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3379B1 - Dental implant - Google Patents

Dental im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379B1
KR101673379B1 KR1020140177172A KR20140177172A KR101673379B1 KR 101673379 B1 KR101673379 B1 KR 101673379B1 KR 1020140177172 A KR1020140177172 A KR 1020140177172A KR 20140177172 A KR20140177172 A KR 20140177172A KR 101673379 B1 KR101673379 B1 KR 101673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fixture
fastening
inclined surface
separ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70356A (en
Inventor
김형우
김균환
김선영
Original Assignee
김형우
김균환
김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우, 김균환, 김선영 filed Critical 김형우
Priority to KR102014017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379B1/en
Publication of KR2016007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3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37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에 결합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축 결합되는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고정체와 지대주가 접촉하는 고정체의 상단면 또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수직 방향 일정 위치의 원주면에 체결 분리를 위한 경사면을 구비한 요철부로 이루어진 체결분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체의 체결분리부와 대응 접촉하는 지대주면에도 대응 경사면을 구비한 대응 요철부로 이루어진 대응 체결분리부를 형성하여 저작압력에 의해서 지대주에 가해지는 응력이 고정체상에서 넓게 분산되도록 하고,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분리시킬 때에는,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수직 방향으로 당겨서 분리시키는 대신에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를 회전시켜서 상기 체결분리부의 경사면과 대응 체결분리부의 대응 경사면을 통해 상승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comprising a fixed body coupled to an alveolar bone and an abutment for resiliently shaft-coupling to the shaft hole of the fixed body,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fixed body contacting the fixed body and the abutment body, A concave / convex portion formed of a concave / convex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engaging / disengaging i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and a corresponding concave / convex portion having a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abutment is separated from the fixture, the abutment is pulled ou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eparate the abutment from the fixture, The abutment is rotate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0001] DENTAL IMPLANT [0002]

본 발명은 고정체와 지대주의 체결이 고정체 축공에 삽입되어 고정체와 체결되는 지대주 하부 체결축부의 절개부에 의해 형성된 탄성 체결레그에 의해 탄성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탄성 체결레그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고정체의 상단면 또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 일정 위치에 경사면을 구비한 요철부로 이루어진 체결분리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 접촉되는 지대주 부위에 대응 경사면을 구비한 대응 보철부로 이루어진 대응 체결분리부를 형성함으로써,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수직 방향으로 당겨서 분리시키는 대신에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를 회전시켜서 경사면과 대응경사면을 통해 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 취출 기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쉽게 지대주를 고정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하여 임플란트 시술 중에 환자의 부상 또는 고통을 크게 경감시키고 시술을 하는 치과 의사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용이하게 시술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경사면을 구비한 요철부와 대응 경사면을 구비한 대응 요철부에 의해 고정체와 지대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짐으로서 지대주에 가해지는 응력이 고정체 상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되도록 하고, 나아가 요철부와 대응 요철부에 의해 일정 이하의 외력에 대해서 지대주의 회전 방지 기능이 있어서 고정체 축공 내면과 고정체 축공내에 삽입되는 지대주 부위에 기존의 임플란트 처럼 지대주의 회전 방지를 위한 별도의 각진 형태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교합력이 지대주에 가해졌을 때 응력이 한 지점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having a coupling structure that is elastically coupled by an elastic fastening leg formed by a fastener and an abutment of a abutment lower fastening shaft portion inserted into a fastener body shaft and fastened with a fasten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 having an elastic fastening leg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composed of a top surface of a fixture or a concave / convex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axial hole of the fixture is formed, The abutment is rotated relative to the fixture so that the abutment is easily separated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removal mechanism and the lik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xture, It is easy to separate the abutment from the fixture without using it. The dentist can easily reduce the stress of the dentist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and reduce the injuries or pain of the patient and reduce the stress of the dentist who is performing the operation. In addition, since the concave / convex portion having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corresponding concave / The abutment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concave-convex portion have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abutment against the external force less than a certain level,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eparate angled shape to prevent rotation of the abdomen in the abutment portion inserted into the abutment of the abutment in the abutment of the abutment of the abutment of the abutment so as to prevent the stress from concentrating at one point when the abutment abutment is applied to the abutment abutment. Implant.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본래 뜻은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 치아 이식을 말한다. Generally, the original meaning of an implant means a replacement that restores when the tissue of the human body is lost, but in dentistry it refers to an artificial tooth implant.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으로 만든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시술이다. It is a cutting-edge procedure that restores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tooth by replacing the tooth root of the missing tooth with an artificial tooth made of titanium which has no rejection reaction to the human body.

종래의 일반 보철물은 치아가 상실됐을 때 인접치아를 삭제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임플란트는 주위의 치아 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Conventional general prostheses have the disadvantage of deleting adjacent teeth when the teeth are lost, but the implants have the advantage of not damaging the surrounding tooth tissue.

또한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똑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it has the same function and shape as natural teeth and does not cause cavities.

그러나 관리를 잘못하면 과도한 교합력으로 인해 치조골이 파괴되거나 플러그나 치석 등이 생겨 주위 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치주질환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수술 뒤 완치까지 정도에 따라 2~6개월이 소요된다. However, the wrong management can cause the alveolar bone to be destroyed, plugs or tartar due to excessive occlusal force, causing irritation to surrounding tissues and causing periodontal diseases. It takes 2 to 6 months depending on the degree of cure after surgery.

