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378B1 - Amphibious vehicle - Google Patents
Amphibious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0378B1 KR101660378B1 KR1020150067373A KR20150067373A KR101660378B1 KR 101660378 B1 KR101660378 B1 KR 101660378B1 KR 1020150067373 A KR1020150067373 A KR 1020150067373A KR 20150067373 A KR20150067373 A KR 20150067373A KR 101660378 B1 KR101660378 B1 KR 1016603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t
- space
- vehicle
- vehicle body
- buoyant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38—Flotation, updrift or stabilit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60F5/003—Off the road or amphibian vehicles adaptable for air or space transport
-
- B60W2300/3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육상이동모드와 수상이동모드의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수상이동모드의 경우에 보다 넓은 실내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수륙양용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본체공간을 형성하는 차량본체, 상기 차량본체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는 제1 부력체, 상기 차량본체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는 제2 부력체, 그리고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에 대하여 상기 차량본체를 상대이동시키기 위한 본체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력체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구획된 제1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구획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력체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구획된 제2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구획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에 대하여 상부방향으로 상대이동될 때 상기 본체공간은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과 합쳐져 물리적으로 하나의 공간으로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차량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hibious vehicle capable of changing a land moving mode and a water moving mode by a simple operation, and a wider indoor space can be secured in the case of the water moving mod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body comprising a vehicle body defining a body space therein, a first buoyant body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nd a body moving unit for relatively moving the vehicle body relative to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wherein the first buoyant body includes a first buoyant body and a second buoyant body, And a first compartment frame for forming a first space that is independently partitioned within the first case, wherein the second buoyant body includes a second case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second compartment frame for forming a partitioned second space, wherein when the vehicle body is relatively moved upward relative to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And the main body space merges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so as to be physically combined into one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륙양용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으로 육상이동모드와 수상이동모드의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수상이동모드의 경우에 보다 넓은 실내공간이 확보되는 수륙양용차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hibious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mphibious vehicle capable of changing a land moving mode and a water moving mode by a simple operation and a wider indoor space in the case of the water moving mode.
일반적으로, 수륙양용차량은 동일한 차량으로 수상과 육상을 이동할 수 있는 차량을 의미한다. 상기 수륙양용차량은 항만시설이 제공되지 않는 곳에서 큰 유용성을 가진다.In general, an amphibious vehicle means a vehicle capable of moving water and land on the same vehicle. The amphibious vehicle has great utility where a port facility is not provided.
상기 수륙양용차량은 차량본체와, 상기 차량본체가 육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육상이동 추진수단과, 상기 차량본체가 수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수상이동 추진수단을 포함한다.The amphibious vehicle includes a vehicle body, a land movement propulsion means for making the vehicle body movable on the land, and a water movement propulsion means for making the vehicle body movable in the water.
상기 육상이동 추진수단은 지면과 접촉되면서 굴러가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이동 추진수단은 물속에서 추진력을 얻기 위한 프로펠러를 포함한다.The land movement propulsion means includes a wheel roll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water movement propulsion means includes a propeller for obtaining propulsion force in water.
여기서, 상기 수륙양용차량이 육상에서 이동되는 육상이동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바퀴가 지면과 접촉되어야 하고, 수상이동모드인 경우에는 항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바퀴는 차량본체의 내부에 수납된다.Here, when the amphibious vehicle is in the land movement mode, the wheels must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case of the water moving mode, the wheels are housed inside the vehicle body to minimize the drag.
최근에는 상기 수륙양용차량이 상기 육상이동모드에서 상기 수상이동모드로 바뀌거나, 상기 수상이동모드에서 상기 육상이동모드로 바뀌는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차량구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research on a vehicle structure that can simplify the process of changing the amphibious vehicle from the land moving mode to the aquifer moving mode, or from the aquatic moving mode to the land moving mode has been advanced.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조작으로 육상이동모드와 수상이동모드의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수상이동모드의 경우에 보다 넓은 실내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수륙양용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mphibious vehicle in which a land moving mode and a water moving mode can be changed by a simple operation and a wider indoor space can be secured in the case of the water moving mod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본체공간을 형성하는 차량본체, 상기 차량본체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는 제1 부력체, 상기 차량본체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는 제2 부력체, 그리고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에 대하여 상기 차량본체를 상대이동시키기 위한 본체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력체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구획된 제1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구획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력체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구획된 제2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구획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에 대하여 상부방향으로 상대이동될 때 상기 본체공간은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과 합쳐져 물리적으로 하나의 공간으로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차량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body comprising a vehicle body forming a body space therein, a first buoyant body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relatively mov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 second buoyant body that is relatively mov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nd a body moving unit that relatively moves the vehicle body relative to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And a first compartment frame for forming a first space that is independently partitioned inside the first case, wherein the second buoyant body includes a second case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second compartment frame for forming a second space that is independently partitioned inside the case, wherein the vehicle body is supported by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in an upward direction When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ody space provides the amphibious vehicl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the combined physically merging into a single space.
