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068B1 - A bed for craps and bath with severe disabilities - Google Patents
A bed for craps and bath with severe disabiliti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1068B1 KR101661068B1 KR1020150116043A KR20150116043A KR101661068B1 KR 101661068 B1 KR101661068 B1 KR 101661068B1 KR 1020150116043 A KR1020150116043 A KR 1020150116043A KR 20150116043 A KR20150116043 A KR 20150116043A KR 101661068 B1 KR101661068 B1 KR 101661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d
- frame
- bath
- severely
- defe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바퀴(a, a')가 설치된 하부프레임(A)과; 상기 하부 프레임(A)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된 상부 프레임(B)과; 상기 상부 프레임(B) 내측에 설치되는 접이식 상판(C)과; 상기 상판(C) 중앙 아래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검지 센서(d)와 건강검진 센서(d')를 구비하는 배변용기(D)와; 상기 배변용기(D) 아래에 설치되어 배변용기(D)를 승 하강시키는 승 하강모듈(E)과; 상기 상부 프레임(B)의 윗면에 설치되는 가드 프레임(F)과; 상기 접이식 상판(C)의 머리부 선단에 하향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단에 바퀴(b)가 설치된 수직 프레임(G)와; 상기 접이식 상판(C) 발부 접이용 프레임(H)과; 상기 접이식 상판(C)의 머리부 아랫면 일측에 설치된 접이식 상판(C) 머리부 접이용 스크루(I) 및; 상기 접이식 상판(C) 위에 놓이는 욕창방지 매트(J)로 구성되어 침대를 환자나 중증 장애인의 배변 및 목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로 변형함으로써 보호자의 염려와 걱정, 도우미나 간병인의 노동 강도 완화, 수용시설과 병원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도우미나 자원 봉사자 및 보호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냄새, 오염 및 사회적 갈등요소로부터 완전히 해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루투쓰 기반 및 기간 시스템간 유기적 운영 및 병원/보호자 간의 경보 및 간이 건강검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s bowel or bath, comprising: a lower frame (A) provided with wheels (a, a '); An upper frame B spa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A; A folding top panel (C) installed inside the upper frame (B); A defecation container (D) having a position detection sensor (d) and a health check sensor (d ') installed vertically below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C); An elevating / lowering module (E) installed below the defecation container (D) to raise / lower the defecation container (D); A guard frame F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B; A vertical frame G provided with a wheel b at a lower end vertically downward at the head end of the folding type upper plate C; A frame H for supporting the folding type upper plate C; A foldable top plate (C) head screwing screw (I)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folding top plate (C); And a bed preventive mat (J) placed on the folding top plate (C) to transform the bed into a state capable of facilitating the defecation and bathing of the patient or severely disabled person, thereby reducing the worries and anxieties of the caregiver, , Improve the environment of reception facilities and hospitals, prevent musculoskeletal diseases of helper, volunteers and caregivers, and completely free from odor, pollution and social conflict factors, as well as organically operate between Bluetooth- It is a useful invention with particular advantages that can facilitate alarms and simple health screenings between hospital / guardian.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신이 온전하고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중증 장애인들의 배변과 목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 침대의 상판을 배변하기 용이한 상태나 목욕하기 용이한 상태로 변환시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들의 외부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로 원활하지 못한 배변과 목욕을 더욱 편리하게 하고 여유있게 할 수 있는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clusive bed for facilitating defecation and bathing of a mental patient and a patient with severe mobility 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and, more particularly, And a bed for a person with severe disability who is unable to move smoothly due to the stress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patient who is inconvenienced and who can make the bath more convenient and comfortable.
일반적으로 매우 고령의 환자나 신체의 상해에 의한 환자 및 중증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 및 장애인의 경우에는 반드시 간병인이나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용변이나 목욕 등을 하기 위해 이동하여야 한다.In general, patients who are very unwell and who are disabled, such as those who are very old or injured by the body and those who are severely disabled, must be moved with the help of their caregiver or carer to do so.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중증 장애인의 경우에는 잠시 동안의 이동을 하더라도 신체에 극심한 통증이나 피로감을 호소하거나 개인 프라이버시 문제로 가급적이면 침대 자체에서 용변이나 목욕 등을 해결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patient having an inconvenience in mobility 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patient moves for a while, he / she is requested to suffer extreme pain or fatigue to the body or to solve a problem such as toilet or bath in the bed itself have.