기존의 임플란트의 시술 과정은, 임플란트의 골내매식부인 고정체(fixture)를 치조골내에 매식하는 단계; 골유착이 되고 잇몸이 치유될때까지 일정기간동안 기다리는 단계; 고정체(fixture)에 지대주(abutment)를 체결시키는 단계;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 인상작업을 진행하는 단계; 주위 치아 관계에 따라 기공소에서 주조하거나 CAD/CAM으로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는 단계; 최종 보철물을 지대주(abutment)의 보철부착부에 부착하는 단계; 이상과 같은 순서로 임플란트를 시술한다. A conventional procedure of implanting implants includes implanting a fixture, which is an implant of the implant, into the alveolar bone; Waiting for a period of time until osseointegration and healing of the gums; Fastening an abutment to a fixture; Performing an impression operation to produce a final prosthesis; Molding the final prosthesis using casting or CAD / CAM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tooth relationship; Attaching a final prosthesis to an abutment attachment portion of an abutment; Implant is performed in the above procedure.

이 때, 기존의 임플란트는 고정체에 지대주를 체결시키는 단계에서 고정체와 지대주를 스크루(screw)에 의해 결합시키는 방식이었으나, 이 기술은 스크루 풀림 또는 스크루 파절 같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켰으며, 이의 해결 방안으로 탄성 체결레그 타입(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868호)과 관 형태의 탄성 체결편 타입(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4-0002816호)에 의한 탄성 체결 방식이 개발되었다. In this case, the existing implant was a method of screwing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in the step of fastening the abutment to the fixture, but this technique caused a serious problem such as screw loosening or screw fracture, , An elastic fastening method using an elastic fastening leg type (Korea Patent No. 10-066868) and a tube type elastic fastening typ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4-0002816) has been developed.

이와 같은 탄성 체결레그 타입의 기술은, 치조골에 결합되는 고정체(픽스처)와,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 축 결합되는 지대주(어뷰트먼트)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하부에 절개부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체결레그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는 탄성 체결레그가 축결합되어 이탈방지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echnique of such an elastic locking leg type includes an implant unit including a fixture (fixture)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and an abutment (shaft)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shaft hole of the fixture, And an elastic fastening leg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by the elastic fastening legs.

이와 같은 기술은, 기존의 스크류 타입이 아닌, 탄성 체결레그 결합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시술과정이 간편하고, 시술시 어뷰트먼트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체결레그의 절개부에 탄성부재를 삽입시켜서 필요에 따라 저작압을 더욱 완충시킬 수 있고, 교합력이 가해질 때 픽스처와 치조골 사이에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켜 치조골 흡수(bone loss)를 유발시키는 한 원인인 피질골 표면의 큰 응력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환자가 느끼게 되는 이물감을 최소화하게 되며, 임플란트 유닛의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탄성 체결레그 타입 뿐만 아니라, 관 형태의 탄성 체결편 타입 또한 위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Such a technique uses a resilient fastening leg coupling structure rather than a conventional screw type so that the procedure is simple and the fastening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abutment is seated at the correct position during the procedure. The elasticity of the cortical bone surface can be increased by inserting an elastic member into the portion of the cortical bone to buffer the masticating pressure as needed and to reduce the stress generated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lveolar bone when the occlusal force is applied, By minimizing the stress, the external sensation felt by the patient is minimized, and the service life of the implant unit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o the elastic locking leg type, the tube-like elastic clamping type also has the above-described effect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여러가지 우수한 기술적인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가지 개선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prior art has several technical advantages, but has some improvement problems.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Such a problem of the prior art is shown in Fig.

즉, 종래의 탄성 체결레그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1)에서, 픽스처(10)의 축공에 삽입되는 어뷰트먼트(20)는, 픽스처(10)의 상단 원주면에서 요철부가 없는 평면 접촉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씹을 경우 발생하는 저작압력이 어뷰트먼트(20)를 통해서 픽스처(10)의 상단 모서리에 분산되지 못하고 그대로 전달되어 응력 분산효과를 갖지 못한다. 따라서, 어뷰트먼트(20)에 연결된 탄성 체결레그(22)에는 응력 감쇠효과없이 큰 응력이 그대로 전달되어 탄성 체결레그(22)를 취약하게 하고 상대적으로 내구성을 저하시킨다.That is, in the implant unit 1 having the conventional elastic fastening leg coupling structure, the abutment 20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of the fixture 10 is in plane contact with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10 without the concave / In this structure, the chewing pressure generated when the user chews the food is not dispersed to the upper edge of the fixture 10 through the mouthpiece 20, and is transferred as it is, so that the stress dispersion effect is not obtained. Therefore, large stress is transmitted to the elastic fastening leg 22 connected to the seat 20 without any stress damping effect, so that the elastic fastening leg 22 is weakened and the durability is relatively reduced.

다른 문제점으로는, 탄성 체결레그 타입 또는 관 형태의 탄성 체결편 타입을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중에는 픽스처(10)로부터 어뷰트먼트(20)를 분리시키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프라이어와 같은 취출 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Another problem is that the occlusion 20 is often separated from the fixture 10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using the elastic clamping leg type or the tube-like elastic clamping type. In such a case, The extraction mechanism shall be us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9417호의 "임플란트 어뷰트먼트 취출기구"에서와 같이, 픽스처로부터 어뷰트먼트를 분리시키는 취출기구를 제안한 바 있다.To this end,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take-out mechanism for separating an achievement from a fixture, as in the "implant abutment take-out mechanism"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09417.

