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026B1 - Implant attachment and artificial teeth supported by it - Google Patents
Implant attachment and artificial teeth supported by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2026B1 KR101662026B1 KR1020150025184A KR20150025184A KR101662026B1 KR 101662026 B1 KR101662026 B1 KR 101662026B1 KR 1020150025184 A KR1020150025184 A KR 1020150025184A KR 20150025184 A KR20150025184 A KR 20150025184A KR 101662026 B1 KR101662026 B1 KR 1016620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ture
- implant attachment
- present
- tooth
- impl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35—Magnetic faste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1—Magnetic dental implant retention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는 접합부를자성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함으로써 틀니와의 자력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틀니는 고정부에 마그넷을 내장하여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틀니는 접합부 및 고정부의 표면을 연성 재질로 코팅하여, 접합부 및 고정부의 접합시 마찰계수를 높여 틀니가 이동하지 않게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한편, 틀니의 착용감을 좋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 attachment and a denture supported thereby. The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hance the 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implant and the denture by forming the joint into a metal having magnetism. In addition, the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orporate a magnet in the fixing part to facilitate the coupling with the implant attachment.
The implant attachment and the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by coating the surfaces of the joint portion and the fixed portion with a soft material to increas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t the time of joining the joint portion and the fixation portion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without moving the denture, .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틀니를 지지하는 지대치부, 지대치부 상에 위치하고 금속으로 형성되며 틀니와 접합되는 접합부, 지대치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픽스춰에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접합부에 대응되는 고정부, 잇몸부, 치아부를 포함하는 틀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 attachment and a denture supported thereb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implant having a dent portion for supporting the denture, a joint portion formed on the dent portion and made of metal and joined to the denture, To a denture including a fixed portion, a gingival portion, and a tooth portion corresponding to a joint portion of an implant attachment and an implant attachment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formed with a screw thread and fastened to a fixture.
치아의 건강은 인간의 오복(五福) 중 하나라 여겨진다. 치아가 건강하지 못하면 음식물을 섭취하는데 영향이 많으며, 심한 경우 건강에 위협이 되기도 한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치아 건강도 유지된다면 좋겠지만, 치주염이나 잇몸병 등 갖가지 질병에 의해 치아가 손실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The health of the teet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five faults of human beings. If your teeth are not healthy, they can have a great impact on your food intake and, in extreme cases, your health. While it is desirable that the dental health be maintained with ag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eeth are lost due to various diseases such as periodontitis and periodontal diseases.
최근에는 일부 치아가 손실된 경우 임플란트 시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임플란트 시술이란 인공으로 만든 치근 즉 치아뿌리를 잇몸에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치아가 손실된 경우, 손실된 모든 치아를 임플란트로 대체하기는 어렵고, 이러한 경우 틀니를 이용한다. 틀니는 인공적인 치아를 갖는 보철물로서 잇몸에 착탈이 가능하여 음식을 섭취하거나 대화를 하는 평상시에는 잇몸에 착용하였다가, 수면시 빼내어 따로 보관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틀니는 부분 틀니, 전체 틀니로 나눌 수 있으며, 자연 치아가 전부 손실된 경우 전체 틀니를 이용한다. Recently, many implants have been performed when some teeth have been lost. Implantation refers to the implantation of an artificial root, or tooth root, into the gum. However, if most teeth are lost, it is difficult to replace all missing teeth with implants, and in this case, use dentures. Dentures are artificial tooth restorations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ing from the gum. They are usually worn on the gums during eating or conversation, and then taken out during sleep and stored separately. Dentures can be divided into partial dentures and full dentures, and when the natural teeth are completely lost, they use the entire denture.