또한 간병 보호인의 경우에는 중증 장애인을 돕기 위해 근골격계 질환이 유발되어 본인도 2차 장해에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 연구 보고되고 있고, 포럼에 발표되고 있다.In addi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caregiver is exposed to the second obstacle by inducing musculoskeletal diseases in order to help the severely handicapped person, and it is reported in the forum.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환자용 침대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환자용 침대는 일상적인 휴식이나 수면을 가능케 하면서도, 용변 및 목욕 또는 세안 등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부가적인 수단 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Therefore, various types of patient bed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uch a phenomenon. Such a patient bed is provided with various additional means such as a toilet, a bath, or a facial cleansing that enables daily rest or sleeping .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환자용 침대는 비교적 고가이면서도 여전히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배변과 목욕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일반 병원에서마저도 그 보급률이 낮으며(병원에서 본질적으로 요구하는 근골격계 질환과 피로도 때문에 가동율이 낮기 때문이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여전히 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바와 같은 환자나 중증 장애인용 침대를 이용하여 목욕을 한 경우에는 시트를 교환하거나 후처리를 하는 동안 환자의 불편함이 지속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ient bed is relatively expensive and still has a low penetration rate even in a general hospital due to inconvenience of defecation and bath in terms of user satisfaction (because the operating rate is low due to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fatigue which are essentially required in hospitals ). Patients who are uncomfortable to move still have difficulty in moving. In the case of taking a bath using a bed for a patient 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as described above,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There is a problem.
또한, 낮은 가격의 매우 단순한 구조로 된 목욕 침대가 일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긴 하나, 이들 목욕침대는 환자나 중증 장애인이 누워 대기하는 상판의 높이가 너무 낮아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상체를 숙이고 목욕을 시키게 되어 자세에 상당한 무리가 있어 매우 어려움이 있는 것이며, 침대 자체 내에서 환자나 중증 장애인의 신체를 뒤집거나 엎드리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병인은 물론 환자나 중증 장애인 본인도 매우 극심한 통증 및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a low-priced and very simple structure of a bath bed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hese bath beds are too low in height for a patient or a severely handicapped person to lay down, And the patient or seriously disabled person in the bed itself to overturn the body or want to lie down, as well as caregivers, patients and seriously disabled people themselves also suffer from extreme pain and difficulty.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목욕을 마친 목욕 침대의 후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그 침대 전체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야 하는 것인데, 평평한 상판을 세척한 후 그 상판에 잔류하는 물기가 쉽게 마르지 않아 보관 및 취급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ost-treat a bath bed after bathing, the entire bed should be cleaned with clean water. Since the water remaining on the top plate is not easily dried after the flat top plate is washed, It is going to happen.
이와 같은 실정을 고려하여 종래에 개발된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가 실용신안등록 제0401864호로서 등록실용신안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Considering such a situation, a conventionally developed "exclusive bed for a patient" is disclosed in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01864 as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document (refer to Patent Document 1).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401864호의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00)의 상측에 이격 형성된 상부프레임(100')을 접철링크(101)에 의해 힌지 고정하여, 이를 승강 수동식 엑츄에이터(110)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100')이 상하 승강되게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상측에는 그 상부프레임(100')의 일측과 힌지 고정된 별도의 상판받침대(10)를 형성하여 이를 상판받침대(10)의 타단에 장착된 경사 수동식 엑츄에이터(11)에 의해 상기 상판받침대(10)의 각도 조절되게 하며, 상기 상판받침대(10)의 상부에는 시트커버(120)가 재치되는 양측으로 분할 형성된 상판(20)(20')를 형성하되, 상기 상판(20)(20')의 대향측부는 상기 상판받침대(10)의 상부면에 동시 힌지 결합하여, 별도의 회전 수동식 엑츄에이터(21)(21')에 의해 상기 상판(20)(20')이 단방향을 따라 각도 조절되게 구성되고, 상기 접철링크(101)의 일단은 상부프레임(100')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프레임(1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02)에 롤러(103) 계지되게 하며, 상기 접철링크(101)의 중간부에 힌지 고정된 보도링크(104)의 하단은 하부프레임(100)에 힌지 고정되게 하여, 일단이 하부프레임(100)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은 접철링크(101)에 힌지 고정된 승강 수동식 엑츄에이터(110)의 출몰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100')이 승강되게 구성되며, 상기 상판(20)(20')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브라켓(32)을 형성하여, 이에 가드프레임(34)을 장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침대프레임의 상,하 승강이 자유로워 편리하게 환자의 신체를 더욱 청결하게 세척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pper frame 100 ',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그러나 이러한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는 환자 또는 중증 장애인 개인의 원초적 본능에 대한 개인 사생활 보호 및 건강 검진이 잘 안 되고 방치될 우려가 있어 사회적 갈등 유발의 원인으로 되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such "bed for patient bath" ha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social conflicts because the personal privacy and health checkup of the primordial instinct of the patient or severely disabled person is not well performed and may be neglected.