이와 같은 취출 기구는 픽스처(10)에 탄성체의 탄성을 이용한 체결방식이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된 어뷰트먼트(20)를 분리함에 있어서, 보다 쉽고 편리하게 어뷰트먼트(20)를 분리할 수 있고, 주변 치아를 손상 입히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Such a take-out mechanism can separate the attachments 20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in separating the attachments 20, which are coupled to the fixture 10 by the fastening method using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or by the frictional force, It does not damage surrounding teeth and can be used safely.

또한, 여러번 반복되는 분리시술을 하더라도 임플란트 및 치조골의 손상 없이 어뷰트먼트(20)를 픽스처(10)로부터 분리시킬수 있으며, 회전없이도 어뷰트먼트(20)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even if the separation procedure is repeated several times, the applicant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ture 10 without damaging the implants and the alveolar bone, and the applicant 20 can be easily taken out without rotation, Can be shorten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취출기구를 이용한 분리 방식은 고정체(fixture)의 상단면이 잇몸하방에 위치해 있을 때는 취출기구를 제 위치에 위치시키기가 아주 까다롭거나 경우에 따라 고정체 상단면이 치조골 보다 더 하방에 깊이 식립되어 있을 때는 취출기구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일반적인 경우에도 고정체 상단면에 취출기구를 제대로 위치시켜야 하므로 시력이 좋지 않는 시술자는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시술자는 임플란트 시술작업이 번거롭고, 시술받는 환자의 경우는 취출 기구의 사용 과정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However, in the separation system using the conventional extraction mechanism,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ture is located below the gum, it is very difficult to position the extraction mechanism in place, It is not possible to position the extraction mechanism in the correct position when it is placed further downward than in the case of a patient with a poor visual acuity. In general, since the extraction mechanism must be properly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ture,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practitioner has a problem that the implant operation is troublesome and the patient who is undergoing the procedure experiences inconvenience during the use of the extraction apparatu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임플란트 사용자가 음식물을 씹을 경우, 저작압력에 의해서 지대주에 가해지는 응력이 고정체와 지대주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고정체상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넓게 분산되도록 하여 체결 레그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mplanting an implant, in which, when a user chews food, stress applied to abutment by abutting pressure widens contact area between the fixture and abutme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dental implant capable of reducing the application of an excessive load to the fastening leg.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 시술 중에,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분리시킬 때에는,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수직 방향으로 당겨서 분리시키는 대신에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를 회전시켜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별도의 프라이어와 같은 다루기 까다로운 취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환자의 부상 또는 고통을 크게 경감시키고, 임플란트 시술을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fixture during the implanting procedure by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fixture by pulling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eparating the abut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dental implant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using a particularly difficult extraction device such as a fryer of a fryer to greatly reduce injury or pain of a patient and to easily perform an implant procedur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체 축공 내측면과 고정체 축공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면이 각이진 형태로 대응 결합되지 않음으로써, 응력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개선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dental implant so that the stress is not concentrated in one place because the lower fastening axis faces of the abutment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ture shaft ho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er body axial hole are not coupled with each other in an angular shap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조골에 결합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축 결합되는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고정체와 지대주가 접촉하는 고정체의 상단면 또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수직 방향 일정 위치의 원주면에 체결 분리를 위한 경사면을 구비한 요철부로 이루어진 체결분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체의 체결분리부와 대응 접촉하는 지대주면에도 대응 경사면을 구비한 대응 요철부로 이루어진 대응 체결분리부를 형성하여 저작압력에 의해서 지대주에 가해지는 응력이 고정체상에서 넓게 분산되도록 하고,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분리시킬 때에는,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수직 방향으로 당겨서 분리시키는 대신에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를 회전시켜서 상기 체결분리부의 경사면과 대응 체결분리부의 대응 경사면을 통해 상승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ntal implant comprising: a fixed body coupled to an alveolar bone; and an abutment abutment elastically coupled to the shaft hole of the fixed body, A coupling separating portion composed of an upper surface or an uneven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i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hole of the fixing body and also corresponds to a peripheral surface of the abutting portion The abutting and separating portion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oncave and convex portion having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stress applied to the abutment is dispersed broadly on the abutting portion by the chewing pressure. When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abutting portion, the abutment portion is pu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butment is rotated relative to the fixture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astening / Yes fastening features that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ri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portion separa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대주는 탄성 체결레그 또는 탄성 체결편에 의해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축 결합되며, 나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대주가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축 결합되는 다양한 체결방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Preferably, the abutment is elastically axially coupled to the shaft hole of the fixture by an elastic fastening leg or an elastic fasten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various fastening schemes in which the abutment is elastically axially coupled to the shaft hole of the fixtur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doing.