전체 틀니의 경우 잇몸에 고정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1864호에는 틀니가 잇몸에 잘 고정될 수 있도록 무독성 젤을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젤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 유지력이 약해지고, 저작 작용에 의해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잇몸에 자극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임플란트와 틀니를 결합하여 틀니를 고정시키는 것이 개발되고 있기는 하지만, 자력의 세기가 약하여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개선하는 효과가 미약한 실정이다.The entire denture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difficult to fix on the gums. To compensate for this, disclosed in Utility Model No. 2010-0001864 discloses the use of a non-toxic gel so that the denture can be fixed to the gums. However, even if the gel is used, the adhesive retention becomes weaker as time passes, and the denture can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chewing action, thereby causing irritation to the gum. In recent years, it has been developed to fix the denture by combining the denture with the implant. However,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enture's shak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weak due to the weak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이에 따라, 틀니를 착탈이 용이하게 하면서도 잘 고정할 수 있는, 특히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틀니의 개발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n implant attachment and a denture which can easily fix the denture while being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and in particular, prevent the denture from shak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마그넷을 이용하여 틀니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키면서도 착용감이 좋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lant attachment and a denture supported by the same, wherein the denture is effectively fixed while using a magnet.
본 발명의 목적은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lant attachment capable of preventing the denture from shak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denture supported thereby.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는 지대치부, 접합부, 결합부를 포함한다. 지대치부는 틀니를 지지한다. 접합부는 지대치부 상에 위치하고, 금속으로 형성되며, 틀니와 접합된다. 결합부는 지대치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픽스춰에 체결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ntal tooth part, a joint part, and a coupling part. The abutment part supports the denture. The abutment is located on the abutment, is formed of metal, and is joined to the denture. The coupl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butment portion,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coupl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fixtu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는 자성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unction may be formed of a metal having magnetis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는 접합부의 내측에 마그넷이 내장될 수 있다.In the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 may be embedded inside the jun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의 상부에는 원추 형상,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요철 형상 중 선택된 하나의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having a shape selected from a conical shape, a cylindrical shape, a square pillar shape, and a concavo-convex shape may b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joi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니는 치아부, 잇몸부, 고정부를 포함한다. 잇몸부는 치아부를 지지한다. 고정부는 잇몸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 착탈가능하도록 접합한다.A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th portion, a gingival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The gingival portion supports the teeth. The fixation part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gingival part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mplant attach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틀니에서 고정부의 하부에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접합부에 대응하도록 원추 형상,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요철 형상 중 선택된 하나의 형상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sion having a shape selected from the conical shape, the cylindrical shape, the square pillar shape, and the concave-convex shape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ture in the denture so as to correspond to the joint portion of the implant attachment.
본 발명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는 마그넷에 의해 틀니를 잇몸에 효과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The implant atta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nture supported thereby can effectively attach the denture to the gum by the magnet.
본 발명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는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mplant atta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nture supported thereby can prevent the denture from shak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의 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의 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가 틀니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groove of a joint in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groove of a joint in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a denture.