상기 본체이동유닛은 상기 제1 부력체에 구비되는 제1 레일, 상기 제2 부력체에 구비되는 제2 레일, 상기 차량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레일과 대응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차량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레일과 대응되는 제2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구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body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rail provided on the first buoyant body, a second rail provided on the second buoyant body, a first slider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A second slid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il, and a slide actuator for driving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와 결합되는 상기 차량본체의 양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간격이 좁아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는 상기 차량본체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대이동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are formed to be inclined with a gap between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facing each other, And can b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while sliding in an oblique direction.
상기 차량본체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차량본체가 안착되는 분리형 트레일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형 트레일러는 트레일러 본체와,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하면에 구비되는 트레일러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ble trailer may include a trailer body and a trailer wheel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The trailer body may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상기 차량본체가 물 위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프로펠러를 갖는 수상이동 추진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가 상기 차량본체에 대하여 하강과 동시에 하강되면서 물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water movement propulsion unit having a propeller for allowing the vehicle body to move on the water, wherein the propeller is moved in water as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descend and descend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amphibi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첫째, 차량본체의 좌우측에 제1 부력체 및 제2 부력체가 각각 구비되어 수상이동모드시 상기 차량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본체공간과 상기 제1 부력체 내부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2 부력체 내부의 제2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합쳐짐으로써 상기 수륙양용차량의 내부공간이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First, a first buoyant body and a second buoyant body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respectively, and a body space formed inside the vehicle body in a water-moving mode, a first space inside the first buoyant body,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amphibian can be widened.
둘째, 상기 수륙양용차량이 육상이동모드에서 수상이동모드로 변형될때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에 대하여 상기 차량본체가 상부방향으로 상대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카타마린 형태의 선박이 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Second, when the amphibious vehicle is transformed from a land moving mode to a water moving mode, the vehicle body is relatively moved with respect to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so as to be a catamaran-type vessel simply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이 육상에서 이동되는 육상이동모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이 수상에서 이동되는 수상이동모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는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n onshore moving mode in which an amphibious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on the l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water moving mode in which an amphibious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 an aquarium
Figure 3 is a cross-
4 is a cross-
5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amphibi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amphibi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First, an embodiment of an amphibi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은 내부에 본체공간(S1)을 형성하는 차량본체(100), 상기 차량본체(100)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본체(100)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는 제1 부력체(200), 상기 차량본체(100)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본체(100)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는 제2 부력체(300), 그리고 상기 제1 부력체(200) 및 상기 제2 부력체(300)에 대하여 상기 차량본체(100)를 상대이동시키기 위한 본체이동유닛을 포함한다.The amphibious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또한, 상기 수륙양용차량은 상기 차량본체(100)가 육상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육상이동 추진유닛과, 상기 차량본체(100)가 수상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수상이동 추진유닛을 포함한다.The amphibious vehicle further includes a land movement propulsion unit for allowing the
상기 차량본체(100)는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본체(110)의 양측벽(113, 115)은 서로 마주보는 간격이 좁아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본체(110)의 외곽 단면형상은 삼각형 형상을 가지거나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하부본체(12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본체(120)의 측벽은 제거된 채로 상기 하부본체의 바닥면과 천정면은 전면벽과 후면벽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물론, 상기 하부본체(120)에는 상기 바닥면과 천정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둥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space S1 is formed in the lower
상기 차량본체(100)의 전방부분에는 상기 수륙양용차량의 운전을 위한 운전유닛(6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량본체(100)의 후방부분에는 상기 수상이동 추진유닛의 프로펠러(4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량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육상이동 추진유닛의 바퀴(710)가 구비되어 있다.A
한편, 상기 제1 부력체(2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210)와, 상기 제1 케이스(210)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구획된 제1 공간(S2)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구획프레임(220)을 포함한다.The first