한편, 체결분리부가 형성되는 고정체 상단면이나 축공 내측면에 형성된 원주면은 수평면이 아닌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고정체의 외경과 내경의 수직적 위치가 다른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고정체의 외경으로부터 내경 방향 또는 그 역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경사면과 대응되는 지대주 부위에도 수평면이 아닌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에 대응체결부가 구비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xture body or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hole on which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is formed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rather than a horizontal surface. That i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ed body may b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the inclined face. For example, the fixed body may b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from the outer diameter to the inner diameter or vice versa. In this case, an abutment surface rather than a horizontal surface is formed on the abutme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corresponding fastening portion will be provided on the abutment surface.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 체결분리부와 체결분리부는 각각 상기 지대주의 중간 테두리로부터 하향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체의 상단면에 형성된 오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re each formed by a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intermediate rim of the abutment and a reces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tur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 체결분리부와 체결분리부는 각각 상기 지대주의 중간 테두리에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체의 상단면에서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로 형성될 수 이TEk. Preferably,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may each be formed by a concave groove formed in the middle rim of the abutment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er body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groove.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경사면을 갖는 라운드형 단면, 삼각형 단면 또는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는 한편, 상기 오목홈은 상기 돌출부의 단면에 각각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projecting portion has a round cross section, a triangular cross section, or a trapezoid cross section with an inclined surface, while the concave groov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 section of the projecting portion,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분리부와 대응 체결분리부는 상기 고정체와 지대주가 접촉하는 상단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2 개소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t least two posi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where the fastener is in contact with the fastener.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분리부는 고정체 상단이 아닌 고정체 축공 내측면의 수직 방향 일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in shaft, no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 또는 축공 바닥면에는 치조골에 식립 시 식립 드라이버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n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positioning drive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haft hole of the fixtu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치조골에 결합되고 지대주가 탄성 결합되는 치과 임플란트용 고정체에 있어서, 지대주와 접촉하는 고정체의 상단면 또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수직 방향 일정 위치의 원주면에 체결 분리를 위한 경사면을 구비한 요철부로 이루어진 체결분리부를 형성하고, 체결분리부 하부의 축공 내측면에 지대주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ture for dental implants which is coupled to an alveolar bone and is elastically bonded to a alveolar bone, the alveolar implant hav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ture in contact with the abutment, And a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hol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 dismounting portion so that the fastener can be fasten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치조골에 결합되는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결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용 지대주에 있어서, 고정체의 체결분리부와 대응 접촉되는 부위에 대응 경사면을 구비한 대응 요철부로 이루어진 대응 체결분리부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결합되도록 체결시키는 대응체결부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butment for an implant for dental use which is elastically coupled to a shaft hole of a fixture coupled to an alveolar bone, wherein the abutment portion includes a corresponding concave- And a corresponding fastening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separating portion so as to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shaft hole of the fixture.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체와 지대주가 접촉하는 고정체의 상단면에 고정체와 지대주의 체결 분리를 위한 경사면을 갖는 요철부로 이루어진 체결분리부와 이에 대응하여 접촉되는 지대주 부위에 대응 경사면을 구비한 대응 요철부로 이루어진 대응 체결분리부를 형성한 구조이며, 요철부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astening / dismounting unit comprising a fastening / disassembling unit comprising a fixed body and a concave / convex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fastening / detaching the abutment, and a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on a corresponding abutment And a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formed of the corresponding concave / convex portion is formed. The shape o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따라서, 임플란트 사용자가 음식물을 씹을 경우, 저작압력에 의해서 지대주에 가해지는 응력이 고정체와 지대주의 넓어진 접촉면적에 의해 고정체상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고정체나 지대주의 한 지점에 무리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고,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분리시킬 때에는,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당겨서 분리시키는 대신에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를 회전시켜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mplant user chews the food, the stress applied to the abutment by the chewing pressure is more effectively dispersed on the fixture due to the wider contact area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so that excessiv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fixture or the abutment point When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fix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abutment by rotating the abutment against the fixture instead of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fixture by pulling it away.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프라이어와 같은 다루기 까다로운 취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환자의 부상 또는 고통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고, 임플란트 시술을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fix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without using a complicated removal device such as a separate fryer, so that the injury or pain of the patient can be greatly reduce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mproved excellent effect for easy execution.

또한, 일정 이상의 회전력 이하에서는 요철부 및 대응 요철부에 의해 지대주의 회전 방지 기능도 가지게 됨으로써, 고정체 축공 내측면에 지대주의 회전 방지를 위한 별도의 각이진 형태가 필요하지 않고, 그 결과 고정체 축공 내측면과 고정체 축공 내측면에 축결합되는 지대주 부위를 각이진 형태가 아닌 곡면 처리할 수 있으므로 측방 교합력을 받을 때 응력이 한곳으로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not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cavo-convex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concavo-convex portion also have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abrasion zone, so that a separate angular shape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abrasion- Since the abutment portion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ho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of the fixture can be curved not in the form of an ang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ess from concentrating excessively on one side when receiving the lateral occlusal force.