6 is a view showing a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nture is engaged with the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ntal implant is coupled with the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ntal implant is combined with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의 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의 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groove of a joint in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는 지대치부(1100), 접합부(1200), 결합부(13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n
임플란트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환자 잇몸의 치조골에 픽스춰(fixture)를 식립한다. 지대부(1100)는 픽스춰(미도시)와 결합함으로써 잇몸에 식립된다. 단일의 인공 치아를 식립하는 경우 지대부와 인공 치아가 바로 연결되나, 치아 전체가 손실되어 전체 틀니를 착용하여야 할 때는 틀니를 고정할 수 있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가 필요하다. 지대치부(1100)는 잇몸에 식립되어 틀니를 지지한다. 지대치부(1100)는 스테인리스, 지르코니아, 티타늄, 귀금속, 알루미나 등으로 형성된다.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된 지대치부(1100)에 티타늄 코팅을 할 수도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implant procedure, first place a fixture in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s gums. The
접합부(1200)는 지대치부(1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접합부(1200)는 틀니과 접합하여 틀니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접합부(1200)는 스테인리스 강,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접합부(1200)는 마그넷이 내장된 틀니에 자력으로 접합된다. 접합부(1200)는 인체에 무해하도록 티타늄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접합부(1200)는 별도로 제작되어 레이저 용접 등을 이용하여 지대치부(1100) 상에 부착되거나, 지대치부(11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1200) 내측에는 틀니와의 자력 결합이 더욱 강해지도록 마그넷(1210)을 내장할 수도 있다. 마그넷(1210)은 지대치부(1100) 및 접합부(1200)의 지름보다 작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두께는 1.5~2m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마그넷을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마그넷 가루를 압축하여 스테인리스 강 내부에 밀봉시킬 수도 있다.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에 마그넷(1210)을 내장시킴으로써 접합부(1200)의 접합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된 접합부(1200) 내부에 마그넷(1210)을 내장함으로써 접합부(1200)가 틀니와 더욱 강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접합부(1200)가 외부에 노출된 부분을 티타늄 등으로 코팅함으로써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한편, 접합부(1200) 내부에 마그넷을 내장하는 외에, 접합부(1200) 자체를 자성을 가진 금속 또는 마그넷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접합부(1200) 자체가 자성을 가진 경우 틀니에 내장된 마그넷과 더욱 강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자성을 가진 금속 상 또는 마그넷 상에 티타늄 코팅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incorporating a magnet in the
접합부(1200) 상에는 틀니의 위치 고정이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a)에는 접합부(1200)의 상부에 원추형의 홈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접합부(1200)의 홈(1230)은 틀니의 결합 부위에 형성된 돌기와 맞물려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틀니에는 접합부(1200)의 홈(1230)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며, 이는 후술한다. 원추 형상의 높이는 0.5~1.5mm일 수 있다.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joint 1200 to facilitate fixing the position of the denture. 3 (a) shows that a conical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접합부(1200)에 형성된 홈의 형상은 원추형 뿐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상일 수도 있으며,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날 형상으로 홈(1230)이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1200)의 홈(1230)이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틀니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틀니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4의 (b)와 같이 톱니가 한 편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우, 틀니가 밀리는 방향의 면을 접합부(1200)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하여 틀니가 저작 작용 시 앞쪽 또는 뒤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시 하악의 경우 구강 내에서 안쪽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틀니는 구강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톱날 형상을 구강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구강 내측에서 홈(1230)의 면이 접합부(1200)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악의 경우 구강의 바깥 방향으로 밀리므로, 구강의 외측에서 홈(1230)의 면이 접합부(1200)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저작 습관이 다를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틀니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합부(1200)의 홈(1230)이 원추형, 사각 기둥, 톱니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원기둥 형상, 테이퍼 형상, 계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접합부(120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티타늄으로 코팅되나, 티타늄으로 코팅된 접합부(1200)의 상부를 레진, 실리콘 등의 연성 재질로 다시 한 번 코팅할 수 있다. 코팅 두께는 10~100㎛로 할 수 있다. 접합부(1200)의 상부를 연성 재질로 코팅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높이고, 접합부(1200)에 형성된 홈(1230)과 함께 틀니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레진을 이용하는 경우 광중합형 소프트 레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합부(1200) 상에 광중합형 소프트 레진을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연성 구조를 형성한다. 접합부(1200) 상에 연성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마찰력이 높아져 틀니가 이동하지 않게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한편, 틀니의 착용감을 좋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Although the
한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는 결합부(1300)를 포함한다. 결합부(1300)는 지대치부(1100)의 하부에 연결된다. 결합부(13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산을 통하여 잇몸에 식립되어 있는 픽스춰와 결합한다. 결합부(1300)는 스테인리스 강을 티타늄 코팅하거나, 티타늄으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가 틀니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a denture, FIG. 6 is a view showing a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implant attachment and a dentur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는 틀니(2000)와 자력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틀니(2000)는 치아부(2100), 잇몸부(2200), 고정부(2300)를 포함한다. 치아부(2100)는 인공 치아로서 자연 치아와 가능한 유사한 재료로 형성된다. 치아부(2100)는 주로 세라믹이나 금으로 형성된다. 치아부(2100)는 저작 작용시 음식물을 부수고 씹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5, the