또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을 위한 목욕의자 및 상기 목욕의자를 포함하는 목욕용품" 이 특허 제1140364호로서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Also, "Bath chair for elderly or disabled persons and bath chair including bath chair"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No. 1140364 (see Patent document 2).
상기 특허 제1140364호의 "노약자 또는 장애인을 위한 목욕의자 및 상기 목욕의자를 포함하는 목욕용품"은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 또는 노약자가 앉는 안장(13)과 상기 안장(13)에 연결되고 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12)를 구비하며, 물이 빠지는 개구부(11) 및 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양 단에 돌출하여 형성된 안전 가드(40); 상기 본체부의 안장(13)에 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다리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안전벨트(51); 상기 본체부의 등받이(12)로부터 돌출되어 간병인이 잡을 수 있는 손잡이(15)를 구비하고; 본체부의 등받(12)이 뒷면에 목욕 용기를 체결하는 체결부(14)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안장(13)의 네 귀퉁이에 바퀴(22)를 갖는 다리(21)를 형성하고; 목욕 용기는 물 등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한 대야 형태의 본체(61)와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62)와 배수관(63), 그리고 목욕 의자(10)에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부(7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목욕 의자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비눗물 또는 목욕물이 고이지 않아 청결하게 목욕을 할 수 있고, 머리에 대응하는 부분에 홈을 형성하여 목욕 용기를 결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머리도 용이하게 감길 수 있는 것이다.The "bathing chair comprising the bath chair for the elderly or the handicapped and the bath chair"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No. 1140364 is connected to the
그러나 이러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을 위한 목욕의자 및 상기 목욕의자를 포함하는 목욕용품"에 있어서도, 도우미 또는 자원 봉사자가 보호 장치와 장비 및 시스템 없이 관련 동작을 행함으로써 중대한 근골격계 질환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여 심각하며 이로 인해 2차, 3차 건강 문제로 전이되어 경제 활동에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고, 장기시설 및 개인 가정에서 배변에 의한 냄새, 오염, 질병(역병)에 방치되고 병원/수용 및 보호 가족들의 간호 고통을 수반하게 되고, 기존 시판되고 있는 제품들은 국내 중증 장애인의 라이프 사이클과 맞지 않거나 그 기능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되어 있어 환자 맞춤형 복합 및 응용하는 메카니즘으로 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However, even in such "bathing articles for elderly or disabled persons and bathing articles containing such bathing chairs ", helper or volunteer can not fundamentally solve a serious musculoskeletal disease by performing related operations without protection device, And it is transferred to secondary and tertiary health problems and is affected by economic activities. In addition,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odor, pollution, disease (pestilence) Nursing suffering, and the existing products are not compatible with the lifecycle of the severely handicapped people in Korea, or their function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ystem can not be a composite and applied mechanism for patient customiz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여러 가지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침대를 환자나 중증 장애인의 배변 및 목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로 변형함으로써 보호자의 염려와 걱정, 도우미나 간병인의 노동 강도 완화, 수용시설과 병원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form the bed into a state that facilitates the defecation and bathing of a patient 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And to provide a cushion and a bath bed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who can improve the reception environment and environment of the hospit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대를 환자나 중증 장애인의 배변 및 목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로 쉽게 변형함으로써 도우미나 자원 봉사자 및 보호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냄새, 오염 및 사회적 갈등요소로부터 완전히 해방될 수 있는 중증 장애인의 변비를 예방하고 환자가 요구하는 자세 및 환경으로 편안하게 목욕하는 보조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helper, volunteer and caregiver by easily transforming the bed into a condition that facilitates the defecation and bathing of the patient or severely disabled person, and completely liberating from the odor, pollution and social conflict factors To prevent constipation of the severely handicapped person, and to provide a supplementary bed in which the patient comfortably bathes with the attitude and environment required by the pati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대를 환자나 중증 장애인의 배변 및 목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로 변형함으로써 블루투쓰 기반 및 기간 시스템간에 유기적으로 작용시켜 운영 및 병원/보호자 간의 경보 및 간이 건강검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bed and a system for facilitating bowel movement and bathing of a patient 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To provide a bed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hat can be used for toilet and bath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는 바퀴(a, a')가 설치된 하부프레임(A)과; 상기 하부 프레임(A)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된 상부 프레임(B)과; 상기 상부 프레임(B) 내측에 설치되는 접이식 상판(C)과; 상기 상판(C) 중앙 아래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검지 센서(d)와 건강검진 센서(d')를 구비하는 배변용기(D)와; 상기 배변용기(D) 아래에 설치되어 배변용기(D)를 승 하강시키는 승 하강모듈(E)과; 상기 상부 프레임(B)의 윗면에 설치되는 가드 프레임(F)과; 상기 접이식 상판(C)의 머리부 선단에 하향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단에 바퀴(b)가 설치된 수직 프레임(G)와; 상기 접이식 상판(C) 발부 접이용 프레임(H)과; 상기 접이식 상판(C)의 머리부 아랫면 일측에 설치된 접이식 상판(C) 머리부 접이용 스크루(I) 및; 상기 접이식 상판(C) 위에 놓이는 욕창방지 매트(J)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d for male and female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comprising: a lower frame (A) provided with wheels (a, a '); An upper frame B spa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A; A folding top panel (C) installed inside the upper frame (B); A defecation container (D) having a position detection sensor (d) and a health check sensor (d ') installed vertically below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C); An elevating / lowering module (E) installed below the defecation container (D) to raise / lower the defecation container (D); A guard frame F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B; A vertical frame G provided with a wheel b at a lower end vertically downward at the head end of the folding type upper plate C; A frame H for supporting the folding type upper plate C; A foldable top plate (C) head screwing screw (I)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folding top plate (C); And a pressure ulcer preventing mat (J) placed on the folding type upper plate (C).