도 1은 종래의 탄성 체결레그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에서, 픽스처의 축공 내부에 삽입되는 어뷰트먼트가, 픽스처의 상단 원주면에서 요철부가 없는 단순한 평면으로 접촉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고정체와 지대주가 접촉하는 상단면에 체결 분리를 위한 경사면을 갖는 요철부를 구비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응력이 요철부를 통하여 고정체상의 넓어진 접촉 표면적에 의하여 넓게 분산되는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수직 방향으로 당겨서 분리시키는 대신에,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를 회전시켜서 경사면과 대응경사면을 통해 상승 분리시키는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중간 테두리에 형성된 오목홈과, 고정체의 상단면에서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통해서 요철부를 구성한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중간 테두리로부터 하향 돌출된 대응 경사면을 갖는 삼각 단면의 돌출부와, 고정체의 상단면에 형성된 삼각 단면의 오목홈으로 이루어진 요철부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중간 테두리에 형성된 삼각 단면의 오목부와, 고정체의 상단면에서 돌출 형성된 삼각 단면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요철부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요철부가 고정체와 지대주가 접촉하는 고정체의 상단면 둘레를 따라 2 개소에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요철부가 고정체와 지대주가 접촉하는 상단면 둘레를 따라 2 개소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요철부가 고정체와 지대주가 접촉하는 상단면 둘레를 따라 2개소, 4개소, 8개소에 각각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in an implant unit having a conventional elastic fastening leg coupling structure, an artificial tooth inserted into a shaft hole of a fixture is in contact with a flat surface without a concavo-convex portion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ncave / convex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fastening separation is provided on an upper end surface where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abutment stress dispersed widely by the wider contact surface area on the fixture through the irregularities in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rotating the abutment against the fixture to ascend and separate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instead of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fix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recesses and protrusions are formed through concave grooves formed in the middle rim of the abutment and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ture in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rotruding portion of a triangular cross-section having a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middle edge of the abutment and a concave portion formed by a triangular cross-sectional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ture in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IG. 5B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denture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oncave portion formed by a triangular cross-section formed in a middle rim of the abutment and a protruding portion formed by protruding from a top surface of the rigid body.
6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recesses and protrusions are formed at two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top surface of a fixture in contact with a fixture in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in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o-convex portion is formed at two posi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p surface where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IGS. 7A to 7C are plan views showing a structure of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cavo-convex portion is formed at two, four, and eight posi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p surface where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are in contac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일례로 탄성 체결레그 타입의 탄성 축 결합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당업자라면 관 형태의 탄성 체결편 타입은 물론이고 그 이외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 축 결합 구조에도 본 발명이 적용 내지 응용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하에서는 탄성 체결레그 타입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의도가 아님을 밝혀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the elastic coupling structure of the elastic locking leg type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elastic coupling structur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or applied. That is,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basis of the elastic locking leg type, but it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에 결합되는 고정체(110)와,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에 탄성 축 결합되는 지대주(1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110)가 지대주(120)와 접촉하는 고정체 상단면(130)에는 체결 분리를 위한 경사면(142)을 갖는 요철부(140a)로 이루어진 체결분리부와 이에 대응하여 접촉되는 지대주 부위에 대응 경사면(152)을 구비한 대응 요철부(140b)로 이루어진 대응 체결분리부를 형성한 구조이다. 2, the dental impla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ture 110 coupled to an alveolar bone and an abutment 120 resiliently axially coupled to the shaft hole of the fixture 110 And a concave and a convex portion 140a having an inclined surface 142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40a on the upper surface 130 of the fixed body where the fixture 110 is in contact with the abutment 120, And a corresponding engaging / disengaging portion formed of a corresponding concave / convex portion 140b having a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152 at an abutment portion.

이와 같은 대응 체결분리부와 체결분리부는,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대주(120)의 중간 테두리로부터 하향 돌출된 돌출부(152a)와, 상기 돌출부(152a)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체(110)의 상단면에서 결합하도록 형성된 오목홈(152b)으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52a)는 경사면을 갖는 라운드형 단면, 삼각형 단면 또는 사다리꼴 단면 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오목홈(152b)은 상기 돌출부의 단면에 각각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물론, 돌출부(152a)는 상기 열거한 단면 뿐만 아니라 경사면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도 자명하다.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152a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middle edge of the abutment 120, and a protrusion 152b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fastener body 110 And a concave groove 152b formed to be engaged at the top surface. The protrusion 152a may have a round cross section, a triangular cross section, a trapezoid cross section, or the like having an inclined surface, and the concave groove 152b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cross section of the protrusion. Of course, it is also obvious that the protruding portion 152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having not only the above-mentioned cross-section but also inclined surfaces.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식물을 씹는 경우, 저작압력에 의해서 지대주(120)에 가해지는 응력이 고정체(110)상의 요철부(140)에서 넓어진 표면적에 의하여 넓게 분산되도록 한다.3A, when the user chews food, the stress applied to the abutment 120 by the chew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ture 110 So that it is widely dispersed by the surface area widened in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4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플란트 시술 중에 고정체(110)로부터 지대주(120)를 분리시킬 때에는, 고정체(110)로부터 지대주(120)를 수직으로 당겨서 분리시키는 대신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110)에 대해 지대주(120)를 회전시켜서 상기 경사면(142)과 대응 경사면(152)을 통해 상승 분리시킬 수 있다.3B, when separating the abutment 120 from the fixture 110 during the one-prosthetic procedure, the dental impla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abutment 120 from the fixture 110 The abutment 120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fixture 110 to lift and separate the incline 142 and the corresponding incline 152 through the corresponding incline 152, instead of pulling it apart vertically, as shown by the arrows .