상기 제2 부력체(3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310)와, 상기 제2 케이스(310)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구획된 제2 공간(S3)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구획프레임(320)을 포함한다.The second
여기서, 상기 수륙양용차량이 육상에서 이동되는 육상이동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부력체(200), 상기 제2 부력체(300) 및 상기 차량본체(100)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공간(S2) 및 상기 제2 공간(S3)은 상기 본체공간(S1)과 분리되며, 상기 본체공간(S1)의 양측 상부에 개별적으로 존재하게 된다.Here, when the amphibian is moving in the land mode, the first
반면, 상기 수륙양용차량이 수상에서 이동되는 수상이동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부력체(200) 및 상기 제2 부력체(300)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대이동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차량본체(100)는 상기 제1 부력체(200) 및 상기 제2 부력체(300)에 대하여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phibian is moving in the aquamarine mode, the first
이때, 상기 본체공간(S1)은 상기 제1 공간(S2) 및 상기 제2 공간(S3)과 합쳐져 물리적으로 하나의 공간으로 합쳐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륙양용차량이 수상이동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평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수륙양용차량의 내부공간이 보다 확대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space S1 is merged with the first space S2 and the second space S3, and physically merged into one space. As a result, when the amphibious vehicle is operated in the water-moving mode, the internal space of the amphibian which can be used on the same plane is enlarged.
한편, 상기 본체이동유닛은 상기 제1 부력체(200)에 구비되는 제1 레일(미도시), 상기 제2 부력체(300)에 구비되는 제2 레일(미도시), 상기 차량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레일과 대응되는 제1 슬라이더(미도시), 상기 차량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레일과 대응되는 제2 슬라이더(540), 그리고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5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구동체(미도시)를 포함한다.The body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rail (not shown) provided on the first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540)가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상부로 이동됨으로 인하여 상기 차량본체(100)가 상기 제1 부력체(200) 및 상기 제2 부력체(300)에 대하여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된다.As a result, since the first slider and the
물론,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이 상기 차량본체(100)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540)가 상기 제1 부력체(200) 및 상기 제2 부력체(300)에 설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re provided in the
여기서,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은 랙 기어 형태이고,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540)는 피니언 기어의 형태이고, 상기 슬라이드 구동체는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re in the form of a rack gear, the first slider and the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본체이동유닛은 유압에 의하여 상기 차량본체(10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이동유닛은 상기 제1 부력체(200)에 고정되는 제1 고정실린더, 상기 제2 부력체에 고정되는 제2 고정실린더, 상기 차량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실린더와 대응되는 제1 이동실린더, 상기 차량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실린더와 대응되는 제2 이동실린더, 그리고, 상기 제1 이동실린더 및 상기 제2 이동실린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구동체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main body moving unit may move the
또한, 상기 본체이동유닛은 와이어를 매기로 하여 상기 차량본체(10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본체(100)와, 상기 제1 부력체(200) 및 상기 제2 부력체(300)가 서로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되감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차량본체(100)가 상기 제1 부력체(200) 및 상기 제2 부력체(300)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oving unit may move the
한편, 상기 육상이동 추진유닛은 상기 차량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바퀴(710)와, 상기 바퀴(7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엔진(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바퀴(710)는 상기 수륙양용차량이 수상이동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차량본체(10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The land movement propulsion unit includes a
또한, 상기 수상이동 추진유닛은 상기 차량본체(100)의 후면벽에 구비되는 프로펠러(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력체(200) 및 상기 제2 부력체(300)가상기 차량본체(100)에 대하여 하강하면서 일부가 수면 아래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프로펠러(420)는 하강되면서 물속으로 이동된다. In addition, the water movement propulsion unit includes a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펠러(420)는 이동블럭(410)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본체(100)에 대하여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프로펠러(420)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육상이동 추진유닛의 엔진이 사용된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차량본체(100)에는 상기 엔진의 동력을 상기 바퀴(710) 또는 상기 프로펠러(42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The
상기 수륙양용차량이 육상이동을 하다가 수상이동을 하는 경우에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바퀴(710)와 연결되어 있다가 상기 프로펠러(420)와 연결된다. When the amphibious vehicle moves on land while moving on the water,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수상이동모드를 위한 수상이동용 엔진과 육상이동모드를 위한 육상이동용 엔진이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엔진에 의하여 상기 바퀴(710) 및 상기 프로펠러(420)가 구동될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water- (420) may be driven.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5, another embodiment of the amphibi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은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에서는 차량본체에 바퀴가 구비되지 않고 별도의 트레일러에 구비된다.The amphibious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amphibian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However, in the amphibious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body is not provided with a wheel but is provided in a separate trailer.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은 상기 차량본체(100)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차량본체(100)가 안착되는 분리형 트레일러(800)를 더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amphibious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상기 분리형 트레일러(800)는 트레일러 본체(810)와, 상기 트레일러 본체(8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트레일러 바퀴(820)를 포함한다.The
