기 및 잉크를 흡입하는 펌프;
상기 잉크흡입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Y형 분기관;
일단이 상기 제1 Y형 분기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펌프 잉크관;
상기 잉크통 잉크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Y형 분기관;
일단이 상기 제1 Y형 분기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Y형 분기관에 결합되는 잉크유동관; 및
일단이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결합된 잉크카트리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2 Y형 분기관에 결합되며 상기 잉크통의 잉크를 상기 잉크카트리지에 공급하는 잉크공급관;
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흡입관에는 상기 잉크카트리지에서 상기 제1 Y형 분기관 쪽으로만 잉크가 흐르도록 하는 제1 체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잉크유동관에는 상기 제1 Y형 분기관에서 상기 제2 Y형 분기관 쪽으로만 잉크를 흐르도록 하는 제2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Body part;
An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An ink contain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an ink cartridge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through an ink cartridge; And
An ink s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k cartridge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A pump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ink cartridge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through the ink suction pipe and sucking air and ink in the ink cartridg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pressure inside;
A first Y-shaped branch pipe coupled to an end of the ink suction pipe;
A pump ink tub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Y type branch pip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ump;
A second Y-shaped branch pipe coupled to an end of the ink tube;
An ink flow tube in which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Y-type branch tub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Y-type branch tube; And
An ink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k cartridge,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Y type branch pipe and supplies the ink of the ink cartridge to the ink cartridge;
Lt; / RTI >
Wherein the ink suction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check valve for allowing ink to flow only from the ink cartridge toward the first Y-shaped branch pipe, and the ink flow pipe is provided with the first Y- And the second check valve for allowing the ink to flow only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 잉크카트리지가 결합되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잉크공급관을 개방하고, 상기 잉크카트리지 결합부에서 잉크카트리지가 분리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잉크공급관을 차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blocking the ink supply pip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ink cartridge is detached from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by moving downward to open the ink supply pipe when the ink cartridge is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engaging portion And the ink cartridge.
상기 펌프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면 상기 잉크흡입관을 통하여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공기 및 잉크가 흡입되면서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상기 잉크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잉크통 내부의 잉크가 상기 잉크카트리지에 공급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잉크가 상기 잉크흡입관과, 상기 제1 체크밸브와, 제1 Y형 분기관과, 상기 펌프 잉크관을 통하여 상기 펌프 내부에 유입되는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When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pump, air and ink in the ink cartridge are sucked through the ink suction pipe and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ink cartridge, so that the ink inside the ink cartridge is supplied to the ink cartridge through the ink supply pipe ,
Wherein the ink discharged from the ink cartridge flows into the pump through the ink suction pipe, the first check valve, the first Y-type branch pipe, and the pump ink pipe.
상기 펌프 내부에 잉크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 내부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펌프 내부의 잉크는 상기 잉크유동관과, 상기 제2 체크밸브를 거쳐서 상기 제2 Y형 분기관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2 Y형 분기관에 유입된 잉크의 일부는 상기 잉크공급관을 통하여 잉크카트리지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잉크통 잉크관을 통하여 잉크통으로 유입되는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pump in a state where ink is introduced into the pump, ink in the pump flows into the second Y-shaped branch via the ink flow tube and the second check valve,
And a part of the ink flowing into the second Y-type branch pipe flows into the ink cartridge through the ink supply pipe, and the rest flows into the ink bottle through the ink bottle ink tube.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78753A KR101660128B1 (en) | 2014-12-11 | 2014-12-11 | Ink 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
| CN201580002131.6A CN106163815A (en) | 2014-12-11 | 2015-10-27 | Print cartridge is with filling device for ink |
| PCT/KR2015/011378 WO2016093490A1 (en) | 2014-12-11 | 2015-10-27 | Ink re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78753A KR101660128B1 (en) | 2014-12-11 | 2014-12-11 | Ink 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71253A KR20160071253A (en) | 2016-06-21 |
| KR101660128B1 true KR101660128B1 (en) | 2016-10-10 |
Family