본 발명은 침대를 환자나 중증 장애인의 배변 및 목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환자 스스로 욕구에 맞는 상태로 변형함으로써 보호자의 염려와 걱정, 도우미나 간병인의 노동 강도 완화, 수용시설과 병원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도우미나 자원 봉사자 및 보호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냄새, 오염 및 사회적 갈등요소로부터 완전히 해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루투쓰 기반 및 기간 시스템간 유기적 운영 및 병원/보호자 간의 경보 및 간이 건강검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odifies the bed to a condition suitable for the patient's own needs so as to facilitate the defecation and bath of the patient or severely handicapped person, thereby improving the caregiver's anxiety and worry, relieving the work force of the assistant or caregiver, It can prevent musculoskeletal diseases of assistants, volunteers and caregivers, and can be completely liberated from odor, pollution and social conflict factors, as well as organic operation between Bluetooth-based and periodical systems, There is a special advantage that it can be facilitated.
도 1은 종래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종래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의 상판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 노약자 또는 장애인을 위한 목욕의자,
도 4는 종래 노약자 또는 장애인을 위한 목욕의자에 탈부착되는 물받이,
도 5는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에어매트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용변시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목욕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장애인 이동시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절첩링크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용변시 절첩링크의 작동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배변용기 앞의 소변막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atient bath bed,
FIG. 2 is an exploded top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atient bath bed,
Fig. 3 is a view showing a bath chai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table,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 bath chair for the elderly,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d for a toilet and bath for the severely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mattress of a bed for a toilet and a bath for the severely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nd FIG. 8 are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toilet bed for a disabled person,
FIG. 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bath for a catheter /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disabled person's bed for the disabled,
FIG. 11 is a view showing a folded link of a bed for a toilet and bath for the severely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folded link when a toilet bed for a disabled person is severely handicapped,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urine membrane in the front of the bowel movement container of the catheter for the disabled.
이하,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atheter for a person with a severe dis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에어매트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용변시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목욕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장애인 이동시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절첩링크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용변시 절첩링크의 작동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배변용기 앞의 소변막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는 바퀴(a, a')가 설치된 하부프레임(A)과; 상기 하부 프레임(A)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된 상부 프레임(B)과; 상기 상부 프레임(B) 내측에 설치되는 접이식 상판(C)과; 상기 상판(C) 중앙 아래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검지 센서(d)와 건강검진 센서(d')를 구비하는 배변용기(D)와; 상기 배변용기(D) 아래에 설치되어 배변용기(D)를 승 하강시키는 승 하강모듈(E)과; 상기 상부 프레임(B)의 윗면에 설치되는 가드 프레임(F)과; 상기 접이식 상판(C)의 머리부 선단에 하향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단에 바퀴(b)가 설치된 수직 프레임(G)와; 상기 접이식 상판(C) 발부 접이용 프레임(H)과; 상기 접이식 상판(C)의 머리부 아랫면 일측에 설치된 접이식 상판(C) 머리부 접이용 스크루(I) 및; 상기 접이식 상판(C) 위에 놓이는 욕창방지 매트(J)로 구성되어 있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d for a disabled person having a severe dis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mat of a toilet seat for a disabled person with severe disability, FIGS.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FIG. 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toilet for a disabled person's bath in a bath for the severely disabled person,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toilet for a disabled person when the disabled person is moving, FIG. 1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folded link when a toilet seat for a disabled person is severely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urine membrane in front of a toilet seat of a toilet seat for a disabled person A bed for a bowel movement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frame A provided with wheels a, a '; An upper frame B spa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A; A folding top panel (C) installed inside the upper frame (B); A defecation container (D) having a position detection sensor (d) and a health check sensor (d ') installed vertically below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C); An elevating / lowering module (E) installed below the defecation container (D) to raise / lower the defecation container (D); A guard frame F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B; A vertical frame G provided with a wheel b at a lower end vertically downward at the head end of the folding type upper plate C; A frame H for supporting the folding type upper plate C; A foldable top plate (C) head screwing screw (I)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folding top plate (C); And a pressure-ulcer-preventing mat (J) placed on the folding type upper plate (C).