결과적으로, 육상이동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상기 분리형 트레일러(800)에 얹혀진 상태로 이동되며, 수상이동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분리형 트레일러(800)는 완전히 분리되며, 상기 차량본체(100)만이 수상에서 이동된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land moving mode, the
물론, 이 때에도 상기 차량본체(100)는 상기 제1 부력체(200) 및 상기 제2 부력체(300)에 대하여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됨으로 인하여 상기 차량본체의 본체공간(S1)은 상기 제1 부력체(200)의 제1 공간(S2) 및 상기 제2 부력체의 제2 공간(S3)과 합쳐져 물리적으로 하나의 공간으로 합쳐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륙양용차량이 수상이동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륙양용차량의 내부공간이 보다 확대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의 경우에는 이동용 수상가옥 및 육상가옥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동용 수상가옥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물 위에서 배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고, 이동용 육상가옥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분리형 트레일러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분리형 트레일러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차량본체는 육상가옥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n amphibious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used as a moving water house or a land house. For example, when used as a portable waterfront house, it is used in the form of a ship on water. If it is used as a portable landown house, it is separated from the separable trailer while being moved by a separate type trailer.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차량본체 110: 상부본체
120: 하부본체 200: 제1 부력체
210: 제1 케이스 220: 제1 구획프레임
300: 제2 부력체 310: 제2 케이스
320: 제2 구획프레임 410: 이동블럭
420: 프로펠러 540: 제2 슬라이더
600: 운전유닛 710: 바퀴
800: 분리형 트레일러 810: 트레일러 본체
820: 트레일러 바퀴 S1: 본체공간
S2: 제1 공간 S3: 제2 공간100: vehicle body 110: upper body
120: lower body 200: first buoyant body
210: first case 220: first compartment frame
300: second bumper body 310: second case
320: second compartment frame 410: moving block
420: Propeller 540: Second slider
600: driving unit 710: wheel
800: detachable trailer 810: trailer body
820: Trailer wheel S1: Body space
S2: first space S3: second space
Claims (5)
상기 차량본체의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는 제1 부력체;
상기 차량본체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는 제2 부력체; 그리고,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에 대하여 상기 차량본체를 상대이동시키기 위한 본체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력체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구획된 제1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구획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력체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구획된 제2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구획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본체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에 포함되는 바닥면과 천정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둥이 상기 하부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와 결합되는 상기 차량본체의 양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간격이 좁아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는 상기 차량본체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대이동되며,
육상에서 이동되는 육상이동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제1 부력체, 상기 제2 부력체 및 상기 차량본체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고,
수상에서 이동되는 수상이동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에 대하여 상부방향으로 상대이동됨으로써 상기 본체공간은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과 합쳐져 물리적으로 하나의 공간으로 합쳐지고, 동일한 평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보다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차량.A vehicle body forming a body space therein;
A first buoyant body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relatively mov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 second buoyant body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relatively mov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nd,
And a body moving unit for moving the vehicle body relative to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Wherein the first buoyant body includes a first case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first compartment frame for forming a first space independently partitioned inside the first case,
Wherein the second buoyant body includes a second case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second compartment frame for forming a second space which is independently partitioned inside the second case,
Wherein the vehicle body includes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A supporting column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wall included in the lower main body is provided in the lower main body,
Wherein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are formed to be inclined with a gap between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facing each other, Sliding relative to the oblique direction,
In the land moving mode i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on land, the first buoyant body, the second buoyant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In the case of the water movement mode in which the water is moved in the water phase, the vehicle body is relatively moved upward relative to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so that the body space merges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The amphibious vehicle is merged into one space, and the internal space usable on the same plane is further enlarged.