즉, 종래와 같이 플라이어 같은 다루기 까다로운 취출 기구를 이용하여 고정체(110)로부터 지대주(120)를 수직으로 당기는 대신에, 회전 드라이버 같은 다루기 쉬운 기구로 고정체(110)에 대해서 지대주(120)를 회전시키면, 상기 대응 체결분리부는 회전하면서 경사면(142)과 대응 경사면(152)을 통해서 상기 고정체(110)에 대해서 지대주(120)를 경사면의 높이 만큼 수직으로 밀어 올린다. 즉, 회전력을 경사면과 대응경사면을 통해 수직력으로 바꾸어 줌으로서 보다 수월하게 지대주를 수직으로 밀어 올린다. That is, instead of vertically pulling the abutment 120 from the fixture 110 by using a difficult-to-handle extraction mechanism such as a pliers, the abutment 120 is fixed to the fixture 110 by a handy mechanism such as a rotary screwdriver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rotates and pushes up the abutment 120 with respect to the fixture 110 vertically by the height of the inclined surface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142 and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152. That is, the abutment is vertically pushed up more easily by chang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normal force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이와 같이 고정체(110)에 대해서 지대주가 경사면 높이 만큼 상승하게 되면, 지대주(120)의 탄성 체결레그(122)는 그 하단의 결합 돌기(124)가 고정체(110)의 결합홈(126)으로부터 빠진 상태가 되므로 지대주(120)는 고정체(110)로부터 쉽게 빠지게 된다. 이 때 회전 드라이버가 지대주에 위치될 수 있도록 지대주 상부 보철물 부착부에 홈이나 수직 절단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abutment is raised by the inclined surface height with respect to the fixture 110 as described above, the resilient engagement leg 122 of the abutment 120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124 of the lower end of the abutment 120 by the engagement recess 126 of the fixture 110, So that the abutment 12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fixture 110. As a resul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groove or a vertical cut surface in the abutment portion of the abutment upper prosthesis so that the rotation driver can be placed on the abutm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체(110)로부터 지대주(120)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플라이어와 같은 사용하기 까다로운 취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환자의 부상 또는 고통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고, 시술자는 임플란트 시술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butment 120 from the fixture 110,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abutment 120 without using a difficult-to-use extraction mechanism such as a separate plier,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injury or pain of the patient And the practitioner can easily perform the implant treat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응 체결분리부와 체결분리부는 상기 지대주(120)의 중간 테두리에 형성된 오목홈(152b)과, 상기 오목홈(152b)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체(110)의 상단면에서 결합하도록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52a)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4,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have a concave groove 152b formed in the middle rim of the abutment 120, and a concave groove 152b formed in the middle rim of the abutment 120. In the dental impla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trusion 152a protruding upward to engage with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xing body 1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otrusion 152b.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식물을 씹는 경우, 저작압력에 의해서 지대주(120)에 가해지는 응력이 고정체(110)상의 요철부(140)에서 넓어진 표면적에 의하여 넓게 분산되도록 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시술 중에 고정체(110)로부터 지대주(120)를 분리시킬 때에는, 고정체(110)로부터 지대주(120)를 수직 방향으로 당겨서 분리시키는 대신에, 고정체(110)에 대해 지대주(120)를 회전시켜서 상기 경사면과 대응 경사면을 통해 상승 분리시킬 수 있다.3A, when the user chews food, stress applied to the abutment 120 by the chew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xture 110, as shown in FIG. 3A, 3B, when the abutment 120 is detached from the fixture 110 during the implanting procedure, the abutment portion 120 is separated from the fixture 110 by the surface area expanded in the recessed portion 140 on the abutment portion 140, The abutment 120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ture 110 so that the abutment 120 can be ascended and separated from the inclined surface through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instead of being pulled out in the vertical direction.

부언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응 체결분리부와 체결분리부는 상기 지대주(120)의 중간 테두리로부터 하향 돌출된 경사면(142)을 갖는 삼각 단면의 돌출부(156a)와, 상기 삼각 단면의 돌출부(156a)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체(110)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된 삼각 단면의 오목홈(156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분리부와 대응 체결분리부는 상기 지대주(120)의 중간 테두리에 형성된 삼각 단면의 오목홈(156b)과, 상기 삼각 단면의 오목홈(156b)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체(110)의 상단면에서 결합하도록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된 경사면(142)을 갖는 삼각 단면의 돌출부(156a)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삼각 단면의 오목홈(156b)과, 삼각 단면의 돌출부(156a)의 구조로 요철부(140)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이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120)에 가해지는 응력이 고정체(110)상의 요철부(140)에서 넓어진 표면적에 의하여 넓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110)로부터 지대주(120)를 수직으로 당겨서 분리시키는 대신에, 고정체(110)에 대해 지대주(120)를 회전시켜서 분리시키는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돌출부가 라운드형 또는 사다리꼴 단면을 가질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 및 작용효과를 함은 명백하다. 5A,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have inclined surfaces 14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middle rim of the abutment 120. In the dental implant 100, A protruding portion 156a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a concave groove 156b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fixing body 110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156a of the triangular cross section. 5B,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may have a triangular cross-sectional concave groove 156b formed in the middle rim of the abutment 120, and a triangular cross-sectional concave groove 156b corresponding to the triangular cross- And a protruding portion 156a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142 protruding upward to engag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ody 110. [ 3A, the stress applied to the abutment 120 is not affected by the stress applied to the abutment 120. Therefore, even when the recessed portion 140 is formed by the triangular-section recessed groove 156b and the triangular-sectioned projection 156a, 3B, the abutment 120 can be widely dispersed by the surface area widened by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40 on the fixed body 110. Instead of separating the abutment 120 from the fixed body 110 by pulling it vertically, ,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of rotating the abutment 120 with respect to the fixture 110 can be obtained. Likewise, it is apparent that the same function and operation effect is obtained even when the projection has a round or trapezoidal cross sec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의 구조에서, 상기 체결분리부와 대응 체결분리부는 상기 고정체(110)와 지대주(120)가 접촉하는 고정체의 상단면(130) 둘레를 따라 적어도 2 개소 형성될 수 있다.In the structure of the dental impla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130 of the fixture in contact with the fixture 110 and the abutment 120 At least two portions may be formed.