상기 하부프레임(A)에 설치된 바퀴(a)는 전기모터 구동바퀴로 구성하고, 브레이크는 전기모터에 부착되는 마그네트형으로 하며, 바퀴(a')는 자유축 바퀴로 구성하여 가정 및 시설물에 설치된 문턱이나 돌출부를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heels (a) provided in the lower frame (A) are constituted by electric motor driven wheels, the brakes are magnet type attached to electric motors, the wheels (a ') are constituted by free shaft wheels and installed in homes and facilitie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uch that the threshold or protrusion can be easily passed over.
상기 접이식 상판(C)은 다수의 홈(c)이 형성되어 목욕시 다수의 홈(c)을 통해 목욕물이 잘 배수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oldable top plate C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c) are formed and the bath water is well drained through a plurality of grooves (c) during a bath.
또한, 뚜껑을 구비하는 상기 배변용기(D)는 전방에 소변막이(d")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urine membrane (d ") is provided in front of the defecation container (D) having a lid.
상기 배변용기(D)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항공셀구조(수많은 구멍이 있는 공기순환 및 수분증발 구조)와, 나노입자 발수 보온용 특수코팅 커버로 이루지고 진동 안마기가 내장된 몸체(d1)와; 상기 몸체(d1)의 중앙부 하면에 장착되는 변기(d2)와; 상기 몸체(d1)양측 내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기공(d3)과; 상기 통기공(d3) 사이의 단부에 형성된 에어 분사노즐(d4)로 구성되어 있다.The defecation container (D) comprises a body (d1) having an air cell structure (air circulation with numerous holes and a water evaporation structure) formed of a polyurethane foam, a special coating cover for nano- Wow; A toilet bowl (d2) mounted on a central lower surface of the body (d1); A plurality of vent holes d3 form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body d1; And an air injection nozzle d4 formed at the end between the vent holes d3.
상기 배변용기(D)는 윗면 표면에 중증 장애인의 체압 분포를 체크하는 필름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체압을 체크하여 컴퓨터와 연동시켜 스트레스 분포도를 분석하고 욕창 징후를 예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defecation container (D) is provided with a film for checking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severely disabled person, periodically checking the pressure of the body, analyzing the stress distribution diagram in cooperation with the computer, and predicting the pressure sensor symptom.
상기 배변용기(D)의 일측면에 설치된 건강검진 센서(d')는 블루투쓰 기반으로 앱을 가동함으로써 건강검진을 가능하도록 하여 병원, 간병인, 보호자가 항상 중증 장애자의 건강상태 특이사항을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health check sensor (d ')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eces container (D) enables the health checkup by operating the app based on Bluetooth so that the hospital, caregiver, and guardian can always check the health condition specific information Consists of.
또한, 상기 승 하강모듈(E)은 상기 배변용기(D) 하면에 연결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랙(e1)과, 상기 랙(e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e2)와, 상기 피니언기어(e2)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The elevating and lowering module E includes a rack e1 which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efecation container D and is movable up and down, a pinion gear e2 for moving the rack e1 up and down,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gear e2.
상기 가드 프레임(F)은 인출되는 안테나처럼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수동으로 길이를 확장할 수 있으면서 바깥 측면 아래쪽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guard frame F is configured as an antenna to be drawn out, and is configured to be folded downwardly outwardly while being able to extend the length manu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f necessary.
상기 수직 프레임(G)은 중앙부가 힌지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판(C) 머리부 단부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The vertical frame G has a central portion formed in a hinge structure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of the upper panel C.