상기 본체이동유닛은 상기 제1 부력체에 구비되는 제1 레일, 상기 제2 부력체에 구비되는 제2 레일, 상기 차량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레일과 대응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차량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레일과 대응되는 제2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구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차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rail provided on the first buoyant body, a second rail provided on the second buoyant body, a first slider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A second slid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il, and a slide actuator for driving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상기 차량본체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차량본체가 안착되는 분리형 트레일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형 트레일러는 트레일러 본체와,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하면에 구비되는 트레일러 바퀴를 포함하는 수륙양용차량.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Wherein the detachable trailer includes a trailer body and a trailer wheel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railer body, wherein the detachable trailer is provided independently from the vehicle body and on which the vehicle body is seated.
상기 차량본체가 물 위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프로펠러를 갖는 수상이동 추진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제1 부력체 및 상기 제2 부력체가 상기 차량본체에 대하여 하강과 동시에 하강되면서 물속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차량.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Further comprising a water movement propulsion unit having a propeller for allowing the vehicle body to move on the water, wherein the propeller is moved into the water while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descend and descend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amphibian is an amphibia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67373A KR101660378B1 (en) | 2015-05-14 | 2015-05-14 | Amphibious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67373A KR101660378B1 (en) | 2015-05-14 | 2015-05-14 | Amphibious vehic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60378B1 true KR101660378B1 (en) | 2016-09-27 |
Family
ID=5710107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67373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0378B1 (en) | 2015-05-14 | 2015-05-14 | Amphibious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60378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696572A (en) * | 2019-11-05 | 2020-01-17 | 西车科技(北京)有限公司 | High-speed amphibious vehicle |
| CN110696573A (en) * | 2019-11-12 | 2020-01-17 | 西车科技(北京)有限公司 | Dual-drive high-speed amphibious vehicl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869194A (en) * | 1987-06-04 | 1989-09-26 | Cummins Ian G | Amphibious accommodation units |
| KR20110025210A (en) | 2008-06-10 | 2011-03-09 | 브뤼지두, 앙뚜완느 | Amphibious vehicle |
-
2015
- 2015-05-14 KR KR1020150067373A patent/KR10166037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869194A (en) * | 1987-06-04 | 1989-09-26 | Cummins Ian G | Amphibious accommodation units |
| KR20110025210A (en) | 2008-06-10 | 2011-03-09 | 브뤼지두, 앙뚜완느 | Amphibious vehicl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696572A (en) * | 2019-11-05 | 2020-01-17 | 西车科技(北京)有限公司 | High-speed amphibious vehicle |
| CN110696573A (en) * | 2019-11-12 | 2020-01-17 | 西车科技(北京)有限公司 | Dual-drive high-speed amphibious vehic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RU2444444C2 (en) | Amphibious transport facility | |
| CN101500826A (en) | Amphibious vehicle | |
| KR101660378B1 (en) | Amphibious vehicle | |
| JP2013147087A (en) | Amphibious vehicle | |
| CN105150787A (en) | Amphibious multi-environment operation robot | |
| CA2771211A1 (en) | Amphibious vehicle that tilts while floating to facilitate climbing onto sea ice | |
| CN103818536A (en) | Overwater combined propelling device for amphibious vehicles | |
| CN103917386A (en) | Amphibian hull | |
| CN204037852U (en) | A kind of draw off gear of canoe | |
| CN104192273A (en) | Electric intertidal zone ship | |
| JP2013154795A (en) | Direction changing device of amphibious vehicle | |
| JP2012061963A (en) | Crawler type running gear and method for riding over step | |
| CN105863642B (en) | a sandstone machine | |
| RU2578709C1 (en) | Multifunctional vehicle | |
| RU2656926C1 (en) | Amphibious multipurpose transport-technological platform | |
| CN110901316A (en) | Flapping propulsion type propeller, propulsion system and amphibious vehicle | |
| RU2652476C1 (en) | Amphibious transportation and technological platform | |
| EP2532538B1 (en) | Tracked recreational snow vehicle being converted to a personal watercraft by a conversion kit | |
| RU2013107017A (en) | MULTIFUNCTIONAL ALL-SEASONAL UNIVERSAL ATV | |
| CN204037853U (en) | A kind of draw off gear of canoe | |
| KR20150100222A (en) | Ship for Fuel Consumtion Reduction | |
| CN105730643B (en) | Multi-body carrier with rotatable cantilever | |
| RU2683037C2 (en) | Civilian tracked vehicle | |
| CN203805649U (en) | Amphibious tracked vessel | |
| CN207525803U (en) | One kind is floating to cross job platform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9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922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9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