즉,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140)는 상기 고정체(110)와 지대주(120)가 접촉하는 고정체의 상단면(130) 둘레를 따라 2 개소 형성될 수 있다.6A and 6B,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40 may be formed at two posi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p surface 130 of the fixture in contact with the fixture 110 and the abutment 120. In other words, have.

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140)는 상기 원주면(130)을 따라서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3 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A,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140 may be formed at three posit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30.

또는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140)는 상기 원주면(130)을 따라서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4 개소 또는 8 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체결분리부와 대응 체결분리부가 형성되는 고정체와 지대주의 접촉면은 수평면이 아닌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7B and 7C,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140 may be formed at four or eight plac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30. [ At this tim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xed body on which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re formed and the abutment surface may be inclined rather than horizontal.

이와 같이 상기 요철부(140)는 상기 고정체(110)와 지대주(120)가 접촉하는 고정체의 상단면(130) 둘레를 따라 적어도 2 개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들을 통하여 임플란트 사용자가 음식물을 씹을 경우, 저작압력에 의해서 지대주(120)에 가해지는 응력은 고정체(110)상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체결 레그(122)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고, 고정체(110)로부터 지대주(120)를 분리시킬 때에는, 고정체(110)에 대해 지대주(120)를 회전시켜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40 may be formed at least at two positions along the upper end surface 130 of the fixture in contact with the fixture 110 and the abutment 120. Through such structures, When the food is chewed, the stress applied to the abutment 120 by the chewing pressure is more effectively dispersed on the fixture 110,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xcessive load applied to the fixation leg 122, When the abutment 120 is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110, the abutment 120 can be easily rotated by rotating i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체(110)로부터 지대주(120)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플라이어와 같은 취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환자의 부상 또는 고통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고, 임플란트 시술을 쉽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butment 120 from the fixture 110,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without using a take-out mechanism such as a separate pliers, And the implant procedure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분리부는 고정체(110)와 지대주(120)가 접촉하는 고정체의 상단면(13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상기와는 다르게 지대주(120)가 삽입되는 고정체(110)의 축공 내측면 수직 방향 일정 위치의 원주면에 다른 형태와, 다른 구조로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변형 또는 위치 변경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structure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For example, although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30 of the fixture in contact with the fixture 110 and the abutment 120, the fixture 110 ) May be provided as a different shape and a different structur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certain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axial hole side. However,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1: 탄성체결레그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10: 픽스처 20: 어뷰트먼트
122, 22: 탄성체결레그 100: 치과용 임플란트
110: 고정체 120: 지대주
130: 상단면 140a: 요철부
140b: 대응 요철부 142: 경사면
152: 대응 경사면 152a: 돌출부
152b: 오목홈 156a: 삼각 단면의 돌출부
156b: 삼각 단면의 오목홈
1: an implant unit having an elastic fastening leg engagement structure
10: fixture 20: abutment
122, 22: elastic fastening leg 100: dental implant
110: fixed body 120: abutment
130: upper surface 140a: concave /
140b: corresponding concave-convex portion 142:
152: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152a:
152b: concave groove 156a: protrusion of triangular section
156b: Concave groove of triangular section

Claims (9)