잇몸부(2200)는 치아부(2100)를 고정 및 지지한다. 잇몸부(2200)는 틀니를 잇몸 상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잇몸을 감쌀 수 있도록 잇몸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잇몸부(2200)는 레진,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다. 잇몸부(2200)는 입이 개방되어 있을 때 치아부(2100)와 함께 보이는 것으로 잇몸의 색상과 최대한 유사한 색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다.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300)는 치아부(21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고정부(2300)가 위치하는 부분의 잇몸부(2200)는 개방되어 치아부(2100) 하부의 고정부(2300)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2300)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접합된다. 고정부(2300)에는 마그넷이 내장되어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에 자력으로 결합한다. 고정부(2300)의 개수는 식립된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악에 두 개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를 식립하였으며, 틀니(2000)에 두 개의 고정부(2300)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300)는 치아부(2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부(2300)는 치아부(210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의 결합을 고려하여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2300)의 하면은 티타늄 코팅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fixing
또한, 고정부(2300)의 하면 또는 티타늄으로 코팅된 고정부(2300)의 하면은 레진, 실리콘 등의 연성 재질로 다시 한번 코팅할 수 있다. 코팅 두께는 10~100㎛로 할 수 있다. 고정부(2300)의 하면을 연성 재질로 코팅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높이고, 틀니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레진을 이용하는 경우 광중합형 소프트 레진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부(2300) 하면에 광중합형 소프트 레진을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연성 구조를 형성한다. 고정부(2300) 하면에 연성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마찰력이 높아져 틀니가 이동하지 않게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한편, 틀니의 착용감을 좋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Also,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300)의 하부에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에 형성된 홈(1230)에 대응하는 돌기(2310)가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에 원추형의 홈(1230)이 형성된 경우, 고정부(2300) 하부에 홈(1230)과 동일한 형태의 원추형 돌기(2310)가 형성되어 틀니(2000)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에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의 (b)에는 고정부(2300)에 사각 기둥 형상의 돌기(2310)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돌기(2310)의 두께는 접합부(1200)의 홈(1230)의 두께와 동일하며, 0.5~1.5mm일 수 있다. 8, a protrusion 2310 corresponding to the
고정부(2300)의 돌기(2310)의 형상은 톱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2310)가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와 대응되는 형상의 접합부(1200)의 홈(1230)과 틀니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9의 (b)와 같이 톱날이 한 편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우, 틀니가 밀리는 방향의 면을 고정부(2300)의 면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하여 틀니가 저작 작용 시 좌우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시 하악의 경우 구강 내에서 안쪽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틀니는 구강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톱날 형상을 구강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구강 내측에서 돌기(2310)의 면이 고정부(2300)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악의 경우 구강의 바깥 방향으로 밀리므로, 구강의 외측에서 돌기(2310)의 면이 고정부(2300)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저작 습관이 다를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틀니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300)의 돌기(2310)가 원추형, 사각 기둥, 톱날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원기둥 형상, 테이퍼 형상, 계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protrusion 2310 of the fixing
고정부(2300) 및 돌기(2310)는 그 표면이 레진이나 실리콘 등의 연성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고정부(2300)와 돌기의 하면이 연성 재질로 코팅됨으로써, 동일 재료로 코팅된 접합부(1200)의 단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fixing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틀니는 틀니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자력을 강화시켜 틀니 착용시 틀니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연성 재질을 사용하여 착용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implant attachment and the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denture while enhancing the magnetic force to prevent the denture from moving when the denture is worn. In addition, a soft material is used to improve the feeling of comfort.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0 :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1100 : 지대치부
1200 : 접합부 1230 : 홈
1300 : 결합부 2000 : 틀니
2100 : 치아부 2200 : 잇몸부
2300 : 고정부 2310 : 돌기1000: Implant attachment 1100:
1200: joining portion 1230: groove
1300: joint part 2000: denture
2100: tooth portion 2200: gingival portion
2300: fixing portion 2310: projection
Claims (6)
상기 지대치부 상에 위치하고, 금속으로 형성되어 티타늄으로 코팅 후 연성 재질로 다시 코팅하고, 상부에는 구강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틀니가 밀리는 방향의 면을 접합부 면에 수직이 되는 톱날 형상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틀니와 접합되는 접합부; 및
상기 지대치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픽스춰에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Dentures supporting the dentures;
The tooth is formed on the tip of the tooth, coated with titanium, coated with a soft material, coated on the tip of the tooth, is inclined inward toward the oral cavity, and has a sawtooth-shaped groove And an abutment portion joined to the denture; And
And an engaging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abutment portion and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fastened to the fixture.