상기 프레임(H)은 상판(C) 머리부 하면과 상판(C) 발부 하면 사이에 연결된 로우프(c')에 의해 접혀지는 상판(C) 발부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rame H is structured to be interlocked with an upper plate C which is folded by a rope c 'connected between a low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upper plate C and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C.
또한, 상기 상판(C) 머리부 접이용 스크루(I)는 상기 하부프레임(A)과 상부 프레임(B) 사이에 설치된 지지프레임(K)을 통하여 일단이 상기 접이식 상판(C)의 머리부 아랫면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모터구동식 수단(i)에 연결되어 있다.The screw I of the top end of the top plate C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folded top plate C through a support frame K provided between the bottom frame A and the top frame B,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otor-driven means (i).
상기 모터구동식 수단(i)은 전기모터와, 감속기 및 위치제어용 엔코더로 구성되어 있다.The motor-driven means (i) comprises an electric motor, a speed reducer and an encoder for position control.
상기 욕창방지 매트(J)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항공셀구조(수많은 구멍이 있는 공기순환 및 수분증발 구조)와, 무기물 나노 발수 보온용 특수코팅 커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anti-sickness preventive mat (J) comprises an aviation cell structure (air circulation with numerous holes and water evaporation structure) formed of a polyurethane foam and a special coating cover for inorganic nano water-repellent insulation.
그리고, 상기 욕창방지 매트(J)는 상면에 중증 장애인의 체압 분포를 체크하는 필름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체압을 체크하여 컴퓨터와 연동시켜 스트레스 분포도를 분석하고 욕창 징후를 예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at (J) is provided with a film for checking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severely disabled pers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periodically checking the pressure of the body, analyzing the stress distribution diagram in cooperation with the computer, and predicting the pressure ulcer symptom .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ed for the severely disabled persons having a bowel movement and the bath so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접이식 상판(C) 상에 욕창방지 매트(J)가 놓이고 그 위에 중증 장애인이 위치하게 된다.Firstly, the bedsore prevention mat (J) is placed on the folding top panel (C), and the severely disabled person is placed thereon.
중증 장애인은 침대를 펼친 상태에서 즉, 장애인이 누워 있는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도 있고, 장애인이 앉아 있는 상태에서 중증 장애인이 요구하는 자세와 환경에서 편안하게 용변을 볼 수도 있다. 누워 있는 상태에서 용변을 보고자 하면, 도 5, 6, 9에 나타낸 상태에서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상기 승 하강모듈(E)을 작동시켜 피니언기어(e2)를 정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e1)이 상승하게 되어 배변용기(D)도 상승하게 된다. 상기 배변용기(D)가 완전히 상승하여 상판(C)에 닿으면, 위치검지 센서(d)의 검지 신호에 의해 배변용기(D)의 상승이 정지하고 배변용기(D)에 덮혀 있는 도시하지 않은 배변용기 뚜껑을 열면, 배변용기(D)의 소변막이(d")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여 올라오게 되며, 이 상태에서 장애인이 용변을 보고, 용변이 끝나면, 다시 상기 승 하강모듈(E)을 작동시켜 피니언기어(e2)를 역회전시켜 배변용기(D)를 하강시킨 다음 상기 배변용기(D) 내의 오물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다시 승 하강모듈(E) 상에 배변용기(D)를 장착하게 된다.The severely handicapped person may be allowed to sit on the bed, ie, while the disabled are lying down, or to sit comfortably in the attitude and environment required by the severely disabled person while the disabled is seated. In the state shown in Figs. 5, 6 and 9, the caregiver or the guardian operates the up-down and downward module E to rotate the pinion gear e2 in the normal direction. 12, the rack e1 is raised and the defecation container D is also raised. The upward movement of the defecation container D is stopped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d so that the defecation container D is completely raised and contacts the upper plate C, When the lid of the bowel movement container is opened, the urine membrane (d ") of the bowel movement container D rotates and rises as shown in FIG. 13. In this state, E is operated to rotate the pinion gear e2 in the reverse direction to lower the defecation container D and remove the dirt in the defecation container D and clean the defecation container E .
장애인이 누워 있는 상태에서의 목욕시의 상태도 상기 장애인의 용변시와 마찬가지 이고, 다만, 상기 모터구동식 수단(i)을 작동시킴이 없이 장애인이 상판(C)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 욕창방지용 매트(J)를 제거하고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목욕을 시키면 된다.The state of the bath when the disabled person is laid is also the same as that when the disabled person is used, but the disabled person is lying on the upper plate (C) without operating the motor driven means (i) (J) is removed and the caregiver or guardian baths.