치조골에 결합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축 결합되는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고정체와 지대주가 접촉하는 고정체의 상단면 또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수직 방향 일정 위치의 원주면에 체결 분리를 위한 경사면을 구비한 요철부로 이루어진 체결분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체의 체결분리부와 대응 접촉하는 지대주면에도 대응 경사면을 구비한 대응 요철부로 이루어진 대응 체결분리부를 형성하여 저작압력에 의해서 지대주에 가해지는 응력이 고정체상에서 넓게 분산되도록 하고,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분리시킬 때에는, 고정체로부터 지대주를 수직 방향으로 당겨서 분리시키는 대신에 고정체에 대해 지대주를 회전시켜서 상기 체결분리부의 경사면과 대응 체결분리부의 대응 경사면을 통해 상승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A dental implant comprising a fixed body coupled to an alveolar bone and an abutment for resiliently axially coupling to the shaft hole of the fixed body,
Wherein a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is formed of a top surface of a fixture in contact with the fixture and a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ture, and a concave / convex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fastening / separation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ture, A corresponding engagement / disengagement portion composed of a corresponding recessed portion having a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abutt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parating portion so that the stress applied to abutment by the abutting pressure is dispersed widely on the abutting portion, Wherein the abutmen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ture so that the abutment is separated from the inclined surface of the joint separating portion through a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joint separating portion, instead of pulling the abutment from the fix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는 탄성 체결레그 또는 탄성 체결편에 의해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축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utment is elastically axially coupled to the shaft hole of the fixture by an elastic fastening leg or an elastic fastening 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체결분리부와 체결분리부는 각각 상기 지대주의 중간 테두리로부터 하향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체의 상단면에 형성된 오목홈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re each formed by a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intermediate rim of the abutment and a reces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tur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Dental impla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체결분리부와 체결분리부는 각각 상기 지대주의 중간 테두리에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체의 상단면에서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re each formed by a concave groove formed in the middle rim of the abutment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er body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groove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경사면을 갖는 라운드형 단면, 삼각형 단면 또는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는 한편, 상기 오목홈은 상기 돌출부의 단면에 각각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5. The dental prosthesis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has a round cross section, a triangular cross section or a trapezoidal cross sec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and the concave groov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 section of the projecting portion, respectively Implan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분리부와 대응 체결분리부는 상기 고정체와 지대주가 접촉하는 상단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2 개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are formed at least at two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where the fastener is in contact with the abutmen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 또는 축공 바닥면에는 치조골에 식립 시 식립 드라이버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더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an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driver when the alveolar bone is place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haft hole of the fixture. 치조골에 결합되고 지대주가 탄성 결합되는 치과 임플란트용 고정체에 있어서,
지대주와 접촉하는 고정체의 상단면 또는 고정체의 축공 내측면의 수직 방향 일정 위치의 원주면에 체결 분리를 위한 경사면을 구비한 요철부로 이루어진 체결분리부를 형성하고, 체결분리부 하부의 축공 내측면에 지대주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체.
A fixture for a dental implant, wherein the fixture is bonded to the alveolar bone and is elastically bonded to the alveolar bone,
A coupling and separating portion formed of a top surface of the fixed body in contact with the abutment, or a concave-convex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i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hole of the fixed body, Wherein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abutment portion is formed 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dental implant.
치조골에 결합되는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결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용 지대주에 있어서,
고정체의 체결분리부와 대응 접촉되는 부위에 대응 경사면을 구비한 대응 요철부로 이루어진 대응 체결분리부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고정체의 축공에 탄성 결합되도록 체결시키는 대응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용 지대주.


An abutment for a dental implant, which is elastically coupled to a shaft hole of a fixture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And a corresponding fastening / disengaging portion formed of a corresponding concave / convex portion having a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 separating portion of the fixed body is formed, and a corresponding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fastening / Abutments for dental implants.


KR1020140177172A 2014-12-10 2014-12-10 Dental implant Active KR1016733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172A KR101673379B1 (en) 2014-12-10 2014-12-10 Dental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172A KR101673379B1 (en) 2014-12-10 2014-12-10 Dental im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356A KR20160070356A (en) 2016-06-20
KR101673379B1 true KR101673379B1 (en) 2016-11-07

Family

ID=5635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172A Active KR101673379B1 (en) 2014-12-10 2014-12-10 Dental im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37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12394B (en) * 2020-01-17 2020-12-11 九齒大精工股份有限公司 Combined assembly for dentures
TWI718063B (en) * 2020-01-17 2021-02-01 九齒大精工股份有限公司 Dental impl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229B1 (en) * 2017-01-13 2018-11-07 주식회사 덴플렉스 Dental implant
KR101916210B1 (en) * 2017-01-13 2019-01-30 주식회사 덴플렉스 Dental implant
KR101839424B1 (en) * 2018-02-06 2018-03-16 이정치과기공(주) Dental implant
CN115670716B (en) * 2022-11-10 2024-11-22 瑞奇医疗科技(嘉兴)有限公司 A transfer cap and implant disassembly and assembly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0095A1 (en) * 2011-09-14 2013-03-20 Dentsply IH AB A dental component and a dental implant
KR20140063037A (en) * 2012-11-16 2014-05-27 김형우 Dental impla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12394B (en) * 2020-01-17 2020-12-11 九齒大精工股份有限公司 Combined assembly for dentures
TWI718063B (en) * 2020-01-17 2021-02-01 九齒大精工股份有限公司 Dental implant
US11678960B2 (en) 2020-01-17 2023-06-20 Taiwan Nippon Dental Alliance Co., Ltd. Dental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356A (en)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8632B2 (en) Dental implant
KR101673379B1 (en) Dental implant
KR101633259B1 (en) Removable implant-bonded prosthesis
KR101916210B1 (en) Dental implant
KR101311250B1 (en) Attachment for denture
KR20130097036A (en) Fixture for implantation having elastic adaptor for combining abutment
EP3585300B1 (en) Dental technology kit
KR101916229B1 (en) Dental implant
KR20120017951A (en) Multi Abutment Device
KR200470574Y1 (en) Ball type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
KR20200089480A (en) 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KR101361236B1 (en) Dental implant
KR200456293Y1 (en) Onebody solid abutment
KR101571759B1 (en) Dental Implant Apparatus
KR20170139414A (en) Medical implant
KR101879550B1 (en) abutment for implant
KR101875460B1 (en) Connecting screw locking mechanism
TWI638644B (en) Dental implant
JPH0492658A (en) Removable prosthesis and implant for removable prosthesis
KR20240040796A (en)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gled implant assembly,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10