상기 접합부는 자성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utment is formed of a metal having magnetic properties.
상기 접합부의 내측에 마그넷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agnet is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abutment portion.
치아부;
상기 치아부를 지지하는 잇몸부; 및
상기 치아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 착탈가능하도록 접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A denture to be bonded to the implant attach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ooth part;
A gingival portion supporting the tooth portion; And
And a fixing part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ooth part and detachably joined to the implant attachment.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접합부에 대응하도록 톱날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awtooth-shaped protrusion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to correspond to a joint portion of the implant attachmen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25184A KR101662026B1 (en) | 2015-02-23 | 2015-02-23 | Implant attachment and artificial teeth supported by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25184A KR101662026B1 (en) | 2015-02-23 | 2015-02-23 | Implant attachment and artificial teeth supported by i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02735A KR20160102735A (en) | 2016-08-31 |
| KR101662026B1 true KR101662026B1 (en) | 2016-10-05 |
Family
ID=5687729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25184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2026B1 (en) | 2015-02-23 | 2015-02-23 | Implant attachment and artificial teeth supported by i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62026B1 (en)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90023Y1 (en) * | 2019-03-20 | 2019-09-10 | 윤장현 | The denture structure for implant |
| KR102085336B1 (en) * | 2019-09-11 | 2020-03-05 | (주)더덴탈솔루션 | Method for manufacturing fixed denture using PEEK and zirconia and fixed denture manufactured therefrom |
| KR20200071864A (en) * | 2018-12-05 | 2020-06-22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Epithese for attaching on defect sit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
| WO2021107246A1 (en) * | 2019-11-29 | 2021-06-03 | 주식회사 디오 | Digital overdenture manufacturing method, holder abutment mounting guide applied thereto, and fixed bar bending device for holder device |
| KR20210067118A (en)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디오 |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and applied holder abutment gripping guide for thereof |
| KR20210067123A (en)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디오 | fix bar bending apparatus for digital overdenture holder apparatus |
| KR20210067119A (en)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디오 |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and applied clip gripping holder for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153528A1 (en) * | 2019-01-24 | 2020-07-30 | 장희성 | Magnetic denture-fixing device |
| KR102766831B1 (en) * | 2024-03-11 | 2025-02-11 | 임석주 | Implant abutment and denture bonding structure |
| KR102777366B1 (en) * | 2024-07-08 | 2025-03-05 | 김성민 | Customizable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locator attachment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17210U (en) * | 1993-09-06 | 1995-03-28 | 東邦チタニウム株式会社 | Magnetic attachment for fixing removable denture |
| JPH10323357A (en) * | 1997-03-22 | 1998-12-08 | G C Dental Prod:Kk | Soft cushioned dental magnetic attachment |
| KR101037694B1 (en) | 2008-06-27 | 2011-05-30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473225Y1 (en) * | 2012-05-18 | 2014-06-19 | (주)카이노스메덴텍 | Magnetic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 |
-
2015
- 2015-02-23 KR KR1020150025184A patent/KR10166202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71864A (en) * | 2018-12-05 | 2020-06-22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Epithese for attaching on defect sit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