ID=5610763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787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0128B1 (en) | 2014-12-11 | 2014-12-11 | Ink 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60128B1 (en) |
| CN (1) | CN106163815A (en) |
| WO (1) | WO201609349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045095B (en) * | 2017-12-27 | 2019-10-29 | 徐州景风电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quantitative automatic plus black print cartridge of push-press type |
| KR102079488B1 (en) * | 2018-03-07 | 2020-04-13 | 오병이어 주식회사 | Ink 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
| CN113733756B (en) * | 2021-09-30 | 2023-04-11 |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 Ink cartridge fill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filling method |
| CN118927809B (en) * | 2024-07-30 | 2025-09-16 |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 A jig and ink cartridge regeneration method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141694A (en) * | 1998-11-10 | 2000-05-23 | Seiko Instruments Inc | Ink cartridge and ink-collecting system |
| JP2009241608A (en) * | 2005-07-29 | 2009-10-22 | S T Sangyo Kk | Simplified filling method for ink cartridge and refilled ink cartridge |
| KR101343645B1 (en) * | 2013-01-25 | 2013-12-20 | 오병이어 주식회사 | Ink 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
Family Cites Families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191055A (en) * | 1992-12-25 | 1994-07-12 | Canon Inc | Ink refilling device for inkjet recording device |
| US5886718A (en) * | 1995-09-05 | 1999-03-23 | Hewlett-Packard Company | Ink-jet off axis ink delivery system |
| JP3287791B2 (en) * | 1997-07-30 | 2002-06-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Liquid filling method and liquid filling device for liquid container having liquid container |
| JP2004249741A (en) * | 1998-01-22 | 2004-09-0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Ink jet device |
| WO1999038176A1 (en) * | 1998-01-22 | 1999-07-2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Ink for electronic component, method for producing electronic component by using the ink for electronic component, and ink-jet device |
| JP2008087423A (en) * | 2006-10-04 | 2008-04-17 | General Technology Kk | Ink refilling method and ink refilling device |
| JP5311435B2 (en) * | 2007-01-31 | 2013-10-09 | エステー産業株式会社 | Ink replenishment kit and ink replenishment method |
| KR20090030405A (en) * | 2007-09-20 | 2009-03-25 | 최광성 | Ink Filling Device for Manual Pump |
| CN202319291U (en) * | 2011-08-01 | 2012-07-11 | 浙江工正科技发展有限公司 | Waste ink recovery system for ink-jet printer |
| KR101331443B1 (en) * | 2012-04-02 | 2013-11-26 | 주식회사 유비오토스 | Ink refill device |
-
2014
- 2014-12-11 KR KR1020140178753A patent/KR1016601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
- 2015-10-27 CN CN201580002131.6A patent/CN106163815A/en active Pending
- 2015-10-27 WO PCT/KR2015/011378 patent/WO201609349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141694A (en) * | 1998-11-10 | 2000-05-23 | Seiko Instruments Inc | Ink cartridge and ink-collecting system |
| JP2009241608A (en) * | 2005-07-29 | 2009-10-22 | S T Sangyo Kk | Simplified filling method for ink cartridge and refilled ink cartridge |
| KR101343645B1 (en) * | 2013-01-25 | 2013-12-20 | 오병이어 주식회사 | Ink 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71253A (en) | 2016-06-21 |
| CN106163815A (en) | 2016-11-23 |
| WO2016093490A1 (en) | 2016-06-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60128B1 (en) | Ink 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 |
| CN207481456U (en) | Ink Refill Container, Ink Refill System, and Adapter for Ink Refill | |
| KR101493035B1 (en) | Ink cartridge for ink-jet Printer rechargeable ink personally | |
| CN107487087A (en) | Ink Refill Container, Ink Refill System, and Adapter for Ink Refill | |
| TW201240738A (en) | Liquid fill container | |
| KR101343645B1 (en) | Ink 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 |
| WO2011075998A1 (en) | Ink filling device | |
| KR101331443B1 (en) | Ink refill device | |
| WO2006112208A1 (en) | Liquid container | |
| KR101442631B1 (en) | A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inuously ink in a printer | |
| CN201099042Y (en) | Ink box | |
| CN102785481B (en) | Ink box filling device and method employing same to fill ink into ink box | |
| KR102079488B1 (en) | Ink 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 |
| CN217078099U (en) | Detergent containing device, detergent putting structure and clothes treatment equipment | |
| JP2020163643A (en) | Liquid consuming device and filtration device | |
| KR101722667B1 (en) | Hair powder automatic injector | |
| KR20090030405A (en) | Ink Filling Device for Manual Pump | |
| KR101719071B1 (en) | Ink Charger | |
| KR20150093383A (en) | Ink refill device | |
| KR200329681Y1 (en) | A Divice for Refilling Ink | |
| KR101302829B1 (en) | Ink supply apparatus of printer | |
| KR200409334Y1 (en) | Portable ink charger | |
| CN218343095U (en) | Ink filling device | |
| KR200268763Y1 (en) | Ink-refilling unit for ink cartridge of a jet printer | |
| KR20050083509A (en) | Ink refill device of ink cartridge and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9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