한편, 장애인이 앉아 있는 상태에서 용변을 보고자 하면, 도 7, 8에 나타낸 상태에서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상기 모터구동식 수단(i)을 작동시키면, 스크루(I)가 회전하면서 지지프레임(K)과 스크루 상단 연결부 사이의 스크루 길이가 늘어나면서, 상판(C)의 머리부가 접혀지면서, 로우프(c')를 당겨 상기 프레임(H)의 하단이 위로 들리면서 상판(C)의 발부가 L자 상으로 접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배변용기(D)가 연동으로 상승되어 장애인이 앉아 있는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7 and 8, when the caregiver or the guardian actuates the motor-driven means i, the screw I rotates and the support frame K is rotated, The head of the upper plate C is pulled up and the lower end of the frame H is pulled up so that the spur of the upper plate C is rotated in the L direction And in this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defecation container D is raised in an interlocking manner, so that the disabled person can see the toilet while the disabled person is seated.
중증 장애인이 앉아 있는 상태에서의 목욕시의 상태도 상기 장애인의 용변시와 마찬가지이고, 다만, 승 하강모듈(E)을 조작함이 없이 장애인이 상판(C)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목욕을 시키면 된다.The state of the bath when the severely handicapped person sits is the same as that of the handicapped person, but the handicapped person or the guardian is in a state where the handicapped person is sitting on the top board (C) You can have a bath.
여기서 승 하강모듈(E) 또는 스크루(I) 대신에 엑추에이터를 사용하고, 엑추에이터를 리모콘으로 작동시켜도 된다.Here, an actuator may be used in plac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odule (E) or the screw (I), and the actuator may be operated by a remote controller.
또한, 장애인을 침대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드 프레임(F)을 화살표 방향으로 접고 장애인을 이동시키면, 장애인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isabled person is moved from the bed to another place, as shown in FIG. 10, the disabled person can be easily moved by folding the guard frame F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moving the disabled person.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 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 : 하부 프레임 a, a' : 바퀴
B : 상부 프레임 b : 바퀴
C : 상판 c : 홈
c' : 로우프 D : 배변용기
d : 위치검지 센서 d' : 건강검진 센서
d" : 소변막이 d1 : 몸체
d2 : 변기 d3 : 통기공
d4 : 에어 분사노즐 E : 승 하강모듈
e1 : 랙 e2 : 피니언기어
F : 가드 프레임 G : 수직 프레임
H : 발부 접이용 프레임 I : 스크루
i : 모터구동식 수단 J : 욕창 방지용 매트
K : 지지프레임A: Lower frame a, a ': wheel
B: upper frame b: wheel
C: Top plate c: Home
c ': rope D: feces container
d: Position sensor d ': Health check sensor
d ": urine membrane d1: body
d2: toilet bowl d3: ventilation hole
d4: Air injection nozzle E: Up / down module
e1: Rack e2: Pinion gear
F: Guard frame G: Vertical frame
H: Fitting frame I: Screw
i: motor-driven means J: anti-sickness mat
K: Support frame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16043A KR101661068B1 (en) | 2015-08-18 | 2015-08-18 | A bed for craps and bath with severe disabilit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16043A KR101661068B1 (en) | 2015-08-18 | 2015-08-18 | A bed for craps and bath with severe disabilitie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61068B1 true KR101661068B1 (en) | 2016-09-28 |
Family
ID=5710125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16043A Active KR101661068B1 (en) | 2015-08-18 | 2015-08-18 | A bed for craps and bath with severe disabiliti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61068B1 (en)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132758A (en) * | 2018-05-21 | 2019-11-29 | 주식회사 마더스핸즈 | Electric hospital bed |
| KR20200068846A (en) * | 2018-12-06 | 2020-06-16 | (주)옵토닉스 | Electric wheelchair with multiple mode type changes |
| KR102147041B1 (en) * | 2019-10-15 | 2020-08-21 | 최옥창 | Wheelchair with bath function |
| KR20220112535A (en) | 2021-02-04 | 2022-08-11 | 박찬호 | Height adjustable defecation patient bed |
| KR102445434B1 (en) | 2022-05-31 | 2022-09-21 | 이동렬 | automatic silver bath bed |