| KR102161089B1 (en) * | 2018-12-05 | 2020-09-29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Epithese for attaching on defect sit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
| KR200490023Y1 (en) * | 2019-03-20 | 2019-09-10 | 윤장현 | The denture structure for implant |
| KR102085336B1 (en) * | 2019-09-11 | 2020-03-05 | (주)더덴탈솔루션 | Method for manufacturing fixed denture using PEEK and zirconia and fixed denture manufactured therefrom |
| WO2021049687A1 (en) * | 2019-09-11 | 2021-03-18 | (주)더덴탈솔루션 | Method for fabricating fixed-type dentures using peek and zirconia, and fixed-type dentures fabricated thereby |
| WO2021107246A1 (en) * | 2019-11-29 | 2021-06-03 | 주식회사 디오 | Digital overdenture manufacturing method, holder abutment mounting guide applied thereto, and fixed bar bending device for holder device |
| KR20210067118A (en)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디오 |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and applied holder abutment gripping guide for thereof |
| KR20210067123A (en)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디오 | fix bar bending apparatus for digital overdenture holder apparatus |
| KR20210067119A (en)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디오 |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and applied clip gripping holder for thereof |
| KR102264164B1 (en) | 2019-11-29 | 2021-06-11 | 주식회사 디오 | fix bar bending apparatus for digital overdenture holder apparatus |
| KR102332973B1 (en) | 2019-11-29 | 2021-11-30 | 주식회사 디오 |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and applied holder abutment gripping guide for thereof |
| KR102332982B1 (en) | 2019-11-29 | 2021-11-30 | 주식회사 디오 |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and applied clip gripping holder for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02735A (en) | 2016-08-3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62026B1 (en) | Implant attachment and artificial teeth supported by it | |
| US6224374B1 (en) | Fixed, splinted and removable prosthesis attachment | |
| AU2005286092B2 (en) | Temporary dental prosthesis | |
| JP6006880B2 (en) | Attachment for denture | |
| AU2002236309B2 (en) |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 |
| AU2002236309A1 (en) |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 |
| KR101487216B1 (en) | A partial Den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 TWI552731B (en) | Removable denture with metal denture tooth or teeth | |
| JP2017046793A (en) | Tooth restoration | |
| JP2013501600A (en) | Implant device having a firm fastening structure between an abutment and a zirconia cap | |
| JP2008220418A (en) | Partial denture | |
| CN111698963B (en) | Defective tooth supplementary type dental prosthesis | |
| Rockman et al. | Magnetic retention of dental prostheses in a child with ectodermal dysplasia | |
| Trushkowsky | Fiber-reinforced composite bridge and splint | |
| KR20180093737A (en) | Dual magnetic overdenture | |
| KR20180046319A (en) | Dual magnetic overdenture | |
| Spitzer et al. | Achieving Ideal Esthetics in Osseointegrated Prostheses. Pert II. The Single Unit. | |
| KR20160095260A (en) | Dental implant having enhanced adaptation | |
| Rahajoeningsih et al. | Jenis-jenis gigitiruan dukungan implan Implant-supported dentures | |
| KR102853761B1 (en) | Implant structures that reconstruct multiple teethin one single piece | |
| US20220061968A1 (en) | Dental Prosthesis | |
| CN221636128U (en) | Anti-loosening denture | |
| KR101784608B1 (en) | Denture With Gum Having Pinholes | |
| JP2896994B2 (en) | Dental implant | |
| KR20240129804A (en) | Occlusal indicator for zirconia partial denture fixed using an attachment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9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