| KR20230114824A (en) * | 2022-01-25 | 2023-08-02 | 주식회사 테스 | Multi purpose one touch automatic seat for camping bed of vehicle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40364A (en) | 1915-02-11 | 1915-05-25 | Thomas B Jeffery Company | Revolving turret for motor-cars. |
| KR20050006639A (en) * | 2003-07-09 | 2005-01-17 | 김응기 | moving bed integrated chamber pot |
| KR200401864Y1 (en) | 2005-08-17 | 2005-11-22 | 주식회사 해피베드 | Bed for bathing patients |
| KR20080096138A (en) * | 2007-04-27 | 2008-10-30 | 주식회사 해피베드 | Left toilet lift switch for improved patient bed |
| KR101067983B1 (en) * | 2010-12-23 | 2011-09-26 | 김인겸 | Bath chairs to assist the disabled and bathers in mobility |
| KR20120078531A (en) * | 2010-12-30 | 2012-07-10 | 이앤에이웰(주) | Technical bed for patient |
-
2015
- 2015-08-18 KR KR1020150116043A patent/KR1016610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40364A (en) | 1915-02-11 | 1915-05-25 | Thomas B Jeffery Company | Revolving turret for motor-cars. |
| KR20050006639A (en) * | 2003-07-09 | 2005-01-17 | 김응기 | moving bed integrated chamber pot |
| KR200401864Y1 (en) | 2005-08-17 | 2005-11-22 | 주식회사 해피베드 | Bed for bathing patients |
| KR20080096138A (en) * | 2007-04-27 | 2008-10-30 | 주식회사 해피베드 | Left toilet lift switch for improved patient bed |
| KR101067983B1 (en) * | 2010-12-23 | 2011-09-26 | 김인겸 | Bath chairs to assist the disabled and bathers in mobility |
| KR20120078531A (en) * | 2010-12-30 | 2012-07-10 | 이앤에이웰(주) | Technical bed for patient |
Cited B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132758A (en) * | 2018-05-21 | 2019-11-29 | 주식회사 마더스핸즈 | Electric hospital bed |
| KR102069136B1 (en) | 2018-05-21 | 2020-02-11 | 주식회사 마더스핸즈 | Electric hospital bed |
| KR20200068846A (en) * | 2018-12-06 | 2020-06-16 | (주)옵토닉스 | Electric wheelchair with multiple mode type changes |
| KR102265885B1 (en) * | 2018-12-06 | 2021-06-16 | (주)옵토닉스 | Electric wheelchair with multiple mode type changes |
| KR102147041B1 (en) * | 2019-10-15 | 2020-08-21 | 최옥창 | Wheelchair with bath function |
| KR20220112535A (en) | 2021-02-04 | 2022-08-11 | 박찬호 | Height adjustable defecation patient bed |
| KR20230114824A (en) * | 2022-01-25 | 2023-08-02 | 주식회사 테스 | Multi purpose one touch automatic seat for camping bed of vehicle |
| KR102757116B1 (en) | 2022-01-25 | 2025-01-22 | 주식회사 테스 | Multi purpose one touch automatic seat for camping bed of vehicle |
| KR102445434B1 (en) | 2022-05-31 | 2022-09-21 | 이동렬 | automatic silver bath be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61068B1 (en) | A bed for craps and bath with severe disabilities | |
| JP6514403B2 (en) | Bathing equipment | |
| KR100867194B1 (en) | Bed with bathtub | |
| JP5794642B2 (en) | Shower stretcher | |
| CN106880451A (en) | Multifunctional Patient Self-Defecation Nursing Bed | |
| CN108261300A (en) | Bathing nursing bed | |
| JP3209782U (en) | Nursing bed | |
| JP2014226537A (en) | Help for defecation | |
| CN203736421U (en) | Wheelchair bed | |
| JPH0337942B2 (en) | ||
| CN211610418U (en) | Multifunctional nursing bed | |
| KR102606870B1 (en) | Height adjustable defecation patient bed | |
| CN108143554A (en) | It is multifunction nursing bed | |
| WO2003017907A1 (en) | Care bed used commonly for bathing and toileting | |
| CN207220952U (en) | bath care bed | |
| DE20216318U1 (en) | Hospital bed, comprising integrated toilet guided in rails attached to lower side of frame | |
| JPH1142257A (en) | Excrement equipment for person of dysbasia | |
| JP3803328B2 (en) | Home care bus system | |
| US8296885B2 (en) | Comfortable bed preventing bed sores for Invalids and sleep disturbing patient | |
| JPS60119948A (en) | Bed for bed-ridden patient | |
| JPH10137314A (en) | Bed with function of bath and toile | |
| US20240041676A1 (en) | Bathing apparatus | |
| JP2750674B2 (en) | Nursing bathroom | |
| KR20210026745A (en) | Separate extra bed for moving and bathing | |
| JPH0647463Y2 (en) | Fu Ro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